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상분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기물과 유기 고분자간에 실란커플링제를 이용하여 무기물 네트워크와 유기 고분자 사슬을 공유결합으로 연결시켜줌으로서 높은 투명성을 갖는 무-유기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하기 구조식 1로 나타낼 수 있는 무-유기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는 일반식 3으로 나타내거나 시판되는 실리카 졸이나 테트라에톡시실란(알드리치사)과 같은 무기물 전구체를 메탄올이나 에탄올과 같은 저급알콜 바람직하게는1N 염산-에탄올 용액으로 0∼90℃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1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동안 용해시킨 후, 산이나 염기촉매하에서 물을 첨가하여 0∼90℃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1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동안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이 일어난 상태로 구조식 2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용액을 건조시키면 이들 미 반응물이 축합반응을 더 일어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실란 전구체만을 사용하게 되면 과량의 수용액하에서 반응하기 때문에 수용액 상에서 충분한 축합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건조시 높은 온도하에서는 폴리비닐알콜이 분해되어 착색되는 현상을 나타냄으로써 분자량이 큰 무기물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들 실란 전구체에 티타늄이나 알루미늄 전구체들을 리간드와 반응시켜 사용하게되면 이들 전구체가 촉매 역할을 함으로서 축합반응이 더 잘 일어나 분자량이 큰 무기물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산촉매로는 유기산이나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는데 유기산으로는 아세트산, 포름산, 브로모아세트산, 클로로아세트산, 플루오로아세트산, α-클로로프로피온산, o-프루오로벤조산, 히드록시아세트산, 락트산(lactic acid), 살리실산, 타르탄산(tartaric acid), 파라톨루인산, 폴리인산 또는 피로인산을 사용할 수 있고 무기산으로는 인산, 황산, 염산, 질산, 요오드산, 주석산 또는 과염소산을 사용할 수 있다. 염기 촉매로는 가성소다, 암모니아,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n-부틸아민, 디-n-부틸아민, 트리-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이미다졸, 피리딘 또는 과염소산 암모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유기 공중합체의 유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계면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증점제 또는 레벨링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 구조식 1 > < 구조식 2 >
ML(OR4)nR5 mXp s
< 일반식 3 >
상기에서 R1은 H 또는 F이며, Q는 H, F 또는 알데히드나 에스테르 그룹을 가진 탄화수소, R2는 탄소수 1-22개인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R3, R4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기 이거나 이들 그룹이 산촉매하에서 가수분해된 수소원자이며, R5은 탄소수가 1-22개이며 산소, 질소, 황 등의 헤테로 원자를 한 개 이상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M은 중심원자로 Ti, Zr, Si, Al, Cs, W, Ge 또는 Ta를 가진다(n+m=3∼5), L은 코디네이션 수로서 4∼6을 나타내며, X는 킬레이트 리간드를 나타내며 P=1 또는 2(P=0일 경우 M=Si, Cs, Ge), S는 리간드의 킬레이트 능력에 대응, 2(bidentate) 또는 3(tridentate)이다. x, y, z는 몰분율로 x=0.5∼0.99, y=0.01∼0.2, z=0∼0.5를 나타내며 x, y, z의 합은 1을 만족시킨다. a, b,c는 중량 퍼센트로서 a는 전체중량의 0.001∼10%이며 b와 c는 0.1∼50%이다. d와 e는 2 또는 3/2이다. M1또는 M2는 중심금속을 나타내며 Ti, Zr, Si, Al, Cs, W, Ge 또는 Ta을 한 개 이상 포함한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1,2-디메틸프로필기, n-헥실기, 시클로헥실기, 1,3-디메틸부틸기, 1-이소프로필프로필기, 1,2-디메틸부틸기, n-헵틸기, 1,4-디메틸펜틸기, 2-메틸-1-이소프로필프로필기, 1-에틸-3-메틸부틸기, n-옥틸기, 2-에틸헥실기, 3-메틸-1-이소프로필부틸기, 2-메틸-1-이소프로필부틸기, 1-t-부틸-2-메틸프로필기 n-노닐기, 이소시아노프로필기, 스틸릴기, 비닐기, 아릴기, 클로로알릴기, 사이클로헥센닐기와 같은 탄화수소기;
메톡시메틸기, 메톡시에틸기, 에톡시에틸기, 프로폭시에틸기, 부톡시에틸기, 메톡시에톡시에틸기, 에톡시에톡시에틸기, 디메톡시메틸기, 디에톡시메틸기, 디메톡시에톡시 및 디에톡시에틸기와 같은 알콕시알킬기;
클로로메틸기, 2,2,2-트리클로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기와 같은 할로겐화알킬기;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sec-부톡시, t-부톡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들 수 있다.
