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13351B1 - 조절가능한등받이를갖춘시이트용맞춤분절체 - Google Patents

조절가능한등받이를갖춘시이트용맞춤분절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351B1
KR100313351B1 KR1019950007636A KR19950007636A KR100313351B1 KR 100313351 B1 KR100313351 B1 KR 100313351B1 KR 1019950007636 A KR1019950007636 A KR 1019950007636A KR 19950007636 A KR19950007636 A KR 19950007636A KR 100313351 B1 KR100313351 B1 KR 100313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egment
torsion spring
spring
resistance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645A (ko
Inventor
그리트숄쯔
디르크앙어만
토르스텐노테바움
Original Assignee
헬무트 클라우스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무트 클라우스,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filed Critical 헬무트 클라우스
Publication of KR95003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35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e.g. one gear without su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 Y10T74/20642Hand cr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링크 브레이스는 시이트부에 설치된 고정링크부, 및 등받이에 설치된 선회가능한 링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부들은 조절샤프트를 통해 연결되고, 두 링크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어장치로 형성된 조절 및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조절샤프트는 한 링크부의 지지를 위해 편심섹션을 갖는다. 상기 편심섹션은 조절샤프트의 캐리어를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서로에 대해 경사진 2개의 쐐기 세그먼트, 그것의 좁은 측면사이에 고정된 캐리어암, 및 쐐기 세그먼트의 넓은 측면을 스프링 레그에 의해 서로로 부터 밀어내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시스템내에서 작동 및 제조로 인한 캐리어암과 쐐기 세그먼트 사이의 유격을 유지시키고 작동부재로 부터 가급적 멀리 떨어뜨리기 위해, 캐리어가 비틀림 스프링에 작용하는 저항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인트용 맞춤 분절체
제 1도는 시이트 측부에 설치된 맞춤 분절체의 종단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선 II-II을 따라 자른 맞춤 분절체의 실시예.
제 3도는 제 2도와 유사한 맞춤 분절체의 또다른 실시예.
제 4도는 제 3도에 대한 변형예.
제 5도는 스프링 레그 사이에 보상 핑거가 배치되고 드라이버 아암과 쐐기형 세그먼트 사이에 최대유격이 존재하는 맞춤 분절체의 또다른 실시예.
제 6도는 제조공차로 인해 드라이버 아암과 쐐기형 세그먼트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제 5도의 실시예.
제 7도는 맞춤 분절체의 또다른 실시예의 중심영역을 나타낸 제 2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 8도는 맞춤 분절체의 또다른 실시예의 중심영역을 나타낸 제 7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 9도는 맞춤 분절체의 또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 10도는 제 9도의 맞춤 분절체를 선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 11도는 제 9도 및 제 10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쐐기형 세그먼트를 변형시킨, 제 10도와 유사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맞춤 분절체 11,12 : 링크부
13 : 선회축 14 : 편심부
15 : 스퍼어 기어 16 : 외부치형부
17 : 기어 림 18 : 내부치형부
19 : 칼라 20 : 드라이버
21 : 허브 22 : 드라이버 아암
23 : 베어링 보어 24 : 쐐기형 세그먼트
25,22',2" : 토션 스프링 26 : 스프링 레그
30 : 저항 부재 31,36 : 캠 돌출부
32,46,47 : 함몰부 33 : 유격
34 : 핸들 35 : 그루브
37 : 융기부 38 : 보상 핑거
39 : 탄성영역 40,41,42 : 유지 핑거
43 : 원형 세그먼트 48,48' : 정지 돌출부
50 : 지지 태핏 51 : 지지 돌출부
52 : 리셋스
본 발명은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이트용, 특히 자동차 시이트용 맞춤 분절체(articulated fitting)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이트부에 설치된 고정식 링크부와 등받이에 설치된 선회가능한 링크부가 조절축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기어장치로 구성되어서 이러한 두 링크부의 서로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는 조절 및 고정장치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조절축이 한 링크부를 지지하기 위한 편심부를 갖추고 있고, 이러한 편심부가 조절축의 드라이버의 영역들과 맞물리고, 서로에 대해 경사진 2개의 쐐기형 세그먼트와, 이러한 쐐기형 세그먼트의 좁은 단부면 사이에 끼워지는 드라이버 아암과. 그리고 쐐기형 세그먼트의 넓은 단부면들을 이격시켜 벌리는 스피링 레그를 갖추고 있는 토션 스피링을 포함하는 맞춤 분절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형태의 맞춤 분절체에서는, 드라이버가 슬리이브를 갖추고 있고, 이러한 슬리이브의 한 단부는 슬리이브의 외경을 초과하여 돌출하는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하나의 단편을 형성한다. 슬리이브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슬리이브의 일부분과 맞물리는 드라이브 아암은 디스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2개의 쐐기형 세그먼트의 좁은 단부면 사이에서 맞물리며, 쐐기형 세그먼트의 원주방향 외주면은 예컨대 스퍼어 기어를 포함하는 하나의 링크부의 베어링 보어를 지지하는 한편, 쐐기형 세그먼트의 원주방향 내주면은 드라이버의 슬리이브를 지지하는 다른 링크부의 칼라상에 지지된다. 작동 및 제조의 공차로 인해, 2개의 쐐기형 세그먼트는 그의 넓은 단부면들이 스피링 레그에 의해 서로 벌려져서, 원형 세그먼트로 구성되어서 쐐기형 세그먼트의 좁은 단부면에 힘을 가하도록 제공된 드라이버 아암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의 호도(radian)가 다소 확장된다. 쐐기형 세그먼트의 좁은 단부면 사이의 호도가 보다 작은 경우에는, 공차로 인해 쐐기형 세그먼트의 좁은 단부면들 사이의 호도가 보다 큰 경우보다 드라이버 아암의 정지면과 쐐기형 세그먼트의 좁은 단부면 사이에 작은 유격이 형성된다. 따라서, 드라이버에서 조절운동의 시작될 때, 조작자는 드라이버 아암이 쐐기형 세그먼트의 한 좁은 단부면에 힘을 가하기 전에 다소 큰 공전 작동을 극복해야 한다. 이러한 공전 작동은 드라이버에서 수동으로 개시되는 회전 방향 교체시마다 항상 발생된다. 이러한 공전 작동은 조작자를 불쾌하게 한다. 또한, 주행동작시에는 덜컹거리는 소음을 발생시킨다. 게다가, 정확한 조절을 어렵게 한다.
