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16805B1 -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 - Google Patents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805B1
KR100316805B1 KR1019990017985A KR19990017985A KR100316805B1 KR 100316805 B1 KR100316805 B1 KR 100316805B1 KR 1019990017985 A KR1019990017985 A KR 1019990017985A KR 19990017985 A KR19990017985 A KR 19990017985A KR 100316805 B1 KR100316805 B1 KR 100316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er
block
plate
fixing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4215A (ko
Inventor
이동서
Original Assignee
정문술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술,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문술
Priority to KR1019990017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805B1/ko
Priority to JP2000100905A priority patent/JP3238922B2/ja
Publication of KR20000074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80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5Associated with semiconductor wafer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테스트 사이트로 디바이스를 로딩하거나 언로딩 시에 테스트 트레이의 캐리어 모듈에 디바이스의 벤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확하게 수용시키기 위한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하부 고정 블록과; 상기 하부 고정 블록의 양측부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LM 가이드를 구비한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고정 블록 양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측면 고정 플레이트의 상하부 사이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가이드 핀에 끼움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측면 고정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얼라이너 블록과; 상기 하부 얼라이너 블록의 상부에 얹혀지고 양측부가 조정핀에 의해 결합되는 얼라이너와; 상기 얼라이너의 상부에 고정되고 다수의 위치 고정핀을 구비한 상부 얼라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얼라이너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얼라이너와 하부 얼라이너 블록에 서로 연통하여 설치된 디바이스를 잡아주기 위한 다수의 흡착수단과; 상기 얼라이너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 구동 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Aligner Elevating System of Handler}
본 발명은 핸들러에서 고객 트레이에 삽입된 디바이스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테스트 사이트로 로딩하거나 디바이스의 테스트가 끝난 후 X-Y 로봇이 언로딩시킬 때 디바이스를 정렬하기 위한 얼라이너를 상승시키기 위한 얼라이너 상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테스트 사이트로 디바이스를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때 익스체인져의 얼라이너를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승시킨 후 테스트 트레이의 캐리어 모듈에 디바이스의 벤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확하게 수용시키기 위한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 공정에서 생산 완료된 디바이스는 수평 또는 수직식 핸들러의 엘리베이터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고 테스트 트레이에 설치된 다수의 캐리어에 테스트를 위해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진다.
테스트 트레이에 순차적으로 적재된 디바이스는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일정온도 이상으로 셋팅이 이루어진 히팅챔버에 공급시키고 고온으로 가열시킨 후, 후공정인 테스트 사이트에서 테스트부와 전기적으로 접촉시켜서 디바이스의 성능을 테스트한다.
위와 같은 공정을 따라 테스트부에서 테스트가 이루어진 디바이스는 테스트 결과에 따라 등급별로 분류하고, 그 분류한 디바이스를 각각의 등급별로 테스트 트레이에 담고 테스터에 의한 에러 유무에 따라 다시 양품과 불량품으로 구분하여 디바이스 중 양품은 출하하고, 불량품은 폐기시킨다.
이때, 상기 로딩부의 엘리베이터로부터 공급되는 디바이스는 테스트 트레이에 담겨져서 상승되어 지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최고높이에 트레이가 위치하게 되면 트레이 트랜스퍼가 상부로 이동하여 트레이를 잡아서 각각의 로딩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트레이 트랜스퍼에 의해 이동된 트레이에 담겨진 각각의 디바이스들은 픽커에 의해 흡착되어 히팅챔버에 이동되어 지는데, 그 중간공정에서 디바이스의 정렬이 이루어진다.
