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06648B1 - 반사형 액정표시 소자 - Google Patents

반사형 액정표시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648B1
KR100306648B1 KR1019990034990A KR19990034990A KR100306648B1 KR 100306648 B1 KR100306648 B1 KR 100306648B1 KR 1019990034990 A KR1019990034990 A KR 1019990034990A KR 19990034990 A KR19990034990 A KR 19990034990A KR 100306648 B1 KR100306648 B1 KR 100306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rystal display
crystal cell
r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461A (ko
Inventor
세키메도모아키
야마구치히사노리
이와이요시오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00017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64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2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with refractive index ellipsoid inclined relative to the LC-layer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40Materials having a particular birefringence, retard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2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66Normally white display, i.e. the off state being whi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1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with refractive index ellipsoid inclined, or tilted, relative to the LC-layer surface O plate
    • G02F2413/105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with refractive index ellipsoid inclined, or tilted, relative to the LC-layer surface O plate with varying inclination in thickness direction, e.g. hybrid oriented discotic L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편광 필름을 1매만 구비한 반사형 액정표시 소자에 있어서, 액정셀과, 이 액정셀의 일측 상에만 배치된 편광필름 사이에, 리타데이션값 Rc을 갖는 하이브리드 틸트 유형의 광학 보상기를 배치한다. 본 발명은 액정셀에 실효전압 Von을 인가하였을 때 광학 보상기의 리타데이션값 Ron은, 액정층의 리타데이션을 Ron이라하고 광의 파장을 λ라고 하였을 때,
Ron + Rc = λ/4 + mㆍλ/2 (m=0,1,2...)
또는
Ron + Rc = (m+1)ㆍλ/2 (m=0,1,2...)
로 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결정된다. 이에 의해서, 백색표시가 밝고, 높은 콘트라스트로, 무채색의 흑백표시를 할 수 있어,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형 액정표시 소자{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반사형 액정표시(LCD)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셀의 일측 상에만 편광 필름을 구비한 반사형 액정표시 소자에 관한 것이다.
얇고 가벼운 액정표시소자는 이동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비롯하여 다양한 용도에 광범하게 사용되고 있다. LCD는 스스로는 발광하지 않고, 광의 투과율을 변화시켜 표시를 행하는 수광형 소자이며, 수 볼트의 매우 낮은 구동전압을 필요로 한다. LCD에서는 LCD의 하측에 반사판을 구비하고, 외부광의 반사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데, 백라이트의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극히 낮은 표시소자로 된다.
종래의 반사형 컬러 LCD 소자는 컬러 필터를 구비한 액정셀과, 이 액정 셀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한쌍의 편광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컬러필터는 상기 액정셀의 한 기판 상에 설치되어 있고, 더욱이 컬러필터 위에는 투명전극이 형성된다. 이 액정셀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분자의 배향상태를 변화시켜 각 색의 컬러필터의 광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컬러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하나의 편광필터의 광 투과율은 겨우 45% 정도이다. 편광필터의 흡수축에 평행한 편광의 투과율은 거의 0%이며, 이 흡수축에 수직한 편광의 투과율은 거의 90%이다. 두개의 편광필름을 사용하는 반사형의 LCD 소자에서는 광이 편광필름을 4회에 걸쳐 통과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LCD 소자에서 광이용율은 컬러필터에서 광의 흡수를 무시하면,
(0.9)4x 50% = 32.8%
로 된다. 즉, 광이용율은 컬러필터를 사용하지 않는 흑백 LCD 패널의 경우에서도 최대 약 33%이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LCD에 컬러필터를 설치하여 컬러소자를 만든다면 반사율은 더 저하되어 버려, 실제 사용시 충분한 밝기가 얻어지지않게 된다.
표시를 밝게 하기 위해서, 편광필름을 액정셀의 상측면에만 설치하고, 액정 셀을 단일 편광 필름과 반사기 사이에 끼운 몇가지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7-146469호공보, 특개평7-84252호공보 참조). 이 경우, 광은 편광 필름을 2회밖에 통하지 않으므로, 컬러필터에서 광의 흡수를 무시하면, 광이용율은
(0.9)2x 50% = 40.5%
로 되어, 편광 필름을 2매 사용한 구성에 대하여, 최대 약 23.5%의 광이용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편광필름을 1매만 사용하기 때문에, 이대로는 흑백의 무채색 표시가 곤란하고, 특히 반사율이 낮은 무채색인 흑색의 표시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컬러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층의 복굴절과 편광필름 사용으로 컬러표시를 행하는 반사형 컬러 LCD 소자(일본 특개평6-308481호공보)나, 액정층과 위상차 필름의 복굴절을 이용하는 컬러 LCD 장치(일본 특개평6-175125호공보, 특개평6-301006호공보)가 종래로부터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는 컬러필터가 필요없기 때문에 2매의 편광필름을 사용하여도 실용적인 밝기의 반사율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복굴절의 컬러 표시착색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16계조의 4096 컬러 표시 또는 64계조의 풀 컬러 표시등의, 다계조, 다색 표시가 원리적으로 어렵고, 또한, 색순도나 색재현 범위도 좁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편광판을 하나만 구비한 반사형 LCD 소자에서, 백색 표시가 밝고,콘트라스트가 높은 무채색의 흑백표시 및 다계조의 컬러표시를 가능하게 한 반사형 LCD 소자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LCD 소자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LCD 소자의 광학 보상기를 도시한 것으로 것으로, 도 2a는 굴절율의 개략도, 도 2b는 ny 방향에서 본 광학 보상기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LCD 소자에서 반사율과 인가전압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LCD 소자의 반사율의 특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우방향의 시야각 변화에 대한 반사율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하방향의 시야각 변화에 대하여 반사율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LCD 소자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일 반사형 LCD 소자의 광학 보상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굴절율의 개략도. 