구조식 2의 폴리비닐알콜-실란커플링제는 본 발명자들에 의한 1999년 1월 23일자 한국특허출원 제99-2073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일반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는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은 공지된 방법(미합중국 특허 제 4,438,039호 또는 Dagobert Hoebbel, Thomas Reinert, Helmet Schmidt, Journal of Sol-Gel Science and Technology, 10, 115-126, 1997)에 따라 제조하거나 킬레이트 리간드와 알콕시실란 화합물의 혼합용액에서 1N 염산-에탄올 용액의 산촉매로 가수분해 후 반응성을 저하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 3의 무기물 전구체로는 중심금속이 실란, 티타늄, 지르코늄, 알루미늄, 세슘 또는 텅스텐의 금속산화물을 이용하며 이들 금속산화물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무기물 전구체의 예로는 티타늄 테트라에톡사이드, 티타늄 테트라프로폭사이드, 티타늄 테트라부톡사이드, 지르코늄 테트라에톡사이드, 지르코늄 테트라프로폭사이드, 지르코늄 테트라부톡사이드, 알루미늄 트리에톡사이드, 알루미늄 트리프로폭사이드, 알루미늄 트리부톡사이드, 텅스텐 헥사에톡사이드, 텅스텐 헥사메톡사이드, 텅스텐 헥사프로폭사이드, 세슘 테트라메톡사이드, 세슘 테트라에톡사이드, 세슘 테트라프로폭사이드, 탄탈늄 펜타메톡사이드, 탄탈늄 펜타에톡사이드, 탄탈늄 펜타프로폭사이드, 게르마늄 테트라메톡사이드, 게르마늄 테트라에톡사이드, 게르마늄 테트라프로폭사이드,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프로폭시실란, 테트라부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프로폭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비닐디메톡시에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N-(3-아크릴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N-(3-아크릴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디메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디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디프로폭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DIAMO),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부톡시실란,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에틸렌트리아민(TRIAMO), 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프로폭시실릴프로필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부톡시실릴프로필디에틸렌트리아민, 2-글리시독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2-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에톡시실란, 2-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2-글리시독시에틸에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에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에틸디에톡시실란, 2-글리시독시프로필에틸디에톡시실란, 2-글리시독시에틸프로필디메톡시실란, 2-(3,4-에톡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2-(3,4-에톡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2-클로로프로필트리부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또는 3-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이다. 한편, 이들 무기물 전구체 대신 실리카, 보헤마이트,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또는 타이타니아의 금속산화물 입자를 이용할 수 있다.
실란 화합물을 제외한 금속산화물 전구체들은 반응성이 좋기 때문에 하기 구조식 4로 나타낼 수 있는 킬레이트 리간드와 함께 사용한다.
< 구조식 4 >
R6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로서 일가 탄화수소이며, R7은 수소, 알킬, 할로알킬, 아실기로부터 선택된 탄소수 8 이하이거나 R6과 함께 탄소수 12 이하인 치환된 사이클로 알킬기를 나타내며 이들 화합물은 클로로기, 니트로기, 아실기, 시아노기 또는 카르복시 에스테르로 치환된 기를 하나이상 포함할 수 있다. R8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로서 할로겐기, 시아노기, 아미노기로 치환된 탄소수 8 이하인 탄화수소이거나 화학식 OR9로 표현될 수 있다. R9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로서 탄소수 8 이하인 탄화수소를 나타내거나 폴리에테르(polyether) 또는 에테르기를 포함한 일가 탄화수소를 나타낸다.