그러나, 불가피한 공차로 인해 유격이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자가 가급적 공전 작동을 알아채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가 토션 스프링에 작용하는 저항 부재를 갖춤으로써 달성된다. 토션 스프링과 상호작용하는 이러한 저항 부재는, 드라이버에서 회전운동이 개시될 때, 토션 스프링의 탄성을 통해 드라이버 아암이 회전방향에 따라 쐐기형 세그먼트의 두개의 좁은 단부면 중 하나에 접하기 전에 이미 수동조작시 저항이 감지되도록 하여 조작자에게 공전 작동을 인지하지 못하게 하거나 또는 공전 작동을 최대로 단축시킨다. 드라이버 또는 토션 스프링이 경사면을 가질 수 있는 한편, 대향부재(토션 스프링 또는 드라이버)가 상기 경사면에 접하며 공전 작동시 스프링력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드라이버는 유리하게 드라이버 아암의 외부면에 캠 돌출부로서 구성된 저항 부재를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캠 돌출부는 토션 스프링의 내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토션 스프링의 함몰부에 접하고, 이러한 함몰부는 스프링 레그에서 대략 마주 놓이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토션 스프링의 함몰부는 드라이버 아암의 돌출부를 통해 드라이머 아암의 한 측부가 쐐기형 세그먼트의 좁은 단부면과 접촉하도록 드라이버를 회전시킨다.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캠 돌출부는 토션 스프링의 함몰부 아래로 회전되므로, 공전 작동시 조작자는 공전 작동시에 저항을 즉시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저항은 드라이버 아암이 쐐기형 세그먼트의 좁은 단부면와 접촉할 때 조절 저항으로서 계속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드라이버는 그루브를 갖춘 저항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드라이버 아암의 외부면에서 확대된다. 이 경우, 내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며 스프링 레그와 대략 마주 놓인 토션 스프링의 함몰부가 상기 그루브 내로 삽입된다. 즉, 드라이버가 토션 스프링의 스프링 레그와 대략 마주 놓인 토션 스프링과 포지티브 결합 또는 재료 대 재료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드라이버에서 회전운동이 개시될 때에는 회전운동의 회전방향으로 토션 스프링이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스프링에 예비응력이 형성된다. 이러한 예비응력은 조작자에게 저항의 형태로 감지되며, 이러한 저항은 드라이버 아암이 최종적으로 선택된 회전방향에 따라 쐐기형 세그먼트의 관련 좁은 단부면과 접촉할 때 조절저항으로 바뀌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드라이버가 드라이버 아암의 외부면에 캠 돌출부로 구성된 저항 부재를 갖추고 있고, 이러한 저항 부재가 반경방향으로 외부를 향하며 스프링 레그와 대략 놓인 토션 스프링의 융기부에 의해 포지티브 결합되는 경우에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드라이버가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버 아암과 마주 놓인 측부에, 토션 스프링의 스프링 레그 사이에 고정되어 저항 부재를 형성하는 보상 핑거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극단의 경우에, 즉 한편으로는 쐐기형 세그먼트의 좁은 단부면과 드라이버 아암 사이의 유격이 최대일 때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쐐기형 세그먼트의 좁은 단부면 과 드라이버 아암 사이에 유격이 생기지 않을때 공전 작동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첫번째 경우에는 보상 핑거가 드라이버에서 회전운동을 개시하는 즉시 보상 핑거가 스프링 레그와 접촉함으로 인해 감지가능한 저항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다른 경우에는 쐐기형 세그먼트의 좁은 단부면이 드라이버 아암에 접촉함으로 인해 회전운동이 즉각적으로 쐐기형 세그먼트로 전달됨으로써 조작자가 즉시 저항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프링 레그와 보상 핑거 사이에 그리고 드라이버 아암과 쐐기형 세그먼트의 좁은 단부면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는 가장 바람직하지 못한 중간위치에서, 공전 작동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공전 작동은 바람직하지 못한 유격비율에서 이론적으로 최대 유격의 절반 또는 1/4에 상응한다. 따라서, 공전 작동은 실질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의 형태로 감소된다. 저항 부재가 공전 작동의 1/2을 커버하는 탄성영역까지 확대되면, 공전 작동은 완전히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토션 스프링은 조절 단계가 시작될 때 저항 부재, 즉 드라이버에 대해 약간 회전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저항 부재와 토션 스프링 사이의 결합이 유격을 수반하거나 또는 저항 부재에 있는 탄성 영역으로 인해 토션 스프링의 밀려진 암으로 즉각적인 힘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을 개선시키기 위해, 저항 부재가 드라이버 아암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드라이버에 배치되고, 스프링 레그와 대향하게 위치된 토션 스프링의 영역이 저항 부재에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 저항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히 배치된 3개의 유지 핑거로 형성되며, 2개의 외부 유지 핑거는 토션 스프링을 그의 내부둘레에서 지지하고 내부 유지 핑거는 토션 스프링을 그의 외주에서 지지한다.
