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00371B1 - 키보드장치 - Google Patents

키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371B1
KR100300371B1 KR1019970039924A KR19970039924A KR100300371B1 KR 100300371 B1 KR100300371 B1 KR 100300371B1 KR 1019970039924 A KR1019970039924 A KR 1019970039924A KR 19970039924 A KR19970039924 A KR 19970039924A KR 100300371 B1 KR100300371 B1 KR 10030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op
lever
keyboard device
arm por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858A (ko
Inventor
가즈또시 와따나베
쓰요시 나루사와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8001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37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 H01H3/125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using a scissor mechanism as stabil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종래의 키보드 장치에서는, 제 1 레버부의 아암부는 두갈래형을 이루면서, 그 단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걸림부에 거는 것이기 때문에, 아암부 및 돌출부 강도가 약하고, 키톱의 단부를 눌렀을 때, 키톱은 크게 휘어 크게 기울어져, 조작성이 나쁜데다 이 큰 기울어짐에 수반하여 돌출부의 슬라이드 홈 내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되지 않아 조작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또는 제 2 레버부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아암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아암부의 단부에는 이들 단부를 결합시키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이 연결부를 지지부재 또는 키톱의 걸림부에 거는 구성에 의해, 아암부의 단부 강도가 높아지고, 아암부의 휨을 작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키톱의 누름시, 기울어짐이 작아지고, 조작성이 양호한 키보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보드 장치
본 발명은, 워드프로세서, 퍼스널 컴퓨터 등 입출력 기기에의 사용에 최적인 키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종류의 입출력 기기에 사용되는 키보드 장치는 도5-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체 (도시하지 않음) 를 설치한 절연기판 (50) 상에, 구멍 (51a) 을 갖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판형의 스페이서 (51) 를 통해, 회로(도시하지 않음) 를 설치한 가요성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기판 (52) 을 설치하여 스위치부가 형성된다.
또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53) 는, 구멍을 갖는 2 개의유지부 (53a) 와, 슬라이드 홈 (53b) 을 갖는 2 개의 걸림부 (53c) 와, 상기 형성된 구멍부 (53d) 를 구비하고, 이들 부재로 한조를 이루는 것이 복수개 형성됨과 동시에, 이 지지부재 (53) 는 상기 스위치 기판 (52) 상에 설치되어 있다.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대략 H 형을 한 제 1 레버부 (54) 는, 그 양단에 원헝의 돌출부 (54a,54b) 를 구비한 한쌍의 아암부 (54c,54d) 를 갖고 있으며, 또한, 중앙부에는 바깥쪽에 돌출된 축 부재 (54e) 를 갖고 있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 (54b) 는 각각 지지부재 (53) 의 걸림부 (53d) 에 걸려 슬라이드 홈 (53d) 내를 지지부재 (53) 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제 2 레버부 (55) 는, 그 양단에 원형의 돌출부 (55a,55b) 와, 이 돌출부 (55a 와 55b)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55c) 를 갖고 있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 (55a) 는 지지부재 (53) 의 유지부(53a) 의 구멍에 삽입되고, 또한, 오목부 (55c) 에는 상기 제 1 레버부 (54)의 축 부재 (54e) 를 끼워, 제 1, 제 2 레버부 (54,55) 는 회전운동 가능하게 교차형으로 조합된다.
또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키톱 (56) 은 그 이면측에, 구멍을 갖는 2 개의 유지부 (56a) 와, 슬라이드 홈 (56b) 을 갖는 2 개의 걸림부 (56c) 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 (56a) 에는 상기 제 1 레버부 (54) 의 돌출부 (54a) 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또한 상기 걸림부 (56c) 에는 상기 제 2 레버부(55) 의 돌출부 (55b) 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됨으로써, 키톱 (56) 이 제 1, 제 2 레버부 (54,55) 상에 부착된다.
