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9857B1 - 자막 데이터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막 데이터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857B1
KR100289857B1 KR1019950700781A KR19950700781A KR100289857B1 KR 100289857 B1 KR100289857 B1 KR 100289857B1 KR 1019950700781 A KR1019950700781 A KR 1019950700781A KR 19950700781 A KR19950700781 A KR 19950700781A KR 100289857 B1 KR100289857 B1 KR 100289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aption
encoded
video image
en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0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3257A (ko
Inventor
이꾸오 쯔까고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3405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8985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50703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3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8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7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mbedded information being invisible, e.g.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04N21/44027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for performing aspect ratio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5Monitoring of client processing errors or hardware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6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directed to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8Subtit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4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display-information, e.g. menu for programme or channel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4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display-information, e.g. menu for programme or channel selection
    • H04N7/0885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display-information, e.g. menu for programme or channel selection for the transmission of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3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Circuit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Holo Graphy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적은 데이터로 효율적으로 자막 데이터와 키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자막 데이터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자막 데이터와 배경 비디오 화상의 혼합 비율이 키이 데이터로 지정된다. 키이 데이터의 값이 클때 자막 데이터의 감쇠율이 커지고 배경 비디오 화상의 감쇠 율이 작아진다. 키이 데이터의 값이 작을때 자막 데이터의 감쇠율이 작아지고 배경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이 커진다. 이 키이 데이터의 레벨과 자막 데이터의 레벨은 양자화되고 모아져서 전송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자막 데이터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자막 데이터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비디오 데이터를 자막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고 수신측에 있어서 자막을 비디오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경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자막 데이터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자막 데이터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 기록매체, 전송 방법 및 장치,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및, 부호화 장이 및 복호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예를들면 외국 영화를 일본에서 감상하는 경우 화면 가장자리에 자막이 중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자막 데이터 전송 시스템으로서 비디오 디스크나 통상의 텔레비젼 방송등에 있어서는 자막이 비디오 화상안에 미리 중첩된 상태에서 비디오 신호가 전송된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CAPTAIN 시스템에 있어서는 자막을 문자 코드 혹은 도트 패턴으로서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CD-G에 있어서는 서브 코드를 이용하여 그래픽스를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자막을 CD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D-G에 있어서는 제26도 도시처럼 1프레임분의 데이터가 1바이트의 서브 코드와 32 바이트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32 바이트의 데이터에 1 샘플당 2바이트의 데이터가 L채널과 R채널에 각각 6 샘플씩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그 합계는 24바이트가 된다. 이 24 바이트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8바이트 오류 정정 부호가 부가되어 합계 32바이트의 데이터로 되어 있다.
한편 98 프레임분의 서브 코드가 모아져 1블럭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98 프레임의 서브 코드중 최초 2 프레임분의 서브 코드는 S0, S1의 싱크 패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나머지 96 프레임분의 서브 코드에 각종 서브 코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단 1바이트의 서브코드(각 비트가 P내지 W로 표시된다)중 P채널과 Q채널의 데이터는 트랙을 탐색하는 데이터가 이미 할당되어 있다. 그리하여 나머지 R 채널 내지 W 채널의 6비트에 그래픽스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다. 즉, 실질적으로 그래픽스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는 범위는 6×96비트가 된다.
1블럭의 데이터는 75Hz 주파수로 전송되므로 1프레임분의 데이터 전송량은 75×98Hz가 된다. 따라서, 서브 코드의 전송 비트 레이트는 7.35k바이트/s가 된다.
제27도는 이러한 그래픽스 데이터의 전송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동도면 도시처럼 R채널 내지 W채널의 6비트 데이터를 1 심볼로 하여 96 심볼분의 데이터로 패킷이 구성되고 각 패킷은 네개의 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팩은 심볼 0 내지 심볼 23의 24개의 심볼로 구성되어 있다. 심볼 0인 R, S, T의 3 비트에는 보드 정보가, 또한 U, V, W의 3비트에는 아이템 정보가 각각 할당되어 있다. 이 모드(MODE)와 아이템(ITEM)의 조합으로 다음과 같은 모드가 규정되어 있다.