도 6b는 ny방향에서 본 광학 보상기의 개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LCD 소자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LCD 소자에서 반사율과 인가전압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LCD 소자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6, 7, 9 : 액정셀 10, 60, 70, 90 : 편광필름
11, 61, 71, 91 : 고분자 필름 12, 92 : 산란 필름층
13, 63, 73, 93 : 상측 투명기판 15a, 65a, 75a, 95a : 배향층
15b, 65b, 75b, 95b : 배향층 16. 66, 76, 96 : 투명전극
18, 68, 98 : 금속반사전극 19. 69, 99 : 하측기판
72 : 확산반사판 79 : 하측 투명기판
100 : 게이트 전극 101 : 소스선
102 : TFT 소자 103 : 드레인 전극
104 : 평탄화막 105 : 콘택트 홀
본 발명의 반사형 LCD 소자는 한쌍의 기판사이에 액정층을 갖는 액정셀과,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끼우는 하나의 기판 상에 배치된 1매의 편광필름과,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끼우는 다른 기판 상에 배치된 광 반사기를 포함하며,
상기 편광필름과 액정셀 사이에, 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광학 지연 축을 갖는 하이브리드 틸트 유형의 광학 보상기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보상기의 리타데이션(retardation)값 Rc는, 상기 액정셀에 실효전압 Von을 인가하였을 때의 상기 액정층의 리타데이션값을 Ron이라 하고, 광의 파장을 λ라고 하였을 때,
Ron + Rc = λ/4 + mㆍλ/2 (m=0,1,2...)
또는
Ron + Rc = (m+1)ㆍλ/2 (m=0,1,2...)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명백하게, 흑색에서 백색으로 무채색 변화가 가능하여, 시각에 비례하여 반사율 변화가 작은 노멀리 백색 또는 노멀리 흑색 반사형 LCD 소자를 얻을 수 있다.
광학 보상기는 굴절율 nx, ny, nz가 nx>nynz의 관계를 만족하고, 또한, ny가 광학 보상기의 면내 방향에 포함되는 포지티브 하이브리드 틸트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 보상기를 ny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nx는 광학 보상기의 일측에서 0°내지 90°, 다른측에서 60°내지 90°의 틸트각을 가지며, 그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틸트각이 변화한다. 이 구성에 의해, 반사율 특성의 시간 의존성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보상기는 굴절율 nx, ny, nz가 nxny>nz의 관계를 만족하고, 또한, ny가 광학 보상기의 면내 방향에 포함되는 네가티브 하이브리드 틸트형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보상기를 ny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nz는 광학 보상기의 일측에서 0°내지 10°, 다른측에서 60°내지 90°의 틸트각을 가지며, 그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틸트각이 변화한다. 이 구성에 의해, 반사율 특성의 시간 의존성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액정층은 정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네마틱 액정을 포함하는 바람직할 수 있고, Ron값이
10nm <Ron50nm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역시 콘트라스트가 높은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Ron값이
20nm <Ron40nm을 만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특히 콘트라스트가 높은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액정층은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네마틱 액정을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잇는데, Ron의 값이,
220nm <Ron260nm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콘트라스트가 높은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Ron값이
230nm <Ron250nm을 만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특히 콘트라스트가 높은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제1 실시예의 반사형 LCD 소자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의 반사형 LCD 소자는 액정셀(1)의 일면에, 산란 필름층(12)과, 광학 보상기(11)와, 편광필름(10)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만들어진다.
액정 셀(1)은 투명한 상측 투명기판(13)과, 하측 기판(19)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투명기판(13)에는 컬러필터층(14)과, 투명전극(16)과, 배향층(15a)이 설치되어 있다. 하측기판(19)에는 금속반사 전극(18)과, 배향층(15b)이 설치되어 있다. 배향층(15a)과 배향층(15b)의 사이에 액정이 봉입되어 액정층(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기판(19)은 투명할 필요는 없다.
상기 반사형 LCD 소자의 제조공정을 다음에 기술한다.
상측 투명기판(13) 및 하측기판(19)으로서, 무 알칼리 유리기판(예를 들면 1737:코닝사 제품)을 사용한다. 먼저, 상측 투명기판(13) 상에, 안료분산 물질을 사용하여, 적, 녹, 청의 스트라이프로 구성된 컬러필터층(14)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형성한다. 다음에, 인듐.주석.옥사이드(ITO)를 사용하여, 화소전극으로서의 투명전극(16)을 컬러필터(14) 상에 형성한다.
하측기판(19) 상에는 티탄을 80nm의 두께로 증착한 다음, 알루미늄을 200nm의 두께로 증착함으로써, 경면반사 타입의 금속반사전극(18)을 형성한다. 경면반사 타입의 금속반사전극의 경우, 배향의 균일성을 실현하기 쉬운 이점이 있다.
투명전극(16) 및 금속 반사전극(18) 상에는 폴리이미드의 γ-부틸로락톤의 5중량% 용액을 인쇄하고, 250℃에서 경화시킨다. 그 후, 소정의 트위스트각을 실현하도록, 레이욘 포를 사용한 회전 러빙법에 의해 배향처리를 행함으로서, 배향층(15a, 15b)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측 투명기판(13) 표면의 주변부에, 소정 직경의 유리섬유를 1.0중량% 혼입한 열경화성 시일 수지(예를 들면 스트럭트 본드:미츠이 도아츠 케미컬스 제품)을 인쇄한다 하측기판(19) 상에는 소정 직경의 수지 비즈를 100 - 200 비즈/mm2의 비율로 산포한다.
