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18421B1 - 단말기간에구별이용이하도록하기위한링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간에구별이용이하도록하기위한링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421B1
KR100318421B1 KR1019980039714A KR19980039714A KR100318421B1 KR 100318421 B1 KR100318421 B1 KR 100318421B1 KR 1019980039714 A KR1019980039714 A KR 1019980039714A KR 19980039714 A KR19980039714 A KR 19980039714A KR 100318421 B1 KR100318421 B1 KR 100318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ser
voice
vocoder
mus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901A (ko
Inventor
박순
임슬기
손상목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19980039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421B1/ko
Publication of KR20000020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42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 등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단말기에 입력시키고, 보코더를 통해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메모리에 파라미터만을 저장한 후에, 인입호가 발생할 경우에 보코더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생성함으로써,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단말기에 적용되는 링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을 입력받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기가 보코더를 통해 상기 음향에 대한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특징 파라미터를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인입호 발생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인입호 발생시에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특징 파라미터를 읽어와 상기 보코더를 통해 디코딩한 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을 생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 링서비스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Method of ring service having personalized ringer}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 등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단말기가 입력받아, 인입호(Incoming Call) 발생시에 단말기마다 입력된 음성이나 음악소리가 울리도록 하여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확장으로 이동통신기술과 그에 따른 서비스는 현대인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아주 중요한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용자들의 욕구는 날로 팽배해져 가고 있으며, 이를 만족 시켜줄 만한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이 아주 중요한 사항이 되었다.
종래에는, 지하철이나 공공장소 등과 같이 인구 밀집지역에서 이동단말기의 벨이 울릴 경우에 자신의 이동단말기인지를 쉽게 알 수 없었고, 사무실 등과 같이 밀집된 지역에서 유선전화기의 벨이 울릴 경우에 자신의 전화기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공공장소나 밀집지역 등에서 단말기의 벨이 울릴 경우에 자신의 단말기임을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서비스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의 링생성(Ring Generation) 회로에 의해서 벨소리를 만들어 내는 링서비스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전화 단말기가 유휴상태(Idle State)에서, 일정 시간 주기적으로 자신에 해당하는 메시지가 있는지 또는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슬롯방식 페이징(Slotted-Paging)을 확인한다. 이때,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가 수신되면, 수신된 페이징 메시지의 헤더를 확인한 후에, 뒷자리에 같이 패킹(Packing)된 데이터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자신에 해당하는 메시지이면, 단말기가 페이징 응답 수신 상태(Page Response Serve State)로 천이되고, 전송된 메시지가 자신에게 해당하는 메시지라는 현재의 상황을 응답(Ack) 메시지에 실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이 단말기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인식하게 되면,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이용하여 채널 할당 메시지(Channel Assign Message)를 전송하여 어떤 주파수 할당(FA : Frequency Assignment)을 사용해야 하는지 또는 통화가능한 왈시(Walch)가 어떤 것인지에 해당하는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이용하여 정보 및 경보 메시지(Alert with Information Message)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어서, 단말기가 정보 및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링생성 회로에 의해서 벨소리를 만들어 내게 된다.
여기서, 링생성(Ringer Generation) 회로는 미리 조합된 듀티 사이클(Duty Cycle)과 2개의 카운터(Counter)값에 의해서 발생되는 펄스들, 그리고 클럭(Clock)의 조합에 의해서 링거의 출력음을 발생시킨다. 즉, 클럭이 카운터의 입력으로 들어가서 일정길이의 톤(Tones)을 만들어 내어 벨소리를 만들어 내게 된다.
