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98918B1 - 자기저항효과소자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저항효과소자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918B1
KR100298918B1 KR1019980003285A KR19980003285A KR100298918B1 KR 100298918 B1 KR100298918 B1 KR 100298918B1 KR 1019980003285 A KR1019980003285 A KR 1019980003285A KR 19980003285 A KR19980003285 A KR 19980003285A KR 100298918 B1 KR100298918 B1 KR 100298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layer
ferromagnetic layer
annealing
pin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1112A (ko
Inventor
유끼에 나까자와
마사미찌 사이또
나오야 하세가와
아끼히로 마끼노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80071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91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 H01F10/32Spin-exchange-coupled multilayers, e.g. nanostructured superlattices
    • H01F10/324Exchange coupling of magnetic film pairs via a very thin non-magnetic spacer, e.g. by exchange with conduction electrons of the spacer
    • H01F10/3268Exchange coupling of magnetic film pairs via a very thin non-magnetic spacer, e.g. by exchange with conduction electrons of the spacer the exchange coupling being asymmetric, e.g. by use of additional pinning, by using antiferromagnetic or ferromagnetic coupling interface, i.e. so-called spin-valve [SV] structure, e.g. NiFe/Cu/NiFe/Fe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5/00Nanomagnetism, e.g. magnetoimpedance, anisotropic magnetoresistance, giant magnetoresistance or tunneling magnetoresistan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33Structure or manufacture of flux-sensitive heads, i.e. for reproduction only; Combination of such heads with means for recording or erasing only
    • G11B5/39Structure or manufacture of flux-sensitive heads, i.e. for reproduction only; Combination of such heads with means for recording or erasing only using magneto-resistive devices or eff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09Antiferromagnetic materials, i.e. materials exhibiting a Néel transition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3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applying conductive, insulating or magnetic material on a magnetic film, specially adapted for a thin magnetic fil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10Magnetoresistiv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50/85Materials of the active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Hall/Mr Elements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 Magnetic Heads (AREA)
  • Thin Magnetic Fil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자화가 외부의 자계에 대하여 자유롭게 반전하는 1 층의 프리 강자성층 (14) 과 비자성층 (13) 과 자화반전이 핀고정된 핀고정 강자성층 (12) 을 구비하는 적층체 (15) 를 형성하고, 상기 프리 강자성층 (14) 과 핀고정 강자성층 (12) 은 그들의 자화 용이축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필요한 열처리 조건이 다른 것으로 함과 동시에 제 1 방향으로 자계를 부여하여 소정의 온도로 제 1 어닐링을 행하고, 그 후 제 1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자계를 인가하여 제 2 어닐링을 행하여, 상기 프리 강자성층의 자화 용이축과 핀고정 강자성층의 자화 용이축을 대략 직교시키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MAGNETO-RESISTANCE EFFECT ELEMENT}
본 발명은 자기 헤드, 위치 센서, 회전 센서 등에 사용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거대 자기저항효과를 이용한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일례로써, 미국특허 제 5,206,590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자기저항효과 소자가 공지되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자기저항효과 소자 (A)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자성 기판 (1) 에 연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1 강자성층 (2) 과 비자성층 (3) 과 제 2 강자성층 (4) 과 반강자성층 (5) 을 적층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제 2 강자성층 (4) 의 자화 방향 (B) 이 반강자성층 (5) 에 의한 자기적 교환결합에 의해 고정됨과 동시에 제 1 강자성층 (2) 의 자화 방향 (C) 이 인가자계가 없을 때에 제 2 강자성층 (4) 의 자화 방향 (B) 에 대하여 직각으로 향하고 있다. 단, 이 제 1강자성층 (2) 의 자화 방향 (C) 은 고정되지 않고 프리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자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구조에 대하여 인가자계 (h) 를 부가하면 인가자계 (h) 의 방향에 따라 제 1 강자성층 (2) 의 자화 방향 (C) 이 쇄선 화살표와 같이 회전하므로, 제 1 강자성층 (2) 과 제 2 강자성층 (4) 사이에서 자화에 각도차가 생기기 때문에 저항변화가 일어나고, 이에 따라 자계검출을 할 수 있도록 된다.
