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04330B1 - 다층구조를갖는인쇄특성이우수한합성지 - Google Patents

다층구조를갖는인쇄특성이우수한합성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330B1
KR100304330B1 KR1019950004126A KR19950004126A KR100304330B1 KR 100304330 B1 KR100304330 B1 KR 100304330B1 KR 1019950004126 A KR1019950004126 A KR 1019950004126A KR 19950004126 A KR19950004126 A KR 19950004126A KR 100304330 B1 KR100304330 B1 KR 100304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ynthetic paper
base material
material layer
fine pow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894A (ko
Inventor
오노아키히코
이시게아츠시
고야마히로시
아사미고이치
Original Assignee
다나베 마사히코
오지유카고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52075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0433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나베 마사히코, 오지유카고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나베 마사히코
Publication of KR950032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33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10T428/2438Co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6Void-containing component contains also a solid fiber or solid p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8Coated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per (AREA)

Abstract

융점(DSC 곡선의 피크온도)이 130 내지 210℃이고 평균 입자 크기가 0.01 내지 10㎛인 무기 미세 분말을 5 내지 40중량% 함유하는 올레핀 중합체의 이축 연신 필름을 기저 물질층(A)으로서 포함하며, 표면 조면도가 0.3 내지 1.5㎛이고 융점(DSC 곡선의 피크온도)이 기저 물질층(A)의 올레핀 중합체의 융점보다 5℃ 이상 낮은 120 내지 160℃이며 평균 입자 크기가 0.01 내지 5㎛인 무기 미세 분말을 8 내지 65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일축 연신층(B)이 기저 물질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다층 구조를 갖고, 일출 연신층(B)에 함유된 무기 미세 분말의 표면이 프로필렌계 중합체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도포되어 있는 합성지.

Description

인쇄 특성이 우수한 다층 구조의 합성지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합성지의 한 가지 양태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합성지의 한 가지 양태의 표면 상태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제3도는 통상적인 합성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제4도는 미합중국 특허 제4,318,950호에 기재되어 있는 통상적인 합성지의표면 상태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제1도와 제3도에서 A는 기저 물질층을, B도 표면층을, 1 및 2는 각각 무기미세 분말을 1'는 거대 입자를, 1"는 응집된 거대 입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인쇄 특성이 우수하며 옵셋 인쇄 잉크가 신속히 건조되고 종이 분말 문제가 감소된 다층 구조의 합성지에 관한 것이다.
합성지는 포스터지, 포장지, 라벨지 등의 재료로 서 유용하다.
천연 펄프는 제조한 종이 대신에 무기 미세 분말을 5내지 40중량% 함유하는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기저 물질층으로 하고 이의 양 표면에 적층되며 무기 미세 분말을 8 내지 65중량% 함유하는 일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종이 유사 층으로 하는 합성지가 제안되어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참고 : 미합중국 특허 제 4,318,950호, JP-B 제46-40794호, JP-B 제 60-36173호 및 JP-B 제62-35412호 등(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JP-B"란 용어는 "심사된 일본국 특허공보"를 의미한다).
적층 구조의 합성지는 무기 미세 분말을 핵으로 하여 이의 주위에 많은 미세 기공(微細 氣孔)을 갖고 표면에서 길게 균열되기 때문에, 미세 기공과 표면 균열의 핵이 되는 무기 미세 분말의 일부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제3도 참조), 무기 미세 분말이 표면층으로부터 떨어지기 쉬우며(소위 종이 분말 문제), 떨어진 무기 미세 분말이 옵션 인쇄시 블랭킷 배럴(blanket barrel)을 오염시키고 인쇄 잉크와 혼합되어 연속 인쇄 특성을 저하시키며, 컴퓨터실이나 CAD를 사용하는 제도실에서 먼지의 원인으로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접착 테이프를 합성지의 인쇄면에 점착시키고, 이이서 접착 테이프를 박리시키는 경우, 종이의 표면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인쇄 잉크가 박리된다. 따라서, 이러한 합성지는 박리지가 필요 없는 롤형 지연 라벨(감열성, 감압성 접착형 라벨)용 시트로서 적합하지 않다.
또한, 합성지를 사용하는 경우, 옵션 인쇄시의 잉크 건조가 불완전하여 더 신속한 건조가 요망되고 있다.
