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90594B1 - 코일내에서 자기특성이 균일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일내에서 자기특성이 균일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594B1
KR100290594B1 KR1019950052194A KR19950052194A KR100290594B1 KR 100290594 B1 KR100290594 B1 KR 100290594B1 KR 1019950052194 A KR1019950052194 A KR 1019950052194A KR 19950052194 A KR19950052194 A KR 19950052194A KR 100290594 B1 KR100290594 B1 KR 100290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less
circumferential speed
hot
roll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루 다까시마
게지 사또
다까시 오바라
Original Assignee
에모또 간지
가와사끼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모또 간지, 가와사끼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모또 간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59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1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working step(s) being of interest
    • C21D8/1222Hot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85Joining ends of material to continuous strip, bar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5/00Mill drive parameters
    • B21B2275/02Speed
    • B21B2275/04Rol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21B3/02Rolling special iron alloys, e.g. stainless ste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특성 및 자기특성의 코일내 균일성이 매우 우수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C : 0.03중량% 이하, Si : 3중량% 이하 및 Al : 2중량% 이하를, [Si%] +3[Al%] -6[C%]로 산출되는 값이 0 이상 2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강 슬라브를 열간압연하고, 상법에 따라서 냉간압연을 행하고, 필요에 따라서 마무리 풀림을 행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스킨패스 압연을 행하는 풀 프로세스 또는 세미 프로세스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간압연의 마무리압연 최종 스탠드에 대하여, 압연롤의 주속이 코일당의 최고 롤 주속 : 1500mpm 이하, 코일당의 최저 롤 주속 : 500mpm 이상이면서 이 최고 롤 주속과 최저 롤 주속의 차 : 300mpm 이하를 만족하는 조건에서 압연을 행하고, 또한 열간압연 완료온도 Tf 가, 다음 식 {750+30([Si%] +3[Al%] -6[C%])}으로 계산되는 온도(℃) 이상이면서 α 상 온도역내에서 열간압연을 완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내에서 자기특성이 균일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코일내에서 자기특성이 균일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
제1도는 종래의 열연법에 의한 마무리 압연 최종 스탠드의 롤 주속(周速)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종래의 열연법에 의한 제품코일의 자속밀도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열간압연 후에 있어서의 열연강대(鋼帶) 단면의 금속조직사진.
제4도는 최종 스탠드의 롤 주속과 자속밀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최종 스탠드의 롤 주속과 열연판의 재결정률과 결정입경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최종 스탠드의 롤 주속을 800mpm 으로 설정한 경우의 열연코일내에서의 롤 주속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최종 스탠드의 롤 주속을 800mpm 으로 설정한 경우의 열연코일내의 자속밀도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자기특성 및 자기특성의 코일내 균일성이 매우 우수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방향성 전자강대는 모터, 발전기, 변압기의 철심 등에 사용되는 것이며, 이들의 기기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이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자기특성으로서 철손이 낮고, 또 자속밀도가 높은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자기특성은 제품판의 집합조직을 개선하는 것, 즉 {111}방위 결정립을 감소시키고, {100} 방위 결정립을 증가시킴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다.
제품판(板)의 집합조직은 열간압연판의 금속조직으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는 것이 잘 알려져 있으며, 결국은, 열간압연 종료온도 및 권취온도에 의해서 열연강대의 금속조직을 통하여, 나아가서는 제품판의 집합조직을 통하여, 자기특성이 변화하는 것이 널리 인식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인식에 의거하여 자기특성의 향상을 도모한 종래의 기술에는, 일본국 특개소 51-74923 호 공보가 있다. 이 기술은 A3변태점을 산출하는 식으로서
A3={820+30([Si%] + 3[Al%] - 6[C%]}℃
로 되는 것을 나타내며, 두께의 불균일함이 없고, 또 전자특성이 양호한 저규소전자강대의 제조를 하기 위한 식
{750 + 30([Si%] + 3[Al%] - 6[C%])}℃
로 산출되는 온도이상이고 또 식
{810 + 30([Si%] + 3[Al%] - 6[C%])}℃
로 산출되는 온도이하의 온도범위에서 열간 마무리압연을 완료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국 특개소 51-74923 호 공보에 의해서 제안되어서 온도범위내에서 열간압연을 종료시켰다 하여도, 얻어진 제품의 자기특성은 자속밀도 B40값으로 판단하면, 이 재료 B40값은 1.72(Wb/m2)이며, 종래법에 의한 재료의 B40값 1.71(Wb/m2)에 비하여, 약간의 향상에 지나지 않는다.