MODE ITEM
000 000 0모드
001 000 그래픽스 모드
001 001 TV 그래픽스 모드
111 000 사용자 모드
그리고 심볼 1에는 명령이, 또한 심볼 2와 심볼 3에는 모드 및 아이템과 명령에 대한 패리티가 각각 할당되므로 실질적으로 그래픽스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는 범위는 심볼 4 내지 심볼 19의 16 심볼이 된다. 그리고 심볼 20내지 심볼 23의 4 심볼에는 심볼 0 내지 19까지의 20 심볼에 대한 패리티가 할당되어 있다.
이와같이 해서 CD-G에 있어서는 각 팩의 6×12픽셀의 범위에 그래픽스 데이터를 2치 데이터로서 할당할 수 있다. 팩의 레이트는 75×4=300팩/s가 된다. 따라서 이 6×12픽셀의 범위에 하나의 문자를 할당한다고 하면 일초 사이에 300문자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CD-G에서 규정하는 1 화면은 288 수평 화소×192라인이 되므로 이 1화면분의 문자를 전송하는데는 다음 식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2.56초 필요해진다.
(288/6) x (192/12)/300 = 2.56. . . (1)
각 픽셀에 있어서 16치 표현을 하기 위하여는 1문자 패턴당 4회의 상이한 패턴을 전송할 필요가 있으므로 4배 시간인 10.24초의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방법중 비디오 디스크나 통상의 텔레비젼 방송에 있어서의 방법처럼 자막을 비디오 화상에 중첩시킨 상태로 전송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자막 표시를 온 또는 오프할 수 없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자막으로서 복수 국가의 언어 자막을 준비하고 사용자가 소정의 것을 선택할 수 없는 과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CAPTAIN 시스템이나 CD-G방법은 필요에 따라 자막을 온 또는 오프하는 것은 가능하나 해상도가 충분치 않은 과제가 있었다.
즉 CAPTAIN 시스템에 있어서는 1화면의 표시 가능 영역은 248 수평 화소 × 192라인이지만 컴퍼넌트 디지털 TV 신호는 720 수평 화소 ×480 라인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 해상도에 비하면 충분한 해상도라고 는 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CD-G에 있어서는 1 화소에 대해 1 비트 데이터 밖에는 대응시킬 수 없으므로 데이터를 2치화시켜 표시하게 되므로 예를들면 문자의 사선 부분이 들쑥날쑥하게 나타나는 에일리어싱 현상이나 문자가 어른거리는 프릭커 현상이 현저해지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예를들면 필터로 2치 정보를 다치 정보로 바꾸는 것도 고려되나 이를 위하여는 고정밀도 필터가 필요해지고 고가가 된다. 또한 이러한 필터를 사용하면 배경 화상을 악화시키게 된다.
또한 CD-G에 있어서 1 화소를 16치로 표시하게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2치로 표시하는 경우의 약 4배의 시간이 소요되어 자막 표시를 고속으로 바꾸는 것이 곤란해지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고품질 자막을 사용자의 신호에 따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배경 비디오 화상을 악화시키지 않고 자막 표시를 고속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자막 데이터 부호화 방법 및 장치는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에 대응하는 자막 데이터와 자막을 비디오 화상에 중첩할때의 중첩 비율에 대응하는 키이 데이터를 생성하고 자막 데이터와 키이 데이터를 양자화하고 양자화한 자막 데이터와 키이 데이터를 소정 비트로 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본 발명의 자막 데이터 복호화 방법 및 장치는 상기한 자막 데이터 부호화 방법으로 부호화된 자막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자막 데이터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키이 데이터가 최대 또는 최소인 데이터일때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이 최소로 되게 하여 키이 데이터가 최소 또는 최대인때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최대가 되게 하고 키이 데이터가 최소와 최대 사이의 값인 때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값의 크기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송 방법 및 장치는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을 비디오 화상에 중첩할 때의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에 대응하는 키이 데이터를 생성하고 키이 데이터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
또한 본 발명의 부호화 방법은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을 비디오 화상에 중첩할 때의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에 대응하는 키이 데이터를 생성하고 키이 데이터를 양자화하여 양자화한 키이 데이터를 소정 비트로 하여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호화 방법은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키이 데이터가 최대 또는 최소 데이터인때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최소가 되게 하고 키이 데이터가 최소 또는 최대 데이터인때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최대가 되게 하고 키이 데이터가 최소와 치대 사이의 값인때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값의 크기에 대응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을 상기 비디오 화상에 중첩할 때의 상기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에 대응하는 키이 데이터를 양자화하여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막 데이터 부호화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는 양자화한 자막 데이터와 키이 데이터가 소정 비트가 되어 전송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송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는,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을 비디오 화상에 중첩할 때의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에 대응하는 키이 데이터를 생성하여 키이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는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을 