종이 분말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종이 유사 층과, 경우에 따라, 종이 유사 층의 표면 위에 형성되며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지 않거나 무기 미세 분말을 극소량(3중량% 이하) 함유하는 수지 필름 층으로 구성된 고광택 합성지(미국 특허 제4,663,216호) 및 무기 미세 분말을 10 내지 40중량% 함유하는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a)과 이의 한쪽 표면 위에 적층되고 표면에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지 않으며 인쇄 표면이 되는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b)으로 구성된 합성지[층(a)의 두께/층(b)의 두께는 4이상이다](JP-B 제 3-44909호)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합성지는 종이 분말 문제의 발생 방지와 표면 강도가 우수하지만, 연필 필기성이 불량하고 옵셋 인쇄 잉크의 건조가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저 물질층(1a)으로서의 일축 연신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무기 미세 분말을 8내지 65중량% 함유하는 종이 유사 층(1b)으로서의 일축 연신 열가소성 수지 필름(또한, 종이 유사 층은 비표면적인 100㎡/g 이상인 무기 미세 분말을 2중량%이상 함유한다)과 두께가 0.사용내지 2㎛인 표면층(1c)으로서의 일축 연신 스티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필름으로 구성되며 기저 물질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 위에 적층되는 적층물로 구성된 다층 수지 구조의 합성지로서, 표면층(1c)의 두께(t)가, 종이 유사 층(1b)에 존재하는 무기 미세 분말의 평균 입자 크가가 (R)로 정의되는 경우, 다음 식(1)을 만족시키는 합성지가 미합중국 특허 제4,705,719호에 제안되어 있다.
R ≥ t ≥ 1/10 × R (1)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합성지는 표면 강도, 연필 필기성, 종이 분말 문제의 발생 방지 및 그라비야 인쇄 특성이 우수하지만, 옵셋 인쇄 잉크의 건조 특성은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 강도, 인쇄 특성 및 연필 필기성이 우수하고 옵셋 인쇄 잉크가 신속히 건조되며 종이 분말 문제와 종이 공급 문제가 적은 합성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위에서 언급한 목적은 이후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라, 평균입자 크기가 0.01 내지 10㎛인 무기 미세 분말을 5 내지 40중량% 함유하고 융점(DSC 곡선의 피크온도)이 130 내지 210℃인 올레핀 중합체의 이축 연신 필름을 기저 물질층(A)으로서 포함하며, 평균 입자 크기가 0.01 내지 5㎛인 무기 미세 분말을 8 내지 65중량% 함유하고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가 0.3 내지 1.5㎛이며 융점(DSC 곡선의 피크 온도)이 기저 물질층(A)의 올레핀 중합체의 융점보다 5℃ 이상 낮은 120 내지 160℃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일축 연신층(B)이 기저 물질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다층 구조를 갖고, 일출 연신층(B)에 함유된 무기 미세 분말의 표면이 프로필렌계 중합체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도포되어 있는 합성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합성지의 표면을 형성하는 일축 연신층(B) 속의 무기 미세 분말의 표면을 수지로 도포되어, 종이 분말 문제의 발생이 방지되며, 옵셋 잉크의 건조 특성은 표면 조도에 기인하여 신속하고, 일축 연신층(B)의 조도에 기인하여 연필 필기가 가능하다.
이제부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저 물질층]
본 발명의 다층 구조를 갖는 합성지의 기저 물질층(A)은 융점(DSC 곡선의 피크 온도)이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210℃이고 평균 입자 크기가 0.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8㎛인 무기 미세 분말을 5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35중량% 함유하는 올레핀 중합체 필름의 이축 연신층이다. 이 층은 이축 연신시켜 형성된 미세 기공을 다음식(2)로 나타낸 공극율로 5 내지 55%의 다량으로 함유하는 올레핀 중합체의 이축 연신 필름이므로, 이 층은 합성지의 중량을 저하시키는 데 기여한다.
공극율(%) = (ρ0-ρ)/ ρ0x 100 (2)
상기 식에서
ρ0는 연신 전의 필름의 밀도이고,
ρ는 연신 후의 필름의 밀도이다.
