[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0536B1 - 노크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노크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536B1
KR100320536B1 KR1019950058624A KR19950058624A KR100320536B1 KR 100320536 B1 KR100320536 B1 KR 100320536B1 KR 1019950058624 A KR1019950058624 A KR 1019950058624A KR 19950058624 A KR19950058624 A KR 19950058624A KR 100320536 B1 KR100320536 B1 KR 100320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ck
engine
control
generation point
engine spe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8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942A (ko
Inventor
박용정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50058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536B1/ko
Publication of KR97004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53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노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한 엔진 회전수 감지수단과; 엔진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감지하기 위한 공기량 감지수단과; 노크가 있는가를 감지하기 위한 노크 감지수단과; 상기 엔진 회전수 감지수단과 공기량 감지수단과 노크 감지수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노크 패스트 코렉션을 행하고, 엔진 회전수와 공기량에 따라 구간별로 정해 놓은 데이터에 따라 노크 슬로우 코렉션을 하여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점화를 하기 위한 점화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엔진의 점화시 노크가 일어날 경우에, 노크 슬로우 코렉션의 경우 엔진의 알피엠과 공기량에 따른 부하에 따라 구간을 정하여 노크를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노크를 제어할 수 있는 노크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크 제어방법
이 발명은 노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엔진의 점화시 노크(Knock)가 일어날 경우에 이를 엔진의 알피엠과 공기량에 따른 부하(Load)에 따라 구간을 정하여 노크를 제어하는 노크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사용을 하게됨에 따라서 노킹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점화시기(Spark Point) 이전에 카본 등에 의해 부분점화가 이루어지는 현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노크 제어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점화시기 제어중 노크 패스트 코렉션(Knock Fast Correction)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제2도는 종래의 점화시기 제어중 노크 슬로우 코렉션(Knock Slow Correction)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재3도는 종래의 노크 발생시 점화시기의 처음 점화시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종래에는 노크가 일어나게 되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점화시기 보다 5도정도 빠르게 점화를 한다.
또한, 이와 병행하여 전체적으로 1도정도 낮게 점화를 하게 된다.
그리고, 점화시기의 시작부분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노크 발생지점의 약 2도 정도 앞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노크 제어방법에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크 슬로우 코렉션 방법은 점화시기 전 영역에 걸쳐서 반영되고 있으며, 실제로 노크가 많이 발생하는 부분은 엔진의 고 알피엠 부분이나 고부하 영역으로 차이가 있다.
그래서, 종래의 노크 슬로우 코렉션 방법은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엔진의 점화시 노크가 일어날 경우에, 노크 슬로우 코렉션의 경우 엔진의 알피엠과 공기량에 따른 부하에 따라 구간을 정하여 노크를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노크를 제어할 수 있는 노크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이 발명의 구성은,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한 엔진 회전수 감지수단과;
엔진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감지하기 위한 공기량 감지수단과;
노크가 있는가를 감지하기 위한 노크 감지수단과;
상기 엔진 회전수 감지수단과 공기량 감지수단과 노크 감지수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노크 패스트 코렉션을 행하고, 엔진 회전수와 공기량에 따라 구간별로 정해 놓은 데이터에 따라 노크 슬로우 코렉션을 하여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점화를 하기 위한 점화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진다.
상기한 공기량 감지수단은 공기 흐름 센서, 스로틀 센서, 서지부압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노크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엔진 회전수와 부하를 일정 구간으로 나누고, 노크가 발생되었으면, 노크 발생지점이 엔진 회전수와 부하에 따른 구간중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노크 발생지점이 속하는 영역의 정해놓은 데이터로 노크 제어를 하는 단계와;
다시 노크가 발생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와;
다시 노크가 발생되었으면, 노크 발생지점이 바로 전의 노크 발생지점과 같은 영역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노크 발생지점이 바로 전의 노크 발생지점과 같은 영역에 속하면, 현재의 점화시기 제어에서 노크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와;
노크 발생지점이 바로 전의 노크 발생지점과 같은 영역에 속하지 않으면, 그 영역에 정해 놓은 데이터로 노크 제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크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제5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크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제4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크 제어장치의 구성은,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한 크랭크각 센서(1)와;
엔진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감지하기 위한 스로틀 포지션 센서(2)와;
노크가 있는가를 감지차기 위한 노크 감지센서(3)와;
상기 크랭크각 센서(1)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2)와 노크 센서(3)의 출력을입력받아 노크 패스트 코렉션을 행하고, 엔진 회전수와 공기량에 따라 구간별로 정해 놓은 데이터에 따라 노크 슬로우 코렉션을 하여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엔진제어유닛(4)과;
상기 엔진제어유닛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점화를 하기 위한 점화장치(5)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크 제어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크 제어장치의 동작이 시작된다.
동작이 시작되면, 엔진제어유닛(4)은 노크 센서(3)로부터 노크가 발생되었는가를 감지한다(S1).
엔진제어유닛(4)은 노크가 발생되었으면, 크랭크각 센서(1)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2)의 출력을 입력받아 노크 발생지점이 엔진 회전수와 부하에 따른 구간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를 알아낸다(S2).
다음, 엔진제어유닛(4)은 노크 발생지점이 속하는 영역의 정해놓은 데이터에서 노크 제어를 한뒤(S3), 점화장치(5)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점화를 한다.
상기한 과정(S3)에서 정해놓은 데이터라 함은 엔진제어유닛(4)의 메모리에 미리 부하와 엔진 회전수에 따라 영역을 구분하여 노크 제어를 맵(Map)화 시켜 놓은 것을 말한다.
또한, 엔진의 점화시 노크가 일어날 경우에, 노크 슬로우 코렉션의 경우에만엔진의 알피엠과 공기량에 따른 부하에 따라 구간을 정하여 노크를 제어하며, 노크 패스트 코렉션은 종래와 동일하게 수행한다.
다음, 엔진제어유닛(4)은 또 다시 노크 센서(3)를 통해 노크가 발생되었는지 감지한다(S3).
노크가 발생되었으면, 엔진제어유닛(4)은 노크 발생지점이 바로 전의 노크 발생지점과 같은 영역에 속하는지 비교한다(S4).
노크 발생지점이 바로 전의 노크 발생지점과 같은 영역에 속하면, 엔진제어유닛(4)은 현재의 점화시기 제어에서 노크 제어를 실시하여(S6) 점화장치(5)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노크 발생지점이 바로 전의 노크발생지점과 같은 영역에 속하지 않으면, 그 영역에 정해 놓은 데이터로 노크 제어를 하여 점화장치(5)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엔진의 점화시 노크가 일어날 경우에, 노크 슬로우 코렉션의 경우 엔진의 알피엠과 공기량에 따른 부하에 따라 구간을 정하여 노크를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노크를 제어할 수 있는 노크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점화시기 제어중 노크 패스트 코렉션(Knock Fast Correction)을 나타낸 그래프.
제2도는 종래의 점화시기 제어중 노크 슬로우 코렉션(Knock Slow Correction)을 나타낸 그래프.
제3도는 종래의 노크 발생시 점화시기의 처음 점화시기를 나타낸 그래프.
제4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크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
제5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크 제어방법의 흐름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크랭크각 센서 2: 스로틀 포지션 센서 3: 노크 센서
4: 엔진제어유닛 5: 점화장치