또, 절연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돔형의 탄성체 (57) 는, 상기 지지부재(53) 의 구멍부 (53d) 내에 위치한 상대에서 상기 스위치 기판 (52) 상에 설치되어 있고, 탄성체 (57) 의 선단은 키톱 (56) 이면에 맞닿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제 1, 제 2 레버부 (54,55), 이 레버부 (54,55)에 부착된 키톱 (56) 및 탄성체 (57) 는 스위치부상에 복수의 행마다 복수개 배열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키보드 장치에서, 키톱 (56) 을 누르면, 먼저, 축 부재 (554e) 를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레버부 (54,55) 의 돌출부 (54a,55a) 는 유지부 (53a,56a) 에서 회전운동하고, 또, 돌출부(54b,55b) 는 슬라이드 홈 (53b,56b) 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제 1, 제 2 레버부 (54,55) 는 하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키톱 (56) 도 하방으로 이동하고, 그리고, 탄성체 (57) 가 키톱 (56) 에 의해 눌려, 돔형의 탄성체 (57) 가 반전되었을 때, 이 탄성체 (57) 에 의해 스위치 기판 (52) 이 눌려지고, 스위치 기판 (52) 상의 회로 접점이 절연기판 (50) 상의 도전체와 접촉되어 스위치가 ON으로 된다.
그런 후에, 키톱 (56) 으로의 누름을 해제하면, 탄성체 (57) 의 탄성에 의해, 제 1, 제 2 레버부 (54,55) 및 키톱 (56) 은 누름전 상태로 눌려 복귀됨과 동시에, 탄성체 (57) 에 의해 눌린 스위치 기판 (52) 은 자기 복원력으로 원상태로 복귀되고 절연기판 (50) 과의 접촉이 떨어져, 스위치는 OFF 상태로 된다.
그리고, 키톱 (56) 으로의 조작자의 누름은 일정치 않아, 키톱 (56) 의 단 (端;도 6 에서 상하의 부분) 이 눌렸을 때,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갈래형 아암부 (54d) 및, 그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 (54b) 는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크게휘어지고,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Y또는Z)로 크게 기울어져, 이 큰 기울어짐은 키톱 (56) 의 기울어짐으로 되고, 조작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종래의 키보드 장치에서는, 제 1 레버부 (54) 의 아암부 (54d) 는 두갈래형을 이루고, 또한, 그 단부에 돌출부 (54b) 를 형성하여 걸림부 (53c) 에 걸리는 것이므로, 아암부 (54d) 및 돌출부 (54b) 의 강도가 약하고, 키톱(56)의 단부를 눌렀을때, 키톱(56)은 크게휘어 크게기울어져, 조작성이 나쁜데다 이 큰 기울어짐에 수반하여 돌출부 (54b) 가 슬라이드 홈 (53b) 내에서 원활히 슬라이딩 되지 않아 조작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 제 1 레버부 (54) 의 돌출부 (54b) 는 지지부재 (53) 상에 놓이기 때문에, 지지부재 (53) 의 두께 만큼 높아져 박형화에 문제가 있었다.
도1은 본발명의 키보드장치의 평면도.
도2는 본발명의 키보드장치의 요부단면도.
도3은 본발명의 키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2의 신A-A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본발명의 키보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5는 종래의 키보드 장치의 요부단면도.
도6은 종래의 키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5의 선B-B에 따른 단면도.