기저 물질층과 배합되는 무기 미세 분말로서의 탄산칼슘, 산화티탄, 소성 클레이, 규조토, 탈크, 황산바륨, 황산알루미늄, 실리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저 물질층용 올레핀 중합체로서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폴리(4-메틸펜텐-1),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4-매틸펜텐-1)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합체 중에서 융점(DSC 곡선의 피크 온도)이 160 내지 174℃이고 용융 지수(JIS K7210)가 0.5 내지 10g/10min이며 결정화도가 30 내지 70%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기저 물질층의 두께는 2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이다.
[표면층]
표면층은, 평균 입자 크기가 0.0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인 무기 미세 분말을 8 내지 65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5중량% 함유하는 융점(DSC 곡선의 피크 온도)이 기저 물질층을 구성하는 올레핀 중합체의 융점보다 5℃이상 낮은 120 내지 160℃인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4 내지 0.970g/㎤)의 일축 연신 필름이고, 무기 미세 분말의 표면은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도포되어 있다. 이의 표면 조도 Ra(JIS B0602)는 0.3 내지 1.5㎛이다.
표면 조도가 0.3㎛ 미만인 경우, 표면 평활도가 증가하여, 잉크의 건조 특성이 저하되고, 합성지를 적층시키는 경우, 뒷묻음(set-off)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표면 조도가 1.5㎛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 불균일성이 너무 커져서 인쇄 후에 잉크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불균일면의 오목부에 축적되어 표면이 인쇄되는 경우(배면 인쇄). (종이의 전면의 잉크가 종이의 배면에 나타나는) 소위 고스트(ghost)가 발생하기 쉽다.
일축 연신층(B)의 표면 평활도[베크 지수(Bekk index)](JIS P8119)는 바람직하게는 500sec 미만이며, 이의 광택(JIS P8142 ; 각도 :60°) 은 바람직하게는 20%미만이다.
무기 미세 분말로서는, 평균 입자 크기가 0.01 내지 10㎛인 소성 클레이, 규조토, 탈크, 황산바륨, 황산알루미늄, 실리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는, 주성분으로서의 프로필렌과 에틸렌, 부텐-1, 헥센-1, 펜텐-1, 4-메틸펜텐-1 및 3-메틸펜텐-1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체는 랜덤형 또는 블록형일 수 있다.
일축 연신층의 두께는 대부분 2 내지 60㎛가 적합하며, 2 내지 5㎛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층으로서의 일축 연신층에 종이 유사 촉감을 부여하기 위해, 무기 미세 분말을 8내지 55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수지의 일축 연신층이 일축 연신층(B)과 기저 물질층(A)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일측 연신층(B)에 종이 유사 촉감을 부여하기 위해 일측 연신층(B)과 기저 물질층(A) 사이에 존재하는 일축 연신층을 위한 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4-메틸펜텐-1)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축 연신층(B)에 종이 유사 촉감을 부여하기 위해 일축 연신층(B)과 기저물질층(A) 사이에 존재하는 일축 연신층과 혼합되는 무기 미세 분말로서는 탄산칼슘, 산화티탄, 소성 클레이, 규조토, 탈크, 황산바륨, 황산알루미늄 및 실리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기저 물질층(A)은 연신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저융점 수지 30중량% 미만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합성지의 제조]
본 발명의 합성지는 기저 물질층(A)용 수지 조성물을 먼저 용융 혼련시키고, 혼련된 조성물을 시트 형태로 압출시킨 다음, 압출된 시트를 롤 그룹의 원주 속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기계방향으로 원래 길이의 4내지 7배로 연신시키고, 이어서 표면층의 수지 조성물(B)을 용융 혼련시키고, 이를 연신 시트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시트 형태로 적층시킨 다음, 적층물을 기저 물질층용 올레핀 중합체의 융점보다 5 내지 35℃ 낮고 표면층용 폴리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융점보다 3℃ 이상 높은 온도에서 텐터(tenter)를 사용하여 횡방향으로 원래 너비의 4 내지 12배로 연신시키고, 이어서 열처리한 다음, 이를 냉각시켜 수득한다.