비디오 화상에 중첩할 때의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에 대응하는 키이 데이터를 생성하여 키이 데이터를 양자화하고 양자화한 키이 데이터를 소정 비트로 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고품질 자막을 고속으로 필요에 따라 표시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막 데이터 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는 키이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여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이 제어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는 키이 데이터가 최대 또는 최소 데이터인때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최소가 되게 하고 키이 데이터가 최소 또는 최대 데이터인때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최대가 되게 하고 키이 데이터가 최소 또는 최대 데이터인때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최대가 되게 하고 키이 데이터가 최소와 최대 사이의 값인때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값의 크기에 대응시킨다. 따라서 보다 보기 쉬운 자막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을 상기 비디오 화상에 중첩할 때의 상기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에 대응하는 키이 데이터가 양자화되어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은 키이 데이터 값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어할 수 있고 보다 보기 쉬운 자막의 재생이 가능케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자막 데이터 부호화 방법을 응용한 자막 데이터 부호화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2(a)도 및 제2(b)도는 자막 데이터와 키이 데이터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3도는 자막 데이터와 키이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4도는 제1도의 양자화 회로(14)의 키이 데이 타의 양자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제5도는 제1조의 양자화 회로(14)의 자막 데이터를 양자화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제6도는 가로가 긴 화면비의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7도는 스퀴즈 방식의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8도는 제1도의 처리 회로(13)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제9(a) 내지 9(d)도는 제1도의 가변길이 부호화 회로(17)의 가변길이 부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0(a) 내지 10(d)도는 제1도의 벡터 발생회로(23)가 발생시키는 크로마 벡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1도는 제21도의 문턱 회로(2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제12도는 제1도의 종료 검출 회로(22)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제13도는 제1도의 벡터 발생 회로(23)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제14도는 제1도의 팩킹 회로(18)의 출력 포멧을 설명하는 도면 이다.
제15도는 제1도의 팩킹 회로(18)에 공급하는 위치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자막 데이터 복호화 방법을 응용한 자막 데이터 복호화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17도는 제16도의 에러 체크 회로(82)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8도는 제16도의 코드 버퍼(86a, 86b)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챠트이다.
제19도는 제16도의 역양자화 회로(91)의 역양자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제20도는 제16도의 레지스터(93), 프레임 레지스터(94), 믹서(92)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21도는 제16도의 믹서(92)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22도는 제16도의 믹서(92)에 입력되는 표시 위치 지정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23도는 본 발명의 자막 데이터 부호화 방법을 응용한 자막 데이터 부호화 장치의 기타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24도는 제23도의 자막 부호화 장치(205)의 출력 포멧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25도는 제23도의 실시예의 출력을 부호화하는 복호화 장치 일실시예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26도는 종래의 서브 코드의 포멧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27도는 종래의 서브 코드의 전송 포멧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도는 본 발명의 자막 데이터 부호화 방법을 응용한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가 비디오 부호화 장치(2)에 공급되고 A/D 변환되어 압축되도륵 되어 있다. 물론 이 비디오 카메라(1) 대신에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을 사용하여 이것으로 재생된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부호화 장치(2)에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비디오 부호화 장치(2)는 레이트 제어기(2a)를 내장하고 있고 팩킹 회로(18)가 출력하는 비트 레이트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비디오 데이터의 압축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막 부호화 장치(7)에서 자막 데이터가 부호화되는 것이지만 이 부호화된 데이터량이 적은 경우에는 그만큼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량을 증대시켜도 전체적인 데이터량은 증가하지 않는다. 즉, 그만큼 비디오 화상을 보다 고품질로 할 수 있다. 역으로 자막 데이터가 많은 경우에는 비디오 데이터에 할당되는 데이터량이 감소된다.