잠금 상태에서 쐐기형 세그먼트에 작용하는 토션 스피링의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저항 부재가 볼록한 원형 세그먼트로 형성되고, 이러한 원형 세그먼트는 토션 스프링을 그의 단부영역에 의해 외측에서 지지하고 드라이버 아암과 저항 부재의 단부영역 사이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는 토션 스프링의 일정영역에서 보다 큰 하중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접선방향으로 돌출한 지지 돌출부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지지 돌출부는 드라이버에서 드라어버 아암의 양측부에 접하여 있고, 넓은 베이스 상에서 토션 스프링의 하부의 내주부를 지지하는 한편, 2개의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지지 태핏을 갖춘 저항 부재는 토션 스프링이 지지 돌출부와 지지 태핏 사이에 고정되도록 토션 스프링의 외주를 덮는다. 공전 작동이 감쇠되는 동안 조절토크의 증가를 피하면서 동시에 잠금 위치에서 쐐기형 세그먼트의 높은 잠금력을 얻기 위해, 토션 스프링의 반경방향으로 내부로 들어온 스프링 레그는 외주영역에서 서로 겹치며 맞은편 측부에 속한 쐐기형 세그먼트의 넓은 단부면들을 서로로부터 밀어내는 방향으로 민다.
한편으로는 쐐기형 세그먼트의 해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다른 한편으로는 드라이버 아암에 의해 힘을 받지 않는 쐐기형 세그먼트를 해제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선회축에 인접한 드라이버의 영역에 배치되는 정지 돌출부가 쐐기형 세그먼트의 넓은 단부면에 배치된다. 그러나, 토션 스프링의 스프링 레그가 쐐기형 세그먼트의 넓은 단부면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쐐기형 세그먼트의 넓은 단부면에 있는 정지 돌출부가 토션 스프링의 각각의 스프링 레그의 굽힘 단부에 형성된 리셋스 위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쐐기형 세그먼트의 넓은 단부면과 접촉하는 점들에 대해 스프링 레그의 유격을 보상하기 위해, 리셋스는 각각의 쐐기형 세그먼트의 상기 넓은 단부면에서의 접촉 리셋스를 토션 스프링의 와이어 직격의 적어도 1.5배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스프링이 변형된 후, 스프링의 힘의 방향은 쐐기형 세그먼트의 운동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의 단부가 힘의 소비없이 각각의 쐐기형 세그먼트에 지지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맞춤 분절체(10)는 시이트부와 등받이 사이에서 시이트의 양쪽 세로변에 배치되어 있고, 시이트부에 대해 등받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식 링크부(11)는 시이트부에 연결되는 한편, 선회가능한 링크부(12)는 등받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링크부(11,12)는 편심부(14)를 갖춘 선회축(1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선회축(13)은 기어장치로 형성되는 조절 및 잠금장치의 구성부분이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예컨대, 링크부(11)를 스탬핑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외부치형부(16)를 갖춘 스퍼어 기어(15)를 포함하고 있는데, 여기서 외부치형부(16)는 마찬가지로 링크부(12)를 스탬핑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링크부(12)의 기어 림(17)의 내부치형부(18)와 맞물린다. 외부치형부(16)의 이끝원의 직경은 내부치형부(18)의 이뿌리원의 직경보다 적어도 하나의 이 높이만큼 더 작다. 치형부(16,18)는 상이한 수의 잇수를 갖는데, 내부치형부(18)의 잇수가 외부치형부(16)의 잇수보다 많다.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된 장치는 외부치형부(16)가 내부치형부(18)에서 전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부시로서 형성된 드라이버(20)가 내부치형부(18)와 동심으로 링크부(12)에 지지되어 있고, 이러한 드라이버(20)는 허브(21)를 둘러싸며 상기 허브(21)는 내부치형부(18) 측면상에서 돌출하는 링크부(12)의 칼라(19)내에 지지되어 있다. 드라이버(20)는 그의 허브(21)와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드라이버 아암(22)을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드라이버 아암(22)은 칼라(19)와 스퍼어 기어(15)의 베어링 보어(23) 사이의 중간 공간으로 삽입된다.드라이버 아암(22)쪽의 칼라(19) 면에는 2개의 쐐기형 세그먼트(24)의 내주면이 지지되어 있다. 쐐기형 세그먼트(24)의 외주면은 스퍼어 기어(15)의 베어링 보어(23)에 지지되어 있다. 