연신 후에, 기저 물질층은 결정 배향되고, 표면층은 용융 배향되며, 표면층에 어떠한 공극도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합성지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35 내지 300㎛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옵셋 인쇄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표면층(B)의 일축 연신층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거나, 폴리에틸렌아민, 폴리(에틸렌이민-우레아) 및 폴리아민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에틸렌이민 부가 생성물 및 폴리아민폴리아미드 등의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 생성물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하도제(primer)와 3급 또는 4급 질소 함유 아크릴계 수지를 일축 연신층(B)의 표면에 도포할 수 있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실제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지만, 이를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층 구조를 갖는 합성지의 제조 실시예]
[실시예1]
(1) 용융 지수(MI)가 0.8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용융 피크 온도: 164℃ : 용융 종료 온도 : 174℃) 80중량%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8중량%와의 혼합물을 평균 입자 크기가 1.5㎛인 탄산칼슘 12중량%와 혼합하여 수득한 조성물(A)를 270℃로 유지된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혼련시키고, 다이로부터 시트 형태로 압출시킨 다음, 냉각 롤을 사용하여 냉각시켜 미연신 시트를 수득한다. 시트를 140℃로 가열한 후, 시트를 롤 그룹의 원주 속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기계방향으로 원래 길이의 5배로 연장시킨다.
(2) MI가 10.0g/10min인 에틸렌-프로피렌 랜덤 공중합체(용융 피크 온도: 140℃ : 용융 종료온도 : 150℃ : 에틸렌 함량 : 2.0중량%) 53중량%, 말레산 0.5중량% 함유하는 말레산 변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2중량% 및 평균 입자 크기가 1.5㎛인 탄산칼슘 44.5중량%을 혼합하여 수득한 조성물(B)를 270℃로 유지된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혼련시킨다. 또한, MI가 4.0g/10min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용융 피크 온도 164℃ : 용융 종료 온도 : 178℃) 50중량%와 평균 입자 크기가 1.5㎛인 탄산칼슘 50중량%을 혼합하여 수득한 조성물(C)를 270℃로 유지된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혼련시킨다. 용융 혼련 조성물(B)와 용융 혼련 조성물(C)를 압출 다이로 동시에 공급한다. 용융 혼련 조성물(B)와 용융 혼련 조성물(C)를 다이 속 적층시킨 후, 적층 조성물을 다이로부터 동시에 압출시키고, 이렇게 하여 수득한 동시 압출 시트를 위의 단계(1)에서 수득한 5배 연신된 시트(A)의 한 면 위에 적층시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층(B)이 외부면이 되도록 한다.
이이서, 유사히게 압출시킨 조성물(B)와 조성물(C)를 다른 동시 압출 다이속에 적층시켜, 5배로 연신되고 그 위에 적층돈 시트(A)의 반대면에 동시에 압출시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층(B)이 외부층이 되도록 한다.
5층 적층 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처리하여, 각각의 필름의 두께가 5/25/70/25/5㎛인 (B)/(C)/(A)/(C)/(B)의 5층 구조를 갖는 합성지를 수득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고밀도 폴리에틸렌(용융 피크 온도 : 129℃ : 용융 종료 온도 : 136℃) 53중량%, 말레산 변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중량% 및 평균 입자 크기가 1.5㎛인 탄산칼슘 4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일축 연신층용 수지 조성물(B) 대신에 사용하여 5층 구조의 합성지를 수득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에틸렌-프로피렌 랜덤 공중합체(용융 피크 온도 : 140℃ ; 용융 종료 온도 : 151℃; 에틸렌 함량: 2.0중량%) 35중량%.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용융 피크 온도 : 164℃ : 용융 종료 온도 : 174℃) 18중량%. 말레산 변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2중량% 및 평균 입자 크기가 1.5㎛인 탄산칼슘 4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일축 연신층용 수지 조성물(B) 대신에 사용하여 5층 구조의 합성지를 수득한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평균 입자 크기가 1.2㎛인 탄산칼슘 대신에 평균 입자 크기가 0.8㎛인 탄산칼슘을 일축 연신층용 수지 조성물(B)에 사용하여 5층 구조의 합성지를 수득한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MI가 4g/10min인 에틸렌-프로피렌 랜덤 공중합체(용융 피크 온도: 147℃ ; 에틸렌 함량 : 1.5중량%) 53중량%, 말레산 0.5중량%인 말레산 변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2중량% 및 평균 입자 크기가 1.5㎛인 탄산칼슘 44.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이축 연신층용 수지 조성물(B) 대신에 기저 물질층으로서 사용하여 5층 구조의 합성지를 수득한다.