Claims (1)

  1. 노크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엔진 회전수와 부하를 일정 구간으로 나누고, 노크가 발생되었으면, 노크 발생지점이 엔진 회전수와 부하에 따른 구간중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노크 발생지점이 속하는 영역의 정해놓은 데이터로 노크 제어를 하는 단계와;
    다시 노크가 발생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와;
    다시 노크가 발생되었으면, 노크 발생지점이 바로 전의 노크 발생지점과 같은 영역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노크 발생지점이 바로 전의 노크 발생지점과 같은 영역에 속하면, 현재의 점화시기 제어에서 노크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와;
    노크 발생지점이 바로 전의 노크 발생지점과 같은 영역에 속하지 않으면, 그 영역에 정해 놓은 데이터로 노크 제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 제어방법.
KR1019950058624A 1995-12-27 1995-12-27 노크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20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8624A KR100320536B1 (ko) 1995-12-27 1995-12-27 노크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8624A KR100320536B1 (ko) 1995-12-27 1995-12-27 노크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942A KR970044942A (ko) 1997-07-26
KR100320536B1 true KR100320536B1 (ko) 2002-04-22

Family

ID=6661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86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0536B1 (ko) 1995-12-27 1995-12-27 노크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5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942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7790A (en) Misfiring detecting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281624B2 (ja) イオン電流による内燃機関のノック検出方法
JPS61237884A (ja) 内燃機関用ノツキング制御装置
KR100320536B1 (ko) 노크제어방법
JPH0235154B2 (ko)
JP3546565B2 (ja)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JP2934253B2 (ja) 内燃機関のノツキング制御装置
JPH01178773A (ja) ガソリンエンジンのノツキング検出方法
JPS63295864A (ja) 内燃機関用ノッキング検出装置
JPH08177697A (ja) 内燃機関のノッキング制御装置
JPH0932623A (ja) 内燃機関のノック判定装置
KR970044950A (ko) 냉각수온과 흡기온에 의한 노크 보정방법 및 그 장치
JP3234419B2 (ja) リーン限界検出方法
JPH0765530B2 (ja) 内燃機関制御に過渡的に作用する制御補正量の修正装置
JPS6026171A (ja) エンジンの点火時期制御装置
JP3104526B2 (ja)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5141334A (ja) 内燃機関のノツク制御装置
KR100471200B1 (ko) 노킹방지를위한엔진의제어방법
KR930003081B1 (ko) 내연기관의 점화시기 제어방법
JPH077580Y2 (ja)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KR100302790B1 (ko) 점화시기지연중재가속시점화시기제어장치및그방법
JPS6361504B2 (ko)
JPH0366511B2 (ko)
JP3289332B2 (ja) 内燃機関用ノック制御装置
JPS6329060A (ja)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