쐐기형 세그먼트(24)의 폭이 좁은 원주방향 단부면은 맞춤 분절체의 잠금위치에서 드라이버 아암(22)으로부터 약간의 간격을 두고 있는 반면, 쐐기형 세그먼트(24)의 폭이 넓은 원주방향 단부면은 토션 스프링(25)의 스프링 레그(26)에 의해 힘을 받아서 벌어져 있다. 쐐기형 세그먼트(24)는 링크부(11)의 칼라(19)와 함께 링크부(11)의 베어링 보어(23)내에 수용되는 편심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편심부에 의해 링크부(12)의 내부치형부(18)가 스퍼어 기어(15)의 외부치형부(16)와 맞물려서 편심부의 가장 높은 지점에서 링크부(11)에 고정된다. 드라이버(20)의 허브(21)는 그의 중심부에 스플라인 보어(27)를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보어(27)는 스플라인 로드(28)를 수용하여 시이트의 한쪽 세로변의 맞춤 분절체에서 개시된 회전 운동을 반대편 시이트 세로변의 맞춤 분절체로 전달시킨다. 쐐기형 세그먼트(24)의 영역에는 쐐기형 세그먼트의 윤곽을 가진 접촉면(29)이 드라이버(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면(29)은 드라이버(20)와 일체로 형성된 드라이버 아암(22)에 접촉된다. 그러나, 드라이버 아암(22)은 접촉면(29)을 초과하여 돌출한다.
토션 스프링(25)과 상호작용하는 저항 부재(30)는 드라이버(20)에 고정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저항 부재(30)가 드라이버(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저항 부재(30)가 다른 방식으로, 예컨대 피팅(tight fit), 패스너(fastener)등에 의해 드라이버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저항 부재(30)는 드라이버 아암(22)의 외주에 배치된 캠 돌출부(31)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캠 돌출부(31)는 양측부에서 경사면에 의해 드라이버 아암(22)의 외주면내로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25)은 스프링 레그(26)에 정반대로 배치되어 있는, 내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32)에 의해 캠 돌출부(31)에서 지지된다. 한편으로는 불가피한 제조공차로 인해 발생되는 다른 한편으로는 작동에 있어 필수적인, 드라이버 아암(22)과 쐐기형 세그먼트(24)의 좁은 단부면 사이의 유격(33)은, 제 2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드라이버 아암(22)이 토션 스프링(25)의 함몰부(32)의 좌측 경사면에 의해 좌측에 배치된 쐐기형 세그먼트(24)에 접하는 방식으로 덜컹거림없이 없앨 수 있다. 드라이버(20)의 적절한 회전에 의해 드라이버 아암(2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운동이 개시될 때 드라이버 아암(22)이 즉시 좌측의 쐐기형 세그먼트(24)를 밀어내어 이를 칼라 (19)와 베어링 보어(23) 사이의 클램핑 결합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러나, 드라이버 아암(22)이 시계방행으로 회전되면, 먼저 캠 돌출부(31)가 토션 스프링(25)의 함몰부(32) 아래로 이동되고, 탄성적으로 구현된 캠 돌출부(31) 또는 토션 스프링(25)이 스프링 작용을 하여 드라이버 아암(22)과 우측의 쐐기형 세그먼트(24) 사이의 유격(33)이 연결된다. 이러한 두 경우에 조작자는 핸들(34)의 수동조작할 때에 즉시 저항을 느끼게 되어 즉시 조절을 해야함을 감지하게 된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는 유격(33)의 극복 후에만 이것이 시작된다.
제 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드라이버 아암(22)의 외부면에는 마찬가지로 저항 부재(30)로서 작용하는 돌출부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는 그의 최고점에 그루브(35)를 갖추고 있으며, 토션 스프링(25)의 함몰부(32)가 그루브(35)와 견고하게 결합된다. 드라이버 아암(22)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일어나면, 토션 스프링(25)의 함몰부(32)가 드라이버 아암의 그루브(35)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25)의 접선방향 스프링 작용이 저항을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쐐기형 세그먼트(24)의 좁은 단부면의 정지면과 드라이버 아암(22)의 정지면 사이의 유격이 극복될 때까지, 회전에 대한 저항은 계속 유효하다.
제 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드라이버 아암(22)과 토션 스프링(25)사이에 포지티브 결합(positive engagement) 또는 재료 대 재료 결합(material-on-material engagement)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토션 스프링(25)이 외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융기부(37)를 갖추고 있으며, 드라이버 아암(22)에 일체로 형성된 캠 돌출부(36)가 융기부(37)내로 맞물린다.