그리고, 상측 투명기판(13)과 하측기판(19)를 상호 접착시키고, 150℃에서 시일수지를 경화시킨 후, 액정을 이들 사이에 진공주입함으로서, 액정층(17)을 형성한다. 이 액정으로서는 굴절율 이방성 ΔnLC= 0.08의 플루오로-카본 에스테르계 네마틱 액정에, 키럴 피치가 80㎛로 되도록 키럴 액정을 혼합시킨 것을 사용한다. 액정의 주입 후, 주입구를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봉하고, 이 수지를 자외선광에 의해 경화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액정셀(1)의 상측 투명기판(13) 상에, 산란필름층(12)로서, 등방성의 전방산란 필름을 부착한다. 광학 보상기(11)를, 광학 지연 축이 소정의 각도로 되도록 산란 필름층(12) 상에 부착한다. 이어서, 뉴트랄 그레이 편광필름(스미토모 케미칼 인더스트리스 콤퍼니, 리미티드 제품 SQ-1852AP)에 사전에 안티글래어(AG) 처리 및 안티리플렉션(AR) 처리를 행한 것을, 편광필름의 흡수측이 광학 보상기(11)의 광학 지연축과 소정 각도로 되도록 광학 보상기(11) 상에 부착한다.
이 광학 보상기(11)의 리타데이션량 Rc은 액정 셀(1)에 실효전압(Von)을 인가하였을 때의 액정의 리타데이션값 Ron으로 하고, 광의 파장을 λ라고 하였을 때,
Ron + Rc =λ/4 + mㆍλ/2(m=0,1,2...)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결정한다.
또한, 이 관계는 가시범위 파장(380nmλ780nm)에서 만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m=0으로 하고, 액정셀(1)에 실효전압 Von=5V를 인가하였을 때의 액정의 리타데이션값 Ron이 40nm이므로, 광학 보상기(11)의 리타데이션값을 Rc=98nm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콘트라스트가 높은 노멀리 백색 반사형 LCD 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액정층이 정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네마틱 액정을 포함하는 경우, 콘트라스트가 높은 양호한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액정의 리타데이션값 Ron의 값은
10nm < Ron50nm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Ron값은
20nm < Ron40nm
을 만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광학 보상기(11)는 굴절율 nx, ny, nz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nx>nynz의 관계를 만족하는 정의 광학 이방성을 나타내는 일축성 광학매체로부터 구성되는 포지티브 하이브리드 틸트형이다. 광축 즉 nx의 방향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보상기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틸트되어 있다. ny의 방향은 광학 보상기(11)의 면내의 일정 방향 즉 도 2b에서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광학 보상기(11)는 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도 2b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광학 지연축을 갖는다. 또한, 이 광학 보상기(11)를 ny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nx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보상기(11)의 일면에서 틸트각이 5°, 타면에서 90°로 되어 있고, 그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틸트각이 변화하고 있다. 또한, 굴절율 nx의 틸트각은 이 값으로 한정되지 않으나, 광학 보상기의 일면에서 0°내지 10°, 타면에서 60°내지 9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광학 보상기(11)는 먼저 2매의 유리기판의 하나에 수직배향막을 제공하고, 다른 하나에는 일방향으로 회전 러빙으로 수평 배향막을 제공한다. 이어서 이들 2매의 유리기판을 부착하고, 이들 사이에 네마틱 액정을 주입한다. 이러한 유형의 광학 보상기를 이용함으로써, 흑백표시가 무채색에서 콘트라스트가 높아, 시각에 비례한 반사율 변화가 작은 노멀리 백스 반사형 LCD 소자를 실현할 수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의 유전률 이방성 Δε이 5.0인 것을 사용하고, 액정층의 두께를 dlc=3.0㎛로 하고, Δnlc.dlc=0.24㎛로 되도록, 액정셀(1)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i) 상측 투명기판(13) 및 하측기판(19) 중 하나의 기판에 가장 근접하여 있는 액정분자의 방향이 이루는 각과, ii) 상측 투명기판(13) 및 하측기판(19) 중 다른 기판에 가장 근접하여 있는 액정분자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큰 쪽의 각도의 이등분선을 기판면 내의 기준선으로서 정한다. 그리고, 상기 한 기판측으로부터 보아, 액정층(17)의 네마틱 액정이, 상기 한 기판측으로부터 상기 다른 기판측에 걸쳐 트위스트해가는 방향을 정으로 하고, 기준선과 편광 필름(10)의 흡수축의 방향이 이루는 각을 φp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선과, 광학보상기(11)의 광학 지연축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φF로 한다. 이 때에, 트위스트 각도 ΩLC=63.0°, φp=45.0°, φF로=90.0°가 달성되면, 콘트라스트가 높은 노말리 백색 반사형 LCD 소자가 얻어진다.
다음에, 이 조건에서 광학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보인다. 반사율의 측정은 완전 확산광원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반사형 LCD 소자의 반사율과 인가전압과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반사형 LCD 소자를 정면 즉 법선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 반사율은 22.1%, 콘트라스트는 22.0이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한 반사율은 표준 백색판의 반사율이 100%라고 하였을 때 백색이 LCD 소자에 표시될 때 밝기를 말하며, XYZ 색측정 시스템에서 Y값으로 변환하여 표현된다. 흑색에서 백색까지 무채색으로 변화하므로, 64계조의 컬러 표시가 가능한 것도 확인하였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예의 반사형 LCD 소자에서, 우 및 하방향으로 시각을 변화시켰을 때의 반사율의 특성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에는 4개의 계조 레벨에서 반사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극각 θ는 패넬의 법선방향을 0으로서 설정했을 때의 관찰각도이다. 우 및 하방향의 시각변화에 대하여, 60°까지 계조반전이 없이, 양호한 시각특성이 나타냈다. 또한, 특히 우방향에 관해서는 백색의 반사율의 시각 변화가 적어, 양호한 시각특성이 얻어졌다.