상기 디바이스를 정렬하기 위해서는 픽커가 각각의 디바이스를 흡착한 후, 각 버퍼에 적재하고 디바이스의 적재가 이루어진 후에 픽커에 의해 각각의 디바이스가 흡착되어 익스체인져에 공급된다. 상기 익스체인져에는 상기 픽커에 의해 이동된 디바이스를 정확한 위치에 올려놓기 위한 얼라이너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얼라이너의 상승동작에 의해 디바이스의 위치 셋팅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얼라이너의 상승동작은 테스트 트레이에 디바이스를 안정되고 정확하게 넣어 주기 위한 2가지의 동작으로 이루어지는데 첫째로, 익스체인져의 바디가 상승하는 롱업(LONG-UP)동작과 상기 익스체인져의 얼라이너가 상승하여 디바이스를 정확하게 안착시키는 숏업(SHORT-UP)동작의 2가지 동작을 통해서 이루지고 있으며, 얼라이너의 롱업(LONG-UP)동작과 숏업(SHORT UP)동작은 익스체인져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실린더에 의하여 상승운동을 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본다면, 우선 일반적인 익스체인져의 구조에 있어서 익스체인져의 양측에 설치된 2개의 실린더에 의해 익스체인져의 바디가 일정한 스트로크로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이르도록 상승된 후, 다시 2개의 실린더에 의해 얼라이너가 2차 상승하여 상기 얼라이너의 상부에 안착된 디바이스가 테스트 트레이에 정확하게 적재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실린더에 의한 롱업 및 숏업 동작시 소음이 크고, 디바이스의 벤트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고, 상기와 같은 각각 2개의 실린더를 설치하여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실린더의 스트로크에 의존하게 되므로 디바이스를 적재하는 숏업(SHORT-UP)동작시 디바이스의 이탈 또는 파손 등이 발생하여 디바이스의 에러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장비 전체의 크기도 커지게 되므로 운반, 제작 등의 어려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디바이스의 적재시 이탈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익스체인져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얼라이너의 롱업(LONG-UP), 숏업(SHORT-UP) 동작을 정확하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디바이스의 성능 테스트 작업을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얼라이너 상승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 절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얼라이너 상승장치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플레이트 12 : 측면 고정 플레이트
14 : 서포트 플레이트 16 : 하부 고정 블록
18 : 가이드 핀 20 : 고정수단
22 : 구동모터 24 : 제 1풀리
26 : 제 2풀리 28 : 벨트
30,32 : 볼 스크류 너트 34 : 볼 스크류
36 : 지지대 38,40,46 : 고정수단
42 : 하부 얼라이너 블록 44 : 얼라이너
48 : 상부 얼라이너 플레이트 50 : 조정핀
52: 스프링 54 : 노즐
56 : 에어공 112 : 실린더
64 : 조정핀공 100 : 테스트 트레이
104 : 흡착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하부 고정 블록과; 상기 하부 고정 블록의 양측부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LM 가이드를 구비한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고정 블록 양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측면 고정 플레이트의 상하부 사이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가이드 핀에 끼움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측면 고정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얼라이너 블록과; 상기 하부 얼라이너 블록의 상부에 얹혀지고 양측부가 조정핀에 의해 결합되는 얼라이너와; 상기 얼라이너의 상부에 고정되고 다수의 위치 고정핀을 구비한 상부 얼라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얼라이너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얼라이너와 하부 얼라이너 블록에 서로 연통하여 설치된 디바이스를 잡아주기 위한 다수의 흡착수단과; 상기 얼라이너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 구동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승 구동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구비된 샤프트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 1풀리와; 상기 구동모터와 대응하도록 그 일측에 설치되고 볼 스크류 너트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볼 스크류와; 상기 볼 스크류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 2풀리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1풀리에 일측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 2풀리에 타측이 끼움 결합되어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벨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얼라이너 블록 상승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절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얼라이너 블록 상승장치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이다.