그래서, 자기특성의 더 나은 향상을 도모한 방법으로서 일본국 특개소 56-38420 호 공보에는, Ar3및 Ar1변태점을 산출하는 식으로서
Ar3={891 - 90(C%) + 50(Si%) - 88(Mn%) + 190(P%) + 380(Al%)}℃
Ar1={882 - 5750(C%) + 58800(C%)2+ 50(Si%) - 82(Mn%) + 170(P%) + 380(Al%)}℃
로 되는 것을 나타낸 뒤에, (Ar3+Ar1)/2 이하, 750℃ 이상의 온도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또 권취온도를 68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국 특개소 56-38420 호 공보에서 제안된 방법에서는, 권취온도를 680℃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으므로, 열연강대에 스케일(scale)이 두껍게 형성되고 산세성이 현저하게 나쁘며, 비용도 대폭적으로 상승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런데, 최근의 모터의 분야에서는, 집적회로(IC)의 이용에 의해 높은 제어성을 갖는 모터가 개발됨에 따라서, 모터특성의 편차를 작게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래서, 모터의 철심 재료로서 사용되는 무방향성 전자강대에 있어서도, 자기특성이 우수할 뿐만아니라, 제품코일내에서 자기특성이 균일할 것에의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이점에 대해서, 상술한 종래기술에서는, 제품코일내에서의 자기특성의 균일성에 대해서 고려되고 있지 않으므로, 매우 불충분한 것이었다. 특히 상기 일본국 특개소 56-38420 호 공보에서 제안된 방법에서는, 권취온도가 680℃ 이상이므로, 코일로 하였을 때의 외측과 내측에서는 냉각상태가 현저하게 상위하고, 코일내의 자기특성은 매우 불균일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유리하게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연압연의 마무리 압연조건과 압연온도의 관계에서 열연강대의 금속조직 및 제품자기특성을 조사한 결과에 의거하여, 자기특성의 향상과 이 자기특성의 코일내 균일성의 개선을 가능하게 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C : 0.03중량% 이하, Si : 3중량% 이하 및 Al : 2중량% 이하를
[Si%] + 3[Al%] - 6[C%]
로 산출되는 값이 0 이상 2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강 슬라브를 열간압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냉간압연을 행하고, 필요에 따라서 마무리 풀림을 행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스킨패스 압연을 행하는 풀 프로세스 또는 세미 프로세스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간압연의 마무리압연 최종 스탠드에 대하여, 압연롤의 주속이
코일당의 최고 롤 주속 : 1500mpm 이하,
코일당의 최저 롤 주속 : 500mpm 이상이고, 또한
이 최고 롤 주속과 최저 롤 주속의 차 : 300mpm 이하
를 만족하는 조건에서 압연을 행하고, 또한
열간압연 완료온도 Tf가, 다음 식
{750+30([Si%] +3[Al%] -6[C%])}
으로 계산되는 온도(℃) 이상이면서 α 상 온도영역내에서 열간압연을 완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내에서 자기특성이 균일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제 1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C : 0.03중량% 이하, Si : 3중량% 이하 및 Al : 2중량% 이하를
[Si%] +3[Al%] -6[C%]
로 산출되는 값이 0 이상 2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강 슬라브를 열간압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냉간압연을 행하고, 필요에 따라서 마무리 풀림을 행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스킨패스 압연을 행하는 풀 프로세스 또는 세미 프로세스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간압연의 마무리압연 최종 스탠드에 대하여, 압연롤의 주속이
코일당의 최고 롤 주속 : 1500mpm 이하,
코일당의 최저 롤 주속 : 500mpm 이상이고, 또한
이 최고 롤 주속과 최저 롤 주속의 차 : 300mpm 이하
를 만족하는 조건에서 압연을 행하고, 또한
열간압연 완료온도 Tf 가, 다음 식
{750+30([Si%] +3[Al%] -6[C%])}
으로 계산되는 온도(℃) 이상,
{810+30([Si%] +3[Al%] -6[C%])}
으로 계산되는 온도(℃) 이하를 만족하는 조건에서 열간압연을 완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내에서 자기특성이 균일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제 2 발명)이다.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최고 롤 주속과 최저 롤 주속의 차는 100m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제 3 및 제 5 발명).