제 5도 및 제 6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저항 부재(30)는 마찬가지로 드라이버에 고정식으로 연결되지만,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드라이버 아암(22)에 정반대의 측면에 드라이버로부터 돌출하는 보상 핑거(38)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보상 핑거(38)는 2개의 접선 단부면에 탄성 영역(39)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보상 핑거(38)는 토션 스프링(25)의 스프링 레그(26) 사이에 고정되며, 극단의 경우, 즉 쐐기형 세그먼트(24)의 좁은 단부면과 드라이버 아암(22) 사이에 최대 유격이 생길 정도로 제조공차가 축적되는 경우에 스프링 레그(26)에서 직접 지지된다.
제 6도에 도시된 다른 극단의 경우, 즉 제조공차로 인한 유격(33)이 생기지 않는 경우에는 쐐기형 세그먼트(24)의 좁은 단부면이 드라이버 아암(22)의 세로변에서 지지된다. 두 경우 모두 조작자는 공전 작동을 전혀 감지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제 5도에 도시된 경우에 드라이버에서 회전운동을 개시할 때 보상 핑거(38)를 통해 즉시 2개의 스프링 레그(26) 중 하나가 밀려지고, 토션 스프링(25)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하나 또는 다른 쐐기형 세그먼트(24)가 드라이버 아암(22)의 세로변과 접촉하느데, 이 시점에서부터 맞춤 분절체의 실제 조절운동이 이루어질 때까지 저항이 감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6도에 도시된 다른 경우에는 드라이버에서 회전운동이 개시될 때 즉시 드라이버 아암(22)에 의해 2개의 쐐기형 세그먼트(24)가 밀려짐으로써, 이 경우에도 즉시 조절운동시 저항이 감지될 수 있고 바로 맞춤 분절체의 조절이 시작된다. 그러나, 발생되는 공차의 실제값에 따라 쐐기형 세그먼트(24)가 제 5도 및 6도의 위치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상 핑거(38)에 탄성영역이 없을때 쐐기형 세그먼트(24)의 좁은 단부면과 드라이버(22) 사이에, 그리고 보상 핑거(38)와 각각의 스프링 레그(26) 사이에 유격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구조적인 비율로 인해 어쨌든 한편으로는 쐐기형 세그먼트(24)의 좁은 단부면과 드라이버(22) 사이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보상 핑거(38)와 스프링 레그(26) 사이에서 발생된 유격은 이론적 최대 유격의 절반일 수 있다. 실제 유격이 드라이버 아암(22)의 세로변과 쐐기형 세그먼트(24)의 좁은 단부면 사이에 그리고 보상 핑거(38)와 스프링 레그(26)사이에 생긴다. 모든 경우에, 전술한 위치에서의 유격 크기는 상이하므로, 회전방향에 따라 먼저 드라이버 아암(22)이 쐐기혀 세그먼트(24)의 좁은 단부면에 접하거나, 또는 보상 핑거(38)의 측부경계가 2개의 스프링 레그(26)중 하나에 접촉하게 된다. 보상 핑거(38)와 스프링 레그(26) 사이의 유격은 탄성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예컨대 가황 고무로 구성될 수 있는 탄성영역(39)으로 채워질 수 있다.
제 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저항 부재(30)는 드라이버 아암(22)과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드라이버(20)의 원판부에 배치되며, 이러한 원판부로부터 3개의 유지 핑거(40,41,42)가 돌출해 있다. 이러한 유지 핑거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쐐기형 세그먼트(24)에 의해 형성되는 편심의 최고점으로부터 가로 놓인다. 각각의 유지 핑거(40,41,42)의 횡단면은 U자형으로 형성되고, 유지핑거(40,41,42)의 레그는 반경방향으로 내부를 향하는 반면, 유지 핑거(41)의 레그는 반경방향으로 외부를 향한다. 한편으로는 유지 핑거(40,41) 사이의 간격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지 핑거(41,42)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토션 스프링(25)의 와이어 직경에 상응한다. 이러한 토션 스프링(25)은 유지 핑거(40,42)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겹쳐지는 한편, 중간의 유지 핑거(41)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 8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저항 부재(30)는 볼록한 원형 세그먼트(43)로 형성된다. 이러한 원형 세그먼트(43)는 마찬가지로 드라이버(20)의 드라이버 아암(22)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원형 세그먼트(43)의 양 단부영역(44,45)은 반경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각이져 있으며, 이 지점에서 원형 세그먼트의 내주면과 드라이버 아암(22)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은 토션 스프링(25')의 와이어가 끼워맞춤되기에 알맞은 간격을 갖는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토션 스프링(25)은 편심 최고점에 마주 놓여 외부를 향하거나 또는 내부를 향하는 단일 함몰부(32)를 갖춘 반면, 제 8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토션 스프링(25')은 반경방향으로 내부를 향하는 2개의 함몰부(46,47)를 갖추고 있다. 이 함몰부(46,47)는 편심 최고점에 마주 놓인 지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러만큼 떨어져 있다. 토션 스프링(25')의 함몰부(46,47) 사이의 영역은 그것의 나머지 원주영역에 비해 반경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뻗어 있으며, 드라이버 아암(22)과 볼록하게 형성된 원형 세그먼트(43) 사이에 고정되지만 드라이버 아암(22) 또는 원형 세그먼트(43) 어느 것과도 접하지 않는다.