도7은 종래의 키보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자체 S : 키 스위치
2 : 절연기판 3 : 스페이서
3a : 구멍 4 : 스위치 기판
5 : 지지부재 5a : 유지부
5b : 슬라이드 홈 5c : 걸림부
5d : 구멍 6 : 제 1 레버부
6a : 돌출부 6b : 아암부
6c : 연결부 6d : 완재
6e : 연장부 6f : 공동부
6g : 축 부재 7 : 제 2 레버부
7a : 돌출부 7b : 돌출부
7c : 오목부 8 : 키톱
8a : 유지부 8b : 슬라이드 홈
8c : 걸림부 8d : 이면
8e : 볼록부 9 : 탄성체
9a : 몸통부 9b : 볼록부
9c : 오목부 9d : 정상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수단으로, 키톱과, 일단이 지지부재의 걸림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고, 타단이 상기 키톱의 유지부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유지된 제 1 레버부와,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유지부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타단이 상기 키톱의 걸림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된 제 2 레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과 제 2 레버부는 축 부재에 의해 교차형으로 조합되어, 상기 제 1 또는 상기 제 2 레버부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에, 간격을두고 형성된 아암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아암부의 단부에는 이들 단부를 결합시키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이 연결부를 상기 지지부재 또는 키톱의 걸림부에 걸리게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2수단으로서, 상기연결부에는 그 타단에 연결한 연장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연결부를 스위치 기판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키보드장치의 일실시예를 도1-도4에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장치의 상자체 (1)에는 복수의 행마다 복수의 키 스위치 (S) 가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각 키스위치(S)는 도2,3에 도시된바와같이, 도전체(도시하지 않음) 를 설치한 절연기판 (2) 상에, 구멍 (3a) 을 갖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판형의 스페이서 (3) 를 통해 회로 (도시하지 않음) 를 설치한 가요성 스위치 기판 (4) 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5) 에는. 원호형의 오목부를 갖고 있으며, 간격을 두고 형성된 2 개 유지부 (5a) 와, 이 유지부 (5a) 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슬라이드 홈 (5b) 을 갖는 걸림부 (5c) 와, 이 걸림부(5c) 와 상기 유지부 (5a) 사이에 형성된 원형상의 구멍 (5d) 을 가지며, 이기지부재 (5) 는 상기 스위치 기판 (4) 상에 설치하여 부착되고, 부착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 홈 (5b) 은 스위치 기판 (4) 에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대략 구형(口型)을 한 제 1 레버부 (6) 는, 일단에 원형의 돌출부 (6a) 를 갖는 한쌍의 아암부 (6b) 와, 타단에 봉상의 연결부(6c) 로 타단이 연결된 한쌍의 아암부 (6d) 와, 상기 연결부 (6c) 에 연결되어 연결부 (6c) 의 축방향으로 공동부 (6f), 또한, 일단과 양측에 돌출된 연장부 (6e) 와g 또, 중앙부에 타단의 사이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축부재 (69)가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연결부 (6c) 는 지지부재 (5) 의 걸림부 (5c) 에 지지되어 슬라이드 홈 (5b) 내를 스위치 기판 (4)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제 2 레버부 (7) 는, 그 양단에 원형의 돌출부 (7a,7b) 와, 돌출부 (7a 와 7b)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 (7c) 를가지며, 그리고, 상기 돌출부 (7a) 는 지지부재 (5) 의 유지부 (5a) 의 원호형의 오목부에, 일부가 스위치 기판 (4) 에 접촉되어 끼워지고, 또한 오목부(7c) 에는 제 1 레버부 (6) 의 축 부재 (6g) 가 끼워져, 제 1, 제 2 레버부(6,7) 는 회전운동 가능하게 교차형으로 조합된다.