예를 들면, 링생성 회로는 벨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이미 프로그램되어 있는 시간 간격으로 톤을 발생시켜서 벨소리를 만들어 내게 된다. 또한, 링거(Ringer)의 출력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필요하게 되는데, 간단한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 논리(TTL : Transistor-Transitor Logic)회로를 이용하여 TTL 회로의 출력단에 사운드 트랜스듀서(Sound Transducer)를 부하로 연결하여 실제 단말기에서 나오는 소리가 들리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기지국으로부터 인입호가 단말기에 전달되면, 단말기가 링거를 통해서 벨을 울려준다. 이때, 링거는 이미 프로그램된 링생성 회로에 의해서 벨소리를 만들어낸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링생성 회로에 의해서 벨소리를 만들어 내는 방법은, 생성해낼 수 있는 벨소리에 한계가 있고 또한 같은 종류의 단말기가 보통 벨소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공공장소 등과 같은 밀집지역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 착신신호(즉, 벨소리)를 상대방의 단말기 착신신호와 쉽게 구별할 수 없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 등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단말기에 입력시키고, 보코더를 통해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메모리에 파라미터만을 저장한 후에, 인입호가 발생할 경우에 보코더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생성함으로써,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단말기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링서비스 방법중 서비스 입력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링서비스 방법중 단말기에서 벨소리로 음성/음악을 지정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링서비스 방법중 단말기에서 인입호 발생시 벨소리가 울리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어부(Micro-processor) 12 : RAM, ROM, EEPROM, LCD, 주변장치
13 : 키패스(Keypad) 14 : 링거(Ringer)
15 : 보코더(VOCODER) 16 : 코덱(CODEC)
17 : 스피커(Speaker) 18 : 보조 코덱(Auxiliary CODEC)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적용되는 링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을 입력받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기가 보코더를 통해 상기 음향에 대한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특징 파라미터를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인입호 발생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인입호 발생시에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특징 파라미터를 읽어와 상기 보코더를 통해 디코딩한 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을 생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한 링서비스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상기 단말기에,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을 입력받는 제 1 기능; 상기 단말기가 보코더를 통해 상기 음향에 대한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특징 파라미터를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단말기가 인입호 발생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인입호 발생시에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특징 파라미터를 읽어와 상기 보코더를 통해 디코딩한 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을 생성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합된 특정 주파수를 사용해서 간단한 비프 톤(Beep Tones)을 만들어낸 후 벨소리로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단말기에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없이 사용자의 음성이나 특정 음악을 코덱(CODEC)을 통하여 입력한 후 보코더(VOCODER)를 통해서 얻어낸 특징 파라미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입력이 완료된 후에 단말기는 인입호(Incoming Call)가 발생하는지 일정 간격으로 조사하여 자신에 해당하는 Incoming Call이 확인되면 사전에 입력시킨 음성이나 음악을 합성하여 합성파형을 최대값으로 규준화(Normalization)하여 증폭한 다음 스피커를 이용하여 벨소리로 출력한다. 이때, 음악에 대한 특징 파라미터는 단말기내에 있는 코덱(CODEC)을 이용한다. 즉,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를 이용하여 음악의 특징 파라미터를 뽑아낸다. 예를 들면, LSP(Line Spectrum Pairs), Gain 등을 이용하여 저장하였다가 EVRC 디코더(Decoder)를 이용하여 다시 합성하여 재생해 낼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단말기의 구성 예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단말기는, 그 구현에 있어서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기존의 이동전화 단말기에 별다른 구조 변경없이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구조를 이용할 수 있는데, 제어부(Micro-Processor)(11), 메모리(램(RAM), 롬(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EEPROM : Electronic Erasable PROM)), 화면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및 기타 주변장치(OtherPeripherals)(12), 키패드(Keypad)(13), 링거(14), 보코더(VOCODER : VOice COder decoDER)(15), 코덱(CODEC)(16), 스피커(Speaker)(17), 마이크(MIC)(18) 등과 같은 기존 이동단말기에 있는 것들을 이용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단말기의 구성 및 그 동작과정은 당해 분야에서 이미 주지된 기술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링생성 회로에 의해서 사용자만의 벨소리를 만들어 내어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한 링서비스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동단말기에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입력시켜 기존 링거(14)의 벨소리 대신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는 키패드(13)상에서 모드 선택(Mode Selection) 버튼을 선택하여 원하는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마이크(18)를 통해 입력시킨다. 이후에, 입력된 음성이나 음악소리는 단말기내의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보코더(15)에 입력되어 보코더(15)에서 특징 파라미터만을 추출하여 메모리(12)에 저장된다. 즉, 음성이나 음악 데이터 저장시에, PCM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보코더(15)에서 에러정정코드가 첨가되지 않은 특징 파라미터만가 추출되어 메모리(12)에 저장된다.