구체적인 킬레이트 리간드의 예로는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토아세테이트, i-부틸아세토아세테이트, 펜틸아세토아세테이트, 헥틸아세토아세테이트, 헵틸아세토아세테이트, 옥틸아세토아세테이트,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디-n-부톡사이드 모노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디-i--프로폭사이드 모노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 아세틸아세톤 또는 벤조일아세톤을 이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폴리비닐알콜-실란커플링제 제조
폴리비닐알콜(평균 분자량=89,000∼98,000, 검화도 99%이상, 알드리치사) 12.5g을 중량비로 5% 용액이 되게 증류수 237.5g에 넣고 80℃에서 3시간동안 반응시켜 용해하고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여기에 실란커플링제로 3,3-디에톡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0.625g(폴리비닐알콜 중량대비 5%)을 에탄올 20㎖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한다. 첨가 후 침전된 폴리비닐알콜을 용해시키기 위해 80℃에서 3시간동안 반응시켜 용해시킨 후 0.01N 황산 용액 5㎖를 넣고 80℃에서 3시간동안 반응시켜 폴리비닐알콜-실란커플링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폴리비닐알콜-실리카-티타늄 산화물로 구성된 무-유기 공중합체 제조
15㎖ 에탄올에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알드리치사) 0.4㎖와 테트라에틸올소실리케이트(TEOS, Si(OEt)4,알드리치사) 1.8g을 용해시킨 용액에 티타늄 이이소프로폭사이드(Ti(OiPr)4, 알드리치사) 0.2g을 넣고 상온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킨다. 여기에 1N 염산 에탄올 용액 1㎖를 적가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키고 증류수 5㎖를 1㎖씩 5번 나눠 5시간씩 반응시키고 10㎖ 증류수를 추가로 첨가한 후 1시간동안 반응시킨다. 그런 다음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비닐알콜(10g)- 실란커플링제 (0.5g, 폴리비닐알콜대비 5% 중량비)에 넣고 상온 대기압하에서 3시간동안 반응시켜 무-유기 공중합체 용액을 제조한다.
< 실시예 3 > 폴리비닐알콜-알킬실리카-티타늄 산화물로 구성된 무-유기 공중합체 제조
테트라에틸올소실리케이트 대신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PTS, 알드리치사) 1.8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곤 실시에 2와 같은 방법으로 무-유기 공중합체 용액을 제조한다.
< 실시예 4 > 산성 촉매하에서 제조한 폴리비닐알콜-실리카 공중합체 제조.
테트라에틸올소실리케이트 2.5g(폴리비닐알콜 대비 20% 중량비)을 에탄올 30㎖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0.01N 황산 30㎖를 넣고 3시간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비닐알콜-실란커플링제 용액 270㎖에 넣고 80℃에서 3시간동안 반응시켜 폴리비닐알콜-실리카 공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 염기 촉매하에서 제조한 폴리비닐알콜-실리카 공중합체 제조
테트라에틸올소실리케이트 2.5g(폴리비닐알콜 대비 20% 중량비)을 에탄올 30㎖에 용해시킨 후 이것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비닐알콜-실란커플링제 용액 270㎖에 넣고 암모니아수(알드리치사)를 적가하여 pH=10이 되도록 만든 다음 상온에서 3시간동안 반응시켜 폴리비닐알콜-실리카 공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 폴리비닐알콜-실리카 공중합체 제조
실리카 졸 2.40g(알드리치사, SiO230% 수용액, 폴리비닐알콜 대비 20% 중량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곤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폴리비닐알콜-실리카 공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7 > 폴리비닐알콜-알킬실리카 공중합체 제조
메틸트리에톡시실란(MTES) 2.5g(폴리비닐알콜 대비 20% 중량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곤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폴리비닐알콜-알킬실리카 공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폴리비닐알콜 수용액 제조
폴리비닐알콜(평균 분자량=89,000∼98,000, 검화도 99%이상, 알드리치사) 12.5g을 중량비로 5% 용액이 되게 증류수 237.5g에 넣고 80℃에서 3시간동안 반응시켜 용해시켰다. 이것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에탄올 20㎖와 0.01N 황산 용액 5㎖를 넣고 80℃에서 3시간동안 반응시켜 폴리비닐알콜 용액을 제조한다.