도 8 에 나타내는 구조의 자기저항효과 소자 (A) 를 제조하는 경우, 반강자성층 (5) 에 의해 만들어지는 교환결합 자계의 방향을 적절한 방향으로 제어함에 있어서는 반강자성층 (5) 을 막형성하는 경우에 소망의 방향 (예컨대, 연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1 강자성층 (2) 의 자화 용이축에 직교하는 방향) 으로 자계를 인가시키는 방법, 또는 각층을 적층한 후, 블로킹 온도를 넘는 온도로 가열한 후, 연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1 강자성층 (2) 의 자화 용이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계를 인가하면서 실온까지 급랭하는 열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구조의 자기저항효과 소자 (A)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자계중의 막형성 처리 또는 1회의 자계중의 열처리를 실시하여 각 자성층의 자기 이방성을 제어하기 때문에 제 1 강자성층 (2) 의 자화 용이축 방향과 제 2 강자성층 (4) 의 자화 용이축 방향은 동일 방향으로 일치되어 버리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2 개의 강자성층 (2,4) 의 자화 용이축 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일치시키는 구조에서는 자화의 회전이 프리로 되어 이루어지는 제 1 강자성층 (2) 의 보자력을 작게 할 수 없어서, 결과적으로 제 1 강자성층 (2) 에서 얻어지는 자화곡선의 마이너 루프에서의 히스테리시스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도 8 에 나타내는 종래의 구조에서는 바이어스 자계를 많이 인가하여 제 1 강자성층 (2) 의 자화의 회전을 안정화시키는 구조를 채용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자기저항효과와 교환결합자계 등의 필요한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으면서 제 1 자성층의 보자력을 낮게 할 수 있고, 출력의 향상과 안정성의 향상 및 자기저항효과 소자에 필요한 하드 바이어스의 바이어스량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자화가 외부의 자계에 대하여 자유롭게 반전하는 1 층의 프리 강자성층과 비자성층과 자화반전이 핀고정된 핀고정 강자성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를 형성하고, 상기 프리 강자성층과 핀고정 강자성층은 그들의 자화 용이축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필요한 열처리 조건이 다른 것으로 함과 동시에 제 1 방향으로 자계를 부여하여 소정의 온도로 제 1 어닐링을 행하고, 그 후 제 1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자계를 인가하여 제 2 어닐링을 행하여, 상기 프리 강자성층의 자화 용이축과 핀고정 강자성층의 자화 용이축을 대략 직교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방향의 자계를 제 1 방향의 자계보다 작은 자계, 또는 핀고정 강자성층의 교환결합자계보다 작은 자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자계를 1 kOe ∼ 4 kOe, 상기 제 2 방향의 자계를 50 ∼ 400 Oe 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닐링의 유지온도를 210 ∼ 250 ℃, 제 2 어닐링의 유지온도를 반강자성층의 블로킹 온도 이하 (핀고정 강자성층의 교환결합자계가 소실되는 온도) 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닐링의 유지온도를 150 ∼ 250 ℃ 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리 강자성층을 NiFe, CoFe, Co 합금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상기 비자성층을 Cu, CuAu, CuNi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상기 핀고정 강자성층을 NiFe, CoFe, Co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상기 핀고정 강자성층을 PtMn, NiMn, IrMn, RhMn, PdM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반강자성층과 인접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얻어지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 1 형태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으로 얻어지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 2 형태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서 실시되는 어닐링시의 인가자계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3(A) 는 제 1 어닐링시의 인가자계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 는 제 1 어닐링시의 인가자계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 3(C) 는 각 인가자계의 방향과 실시예로 얻어지는 R-H 커브를 측정할 때의 인가자계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실시예로 얻어진 시료의 제 1 어닐링 처리 후의 R-H 커브의 메이저 루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실시예로 얻어진 시료의 제 1 어닐링 처리 후의 R-H 커브의 마이너 루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실시예로 얻어진 시료의 제 2 어닐링 처리 후의 R-H 커브의 메이저 루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실시예로 얻어진 시료의 제 2 어닐링 처리 후의 R-H 커브의 마이너 루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은 종래의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B : 자기저항효과 소자 10 : 기판
11 : 반강자성층 12 : 핀고정 강자성층
13 : 비자성층 14 : 프리 강자성층
15, 18 : 적층체 16 : 경강자성층
17 : 전극층 19 : 하지층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형태의 자기저항효과 소자 (A) 는 기판 (10) 상에 반강자성층 (11) 과 핀고정 강자성층 (12) 과 비자성층 (13) 과 프리 강자성층 (14) 을 적층하여 단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시킨 적층체 (15) 와, 이 적층체 (15) 의 양측에 형성된 하드 바이어스용 경자성층 (16,16) 과, 각 경자성층 (16) 위에 적층된 전극층 (17) 을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형태의 구조에 있어서 경자성층 (16) 은 그 단부 (16a) 에 있어서 반강자성층 (11) 과 핀고정 강자성층 (12) 과 비자성층 (13) 과 프리 강자성층 (14) 의 측부를 덮어 형성되어 있는데, 각층의 관계는 도면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기판 (10) 은 유리, Si, Al2O3, TiC, SiC, Al2O3와 TiC 의 소결체, Zn 페라이트 등으로 대표되는 비자성 재료로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 (10) 의 상면에는 기판상면의 요철이나 기복을 제거하는 목적 또는 그 위에 적층되는 층의 결정 정합성을 양호하게 하는 등의 목적으로 Ta 등의 비자성 재료로 형성된 피복층이나 버퍼층을 적당히 형성시켜도 된다.