여기서, 음악에 대한 특징 파라미터는 단말기내에 있는 코덱(16)을 이용한다. 즉, EVRC를 이용하여 음악의 특징 파라미터를 뽑아낸다. 예를 들면, LSP, Gain 등을 이용하여 저장하였다가 EVRC Decoder를 이용하여 다시 합성하여 재생해 낼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파라미터를 뽑아내는 과정은 주지된 기술을 이용한다.
한편, 에러정정코드가 삽입되지 않고 양자화되지 않은 순수한 파라미터 값이보코더(15)를 통해 메모리(12)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비록 저장되는 값이 특정 파라미터의 바이너리(Binary)값이 저장되므로 메모리(12)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지만, 벨소리를 합성해내는데 시간이 적게 걸리고, 또한 양자화된 값이 아니므로 합성음질이 향상된다.
만약, 인입호(Incoming Call)가 발생되면, 메모리(12)에 저장된 파라미터값을 읽어와 보코더(15)를 통해 합성해내어 사용자가 원하는 벨소리를 스피커(17)를 통해 울려준다.
결과적으로, 제어부(11)는 기존에 사용하던 링거(14)의 벨소리와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울려주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이 변경되어야 할 것은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이나 음악소리에 대한 파라미터의 저장을 위해 메모리(12)의 할당과 벨소리를 울려주기 위한 제어부(11)의 절차들이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음성이나 음악 데이터를 플래쉬-롬(Flash ROM)(12)에 저장하여 인입호 발생시 합성하여 벨소리를 들려준다. 또한, 음성이나 음악의 특징 파라미터를 플래쉬-롬(12)에 저장한 후에, 단말기의 전원을 켤 때 EEPROM(12)이나 외부 메모리(RAM)(12)에 합성된 음성이나 음악을 저장하여 벨이 울리면 출력한다. 즉, 매번 파라미터를 메모리(12)로부터 불러와서 합성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기의 전원을 켤때에 한 번 합성해서 메모리(12)에 저장시킨 후에, 호가 발생하면 저장된 합성음을 들려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스피커(17)를 이용하지 않고 기존의 링거(14)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울려 주려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2개의 톤을 다룰 수 있는 링거(14) 대신에 여러 주파수를 다룰 수 있는 광대역 링거(Wide Band Ringer)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링서비스 방법중 서비스 입력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링서비스 방법은 단말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입력시키고, 보코더(15)를 통해서 파라미터를 얻어내어 메모리(12)에 파라미터만을 저장한다. 이때, 만약 단말기에 인입호가 발생할 경우에 다시 보코더(15)를 통해서 원하는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생성한다.
따라서, 단말기에 음성이나 음악소리의 특징 파라미터만을 저장하고 다시 생성해내는 분야에 대한 기초 기술을 이용해서 단말기에 음성인식, 합성 등 여러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중 서비스 입력 과정은, 먼저 단말기 전원이 켜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입자 서비스 버튼(임의적으로 결정할 수 있음)을 누르고 단말기로부터의 비밀번호 입력 메시지에 따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201), 단말기에서 공지된 소정의 인증 과정을 거쳐 인증 결과에 따른 사용자가 원하는 벨소리를 입력하라는 안내글(즉, 원하는 벨소리 입력 메시지)을 단말기의 화면표시장치(12)에 표시한다(202). 즉, 인증에 성공하면 벨소리 입력 메시지를 단말기의 화면표시장치(12)에 표시하고, 인증에 실패하면 접속 실패 신호를화면표시장치(12)에 표시하여 재시도하도록 한다.
