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92929B1 - 포장용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929B1
KR100292929B1 KR1019980044808A KR19980044808A KR100292929B1 KR 100292929 B1 KR100292929 B1 KR 100292929B1 KR 1019980044808 A KR1019980044808 A KR 1019980044808A KR 19980044808 A KR19980044808 A KR 19980044808A KR 100292929 B1 KR100292929 B1 KR 100292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d
sides
container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7008A (ko
Inventor
주희준
Original Assignee
주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희준 filed Critical 주희준
Priority to KR101998004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929B1/ko
Publication of KR20000027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7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우산이나 도면 또는 볼펜 또는 서류등을 넣어 선물하거나 들고 다닐수 있는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상측에 내측으로 양측면이 라운딩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 1 뚜껑(200)과, 상기 케이스(100)의 하측에 내측으로 양측면이 라운딩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 2 뚜껑(300)과,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사용자가 편하게 들고 다닐수 있도록 제 1 고정부(500) 및 제 2 고정부(600)에 의해서 결착되어 있는 끈(40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발명이다.

Description

포장용 용기{CASE FOR PACKING}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산이나 도면 또는 볼펜 또는 서류 등을 넣어 선물하거나 들고 다닐수 있는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우산 등을 선물할 때 포장용 케이스를 플라스틱 또는 기타 여러 가지 재질로 별도로 제작하여 선물을 하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선물로 한번 사용한 후 버려지는데도 불구하고 선물을 위해서 포장을 위해서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편리하게 종이를 이용하여 원형 모양의 케이스 상측면과 하측면을 라운딩 처리해 용기 내부의 내용을 사용한 후 다시 케이스에 넣어 사용하거나 다른 물건을 담아 보관할수 있는 포장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장용 용기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내측으로 양측면이 라운딩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뚜껑과,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내측으로 양측면이 라운딩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뚜껑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사용자가 편하게 들고 다닐수 있도록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에 의해서 결착되어 있는 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포장용 용기를 라운딩하기 전의 상태이며, (b)는 본 발명의 포장용 용기를 라운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동작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포장용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포장용 용기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포장용 용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200 : 제1뚜껑
300 : 제2뚜껑 400 : 끈
500 : 제1고정부 600 : 제2고정부
1000 : 라운딩기 1010 : 라운드부
1020 : 힌지부
이하, 상술한 내용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 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용 용기가 제조되는 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100은 여러 가지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원통형 케이스로서, 상기 케이스(100)의 양측면에 배설되어 굴곡부를 가지면서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케이스(100)의 상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하는 라운딩기(100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에 의해서 절곡된 케이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며, 상기 케이스(100)의 상측면에 내측으로 접히면서 간단하게 밀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뚜껑(200)과, 상기 케이스(100)의 하측면에 내측으로 접히면서 간단하게 밀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뚜껑(300)과, 상기 케이스(100)의 측면 상하에 사용자가 들고 다닐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끈(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뚜껑(200)은 도 1(a)의 공정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 상기 라운딩기(1000)의 중앙부에 케이스(100)를 설치한 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운딩기(100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힌지부(10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라운드부(1010)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100)의 일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므로서 간단하게 제작되며, 이와 같이 제작된 상기 제1뚜껑(200) 및 제2뚜껑(300)을 사용자가 개방하거나 또는 내용물을 보관한 후 닫을 경우에도 간편하면서 손쉽게 상기 제1, 2뚜껑(200,300)을 접으므로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끈(400)은 상기 케이스(100)의 상하 양측면에 제1고정부(500) 및 제2고정부(600)에 의해서 결착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500) 및 제2고정부(6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연결방식으로 고리를 이용하거나 또는 묶어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는 종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라운딩기(1000)에서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 좌,우 일측면을 라운딩한 후 반대로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 좌,우 일측면을 라운딩 처리한다.
이와 같이 상기 라운딩기(1000)에 의해서 라운딩 된 상기 케이스(100)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서 상기 끈(400)을 결착하게 되므로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100)에 물건을 보관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제1뚜껑(200)을 잡고 외측으로 잡아당겨 벌린 후, 내용물을 내측으로 넣어 보관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내측 내용물을 보관한 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벌려 놓았던 상기 제1뚜껑(200)을 다시 접어서 내측으로 접는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상측에 있는 제1뚜껑(200)을 접게 되면, 통상적인 포장용 박스와 같이 휴대하기 간단하면서도 보관하기 용이한 포장용 용기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포장용 용기는, 종이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내용물을 포장할 수 있고, 내용물을 사용한 후 용기를 버리지 않고 다시 사용할 수 있으며, 용기의 상하면에 복잡한 절곡부없이 간편하게 내측으로 절곡하므로서 용기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상측에 내측으로 양측면이 라운딩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뚜껑(200)과, 상기 케이스(100)의 하측에 내측으로 양측면이 라운딩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뚜껑(300)과,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사용자가 편하게 들고 다닐수 있도록 상하측에 제1고정부(500) 및 제2고정부(600)에 의해서 결착되어 있는 끈(40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KR1019980044808A 1998-10-26 1998-10-26 포장용용기 KR100292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808A KR100292929B1 (ko) 1998-10-26 1998-10-26 포장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808A KR100292929B1 (ko) 1998-10-26 1998-10-26 포장용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008A KR20000027008A (ko) 2000-05-15
KR100292929B1 true KR100292929B1 (ko) 2001-11-22

Family

ID=1955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808A KR100292929B1 (ko) 1998-10-26 1998-10-26 포장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9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008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4100B1 (en) Case for rod-shaped objects
CA2012636C (en) Packaging containers
US2046484A (en) Duplex container
KR20080075845A (ko) 담배 물품들의 소형 그룹들을 위한 포장
JPH03504224A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型包装用折り畳み箱
EP3772365B1 (en) Disposable balloon holder and method of using
US2720964A (en) Shipping container and package for lamp shade kits
KR100292929B1 (ko) 포장용용기
JPH04501098A (ja) 折畳箱内のフィルムバッグからなるフィルムバッグ内に物質を充填するための容器
GB1571493A (en) Container construction
JP5793763B1 (ja) バルク包装箱
JP2563675Y2 (ja) 包装容器
WO2001058764A3 (en) Transport package
KR20000015371U (ko) 손잡이가 형성되는 종이상자
CN220997797U (zh) 柔性袋盒及废弃物品收纳装置
JP3228442U (ja) 包装ケース、及び、歯ブラシセット
KR102544421B1 (ko) 쓰레기 봉투 운반구
KR200281766Y1 (ko) 내용물 구김 방지용 봉투
JPH1095461A (ja) 柔軟性容器包装用の厚紙製箱体
KR102431858B1 (ko) 포장방법
JP3036690U (ja) 包装容器
JP2005255232A (ja) 開閉可能な蓋一体型カップ状紙製容器
KR200330619Y1 (ko) 보관통 절첩 포장지
JP2024027645A (ja) 筆記具用収容箱
KR20010001084U (ko) 내장물 투시가 가능한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0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