상기 반강자성층 (11) 은 그 위에 형성되는 핀고정 강자성층 (12) 에 자기적 교환 결합력을 작용시켜 핀고정 강자성층 (12) 의 자화 방향을 핀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반강자성층 (11) 은 예컨대 PtMn, NiMn, IrMn, RhMn, PdMn, α-Fe2O3등의 반강자성체로 형성된다.
상기 강자성층 (12,14) 은 모두 강자성체의 박막으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는 Ni-Fe 합금, Co-Fe 합금, Ni-Co 합금, Co, Ni-Fe-Co 합금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강자성층 (12) 을 Co 층으로, 강자성층 (14) 를 Ni-Fe 합금층으로, 또는 Co 층과 Ni-Fe 합금층의 적층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Co 층과 Ni-Fe 합금층의 2 층 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비자성층 (13) 측에 얇은 Co 층을 배치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는, 비자성층 (13) 을 강자성층 (12,14) 사이에 끼우는 구조의 거대 자기저항효과 발생기구에 있어서는, Co 와 Cu 의 계면에서 전도전자의 스핀 의존 산란 (spin depending scattering) 의 효과가 큰 점, 및 강자성층 (12,14) 을 동종의 재료로 형성하는 편이 이종의 재료로 구성하는 것보다 전도전자의 스핀 의존 산란 이외의 인자가 발생하는 가능성이 낮고, 보다 높은 자기저항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점에 기인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강자성층 (12) 을 Co 로 구성한 경우에는 강자성층 (14) 의 비자성층 (13) 측을 소정의 두께로 Co 층으로 치환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Co 층을 특별히 구별하여 형성하지 않아도 강자성층 (14) 의 비자성층 (13) 측에 Co 를 많이 함유시킨 합금구조로 하고, 비자성층 (13) 의 반대측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Co 농도가 묽어지는 농도 구배층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비자성층 (13) 은 Cu, Cr, Au, Ag 등으로 대표되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20 ∼ 40 Å 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비자성막 (13) 의 두께가 20 Å 보다 얇으면 강자성층 (12) 과 강자성층 (14) 사이에서 자기적 결합이 일어나기 쉽게 된다. 또한, 비자성층 (13) 이 40 Å 보다 두꺼우면 자기저항효과를 발생시키는 요인인 비자성층 (13) 과 강자성층 (12,14) 의 계면에서 산란되는 전도전자율이 저하되고, 전류의 분류효과에 의해 자기저항효과가 저감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하드 바이어스층으로서의 상기 경질 자성층 (16) 을 배치함으로써, 프리 강자성층 (14) 에 종 바이어스가 인가되고, 프리 강자성층 (14) 이 단자구화 (單磁區化) 된다. 그 결과, 자기매체로부터의 누설자계의 검출시에 노이즈 (바크하우젠 (Barkhausen) 노이즈) 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경자성층 (16) 은 보자력이 큰 강자성체막, 예컨대 Co-Pt 합금, Co-Cr-Pt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구조의 자기저항효과 소자 (A) 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구조의 자기저항효과 소자 (A) 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기판 (10) 상에 반강자성층 (11) 과 핀고정 강자성층 (12) 과 비자성층 (13) 과 프리 강자성층 (14) 을 적층하고, 이어서 이것들에 후술하는 조건으로 열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에 이것들을 패터닝기술을 이용하여 트랙 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단면 사다리꼴 형상의 적층체 (15) 로 가공하고, 그리고 적층체 (15) 의 양측에 반강자성층 (16) 과 전극층 (17) 을 적층함으로써 제조한다.
상기 각층을 기판 (10) 상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범용의 기술, 예컨대 스퍼터나 증착 등의 박막형성장치를 사용하여 합금박막 등으로 제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막형성장치로서, 고주파 2 극 스퍼터 장치, DC 스퍼터, 마그네트론 스퍼터, 3 극 스퍼터, 이온 비임 스퍼터, 대향 타깃식 스퍼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스퍼터 타깃으로서 Co 또는 Ni-Fe-Co 합금 타깃상에 첨가원소의 칩을 배치한 복합 타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층을 막형성한 후,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고정 강자성층 (12) 과 비자성층 (13) 과 프리 강자성층 (14) 을 평면으로 본 경우에 화살표 (a) 방향으로 1 ∼ 4 kOe, 예컨대 2 kOe 의 자계를 인가하면서 210 ∼ 250 ℃, 예컨대 230 ℃ 에서 수시간, 예컨대 4 시간 유지한 후 서냉하는 어닐링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210 ∼ 250 ℃ 란 210 ℃ 이상 250 ℃ 이하를 의미하고, 「∼」로 표시하는 수치범위의 상한 하한은 모두 「이상」 및 「이하」 로 규정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가열온도를 210 ℃ 이상으로 하는 것은 핀고정 강자성층 (12) 과 PtMn 의 반강자성층 (11) 과의 교환결합을 충분히 얻기 위한 것으로, 상한을 250 ℃ 로 한 것은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비자성층 (13) 계면의 열적 데미지에 의해 △MR 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상기 열처리에 의해 핀고정 강자성층 (12) 과 프리 강자성층 (14) 의 자화 용이축 방향은 모두 a1방향으로 된다.