< 비교예 2 > 폴리비닐알콜-실리카 산화물 복합재료 제조
미합중국 특허 제 4,016,129호 및 제 5,134,021호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테트라에틸올소실리케이트 2.5g(폴리비닐알콜 대비 20% 중량비)을 에탄올 30㎖에 녹인후 여기에 0.01N 황산 30㎖를 넣고 3시간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다. 이 반응 혼합물에 5% 폴리비닐알콜 수용액 250㎖에 넣고 80℃에서 3시간동안 반응시켜 폴리비닐알콜-실리카 산화물 복합재료 용액을 제조하였다.
< 시험예 1 >
무-유기 공중합체의 성분 변화에 따른 수분 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7과 비교예 2의 방법을 이용하고 아래의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한 무-유기 공중합체 용액 50㎖를 지름 8.5cm인 패트리디쉬에 넣고 대기압, 50℃에서 24시간동안 건조한 후, 90℃에서 24시간 더 건조하였다. 물에 대한 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무-유기 공중합체를 60℃ 물에 1시간동안 침지시킨 후 90℃에서 24시간동안 건조시켰으며 물에 담그기 전후의 무게를 측정하여 손실무게(%)를 하기 표 1(Ⅰ)(Ⅱ)에 각각 기재하였다.
표 1(Ⅰ). 무-유기 공중합체의 수분 저항성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5% 폴리비닐알콜 수용액(㎖) |
50 |
50 |
50 |
실란커플링제(g) |
0.125 |
0.125 |
0.125 |
촉매양 |
0.01N 황산 1㎖ |
0.01N 황산 1㎖ |
0.01N 황산 1㎖ |
무기물 전구체 |
Ti(O-i-Pr)4; 50㎎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45㎕TEOS; 0.45g |
Ti(O-i-Pr)4; 50㎎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45㎕GPTS; 0.45g |
TEOS; 0.5g |
무-유기 공중합체의 무게(g) |
2.131 |
2.147 |
1.961 |
60℃ 물에 1시간동안 담근후 무게감소(%) |
3 |
2.5 |
10 |
표 1(Ⅱ). 무-유기 공중합체의 수분 저항성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비교예 2 |
5% 폴리비닐알콜수용액(㎖) |
50 |
50 |
50 |
50 |
실란커플링제(g) |
0.125 |
0.125 |
0.125 |
- |
촉매양 |
25% NH4OH0.1㎖ |
0.01N황산 1㎖ |
0.01N황산 1㎖ |
0.01N황산 1㎖ |
무기물 전구체 |
TEOS; 0.5g |
실리카졸 30% 수용액; 0.48g |
MTES; 0.5g |
TEOS; 0.5g |
무-유기 공중합체의 무게(g) |
2.115 |
1.974 |
2.045 |
1.925 |
60℃ 물에 1시간 동안 담근후 무게감소(%) |
10.5 |
7 |
12 |
23 |
< 시험예 2 >
무-유기 공중합체의 성분 변화에 따른 친수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시예 2∼7과 비교예 2의 방법을 이용하고 아래의 표 2의 조성으로 제조한 무-유기 공중합체 용액을 20×20cm의 아크릴판에 붓고 대기압, 50℃에서 24시간동안 건조한후, 60℃에서 24시간동안 더 건조하여 필름화 하여 50∼100㎛ 정도의 두께로 유리판에 밀착시켰다. 필름의 친수성을 측정하기 위해 물방울을 떨어뜨린 후 30초 후에 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표 2. 무-유기 공중합체의 접촉각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6 |
실시예 7 |
비교예 2 |
폴리비닐알콜 수용액(%) |
5 |
5 |
5 |
5 |
5 |
5 |
5 |
실란커플링제(PVA 대비 중량%) |
10 |
3 |
5 |
5 |
5 |
5 |
- |
무기물 전구체(PVA 대비 중량%) |
- |
TEOS 10% |
TEOS 20% |
silica sol 20% |
Ti(O-iPr)42%, TEOS 18% |
MTES 20% |
- |
접촉각(。) |
64±3 |
40±4 |
45±3 |
42±4 |
44±5 |
68±2 |
36±4 |
< 시험예 3 >
무-유기 공중합체의 성분 변화에 따른 흡습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7과 비교예 2의 방법을 이용하고 아래의 표 3의 조성으로 제조한 무-유기 공중합체 용액 40㎖를 지름 8.5cm인 패트리디쉬에 넣고 대기압하 5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후, 90℃에서 24시간 더 건조하였다. 흡습성을 측정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무-유기 공중합체를 12℃ 물에 24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꺼내서 휴지로 공중합체 표면의 물을 제거한 후 물에 담그기 전후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실험 오차를 줄이기 위해 5번 실시한 값을 평균하여 손실무게(%)를 하기 표 3(Ⅰ)(Ⅱ)에 각각 기재하였다.