[비교실시예 1]
실시에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MI가 4.0g/10min인 프로필렌 단독합체(용융 피크 온도: 164℃ : 용융 종료 온도 : 174℃)를 일측 연신층용 조성물(B)에서의 에틸렌-프로피렌 랜덤 공중합체 대신에 사용하여 5층 구조를 갖는 합성지를 수득한다.
[비교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평균 입자 크기가 1.5㎛인 탄산칼슘 대신에 평균 입자 크기가 6㎛인 탄산칼슘을 일축 연신층 조성물(B)에 사용하여 5층 구조의 합성지를 수득한다.
[비교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에틸렌-프로필렌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용융 피크 온도 : 164℃) 26.5중량%, 말레산 변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2중량% 및 평균 입자크기가 1.5㎛인 탄산칼슘 4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일축 연신층용 조성물(B) 대신에 사용하여 5층 구조의 합성지를 수득한다.
[평가]
(1) 무기 미세 분말의 수지 도포의 관찰
실시예와 비교실시예서 수득한 각각의 합성지의 표면을 전자 현미경(2000배율)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합성지 속의 무기 미세 분말의 전체 도면이 도포된 경우(제1도 및 제2도 참조). "도포됨"으로 평가하는 반면, 합성지 속의 무기 미세 분말의 일부만이 도포된 경우(제3도 및 제4도 참조), "도포되지 않음"으로 평가한다. 제1도와 제3도에서, A는 기저 물질층을 나타내고, B는 표면층을 나타내며, 1과 2는 각각 무기 미세 분말을 나타내고, 1는 거개 입자를 나타내며, 1"는 응집된 거대 입자를 나타낸다.
(2) 평활도 : JIS P8119의 방법으로 평가
(3) 표면 조도 : JIS B0602의 방법으로 평가
(4) 광택 :JIS P8142(각도: 60°)의 방법으로 평가
(5) 인쇄 특성의 평가
합성지를 각각 612CD형 인쇄기[제조원 : 하마다 프린팅 프레스 캄파니, 리미티드(Hamada Printing Press Co., Ltd.)]와 옵셋 인쇄 잉크 Best SP[상표명, 제조원 : 티 앤드 케이 도카 캄파니, 리미티드(T & K TOKA Co., Ltd.), 암청색(또는 인디고색)]를 사용하여 인쇄하고, 다음 항목에 대해 분석한다.
(5-1) 종이 분말 문제의 분석
1000매의 샘플 시트를 계속 인쇄하고, 블랭킷 배럴의 백색도를 육안으로 분석한다.
평가 등급 :
5 : 백화되지 않음.
4 : 거의 백화되지 않음.
3 : 다소 백화되었지만 백색도는 문제를 야기하는 수준이 아님.
2 : 종이 분말 문제를 야기하는 수준으로 백화됨.
1 : 종이 분말 문제를 야기하도록 상당히 백화됨.
(5-2) 옵셋 인쇄 잉크의 건조 특성 :
1000매의 합성지를 612CD형 인쇄기(제조원 : 하마다 프린팅 프레스 캄파니, 리미티드)와 옵셋 인쇄 잉크 Best SP(상표명, 제조원 : 티 앤드 케이 도카 캄파니, 리미티드, 암청색)를 사용하여 계속 인쇄하고, 인쇄물을 적층된 상태로 방치한 다음, 소정의 시간에 샘플링을 수행하여 건조 상태를 평가한다.
평가 등급 :
5 : 매우 신속함.
4 : 신속함.
3 : 신속하지는 않지만 문제점을 야기하는 수준임.
2 : 문제점을 야기하는 정도로 상당히 느림.
1 : 매우 느림.
(5-3) 잉크 접착성 :
감압성 접착 테이프[셀로 테이프(Cello-Tape), 제조원:니치반 캄파니, 리미티드(Nichiban Company, Ltd.)]를 각각의 인쇄물에 적용시켜 박리시험을 수행하고, 잉크의 부착도를 분석한다.
평가 등급 :
5 : 매우 강함. 박리되지 않음.
4 : 강함. 5/100 미만으로 박리됨
3 : 보통임. 문제점을 야기하는 수준(5/100 내지 15/100로 박리됨).
2 : 약함. 20/100 이상 박리됨.
1 : 매우 약함, 인쇄 표면이 박리됨.
