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906B1 - 콩나물의자동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콩나물의자동재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02906B1 KR100302906B1 KR1019980020483A KR19980020483A KR100302906B1 KR 100302906 B1 KR100302906 B1 KR 100302906B1 KR 1019980020483 A KR1019980020483 A KR 1019980020483A KR 19980020483 A KR19980020483 A KR 19980020483A KR 100302906 B1 KR100302906 B1 KR 1003029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supply
- drainage
- cultivation
- box
-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0)
- 여러층으로 배치될 수 있는 재배상자(4)와, 급배수량제어에 의한 수위조절기능과 수위자동평형기능을 가지며 동시에 용수를 순환할 수 있는 급배수시스템(7)을 갖춘 콩나물의 자동재배장치에 있어서,재배상자(4)는 겹쳐쌓아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상자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이 상자바깥쪽의 한쪽에 급배수구 외접용 프러그(43)가 볼록하게 마련되어 있고, 바닥부 외주에는 겹쳐쌓았을 때 위치를 결정하는 상자바닥의 볼록테두리(44)가 마련되고, 이 상자의 열린부분의 외주에는 림(41)이 형성되고, 내부 바닥에 여러개의 같은 높이의 공간유지용 돌조(42)가 마련되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의 일부가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이 바깥쪽으로 돌출한 부분의 내측에 안쪽으로 오목한 부(45)가 형성되고, 이 안쪽으로 오목한 부(45)의 바닥 근처에 훅구멍(47)을 갖는 고정좌(46)가 형성되어있는 것과,압력덮개(1)는 물과 공기를 통과시키고, 직사각형의 상자모양을 이루며 이 상자 내부가 일체로 형성된 여러개의 보강리브(11)로 격자모양으로 칸이 막혀지며 보강리브(11)로 칸이 막힌 각 격자의 안쪽 바닥면에 여러개의 구멍(12)이 마련되고, 상기 압력덮개(1)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 외측 각각에 2개의 훅시트(13)가 마련되며, 이 훅시트(13)에 일정한 탄성신축 인장력을 갖는 탄성환상밴드(15)가 결합되어있는 것과,콩의 착상에 이용되는 격자모양 콩받이 망판(2)은 상기 압력덮개(1)의 아래쪽으로 감합되어 재배셋트를 조성하는 것으로, 그 바닥부에 상기 압력덮개(1)에 형성된 격자와 대칭으로 배치된 여러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진 평편한 망형상의 착상망(21)이 마련되고, 이 격자모양 콩받이 망판(2)은 일체로 형성되며, 격자모양으로 칸막는 상기 리브의 높이는 콩이 잠겨 팽창한 후의 높이로 되어있는 것과,상기 압력덮개(1)의 탄성환상밴드(15)와 재배상자(4)의 고정좌(46)의 결합 또는 이탈조작에 이용되는 탄성환상밴드 착탈기(3)를 구비하고, 하나의 수직 조작레버(31)의 하단양측에 일정한 거리를 갖는 양쪽으로 걸치는 판(32)이 마련되며, 양측의 걸치는 판(32) 바닥에 대칭으로 오목한 원호형상의 위치결정 요입홈(33)과 원호형상의 밴드를 푸는 볼록부(34)가 형성되어있는 것과,프로그램방식의 정확한 급배수량의 전자제어에 의해 수위조절기능과 수위자동평형기능을 갖으며 또한 용수를 순환할 수 있는 급배수시스템(7),으로 구성된 콩나물의 자동재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압력덮개(1)의 훅시트(13)의 바깥쪽에 보호작용을 하는 보호편(14)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의 자동재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압력덮개(1)에 결합된 탄성환상밴드(15)가 탄성을 갖는 고무로 제조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의 자동재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압력덮개(1)에 결합된 탄성환상밴드(15)가 탄성인장력을 갖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의 자동재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탄성환상밴드 착탈기(3)가 전 자동화 설비안에서 방향전환 기기의 암을 파지하여 수동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의 자동재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재배상자(4)의 급배수구 외접용 프러그(43)의 안쪽에 급배수공을 갖춘급배수홈(431)이 일체로 성형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의 자동재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재배셋트의 설치를 마친 재배상자(4)가 자동화 기기로 파렛트(8)에 쌓아올려진 후에 콘베어벨트로 재배포인트로 이송되어 자동화재배가 행해지도록 되어있고, 이 재배포인트에 급배수시스템(7)이 설치되는 한편 이 급배수시스템(7)이 