또, 제 1 발명, 제 2 발명, 제 3 발명 또는 제 5 발명에서 열간 조압기와 열간 마무리압연기의 사이에 있어서, 조압연을 경유한 시이트 바아의 선단부와 이 시이트 바아에 선행하여 마무리 압연에 제공하는 시이트 바아의 후단부를 접합하여, 각 시이트 바아를 연속적으로 열간 마무리 압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4 및 제 6 발명).
먼저, 본 발명에 이른 경위에 대해서 설명한다.
발명자들은, 자기특성의 코일내 변동이, 열간압연 조건에 영향받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 추측을 근거로 하여, 자기특성의 코일내 변동에 미치는 열간압연 조건의 영향을 상세하게 연구하였다. 그 결과, 자기특성의 코일내 변동이 큰 원인으로서, 마무리 압연시에 있어서의 압연속도의 변동이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하, 그 실험 및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C : 0.003%, Si : 0.3%, Mn : 0.15% 및 Al : 0.2%를 함유하는 강 슬라브를, 1150℃로 가열한 후에 종래법에 따라서, 6 회의 조압연 및 7 스탠드의 탠덤 밀로 이루어지는 마무리 압연에 의해 열간압연하여 두께 2.0mm 의 열연강대로 하였다. 이 열간압연시, 열연종료온도는 800℃, 권취온도는 550℃ 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열간압연방법의 경우에 있어서의 마무리 최종 스탠드 롤 주속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제1도에 나타낸다.
먼저, 마무리 압연 최종스탠드를 빠져나온 열연강대의 선단이 코일러에 감길때까지는(제1도의 (A)의 영역), 열연강대에 장력이 작용하지 않고, 압연조업이 불안정해지기 쉬우므로, 압연속도는 낮게 제어된다. 특히 마무리 풀림의 도중에 γ - α 변태하는 저 Si 무방향성 전자강대에서는, 보통강 보다 압연은 불안정하므로, 코일러에 감길때까지의 압연속도는, 보통강 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코일러에 감긴 후(제1도의 (B)의 영역)에는,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가속되고, 압연속도는 점차 높아진다.
또, 이와 같은 종래의 열연법에 의한 제품자기특성의 코일내 변동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제2도에 나타낸다.
동도면으로부터, 자기특성은 열간압연의 압연속도의 변화에 따르도록 변동되어 있으며, 제1도와의 대비에 의해서 특히 마무리 압연의 최종 스탠드의 롤 주속이 500mpm 미만인 경우에, 자기특성이 현저하게 열화되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와 같이 롤 주속이 500mpm 미만인 경우에, 자기특성이 열화하는 이유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마무리 풀림후의 열연강대 단면의 금속조직 관찰을 하였다.
이 마무리 풀림후에 있어서의 열연강대 단면의 금속조직 사진을 제3도에, 마무리 압연의 최종 스탠드의 롤 주속이 400mpm(제3(a)도)인 경우 및 800mpm(제3(b)도)인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제3도의 사진으로부터, 마무리 압연 최종 스탠드의 롤 주속이 400mpm 인 경우에서는, 미(未) 재결정 부분이 많이 확인되고, 한편, 롤 주속이 800mpm 인 경우는 미재결정부가 거의 없으며, 조대한 재결정립으로 되어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최종 스탠드 롤 주속이 500mpm 미만인 경우는, 이와 같은 미재결정부의 잔류가, 자기특성을 열화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또,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실험결과로부터 명확해 지듯이, 마무리 압연 최종 스탠드의 롤 주속이 500mpm 이상인 경우라도, 롤 주속의 변동에 수반된다고 보이는 자기특성의 변동이 인정된다.
