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93254B1 - 홀 플러그 - Google Patents

홀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254B1
KR100293254B1 KR1019990006095A KR19990006095A KR100293254B1 KR 100293254 B1 KR100293254 B1 KR 100293254B1 KR 1019990006095 A KR1019990006095 A KR 1019990006095A KR 19990006095 A KR19990006095 A KR 19990006095A KR 100293254 B1 KR100293254 B1 KR 100293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foam
hole
panel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7462A (ko
Inventor
마츠자와가즈나리
미우라히데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1999007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25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강한 압력을 받더라도 플러그의 수납부에서 폼(foam)이 비어져 나오지 않는 홀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 폼(14)은 원판형상의 외측둘레에서 돌출부(14A)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14A)는 폼(14)을 수납부(12)에 수납하였을 때 플러그(11)에 형성된 인출구(22)에서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14A)는, 플러그(11)를 패널(30)에 형성된 구멍(26)에 장착할 때, 패널(30)과 플러그(11)의 스커트부(28) 사이에 끼워져 유지된다. 따라서, 강한 풍압을 받더라도 또는 통기구멍(18)에서 폼(14)을 누르더라도 폼(14)이 플러그(11)의 수납부(12)에서 이 수납부(12)의 폼(14)의 삽입구(24)를 통하여 비오져 나오지 않기 때문에, 통기구멍(18)에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홀 플러그 {Hole plug}
본 발명은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장착되는 홀 플러그(hole plug)에 관한 것이다.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 패널(50)등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52)에 장착되는 종래의 홀 플러그(54)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플러그(56)와 이 플러그(56)에 형성된 수납부(58)에 수납되는 폼(foam)(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납부(58)의 바닥부에는 통기구멍(62)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기성 및 방수성을 구비한 폼(60)에 의하여 막혀져 있다. 그리고, 폼(60)을 통하여 공기가 통기구멍(62)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또, 플러그(56)의 외측둘레에는 걸림부(5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부(56A)가 도어 패널(50)에 형성된 구멍(52) 가장자리에 걸림으로써 구멍(52)에 플러그(56)가 장착된다.
또한, 플러그(56)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두께가 얇은 스커트부(68)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56)를 구멍(52)에 압입하였을 때에 스커트부(68)가 도어 패널(50)에 밀착됨으로써 수밀성을 발휘한다.
또, 수납부(58)의 폼(60)의 삽입구(61)에는 중앙을 향하여 누름편(56B)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폼(60)이 삽입구(61)에서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도어(72)를 강하게 닫을 때에는 도어 패널(50)에 걸리는 A방향으로의 풍압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폼(60)이 수납부(58)의 삽입구(61)에서 비어져 나오게 되고, 이 결과 통기구멍(62)을 통하여 도어 패널(50) 내측으로 물이 침입하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한 압력을 받더라도 플러그의 수납부에서 폼이 비어져 나오지 않는 홀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있다.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출구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걸림대가 되어 부착작업중 또는 수송시에 폼이 수납부에서 빠지지 않는 홀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있다.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돌출부가 플러그와 패널 사이에 끼워져 유지되기 때문에, 강한 풍압을 받더라도 폼은 수납부에서 비어져 나오는 일이 없고, 돌출부가 플러그와 패널 사이에 끼워져 유지됨에 의해서 폼은 외측으로 인장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폼이 말리는 일이 없도록 한 홀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홀 플러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홀 플러그의 부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홀 플러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홀 플러그를 도어 패널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종래의 홀 플러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홀 플러그의 부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러그 12 : 수납부
14 : 폼 22 : 인출구
32 : 돌출부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기구멍을 구비하며 패널에 형성된 구멍에 장착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에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며 통기구멍을 막는 폼을 구비하고, 상기 구멍에 상기 플러그를 장착할 때, 패널과 플러그 사이에 상기 폼이 끼워져 유지되는 홀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둘레벽에 형성된 인출구와, 상기 폼에 형성되며 인출구를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강한 풍압을 받더라도 또는 내측에서 폼을 누르더라도 플러그의 수납부에서 폼이 비어져 나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통기구멍에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인출구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걸림대가 되어 부착작업중 또는 홀 플러그의 수송시에 폼이 수납부에서 빠지지 않는다. 또, 돌출부가 플러그와 패널 사이에 끼워져 유지되기 때문에, 강한 풍압을 받더라도 폼은 수납부에서 비어져 나오는 일이 없다. 또한, 돌출부가 플러그와 패널 사이에 끼워져 유지됨에 의해서 폼은 외측으로 인장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폼이 말리는 일이 없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홀 플러그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 플러그(10)는 원통형상의 플러그(1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플러그(11)의 내측이 폼(14)이 수납되는 수납부(12)가 된다. 폼(14)은 폴리에테르계로 성형되어 있으며, 너무 얇으면 압력을 받았을 때에 감기기 쉽고 또 너무 두꺼우면 공기를 통과시킬 때에 압력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소정의 두께로 되어 있다(본 실시형태에서는 3mm 정도).
한편, 수납부(12)의 바닥부에는 리브(16)가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리브(16)가 없는 부분이 통기구멍(18)이 되어 공기가 흐르도록 되어 있다. 이 통기구멍(18)은 폼(14)의 외측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폼(14)과 통기구멍(18) 사이에 틈새가 생겨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리브(16)는 폼(14)을 수납부(12)에 수납하였을 때의 시트 역할을 하며, 외부로부터 받는 수압에 의해서 폼(14)이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있다.
또, 플러그(11)의 둘레벽(11A)에는 걸림부(20)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걸림부(20)가 패널(30)에 형성된 구멍(26) 가장자리에 걸림으로써 구멍(26)에 플러그(11)가 장착된다.
또한, 플러그(11)의 둘레벽(11A)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두께가 얇은 스커트부(28)가 둘레벽(11A)의 전둘레에 걸쳐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부(20)를 향하여 약간 경사져 있다. 따라서, 플러그(11)를 패널(30)에 형성된 구멍(26)에 압입하였을 때에 스커트부(28)가 탄성변형되어 패널(30)에 밀착됨으로써 수밀성을 발휘한다.
한편, 폼(14)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형상의 외측둘레에서 돌출부(14A)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14A)는 폼(14)을 수납부(12)에 수납하였을 때 플러그(11)에 형성된 인출구(22)를 통하여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인출구(22)에는 누름편(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14A)를 인출구(22)를 통하여 인출하였을 때에 돌출부(14A)가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돌출부(14A)는, 플러그(11)를 패널(30)에 형성된 구멍(26)에 장착할 때에 패널(30)과 플러그(11)의 스커트부(28) 사이에 끼워져 유지된다. 따라서, 강한 풍압을 받더라도 또는 통기구멍(18)에서 폼(14)을 누르더라도 폼(14)이 플러그(11)의 수납부(12)에서 이 수납부(12)의 폼(14)의 삽입구(24)를 통하여 비어져 나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통기구멍(18)에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돌출부(14A)의 양 단의 길이는 플러그(11)의 스커트부(28)의 외경보다 약간 짧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11)를 패널(30)에 장착하였을 때에 폼(14)이 플러그(11)에서 비어져 나오지 않기 때문에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인출구(22)에서 돌출된 돌출부(14A)가 걸림대가 되어 부착작업중 또는 홀 플러그(10)의 수송시에 폼(14)이 수납부(12)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또, 돌출부(14A)가 패널(30)과 플러그(11)의 스커트부(28) 사이에 끼워져 유지됨에 의해서 폼(14)은 양측에서 인장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폼(14)이 말리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11)의 인출구(22)를 2군데 형성하였으나, 3군데 또는 4군데 형성하여도 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폼(14)의 돌출부(14A)를 성형하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납부(12)에 폼(14)을 수납하도록 하였으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11)의 둘레벽(11A)을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패널(30)에 형성된 구멍(26)(도 2 참조)에 삽입가능한 원호형상의 리브(44)를 형성하여도 된다. 한편, 폼(36)은 원판형상으로 하고, 그 내측에는 리브(44)가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원호형상의 절결부(36)를 형성한다. 그리고, 리브(44)와 절결부(36)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폼(36)을 플러그(11)에 부착하고, 리브(44)를 패널(30)에 형성된 구멍(26)에 삽입하여 패널(30)과 플러그(11)의 스커트부(42) 사이에 폼(36)을 끼워 유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폼(36)의 부착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작업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강한 풍압을 받더라도 또는 내측에서 폼을 누르더라도 플러그의 수납부에서 폼이 비어져 나오는 일이 없어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부착작업중 또는 홀 플러그의 수송시에 폼이 수납부에서 빠지는 일이 없다. 또한, 폼이 말리는 일도 없다.