또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배모양의 키톱 (8) 은, 그 이면측에 구멍을 갖는 2 개의 유지부 (8a) 와, 슬라이드 홈 (8b) 을 갖는 2 개의 L 자형 걸림부 (8c) 와, 이면 (8d) 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볼록부 (8e) 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유지부 (8a) 구멍에는 제 1 레버부 (6) 의 돌출부 (6a) 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또한 걸림부 (8c) 의 슬라이드 홈 (8b) 에는 한쌍의 제 2 레버부 (7) 의 돌출부 (7b) 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키톱(8) 은 제 1, 제 2 레버부 (6,7) 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도 2, 3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돔형의 탄성체 (9) 는 몸통부 (9a) 와, 몸통부 (9a) 내에 형성된 볼록부 (9b) 와, 몸통부 (9a) 의 정상부에 형성된 오목부 (9c) 를 갖는 정상부 (9d)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탄성체 (9) 는, 지지부재 (5) 의 구멍 (5d) 내에 위치하여, 그 일부가 스위치 기판 (4) 과 지지부재 (5) 에 의해 끼워져, 탄성체(9) 의 상하, 좌우 방향 이동이 저지되고, 또, 몸통부 (9a) 및 정상부 (9d) 는, 제 1 레버부 (6) 의 공동부 (6f)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정상부 (9d) 의 오목부 (9c) 에는 키톱 (8) 의 볼록부 (8e) 가 끼워짐과 동시에, 정상부 (9d)의 선단이 키톱(8)의 이면(8d)에 맞닿아 탄성체(9)의 탄성에의해 키톱 (8) 은 통상 상방향으로 밀려 올려진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키 스위치 (S) 는, 스위치부와 제 1, 제 2 레버부(6,7) 와 키톱 (8) 과 탄성체 (9) 로 구성된다.
다음에, 이와같은 구성을 키보드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키톱 (8) 을 탄성체 (9) 의 탄성에 저항하여 누르면, 탄성체 (9)서서히 변형되어, 어느 시점에서 돔형을 이룬 몸통부 (9a) 가 반전되고, 그 때, 볼록부 (9b) 에 의해 스위치 기판 (4) 상의 접점을 절연기판 (2) 상의 접점을 절연기판(2) 상의 도전체와 접촉시켜 스위치가 ON으로된다.
이 때, 키톱 (8) 의 볼록부 (8e)는, 탄성체 (9) 의 오목부 (9c) 와의 끼워넣기 구성에 의해, 탄성체 (9) 의 정확한 누름 동작을 행하게 한다.
또한, 그동안 축 부재 (6g) 를 중심으로, 제 1, 제 2 레버부 (6,7) 의 일단은 유지부 (5a,8a) 에서 회전운동하고, 타단은 슬라이드 홈 (5b,8b) 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제1과 제2레버부(6,7)는 하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키톱 (8) 도 하방으로 이동한다.
스위치가 ON 이 된 후, 키톱 (8) 에 대한 누름을 해제하면, 탄성체 (9)는 탄성에 의해 키톱 (8) 및 제 1, 제 2 레버부 (6,7) 는 누름전의 상태로 밀려 복귀됨과 동시에, 탄성체 (9) 에 의해 눌린 스위치 기판 (4) 은 자기 복원력으로 원상태로 복귀되고, 절연기판(2)과의 접촉이 분리되어 스위치는 OFF 상태로 된다.
도4는 본발명의 키보드장치에서의 동작설명도로, 키톱(8)에 대한 조작자의 누름 부분은 일정치 않아, 키톱 (8) 의 단 (도 3 에서 상하 부분) 이 눌렸을 때,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아암부 (6d) 의 단부는 연결부(6c) 에 의해 연결되어 강도가 높아지고, 휨이 적으면서, 연장부 (6e) 에 의해 걸림부 (5c) 에 맞닿을 때까지의 기울어짐은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 (P) 와 같이 작아진다.
그리고, 레버부의 기울어짐은 슬라이드 홈의 높이 여유도 (clearance) 를 크게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부터 슬라이드 홈측의 기울어짐이 커, 이 점의 해결을 도모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홈을 갖는 걸림부를 지지부재에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키톱에 걸림부를 형성한 것도 물론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또는 제2레버부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아암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아암부의 단부에는 이들 단부를 결합시키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걸림부에 걸리게 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아암부의 휨을 작게할수있고, 따라서 키톱의 누름시, 기울어짐이 작아지고, 조작성이 양호한 키보드장치를 제공할수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에는 그 단부에 연결된 연장부를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연결부가 걸림부에 맞닿을 때까지의 연결부의 기울어짐을 작게할 수 있고, 이로써 키톱의 누름시, 기울어짐을 작게 할 수 있어 조작성이 양호하면서 연결부의 원활한 작동이 얻어져, 조작 감촉이 양호한 키보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부를 스위치 기판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한구성에의해, 지지부재의 판두께만큼, 박형이 도모되어 박형키보드 장치를 제공할 수 었다.