이와 같이 비디오 부호외 장치 (2)로 압축 ,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가 멀티플렉서(8)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마이크로폰(3)에 의해 잡음이 섞인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부호화 장치(4)에 공급되고 A/D변한되어 압축, 부호화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마이크로폰(3) 대신에 예를 들면 테이프 레코더등을 사용하여 거기서 재생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부호화 장치(4)에 공급하게 할 수도 있다. 오디오 부호화 장치(4)로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는 멀티플렉서(8)에 공급된다.
한편 문자 발생 회로(캐릭터 제너레이터)(5)로 발생된 디지탈 자막 데이터 또는 프라잉 스폿 스캐너(6)로 출력된 아나로그 자막 데이터가 자막 부호화 장치(7)에 공급되고 압축, 부호화된후 멀티플렉서(8)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멀티플렉서(8)는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기록매체인 디스크 (28)에 기록하거나 전송로인 전송 채널(29)을 통하여 수신측에 전송한다.
다음에 자막 부호화 장치(7)를 다시 설명한다. 문자 발생 회로(5)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2)로 부호화된 비디오 화상에 대응하는 자막 데이터를 발생하고 자막 부호화 장치(7)의 스위치(11)의 접점 a에 공급한다. 또한 스위치(11)의 접점 b측에는 문자 발생 회로(5)로 키이 데이터가 공급된다. 스위치(11)는 소정 타이밍으로 접점 a 또는 접정 b측으로 전환되고 자막 데이터 또는 키이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고 스위치(12)의 접점 b를 통하여 양자화 회로(14)에 공급한다.
여기서 제2도를 참조하여 키이 데이터와 자막 데이터(캡션 데이터)의 관계를 설명한다. 이 제2(a)도 도시처럼 자막에 표시할 하나의 문자로서 문자 A 가 존재한다고 한다. 그리고 동도면에 하나의 수평선으로 표시하는 라인(수평 주사선 )의 자막 데이터를 제2(b)도에 도시한다. 동도면 도시처럼 자막 데이터는 기간 T3에 있어서 표시할 문자의 휘도에 대응하는 레벨을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 키이 데이터는 기간 T3 보다 약간 전후에 떨어진 기간 T1 및 T5에 있어서 최고 레벨로 되어 있다.
그리고 기간 Tl 및 T3 사이의 기간 T2 및 기간 T3 및 T5 사이의 기간 T4의 레벨이 상술한 최저 레벨과 최고 레벨 중간의 소정 레벨에 설정되어 있다. 기간 T2 에 있어서는 최고 레벨로부터 최저 레벨로 서서히 변화되도록 되어 있고 기간 T4 에 있어서는 최저 레벨에서부터 최고 레벨로 서서히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즉 기간 T3에 있어서는 자막 데이터가 4 비트로 부호화 되고 배경 비디오 화상 비디오 신호의 레벨이 실질적으로 혹 레벨로 뮤트(감쇠)된다. 이에 대해 기간 T1 및 T5 에 있어서는 키이 데이터가 4비트로 부호화되고 자막에 대응하는 자막 신호의 레벨이 실질적으로 소정 레벨 (이 실시예의 경우 소정 회색 레벨이지만 혹 레벨로도 가능하다)로 뮤트되고 배경 비디오 화상이 그대로 표시된다. 그리고 기간 T2 및 T4 에 있어서는 키이 데이터가 4비트로 부호화되고 키이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는 비율로 배경 비디오 화상이 감쇠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키이 데이터의 값이 클수록 배경 비디오 화상의 감쇠 비율이 작아지고 키이 데이터가 작을수록 배경 비디오 화상의 감쇠 비율이 커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문자 표시 기간에 있어서는 배경 비디오 화상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뮤트되고 문자 근방에서는 배경 비디오 화상이 서서히 뮤트되므로 자막(문자)이 보기 어려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양자화 회로(14)는 자막 데이터 또는 키이 데이터의 레벨을 모아서 4비트의 데이터로서 표현한다. 제3도는 자막 데이터 (필 데이터 )와 키이 데이터의 레벨을 모아서 표시하는 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동도면 도시처럼 4비트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16 단계 레벨중 0 에서 7까지의 8단계 레벨이 키이 데이터의 레벨에 할당되고 8에서 15까지의 8단계 레벨이 자막 데이터에 할당된다. 즉, 키이 데이터의 레벨은 "0"∼"111"의 4비트의 데이터로 표시되고 자막 데이터의 레벨은"1000"~"1111"의 4비트의 데이터로 표시되게 된다.