또한, 비교를 위해서, 본 제1 실시예의 반사형 LCD 소자로부터 컬러 필터층(14)를 제거한 반사형 LCD 소자를 제작하였는데, 정면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 콘트라스트는 23.1, 반사율은 38.1%였다.
또한, 액정의 트위스트 각 ΩLC를 변화시켜 특성을 조사하였는데, 본 실시예의 반사형 LCD 소자에서는 트위스트 각을 0°내지 90°의 범위 내로 했을 때, 양호한 특성이 얻어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트위스트 각 ΩLC을 60°내지 70°의 범위 내로 하였을 때에, 특히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반사형 LCD 소자는 산란 필름층(12)를 구비함으로써, 주위광을 집광하여 밝은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산란 필름층(12)는 액정 셀(1)의 일측만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표시화상의 블러링이 억제된다. 더욱이, 산란필름층(12)로서 전방 산란 필름을 사용함으로서, 광의 이용율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산란 필름으로서는 후방 산란 특성이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전방 산란성이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액정셀(1)을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 셀로서 하였으나, 다른 유형의 액정 셀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셀(1)로서 호모지니어스 액정셀을 사용하였을 때는 광학 보상기(11)의 리타데이션값을 Rc=107nm로 한 경우에,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과 동일하게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또한, 액정 셀(1)로서 하이브리드 얼라이먼트 네마틱 액정셀을 사용하였을 때는 광학 보상기(11)의 리타데이션값을 Rc=115nm으로 한 경우에,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과 동일하게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이상의 구성에서는 산란 필름층(12)을 광학 보상기(11)와 상측 투명기판(13)과의 사이에 배치하였다. 산란 필름층(12)을, 편광 필름(10)의 위에 배치하였을 때나, 편광필름(10)과 광학 보상기(11) 사이에 배치하였을 때에도, 동일한 특성이 얻어졌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반사전극의 재료로서 알루미늄을 사용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은을 재료로 하는 금속반사전극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제2 실시예의 반사형 LCD 소자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이 반사형 LCD 소자는 액정셀(6)의 일측 상에 광학 보상기(61)와, 편광 필름(60)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이다.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i) 산란 필름층이 없이 금속반사전극으로 산란기능을 갖게 한 것과,
ii) 광학 보상기로서 네가티브 하이브리드 틸트 유형을 사용한 것이다.
액정셀(6)은 투명한 상측 투명기판(63)과, 하측기판(69)을 갖추고 있다. 상측 투명기판(63)에는 컬러필터층(64)과, 투명전극(66)과, 배향층(65a)이 설치되어 있다. 하측기판(69)에는 금속반사전극(68)과, 배향층(65b)이 설치되어 있다. 배향층(65a)과 배향층(65b) 사이에 액정이 봉입되어 액정층(6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기판(69)은 투명할 필요는 없다.
이 반사형 LCD 소자의 제조공정은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다른 것은 하측기판(69) 상에 티탄과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두고, 더욱이 그 표면을 평균 경사각 3°내지 12°로 되도록 요철을 갖게 함으로서, 확산 반사형의 금속반사 전극(68)으로 한 것이다. 확산 반사유형의 금속반사전극을 사용하면, 확산 필름이 필요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광학 보상기(61)의 리타데이션 Rc는 액정셀(6)에 실효전압 Von을 인가하였을 때의 액정의 리타데이션값을 Ron으로 하고, 광의 파장을 λ로 하였을 때에,
Ron + Rc = λ/4 + mㆍλ/2 (m=0,1,2...)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결정한다.
또한, 이 관계는 가시 범위 파장(380nmλ780nm)에서 만족되어 있는 것이바람직하다.
여기서는 m=0으로하고, 액정셀(6)에 실효전압 Von=5V를 인가하였을 때의 액정의 리타데이션값 Ron이 33nm이었으므로, 액정 보상기(11)의 리타데이션 Rc=105nm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서, 콘트라스트가 높은 노멀리 백색 반사형 LCD 소자를 실현할 수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광학 보상기(61)는 굴절율 nx, ny, nz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nxny>nz의 관계를 만족하는 부의 광학 이방성을 나타내는 일축성 광학 매체로 구성되고, 그 광축, 즉 nz의 방향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보상기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틸트되어 있는 네가티브 하이브리드 틸트 유형이다. ny의 방향은 광학 부재기(11)의 면 내의 일정 방향 즉 도 6b에서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광학 보상기는 이의 법선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도 6b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광학 지연축을 갖는다. 또한, 이 광학 보상기(61)를 ny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보상기(61)의 일면에서 틸트각이 5°, 타면에서 90°로 틸트되어 있고, 그 사이에서는 틸트 각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굴절율 nz의 틸트각은 이 값으로 한정되지 않으나, 광학 보상기(61)의 일면에서 0°내지 10°, 타면에서 60° 내지 9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정셀(6)에서는 액정의 유전율 이방성 Δε이 4.9인 것을 사용하고, 액정층의 두께를 dLC=3.0㎛로 하였으므로, ΔnLCㆍdLC=0.24㎛로 되었다.