이후, 안내글에 따라 사용자가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녹음한 후에(203), 끝을 알리는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녹음은 끝을 맺는다(204).
다음으로, 녹음이 끝이 나면, 단말기가 녹음된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자동적으로 사용자에게 송출하는데, 이때 사용자는 녹음한 음성 또는 음악소리가 만족스러운지를 검사하여(205) 녹음한 내용이 마음에 들면 종료 버튼을 누르고(206), 그렇지 않으면 원하는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재녹음한다(203).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링서비스 방법중 단말기에서 벨소리로 음성/음악을 지정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중 단말기에서 벨소리로 음성 또는 음악소리를 지정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벨소리를 변경하고 싶으면 단말기의 모드(Mode) 선택 버튼을 통해서 변경이 가능한데, 먼저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 버튼이 선택되었는지를 분석한다(301).
분석결과,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 버튼이 선택되면, 벨소리의 변경을 원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코덱(16)을 이용해 보코더(15)에 전달한다(302).
이후, 보코더(15)에서 음성이나 음악소리의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한 후에(303), 추출된 벨소리에 대한 특징 파라미터를 단말기에 존재하는 플래쉬-롬(12)에 저장한다(304).
분석결과,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 버튼이 입력되지 않으면(즉, 벨소리를 입력하지 않았거나 새로운 벨소리를 원하지 않을 경우), 기존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305) 메모리(1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성이나 음악을 출력한다.
여기서, 벨소리의 특징 파라미터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쉬-롬(12)의 주소는 고정되어 있으며, 새롭게 데이터를 저장할 경우에는 반드시 해당 번지의 첫 번째 주소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벨소리의 특징 파라미터는 에러정정코드가 첨가되지 않은 양자화된 비트스트림(Bit Stream)의 형태로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보코더(15)의 전송률에 따라 저장되는 비트스트림의 크기도 결정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링서비스 방법중 단말기에서 인입호 발생시 벨소리가 울리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중 단말기에서 인입호 발생시 벨소리가 울리는 과정은,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이나 음악소리가 단말기의 벨소리로 입력되면, 먼저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인입호(Incoming Call)가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401) 인입호가 포착되었는지를 검사한다(402).
검사결과, 기지국에서 전송한 인입호가 단말기에 포착되면, 단말기의 제어부(11)가 플래쉬-롬(1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가 입력시킨 음성이나 음악소리에 해당하는 특징 파라미터를 읽어온다(403).
이후, 보코더(15)에서 디코딩(Decoding) 작업을 수행하고 합성된 벨소리에 대하여 진폭값을 최대값으로 규준화(Normalization)시킨 후에(404), 스피커(17)를통해 벨소리를 울려준다(405). 즉, 매번 인입호가 발생할 때마다 플래쉬-롬(12)에 저장된 파라미터를 읽어와 보코더(15)에서 디코딩 작업을 수행하여 스피커(17)를 통해 벨소리를 울려준다.
다음으로, 제어부(11)에서 단말기의 상태가 훅-오프(Hook-off) 상태인지를 분석한다(406).
분석결과, 단말기가 훅-오프 상태이면, 벨소리는 종료되고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며 보코더(15)의 디코딩 절차를 원래 상태로 돌려 놓게된다(407). 즉, 합성된 벨소리의 진폭값을 최대로 규준화시키는 과정을 바이패스(Bypass)시켜 단말기의 원래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제어부(11)의 역할은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램, 롬, 전기적 소거가능 PROM, 주변 장치(12) 등 대부분의 동작을 제어한다.
분석결과, 단말기가 훅-온(Hook-on) 상태이면, 단말기의 제어부(11)가 플래쉬-롬(1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가 입력시킨 음성이나 음악소리에 해당하는 특징 파라미터를 읽어와(403) 보코더(15)에서 디코딩(Decoding) 작업을 수행하고 합성된 벨소리에 대하여 진폭값을 최대값으로 규준화(Normalization)시킨 후에(404), 스피커(17)를 통해 벨소리를 계속해서 울려준다(405).