(6) 연필 필기 특성
합성지 위에 200g의 공구력으로 두 줄의 직선을 연필[HB(즉, 단단한 흑색). #9800. 제조원 : 미쓰비시 펜슬 캄파니, 리미티드(Mitsubishi Pencil Co., Ltd.)]로 교차하여 긋고, 연필 필기 특성의 정도를 평가한다.
평가 등급 :
가능 : 충분한 밀도로 선을 그을 수 있음.
불가능 : 공구력이 증가하는 경우조차도 충분한 밀도로 선을 그을 수 없음.
수득된 결과는 다음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표 1]
위의 표에서
(A) : 무기 미세 분말의 도포 상태
Ctd : 도포됨; Unctd : 도포되지 않음
(B) 평활도(JIS P8119). Sec.: 초
(C) 표면 조도(JIS B0602)
(D) 광택(JIS P8142; 각도 60°)
(E) 종이 분말 문제
(F) 옵셋 인쇄 잉크의 건조 특성
(G) 옵셋 인쇄 잉크의 부착성
(H) 연필 필기 특성; Pos.: 가능,
샘플 번호 1 내지 5 : 본 발명의 샘플
샘플 번호 C-1 내지 C-3 : 비교 실시예
위의 표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성지에 있어서 합성지에 함유된 무기 미세 분말의 표면은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잘 도포되어, 옵셋 인쇄시 종이 분말 문제의 발생이 적어짐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적절한 불균일성이 각 합성지의 표면에 형성되어 산화성 중합에 의해 건조되는 잉크의 건조가 촉진되며, 또한 적층 상태에 있는 인쇄된 합성지의 뒷묻음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을 이의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평균입자 크기가 0.01 내지 10㎛인 무기 미세 분말을 5 내지 40중량% 함유하고 융점(DSC 곡선의 피크온도)이 130 내지 210℃인 올레핀 중합체의 이축 연신 필름을 기저 물질층(A)으로서 포함하며, 평균 입자 크기가 0.01 내지 5㎛인 무기 미세 분말을 8 내지 65중량% 함유하고 융점(DSC 곡선의 피크 온도)이 기저 물질층(A)의 올레핀 중합체의 융점보다 5℃ 이상 낮은 120 내지 160℃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가 0.3 내지 1.5㎛인 일축 연신층(B)이 기저 물질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다층 구조를 갖고, 일출 연신층(B)에 함유된 무기 미세 분말의 표면이 프로필렌계 중합체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도포되어 있는 합성지.
  2. 제1항에 있어서, 기저 물질층(A)의 올레핀 중합체가, 융점이 160 내지 174℃이고 용융 지수가 0.5 내지 10g/10min이며 결정화도가 35 내지 70%인 합성지.
    기저 물질층의 두께는 2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일축 연신층(B)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합성지.
  4. 제1항에 있어서, 일축 연신층(B)의 두께가 2 내지 60㎛이고, 기저 물질층의 두께가 20 내지 200㎛인 합성지.
  5. 제1항에 있어서, 기저 물질층(A)이, 공극율이 5 내지 55%인 미세 기공을 갖는 합성지.
  6. 제1항에 있어서, 기저 물질층(A) 속의 무기 미세 분말이 10 내지 3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무기 미세 분말의 평균 입자 크기가 0.05 내지 8㎛인 합성지.
  7. 제1항에 있어서, 표면층(B) 속의 무기 미세 분말이 15 내지 5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무기 미세 분말의 평균 입자 크기가 0.05 내지 3㎛인 합성지.
  8. 제1항에 있어서, 무기 미세 분말을 8 내지 55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수지의 일축 연신층(C)을 추가로 포함하고, 일축 연신층(C)가 기저 물질층(A)와 일층 연신층(B) 사이에 존재하는 합성지.
  9. 제1항에 있어서, 기저 물질층(A)가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인 합성지.
  10. 제1항에 있어서, 일축 연신층(B)의 표면 광택이 20% 미만인 합성지.
  11. 제1항에 있어서, 일축 연신층(B)의 표면 평활도가 500sec 미만인 합성지.