이어서,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고정 강자성층 (12) 과 비자성층 (13) 과 프리 강자성층 (14) 을 평면으로 본 경우에 화살표 (b) 방향 (상기 a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으로 50 ∼ 400 Oe, 예컨대 100 Oe 의 자계를 인가하면서 블로킹 온도 이하인 150 ∼ 2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 220 ℃, 예컨대 200 ℃ 에서 수시간, 예컨대 2 시간 유지한 후 냉각하는 어닐링 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에서 상한을 250 ℃ 로 한 것은,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반강자성층 (11) 의 블로킹 온도 (핀고정 강자성층의 교환결합자계가 소실되는 온도) 에 근접하여 Hex(핀고정 강자성층의 보자력) 이 소실될 우려가 있음과 동시에, △MR (자기저항효과) 도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 자계의 강도와 열처리에 의해 핀고정 강자성층 (12) 의 자화 용이축 방향은 a1방향에서 변화하지 않지만, 프리 강자성층 (14) 의 자화 용이축 방향을 b1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2 단계의 자계중 열처리를 하여 제조된 자기저항효과 소자 (A) 는 외부자계가 0 인 상태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자성층 (11) 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인접하는 강자성층 (12, 14) 의 각각의 자화의 방향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는데, 이 자기저항효과 소자 (A) 에 도 1 에 나타내는 Z 방향으로 자기매체로부터의 누설자계가 작용하면 프리 강자성층 (14) 의 자화의 방향이 회전하여 이동하도록 된다. 이 때에 자화의 회전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므로, 이 저항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역으로 자계가 작용하였는지 아닌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조에 있어서는 핀고정 강자성층 (12) 의 자화 용이축 방향을 도 3(A) 의 a1방향, 프리 강자성층 (14) 의 자화 용이축 방향을 도 3(B) 의 b1방향과 서로 직교시키고 있으므로, 높은 자기저항효과를 유지한 상태로 자기매체로부터의 누설자계, 도 1 의 Z 방향의 프리 강자성층 (14) 의 보자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드 바이어스 구조에 의해 인가하는 바이어스를 종래의 구조보다 얇게 인가할 수 있도록 되고, 출력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정성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도 2 에 나타내는 자기저항효과 소자 (B) 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자기저항효과 소자 (B) 는 기판상에 Ta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지층 (19) 과 프리 강자성층 (14) 과 비자성층 (13) 과 핀고정강자성층 (12) 과 반강자성층 (11) 을 차례로 적층한 단면 사다리꼴 형상의 적층체 (18) 와 이 적층체 (18) 의 양측에 형성된 하드 바이어스용 경자성층 (16,16) 과 각경자성층 (16) 상에 적층된 전극층 (17) 을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에서는 결정배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기판상에 Ta 등의 비자성 재료로 형성된 하지층 (19) 을 막형성한 후, 프리 강자성층 (14) 을 그 위에 적층하고 있는데, 하지층 (19) 은 적당히 형성시키면 되고, 없어도 된다. 또한, 적층체 (18) 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층을 최상층인 반강자성층 (11) 위에 형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자기저항효과 소자 (B) 의 동작원리에 대하여는 도 1 에 나타내는 자기저항효과 소자 (A) 와 동일하다.
그리고, 도 1 에 나타낸 자기저항효과 소자 (A) 와 마찬가지로 프리 강자성층 (14) 의 비자성층 (13) 측에 Co 를 많이 함유시킨 합금구조로 하고, 비자성층 (13) 의 반대측으로 향함에 따라 Co 농도가 묽어지는 농도 구배층으로 하여도 된다.
실시예 1
고주파 마그네트론 스퍼터 장치를 사용하여 Al2O3막을 피복한 Si 기판 위에 복수의 타깃을 사용하여 Ta (50 Å)/PtMn (300 Å)/CoFe (30 Å)/Cu (22 Å)/CoFe (10 Å)/NiFe (70 Å)/Ta (50 Å) 의 적층구조로 되도록 스퍼터하여 적층체를 형성하고, 이어서 이하의 표 1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2 단계의 자계중 열처리를 실시하여 도 1 에 나타내는 자기저항효과 소자 (A) 를 제조하였다.