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서, 쐐기형 세그먼트는 그것의 넓은 단부면에 정지 돌출부(48)를 갖추고 있고, 이러한 정지 돌출부(48)는 반경방향으로 스프링 레그(26)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정지 돌출부(48)는 드라이버 아암(22)에 의해 구동되지 않는 쐐기형 세그먼트를 해제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역할은, 작은 각도만큼 회전된 후 조절단계를 개시할 때, 구동되는 쐐기형 세그먼트의 정지 돌출부(48)가 드라이버 아암(22)에 의해 구동되는 쐐기형 세그먼트의 정지 돌출부(48)를 밀어내어 이를 분리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달성된다. 또한, 정지 돌출부(48)는 스프링 레그(26)의 후크(hook) 단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 9도 및 제 10도에 도시된 맞춤 분절체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 1도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부시(49)가 링크부(11)의 베어링 보어(23)내로 삽입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저항 부재(30)가 드라이버 아암(22)에 대해 간격을 두고 드라이버(20)의 원판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편심 최고점의 반대쪽 양 측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지지 태핏(50)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지지 태핏(50)은 편심 최고점의 반대 측부상에서 토션 스피링(25")의 외부면을 지지한다. 편심 최고점으로부터 가로질러 위치한 드라이버 아암(22)의 양 측부에는 드라이버 아암(22)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돌출한 지지 돌추부(51)가 뻗어 있으며, 지지 돌출부(51)는 토션 스프링(25")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전술한 토션 스프링(25,25')과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를 향하는 토션 스프링(25")의 스프링 레그(26)가 외주영역에서 서로 겹쳐지고, 맞은편 측부의 쐐기형 세그먼트(24)의 넓은 단부면에 힘을 가하여 쐐기형 세그먼트를 서로 벌려 이격시킨다(제 10도). 스프링 레그(26)에 대향하는 토션 스프링(25")의 영역은 토션 스프링(25")이 드라이버(20)에 있는 지지 돌출부(51)와 지지 태핏(50) 사이에 끼워맞춤되고 지지 돌출부(51)와 지지 태핏(50) 사이에 유지되도록 편평하게 형성된다.
제 9도 및 제 10도에 실시예에서는 조절운동을 개시할 때 드라이버 아암(22)에 의해 구동되지 않는 쐐기형 세그먼트를 해제시키는 역할을 하는 정지 돌출부(48')는 스프링 레그(26)의 굽힘부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베어링 부시(49)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이는 스프링 레그(26)가 쐐기형 세그먼트(24)의 넓은 단부면으로부터 미끄러져서 베어링 부시(49) 상에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제 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쐐기형 세그먼트(24)의 넓은 단부면은 스프링 레그(26)의 굽힘 단부에 대한 접촉용 리셋스(52)를 갖추고 있다. 쐐기형 세그먼트(24)의 넓은 단부면에서 리셋스(52)는 반경방향으로 토션 스프링(25")의 와이어 직경의 적어도 1.5배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하중을 받거나 또는 하중을 받지 않는 경우에 조절운동을 개시할 때 스프링 단부의 보상 운동이 스프링의 단부에 대해 제공될 수 있으므로, 반경방향 힘성분이 한계치 내로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대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이 이 실시예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의 대상에 대한 다른 실시예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고 및/또는 도면에 도시된 모든 신규한 특징은 그것이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명시적으로 청구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본질에 속한다.

Claims (14)

  1. 시이트부에 설치된 고정식 링크부와 등받이에 설치된 선회가능한 링크부가 선회축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양쪽 링크부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기어장치로 구성되는 조절 및 고정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선회축이 한쪽 링크부를 지지하기 위한 편심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편심부는, 상기 선회축의 드라이버를 부분적으로 포위하는 2개의 서로 경사진 쐐기형 세그먼트와, 상기 쐐기형 세그먼트의 폭이 좁은 원주방향 단부면 사이에 끼워지는 드라이버 아암과, 상기 쐐기형 세그먼트의 폭이 넓은 원주방향 단부면을 스프링 레그에 의해 서로로부터 밀어내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이트용, 특히 자동차 시이트용 맞춤 분절체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20)가 상기 토션 스프링(25)에 작용하는 저항 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이트용 맞춤 분절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20) 및 상기 토션 스프링(25) 중 어느 하나가 경사면을 갖추고 있고, 상기 드라이버(20) 및 상기토션 스프링(25) 중 어느 하나에 대향하는 부재(20 또는 25)가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여서 공전 작동시에 스프링력을 받아 상기 경사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이트용 맞춤 분절체.
