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1542B1 - 이동 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542B1
KR920001542B1 KR1019890002473A KR890002473A KR920001542B1 KR 920001542 B1 KR920001542 B1 KR 920001542B1 KR 1019890002473 A KR1019890002473 A KR 1019890002473A KR 890002473 A KR890002473 A KR 890002473A KR 920001542 B1 KR920001542 B1 KR 920001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essage
signal
mode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733A (ko
Inventor
강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02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542B1/ko
Priority to AU34763/89A priority patent/AU606520B2/en
Priority to US07/356,699 priority patent/US5058150A/en
Publication of KR900013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542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04M1/651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with speech synthe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동 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부재중 안내부(205)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제4도 제4a도-제4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도의 구체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모드 설정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출력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6도의 메세지모드 1-3 송출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6도의 메세지녹음 구체흐름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처리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 무선전화기(이하 “카폰”이라 칭함)에 있어서 부재중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폰 사용자가 차량에서 부재시 상대방으로부터 걸려오는 전화요구에 대해 자동으로 상대방에게 부재에 따른 메세지를 음성으로 전송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입력된 상대방의 전화번호 또는 음성정보를 저장하여, 후에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이동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재중 사용자의 안내를 위한 장치는 유선 전화기에서 자동응답 전화기(Auto Answering Phone)가 있다. 상기 자동응답 전화기는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 외출시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으로 전하고자 하는 내용을 직접 녹음하여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부재시 외부로부터 걸려온 호출자의 용건을 자동적으로 녹음할 수 있는 자동응답기능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 수신되어 녹음된 메시지를 원격지에서 사용자가 그 내용을 들어볼 수 있도록하는 원격제어기능이 있고, 또한 외출시 가족에게 메세지를 남길때 사용하는 메시지메모 기능과, 한개의 버튼으로 전화를 할수 있는 자동 다이얼기능, 링 음량조절 기능, 통화보류 기능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대부분은 기능선택 및 입력되는 링신호를 감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카세트 데크를 이용하고 있으며, 카폰에서는 자동응답기능인 부재중 안내기능이 없었다. 예를들어 상대방이 일반전화기나 카폰을 통해 전화를 걸었을 경우 호출을 당한측 즉, 카폰사용자가 부재중이면 호출한 가입자의 통화는 물론 왜 전화를 받지 않는지 알 수 없었다. 그리고 호출당한측 카폰사용자도 부재시에 어느 누구의 호출이 있었는지 전혀 알수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종래 방법으로 제1도와 같이 구성한 회로를 사용한 예가 있다.
제1도와 같은 구성의 카폰에 있어서 부재중 안내기능은 무선수신복조기(7)로 카폰을 호출하는 디지트 신호가 광대역 데이타[(Wide band data(이하 “WBD”라 칭함)]신호로 입력되면 복조되어 WBD모뎀(6)으로 입력된다. 상기 WBD모뎀(6)은 상기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지탈화한 후 카폰제어장치(5)에 입력한다. 이때 카폰 제어장치(5)는 상기 디지탈화된 디지트 데이타가 해당 카폰에 맞는 호출번호인지 체킹을 하여 맞을때 카폰사용자가 받을수 있도록 링을 울려준다.
물론, 카폰제어장치(5)는 상기 WBD모뎀(6)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받아 처리할시 메모리(1)로부터 로딩된 각종 프로그램 데이타에 따라 처리되며, 상기 처리결과를 메모리(1)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카폰제어장치(5)는 필요시 상기 처리결과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8)에 표시시킬수도 있다. 상기 호출에 따라 상기 WBD모뎀(6)를 통해 출력된 호출신호를 받은 카폰제어장치(5)는 소정기간 동안 링신호를 울려주도록 제어한후 여기서 호출당한측의 카폰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을시 카폰제어장치(5)가 메모리(1)를 제어하여 부재중에 따른 메세지 데이타를 읽어본다.
상기 메모리(1)에서 리드된 데이타로부터 부재중이라고 알리는 메세지 데이타는 음성합성회로(2)에 입력된다. 상기 음성합성회로(2)에서는 통화할 수 있는 음성 아나로그 신호로 합성되어 저역통과여파기(3)에 입력한다.
상기 저역통과여파기(3)에서는 고주파잡음이 제거된 후 무선송신변조기(4)에 입력한다. 상기 무선송신 변조기(4)는 호출한 상대편 카폰 및 일반전화기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변조하여 송출한다.
예를들어 이때 송출되는 음성메세지는 하기와 같다.
“안녕하세요, * * * - * * * *번입니다. 지금 부재중이 오니 긴급사항이 있으실 경우 * * * - * * * *번으로 걸어주시면 통화하실 수 있읍니다. 감사합니다.”하는 메세지를 송출할 수 있고, 한번이상 안내방송을 들은 다음에 호출한 상대방이 자기 전화번호와 *키를 누른다. 이때 상기 기술한 같은 방법으로 무선수신 복조기(7)에서 복조되어 WBD모뎀(6)에서 디코딩된후 카폰제어장치(5)에 입력되면 상기 카폰제어장치(5)는 메모리(1)를 제어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인 카폰의 메모리(1)에 기억시킨다. 즉, 호출을 시도한 카폰 및 일반전화기의 전화번호가 메모리(1)에 남게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는 음성정보를 상대방에게 송출하는 기능과 상기 호출을 시도한 상대방의 카폰 및 일반전화 가입자의 전화번호만을 숫자상태로 남길 수 있었다. 즉 종래는 어디서 전화 왔다는 것만 알수 있지, 누구한테서 어떤 내용의 전화가 왔는지 그 이유를 전혀 알수 없었다.
한편 자동응답전화기에서의 응답자 부재시 상대방의 호출에 따른 상대방의 메세지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있었으나 여기서는 주로 기계식 녹음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부재시 상대방의 음성을 녹음시켜 필요시 다시 재생시켜 청취하나, 이러한 기계식 녹음 장치를 카폰에 내장시켜 사용할 경우 기계적인 진동에 의해 수명이 떨어지고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폰에서 부재중 상대방 호출자로부터의 입력되는 음성메세지를 남길 수 있으며 필요시 상기 남긴 메세지를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방의 음성메세지 저장용 기록매체를 반도체 집적회로를 사용하여 자동차의 이동에 따른 기계적인 진동에도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안테나에 접속되며 송신과 수신을 공통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송신할때에는 송신출력으로부터 수신기를 보호하고 수신할때에는 수신신호를 수신기에 공급하도록 하는 듀플렉셔와, 상기 듀플렉셔에 연결되며 송신할 신호를 입력하여 RF신호로 송출하는 무선송신기와, 상기 듀플렉셔에 연결되며 RF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와, 상기 무선수신기와 연결되며 수신되는 신호를 음성신호를 ADM(Adaptive Delta Modulation)방식으로 분석 및 합성하는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와, 상기 무선수신기와 연결되며 수신되는 신호를 이중 복합주파수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하는 WBD모뎀과, 상기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의 출력음성신호와 상기 무선수신기의 수신신호를 합성하여 수신오디오 회로에 입력하는 제1가산기와, 안내방송용 음성메세지를 내장하며 제어선택에 따라 독출되어 합성하여 응답음성신호로 발생하는 음성합성회로부와, 상기 WBD모뎀의 디지탈화된 디코딩신호를 받아 설정된 모드에 의해 상기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에서 수신 음성 신호를 음성분석 및 합성에 따른 제어를 하며 상기 음성합성 회로부를 제어하여 해당 안내 메세지의 음성합성하여 출력토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음성합성회로의 출력음성 안내메세지와 송신오디오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통화용 음성신호를 가산하여 상기 무선송신기로 출력하는 제2가산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로서, 하나의 안테나(ANT)에 접속되며, 송신과 수신을 공통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송신할때에는 송신출력으로부터 수신기를 보호하고 수신할때에는 수신신호를 수신기에 공급하도록 하는 듀플렉셔(201)와, 상기 듀플렉셔(201)의 송신단(Tx)에 연결되며 상기 송신할 신호를 입력하여 RF신호로 송출하는 무선송신기(207)와, 상기 듀플렉셔(201)의 수신단(Rx)에 연결되며 RF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202)와, 상기 무선수신기(202)와 연결되며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음성신호를 ADM(Adaptive Delta Modulation)방식으로 분석 및 합성하는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221)와, 상기 무선수신기(202)와 연결되며 수신되는 10Kbps의 비트레이트를 갖는 광대역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하는 WBD모뎀(222)과, 상기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221)의 출력음성신호와 상기 무선수신기(202)의 수신 신호를 합성하여 수신오디오회로(204)에 입력하는 제1가산기(203)와, 안내방송용 음성메세지를 내장하며 제어선택에 따라 독출되어 합성하여 응답음성신호를 발생하는 음성합성회로부(223)와, 상기 WBD모뎀(222)의 디지탈화된 디코딩신호를 받아 소정 설정된 모드에 의해 상기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221)의 수신 음성 신호에 대해 음성분석 및 합성에 따른 제어를 하며 상기 음성합성회로부(223)를 제어하여 해당 안내 메세지의 음성 합성토록 제어하는 제어장치(206)와, 상기 음성합성회로부(223)에서 출력되는 음성 안내메세지와 송신오디오회로(209)로부터 출력되는 통화용 음성신호를 가산하여 상기 무선송신기(207)로 출력하는 제2가산기(208)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206)는 마이콤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되어 있으면서 상기 구성을 제외한 카폰시스템의 전체를 제어하는 한편 카폰사용자에 의해 키패드(210)를 통해 입력되는 다이얼 키 및 코멘트 키데이타를 받아 제반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206)와 카폰 키패드(210) 구성 및 동작관계는 본원출원인에 출원된 출원번호 특허 87-5419호와 동일한 것으로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2도에서 200은 연결부로 기존의 카폰장치에 옵션(option)으로 콘넥터화하여 제어장치(206)와 용이하게 접속할 수도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부재중 안내부(205)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되, 특히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221)와 음성합성회로부(223)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회로도로서 주변회로와의 관계를 도시하였다.