재배상자(4)에 마련된 급배수구 외접용 프러그(43)에 연결되며, 이 급배수시스템(7)은 장방형으로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고 구형을 이루어 겹쳐 쌓인 재배상자(4)를적재하도록 설치된 재배상자 설치프레임(71)을 주골격체구조로 하고, 이 재배상자 설치프레임(71)의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를 행하는 각 하나의 다리에 조정식 다리받침(712)이 마련됨과 동시에 좌우양측에 대칭으로 기압실린더(711)가 마련되며, 이 기압실린더(711)의 신축봉이 재배상자 설치프레임(71)의 양측의 안쪽에 마련된 급배수연결프레임(72)의 보강조(722)와 결합되고, 급배수 연결프레임(72)이 공중에 고정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재배상자설치프레임(71)의 상단에 위치하는 윗덮개(77)는 횡방향다리(771)을 가지고, 이 횡방향다리(771)에 상응하는 적당한 간격으로 아래쪽에 수직으로 기압실린더(711)가 마련되며 또한 이 수직인 기압실린더(711)의 신축봉이 수평으로 놓여진 압박덮개판(772)에 결합되고, 겹쳐쌓여진 재배상자(4)를 윗덮개(77)의 압박덮개판(772)이 기압실린더(711)의 작용에 의해 겹쳐쌓여진 재배상자(4) 아래쪽으로 압박함으로써 재배상자(4)가 안정적으로 위치결정됨과 동시에 압박덮개판(772)에 의해 상층의 재배상자(4)가 차폐되고, 급배수 연결프레임(72)의 프레임안에 다리위치결정구(721)가 가로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고정되어 2개의 급배수 커넥터(74)사이의 연결에 이용되며, 급배수 연접관로(73)는 한쪽에 마련된 수직의 주급수관(731)의 바닥의 급수단이 호스의 급수연접호스(75)에 연접하여 물을 끌어모으고, 수직인 주급수관(731)에 수평으로 연접하는 급수지관(732)의 앞단에 급수제어유니트(733)가, 뒷단에 배수제어유니트(734)가 마련되며, 급배수 커넥터(74)의 주골격체(741)부분으로 뻗은 급수지관(732)이 3방급수헤드(735)에 연접하며 이 3방급수헤드(735)를 통해 양쪽의 급수지관(732)이 연접되고, 급수통로를 형성하는 외에 3방급수헤드(735)의 바깥으로 볼록한 형상의 연접헤드(736)에 하나의 짧은 급수연접호스(737)가 연접되며 그 반대쪽의 급배수 커넥터(74)의 2방연접헤드(744)의 급배수지관(738)에서 배출되는 물은 여과기로 여과된 후에 순환사용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의 자동재배장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급배수시스템(7)의 급배수 연접관로(73)의 급수제어유니트(733)와 배수제어유니트(734)는 압력조절밸브, 전자밸브 등의 관련 제어부품을 제어하여 급수지관(732)의 급수시간, 급수압력 및 배수시간과 배수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의 자동재배장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급배수시스템(7)의 급배수 커넥터(74)가 하나의 주골격체(741), 하나의 T형의 축봉(742), 하나의 스프링(743) 및 하나의 2방연접헤드(744)를 구비하며, 주골격체(741)의 상단에는 바깥으로 돌출하여 오목한 입구 형상을 이루는 감합홈(7411)이 형성되고, 그 바로 밑에 연접하는 부분의 한쪽에 축봉(742)이 관통하는 관통공(7412)이 마련되며, 이 관통공(7412)과 반대쪽으로 위치결정 볼록관(7413)이 마련되고, 주골격체(741)의 감합홈(7411)과 반대의 바닥에 양측이 대층형상을 이루는 바깥으로 볼록한 형상의 결합부(7414)가 마련되며, 그것이 나머지 한 쌍의 급배수 커넥터(74)의 감합홈(7411)과 감합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이 결합부(7414)에 인접하는 면에 U모양의 훅(7415)이 마련되어 급배수 연접관로(73)의 급수지관(732)을 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2방연접헤드(744)의 한쪽에 고정볼록관(7441)이 마련되어 스프링(743)이 장착되고, 이 스프링(743)의 나머지 한쪽끝이 위치결정 볼록관(7413)에 감합되며, 축봉(742)이 관통공(7412)에 삽입되어 각각을 관통한 후 고정볼록관(7441)으로 삽입되고, 2방연접헤드(744)의 연접단(7443)의 중공의 안쪽에 고무재질의 가스겟(745)이 끼워지며 이 2방연접헤드(744)의 하단에 경사지게 급배수 연접헤드(7442)가 마련되고, 급수지관(732)으로부터 뻗은 급수연접호스(737)의 일단과 연접되어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콩나물의 자동재배장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급배수시스템(7)의 급배수 프레임(72)안의 다리위치결정구(721)가 H모양의 스틸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의 자동재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20483A KR100302906B1 (ko) | 1998-06-03 | 1998-06-03 | 콩나물의자동재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20483A KR100302906B1 (ko) | 1998-06-03 | 1998-06-03 | 콩나물의자동재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0712A KR20000000712A (ko) | 2000-01-15 |