이상의 내용으로부터, 제품의 자기특성 및 이 자기특성의 코일내 균일성에 우수한 무방향성 자기강대를 제조하기 위하여는, 열간압연시에, 열간압연속도를 빠르게, 특히 마무리 압연 최종 스탠드의 롤 주속을 500mpm 이상으로 하고, 또 이 롤 주속의 변동을 억제하여 일정속도로 압연하는 것이, 특히 유효한 것이 시사되었다.
그래서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이 마무리 압연최종 스탠드의 롤 주속을 빠르면서 일정하게 하는 열간압연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열간 조압연기와 마무리 압연기의 사이에서, 조압연을 거친 시이트 바아의 선단부와 이 시이트 바아에 선행하여 마무리 압연에 제공되는 시이트 바아의 후단부를 접합하여, 각 시이트 바아를 연속적으로 열간 마무리 압연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이 방법에 의하면, 코일당의 강대에 마무리 압연의 최초로부터 장력을 걸 수 있으므로, 압연속도를 일정하면서 고속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마무리 압연전에서의 접합실험은 다음과 같다.
C : 0.003%, Si : 0.3%, Mn : 0.15% 및 Al : 0.2% 를 함유하는 6 개의 강 슬라브를, 1150℃ 로 가열한 후에 6 회의 열간 조압연에 의해 시이트 바아로 이루어지고, 이어서 마무리 압연함에 있어서, 먼저 마무리 압연중의 선행재(先行材)의 후단부와, 이 선행재에 따라서 마무리 압연에 제공되는 후행재의 선단부를 양호한 접합이 될 수 있도록 절단한 후, 양자를 용접함으로써 접합하고, 이와 같이 한 후에 7 스탠드의 탠덤 마무리 압연기에 의해 마무리 압연을 행하여, 두께 2.0mm 의 열연 코일로 하였다.
이 마무리 압연시, 열연종료 온도는 800℃, 권취온도는 550℃, 압연속도는 최종 스탠드 롤 주속으로 300∼1500mpm 의 여러가지의 속도로 설정하여 1 코일당의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의 일정한 압연속도로 하였다.
이들의 열연강대를 산세한 후, 냉연압연에 의해 두께 0.5mm 로 하고, 이어서 780℃ 에서 30 초의 마무리 풀림을 실시한 후에, 연속적으로 자기특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이와 같은 제품의 자기특성과, 열간압연시의 마무리 압연속도(최종 스탠드의 롤 속도)와의 관계를 제4도에, 또, 이 마무리 압연속도와 열연 강대의 재결정률, 결정 입경과의 관계를 제5도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종 스탠드 롤 주속을 800mpm 으로 일정하게 한 경우의 코일내에 있어서의 자기특성의 변동을 제7도에 나타냈다.
제4도, 제5도로부터, 열연강대조직은 압연속도와 함께 변화하고 있으며, 자기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6도, 제7도로부터, 마무리 압연속도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코일내에 걸쳐서 균일한 자기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마무리 압연에 앞서 시이트 바아의 후단 및 선단을 상호 접합하여 복수개의 시이트 바아를 연속하여 마무리 압연에 제공됨으로써, 압연속도를 빠르면서 일정하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자기특성 및 그 코일내의 균일성에 우수한 무방향성 규소강대의 제조를 실현화한 것이다.
이와 같이, 최종 스탠드의 롤 주속으로 표시되는 마무리 압연속도의 변화에 의해서, 열연조직이 변화하는 기구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지만, 이하와 같은 것으로 추정된다.