본 발명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는 스피커(17)를 이용할 때 벨소리가 너무 작아서 사용자가 벨소리를 느끼지 못할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보코더(15)내에서 벨소리를 위해 입력된 음성이나 음악소리에 대하여 합성시 소프트웨어적으로 소리의 세기를 증가시켜 해결할 수 있다. 즉, 벨소리의 합성시에는 소리의 진폭을 최대값으로 규준화시킨 후에(404) 벨소리를 출력하고(405), 만일 훅-오프된 후에 상대방과의 통화가 시작되면 보코더(15)내에서 합성 파형을 최대값으로 만들어 주는 과정을 바이패스시켜서 원래의 합성절차에 따라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합성함으로써(407), 소리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조합된 특정 주파수를 사용해서 간단한 비프 톤(Beep Tones)을 생성하고, 벨소리로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단말기에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없이 사용자의 음성이나 특정 음악을 코덱(16)을 통하여 입력한 후에 보코더(15)를 통해서 얻어낸 특징 파라미터를 메모리(12)에 저장한다. 입력이 완료된 후에, 단말기는 인입호가 발생하는지를 일정간격으로 조사하여 자신에 해당하는 인입호가 확인되면 사전에 입력시킨 음성이나 음악을 합성하여 합성파형을 최대값으로 규준화하여 증폭한 다음 스피커(17)를 이용하여 벨소리로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단말기는 이동전화 단말기 뿐만아니라, 유선 전화기 등과 같은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링생성 회로에 의해서 벨소리를 만들어 내는 방법은, 벨소리의 세기를 가변적으로 생성할 수 있고, 공공장소 등과 같은 밀집지역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 착신신호(즉, 벨소리)를 상대방의 단말기 착신신호와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 인입호가 발생했을 때, 사용자가 입력시킨 음성이나 음악이 벨소리로 출력되게 함으로써 이동통신 시장의 확대와 사용자의 증가에 따른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새로운 하드웨어의 부착없이 제어부(11)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Up-grade)함으로써 새로운 서비스 개발에 따른 지출을 막을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장점을 갖게 되어 가격 경쟁력을 갖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새로운 서비스를 통해서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고, 통신시장 개방에 따른 단말기 시장의 대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벨소리를 사전에 단말기에 입력함으로써 인입호 발생시마다 자신이 입력한 음성이나 음악소리를 울리게 할 수 있어 공공장소 등과 같이 밀집지역에서 단말기의 벨이 울릴 때 타 단말기와 쉽게 구별 가능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전화벨 소리를 울리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 통신시장의 확장과 사용자의 다양한 서비스 요구에 부응하게 됨으로써 대외적으로 통신시장 개방에 따른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단말기에 적용되는 링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을 입력받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기가 보코더를 통해 상기 음향에 대한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특징 파라미터를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인입호 발생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인입호 발생시에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특징 파라미터를 읽어와 상기 보코더를 통해 디코딩한 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을 생성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전원이 온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가입자 서비스 선택모드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제 4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공지된 소정의 인증 과정을 거쳐 인증 결과에 따른 사용자가 원하는 벨소리를 입력하라는 안내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송출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음성 또는 음악을 입력받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또는 음악을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송출하여 사용자로부터 만족도에 따른 결과를 입력받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링서비스 모드 선택 버튼이 선택되었는지를 분석하는 제 8 단계;
    상기 제 8 단계의 분석결과,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 버튼이 선택되면, 벨소리의 변경을 원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 또는 음악을 코덱을 이용해 상기 보코더에 전달하는 제 9 단계;
    상기 보코더에서 음성 또는 음악의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한 후에, 추출된 특징 파라미터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제 8 단계의 분석결과,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 버튼이 입력되지 않으면, 기존의 파라미터를 이용하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인입호가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인입호가 포착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 12 단계;
    상기 제 12 단계의 검사결과, 인입호가 상기 단말기에 포착되면,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 또는 음악에 해당하는 특징 파라미터를 읽어와, 상기 보코더에서 디코딩 작업을 수행하여 합성된 음성 또는 음악에 대해 진폭값을 최대값으로 규준화(Normalization)시켜 출력하는 제 13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단말기의 상태를 분석하는 제 14 단계; 및