제어장치(206)의 제1-3입출력라인(261-263)중 상기 제1입출력라인(261)를 통한 신호가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부(221)의 음성분석/합성기(242)를 제어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3입출력라인(263)을 통한 신호가 음성합성회로부(223)의 음성합성기(252)를 제어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2입출력라인(262)을 통한 신호가 상기 WBD모뎀(222)를 인에이블 하도록 연결되어 제2입력단(232)을 통해 입력되는 WBD데이타를 WBD모뎀(222)에서 디지탈화하여 메세지 모드 2,3에서 상대방의 전화번호 및 *,#키를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부(221)는 무선수신기(202)의 출력단인 제1입력단(231)과 연결되어 상기 무선수신기(202)에서 출력되는 음성메세지의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저역필터링 하는 제2저역통과여파기(243)와, 상기 제어장치(206)의 제1입출력라인(261)을 통해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받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저역통과여파기(243)를 통한 음성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소정 특성 파라미터(진폭,주파수,음색정보등)대로 ADM변조방식으로 분석 추출하여 저장하도록 준비하며 상기 저장된 음성메세지 정보를 소정 특성 파라미터대로 ADM방식으로 합성하여 재생하는 음성분석 및 합성기(242)와, 상기 음성분석 및 합성기(242)와 연결되며 이의 제어에 따라 음성 메세지의 상기 분석된 특성 파라미터값을 기억하는 제2메모리(241)와, 상기 음성분석 및 합성기(242)와 접속되며 음성신호의 합성시 발생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저역필터링하여 제2출력단(235)을 통해 제1가산기(203)에 입력하는 제3저역통과여파기(244)로 구성된다.
그리고 음성합성회로부(223)는 상기 제어장치(206)의 제3입출력라인(263)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모드(Mode)로 동작되는데, 상기 음성합성처리부(223)의 음성 합성기(252)는 기본클럭에서 프레임주기까지의 각 연산을 제어하는 타이밍 발생회로, 콘트롤러 및 메모리 집적회로와의 인터페이스회로 및 각 특성 파라미터를 10비트로 복호화하는 디코딩롬(ROM), 상기 복호화된 각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램(RAM), 각 특성 파라미터를 서브-프레임 단위로 의사선형 보간하는 선형보간 인터프레이터(Inter-polator)유성음과 무성음의 각 음원을 발생하는 음원회로, 특성 파라미터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스택(Stack) 승ㆍ가감산기 및 디지탈필터와 합성된 음성데이타를 아나로그 앰프로 직접인가해 주기 위한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로 구성되어 임의의 번지의 음성데이타를 합성하여 음성으로 출력시킨다.
제1메모리(251)는 메세지용 음성데이타를 고정으로 내장하고 있으면서 상기 음성합성기(252)에서 지정하는 신호에 따라 저장된 해당 음성데이타가 출력된다.
제1저역통과필터(253)는 상기 음성합성기(252)의 해당 메세지의 샘플링 고주파잡음을 제거하여 제1출력단(234)를 통해 제2가산기(208)에 입력된다.
즉, 상기 제2,3도에서 설명한 구성은 카폰에 있어서 연결부(200)를 콘넥터화하여 옵션보드(OPT : On Board)로도 가능한 것으로 제어장치(206)의 제어에 따라 동작 실행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06)는 카폰전체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제2,3도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키패드(210)를 통해 제어장치(206)의 소정메모리 영역에 메세지모드가 소정 설치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즉, 메세지모드 1,2,3의 내용이 하기와 같을 경우
[모드 1]
“안녕하세요. * * * - * * * *번 입니다. 지금 부재중이오니 긴급사항이 있으실 경우 * * * - * * * *번으로 걸어주시면 통화하실 수 있읍니다. 감사합니다.”
[모드 2]
“안녕하세요. * * * - * * * *번 입니다. 지금 부재중이오니 신호음을 들으신 후에 귀하의 전화번호와 눈표(*)키를 차례로 누르십시요. 기억된 귀하의 전화번호로 전화드리겠읍니다. 감사합니다.”
[모드 3]
“안녕하세요. * * * - * * * *번 입니다. 지금 부재중이오니 통화하실 말씀이 있으실 경우 신호음을 들으신 후 샤프(#)키를 누르시고 20초이내에 용건을 말씀해 주세요 자동으로 전달됩니다. 감사합니다.”
상기와 같은 모드 1-3의 메세지 내용이 음성합성회로부(223)의 제1메모리(251)에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가 부재중에 들어갈때 키패드(210)를 통해 상기 메세지모드 설정키를 입력하면 제어장치(206)가 이를 인식하여 내부 메모리영역에 상기 지정한 해당모드를 프로그램시킨다. 그리고 제어장치(206)는 부재중 안내를 위한 본 발명의 모드가 장착되어 있는가를 항상 체크하고 있게되므로 상기 메세지 모드를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안테나(ANT)를 통해 해당 카폰을 호출하는 WBD신호가 입력될시 듀플렉셔(201)에서 수신하고 무선수신기(202)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WBD모뎀(222)에서 디코딩되어 디지탈화된다.
상기 WBD모뎀(222)는 상기 제어장치(206)의 제어에 의해 항상 무선수신기(202)를 통해 수신되는 WBD 신호를 받을수 있도록 인에이블되어 있으므로 상기 WBD모뎀(222)에서 디코딩된 신호를 제어장치(206)에서 받아 처리한다. 상기 제어장치(206)에 입력된 상기 WBD신호가 해당 카폰을 호출하는 해당 디지트 다이얼일때 사용자가 응답토록 호출하기 위해 링을 소정회수 울리도록 제어한다. 상기 링을 소정 횟수 울려도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거나 부재중에 따른 자동메세지 모드로 세팅되어 있을시 상기 설정된 모드별로 해당메세지를 송출하기 위해 제어장치(206)는 설정된 모드에 따라 제어 명령어 신호를 발생하여 음성합성 회로부(223)의 음성합성기(252)를 제어한다.
이때 음성합성기(252)는 제1메모리(251)로부터 해당 모드의 메세지 데이타를 읽어 온다. 즉, 제어장치(206)의 제3입출력라인(263)을 통해 음성합성기(252)를 제어하며, 이때 음성합성기(252)에서는 상기 제어장치(206)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메세지모드 지정 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하여 제1메모리(251)에 입력한다. 상기 음성합성기(252)에서 발생된 상기 메세지 모드지정 어드레스 신호가 제1메모리(251)에 입력되어 기 저장된 상기 모드 1-3중 하나의 음성메세지 데이타를 선택하여 리드한다.
상기 리드된 음성메세지 데이타는 음성합성기(252)에 입력되어 주어지는 합성조건에 따라 순차적으로 합성하여 음성으로 출력된다. 상기 음성합성기(252)에서 발생하는 음성신호는 제1저역통과 여파기(253)에 입력되어 상기 음성합성시 일어날 수 있는 고주파 잡음이 제거된다. 상기 제1저역통과 여파기(253)의 출력이 제2가산기(208)에서 가산되어 무선송신기(207)에서 송신시 적절한 신호로 한후 듀플렉셔(201)와 안테나(ANT)를 통해 상대편으로 송출한다. 호출측 상대편도 상기 제2,3도와 같이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발생된 음성메세지 수신은 일반 통화신호와 같이 안테나(ANT)와 듀플렉셔(201)를 통하고 무선수신기(202)를 통해 시스템에서 수신에 적절한 신호로 증폭시킨 후 제1가산기(203)를 지나 수신오디오 회로(204)에서 상기 발생된 메세지를 수신하여 상기 부재에 따른 인식을 호출한 가입자가 알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생된 메세지모드가 모드 1이 아니고, 모드 2,3일 경우 호출측 사용자의 전화번호나 용건을 수신측에 남겨야 했다.
모드 1이 세팅되어 있을때 상대편 호출자의 다이얼링된 WBD신호가 듀플렉셔(201)와 무선수신기(202)를 통하고, WBD모뎀(222)에서 디지탈화된다.
상기 WBD모뎀(222)에서 디지탈화된 신호를 제어장치(206)에서 받아 호출한 다이얼번호가 해당 카폰임이 인식되면, 상기 모드 1이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하여 제3입출력라인(263)을 통해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발생한 제어신호가 음성합성회로부(223)의 음성합성기(252)에 입력한다. 상기 음성합성기(252)에서는 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하여 제1메모리(251)내 저장된 상기 모드 1 메세지 데이타를 리드하도록 지정한다.
상기 제1메모리(251)에서 리드된 음성데이타는 음성합성기(252)에서 음성합성 조건에 따라 합성하여 제1저역통과 여파기(253)에 입력된다. 상기 제1저역통과여파기(253)에서는 상기 음성합성기(252)에서 음성합성시 발생된 샘플링 고주파잡음을 제거한 후 제2가산기(208) 및 무선송신기(207)를 통해 듀플렉셔(201)를 지나 안테나(ANT)로 송출하면 상대편 호출자가 상기 모드 1 메세지를 들을 수 있는 상태로 되고, 응답측 사용자의 행선지를 알수 있으므로 긴급사항이 있을시 응답된 전화번호로 다시 다이얼링하여 통화할 수 있다.