KR1019950004126A 1994-05-30 1995-02-28 다층구조를갖는인쇄특성이우수한합성지 Expired - Fee Related KR100304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781794A JP3773273B2 (ja) 1994-05-30 1994-05-30 印刷性に優れた積層構造の合成紙
JP94-137817 1994-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894A KR950032894A (ko) 1995-12-22
KR100304330B1 true KR100304330B1 (ko) 2001-12-28

Family

ID=1520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41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4330B1 (ko) 1994-05-30 1995-02-28 다층구조를갖는인쇄특성이우수한합성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67872A (ko)
EP (1) EP0685331B2 (ko)
JP (1) JP3773273B2 (ko)
KR (1) KR100304330B1 (ko)
CN (1) CN1057729C (ko)
DE (1) DE69507538T3 (ko)
TW (1) TW31035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201B1 (ko) * 2006-11-28 2009-10-29 김철환 가구표면재 및 실내 장식용 인테리어 시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822A (ja) * 1996-06-20 1998-01-13 Oji Yuka Synthetic Paper Co Ltd 印刷性の良好な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GB2321875A (en) * 1997-02-08 1998-08-12 Hoechst Trespaphan Gmbh Polymeric films having voided core layer
US6054218A (en) 1998-05-08 2000-04-25 Glopak Inc. Paper like sheet of plastic material
WO1999059813A1 (fr) 1998-05-20 1999-11-25 Oji-Yuka Synthetic Paper Co., Ltd. Film etire en resine thermoplastique
US20030129373A1 (en) * 1999-10-13 2003-07-10 Migliorini Robert A. Heat-sealable multilayer white opaque film
US6951683B2 (en) 2001-07-25 2005-10-04 Avery Dennison Corporation Synthetic paper skins, paper and label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800363B2 (en) * 2001-08-30 2004-10-05 Toray Plastics, Inc. Polyolefin oil resistant film using porous particles
US6855411B2 (en) * 2001-09-26 2005-02-15 Toray Plastics (America), Inc. Polyolefin oil resistant film using void initiating solid particles
US20030089450A1 (en) * 2001-11-06 2003-05-15 Lin Allen Fong-Chin Manufacturing method for improving the yield and production rate of biaxial-oriented polypropylene pearly synthetic paper
FI20020629A7 (fi) * 2002-04-02 2003-10-03 Walki Wisa Oy Tulostus- tai painoalusta
US6787217B2 (en) 2002-10-29 2004-09-07 Exxonmobil Oil Corporation Thermoplastic film label composite with a printable, untreated, cavitated surface
JP2004149651A (ja) * 2002-10-30 2004-05-27 Sumitomo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体
WO2007136911A2 (en) * 2006-05-18 2007-11-29 Petoskey Plastics, Inc. Vapor dispersible plastic film with paint adherence and cling
WO2006125087A2 (en) * 2005-05-18 2006-11-23 Petoskey Plastics, Inc. Vapor dispersible plastic film paint adherence and cling
EP1938968B1 (en) 2005-08-23 2011-09-28 Yupo Corporation Resi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rinted matter, label and resin molded article
JP4887098B2 (ja) * 2005-08-23 2012-02-29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樹脂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印刷物、ラベル及び樹脂成形品
US20100003463A1 (en) * 2006-05-18 2010-01-07 Petoskey Plastics, Inc. Vapor dispersible plastic film with paint adherence & cling
ATE499209T1 (de) * 2007-09-25 2011-03-15 Exxonmobil Chem Patents Inc Weisse undurchsichtige folien mit verbesserten zug- und sperreigenschaften
US20100003431A1 (en) * 2008-07-02 2010-01-07 John Raybuck Composite materials
WO2010004002A1 (en) * 2008-07-09 2010-01-14 Dsm Ip Assets B.V. Functional sheet
CN102971144B (zh) * 2010-06-30 2015-04-08 优泊公司 易剥离性薄膜、模内成型用标签、带标签的树脂成型品、壁纸、不干胶标签以及带标签的容器
JP5461614B2 (ja) 2011-05-31 2014-04-02 株式会社Tbm 無機物質粉末高配合薄膜シートの製造方法
CN103890120B (zh) 2011-10-19 2016-11-09 优泊公司 水活化片材、使用该片材的水活化标签、该标签的制造方法、使用该标签的标签粘贴装置和带有该标签的被粘物
US9061451B2 (en) * 2012-09-13 2015-06-23 Nan Ya Plastics Corporation Quick-drying print and environmental-friendly biaxially orientated polypropylene synthetic paper