이 경우도, 트위스트 각도 ΩLC= 63.0°, φp=45.0°, φF=90°로 하면, 콘트라스트가 높은 노멀리 백색 반사형 LCD 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이 조건에서 광학특성을 측정하였다. 반사율의 측정은 완전 확산 광원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반사형 LCD 소자를 법선방향인 정면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 반사율은 21.7%, 콘트라스트는 21.3이었다. 또한, 흑색에서 백색까지 무채색으로 변화하므로, 64계조의 컬러표시가 가능한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각변화에 대하여, ±60°까지 계조반전이 없어, 양호한 시각특성이 얻어졌다. 또한, 특히 좌우방향 변화에 관해서는 백색 반사율의 시각변화가 적어, 양호한 시각특성이 얻어졌다.
또한, 비교를 위해서, 본 실시예의 컬러필터층(64)이 없는 반사형 LCD 소자를 제작하였는데, 정면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 콘트라스트는 22.5, 반사율은 37.4%이었다.
또한, 액정의 트위스트 각 ΩLC를 변화시켜 특성을 조사한 바, 본 실시예의 반사형 LCD 소자에서는 트위스트 각을 0° 내지 90°의 범위 내로 하면, 양호한 특성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트위스트 각 ΩLC를 60°내지 70° 범위 내로 하였을 때에, 특히 양호한 특성을 얻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액정셀(6)을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셀로 하였으나, 다른 유형의 액정셀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셀(6)로서 호모지니어스 액정셀을 사용하였을 때는 광학 보상기(61)의 리타데이션 값을 Rc=102nm로 한 경우에,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과 동일하게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또한, 액정셀(6)로서 하이브리드 얼라이먼트 네마틱 액정셀을 사용하였을 때는 광학보상기(61)의 리타데이션값을 Rc=110nm로 한 경우에,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과 동일하게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반사전극의 재료로서 알루미늄을 사용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은을 재료로 하는 금속반사전극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7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반사형 LCD 소자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반사형 LCD 소자는 광학 보상기(71)와, 편광 필름(70)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이다. 제2 실시예와 다른 점은
i) 확산 반사기(72)로서 액정셀 외부에 반사기능을 갖추게 한 것과,
ii) 광학 보상기로서 포지티브 하이브리드 틸트 유형을 사용한 것과,
iii) 액정셀이 노멀리 흑색 모드에서 동작하는 점이다.
액정셀(6)은 투명한 상측 투명기판(73)과, 하측 투명기판(79)을 갖추고 있다. 상측 투명기판(73)에는 컬러필터층(74)과, 투명전극(76)과, 배향층(75a)이 설치되어 있다. 하측 투명기판(79)에는 투명전극(78)과, 배향층(75b)이 설치되어 있다. 배향층(75a)과 배향층(75b) 사이에 액정이 봉입되어 액정층(77)이 형성되어있다.
이 반사형 LCD 소자의 제조공정은 제2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다른 것은 하측 투명기판(79) 상에 화소전극으로서 ITO로 만들어진 투명전극(78)을 형성하고, 액정셀을 완료한 후에 하측 투명기판(79) 밑에 은 확산 반사기를 확산 반사기(72)로서 적용한 것이다.
광학 보상기(71)의 리타데이션 Rc는 액정셀(7)에 실효전압 Von을 인가하였을 때의 액정의 리타데이션값을 Ron으로 하고, 광의 파장을 λ로 하였을 때에,
Ron + Rc = (m+1)ㆍλ/2 (m=0,1,2...)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결정한다.
또한, 이 관계는 가시 범위 파장(380nmλ780nm)에서 만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m=0으로하고, 액정셀(7)에 실효전압 Von=5V를 인가하였을 때의 액정의 리타데이션값 Ron이 40nm이었으므로, 액정 보상기(71)의 리타데이션 Rc=235nm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서, 콘트라스트가 높은 노멀리 흑색 반사형 LCD 소자를 실현할 수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광학 보상기(71)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포지티브 하이브리드 틸트형이다.
또한, 이 경우, 트위스트 각도 ΩLC= 63.0°, φp=45.0°, φF=90°로 하여, 콘트라스트가 높은 노멀리 흑색 반사형 LCD 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이 조건에서 광학특성을 측정하였다. 반사율의 측정은 완전 확산광원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도 8은 제3 실시예의 반사형 LCD 소자의 반사율과 인가전압과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반사형 LCD 소자를 정면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 반사율은 20.8%, 콘트라스트는 21.3이었다. 또한, 흑색에서 백색까지 무채색으로 변화하므로, 64계조의 컬러표시가 가능한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각변화에 대하여, ±60°까지 계조반전이 없어, 양호한 시각특성이 얻어졌다. 또한, 특히 좌우방향 변화에 관해서는 백색 반사율의 시각변화가 적어, 양호한 시각특성이 얻어졌다.
또한, 비교를 위해서, 본 실시예의 컬러필터층(74)이 없는 반사형 LCD 소자를 제작하였는데, 정면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 콘트라스트는 24.1, Y값으로 백색 반사율 36.8%이었다.