제어장치(206)에 모드 2가 세팅되어 있을 경우 호출을 위한 WBD신호가 안테나(ANT)와 듀플렉셔(201) 및 무선수신기(202)를 통하여 WBD모뎀(222)에서 디지탈화된다.
상기 디지탈화된 신호는 제어장치(206)에서 인식하여 해당번호와 일치되면 상기 세팅한 모드 2 세팅여부를 체킹한후 이를 확인하여 제어장치(206)에서는 음성합성회로부(223)의 제1메모리(251)의 모드 2 메세지 데이타를 읽기 위해 음성합성회로부(223)의 음성합성기(252)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음성합성기(252)에서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제1메모리(251)로 상기 모드 2의 음성데이타를 리드할 수 있도록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제1메모리(251)에서 모드 2의 해당 음성데이타가 출력되어 상기 음성합성기(252)에서 음성합성 조건에 따라 합성되어 제1저역통과여파기(253)에서 고역 잡음이 필터링된다.
상기 제1저역통과여파기(253)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상기 모드 1의 송출방법과같이 제2가산기(208)를 통해 무선송신기(203)와 듀플렉셔(201)를 지나 안테나(ANT)로 송출된다. 상기 모드 2의 메세지를 받은후 상대편이 캐패드(210)를 통해 호출자의 전화번호를 차례로 누른후 눈표(*)키를 누르면 안테나(ANT)와 듀플렉셔(201)와 무선수신기(202)를 통해 수신되어 WBD모뎀(222)에서 디지탈화된다.
상기 WBD모뎀(222)에서 디지탈화된 신호가 제어장치(206)에 입력되면 제어장치(206)의 처리에 의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제어장치(206)내의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며, 디스플레이장치(도시하지 않았음)로 걸려온 전화번호의 갯수를 숫자로 표시된다.
이때 상기 카폰사용자가 부재에서 돌아와 기억된 전화번호 및 자기 전화번호를 다시 표시하려고 사용되는 소정키(RCL)를 입력하면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가 리드되어 디스플레이장치로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호출한 곳 즉,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통화할 수 있게된다.
상기 제어장치(206)에서 모드 3이 세팅되어 있을 경우 상술한 바와같이 WBD모뎀(222)에서 디코딩한 디지탈 데이타가 해당카폰을 호출하는 신호이면 제어장치(206)는 음성 합성회로부(223)의 음성합성기(252)에 인가된 제어신호에 의해 음성합성기(252)를 제어한다. 상기 음성합성기(252)가 제1메모리(251)로부터 모드 3의 메세지 데이타를 선택하여 리드할 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한다. 즉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모드 3의 메세지 데이타를 제1메모리(251)로 부터 리드한다.
상기 제1메모리(251)로부터 리드한 음성 데이타를 음성합성기(252)에서 음성합성 조건에 맞게 합성하여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한후 제1저역통과여파기(223)에서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상기 출력한 모드 3의 메세지를 제2가산기(208) 및 무선송신기(207)와 듀플렉셔(201)를 통해 안테나(ANT)로 송출된다. 상기 모드 3의 음성메세지를 듣고 호출자가 샤프(#)키를 누르면 상기 샤프(#)키에 해당하는 DTMF신호가 안테나(ANT)와 무선수신기(202)를 통해 수신하여 WBD모뎀(222)에서 디코딩되어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된다. 상기 WBD모뎀(222)에서 디지탈화한 데이타가 제어장치(206)에서 처리되어 제1입출력 라인(261)를 통해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1입출력라인(261)를 통한 제어신호가 음성 분석 및 합성회로부(235)의 음성분석/합성기(242)에 입력된다.
상기 음성분석/합성기(242)는 상기 제어장치(206)으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어 신호에 의해 상대방으로부터 입력되는 용건 메세지를 분석할 모드가 된다.
이때 호출자로부터 부재중인 카폰 가입자에게 남길 20초간 발생한 메세지가 음성분석/합성기(242)에서 처리되어 제2메모리(241)에 남기게 되는데, 상대편에서 발생된 부재중인 가입자에게 전할 메세지는 안테나(ANT)와 무선 수신기(202)를 통해 수신되고, 상기 수신된 메세지가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부(221)의 제2저역통과여파기(243)로 입력된다. 상기 제2저역통과여파기(243)에서는 수신시 발생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한 후 음성분석/합성기(242)에 입력된다. 상기 음성분석/합성기(242)에서는 상기 메세지를 ADM방식으로 분석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한후 제2메모리(241)를 제어하여 해당 위치에 상기 상대방의 전할 메세지가 저장된다. 그리고 부재중인 사용자가 녹음된 음성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녹음된 횟수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부재중이었던 카폰 사용자가 돌아와 녹음된 음성메세지를 듣고자 할때 캐패드(210)를 통해 소정키(메세지 + *)를 키에 의하면 제어장치(206)에 입력되어 상기 제어장치(206)에서 상기 키를 체킹하여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부(221)의 음성분석/합성기(242)로 상기 기록된 메세지를 읽기 위해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제어신호를 받은 음성 분석/합성기(242)는 제2메모리(242)를 리드(Read)모드로 지정하고 읽을 남겨진 메세지 데이타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제2메모리(241)에 저장된 상기 남겨진 메세지 데이타를 상기 음성분석/합성기(242)에서 읽어와서 ADM방식의 음성 합성조건에 따라 합성하여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합성된 음성메세지는 합성시 발생된 샘플링 고주파 잡음등 불필요한 신호를 제3저역통과여파기(244)에서 제거한후 제1가산기(203)를 통해 수신 오디오회로(204)에 입력된다.
따라서 부재중이었던 사용자는 상기 전화온 메세지를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다. 즉, 모드 1-모드 3의 선택 설정에 따라 카폰에서 부재중이더라도 통화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제4도 제4a도-제4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도의 구체회로도로서, 제4도를 편의상 제4a도 및 제4b도로 분리하는데 있어 하나의 도면으로 보기위해 알파벳(A)-(W)로 라인상 대응되도록 표시하였음을 밝혀둔다. IC10은 EPROM으로 제1메모리(251)에 대응되는 것이며, 이는 상기 모드 1-3별 해당 음성 메세지 데이타가 수록되어 있으며, 상기 EPROM(IC10)의 어드레스 버스(A0-A14)가 음성 합성 집적회로(IC7)의 어드레스버스(A0-A14)와 연결되고, 상기 EPROM(IC10)의 출력단(00-07)이 상기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의 데이타입력단(DT1-DT7)에 연결되어 상기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에서 발생되는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음성 메세지모드 1-3가 선택되어 해당 음성 메세지 데이타가 발생된다.
상기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와 EPROM(IC10)의 동작을 위해서는 제어장치(206)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것으로 우선 칩인에이블(
Figure kpo00001
)에 의해 선택되는 제4도(4b)의 연결부(200)의 단자(A2-A5)를 통해 데이타 버스(D0-D3)와 연결되고, 연결부(200)의 단자(B1,B2)의 리드/라이트 제어단(
Figure kpo00002
)이 리드/라이트 인에이블단(
Figure kpo00003
)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어장치(206)가 EPROM(IC10)의 메세지 저장 정보를 인식하고 있어야만 사용자의 선택시 제대로 선택될 수 있으므로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의 라이트 인에이블단(
Figure kpo00004
)을 제어하고 데이타 버스(D0-D3)를 통해 EPROM(IC10)의 메세지 정보를 읽기 위한 명령어를 입력한다. 이때 음성합성 집적회로(IC7)는 EPROM(IC10)으로부터 메세지 저장 정보를 읽어오고 다시 제어장치(206)에서 리드 인에이블단(
Figure kpo00005
)을 제어하고 데이타버스(D0-D3)를 통해 상기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에서 읽은 메세지 정보를 제어장치(206)에서 인식하기 위해 명령어 데이타를 주면, 상기 메세지 정보가 상기 데이타 버스(D0-D3)를 통해 제어장치(206)에 전송된다. 상기 데이타 버스(D0-D3)는 양방향 버스임을 밝혀 둔다.
상기 데이타버스(D0-D3)를 통해 읽은 기록 정보로부터 상기 제어장치(206)는 EPROM(IC10)에 어떤 메세지가 기록되어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드/라이트 인에이블단(
Figure kpo00006
)은 주로 제어장치(206)와 상호 명령어 및 데이타 전송을 하기 위한 제어단임을 알수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206)에 연결된 키패드(210)에서 메시지 모드 선택에 있고 제어장치(206)가 메세지를 출력할 시점이 되면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의 라이트 인에이블단(
Figure kpo00007
)이 제어되고 데이타 버스(D0-D3)에 메세지 선택 명령어 데이타를 쓰면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에서는 EPROM(IC10)에서 해당 메세지 데이타를 데이타 버스(DT1-DT7)를 통해 읽어 합성하여 메세지 출력단(DA0)으로 출력한다. 상기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의 다른 단자는 접지시켜 다른 기능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음성 합성 집적회로(IC7)의 데이타 입력단(DT0-DT7)으로 입력되어 합성되는 메세지 데이타는 LPC합성방식으로 음성이 합성된다. 상기 음성합성 집적회로(IC7)는 “삼성전자”에서 개발한 “KS5901A”이면 가능하며, 상기 “KS5901A”는 CPU모드와 매뉴얼모드가 두가지 방식으로 운용되는데, 상기 CPU모드는 마이크로 컴퓨터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음성합성기(252)를 구현한 방식이며, 본 발명에서 이를 이용하였다. 매뉴얼모드는 “KS5901A”의 모든 동작 및 합성조건의 외부스위치로 조정하는 방식이다.