Claims (2)

  1. (2회정정) 키톱과, 일단이 지지부재의 걸림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고, 타단이 상기 키톱 유지부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유지된 제 1 레버부와,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유지부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타단이 상기 키톱의 걸림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묀 제 2 레버부를 구비하고, 상기제1과 제2레버부는 축부재에의해 교차형으로 조합되어, 상기제1 또는 상기 제 2 레버부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아암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아암부의 단부에는 이들 단부를 결합시키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이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걸림부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드 홈내를스위치 기판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장치.
  2. 제1항에있어서, 상기연결부에는 그 단부에 연결된 연장부를 형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장치.
KR1019970039924A 1996-08-21 1997-08-21 키보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00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38436A JPH1064362A (ja) 1996-08-21 1996-08-21 キーボード装置
JP96-238436 1996-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858A KR19980018858A (ko) 1998-06-05
KR100300371B1 true KR100300371B1 (ko) 2001-10-26

Family

ID=1703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9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0371B1 (ko) 1996-08-21 1997-08-21 키보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31189A (ko)
JP (1) JPH1064362A (ko)
KR (1) KR100300371B1 (ko)
CN (1) CN1094641C (ko)
TW (1) TW3802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1077B2 (en) 2000-12-14 2004-08-24 Think Outside, Inc. Keyswitch and actuator structure
US6392176B1 (en) * 2001-03-05 2002-05-21 Chicony Electronics Co., Ltd. Keyswitch of keyboard
TWM334394U (en) * 2008-01-04 2008-06-11 Darfon Electronics Corp Keyboard and key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0147A (en) * 1991-11-19 1994-01-1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Keyswitch assembly with a key support limiting transverse, longitudinal and rotational movement of the key
CN2190320Y (zh) * 1994-04-13 1995-02-22 陈宝金 架桥式计算机按键开关
US5758763A (en) * 1995-08-17 1998-06-02 Hosiden Corporation Pantograph type keyboard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858A (ko) 1998-06-05
JPH1064362A (ja) 1998-03-06
US6031189A (en) 2000-02-29
TW380268B (en) 2000-01-21
CN1174387A (zh) 1998-02-25
CN1094641C (zh) 200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9371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
US6100482A (en) Pushbutton switch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KR100298920B1 (ko) 키보드장치
TWI233136B (en) Multiple switching device
JPH0415967B2 (ko)
JPH08124453A (ja) キースイッチ
KR100300371B1 (ko) 키보드장치
JP3480559B2 (ja) キーボード装置
JP3431404B2 (ja) キーボード装置
JP3937670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3655449B2 (ja) キーボード
JP3194853B2 (ja) キースイッチ
JPH11306918A (ja) 複合スイッチ
JP3295049B2 (ja) キースイッチ
KR200222485Y1 (ko) 키보드용 스위치
JP3280358B2 (ja) キースイッチ
JPH09147682A (ja) 操作装置
JPH1079210A (ja) キーボード装置
JP3451080B2 (ja) キースイッチ
JP3234827B2 (ja) キースイッチ及びそのキースイッチの組立方法
JP4671559B2 (ja) 多方向入力スイッチ装置、および多方向入力スイッチ装置を有するマウス
JP3295069B2 (ja) キースイッチ
JP4081091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の製造方法
JPH0226116Y2 (ko)
JPH053554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0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03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1020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10413

Appeal identifier: 2001101000267

Request date: 2001020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02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2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006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104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312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