그 결과 4비트 데이터의 MSB는 소위 키이 데이터와 자막 데이터의 식별자이며 이 최상위 자리(MSB)가 "1"일때 잔여 3비트는 자막 데이터의 레벨을 나타내며 이 레벨에 따른 자막 데이터가 표시되게 되고 MSB 가 "0"인때 잔여 3 비트는 키이 데이터의 레벨을 나타내고 그 키이 데이터의 길에 따른 레벨의 배경 비디오 화상만이 표시되게 된다. 키이 데이터 레벨이 7(="111")인때, 즉, 제2(b)도의 기간 T1 및 T5 에 있어서는 배경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은 0이 되고 배경 비디오 화상은 그대로의 레벨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키이 데이터와 자막 데이터를 모아서 4 비트의 데이터(MSB는 종류를 나타내므로 각 레벨은 실질적으로는 3비트의 데이터 )로 표시하도록 하므로 이 4 비트의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동일 데이터로 하여 비트 스트림안에 배치할 수 있어 회로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양자의 레벨의 할당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제4도 및 제5도는 키이 데이터와 자막 데이터의 레벨을 양자화하는 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들면 제2도의 기간 71, 72, 74, 75 에 있어서는 양자화 회로(14)에는 키이 데이터가 입력된다. 제4도 도시처럼 키이 데이터의 레벨이 8비트로 표현되고 0 에서 255 까지의 256 단계의 레벨을 갖는 것일때 양자화 회로(14)는 입력된 키이 데이터 y의 값을, 256단계의 레벨을 8개 범위로 구분하고 그중 어느 범위에 속하는 가를 스텝 S21∼ S28에서 판정한다. 즉 그 8 개 범위는 0∼ 6, 7~10, 11∼26, 27∼50, 51∼95, 96∼130, 131∼204 및 205∼255의 범위가 된다. 그리고 그중 어느 한 범위에 속하면 스텝 S21∼S28에서 판정되었을때 각각 스텝 S29∼S36으로 진행하고 4비트의 양자화 출력 z로서 7(= "111")∼ 0(="0")중 어느 한 값을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예를들면 제2도의 기간 T3에 있어서는 양자화 회로(14)에는 자막 데이터가 입력된다. 자막 데이터가 8 비트로 표현되고 0∼255의 256단계의 레벨을 갖는 것일때 제5도의 스텝 S1∼S8에 있어서 자막 데이터(필 데이터 ) x 가 255∼234, 233∼215, 214∼150, 149∼401, 139∼128, 127∼86, 85∼55, 54∼0 중 어느 범위에 있는지 판정된다. 그리고 이중 어느 한 범위에 속했는지가 판정되었을때 각각 스텝 S9∼ S16으로 진행되고 4 비트의 양자화 데이터 z로서 15(="1111")∼ 8(="1000")중 어느 한 값이 설정된다. 또한 문자 발생 회로 (5)에서 4 비트의 자막 데이터 및 키이 데이터를 발생하고 양자화 회로(14)를 통하지 않고 직접 이들 데이터를 DPCM 회로(15)에 입력할 수도 있다.
양자화 회로(14)에는 또한 스위치(12)의 접점 a 를 통하여 문자 발생 회로(5)로부터 블랭킹 데이터가 공급된다.
이 블랭킹 데이터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양자화 회로(14)에는 처리 회로(17)가 출력하는 자막 데이터가 스위치(12)의 접점 c를 통하여 공급된다. 처리 회로(13)는 프라잉 스폿 스캐너(6)가 출력하는 아나로그 자막 신호를 처리하고 디지탈 자막 데이터로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비디오 부호화 장치(2)에 공급되는 비디오 신호가 영화를 비디오 신호로 변환한 것인 경우, 예를들면 제6도 도시처럼 그 화면비가 가로가 긴 것으로 되어 있다. 최근의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는 소위 하이 비전으로 대표되는 16대 9인 화면비의 화면을 갖는 것이 있으며 이러한 화면비의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는 영화의 화면비의 화상을 그대로의 상태로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종래의 NTSC 방식의 화면의 화면비는 제7도 도시처럼 4대 3으로 되어 있다. 가로가 긴 화면비의 화상을 통상의 NTSC방식으 화면에 화면으로 볼수 있게 하기 위하여는 그 화면비를 4대 3으로 바꾸면 되나 그렇게 하면 제7도 도시처럼 화상이 세로가 긴 화상이 된다.