이 때 PtMn 은 Pt48Mn52(at%) 의 조성, CoFe 는 Co90Fe10(at%) 의 조성, NiFe 는 Ni80Fe20의 조성의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표 1 의 제 1 어닐링 자계방향은 도 3(A) 의 a1방향으로 자계를 인가하면서 어닐링하는 것을 의미하고, 제 2 어닐링 자계방향은 도 3(B) 의 b1방향으로 자계를 인가하면서 어닐링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어닐링 조건과 어닐링 후의 특성
어닐링온도,인가자계 △MR (%) Hex(Oe) Hcf(Oe) Free 층의자화 용이축 방향
210℃×4HR,2kOe 7.7 500 4 제 1 어닐링 자계방향
230℃×4HR,2kOe 7.57.57.57.57.57.5 700700700700700700 333333 제 1 어닐링 자계방향제 1 어닐링 자계방향제 1 어닐링 자계방향제 1 어닐링 자계방향제 1 어닐링 자계방향제 1 어닐링 자계방향
250℃×2HR,2kOe 7.5 700 3 제 1 어닐링 자계방향
제 2 어닐링 조건과 어닐링 후의 특성
어닐링온도,인가자계 △MR (%) Hex(Oe) Hcf(Oe) Free 층의 자화 용이축 방향
200℃×2HR, 50 Oe 7.6 500 ≤0.5 제 2 어닐링 자계방향
100℃×2HR, 50 Oe180℃×2HR, 50 Oe200℃×2HR, 50 Oe220℃×2HR, 50 Oe200℃×2HR, 100 Oe200℃×2HR, 200 Oe 7.47.57.47.47.57.4 700680720680700660 3≤0.5≤0.5≤0.5≤0.5≤0.5 제 1 어닐링자계방향 (비교예)제 2 어닐링 자계방향제 2 어닐링 자계방향제 2 어닐링 자계방향제 2 어닐링 자계방향제 2 어닐링 자계방향
200℃×2HR, 50 Oe 7.3 700 ≤0.5 제 2 어닐링 자계방향
: Si 기판/알루미나/Ta 50Å/PtMn 300 Å/CoFe 30Å/Cu 22Å/CoFe 10Å/NiFe 70Å/Ta 50Å
표 1 에 나타내는 각시료의 △MR (저항 변화율), Hex(핀고정 강자성층의 교환결합자계), Hcf(도 3 의 a 방향의 프리 강자성층의 보자력, 즉 자기매체로부터의 누설자계, 도 1 의 Z 방향의 보자력) 의 값으로부터 밝혀지는 바와 같이, 제 1 어닐링 자계방향과 제 2 어닐링 자계방향을 90 도 바꾸어 실시한 시료에 있어서는 자계방향을 바꾸지 않고 처리한 비교예 시료에 비하여 △MR, Hex의 값은 동일하면서도 Hcf의 값이 작아져 있는 것이 명백하다. 이 Hcf의 값이 작아지면 자기기록매체로부터의 누설자계에 의해 프리 강자성층의 자화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자화의 회전이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또한, Hcf의 값을 작게함으로써 하드 바이어스 구조에 의해 인가하는 바이어스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주파 마그네트론 스퍼터 장치를 사용하여 Al2O3막을 피복한 Si 기판 위에 복수의 타깃을 사용하여 Ta (50Å)/PtMn (200Å)/CoFe (30Å)/Cu (22Å)/CoFe (10Å)/NiFe (70Å)/CoFe (10Å)/Cu (22Å)/CoFe (30Å)/PtMn (200Å)/Ta (50Å) 의 적층구조로 되도록 스퍼터하여 적층체를 형성하고, 이어서 이하의 표 2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2 단계의 자계중 열처리를 실시하여 자기저항효과 소자 시료를 제조하였다.
제 1 어닐링 조건과 어닐링 후의 특성
어닐링온도,인가자계 △MR (%) Hex(Oe) Hcf(Oe) Free 층의자화 용이축 방향
210℃×4HR,1kOe 10.5 400 4 제 1 어닐링 자계방향
230℃×4HR,2kOe 10.3 600 3 제 1 어닐링 자계방향
250℃×2HR,4kOe 10.0 600 4 제 1 어닐링 자계방향
제 2 어닐링 조건과 어닐링 후의 특성
어닐링온도,인가자계 △MR (%) Hex(Oe) Hcf(Oe) Free 층의 자화 용이축 방향
200℃×2HR, 100 Oe 10.4 440 ≤0.5 제 2 어닐링 자계방향
200℃×2HR, 100 Oe 10.2 600 ≤0.5 제 2 어닐링 자계방향
200℃×2HR, 100 Oe 10.1 580 ≤0.5 제 2 어닐링 자계방향
: Si 기판/알루미나/Ta 50Å/PtMn 200Å/CoFe 30Å/Cu 22Å/CoFe 10Å/NiFe 70Å/CoFe 10Å/Cu 22Å/CoFe 30Å/PtMn 200Å/Ta 50Å
표 2 에 나타내는 각시료의 △MR, Hex, Hcf의 값으로부터 밝혀지는 바와 같이, 이 시료의 구조에서도 제 1 어닐링 자계방향과 제 2 어닐링 자계방향을 90 도 바꾸어 실시한 시료에 있어서는 표 1 의 시료와 동일한 Hcf의 값으로 되어 있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이 예의 적층구조에서도 자화의 회전이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이루어지고, 하드 바이어스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 2 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Ta (50Å) 상의 PtMn (200Å) 와 Ta (50Å) 하의 PtMn (200Å) 이 모두 핀고정 강자성층으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Cu (22Å) 사이에 끼워진 CoFe (10Å)/NiFe (70Å)/CoFe (10Å) 가 프리 강자성층을 구성하는 듀얼 타입의 구조로서, 이 구조로 하는 편이 표 1 에 나타내는 구조보다 높은 △MR 을 얻을 수 있는 것도 명백해졌다.