Claims (2)

  1. (삭제)
  2. 통기구멍을 구비하며 패널에 형성된 구멍에 장착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에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며 통기구멍을 막는 폼을 구비하고, 상기 구멍에 상기 플러그를 장착할 때, 패널과 플러그 사이에 상기 폼이 끼워져 유지되는 홀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둘레벽에 형성된 인출구와, 상기 폼에 형성되며 인출구를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플러그.
KR1019990006095A 1998-03-10 1999-02-24 홀 플러그 Expired - Fee Related KR100293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852098A JP3989612B2 (ja) 1998-03-10 1998-03-10 ホールプラグ
JP58520 1998-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462A KR19990077462A (ko) 1999-10-25
KR100293254B1 true KR100293254B1 (ko) 2001-06-15

Family

ID=1308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095A Expired - Fee Related KR100293254B1 (ko) 1998-03-10 1999-02-24 홀 플러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89612B2 (ko)
KR (1) KR100293254B1 (ko)
TW (1) TW411046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54970A (ja) 1999-09-21
JP3989612B2 (ja) 2007-10-10
KR19990077462A (ko) 1999-10-25
TW411046U (en) 200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9500A (en) Snap-fit connector
US6783286B2 (en) Monitoring camera with detachable lens housing
US6287136B1 (en) Electrical connector set
JP2004065292A (ja) ボタン
US5782658A (en) Tubular supporting structure
US7100237B2 (en) Grommet
KR100293254B1 (ko) 홀 플러그
US4944168A (en) Cable lock
US6585539B2 (en) Panel attachment configuration for a connector
KR100990207B1 (ko) 에어샤워실용 에어노즐
JP4396610B2 (ja) テーブルタップ
JP3239328B2 (ja) 防水コネクタ
JP7509599B2 (ja) プロテクタ
US5279418A (en) Tape cassette protective cover
US6353179B1 (en) Cable entry system
CN218419706U (zh) 一种用于地刷马达的防水降温密封结构
JPH1199008A (ja) 紐類の端部カバー
CN217468948U (zh) 防水插座
JP2000025385A (ja) 筆記具、化粧具等のキャップ
KR200291616Y1 (ko) 침대 매트리스의 항균제 부설장치
KR950003649Y1 (ko) 벨트클립의 연결구조
JP2538267Y2 (ja) 雑音電流吸収具
JPS5826424Y2 (ja) ケ−ブル保持装置
KR0132885Y1 (ko)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의 램프 하우징과 방진 커버 조립구조
KR920001952Y1 (ko)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용 보호케이스의 커버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