열연강대의 재결정시에 있어서의 재결정핵의 생성빈도는, 열연시에 강대내에 축적되는 변형량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축적된 변형량이 클수록, 재결정핵의 생성빈도는 커진다. 따라서, 압연속도가 빠를수록 축적된 변형량도 많아지는 한편, 압연속도가 작을 때(500mpm 미만)에는, 축적변형이 작으므로, 재결정핵 생성빈도가 작으며, 재결정률은 작아진다고 생각된다. 또한, 압연속도가 재결정률 100% 로 되는데 충분한 속도(500mpm 이상)일 때는, 압연속도가 클수록 재결정핵 생성빈도가 증가하므로, 재결정 립의 입경은 작아진다고 추정된다.
이상과 같이, 발명자들이 압연속도와 열연강대조직 및 자기특성의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었던 것은, 시이트 바아 접합에 의한 연속적인 마무리 압연을 행하는 것을 처음으로 전자강대에 적용하고, 전자강대에 있어서의 고속, 일정속도에 의한 열간압연 기술을 확립한 것에 의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제강법과 그에 이어서 조괴-분괴 또는 연속주조법에 의해, C : 0.03중량% 이하, Si : 3중량% 이하 및 Al : 2중량% 이하를
[Si%] +3[Al%]-6[C%]
로 산출되는 값이 0 이상 2 이하의 범위에 있어서 함유하는 강 슬라브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출발재인 슬라브의 C 함유량이 0.03% 를 초과하면, 자기시효에 의한 자기특성의 열화가 현저하다. 그래서 C 함유량은 0.03% 이하로 한다. 또, Si, Al은 비저항을 높여, 철손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중요한 성분이지만, 과도하게 첨가시키면 포화자속밀도가 저하하므로, 각각 Si : 3% 이하, Al : 2% 이하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 열간압연중에 γ - α 변태하는 저 Si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특성 향상에 있으므로, 대상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Si%] +3[Al%] -6[C%]
로 나타내는 값을 0 에서 2 의 범위로 하였다. 즉, 0 미만인 경우에는 γ →α 변태점이 낮으며, 열간압연중에 γ - α 변태하지 않고, 열간압연 완료후에 γ → α 변태한다. 2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온도영역에 있어서도 α 단상이며, 열간압연중에 γ → α 변태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의 경우는 대상이 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한 성분조성범위를 만족하는 강 슬라브에 열간압연을 행하여 열연코일로 한다. 이 열간압연시, 마무리 압연의 최종 스탠드에 대해서 압연 롤의 주속이
코일당의 최고 롤 주속 : 1500mpm 이하,
코일당의 최저 롤 주속 : 500mpm 이상이고, 또한
이 최고 롤 주속과 최저 롤 주속의 차 : 300mpm 이하
를 만족하는 조건에서 압연을 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최고 롤 주속이 500mpm 에 만족하지 못하면, 열연강대의 재결정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으며, 자기특성은 열화된다. 한편, 최고 롤 주속이 1500mpm 을 초과하면, 압연 하중이 너무 높아서 압연조업 자체가 곤란해 진다. 따라서 최고 롤 주속 : 1500mpm 이하, 최저 롤 주속 : 500mpm 이상으로 한다. 롤 주속이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550∼1000mpm 이다.
더우기 이 최고 롤 주속과 최저 롤 주속의 차가 300mpm 을 초과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내 금속조직의 편차가 크며, 자기 특성이 균일해지지 않으므로, 최고 롤 주속과 최저 롤 주속의 차는 300mpm 이하로 한다. 보다 적절하게는, 이와 같은 코일내의 롤 주속의 변동을 100mpm 이하로 한다.