먼저 디바이스를 테스트 트레이(100)에 로딩/언로딩 시키기 위한 핸들러의 익스체인져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하부 고정 블록(16)과; 상기 하부 고정 블록(16)의 양측부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LM 가이드(60)를 구비한 서포트 플레이트(14)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4)와 상기 하부 고정 블록(16) 양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 고정 플레이트(12)와; 상기 측면 고정 플레이트(12)의 상하부 사이에 고정수단(20)에 의해 고정되는 가이드 핀(62)에 끼움 설치되는 스프링(52)과; 상기 측면 고정 플레이트(12)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얼라이너 블록(42)과; 상기 하부 얼라이너 블록(42)의 상부에 얹혀지고 양측부가 조정핀(50)에 의해 결합되는 얼라이너(44)와; 상기 얼라이너(44)의 상부에 고정되고 다수의 위치 고정핀(41)을 구비한 상부 얼라이너 플레이트(48)와; 상기 얼라이너(44)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얼라이너(44)와 하부 얼라이너 블록(42)에 서로 연통하여 설치된 디바이스를 잡아주기 위한 다수의 흡착수단(104)과; 상기 얼라이너(44)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 구동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승 구동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22)와; 상기 구동모터(22)에 구비된 샤프트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 1풀리(24)와; 상기 구동모터(22)와 대응하도록 그 일측에 설치되고 볼 스크류 너트(30,32)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볼 스크류(34)와; 상기 볼 스크류(34)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 2풀리(26)와; 상기 구동모터(22)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1풀리(24)에 일측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 2풀리(26)에 타측이 끼움 결합되어 상기 볼 스크류(34)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벨트(28)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고정 블록(16)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익스체인져(미도시됨)의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얹혀지듯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부 고정 블록(16)의 좌우측 양쪽에는 일측에 LM 가이드(60)를 구비한 서포트 플레이트(14)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LM 가이드(60)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하부 1쌍의 측면 고정 플레이트(12)가 하부 고정 블록(16)과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4) 사이 좌우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쌍의 측면 고정 플레이트(12)에는 가이드 핀(6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핀(62)에는 스프링(52)이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 고정 블록(16)에는 1쌍의 가이드 핀(18)이 고정되어 있으며, 그 상부면에는 1쌍의 지지대(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52)은 일정 이상의 강성을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측면 고정 플레이트(12)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 고정 플레이트(12)의 상부에는 하부 얼라이너 블록(42)이 얹혀져서 고정되어 있고, 얼라이너(44)가 상기 하부 얼라이너 블록(42)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얼라이너(44)의 좌우측 양단은 조정핀(50)에 의해 상기 측면 고정 플레이트(12)에 고정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고정수단(46)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얼라이너(44)의 상부에는 다수의 위치 고정 핀(41)을 구비한 상부 얼라이너 플레이트(48)가 설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얼라이너(44)와 상기 하부 얼라이너 블록(42)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에어공(56)이 형성되고 그와 연결되도록 디바이스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 수단(10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착 수단(104)은 하부 얼라이너 블록(42)에 설치된 실린더(112)와 상기 실린더(112)와 연통된 에어공(56)의 상부에 설치된 노즐(5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얼라이너(44)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 구동 수단이 상기 하부 고정 블록(16)과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설치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동 모터(22)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부로 돌출된 구동 모터(22)의 하단부에 제 1풀리(24)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 모터(22)의 우측부에는 소정의 거리 만큼 이격되어 볼 스크류(34)가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볼 스크류 너트(30,32)에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볼 스크류(34)의 하단부에는 제 2풀리(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구동 모터(22)의 제 1풀리(24)에는 일측의 벨트(28)가 걸려 있고, 상기 제 2풀리(26)에는 벨트(28)의 타측이 감겨져서 구동 모터(22)의 회전을 받은 제 1풀리(24)에 의해 회전력을 볼 스크류(34)에 전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하나의 구동 모터(22)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설치된 하부 고정 블록(16)과 측면 고정 플레이트(12)와 얼라이너(44)를 일정 거리를 상승시키는 롱업(LONG-UP)동작을 시키게 된다.
즉, 구동 모터(22)가 동작하여 제 1풀리(24)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풀리(24)에 감겨져 있는 벨트(28)에 의해 제 2풀리(26)에 전달됨과 동시에 볼 스크류(34)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상기 볼 스크류(34)가 회전하게 되면, 하부 고정 블록(16)과 측면 고정 플레이트(12)를 일체로 고정하고 있는 상기 스프링(52), 지지대(36) 및 상기 얼라이너(44)를 동시에 상승시키게 된다(LONG-UP).
상기와 같이 상기 얼라이너(44)가 계속적으로 상승하여 일정 거리 이상이 되면 상기 스프링(52)의 강성에 의해 고정된 하부 고정 블록(16)과 측면 고정 플레이트(12)가 얼라이너(44)를 밀어 올리다가 멈추게 되고, 그와 동시에 측면 고정 플레이트(12)가 상기 스프링(52)을 서서히 탄력 압축하면서 얼라이너(44)만을 상승시키게 된다(SHORT-UP).