CN104448790B (zh) * 2014-12-16 2017-04-12 湖南科技大学 一种高固墨型合成纸的制备方法
JP6960244B2 (ja) * 2016-05-31 2021-11-05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樹脂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ポスター用印刷基材
US10532544B2 (en) * 2017-09-11 2020-01-14 Premier Material Concepts, Llc Weather resistant thermoformed articles
JP7480151B2 (ja) * 2018-12-28 2024-05-09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積層構造体およびそれを組み込む可撓性パッケージ材料
US11890840B2 (en) 2018-12-28 2024-02-0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Laminate structures and flexible packaging materials incorporat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40794B1 (ko) * 1968-03-26 1971-12-02
JPS5090644A (ko) * 1973-12-17 1975-07-19
JPS56141339A (en) * 1980-04-08 1981-11-05 Oji Yuka Gouseishi Kk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light resistance
JPS5725953A (en) * 1980-07-22 1982-02-10 Toray Industries Multilayer laminated polypropylene film
US4705719A (en) * 1985-06-05 1987-11-10 Oji Yuka Goseishi Co., Ltd. Synthetic paper of multilayer resin films
US4971950A (en) * 1988-06-20 1990-11-20 Oji Paper Co., Ltd. Support sheet for thermal transfer image-receiving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4986866A (en) * 1989-12-15 1991-01-22 Oji Yuka Goseishi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synthetic label paper
JP2930633B2 (ja) * 1989-12-21 1999-08-03 王子油化合成紙株式会社 感熱記録紙用支持体
EP0511562B1 (en) * 1991-04-19 1996-07-10 Oji Yuka Goseishi Co., Ltd. Lid of container and container for instant foods using the same
US5091236A (en) * 1991-05-14 1992-02-25 Mobil Oil Corporation Multi-layer high opacity film structures
JP3142602B2 (ja) * 1991-07-03 2001-03-07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ラベルの付着した中空容器の製造方法
JPH05169806A (ja) * 1991-12-24 1993-07-09 Oji Yuka Synthetic Paper Co Ltd 感熱記録紙
DE9300963U1 (de) 1993-01-25 1993-06-17 Hoechst Ag, 65929 Frankfurt Siegelfähige, opake, biaxial orientierte Polypropylen-Mehrschichtfoli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201B1 (ko) * 2006-11-28 2009-10-29 김철환 가구표면재 및 실내 장식용 인테리어 시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07538T2 (de) 1999-06-17
CN1119988A (zh) 1996-04-10
KR950032894A (ko) 1995-12-22
EP0685331B2 (en) 2005-11-23
EP0685331A1 (en) 1995-12-06
TW310350B (ko) 1997-07-11
US5667872A (en) 1997-09-16
DE69507538T3 (de) 2006-07-06
JP3773273B2 (ja) 2006-05-10
JPH07314622A (ja) 1995-12-05
DE69507538D1 (de) 1999-03-11
CN1057729C (zh) 2000-10-25
EP0685331B1 (en) 1999-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330B1 (ko) 다층구조를갖는인쇄특성이우수한합성지
EP0559189B1 (en) Laminated resin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4070329B2 (ja) 支持体および熱転写画像受容体
JP2001505145A (ja) 高い二軸延伸の高密度ポリエチレンフィルム
KR20010040889A (ko) 라벨
US6287684B1 (en) Transparent label
EP2558292A1 (en) Labels
EP1097805A1 (en) Stretched film of thermoplastic resin
CA2226770C (en) Polymeric films
WO2003067561A1 (en) Label for in-mold molding
KR100431012B1 (ko) 감압성접착라벨
WO2002076733A1 (en) Synthetic paper
CA2040718C (en) Heat-shrinkable polypropylene film with improved printability
EP0593080B1 (en) A print-laminated product
EP2094482B1 (en) Labels
JPH043904B2 (ko)
JPH08332690A (ja) 複合積層樹脂フィルム
JP3589534B2 (ja) 結束紐
US5629072A (en) Pressure-sensitive transfer delivery sticker slip
JPH11348192A (ja)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
JPH08142286A (ja) 複層構造の合成紙
JP3941404B2 (ja) 電子写真用転写シート
JP2003181969A5 (ko)
JP2624508B2 (ja) 高光沢の複層樹脂フイルム
JP2023138365A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6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0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