최종 스탠드의 롤 주속을 상기의 범위로 하는 구체적 수단으로서는, 열간 조압기와 열간 마무리 압연기의 사이에 있어서, 조압연을 거친 시이트 바아의 선단부와 이 시이트 바아에 선행하여 마무리 압연에 제공되는 시이트 바아의 후단부를 접합하여, 각 시이트 바아를 연속적으로 열간 마무리 압연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선행 시이트 바아와 후행 시이트 바아의 접합수단은, 직접 통전가열이나 유도가열 등, 종래 공지의 가열법에 의한 용접을 행하면 좋다. 특히, 시이트 바아의 선·후단부를 근접배치해 두고, 시이트 바아의 판두께 방향으로 번갈아 자계를 인가하여 유도가열하는 방법은, 시이트 바아와 가열장치가 비접촉상태로 단시간에 가열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또한, 열간압연의 완료온도는 α 상 온도영역으로 한다. 열간압연 완료온도가 γ 상 영역으로 되면, 열연조직이 미세화하여 자기특성이 열화되기 때문이다. 단, α 상 온도 영역에 있어서도, 너무 낮은 온도에서 마무리 압연을 완료시키면, 압연하중이 증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압연이 불가능해 진다. 특히 높은 압연속도 하에서 열간 마무리 압연이 행해지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압연하중이 높아짐에 따른 불이익이 현저해 진다.
그래서, 열간압연 완료온도 Tf 는, 다음 식
{750+30([Si%] +3[Al%] -6[C%])}
으로 계산되는 온도(℃) 이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최적인 압연완료 온도에 대해서, 다른 견해를 취하면, 열간압연 완료온도 Tf 는, 다음 식
{750+30([Si%] +3[Al%] -6[C%])}
으로 계산되는 온도(℃) 이상,
{810+30([Si%] +3[Al%] -6[C%])}
으로 계산되는 온도(℃) 이하를 만족하는 조건에서 열간압연을 완료시키는 것이다. 이 {750+30([Si%]+3[Al%]-6[C%])}는 압연하중의 상한에서 정해지는 압연완료온도의 하한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열간압연 완료온도 Tf가 {750+30[Si%]+3[Al%]-6[C%])}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압연에 큰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비용면에서도 불리해지며, 또, 자기특성도 떨어진다.
또, 상기{810+30[Si%]+3[Al%]-6[C%])}는 변태점의 경험식{820+30[Si%]+3[Al%]-6[C%])}보다 10℃ 낮은 온도를 의미한다. 이와같이, 변태점 보다 10℃ 낮은 값에 상한을 설정하는 이유는, 변태점 바로 밑에서는, 스키드, 판두께, 판폭방향의 온도 불균일에 의해 강판의 일부가 γ 상에서 열간압연을 완료하고, 그 부분에서의 자기특성이 열화하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권취온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680℃ 미만으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는 것은, 권취온도가 너무 높으면, 코일내의 열연강대의 냉각정도에 현저한 편차가 발생하고, 자기특성이 코일내에서 균일하게 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680℃ 이상에서 권취하는 경우에는, 보온박스 등에 의해, 코일 외측의 냉각을 억제하는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하여 얻어진 열연강대에, 필요에 따라서 산세를 행한 후, 냉간압연에 의해 소정(예를 들면 0.5mm)의 두께로 한다. 그리고, 풀 프로세스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경우에는, 또한 냉연판에 마무리 풀림을 실시하여 제품으로 한다. 이 마무리 풀림은 생산성, 경제성의 이유로부터 연속풀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마무리 풀림후에, 종래 공지의 절연피막을 피성(被成)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마무리 풀림 또는 절연피막을 피성한후, 스킨패스 압연을 실시하고, 세미 프로세스 전자강판으로 할 수도 있다. 이 스킨패스 압연에 의해서, 수요가측에서의 응력제거풀림에 의해, 저철손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압하율로서는 1% 이상 15% 이하가 바람직하다고하는 것은 압하율이 1% 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또는 1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기특성의 향상이 작기때문이다. 그리고, 세미 프로세스 전자강판은 상기한 것 외에, 열간압연에 이어지는 냉간압연의 단계를 끝낸 단계에서 제품으로 함으로써 얻어진다.