이상 “KS5901A”의 상세한 기능 및 특징설명은 “전자과학지” 1987년 6월호의 111페이지에서 114페이지와 “삼성전자사”발행 데이타북 185페이지에서 203페이지에서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의 주변에 결합된 코일(L1)과 캐패시터(C12)는 전원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디커플링 회로이며, 다이오드(D1)와 캐패시터(C12)는 초기 전원 인가시 상기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에 자동적으로 리세트 신호가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저역통과여파기(253)는 상기 음성 합성집적회로(IC7)의 9비트 R-2R D/A(Digital/Analog)변환 출력단(DA0)에 저항(R4)과 캐패시터(C11)로 구성된 저역통과필터와 저항(R3)과 캐패시터(C12)로 구성된 저역통과필터를 2단으로 직렬로 구성되어 합성시 발생된 고주파 잡음이 제거되어 저항(R5)을 통해 연결부(200)의 단자(B10)로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WBD모뎀(222)는 상기 무선전화기(202)의 출력신호 즉, 상대편의 음성메세지와 WBD신호가 수신되는 단자(B9)가 DTMF리시버(IC6)의 아나로그 입력단(AIN)과 연결되어 수신되는 WBD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한후 데이타라인(D0-D4)을 통해 데이타버스가 되는 단자(A2-A9)를 통해 제어장치(206)로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206)가 DTMF리시버(IC6)에서 디지탈화된 WBD디지트 디지탈 데이타가 제대로 입력되고 있는지의 상태나 다음 메세지의 출력을 위해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의 음성 메세지 출력 끝이라고 신호를 알리는 (
Figure kpo00008
)단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단자(B7)를 통해 버스 드라이버(IC8)의 게이트 인에이블단(IG)을 인에이블하여 입력단(IA1,IA4)과 연결된 DTMF리시버(IC6)의 데이타 벨리브단(DV)과 입력단(IA2)와 연결된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의
Figure kpo00009
단과 연결되어 제어장치(206)에서 상기 게이트 인에이블단(IG)을 인에이블할시 상기 감지신호를 드라이빙하여 데이타버스(D4-D6)를 통해 제어장치(206)에서 읽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어장치(206)는 DTMF리시버(IC6)의 데이타버스(D1,D2,D4,D8)를 통해 WBD신호를 수신하되, 데이타 벨리드단(DV)의 출력으로 버스 드라이버(IC8)를 입력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DTMF리시버(IC6)에 연결된 크리스탈 발진기(X-TAL)는 상기 DTMF리시버(IC6)의 기본클럭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분석/합성기(242)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결부(200)의 단자(B1,B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장치(206)의 CPU의 리드/라이트 제어단(
Figure kpo00010
)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의 리드/라이트 제어단(
Figure kpo00011
)과 상기 음성 합성집적회로(IC7)의 리드/라이트 인에이블단(
Figure kpo00012
)과 연결되어 음성분석 및 합성을 위해 제어장치(206)가 명령어 데이타를 데이타 버스(D0-D7)에 라이트하거나 제어 명령어 신호를 상기 음성합성 집적회로(IC7)나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에서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가져올때 사용된다.
그리고 단자(B3)는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의 칩인에이블단(
Figure kpo00013
)과 연결되고, 단자(B4)는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의 칩인에이블단(
Figure kpo00014
)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어장치(206)가 모드에 따라 음성합성 집적회로(IC7)나 음성 기록/재생집적회로(IC5)를 선택하도록 칩인에이블시킨다.
단자(B5)는 상기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와 음성기록/재생집적회로(IC5)의 클럭단(XIN,CX1)과 연결되어 제어장치(206)에서 발생되는 640㎑의 기본 동작클럭신호가 인가된다. 단자(B6)은 접지되고, 단자(B8)은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받아 음성 기록/재생회로(IC5)에서 디램(DRAM1-DRAM4)에 저장했던 것을 부재에서 돌아와 재생시 제3저역통과여파기(244)를 통해 출력되는 메세지 출력라인이다. 단자(B9)는 상기 무선수신기(202)로부터 수신되는 호출 WBD신호 및 상대방 메세지가 입력되는 라인이고, 단자(B10)는 부재시 음성 합성 집적회로(IC7)로부터 합성된 상대방으로 송출되어 제1저역통과필터(253)을 통해 필터링하여 출력되는 라인이다.
단자(A1)는 전원단(Vcc)이 연결되고, 단자(A10)은 접지되며, 노드(A2-A9)는 제어장치(206)의 CPU의 데이타 버스(D0-D7)와 연결되고, 상기 음성기록/재생 집적회로(IC5)의 데이타 라인(D0-D7)과 연결되어 제어장치(206)의 CPU제어모드에서 데이타를 입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제어장치(206)의 CPU와 음성기록/재생 집적회로(IC5)간의 데이타 및 코멘드를 양방향으로 입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의 음성신호 입력단(C2)과 단자(B9)간에 제2저역통과여파기(243)가 연결된다. 이는 단자(B9)로부터 저항(R13)을 연결하고, 이에 병렬로 캐패시터(C25)를 접속하여 입력음성신호에 실려있는 고주파 잡음을 저역에서 필터링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캐패시터(C1,C27)는 입력 음성신호에 대해 안정화되도록 기준전압을 유지하며, 캐패시터(C24)는 내장된 마이크 앰플 커플링용 캐패시터이고, 그리고 상기한 이외의 저항(R14,R1)과 캐패시터(C2,C3,C20,C25), 저항(R14)은 상기 음성기록/재생 집적회로(IC5)를 사용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소자이며, 상기 음성기록/재생 집적회로(IC5)는 일본 “도시바”사의 “T6668”이면, 본 발명의 기본 기능 수행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2메모리(241)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는 디램(DRAM1-DRAM4)을 4개 사용하여 데이타 입출력단(DOUT,DIN)과 어드레스 비스(A0-A8) 및 라이트인에이블단(
Figure kpo00015
)을 공통으로 가진다. 그리고 또한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단(
Figure kpo00016
)을 공통으로 가지지만 칼럼 어드레스 스트로브단(
Figure kpo00017
)은 상기 음성기록/재생 집적회로(IC5)에 의해 각각 제어되도록
Figure kpo00018
단과 별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디램(DRAM1-DRAM4)의 데이타 입출력단(DO,DI:Dout,Din)는 음성기록/재생 집적회로(IC5)의 데이타 입출력단(Dout,Din)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데이타 입출력단(Dout,Din)을 통해 상대편에서 발생된 응답측 가입자에게 전달한 메세지를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에 입력하면 상기 음성기록/재생 집적회로(IC5)에서 분석하여 데이타 출력단(Dout)를 통해 디램(DRAM1-DRAM4)에 기록하고, 재생시 상기 디램(DRAM1-DRAM4)의 데이타 입력단(DIN)을 통해 리드되어 음성기록/재생 집적회로(IC5)에서 상기 음성 메세지를 합성하여 제3저역통과여파기(244)에서 고주파 잡음이 필터링되어 단자(B8)를 통해 제1가산기(203)으로 입력토록 구성된다.