    상기 제 14 단계의 분석결과,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훅-오프 상태이면 음성 또는 음악을 종료시키고 상기 보코더의 디코딩 절차를 이전 상태로 유지하며, 훅-온 상태이면 상기 제 13 단계로 넘어가는 제 15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단계 검사결과, 인입호가 상기 단말기에 포착되면,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 또는 음악에 해당하는 특징 파라미터를 매번 불러와서 합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단말기의 전원을 켤 때 한 번 합성해서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한 후에 저장된 음성 또는 음악에 대해 진폭값을 최대값으로 규준화(Normalization)시켜 출력하는 제 1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특징 파라미터는,
    실질적으로, 에러정정코드가 첨가되지 않은 양자화된 파라미터와, 에러정정코드가 삽입되지 않고 양자화되지 않은 순수한 파라미터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 단계의 출력 과정은,
    스피커 및 여러 주파수를 다룰 수 있는 광대역 링거(Wide Band Ringer)중 하나를 사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유선전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링서비스 방법.
  10. 단말기간에 구별이 용이한 링서비스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상기 단말기에,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을 입력받는 제 1 기능;
    상기 단말기가 보코더를 통해 상기 음향에 대한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특징 파라미터를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단말기가 인입호 발생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인입호 발생시에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특징 파라미터를 읽어와 상기 보코더를 통해 디코딩한 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을 생성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80039714A 1998-09-24 1998-09-24 단말기간에구별이용이하도록하기위한링서비스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318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714A KR100318421B1 (ko) 1998-09-24 1998-09-24 단말기간에구별이용이하도록하기위한링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714A KR100318421B1 (ko) 1998-09-24 1998-09-24 단말기간에구별이용이하도록하기위한링서비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901A KR20000020901A (ko) 2000-04-15
KR100318421B1 true KR100318421B1 (ko) 2002-02-19

Family

ID=1955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714A Expired - Lifetime KR100318421B1 (ko) 1998-09-24 1998-09-24 단말기간에구별이용이하도록하기위한링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4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012A (ko) * 2001-04-12 2002-10-19 유엔젤주식회사 단말기 링 지정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012A (ko) * 2001-04-12 2002-10-19 유엔젤주식회사 단말기 링 지정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901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6462C (en) Cellular telephone with voice dialing function
KR920001542B1 (ko) 이동 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및 장치
KR101367722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 서비스 방법
KR20020065645A (ko) 휴대 전화
KR100318421B1 (ko) 단말기간에구별이용이하도록하기위한링서비스방법
EP128767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signal based answer call message generation
JP4100088B2 (ja) 通信端末、着信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80146197A1 (en) Method and device for emitting an audible alert
JP3293457B2 (ja) 移動無線電話機
JP2007259427A (ja) 携帯端末装置
KR100798408B1 (ko) Tts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10050930A (ko)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을 통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방법
KR100689464B1 (ko) 벨소리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10056430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50775A (ko) 휴대폰의 버튼음 및 메뉴음 음성출력장치
KR2001003803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음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6000647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녹음 음성 벨소리 변환장치 및 방법
JP2001223823A (ja) 移動体通信端末
KR100294463B1 (ko) 호착신음녹음이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및호착신음지정방법
JP2005222410A (ja) 車載用ハンドフリーメール装置
JPH1188211A (ja) 携帯無線装置及びその着信音作成方法
JP3578132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60580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소리음 제어방법
KR20040061788A (ko)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모닝콜 방법
JP5102231B2 (ja) 音声記録装置及び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9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9032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