전로 및 진공 탈가스장치에 의해서 성분조정을 행한 후, 연속주조를 행하여, 표 1 에 나타내는 성분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슬라브를 얻었다. 이어서, 슬라브를 1100℃ 로 재가열한 후에 열간 조압연을 행하고, 얻어진 시이트 바아에 대하여 마무리 압연에 앞서 선행재의 후단부와 후행재의 선단부를 용접에 의해서 접합한 후, 7 스탠드의 마무리 압연기로 표 1 에 나타내는 압연조건으로 마무리 압연을 행하고, 두께 2.5mm 의 열연강대로 하였다. 그후, 이와 같은 열연강대를 산세한 후에, 0.5mm 두께까지 냉간압연을 행하고, 추가로 800℃ 에서 1 분간의 연속 마무리풀림을 실시한 후, 15m 마다 자기측정을 행하였다. 또, 일부의 샘플에 대해서는, 마무리 풀림후 추가로 경압연을 실시하고, 750℃ 에서 2 시간의 응력제거풀림을 행한 후에 자기측정을 행하였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무방향성 전자강대에 대하여 자기특성 및 코일내 균일성을 조사한 결과를 표 1 에 병기한다. 표 1 중의 No. 1∼7 은 스킨패스 압연을 실시한 적이 없는 예이며, No. 8∼17 은 스킨패스압연을 실시한 예이다. 표 2 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발명예 No. 1, 2, 8, 9, 11, 12 및 17은, 코일내에서 균일하면서 양호한 자기특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의 자기특성 및 그 코일내 균일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자강대를 얻을 수 있다.
[표 1]
[표 2]

Claims (6)

  1. C : 0.03중량% 이하, Si : 3중량% 이하 및 Al : 2중량% 이하를 [Si%] +3[Al%] -6[C%]로 산출되는 값이 0 이상 2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강 슬라브를 열간압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냉간압연을 행하고, 필요에 따라서 마무리 풀림을 행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스킨패스 압연을 행하는 풀 프로세스 또는 세미 프로세스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간압연의 마무리압연 최종 스탠드에 대하여, 압연롤의 주속(周速)이 코일당의 최고 롤 주속 : 1500mpm 이하, 코일당의 최저 롤 주속 : 500mpm 이상이고, 또한 이 최고 롤 주속과 최저 롤 주속의 차 : 300mpm 이하를 만족하는 조건에서 압연을 행하고, 또한 열간압연 완료온도 Tf 가, 다음 식 {750+30([Si%] +3[Al%] -6[C%])}으로 계산되는 온도(℃) 이상이면서 α 상 온도영역내에서 열간압연을 완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내에서 자기특성이 균일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
  2. C : 0.03중량% 이하, Si : 3중량% 이하 및 Al : 2중량% 이하를 [Si%] +3[Al%] -6[C%]로 산출되는 값이 0 이상 2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강 슬라브를 열간압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냉간압연을 행하고, 필요에 따라서 마무리 풀림을 행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스킨패스 압연을 행하는 풀 프로세스 또는 세미 프로세스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간압연의 마무리압연 최종 스탠드에 대하여, 압연롤의 주속이 코일당의 최고 롤 주속 : 1500mpm 이하, 코일당의 최저 롤 주속 : 500mpm 이상이고, 또한 이 최고 롤 주속과 최저 롤 주속의 차 : 300mpm 이하를 만족하는 조건에서 압연을 행하고, 또한 열간압연 완료온도 Tf 가, 다음 식{750+30([Si%] +3[Al%] -6[C%])}으로 계산되는 온도(℃) 이상,{810+30([Si%] +3[Al%] -6[C%])}으로 계산되는 온도(℃) 이하를 만족하는 조건에서 열간압연을 완료시키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내에서 자기특성이 균일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최고 롤 주속과 최저 롤 주속의 차가 100m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내에서 자기특성이 균일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열간 압연기와 열간 마무리 압연기의 사이에 있어서, 조압연을 거친 시이트 바아의 선단부와 이 시이트 바아에 선행하여 마무리 압연에 제공되는 시이트 바아의 후단부를 접합하여, 각 시이트 바아를 연속적으로 열간 마무리 압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내에서 자기특성이 균일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최고 롤 주속과 최저 롤 주속의 차가 100m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내에서 자기특성이 균일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열간 압연기와 열간 마무리 안연기의 사이에 있어서, 조압연을 거친 시이트 바아의 선단부와 이 시이트 바아에 선행하여 마무리 압연에 제공되는 시이트 바아의 후단부를 접합하여, 각 시이트 바아를 연속적으로 열간 마무리 압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내에서 자기특성이 균일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
KR1019950052194A 1994-12-20 1995-12-19 코일내에서 자기특성이 균일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290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464694A JP3319898B2 (ja) 1994-12-20 1994-12-20 コイル内で磁気特性の均一な無方向性電磁鋼帯の製造方法
JP94-334646 1994-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0594B1 true KR100290594B1 (ko) 2001-06-01

Family