상기 숏업(SHORT-UP)동작시에는 상기 얼라이너(44)의 양측부에 고정된 조정핀(50)이 고정핀공(64)에 정확하게 삽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얼라이너(44)에 설치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즐(54)이 디바이스(미도시됨)의 유무를 확인하여 흡착하여 흔들림과 디바이스의 벤트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얼라이너 상승장치는 장비가 소형화되고 디바이스의 벤트를 방지하고 숏업(SHORT-UP) 동작시의 큰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얼라이너의 상승장치는 다수의 실린더를 사용하지 않고 구동모터를 이용함으로써 장비를 소형화시킴과 동시에 디바이스의 벤트를 방지하고 숏업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에러율을 저하시키고 성능 테스트 작업을 빠르게 진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하부 고정 블록과;
    상기 하부 고정 블록의 양측부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LM 가이드를 구비한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고정 블록 양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측면 고정 플레이트의 상하부 사이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가이드 핀에 끼움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측면 고정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얼라이너 블록과;
    상기 하부 얼라이너 블록의 상부에 얹혀지고 양측부가 조정핀에 의해 결합되는 얼라이너와;
    상기 얼라이너의 상부에 고정되고 다수의 위치 고정핀을 구비한 상부 얼라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얼라이너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얼라이너와 하부 얼라이너 블록에 서로 연통하여 설치된 디바이스를 잡아주기 위한 다수의 흡착수단과;
    상기 얼라이너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 구동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구동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구비된 샤프트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 1풀리와;
    상기 구동모터와 대응하도록 그 일측에 설치되고 볼 스크류 너트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볼 스크류와;
    상기 볼 스크류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 2풀리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1풀리에 일측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 2풀리에 타측이 끼움 결합되어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벨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
KR1019990017985A 1999-04-01 1999-05-19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16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985A KR100316805B1 (ko) 1999-05-19 1999-05-19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
JP2000100905A JP3238922B2 (ja) 1999-04-01 2000-04-03 ハンドラーのアライナ上昇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985A KR100316805B1 (ko) 1999-05-19 1999-05-19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215A KR20000074215A (ko) 2000-12-15
KR100316805B1 true KR100316805B1 (ko) 2001-12-12

Family

ID=19586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9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316805B1 (ko) 1999-04-01 1999-05-19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8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309B1 (ko) * 2002-01-29 2004-07-07 주식회사 넥사이언 와이어 본딩된 칩 테스트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978B1 (ko) * 2015-12-18 2017-02-07 허경삼 디에스에이 보드 교체용 핸들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309B1 (ko) * 2002-01-29 2004-07-07 주식회사 넥사이언 와이어 본딩된 칩 테스트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215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9942B1 (ko) 램버스 핸들러
KR100309546B1 (ko) 핸들러의 픽커 가변조절장치
CN101258415B (zh) 电子部件试验装置
JP3232071B2 (ja) ハンドラーのマルチスタッカ
KR101386331B1 (ko) 웨이퍼 반송 장치
KR20130111915A (ko) 기판 제조 설비 및 기판 제조 방법
CN110211889B (zh) 检查系统
US5151651A (en) Apparatus for testing IC elements
KR19990088192A (ko) 트레이이송암,전자부품시험장치및트레이반송방법
KR100521956B1 (ko) 집적회로 검사 방법, 집적회로 핸들러 및 집적회로 검사장치
JP2002057498A (ja) 配線板作業システム
KR100988520B1 (ko) 확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칩 분류장치
TW201218306A (en) Mounting base driver
KR20080029444A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KR100316805B1 (ko)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
KR100297393B1 (ko) 번인 테스터 소팅 핸들러용 로딩 및 언로딩 픽커의 얼라인 장치
US6695546B2 (en) Single drive aligner elevation apparatus for an integrated circuit handler
KR102304704B1 (ko) 얼라이너 장치 및 얼라인 방법
KR102104051B1 (ko) 소자핸들러
JP3238922B2 (ja) ハンドラーのアライナ上昇装置
JPH11333775A (ja) 部品吸着装置、部品ハンドリング装置および部品試験装置
KR100312080B1 (ko) 핸들러의 버퍼구동장치
JP4180163B2 (ja) 電子部品試験装置用吸着装置
KR20020065101A (ko) 액정디스플레이패널 검사장치의 패널수평반송장치
KR100358704B1 (ko) 액정디스플레이패널 검사장치의 패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11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112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