  3. 제 1항에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드라이버(20)의 상기 저항 부재(30)가 상기 토션 스프링(25)과 포지티브 결합 또는 재료 대 재료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부분이 스프링 레그(26)와 대략 마주 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이트용 맞춤 분절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20)가 상기 드라이버 아암(22)의 외주면에 캠 돌출부(36)로 형성된 저항 부재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저항 부재는 상기 토션 스프링(25)의 내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함몰부(32)와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함몰부(32)가 상기 스프링 레그와 대략 마주 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이트용 맞춤 분절체.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20)는 그 루브(35)를 갖춘 저항 부재(30)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버 아암(22)의 외주면에서 확대되고, 스프링 레그(26)에 대략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토션 스프링(25)의 내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함몰부(32)가 상기 그루브(35)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이트용 맞춤 분절체.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20)가 상기 드라이버 아암(22)의 외주면에 캠 돌출부(36)로 형성된 저항 부재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저항 부재는 스프링 레그(26)와 대략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토션 스프링(25)의 외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융기부(35)와 포지티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이트용 맞춤 분절체.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20)는 상기 드라이버 아암(22)의 정반대 위치에 보상 핑거(38)를 갖추고 있고, 상기 보상 핑거(38)가 상기 토션 스프링(25)의 상기 스프링 레그(26) 사이에 고정되어 저항 부재(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이트용 맞춤 분절체.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부재(30)가 상기 드라이버 아암(22)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이격된 상태로 상기 드라이버(20)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토션 스프링(25)은 스프링 레그(26)와 대향하는 영역에서 상기 저항 부재(30)에 의해 상기 드라이버(2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이트용 맞춤 분절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부재(30)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된 유지 핑거(40,41,42)로 형성되고, 2개의 외부 유지 핑거(40,42)는 상기 토션 스프링(25)의 내부 둘레를 지지하고, 내부 유지 핑거(41)는 상기 토션 스프링(25)의 외부 둘레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이트용 맞춤 분절체.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부재(30)가 볼록하게 형성된 원형 세그먼트(43)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 세그먼트(43)는 그의 단부영역(44,45)의 외측에서 토션 스프링(25')을 지지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25')을 상기 드라이버 아암(22)과 상기 저항 부재(30)의 단부영역(44,45) 사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이트용 맞춤 분절체.
  11. 제 8항에 있어서, 접선방향으로 돌출한 지지 돌출부(51)는 드라이버 아암(22)의 양측부에서 상기 드라이버(20)와 접하여 있고 넓은 베이스를 따라 토션 스프링(25")의 하부의 내부원주부를 지지하는 한편,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지지 태핏(50)을 갖춘 상기 저항 부재(30)는 상기 토션 스프링(25")이 상기 지지 돌출부(51)와 상기 지지 태핏(50) 사이에 고정되도록 상기 토션 스프링(25")의 외주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이트용 맞춤 분절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기 토션슬프링(25")의 스프링 레그(26)는 외주영역에서 서로 떨어져서 안내되어 상기 쐐기형 세그먼트(24)를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쐐기형 세그먼트(24)의 넓은 베이스 상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이트용 맞춤 분절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쐐기형 세그먼트(24)의 넓은 단부면에 형성된 정지 돌출부(48')가 상기 토션 스프링(25")의 각각의 상기 스프링 레그(26)의 굽혀진 리셋스(52) 위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이트용 맞춤 분절체.
  14. 제 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쐐기형 세그먼트(24)의 넓은 단부면에 형성된 상기 리셋스(52)가 상기 토션 스프링(25")의 와이어 직경의 적어도 1.5배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등받이를 갖춘 시이트용 맞춤 분절체.
KR1019950007636A 1994-03-31 1995-03-29 조절가능한등받이를갖춘시이트용맞춤분절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313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11215.7 1994-03-31
DE4411215 1994-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645A KR950031645A (ko) 1995-12-20
KR100313351B1 true KR100313351B1 (ko) 2001-12-28

Family

ID=651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6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13351B1 (ko) 1994-03-31 1995-03-29 조절가능한등받이를갖춘시이트용맞춤분절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34380A (ko)
JP (1) JP3650941B2 (ko)
KR (1) KR100313351B1 (ko)
BR (1) BR9501261A (ko)
DE (1) DE1951135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8809C1 (de) * 1995-12-27 1997-05-22 Keiper Recaro Gmbh Co Ver- und Feststelleinrichtung für Sitze, wie Kraftfahrzeugsitze, zur Verstellung der Rückenlehne
DE19653815C2 (de) * 1996-12-21 1999-01-21 Itw Ateco Gmbh Betätigungshebel zur Betätigung eines Verstellhebels in einem Automobil
US6007150A (en) 1998-03-08 1999-12-28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Motorcycle seat with adjustable backrest
DE19845772C2 (de) * 1998-09-22 2000-10-19 Brose Fahrzeugteile Kraftfahrzeugsitz
JP3540952B2 (ja) * 1998-12-21 2004-07-07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座席装置の調節及び固定装置
DE19915054C2 (de) * 1999-04-01 2001-03-22 Schukra Geraetebau Ges M B H Verstellvorrichtung
DE19938666C5 (de) * 1999-08-14 2008-01-03 Keiper Gmbh & Co.Kg Verstellbeschlag für Sitze mit neigungseinstellbarer Lehne, insbesondere für Kraftfahzeugsitze