KR100302906B1 true KR100302906B1 (ko) | 2001-09-22 |
Family
ID=1953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20483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2906B1 (ko) | 1998-06-03 | 1998-06-03 | 콩나물의자동재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0290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3286B1 (ko) * | 2013-10-02 | 2015-02-13 | 주식회사 톨트리디자인 | 등수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관수저류장치 |
KR102134743B1 (ko) | 2020-04-29 | 2020-07-16 | 이케이 주식회사 | 수생식물 재배장치 |
KR20230119338A (ko) | 2022-02-07 | 2023-08-16 | 이케이 주식회사 | 수생식물 재배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386459B (zh) * | 2016-12-12 | 2022-03-29 | 江苏省海洋水产研究所 | 一种紫菜养殖模拟装置 |
CN114303921B (zh) * | 2021-12-30 | 2023-06-27 | 贵州神农米业有限公司 | 一种水稻育种用高发芽率育种装置 |
-
1998
- 1998-06-03 KR KR1019980020483A patent/KR10030290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3286B1 (ko) * | 2013-10-02 | 2015-02-13 | 주식회사 톨트리디자인 | 등수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관수저류장치 |
KR102134743B1 (ko) | 2020-04-29 | 2020-07-16 | 이케이 주식회사 | 수생식물 재배장치 |
KR20230119338A (ko) | 2022-02-07 | 2023-08-16 | 이케이 주식회사 | 수생식물 재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0712A (ko) | 2000-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2025B1 (ko) | 식물 재배 장치 | |
NZ196085A (en) | Seedling pot:depending converging strips | |
AU2016365988A1 (en) | Hydroponic culture member and hydroponic culture method | |
TW201628490A (zh) | 垂直種植生機塔 | |
KR20140081651A (ko) |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 |
US6035578A (en) | Efficient edible-sprouts culturing structure with all-stage sprouts culturing units and water-saving feeding/draining system enabling automatic recycling water balance in the sprouts culturing units | |
WO2019093410A1 (ja) | 水耕栽培装置、および、水耕栽培方法 | |
KR200327215Y1 (ko) |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 |
KR102026448B1 (ko) | 수경재배기 | |
JPH09248083A (ja) | 植物の栽培方法及び植物栽培装置 | |
KR100302906B1 (ko) | 콩나물의자동재배장치 | |
KR100921605B1 (ko) | 재배효율을 향상시킨 수평형 작물 재배장치 | |
KR100979343B1 (ko) | 식물재배장치 | |
JP5259330B2 (ja) | 育苗箱ホルダー | |
JP3012593B2 (ja) | モヤシの自動栽培装置 | |
CN108522255B (zh) | 一种活体蔬菜一体化生产消费方法及种植活动托盘装配 | |
US6367191B1 (en) | Method of sawdust-based cultivation of shiitake (Cortinellus shiitake) and a cultivation water tank used for the method | |
RU88246U1 (ru) | Лоток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и аэрогидроп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 |
KR20090020887A (ko) | 다단식 식물재배기 | |
KR101739775B1 (ko) | 수경 재배 장치 | |
JPH07121190B2 (ja) | 移動式作物栽培装置及び方法 | |
KR101402744B1 (ko) | 무벤치 저면매트를 이용한 원예작물 수경 재배 장치 및 그 방법 | |
JP4365976B2 (ja) | 植物の栽培装置 | |
JPH02195826A (ja) | 水耕栽培方法と水耕栽培パネル | |
JP3514713B2 (ja) | 栽培用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60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707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7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