도 4 와 도 5 는 표 1 에 나타낸 시료에 있어서, 표 1 의 어닐링 (230 ℃ ×4 시간, 2kOe) 후에 얻어진 시료의 R-H 커브의 메이저 루프 (핀고정 강자성층의 R-H 커브) 와 마이너 루프 (프리 강자성층의 R-H 커브) 를 나타내고, 도 6 과 도 7 은 제 2 어닐링 (200 ℃ × 2 시간, 100 Oe) 후에 얻어진 시료의 R-H 커브의 메이저 루프 (핀고정 강자성층의 R-H 커브) 와 마이너 루프 (프리 강자성층의 R-H 커브) 를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7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2 단계의 어닐링을 실시함으로써, 프리 강자성층의 보자력이 작아져 있는 것이 명료하게 되었다.
실시예 2
이어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Ta (50Å)/NiFe (70Å)/CoFe (10Å)/Cu (25Å)/CoFe (30Å)/PtMn (300Å)/Ta (50Å) 의 적층구조로 되도록 스퍼터하여 적층체를 형성하고, 이어서 표 3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2 단계의 자계중 열처리를 실시하여 도 2 에 나타내는 자기저항효과 소자 (B) 를 제조하였다. 이 때의 PtMn, CoFe, NiFe 의 조성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제 1 어닐링 조건과 어닐링 후의 특성
어닐링온도,인가자계 △MR (%) Hex(Oe) Hcf(Oe) Free 층의자화 용이축 방향
230℃×10HR,2kOe250℃×10HR,2kOe 6.56.0 700800 34 제 1 어닐링 자계방향제 1 어닐링 자계방향
제 2 어닐링 조건과 어닐링 후의 특성
어닐링온도,인가자계 △MR (%) Hex(Oe) Hcf(Oe) Free 층의자화 용이축 방향
250℃×3HR, 50 Oe270℃×3HR, 50 Oe 6.25.8 650700 ≤0.5≤0.5 제 2 어닐링 자계방향제 2 어닐링 자계방향
표 2 에 나타내는 각시료의 △MR, Hex(핀고정 강자성층의 교환결합자계), Hcf(프리 강자성층의 보자력, 즉 자기매체로부터의 누설자계, 도 2 의 Z 방향의 보자력) 의 값으로부터 밝혀지는 바와 같이, 제 1 어닐링 자계방향과 제 2 어닐링 자계방향을 90 도 바꾸어 실시한 시료에 있어서는 자계방향을 바꾸지 않고 어닐링한 비교예 시료에 비하여 △MR, Hex,Hcf의 값이 작아져 있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Hcf의 값을 작게 함으로써 하드 바이어스 구조에 의해 인가하는 바이어스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에 의하면, 자기저항효과와 교환결합자계 등의 필요한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으면서 제 1 자성층의 보자력을 낮게 할 수 있고, 출력의 향상과 안정성의 향상 및 자기저항효과 소자에 필요한 하드 바이어스의 바이어스량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4)

  1. 자화가 외부의 자계에 대하여 자유롭게 반전하는 1 층의 프리 강자성층과, 비자성층과, 반강자성층과, 반강자성층에 의해 자화반전이 핀고정된 핀고정 강자성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를 형성하고,
    제 1 방향으로 자계를 부여하여 소정의 온도로 제 1 어닐링을 행하고,
    그 후 제 1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자계를 인가하여 제 2 어닐링을 행하여, 상기 프리 강자성층의 자화 용이축과 핀고정 강자성층의 자화 용이축을 대략 직교시키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제 2 방향의 자계를 제 1 방향의 자계보다도 작은 자계로 하고, 제 2 어닐링의 유지 온도를 반강자성층의 블로킹 온도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방향의 자계를 반강자성층에 의해 자화가 핀고정된 핀고정 강자성층의 교환결합자계보다 작은 자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자계를 1 kOe ∼ 4 kOe, 상기 제 2 방향의 자계를 50 ∼ 400 Oe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닐링의 유지온도를 210 ∼ 250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닐링의 유지온도를 150 ∼ 250 ℃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강자성층을 NiFe 합금, NiCo 합금, CoFe 합금, Co, NiFeCo 합금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상기 비자성층을 Cu, CuAu, CuNi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상기 핀고정 강자성층을 NiFe 합금, NiCo 합금, CoFe 합금, Co, NiFeCo 합금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상기 핀고정 강자성층을 PtMn, NiMn, IrMn, RhMn, PdMn, RuMn, α-Fe2O3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반강자성층과 인접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어닐링을 핀고정 반강자성층의 교환결합방향을 규정하는 자계인가조건으로 실시하고, 제 2 어닐링을 프리 강자성층의 자화 용이축의 방향을 규정하는 자계인가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
  8. 제 1 반강자성층과, 제 1 반강자성층에 의해 자화반전이 핀고정된 제 1 핀고정 강자성층과, 제 1 비자성층과, 자화가 외부의 자계에 대하여 자유롭게 반전하는 프리 강자성층과, 제 2 비자성층과, 제 2 핀고정 강자성층과, 제 2 핀고정 강자성층을 핀고정하기 위한 제 2 반강자성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를 형성하고,
    제 1 방향으로 자계를 부여하여 소정의 온도에서 제 1 어닐링을 실시하고,