상기 제3저역통과여파기(244)는 상기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의 음성신호출력단(FILOUT)으로부터 저항(R6), 캐패시터(C14)와 저항(R7), 캐패시터(C15) 저항(R8), 캐패시터(C16)를 각각 저역통과필터로 구성되어 있되, 직렬의 3단 저역통과필터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3단 구성 저역통과필터 출력이 연산증폭기(IC9A)의 비반전단(+)에 인가되도록 연결한다. 상기 연산증폭기(IC9A)의 출력단에 저항(R9), 캐패시터(C17)와 저항(R10), 캐패시터(C18), 저항(R11), 캐패시터(C19)를 각각 저역통과 필터로 구성되어 있되, 직렬의 3단 저역통과 필터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3단구성 저역통과필터의 출력단에 캐패시터(C29)를 접속하여 상기 단자(B8)에 연결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모드 설정흐름도로서, 메세지 모드 설정에 따른 명령어인가를 체킹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메세지모드 설정 명령어일때 메세지 모드선택키를 입력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메세지 입력한 키가 모드 1일때 이동할 곳의 부재시 알릴 전화번호가 기록되어 있는가를 체킹하여 이미 기록되어 있을때에만 메세지모드 1를 설정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입력키가 메세지모드 1이 아닐때 메세지모드 2에 해당하는 키인가를 체킹하여 모드 2일때 메세지모드 2를 설정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입력한 키가 메세지 모드 3일때 메세지 모드 3를 설정하고 상기 메세지모드 1-3도 아닐때 상기 메세지모드키를 다시 체킹하여 설정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세지모드 1-3은 상술한 모드 1-3의 메세지 내용을 부재중에 들어갈려는 카폰 사용자는 키패드(210)를 통해 조작을 하면 이를 제어장치(206)에 의해 설정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장치로 프로그램한 행선지의 전화번호 및 선택모드가 표시되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출력 흐름도로서, 상대편으로부터 전화가 호출되었을때 부재중 메세지를 위한 기능이 설정되었나를 체킹하여 메세지모드 1이 설정되어 있음이 확인되면 모드 1의 메세지 내용을 안내방송하도록 제어하여 상대방이 후크온하여 통화가 끝날때까지 부재중에 따른 메세지를 전달하고 통화가 끝났을시 안내방송을 중지하며, 메세지 모드 2가 설정되어 있음이 확인되면 모드 2의 내용을 안내방송을 하도록 제어한 후 상대편의 전화번호의 키데이타를 받아 저장하고, 여기서 키 데이타 저장하던중 눈표(*)키가 입력되었을때 통화를 종료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메세지모드 3이 설정되어 있음이 확인될시 모드 3의 내용을 송출하도록 제어하고 이어서 샤프(#)키가 입력될시 이후 입력되는 상대편 음성 메세지를 녹음하여 통화를 완료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드 1-3를 선택에 따라 항상 지정 운용할 수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6도의 메세지모드 1-3의 내용 송출 구체 흐름도로서,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에서 음절이 끝(End of Speech)인가를 체킹하는 과정과, 상기 음절이 끝일때 해당 메세지가 저장된 테이블의 메세지 끝(End of Message)인가를 체킹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메세지 테이블의 끝일때 다른 기능 수행을 위해 리턴되고 끝이 아닐때 다음 인덱스 어드레스를 음성합성 집적회로(IC7)로 로딩하여 이에 기록되어 있는 조건과 문장번지의 데이타를 음성합성 집적회로(IC7)로부터 읽어들이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음성합성 집적회로(IC7)로부터 조건 및 어드레스 데이타를 읽어들인후 상기 음성합성 집적회로(IC7)로 음성합성에 따른 조건 데이타와 문장번지를 지정하여 음성 메세지 데이타를 음성합성기(252)에 의해 읽어와서 합성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합성이 완료된후 실제로 음성신호가 송출되도록 상기 음성합성 집적회로(IC7)로 시작 코멘드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6도의 메세지 녹음의 구체흐름도로서, 전화호출의 있고 모드 3의 메세지 내용을 송출한 후 샤프(#)키의 입력을 받고 녹음시작 명령어를 음성분석/합성기(242)로 전송하는 녹음시작 코멘드 전송과정과, 상기 녹음시작 코멘드 전송과정의 명령어를 전송한 후 상대편으로부터 입력되는 메세지를 녹음하는 녹음과정과, 상기 녹음과정으로부터 통화종료 유무 및 녹음시간이 20초 경과했나를 체킹하는 상태체킹과정과, 상기 상태체킹 과정에서 통화종료나 녹음시간이 20초 지냈을때 정지코멘드를 음성분석/합성기(242)로 전송하는 정지명령어 전송과정과, 상기 정지명령 전송과정 수행후 녹음횟수를 계산하여 저장 및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처리 흐름도로서, 부재중 남겨진 메세지중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해당 메세지 선택이 있을시 정상 동작(Normal Operation; NOP) 시작 코멘드를 음성분석/합성기(242)로 전송하여 상기 선택된 메세지를 재생토록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재생이 시작되어 재생이 완료되었을시 정지 코멘드를 상기 음분석 및 합성기에 입력하여 처리를 완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제4도-제9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모드 1-3별로 음성메세지용 데이타가 제4도 EPROM(IC10)에 기록되어 있을시 제어장치(206)와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와의 정보 교환에 의해 상기 기록된 메세지 정보를 제어장치(206)가 인식할 수 있어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면 부재에 들어갈려는 카폰 사용자가 카폰의 키패드(210)를 통해 소정키를 입력하면 제2도의 키패드(210)를 통해 상기 모드 1-3중 하나가 제어장치(206)에 설정되어질 수 있다. 특히 메세지모드 1일 경우는 사용자가 이동할 곳의 전화번호를 미리 기억시켜야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로 부재중 사용자의 행선지가 전화번호로 디스플레이된다. 카폰의 키패드(210)를 통해 메세지 선택키를 입력하면(예 : MSG+1)(5a)과정에서 제어장치(206)에서 메세지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 키인가를 체킹한다. 상기 (5a)과정에서 메세지 모드 선택키의 입력을 받아 (5c)과정에서 메세지모드 1에 대한 선택키인가를 체킹한다.
상기 (5c)과정에서 메세지모드 1일때 (5d)과정에서 부재에 들어갈려는 카폰 사용자가 다음 이동할 곳의 상기 행선지의 전화번호가 기록되어 있는가를 제어장치(206)의 내부 메모리로부터 읽어 체킹한다.
상기 (5d)과정에서 이동할 곳의 전화번호가 기억되어 있을때 제2도의 제어장치(206)의 (5e)과정에서 메세지 모드 1의 기능이 설정된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예를들어 “MSG1”이라고 표시될 수 있다.
상기 (5b)과정에서는 메세지 모드 2에 대해 키입력이 있을때(MSG+2)(5c)과정에서는 메세지 모드 1이 아니므로 (5g)과정에서 체킹되어 (5h)과정에서 상기 지정한 모드 2로 세팅되며, 디스플레이장치로 “MSG2”로 표시된다. 한편 상기 (5c)과정에서 메세지모드 3에 대해 키 입력이 있을때(MSG+3) 메세지 모드 1 또는 2가 아니므로 (5i)과정에서 체킹되어 (5j)과정에서 메세지모드 3를 제어장치(206)의 소정 메모리에 설정할 수 있게되며, 디스플레이장치로 “MSG3”로 표시된다. 상기 선택에 의해 모드 설정 후에 메세지 테이블의 모드설정 완료임을 알리기 위한 플랙비트가 세팅된다.
상기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부재중 안테나(ANT)와 무선수신기(202)를 통해 호출 신호가 WBD모뎀(222)에서 디지탈화되어 제어장치(206)에 입력될시 체킹한 결과 해당 카폰을 호출하는 디지트이면 즉, (6a)과정에서 카폰전화 호출일때 (6b)과정에서 자동 메세지기능 서비스를 위한 모드가 설정되어있는가를 제어장치(206)에서 체킹한다. 즉 제5도의 모드 1-3중 어느 모드가 세팅되어 있는가(60b1-60b3)를 체킹한다.
예를들어, (60b1)과정에서 모드 1이 세팅되어 있을때 (6c)과정에서 EPROM(IC10)에 있는 “안녕하세요/*/*/*/-*/*/*/*/번입니다. 지금 부재중이오니 긴급사항이 있으실 경우/*/*/*-*/*/*/*/번으로 걸어주시면 통화하실수 있읍니다. 감사합니다.”의 내용을 호출측으로 송출되어야 하는데, 모드 1의 메세지가 송출되는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장치(206)가 상기 모드의 메세지를 송출하기 위해서는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의 칩인에이블(
Figure kpo00019
)을 제어하고, 상기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의 라이트 인에이블단(
Figure kpo00020
)을 “로우”하고, 데이타 버스(D0-D3)를 통해 메세지 선택에 따른 명령어 데이타를 쓰면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에서 EPROM(IC10)의 상기 모드 1의 메세지 데이타를 합성한후 메세지 출력단(DA0)으로 출력한다.
즉, 상기 모드 1의 메세지를 송출시 제4도의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의 음성신호끝단(EOS)을 통해 발생되는 상태신호를 버스드라이버(IC8)를 통해 받아 드라이빙하여 제어장치(206)에서 EOS인가를 체킹하기 위해 단자(B7)를 “로우”로 하면 상기 EO신호가 데이타버스(D4-D7)에 실려 제어장치(206)에 전송된다. 상기 메세지 내용중 슬레쉬(“1”)가 EOS의 발생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EOS는 숫자에 대해서는 EOS의 신호가 각각 발생되고, 상기 숫자외의 소정음절로 이루어진 어절일때 EOS가 발생된다. 모드 1의 경우 “안녕하세요”에서 하나의 EOS가 발생되고, 숫자가 또는 기오(*,-)에서 각각 EOS가 발생되며, 이후 “번입니다. 지금 부재중이오니 긴급사항이 있으실 경우”에서 EOS가 발생되고, 또 숫자가 되는 기호(*,-)에서 각각 EOS가 발생되며, “번으로 걸어 주시면 통화하실수 있읍니다. 감사합니다”에서 또 EOS가 발생되어 모드 1에서 19개의 EOS가 발생됨을 알수 있다. 상기 EOS는 EPROM(IC10)에 상기 규칙대로 저장시켰기 때문에 이를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EOS의 발생에 따라 제어장치(206)가 음성합성 송출에 따른 제어를 하는데, 단자(B)를 “로우”로 하고 버스드라이버(IC8)의 출력단의 데이타버스(D4-D7)이 데이타를 읽어 (7a)과정과 같이 EOS신호가 있을때 (7b)과정에서는 상기 메세지 모드 설정시 세팅된 메세지 테이블 끝(EOMT)을 체킹하기 위한 플랙 비트를 체킹한다.
상기 (7b)과정에서 EOMT일때 다른 기능 실행을 위해 리턴되지만 EOMT가 아닐때(메세지 모드설정 끝이 아닐때)(7c)과정에서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의 라이트 인에이블단(
Figure kpo00021
)을 엑티브한다. 그리고 노드(A2-A5)와 연결된 데이타버스(D0-D3)에 다음 인덱스를 지정하기 위한 데이타를 쓸시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에 로딩한다. 이때 음성합성 집적회로(IC7)는 상기 입력된 코멘드 데이타에 따라 해당 처리를 실행한다.
이후 (7d)과정에서 제어장치(206)의 CPU는 상기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의 리드 인에이블단(
Figure kpo00022
)을 제어하고 상기 데이타(D0-D3)에 조건 데이타를 읽기 위한 코멘드 데이타를 쓸시 음성합성 집적회로(IC7)로부터 상기 데이타버스(D0-D3)를 통해 음성합성을 위한 조건 데이타가 제어장치(206)로 입력된다.