또한, 액정의 트위스트 각 ΩLC를 변화시켜 특성을 조사한 바, 본 실시예의 반사형 LCD 소자에서는 트위스트 각을 0° 내지 90°의 범위 내로 하면, 양호한 특성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트위스트 각 ΩLC를 60°내지 70° 범위 내로 하였을 때에, 특히 양호한 특성을 얻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액정셀(7)을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셀로 하였으나, 다른 유형의 액정셀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셀(7)로서 호모지니어스 액정셀을 사용하였을 때는 광학 보상기(71)의 리타데이션 값을 Rc=240nm로 한 경우에,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과 동일하게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또한, 액정셀(7)로서 하이브리드 얼라이먼트 네마틱 액정셀을 사용하였을 때는 광학보상기(71)의 리타데이션값을 Rc=245nm로 한 경우에,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과 동일하게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더욱이, 액정셀(7)로서, 액정의 유전율 이방성 Δε가 -5.1인 호메오트로픽 액정셀을 사용하였을 때는 광학 보상기(71)의 리타데이션값을 Rc=40nm로 한 경우에,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과 동일하게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따라서, 이와 같이 액정층이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네마틱 액정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Ron값이
220nm < Ron260nm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시 콘트라스트가 높은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Ron값이
230nm < Ron250nm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확산반사기(72)를 하측 투명기판(79)의 하방에 설치할 때에, 확산 반사기(79)를 하측 투명기판(79)에 완전 접착시키지 않고,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한다. 수지의 굴절율(약 1.6)과 공기의 굴절율(1.0)과의 차에 의해 일어나는 확산효과의 확대에 의해 보다 자연적인 시각특성을 얻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실시예에서, 은을 금속반사전극으로서 사용하였으나, 물질은 은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금속반사전극을 사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9는 제4 실시예의 반사형 LCD 소자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반사형 LCD 소자는 액정셀(9)의 일측에, 산란필름층(92)과, 광학 보상기(91)와, 편광필름(90)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이다.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i) 하측기판에 액티브 구동용의 비선형 스위칭 소자를 설치하고 있는 것,
ii) 광학 보상기(91)로서 네마티브 하이브리드 틸트 유형을 사용하고 있는 것,
iii) 액정을 노멀리 흑색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이다.
액정셀(9)는 상측 투명기판(93)과 하측기판(99)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투명기판(93)에는 컬러 필터층(94)과, 투명전극(96)과, 배향층(95a)가 설치되어 있다. 하측기판(99)에는 금속반사전극(98)과 배향층(95b)이 설치되어 있다. 배향층(95a)과 배향층(95b) 사이에 액정이 봉입됨으로써, 액정층(9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기판(99)은 투명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의 반사형 액정표시소자는 비선형 스위칭 소자에 의해 액티브 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금속반사전극(98)이 콘택트 홀(105)를 거쳐, 평탄화막(104)의 밑의 박막 트랜지스터(TFT) 소자(1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개구율이 향상되므로, 광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100은 게이트 전극, 101은 소스선, 103은 드레인 전극이다.
다음에, 상기 반사형 LCD 소자의 제조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측 투명기판(93) 및 하측기판(99)으로서는 무 알칼리 유리기판(예를 들면 1737: 코닝사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측 투명기판(93) 상에.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컬러 필름층(94) 및 투명전극(96)을 형성한다.
또한, 하측기판(99) 상에는 종래의 방법으로, 알루미늄과 탄탈로 구성되는 게이트 전극(90), 티탄과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소스전극(91) 및 드레인 전극(93)를 매트릭스상으로 배치하고, 게이트 전극(100)과 소스 전극(101)의 각 교차부에 비정질 실리콘으로 된 박막 트랜지스터(TFT) 소자(10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비선형소자를 형성한 하측기판(99) 상의 전면에, 포지티브 감광성 아크릴 수지(예를 들면, FVR:후지약품 공업 주식회사 제품)을 도포하여 평탄화막(104)을 형성한다. 이어서, 소정의 포토마스크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고, 드레인 전극(103) 상의 평탄화막(104)에, 콘택트 홀(105)을 형성한다.
그리고, 그 위에 티탄을 80nm 증착하고, 이어서 알루미늄을 200nm 증착한 것을 형성함으로써, 경면반사 형태의 금속반사전극(98)을 형성한다.
다음에, 투명전극(96) 및 금속반사전극(98) 상에,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투명전극(96) 및 금속반사전극(98)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측 투명기판(93)과 하측기판(99)을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서로 본딩한 후에, 이 사이에 액정을 주입한다. 이 액정으로서는 ΔnLC=0.08의 플루오로-카본 에스테르계 네마틱 액정에 소정 량의 키럴 액정을 혼합시킨 것을 사용한다. 액정의 주입을 완료한 후, 주입구를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봉하고, 이 수지를 자외선광 조사에 의해 경화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한 액정셀(9)의 상측투명기판(93) 상에, 산란 필름층(92)으로서, 등방성의 전방 산란 필름을 부착한다. 그 위에, 광학 보상기(91)를, 광학 지연축이 소정의 각도로 되도록 부착한다. 이어서, 뉴트랄 그레이의 편광 필름(SQ-1852AP)을 안티글래어(AG) 처리 및 안티리플렉션(AR) 처리를 실시한 것을 흡수축이, 광학 보상기(91)의 광학 지연축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부착한다.
이 광학 보상기(91)의 리타데이션 Rc는 액정셀(9)에 실효전압 Von을 인가할 때의 액정의 리타데이션값을 Ron으로 하고, 광의 파장을 λ로 하였을 때에,
Ron+Rc=(m+1)ㆍλ/2 (m=0,1,2,...)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결정한다.