    그후 제 1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자계를 인가하여 제 2 어닐링을 실시하고, 상기 프리 강자성층의 자화 용이축의 자화 용이축과, 제 1 및 제 2 핀고정 강자성층의 자화 용이축을 대략 직교시키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제 2 방향의 자계를 제 1 방향의 자계보다도 작은 자계로 하고, 제 2 어닐링의 유지 온도를 반강자성층의 블로킹 온도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2 방향의 자계를 반강자성층에 의해 자화가 핀고정된 핀고정 강자성층의 교환결합자계보다 작은 자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자계를 1 kOe ∼ 4 kOe, 상기 제 2 방향의 자계를 50 ∼ 400 Oe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닐링의 유지온도를 210 ∼ 250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닐링의 유지온도를 150 ∼ 250 ℃ 로 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강자성층을 NiFe 합금, NiCo 합금, CoFe 합금, Co, NiFeCo 합금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상기 비자성층을 Cu, CuAu, CuNi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상기 핀고정 강자성층을 NiFe 합금, NiCo 합금, CoFe 합금, Co, NiFeCo 합금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상기 핀고정 강자성층을 PtMn, NiMn, IrMn, RhMn, PdMn, RuMn, α-Fe2O3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반강자성층과 인접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어닐링을 핀고정 반강자성층의 교환결합방향을 규정하는 자계인가조건으로 실시하고, 제 2 어닐링을 프리 강자성층의 자화 용이축의 방향을 규정하는 자계인가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효과 소자의 제조방법.
KR1019980003285A 1997-02-07 1998-02-05 자기저항효과소자의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98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5601 1997-02-07
JP02560197A JP3219713B2 (ja) 1997-02-07 1997-02-07 磁気抵抗効果素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112A KR19980071112A (ko) 1998-10-26
KR100298918B1 true KR100298918B1 (ko) 2001-09-06

Family

ID=1217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2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298918B1 (ko) 1997-02-07 1998-02-05 자기저항효과소자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74707A (ko)
JP (1) JP3219713B2 (ko)
KR (1) KR100298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228A (ja) 1998-11-05 2000-05-30 Tdk Corp 薄膜磁気ヘッドの製造方法
JP3382866B2 (ja) * 1998-12-18 2003-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磁気抵抗効果素子の製造方法
JP2000285413A (ja) * 1999-03-26 2000-10-13 Fujitsu Ltd スピンバルブ磁気抵抗効果型素子とその製造法、及びこの素子を用いた磁気ヘッド
US6728055B1 (en) 2000-03-21 2004-04-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pin valve combined pinned layer reset and hard bias initialization at the HGA level
US6522507B1 (en) * 2000-05-12 2003-02-18 Headway Technologies, Inc. Single top spin valve heads for ultra-high recording density
US7144484B2 (en) * 2000-08-15 2006-12-05 Seagate Technology Llc Ion mill shutter system
US6767655B2 (en) * 2000-08-21 2004-07-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o-resistive element
US6680831B2 (en) * 2000-09-11 2004-01-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oresistive el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forming a compound magnetic thin film
US6649423B2 (en) * 2001-10-04 2003-11-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for modifying switching field characteristics of magnetic tunnel junctions
US20030080848A1 (en) * 2001-10-29 2003-05-01 Hubbell Incorporated Unitary arrester housing and support bracket
US6581272B1 (en) * 2002-01-04 2003-06-24 Headway Technologies, Inc. Method for forming a bottom spin valve magnetoresistive sensor element
JP2004296000A (ja) * 2003-03-27 2004-10-21 Hitachi Ltd 磁気抵抗効果型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7088608B2 (en) * 2003-12-16 2006-08-0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Reducing power consumption during MRAM writes using multiple current levels
US7256972B2 (en) * 2004-06-30 2007-08-14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CPP sensor with improved pinning strength longitudinal bias structure
JP4292128B2 (ja) * 2004-09-07 2009-07-08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磁気抵抗効果素子の製造方法
JP4179260B2 (ja) * 2004-09-29 2008-11-12 ソニー株式会社 磁気抵抗効果型磁気ヘッド及び磁気テープ装置
JP2006287081A (ja) * 2005-04-04 2006-10-19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スピン注入磁区移動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装置
JP2006303159A (ja) * 2005-04-20 2006-11-02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スピン注入磁区移動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装置
JP2007005664A (ja) * 2005-06-27 2007-01-11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スピン注入磁化反転素子