상기 (7d)과정에서 음성합성 집적회로(IC7)로부터 음성합성에 따른 정보(파라메타)데이타를 받은 제어장치(206)는 상기 음성합성에 따른 상기 파라메타 특성 정보를 프로그램에서 처리되는 결과에 따라 설정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해당 조건 및 지정 데이타를 음성 합성 집적회로(IC7)에 입력한다. 이때 음성합성 집적회로(IC7)는 상기 조건 및 지정데이타에 따라 EPROM(IC10)을 제어하여 상기 모드 1에 해당되는 데이타를 EPROM(IC10)으로부터 차례로 읽어 LPC방식으로 합성한다. (7f)과정에서 제어장치(206)가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에 상기 합성된 음성신호를 출력토록 시작 코멘드를 인가하면 EOS단위로 구성된 음성신호가 제7도의 루핑을 돌면서 순차적 합성되어 출력된다. 즉, 상기 모드 1일 경우 EOS가 19회이므로 19회 루핑이 되며, 이는 (7b)과정의 메세지 테이블 끝에 해당하는 비트가 체킹될때까지 메세지 음성을 합성하여 출력된다.
상기 음성 합성 집적회로(IC7)에서 합성된 신호는 제4도의 저항(R4) 캐패시터(C11) 및 저항(R2) 캐패시터(C12)에 의해 2단으로 구성되어진 제1저역 통과 여파기(253)을 통해 저역 필터링하여 합성시 발생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한다. 상기 제1저역 통과 여파기(253)에 대해 입출력 전달함수는 다음식과 같다.
Figure kpo00023
주파수 응답 S=jw대입
Figure kpo00024
Figure kpo00025
상기 (1)-(3)식에서 저항(R4)는 1.2㏀, 저항(R1)은 12㏀, 캐패시터(C11)는 4700PF정도이고, C12는 3700PF정도의 값을 선택하면 본 발명에서 원하는 차단주파수의 3.3㎑내에서 2개의 폴을 갖는 특성을 얻어낼 수 있다. 상기 제1저역 통과 여파기(253)를 통과한 신호가 상기 제2출력단(234)과 연결된 단자(B10)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출력이 제2도의 제2가산기(208)와 수선송신기(207)를 통해 듀플렉셔(201)와 안테나(ANT)로 송출되어 부재중에 따른 메세지를 전달한다. 예를들어 호출측 가입자가 본 발명과 같은 카폰 구성일 경우 안테나(ANT)→듀플렉셔(201)→무선수신기(202)→제1가산기(203)→수신오디오회로(204)로 수신되는 경우가 된다.
상기한 동일한 방법으로 (6a)과정에서 해당 카폰이 호출되어 (6b)과정에서 제어장치(206)에서 체킹된 결과모드가 (60b2)과정에서 모드 2에 해당된 것과 일치될 경우 (6d)과정에서 제어장치(206)는 제4도의 음성합성 집적회로(IC7)를 제어하여 EPROM(IC10)에 저장된 “안녕하세요. * * * - * * * *번입니다. 지금 부재중이오니 신호음을 들으신 후 귀하의 전화번호와 눈표(*)키를 차례로 누르십시요. 기억된 귀하의 전화번호로 전화드리겠읍니다. 감사합니다.”
음성데이타를 리드하여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에서 음성합성한 후 송출된다. 모드 2도 역시 제7도의 흐름도에 따라 제어장치(206)의 제어에 의해 합성되어 송출된다. 모드 2에서 EOS는 “안녕하세요”에서 EOS가 하나 발생되고, 전화번호 숫자 “* * * - * * * *”에서 각각 EOS가 8개 발생되며 “번입니다”부터 “감사합니다”까지 EOS 1개 발생되어 총 10개의 EOS가 발생된다. 모드 2도 또한 부재중에 들어 갈려는 사용자의 모드 2를 세팅하면 메세지 테이블 끝을 체킹하기 위한 플랙이 세팅하고, 제7도의 흐름도에 따라 EOS발생을 제어장치(206)에서 순차적으로 체킹하여 모드 2에 대한 안내방송을 한다.
상기 모드 2를 방송한후 상대방이 눈표(*)키를 눌리고 자기의 전화번호를 남기고자 할 경우 단자(B9)로부터 상대편 전화번호가 WBD신호로 수신되어 DTMF리시버(IC6)에서 디지탈화하여 제어장치(206)에 입력되는데, 이를 (6h)과정에서 상기 입력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드 2시 (6h)과정에서 제어장치(206)가 메세지 송출후 키입력을 받아 인식키 위해서는 단자(B7)를 “로우”로 하여 버스드라이버(IC8)를 열고, DTMF리시버(IC6)를 인에이블하여 상기 단자(B9)를 통해 수신되는 WBD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후 데이타버스(D1,D2,D4,D8)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206)의 소정 영역에 (6i)과정에서 기록하고, 상기 키데이타 입력으로부터 눈표(*)키의 입력인가를 체킹한다. (6j)과정에서 눈표(*)키 값의 입력이 인식되면 상대방의 후크 온/오프에 관계없이 (6k)과정에서 통화를 종료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장치(206)는 입력되어 저장된 전화번호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저장횟수를 표시한다. 모드 2를 세팅한 상태에서 부재로부터 돌아와 키패드(210)에서 리콜키(RCL)와 X+Y키를 입력하면 제어장치(206)가 이를 인식하여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된 기억된 횟수에 따라 리드되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로 표시된다. (6a)과정에서 전화호출이 있고 상술한 방법으로 (6b)과정에서 체킹한 모드가 모드 3에 대한 정보로 (60b3)과정에서 체킹될시 (6e)과정에서 제어장치(206)가 음성 합성 집적회로(IC7)를 제어하여 EPROM(IC10)에 내장된 “안녕하세요. * * * - * * * *번입니다. 지금 부재중이오니 통화하실 말씀이 있으실 경우 신호음을 들으신 후 샤프(#)키를 누르시고 20초 내에 용건을 말씀해주시면 자동으로 전달됩니다. 감사합니다.”
이상의 내용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음성 합성 집적회로(IC7)에서 LPC방식으로 합성하여 상대편으로 송출토록 제어하되, 상술한 동일 방법으로 제7도에 따라 EOS를 체킹하면서 실행한다. 상기 송출된 신호음을 듣고 상대편이 샤프(#)키를 누르면 제어장치(206)는 DTMF리시버(IC6)를 통해 입력되는 샤프(#)키를 인식한후 제어장치(206)가 20초동안 입력된 용건 메세지를 분석하여 기록토록 음성기록/재생집적회로(IC5)를 분석 모드로 제어한다.
상기 음성기록/재생 집적회로(IC5)의 기록 모드설정을 제8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8도 (8a)-(8d)의 과정은 상술한 제6도의 (6a)-(6b),(6e),(6e),(6m)와 동일한 처리임을 밝혀두며, (8d)과정에서 제어장치(206)가 샤프(#)키를 인식하면 (8e)과정에서 음성기록/재생 집적회로(IC5)를 음성 메세지 기록 시작코멘드를 전송한다.
상기 음성기록/재생 집적회로(IC5)는 기록모드로 지정되어 입력 음성신호를 녹음상태로 들어간다. 이후 제어장치(206)는 (8g),(8h)과정에서 통화종료여부 및 녹음시간이 20초 지냈는가를 체킹한다. 상기 (8g),(8h)과정에서 통화종료나 녹음시간이 20초가 지났을때 제어장치(206)는 음성기록/재생 집적회로(IC5)로 정지 코멘드를 전송한후 상기 입력된 메세지의 녹음된 횟수를 계산하여 디스플레이장치로 표시시킨다. 즉 상기 녹음시 상대방의 용건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는 단자(B7)를 통해 제4도의 저항(R13)과 캐패시터(C25)로 구성된 제2저역통과 여파기(243)에서 필터링되어 입력단(C2)으로 입력되어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에서 ADM방식으로 분석된다.
제4도의 상기 음성 기록/재생 집적(IC5)에서 분석되어 디지탈화된 음성데이타는 디램(DRAM1-DRAM4)에 기록되도록 한다. 상기 모드 3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방식으로 노드(B9)를 통해 입력된 DTMF신호가 디지탈화되어 제어장치(206)으로 입력된다. (6a)과정에서 제어장치(206)가 해당 카폰의 호출음이 체킹되면 메세지 설정 기능이 설정되었는가를 (6b)과정에서 체킹하고 (60b3)과정에서 상기 모드 3이 설정되어 있는가를 체킹한다. 상기 (60b3)과정의 체킹에서 모드 3의 설정에 따른 값과 일치되면 (6e)과정에서 상술한 방법으로 제7도의 흐름도에 따라 EOS를 체킹하면서 상기 모드 3의 음성 메세지를 EPROM(IC10)으로부터 읽어와서 음성 합성 집적회로(IC7)에서 LPC방식으로 합성하여 송출한다.