표 3(Ⅰ). 무-유기 공중합체의 흡습성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5% 폴리비닐알콜수용액(g) |
40 |
40 |
40 |
40 |
40 |
실란커플링제(PVA 대비 중량%)(g) |
5 |
5 |
5 |
5 |
5 |
무기물 전구체(PVA 대비 중량%)(g) |
- |
TEOS;5 |
TEOS; 20 |
MTES; 20 |
GPTS; 20 |
시 료 무 게(g) |
1.81 |
1.685 |
1.691 |
1.77 |
1.868 |
흡 습 률(%) |
158 |
155 |
122 |
145 |
122 |
표 3(Ⅱ). 무-유기 공중합체의 흡습성
|
실시예 7 |
비교예 2 |
5%폴리비닐알콜 수용액(g) |
40 |
40 |
실란커플링제(PVA 대비 중량%)(g) |
5 |
- |
무기물 전구체(PVA 대비 중량%)(g) |
Ti(OiPr)4;2, GPTS; 18 |
- |
시 료 무 게(g) |
1.845 |
1.914 |
흡 습 률(%) |
131 |
169 |
< 시험예 4 >
무-유기 공중합체의 성분 변화에 따른 흐림도와 투광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시예 2∼7과 비교예 2의 방법을 이용하고 아래 표 4의 조성으로 제조한 무-유기 공중합체 용액을 20 ×20cm의 아크릴판에 붓고 대기압, 50℃에서 24시간동안 건조한 후 60℃에서 24시간동안 더 건조하여 필름화 하였다. 필름의 흐림도를 측정하기 위해 ASTM D 1003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투광도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투과하여 측정하였으며 이들의 측정값을 아래의 표 4(Ⅰ)(Ⅱ)에 나타내었다.
표 4(Ⅰ). 무-유기 공중합체의 흐림도와 투광도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폴리비닐알콜(수용액 대비 중량%) |
5 |
5 |
5 |
5 |
실란커플링제(PVA 대비 중량%) |
10 |
3 |
5 |
5 |
무기물 전구체(PVA 대비 중량%) |
- |
TEOS 10% |
TEOS 20% |
silica sol 20% |
필름두께(㎛) |
77 |
69 |
30 |
48 |
흐 림 도(%) |
2.1 |
0.8 |
1.3 |
3.2 |
투 광 도(%) |
91.8 |
91.7 |
91.9 |
91.8 |
표 4(Ⅱ). 무-유기 공중합체의 흐림도와 투광도
|
실시예 6 |
실시예 7 |
비교예 1 |
비교예 2 |
폴리비닐알콜(수용액 대비 중량%) |
5 |
5 |
5 |
5 |
실란커플링제(PVA 대비 중량%) |
5 |
5 |
- |
- |
무기물 전구체(PVA 대비 중량%) |
Ti(O-iPr)42%, TEOS 18% |
MTES 20% |
- |
TEOS 20% |
필름두께(㎛) |
118 |
61 |
80 |
69 |
흐 림 도(%) |
4.2 |
1.4 |
6.2 |
12.1 |
투 광 도(%) |
90.2 |
93.3 |
90.4 |
89.8 |
< 시험예 5 >
무-유기 공중합체를 물에 침지한 전후의 공중합체 무게 손실계수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와 비교예 1, 2에서 제조한 무-유기 공중합체 용액을 20 ×20cm의 아크릴판에 붓고 대기압, 5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후 다시 60℃에서 24시간 동안 더 건조하여 필름화 하였다. 제조된 필름을 1 ×3㎝의 크기로 절단한 다음 DMTA 장비(DMTA-MARK-4, Rheo Metric Scientifics사)를 이용하여 1 Herz, 분당 3℃ 속도로 0℃에서 150℃ 온도 범위에서 물에 침지한 후의 공중합체 무게 손실계수를 측정하였으며 이들의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