JP4833691B2 (ja) * 2006-03-03 2011-12-07 株式会社リコー 磁気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US7461447B2 (en) * 2006-05-05 2008-12-09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Method of fabrication of magnetic head having annealed embedded read sensor
JP4942445B2 (ja) * 2006-09-08 2012-05-30 Tdk株式会社 磁気抵抗効果素子、薄膜磁気ヘッド、ヘッドジンバルアセンブリ、ヘッドアームアセンブリおよび磁気ディスク装置
JP5072120B2 (ja) * 2009-09-25 2012-11-14 株式会社東芝 磁気抵抗素子及び磁気メモリ
FR2954512B1 (fr) * 2009-12-21 2012-05-2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Realisation d'un dispositif a structures magnetiques formees sur un meme substrat et ayant des orientations d'aimantation respectives differentes
DE102014116953B4 (de) * 2014-11-19 2022-06-30 Sensite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Magnetfeldsensorvorrichtung, sowie diesbezüglicheMagnetfeldsensor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4805A (en) * 1987-09-10 1990-07-31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of heat treatment amorphous soft magnetic film layers to reduce magnetic anisotropy
JPH03130910A (ja) * 1989-07-10 1991-06-04 Hitachi Ltd 薄膜磁気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78012A (ja) * 1990-07-12 1992-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薄膜磁気ヘッドの製造方法
US5206590A (en) * 1990-12-11 1993-04-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oresistive sensor based on the spin valve effect
JPH05109022A (ja) * 1991-10-18 1993-04-30 Fuji Electric Co Ltd 薄膜磁気ヘツ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15468A (en) * 1992-07-28 1994-05-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oresistive sensor having antiferromagnetic layer for exchange bias
US5422621A (en) * 1993-10-29 1995-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riented granular giant magnetoresistance sensor
US5612098A (en) * 1996-08-14 1997-03-18 Read-Rite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thin film magnetic structure having ferromagnetic and antiferromagnetic lay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74707A (en) 2000-06-13
JP3219713B2 (ja) 2001-10-15
JPH10223942A (ja) 1998-08-21
KR19980071112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918B1 (ko) 자기저항효과소자의제조방법
KR100462926B1 (ko) 스핀터널 자기저항효과막과 소자 및 이를 사용한 자기저항센서 및 자기 장치와 그 제조방법
US6134090A (en) Enhanced spin-valve/GMR magnetic sensor with an insulating boundary layer
US8130474B2 (en) CPP-TMR sensor with non-orthogonal free and reference layer magnetization orientation
KR100330947B1 (ko) 스핀밸브형박막소자및그의제조방법
US6639764B2 (en) Spin-valve magnetoresistive thin film element
KR100451003B1 (ko) 스핀 밸브, 스핀 밸브 제조 방법, 거대 자기저항 판독 및 기록 헤드 및, 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시스템
US5968676A (en) Magnetoresistance effect film and magnetoresistance effect type head
JPH10112562A (ja) 磁気抵抗効果型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そのセンサを備えた磁気ヘッド
JP2000149228A (ja) 薄膜磁気ヘッドの製造方法
US6083632A (en) Magnetoresistive effect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6221518B1 (en) Magnetoresistance effect film and magnetoresistance effect type head
US6195239B1 (en) Magnetoresistance effect film and magnetoresistance effect type head
KR19980064706A (ko) 자기 저항 효과막 및 그 제조 방법
US7440240B2 (en) Magnetic head with domain stabilization and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H11273034A (ja) 磁気センサ、薄膜磁気ヘッド及び該薄膜磁気ヘッドの製造方法
JP2001345495A (ja) スピンバルブ型薄膜磁気素子およびこのスピンバルブ型薄膜磁気素子を備えた薄膜磁気ヘッド
JP3181512B2 (ja) デュアルスピンバルブ型素子および薄膜磁気ヘッド
US6181535B1 (en) Magnetoresistance effect head obtained using a pulse magnetic field process
JPH0992904A (ja) 巨大磁気抵抗効果材料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磁気ヘッド
JP2000215422A (ja) スピンバルブ型磁気抵抗効果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その素子を備えた薄膜磁気ヘッド
JP3755291B2 (ja) 薄膜磁気ヘッドの製造方法
JP2001189505A (ja) 磁気抵抗効果薄膜の製造方法
US670839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agnetoresistive element
JP2000048328A (ja) 磁気抵抗効果素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