상기 송출된 신호를 듣고 상대방의 부재중인 카폰사용자에게 필요한 메세지를 남길 필요가 있을 경우 샤프(#)키를 누르고 20초내에 용건을 말하게 되는데, 상기 샤프(#)키를 상기 DTMF신호인식 방법과 같이 제어장치(206)에서 수신되었냐를 (61)과정에서 체킹한다. 상기 제어장치(206)에서 샤프(#) 키입력이 확인되면 단자(B4)를 통해 상기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을 칩실렉터단(
Figure kpo00026
)을 인에이블하고 상기 단자(B5)를 통해 640㎑의 시스템 클럭을 입력하고, 단자(B2)를 통해 “로우”신호가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의 라이트 제어단(
Figure kpo00027
)에 인가되고, 단자(A2-A9)를 통한 데이타버스(D0-D7)를 통해 음성 기록/재생회로(IC5)의 음성분석 및 합성조건부여 및 기능선택을 위한 코멘드 데이타가 라이트되어 상기 음성 기록/재생회로(IC5)에 입력한다. 이 과정이 제8도와 같이 기록 모드지정 과정이 되며, 이와같은 방법으로 기록할 메세지가 있을시 마다 메세지가 기록된 후 메세지 기록횟수가 디스플레이장치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음성기록/재생회로(IC5)가 제어장치(206)의 제어에 의해 준비가 완료된후 상기 단자(B9)를 통한 음성신호가 입력될시 제4도의 저항(R13)과 캐패시터(C25)로 구성된 제2저역통과 여파기(243)에서 수신 음성신호의 고주파 잡음이 필터링된다. 상기 제2저역통과필터(243)입출력 전달 함수는 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28
주파수 응답 S=jw를 대입하면
Figure kpo00029
Figure kpo00030
상기 (4)-(6)식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저항(R13)의 값을 180㏀으로 설정하고, 캐패시터(C25)의 값을 270PF으로 설정하면 본 발명에서 원하는 차단주파수가 3.3㎑이내이고, 1개의 폴(pole)가진 저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충분히 얻어낼수 있다. 그리고 캐패시터(C1,C2,C24,C26-C27), 저항(R1)은 상기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에 내장된 OP앰프와 SCF회로의 기준 전압 안정화를 위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에서는 상기 입력된 상대편의 부재중인 카폰 사용자에게 남길 음성 메세지를 ADM방식으로 분석하여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하여 디램(DRAM1-DRAM4)에 저장할수 있도록 변환한다.
즉, 상기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에서 입력된 전달한 음성 메세지의 변환이 완료되면 제4도의 디램(DRAM1-DRAM4)의 라이트 인에이블단(
Figure kpo00031
)을 엑티브하고,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단(
Figure kpo00032
)을 엑티브한후 칼럼 어드레스 스트로브단(
Figure kpo00033
)의 선택에 따라 어드레스 버스(A0-A8)를 통해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분석된 음성데이타를 디램(DRAM1-DRAM4)의 지정된 장소에 기록한다(8f). 상기 (8g,8h)과정에서 상대방의 전화기 후크 온/오프 및 녹음시간의 20초 경과에 따라 통화가 종료된다.
부재중이었던 카폰 사용자가 부재에서 돌아와 상기 모드 설정에 따라 제9도에 의해 처리되어 모니터링해 볼수 있는데, 모드 3일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에 걸려온 전화의 녹음된 횟수가 숫자로 표시되므로 소정키에 의해 메세지를 들어 볼수 있다. 메세지(MSG)와 눈표(*)키를 입력하면 제어장치(206)가 (9a)과정에서 이를 체킹하여 (9b)과정에서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로 재생을 시작코멘드를 전송한다.
이때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는 부재중에 수신되어 디램(DRAM1-DRAM4)에 저장된 음성데이타를 (9c)과정에서 읽어 상기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에서 ADM방식으로 합성한다. 상기 합성시 제어장치(206)는 (9d)과정에서 재생시간이 끝났는가를 체킹하며, 끝났을시 정지코멘드를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로 전송하여 재생이 완료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음성 기록/재생 집적회로(IC5)에서 합성된 음성신호는 출력단(FILOUT)을 통해 제4도의 저항(R6,R7,R8), 캐패시터(C14,C15,C16)로 3단으로 구성된 저역통과 필터를 통해 출력되는데, 이때 합성시 발생된 샘플링 잡음이 1차로 필터링한다.
상기 필터링신호를 연산증폭기(IC9A)에서 완충하고, 상기 완충된 신호를 저항(R9,R10,R11), 캐패시터(C17,C18,C19)로 3단으로 구성된 저역통과 필터를 통해 합성시 발생된 샘플링 잡음을 2차에 걸쳐 필터링시킨다.
상술한 제4도의 제3저역 통과 여파기(244)는 6개의 폴(Pole)을 갖고 차단주파수가 3.3㎑가 된다.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연산증폭기(IC9B)에서 완충하여 캐패시터(C29)를 통해 제2출력단(235)이 연결된 단자(B8)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단자(B8)를 통한 신호는 제2도의 제1가산기(203)를 통해 수신 오디오 회로(204)에서 부재중에서 수신된 메세지를 들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종래 카폰의 부재중 안내장치에 없는 음성분석 합성 회로를 부가함으로 부재중 상대방으로부터의 호출한 전화번호 또는 음성 메세지를 선택에 따라 모두 저장 처리할 수 있어 카폰사용자의 부재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음성 분석 합성회로를 반도체의 집적회로로 구성하므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송수신 오디오회로(204,209) 및 안테나(ANT)와, 상기 자동 응답에 따른 제어를 하는 제어장치(206)와, 상기 안테나(ANT)에 접속되며 통한 송신과 수신을 공통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송신할때에는 송신출력으로부터 수신기를 보호하고 수신할때에는 수신신호를 수신기에 공급하도록 하는 듀플렉셔(201)와, 상기 듀플렉셔(201)에 접속되며 송신할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RF신호로 송출하는 무선송신기(207)와, 상기 듀플렉셔(201)에 연결되며 RF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202)와, 상기 무선수신기(202)와 연결되며 수신되는 이중 복합주파수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WBD모뎀(222)을 구비한 이동 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206)의 제어를 받아 상기 무선수신기(202)와 연결되어 수신되는 호출자의 용건 메세지를 분석하여 디지탈화한 후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메세지를 재생하여 아나로그 신호로 합성하는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221)와, 상기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221)의 출력음성신호와 상기 무선수신기(202)의 수신음성신호를 가산하여 상기 수신오디오 회로(204)에 입력하는 제1가산기(203)와, 상기 제어장치(206)의 제어선택에 따라 모드선택에 따른 음성 메세지를 선택하여 LPC방식으로 합성에 의해 부재에 따른 메세지 신호를 발생하는 음성 합성회로(232)와, 상기 음성합성회로(223)의 출력음성 안내메세지와 상기 송신오디오회로(209)로부터 출력되는 통화용 음성신호를 가산하여 상기 무선송신기(207)에 입력하는 제2가산기(20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부(221)가 상기 무선수신기(202)에서 출력되는 호출자의 용건에 대한 음성메세지 신호의 샘플링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저역통과필터링하는 제2저역통과여파기(243)와, 상기 제어장치(206)의 제1입출력라인(261)을 통해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2저역통과여파기(243)의 저역필터링된 상기 호출자의 용건에 대한 음성 메시지 신호를 받아 음성의 특성 파라미터에 따라 ADM변조방식으로 분석후 디지탈화시켜 저장하도록 준비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디지탈화된 음성 메세지 데이타를 ADM방식으로 합성하여 재생하는 음성분석/합성기(242)와, 상기 음성분석/합성기(242)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호출자의 용건에 대한 디지탈화된 음성 메세지를 보관하고 있는 제2메모리(241)와, 상기 음성분석/합성기(242)에서 재생된 상기 음성 메세지 신호의 고주파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저역필터링하여 상기 제1가산기(203)에 입력하는 제3저역통과여파기(24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2저역통과 여파기(243)가 상기 무선수신기(202)의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제어장치(206)의 연결부(200)의 단자(B9)를 통해 저항(R13)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R13)으로부터 캐패시터(C25)를 병렬 연결하여 접지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 전화기의 부재중 안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음성합성 회로부(223)가 상기 제어장치(206)의 제3입출력라인(263)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 제어신호에 의해 모드에 따른 음성 메세지 기록 정보를 상기 제어장치(206)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장치(206)의 명령 제어신호에 따라 호출자로부터 선택된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 메세지를 LPC방식으로 합성하여 출력하는 음성합성기(252)와, 상기 음성 합성기(252)에서 지정하는 선택 명령어 신호에 따라 기 저장된 해당 음성 메세지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1메모리(251)와, 상기 음성합성기(252)에서 발생된 해당메세지의 음성신호를 저역에서 통과시켜 합성시 발생된 고주파잡음을 제거하여 상기 제2가산기(208)에 입력하는 제1저역통과 필터(25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저역통과 필터(253)가 상기 음성합성 집적회로(IC7)의 출력단으로부터 저항(R4)이 연결되며, 상기 저항(R4)으로부터 캐패시터(C4)를 연결하여 접지시키고, 상기 저항(R4)으로부터 저항(R2)을 연결하며, 상기 저항(R2)으로부터 캐패시터(C11)를 연결하여 접지시키고, 상기 저항(R2)으로부터 저항(R5)을 연결하여 상기 연결부(200)의 단자(B10)를 통해 상기 제2가산기(208)의 입력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장치.
  6. 음성합성 회로부(223) 및 제어장치(206),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221)를 구비한 이동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음성 메세지 출력방법에 있어서, 상대편으로부터 전호가 호출되었을때 부재중 메세지를 위한 기능이 설정되었나를 체킹하여 모드 1,2일시 상기 모드 1,2메세지 내용을 송출하고 상기 모드 2에서 상대편 전화번호를 남기는 제1단계(6a,6b,6c-6d,6f-6k)와, 상기 제1단계(6a,6b)에서 메세지 모드 1,2가 아니고 메세지 모드 3가 설정되어 있음이 확인되면 모드 3의 내용을 송출하여 샤프(#)키가 입력이 있으면 이후 입력되는 상대편 음성 메세지를 소정 시간동안 녹음하고 통화를 완료하는 제2단계(6e,6l,6m)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안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2단계의 호출자의 메세지 녹음 과정이 상기 샤프(#) 키입력에 따라 녹음시작 명령어를 상기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221)로 전송하는 녹음시작 코멘드 전송과정(8e)과, 상기 녹음시작 코멘드 전송과정(8e)의 명령어를 전송한후 상대편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달 용건 메세지를 녹음하는 녹음과정(8f)과, 상기 녹음과정(8f)으로부터 통화종료 유무를 체킹하며 녹음시간이 n초 경과했나를 체킹하는 상태 체킹과정(8h)과, 상기 상태 체킹과정(8h)에서 상기 녹음시간이 n초 지냈을때 정지코멘드를 음성분석 및 합성기 회로부(221)로 전송하는 정지명령어 전송과정(8i)과, 상기 정지명령 전송과정(8i)이 수행후 녹음횟수를 계산하여 저장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과정(8j)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안내방법.