ID=18279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2194A Expired - Lifetime KR100290594B1 (ko) 1994-12-20 1995-12-19 코일내에서 자기특성이 균일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39315A (ko)
EP (1) EP0718412B1 (ko)
JP (1) JP3319898B2 (ko)
KR (1) KR100290594B1 (ko)
CN (1) CN1060528C (ko)
DE (1) DE69528033T2 (ko)
TW (1) TW3025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0518C1 (de) * 1999-07-05 2000-10-12 Thyssenkrupp Stahl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nicht kornorientiertem Elektroblech
JP4258918B2 (ja) * 1999-11-01 2009-04-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CA2993594C (en) * 2015-10-02 2020-12-22 Jfe Steel Corporation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3413A2 (en) * 1986-09-29 1988-04-13 Nippon Kokan Kabushiki Kaisha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s and producing non-oriented steel shee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7134B2 (ko) * 1972-10-11 1975-12-01
JPS5174923A (en) * 1974-12-25 1976-06-29 Kawasaki Steel Co Atsumimuraganaku katsudenjitokuseino ryokona teikeisodenjikotaino seizohoho
DE3517090A1 (de) * 1985-05-11 1986-11-13 SMS Schloemann-Siemag AG, 4000 Düsseldorf Verfahren zum walzen von vorband zu warmbreitba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3413A2 (en) * 1986-09-29 1988-04-13 Nippon Kokan Kabushiki Kaisha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s and producing non-oriented steel she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198A (zh) 1996-09-18
CN1060528C (zh) 2001-01-10
US5639315A (en) 1997-06-17
TW302573B (ko) 1997-04-11
JPH08176664A (ja) 1996-07-09
DE69528033D1 (de) 2002-10-10
EP0718412B1 (en) 2002-09-04
DE69528033T2 (de) 2003-01-02
JP3319898B2 (ja) 2002-09-03
EP0718412A1 (en) 199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219020A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0290594B1 (ko) 코일내에서 자기특성이 균일한 무방향성 전자강대의 제조방법
JP4091673B2 (ja) 磁束密度が高い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9990071916A (ko) 자속 밀도가 높고 철 손실이 낮은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방법
JP2001181743A (ja) 磁性に優れた熱延珪素鋼板の製造方法
JPH0892643A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10251752A (ja) 磁気特性に優れる熱延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4087920B2 (ja) 磁束密度が高く、鉄損の低い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2835138B1 (ko) 방향성 전기 강판의 제조 방법 및 설비열
JP4191806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3348827B2 (ja) 磁束密度が高く鉄損の低い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1046248A (ja) 磁束密度が高く、鉄損の低い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3305025B2 (ja) 磁束密度の良好な超高珪素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3845887B2 (ja) 磁気特性に優れる熱延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2000096145A (ja) 磁気特性の均一な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3646448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10273726A (ja) コイル長手方向の磁気特性の安定した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1060530A (ja) 磁束密度が高い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2001172718A (ja) 磁気特性の均一な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0463232A (ja) 連続焼鈍によるプレス成型性の優れた冷延鋼板の製造法
JP2000297326A (ja) 磁気特性の均一な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2000309823A (ja) 磁気特性の均一な熱延珪素鋼板の製造方法
JP3903494B2 (ja) 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2000297324A (ja) 磁束密度が高く鉄損の低い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1060529A (ja) コイル長手方向にわたる磁気特性に優れた電磁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7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12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