그러나 가로가 긴 화면비를 갖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는 4대 3 의 화면비로 바뀐 비디오 신호를 다시 원래의 화면비로 환원시키면 제6도 도시처럼 정상적 비율의 화상을 볼 수 있다. 가로가 긴 화면비의 텔레비젼 수상기에는 이와같이 스퀴즈 방식으로 4대 3의 화면비로 바뀐 비디오 신호를 원래의 화면비로 환원시키는 변환 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하여 비디오 부호화 장치(2)는 제6도 도시처럼 가로가 긴 화면비의 화상이 입력되었을때 제7도 도시처럼 스퀴즈 방식에 따라 4대 3의 화면비의 화상으로 바꾸어서 부호화를 행한다.
이와 같이 스퀴즈 방식에 따라 화상의 화면비가 바뀌어졌을때 그 가로가 긴 화면비의 자막도 마찬가지로 스퀴즈 방식으로 화면비를 변환해둘 필요가 있다. 처리 회로(13)는 이러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8도는 처리 회로(13)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프라잉 스폿 스캐너(6)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2)에 입력되는 비디오 화상에 대응하는 아나로그 자막 신호를 Vin 으로 하여 처리회로(13)의 비교 회로(35)에 공급한다. 이 비교회로 (35)에는 또한 n개의 저항(341∼34n)을 갖는 분압 회로(34)가 출력하는 기준 전압이 공급되어 있다.
비교 회로(35)는 분압 회로(34)가 출력하는 각 기준 전압이 각각 공급되는 n개의 비교부(351∼35n)를 갖고 있으며 프라잉 스폿 스캐너(6)로부터 공급되는 자막 신호를 각 기준치와 비교한다. 비교부(351∼35n)는 자막 신호쪽이 기준치 보다 클때 예를들면 논리 "1"의 신호를 출력하고 기준치쪽이 클때 논리 "0"의 신호를 출력한다.
엔코더(36)는 비교부(351∼35n)의 출력을 모니터하고 n개의 레벨에 대해 n = 2m이 되는 m비트의 신호로 엔코드한다.
양자화후의 0의 값이 비교 회로(35)가 출력하는 최대치 또는 최소치 중 어느 것에 대응되는가는 입력되는 신호 NMINV, NLINV에 의해 지정된다. 래치 회로(37)는 엔코더(36)가 출력하는 m 비트 데이터를 래치하고 스위치(10)의 접점 c를 통하여 양자화 회로 (14)에 출력한다.
비교 회로(35), 엔코더(36) 및 래치 회로(37)에는 발진 회로(31)또는 발진 회로(32)가 출력하는 클럭이 스위치(33)를 통하여 공급되어 있다. 발진 회로(31)가 출력하는 클럭의 주파수는 13.5MHz로 되고 발진 회로(32)가 출력하는 클럭의 주파수는 10.125MHz로 되어 있다. 즉 양자의 비율은 4대 3 으로 되어 있다.
비디오 부호화 장치(2)에서 처리하는 비디오 신호가 통상의 4대 3인 화면 비의 NTSC 방식의 비디오 신호인 경우 스위치(33)는 도면중 윗쪽으로 전환되고 발진 회로 (31)가 출력하는 클럭을 출력한다. 이에 대해 비디오 부호화 장치 (2)가 스퀴즈 방식으로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경우 스위치(33)는 도면중 아래쪽으로 전환된다. 이로써 발진 회로(32)가 출력하는 클럭이 출력된다. 이경우의 클럭의 주파수는 10.125MHz이며 통싱적인 경우의 주파수 13.5MHz의 3/4로 되어 있으므로 비교 회로(35)에 입력되는 자막 신호도 스퀴즈 방식으로 처리되는 것이 된다. 또한 처리 회로(13)는 TRW 사의 4 비트 A/D 컨버터 TDC1021을 사용하여 실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처리 회로(13)의 출력은 4비트의 데이터가 되므로 양자화 회로(14)를 통하지 않고 DPCM 회로(15)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문자 발생 회로(5)에서 공급되는 자막 데이터 및 키이 데이터는 디지탈 데이터이므로 디지탈 필터 회로(24)에 의해 통상 데이터로부터 스퀴즈 데이터로 바뀌어 스위치(12)의 접점 b를 거쳐 양자화 회로(14)로 공급된다.