또한, 이 관계는 가시 범위 파장(380nmλ780nm)에서 만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m=0으로 하고, 액정셀(9)에 실효전압 Von=5V를 인가하였을 때의 액정의 리타데이터션값 Ron이 40nm이므로, Rc=235nm로 하였다. 이에 의해, 콘트라스트가 높은 노멀리 흑색 반사형 LCD 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된 광학 보상기(91)는 이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즉 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광학 지연축을 가지며, 굴절율 nx, ny, nz가 nxny>nz의 관계를 만족하고, ny가 광학 보상기(91)의 면내 방향에 포함되어 있는 네가티브 하이브리드 틸트 유형이다. 또한, 이 광학 보상기(91)를 ny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nz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보상기(91)의 일면에서 틸트각이 5°, 반대측에서90°로 되어 있고, 틸트각은 이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한다. 굴절율 nz의 틸트각은 이들 각도로 한정되지 않으나, 광학 보상기(91)의 타면에서 0°내지 10°, 반대측에서 60° 내지 9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서도, 트위스트 각도 ΩLC=63.0°, φp=34.0°, φF=90°로 하면, 콘트라스트가 높은 노멀리 흑색 반사형 LCD 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이 조건에서 광학특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반사율의 측정은 완전 확산광원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이 측정의 결과, 본 반사형 LCD 소자는 정면에서 관찰하였을 때, 반사율이 21.1%, 콘트라스트는 24.0이었다. 흑으로부터 백까지 변화하므로, 64계조의 컬러 표시가 가능한 것도 확인하였다.
또한, 시간변화에 대하여, ±60°까지 계조반전이 없어, 양호한 시각특성이 얻어졌다. 또한, 특히 좌우방향에 관해서는 백색 반사율의 시각변화가 적어, 양호한 시각특성이 얻어졌다.
또한, 비교를 위해서, 본 실시예의 반사형 LCD 소자로부터 컬러필름층(94)을 제거한 반사형 액정표시소자를 제작하였는데, 정면에서 관찰하였을 때, 콘트라스트 24.7, 반사율은 37.1% 가 얻어졌다.
이와 같이, 액티브 구동으로 함으로서 콘트라스트가 향상되지만, 액티브 구동의 효과는 이 이외의 표시품질, 예를 들면 크로스토크의 저감, 응답속도의 향상 등에 의해 현저하게 나타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또한, 액정의 트위스트각 ΩLC을 변화시켜 특성을 조사한바, 본 실시예의 반사형 LCD 소자에서는 트위스트각을 0°내지 90°의 범위 내로 하면, 양호한 특성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트위스트 각 ΩLC을 60°내지 70°의 범위 내로 하였을 때에, 특히 양호한 특성을 얻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액정셀(9)을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셀로 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유형의 액정셀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셀(9)로서 호모지니어스 액정셀을 사용하였을 때는 광학 보상기(91)의 리타데이이션값을 Rc=240nm으로 한 경우에,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과 동일하게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또한, 액정셀(9)으로서 하이브리드 얼라이먼트 네마틱 액정셀을 사용하였을 때는 광학 보상기(91)의 리타데이션값을 Rc=245nm으로 하였을 경우에, 트위스티드 네마틱 액정과 동일하게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더욱이, 액정셀(9)로서, 액정의 유전율 이방성 Δε이 -5.0인 호메오트로픽 액정셀을 사용하였을 때는 광학 보상기(91)의 리타데이터션값을 Rc=40nm으로 한경우에, 트위스티드 네마틱 액정과 동일하게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또한, 본 실시예로 한하지 않고,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서, 한 기판 상에 TFT 등의 비선형 소자를 형성함으로, 액티브 구동의 반사형 LCD 소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비선형 소자로서는 비정질실리콘의 TFT로 한하지 않고, 2단자 소자(MIM 또는 박막 다이오드 등)이나, 폴리실리콘 TFT 등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밝고 콘트라스트가 높아, 무채색의 흑백변화가 가능하여, 시각에 의한 반사율 변화가 적은 노멀리 백색 또는 노멀리 흑색 상태로 흑백표시, 및 다계조 컬커 표시의 반사형 LCD 소자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1)

  1. 반사형 액정표시 소자에 있어서,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갖는 액정셀과,
    상기 액정층의 한 기판 상에 배치된 일매의 편광필름과,
    상기 액정층의 다른 기판 상에 배치된 광반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액정셀 사이에, 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광학 지연축을 갖는 하이브리드 틸트 유형의 광학 보상기를 구비하고, 상기 액정셀에 실효전압 Von을 인가하였을 때의 상기 액정층의 리타데이션값을 Ron이라 하고, 광의 파장을 λ라고 하였을 때, 상기 광학 보상기의 리타데이션값을 Rc은,
    Ron + Rc = λ/4 + mㆍλ/2 (m=0,1,2...); 및
    Ron + Rc = (m+1)ㆍλ/2 (m=0,1,2...)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보상기의 굴절율 nx, ny, nz가 nx>nynz의 관계를 만족하고, 또한, ny는 광학 보상기의 면내 방향에 포함되며; 상기 광학 보상기를 ny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nx는 상기 광학 보상기의 일측에서 0°내지 10°, 반대측에서 0°내지 90°의 틸트각을 가지며, 그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틸트각이 변화하는 포지티브 하이브리드 틸트 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보상기의 굴절율 nx, ny, nz가 nxny>nz의 관계를 만족하고, 또한, ny가 광학 보상기의 면내 방향에 포함되며; 상기 광학 보상기를 ny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nz는 광학 보상기의 일측에서 0°내지 10°, 반대측에서 60°내지 90°의 틸트각을 가지며, 그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틸트각이 변화하는 네가티브 하이브리드 틸트 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정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네마틱 액정을 포함하며, 상기 Ron은
    10nm < Ron50nm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on은 20nm<Ron40nm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네마틱 액정을 포함하며, 상기 Ron은 220nm<Ron260nm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Ron은 230nm<Ron250nm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셀은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셀이며, 트위스트 각도는 0°내지 90°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 각도를 60°내지 70°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셀은 호모지니어스 액정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셀은 호메오트로픽 액정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셀은 호메오트로픽 액정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셀은 하이브이드 얼라이먼트 네마틱 액정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셀의 상기 한 기판 상에 산란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필름은 상기 광학 보상기와 상기 한 기판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필름은 전방 산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수단은 상기 액정셀 내에 설치된 금속반사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반사전극은 알루미늄 및 은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반사전극은 경면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반사전극 상에 산란필름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반사전극은 입사광을 확산반사시키는 확산 반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반사면은 평균 틸트각 3°내지 12°의 요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2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판은 투명기판이며, 상기 광반사 수단은 상기 투명기판의 외측에 배치된 광반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기는 확산 반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과 상기 