FR2806980B1 (fr) * 2000-03-30 2002-09-06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Mecanisme d'articulation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tel mecanisme
JP4608751B2 (ja) * 2000-08-30 2011-01-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EP1423294B1 (de) * 2001-09-06 2007-05-16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US6644744B2 (en) 2001-10-01 2003-11-1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Release mechanism for a seat
KR20050084790A (ko) * 2002-12-21 2005-08-29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 의자 조정 기구용, 미끄럼 부재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DE10340997B3 (de) * 2003-09-05 2005-01-13 Keiper Gmbh & Co. Kg Drehantrieb für einen Einsteller eines Fahrzeugsitzes
DE102004007043B3 (de) * 2004-02-12 2005-06-23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US7513573B2 (en) * 2006-09-12 2009-04-07 Lear Corporation Continuous recliner
US7517021B2 (en) * 2006-09-12 2009-04-14 Lear Corporation Reclining mechanism for vehicle seats
US7314250B1 (en) 2006-09-27 2008-01-01 Keiper Gmbh & Co. Kg Fitting system for a vehicle seat
JP2008196625A (ja) * 2007-02-14 2008-08-28 Toyota Boshoku Corp 連結装置
DE102007018688A1 (de) * 2007-04-20 2008-10-23 Schaeffler Kg Schrittschaltwerk
CN104013495B (zh) * 2007-05-08 2017-04-12 德科技控股有限公司 具有裹腿和内部顶片的合体一次性吸收物品及其制造方法
JP5414299B2 (ja) 2008-03-04 2014-02-12 ツェー ロブ ハメルステイン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 自動車シート調節装置用、特に背もたれヒンジ部品用の揺動継手部品
JP2009207702A (ja) * 2008-03-05 2009-09-17 Fuji Kiko Co Ltd 車両の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532690B2 (ja) * 2009-06-09 2014-06-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6048275B2 (ja) * 2013-03-28 2016-12-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9475409B2 (en) * 2013-06-17 2016-10-25 Hubei Aviation Precision Machinery Technology Co., Ltd. Seat recliner and oil collecting element
US9205765B2 (en) * 2013-06-27 2015-12-08 Das Co., Ltd. Recliner for vehicle seat
US20150007685A1 (en) * 2013-07-03 2015-01-08 Seven Universe Industrial Co., Ltd. Seven universe industrial co., ltd.
JP5913242B2 (ja) * 2013-09-13 2016-04-27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シート
DE102014208076A1 (de) * 2013-10-23 2015-05-07 Johnson Controls Components Gmbh & Co. Kg Elektrisch betriebener Lehnenversteller und Fahrzeugsitz mit einem solchen Lehnenversteller
CN203601347U (zh) * 2013-11-28 2014-05-21 欧仕儿童用品(福建)有限公司 靠背调节器及儿童车
KR102001507B1 (ko) * 2017-12-26 2019-07-18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CN109017962A (zh) * 2018-09-08 2018-12-18 卢键平 应用于童车座椅上的靠背无级调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7761B1 (fr) * 1986-12-03 1990-08-17 Tubauto Articulation continue pour siege de vehicule a rattrapage automatique des jeux
DE3941215C2 (de) * 1989-12-14 1995-07-20 Keiper Recaro Gmbh Co Rücklehnenverstellbeschlag für Sitz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DE4119980C2 (de) * 1991-06-18 1997-08-14 Keiper Recaro Gmbh Co Lehneneinstellbeschlag für Sitz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DE4228054C2 (de) * 1992-08-24 1994-07-14 Keiper Recaro Gmbh Co Verstellvorrichtung, insbesondere Gelenkbeschlag für Sitze mit verstellbarer Leh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645A (ko) 1995-12-20
JP3650941B2 (ja) 2005-05-25
BR9501261A (pt) 1995-10-31
DE19511357A1 (de) 1995-10-05
JPH07284423A (ja) 1995-10-31
DE19511357C2 (de) 1997-10-02
US5634380A (en) 1997-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351B1 (ko) 조절가능한등받이를갖춘시이트용맞춤분절체
JP4170906B2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座席
US6007152A (en) Seat reclining mechanism for vehicles
US7278689B2 (en) Inclination adjustment fitting for the back rest of a vehicle seat
EP1788283B1 (en) Timing belt tensioner with stops controlled by frictional brake
KR101082732B1 (ko) 차량 시트용 피팅
JP3546073B2 (ja) 摩擦クラッチ
US7513573B2 (en) Continuous recliner
US9272649B2 (en) Angle adjustment device for vehicle seat
US7390061B2 (en) Device for adjustment of level of inclination of back part of motor vehicle seat
US8496098B1 (en) Manual seat height adjuster mechanism
GB2264989A (en) Friction clutch
JPH07255553A (ja) 調節可能な背もたれを持つ座席用継手装置
JPH10511445A (ja) 有利にはシート調節のために設けられた締め付けロック装置
US6568759B1 (en) Adjustment device, especially for adjusting a seat in a motor vehicle
US7114778B2 (en) Drive having a sliding element for a vehicle seat adjuster
CN109983254B (zh) 柔性的传动构件
JPH11315853A (ja) 摩擦クラッチ
CN110612048B (zh) 枢转配件和家具
KR19990067664A (ko) 마모 보상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
US5934429A (en) Automatically adjusting friction clutch with cam locating fingers
US11839304B2 (en) Pivot fitting and piece of furniture
US3976327A (en) Adjusting arrangement
JPH07508823A (ja) 特に自動車用のクラッチ機構
KR100572273B1 (ko) 차량용 마찰 클러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3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4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03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0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