  8.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211)와 제어장치(206) 및 키패드(210)를 구비한 이동 무선 전화기의 음성 메세지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210)를 통해 입력된 상기 메세지키(MSG)와 눈표(*)키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206)에서 메세지(MSG)와 눈표(*)키의 입력을 체킹하여 해당 키일때 재생시작 코멘드를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221)로 전송하여 재생을 시작하는 재생과정(9a-9e)과, 상기 재생과정(9a-9c)에서 재생시간이 끝났는가를 체킹하는 재생상태 체킹과정(9d)과, 상기 재생상태 체킹과정(9d)에서 재생시간이 완료되었음이 체킹되면 정지코멘드를 상기 음성분석 및 합성회로(221)로 전송하는 정지코멘드 전송과정(9e)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안내방법.
KR1019890002473A 1989-02-28 1989-02-28 이동 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및 장치 Expired KR920001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2473A KR920001542B1 (ko) 1989-02-28 1989-02-28 이동 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및 장치
AU34763/89A AU606520B2 (en) 1989-02-28 1989-05-12 Automatic answering method for a vehicle radio-telephone and device therefor
US07/356,699 US5058150A (en) 1989-02-28 1989-05-25 Automatic answering method for a vehicle radio-telephone and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2473A KR920001542B1 (ko) 1989-02-28 1989-02-28 이동 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733A KR900013733A (ko) 1990-09-06
KR920001542B1 true KR920001542B1 (ko) 1992-02-18

Family

ID=1928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473A Expired KR920001542B1 (ko) 1989-02-28 1989-02-28 이동 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58150A (ko)
KR (1) KR920001542B1 (ko)
AU (1) AU606520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2669B2 (en) * 1988-01-14 2010-05-11 Broadcom Corporation Hand-held data captur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modules
JPH0442645A (ja) * 1990-06-08 1992-02-13 Oki Electric Ind Co Ltd 通話情報リモート登録回路および登録通話情報送信回路およびこれらの方法および自動車電話回路装置
US5251250A (en) * 1990-09-12 1993-10-05 Alpine Electronics, Inc. Method of storing callers telephone numbers in during-absence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state
FI911165L (fi) * 1991-03-08 1992-09-09 Nokia Mobile Phones Ltd Telefonsvarare foer en mobiltelefon
GB2255258B (en) * 1991-04-25 1995-03-08 Technophone Ltd Radio telephone
JPH04345349A (ja) * 1991-05-23 1992-12-01 Toshiba Corp 無線電話装置
JPH0514478A (ja) * 1991-07-01 1993-01-22 Pioneer Electron Corp 留守番機能付き車載用電話装置
US5297183A (en) * 1992-04-13 1994-03-22 Vcs Industries, Inc.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electronic switches in a cellular telephone or personal communication network
CA2100397C (en) * 1992-08-04 1998-07-14 Matthew D. Mottier Dual function switch
JPH0685745A (ja) * 1992-09-02 1994-03-25 Toshiba Corp デュアルモード無線通信装置
WO1994008421A1 (en) * 1992-10-07 1994-04-14 Gensonic, Inc. Voice pager
GB2272346A (en) * 1992-10-28 1994-05-11 Batalunt Limited Telephone answering system
US5630205A (en) * 1994-06-14 1997-05-13 Ericsson Inc. Mobile phone having voice message capability
JPH0833049A (ja) 1994-07-19 1996-02-02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型無線通信装置
GB2292046B (en) * 1994-07-26 1999-03-03 Nokia Mobile Phones Ltd Automatic NAM programmer
US5907597A (en) * 1994-08-05 1999-05-25 Smart Tone Authentica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the secure communication of data
US5583933A (en) * 1994-08-05 1996-12-10 Mark; Andrew R.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cure communication of data
US5630206A (en) * 1994-08-11 1997-05-13 Stanford Telecommunications, Inc. Position enhanced cellular telephone system
US5594937A (en) * 1994-09-02 1997-01-14 Ghz Equipment Company System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irectional radio signals utilizing a gigahertz implosion concept
JPH0984140A (ja) * 1995-09-14 1997-03-28 Nec Corp 無線通信機
FI101661B (fi) * 1996-01-08 1998-07-31 Nokia Mobile Phones Ltd Puhelimen oman puhelinvastaajan aktivointi soittajan numeron mukaan
US5821874A (en) * 1996-03-19 1998-10-13 Sony Corporation Messaging terminal with voice notification
DE19642524A1 (de) * 1996-10-15 1998-04-23 Bosch Gmbh Robert Rundfunkempfänger mit einer Aufzeichnungseinheit
US6002944A (en) * 1996-11-04 1999-12-14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Vehicular telephone and method includ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US5739746A (en) * 1996-11-12 1998-04-14 Siemens Business Communication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ser presence in vehicular communications systems
TW391092B (en) * 1996-12-27 2000-05-21 Hitachi Ltd Cellular mobile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to an caller
US6823182B1 (en) 1996-12-27 2004-11-23 Hitachi, Ltd. Cellular mobile telephone apparatus
US6038441A (en) * 1997-08-05 2000-03-14 Lea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records of voice messages in an automotive vehicle
JPH11168549A (ja) * 1997-12-05 1999-06-22 Pioneer Electron Corp 車載用電話装置
EP1009145A1 (en) * 1998-12-11 2000-06-14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essage control system
AU5344600A (en) * 2000-08-18 2002-02-21 Alcatel Interactive silent response for mobile phone
USD453505S1 (en) 2001-04-27 2002-02-12 Carolyn Davis Combined automotive radio receiver, tape player and recorder with built-in microphone
WO2003027523A1 (en) * 2001-09-21 2003-04-03 Nsk Ltd. Bearing device
US7519387B2 (en) * 2003-12-12 2009-04-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oupling of integrated circuit chips
KR100734310B1 (ko) 2006-02-03 2007-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동기 검출기 및 그 동기 검출기를포함하는 동기 선택 장치
US9805599B2 (en) 2014-04-24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message recal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477175A1 (es) * 1978-02-14 1979-07-16 Siemens Ag Una disposicion de circuito para una instalacion telefonica.
JPS58209257A (ja) * 1982-05-31 1983-12-06 Hitachi Ltd 遠隔操作装置
US4468813A (en) * 1982-12-06 1984-08-28 Motorola, Inc. Digital voice storage system
JPS6021660A (ja) * 1983-07-18 1985-02-04 Hashimoto Corp デジタル方式の留守番電話装置
JPS6139639A (ja) * 1984-07-30 1986-02-25 Toshiba Corp 無線電話装置
JPS6141262A (ja) * 1984-07-31 1986-02-27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音声記録可能なカ−ド
FR2571191B1 (fr) * 1984-10-02 1986-12-26 Renault Systeme de radiotelephon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GB8521699D0 (en) * 1985-08-31 1985-10-02 Elcom Systems Ltd Mobile telephone answering & recording apparatus
JPH0646751B2 (ja) * 1986-06-03 1994-06-15 橋本コーポレイショ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タイプの電話自動応対録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476389A (en) 1990-09-13
KR900013733A (ko) 1990-09-06
AU606520B2 (en) 1991-02-07
US5058150A (en) 199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542B1 (ko) 이동 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및 장치
JP2927891B2 (ja) 音声ダイヤル装置
CA2131187C (en) Telephone answering device linking displayed data with recorded audio message
US6029063A (en) Voice scratchpad implemented with wireless telephone
KR100767462B1 (ko) 멜로디를 이용한 착신음 발생방법 및 통신단말장치
RU218790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водами речевой регистрации устройства распознавания реч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микротелефонной трубке и в комплекте громкоговорящей связи
US20080039054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placing a call
JPH07212453A (ja) 電話機の自動ダイアル装置およびダイアル補助装置
JPS6139756A (ja) 留守番電話システム
CA2111298C (en) Dictation apparatus that is a combination of a portable computer and a hand set
JPH02130033A (ja) 録音個別呼出方式とその装置
US20030096639A1 (en) Distinctive recordable ringer
KR100296986B1 (ko) 단축다이얼링방법
JP2004153380A (ja) 情報提供装置、情報取得装置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5222410A (ja) 車載用ハンドフリーメール装置
JPS60214664A (ja) 電話付属装置
KR940002147B1 (ko) 이동 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장치
JPH11194795A (ja) 音声認識作動装置
KR900005156B1 (ko) 자동응답 전화기의 통화시 아웃고잉/인컴잉 메세지 기록 및 아웃고잉메세지 전송방법
JPH02244952A (ja) 留守番電話機
KR20040037419A (ko)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양한 수신 인지음/아웃고잉 메시지출력/전송 장치 및 방법
KR19990000123A (ko) 음성사서함장치의 메시지 재생후 녹음 시간 자동 송출 방법
JPH0730641A (ja) 留守番電話機
JP2000069146A (ja) 音声認識機能付き電話機
JPH04354448A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90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1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2011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2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1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8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