광반사기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2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기판 상에 컬러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2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판 상에 비선형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소자 위에 절연성의 평탄화막을 구비하고, 상기 평탄화막 상에, 상기 비선형 소자와 상기 다른 기판 상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콘택트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2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셀은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셀이며, 트위스트 각도는 0°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 각도는 6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3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셀은 하이브리드 얼라이먼트 네마틱 액정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KR1019990034990A 1998-08-24 1999-08-23 반사형 액정표시 소자 Expired - Fee Related KR100306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37662A JP2000066195A (ja) 1998-08-24 1998-08-24 反射型液晶表示素子
JP98-237662 1998-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461A KR20000017461A (ko) 2000-03-25
KR100306648B1 true KR100306648B1 (ko) 2001-11-01

Family

ID=1701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990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6648B1 (ko) 1998-08-24 1999-08-23 반사형 액정표시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71905B1 (ko)
JP (1) JP2000066195A (ko)
KR (1) KR100306648B1 (ko)
CN (1) CN1152279C (ko)
TW (1) TW4281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0125B2 (ja) * 1998-08-24 2001-12-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素子
JP2001253267A (ja) 2000-03-10 2001-09-18 Sumitomo Wiring Syst Ltd インジケータ表示用接続構造
KR100448042B1 (ko) * 2000-12-01 2004-09-10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반사형 액정 표시 소자
KR100453088B1 (ko) * 2001-01-15 2004-10-1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액정표시장치
EP1420275B1 (en) * 2001-08-24 2008-10-08 Asahi Glass Company, Limited Isolator and optical attenuator
KR100806182B1 (ko) * 2001-09-28 2008-02-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용 콜레스테릭 액정 컬러필터 및 그의제조방법
TW567360B (en) * 2002-06-28 2003-12-2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Partially light-penetrative and partially light-reflective LCD structure
US7345723B2 (en) * 2004-05-24 2008-03-18 Colorlink, Inc. LC panel compensators
US7800719B2 (en) 2006-02-17 2010-09-21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JP2012242678A (ja) * 2011-05-20 2012-12-10 Japan Display West Co Ltd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770127B2 (ja) * 2012-03-12 2015-08-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CN105549290B (zh) * 2016-02-01 2019-07-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18155262A1 (ja) * 2017-02-21 2018-08-3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CN111694191A (zh) * 2019-03-11 2020-09-22 咸阳彩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器及液晶显示系统
CN111208667A (zh) * 2020-03-13 2020-05-29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70817A3 (en) * 1990-08-09 1992-11-25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electro-optical device
JP2916331B2 (ja) * 1991-11-08 1999-07-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2892913B2 (ja) 1992-09-30 1999-05-17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3180482B2 (ja) 1992-12-08 2001-06-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ラー液晶表示装置
DE59403063D1 (de) * 1993-02-17 1997-07-17 Hoffmann La Roche Optisches Bauelement
JP3289390B2 (ja) 1993-04-19 2002-06-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3289386B2 (ja) 1993-04-12 2002-06-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H0784252A (ja) 1993-09-16 1995-03-31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3096383B2 (ja) 1993-11-25 2000-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
TW428116B (en) * 1994-05-18 2001-04-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laminated phase difference plate used for the same
JPH08136913A (ja) * 1994-11-11 1996-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反射型反強誘電性液晶表示装置
JP3031842B2 (ja) * 1995-08-04 2000-04-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DE69627556T2 (de) * 1995-11-17 2004-01-29 Fuji Photo Film Co Ltd Flüssigkristallanzeige vom hybriden Ausrichtungstyp
JP3770974B2 (ja) * 1996-09-20 2006-04-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292809B2 (ja) * 1996-09-25 2002-06-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液晶表示素子
JP3339334B2 (ja) * 1996-12-05 2002-10-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素子
TW482921B (en) * 1997-06-16 2002-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399796B2 (ja) * 1997-08-29 2003-04-2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28119B (en) 2001-04-01
KR20000017461A (ko) 2000-03-25
JP2000066195A (ja) 2000-03-03
US6271905B1 (en) 2001-08-07
CN1246635A (zh) 2000-03-08
CN1152279C (zh) 200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9334B2 (ja) 反射型液晶表示素子
US6407787B1 (en)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292809B2 (ja) カラー液晶表示素子
US6144432A (en)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306648B1 (ko) 반사형 액정표시 소자
US6373541B1 (en) Refl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KR100385691B1 (ko)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US6633352B2 (en) Refl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567149B1 (en) Reflec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273866B1 (ko)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JP3399463B2 (ja) カラ−液晶表示素子
JP3219388B2 (ja) 反射型液晶表示素子
JP2000111912A (ja) 反射型液晶表示素子
JP3361801B2 (ja) 反射型液晶表示素子
JPH07159774A (ja) 液晶表示素子
JPH11249165A (ja) Nwモード反射型tn液晶ディスプ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8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8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