양자화 회로(14)에 의해 양자화된 자막 데이터는 DPCM 회로(15)에 입력되고 DPCM으로 된다. 그리고 DPCM 회로(15)의 출력이 런길이 부호화 회로(16)에 공급된다. 런길이 부호화 회로(16)는 입력된 DPCM 자막 데이터를 레벨 및 런의 페어로 부호화한다. 가변길이 부호화 회로(17)는 런길이 부호화 회로(16)에서 공급된 런에 대하여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에 따라서 가변길이 부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팩킹 회로(18)는 가변길이 부호화된 데이터와 레벨을 조합한다.
예를들면 지금 양자화 회로(14)의 출력이 1, 4, 7, 12, 15‥ 로 되어 있는 경우 DPCM회로(15)의 출력은 1, 3, 3, 5, 3이 되고 런길이 부호화 회로(16)의 출력 (레벨, 런)의 페어는 (1, 1), (3, 2), (5, 1), (3, 1) ‥ 라는 데이터가 되고 가변 길이 부호화 회로(17)에 따른 런의 가변길이 부호화 후의 비트열은 "00010001111000101000110..."이 된다.
최초의 4비트의 데이터 "1"은 최초의 데이터 (레벨)가 1임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의 1비트의 데이터 "0"은 런이 1임을 나타낸다. 다음 데이터 "11"은 데이터 (레벨 )가 3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다음 데이터 "1100"은 런이 2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동일한 방법으로 부호화된다.
런길이가 소정의 수(이 실시예의 경우 57) 이상인때 VLC 코드를 고정길이로 한쪽이 데이터량을 적게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런길이가 57 이상일때 VLC 코드는 12 비트의 고정길이가 된다. 또한 1 라인 끝에는 끝을 표시하는 VLC 코드 "llllll1"가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가변길이 부호화 회로(17)에 의해 가변길이 부호화된 데이터(런)는 런길이 부호화 회로(16)에 의해 추출된 레벨치와 팩킹 회로(1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팩킹되고 멀티플렉서(8)에 출력된다.
또한 팩킹 회로(18)는 이때 기타 타임 코드, 위치 정보, EOP를 자막 데이터인 Y 코드 데이터에 대하여 부수(다중화 )시킨다. 타임 코드는 자막을 표시할 타이밍의 비디오 프레임의 타임 코드와 동일한 것이 된다. 위치 정보는 그 비디오 프레임 안에 있어서 그 자막을 표시할 위치(블럭 위치)(이점에 관하여는 제22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를 표시하는 것이다. EOP 는 1페이지의 자막의 종료를 표시하는 데이터이다. 또안 팩킹 회로(18)는 복호화측에서 에러 검출이 가능하도록 예를들면 16비트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코드를 부가한다.
또한 팩킹 회로(l8)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자막 데이터의 발생량을 연산하고 그 연산 결과를 비디오 부호화 장치(2)의 레이트 제어기(2a)에 공급한다. 레이트 제어기(2a)는 1패스째의 처리에 있어서 비디오 부호화의 1패스째의 비트량을 알수 있으므로 팩킹 회로(18)로부터의 신호로 자막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또한 알게 되었을때 2 패스째의 비디오 부호화시에 전송 채널(29) 또는 디스크(28)의 용량을 최대한으로 살린 가변 레이트가 되도록 비디오 부호화 장치(2)의 비트 레이트를 설정한다. 또한 두개의 패스를 사용하여 비트 레이트의 설정을 행하는 가변 레이트 비디오 부호화 장치에 관하여는 본 출원인이 먼저 출원한 국제 출원번호 PCT/JP 94/00610 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또한 문자 방송, 텔레텍스트, 기타 블랭킹 영역(귀선 구간)을 이용하는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도 마찬가지로 이 자막 부호화 장치(7)에 공급되고 상술한 경우와 동일한 처리가 행해지고 유효 주사 기간내의 비디오 데이터와는 독립되어 부호되고 전송된다.
또한 와이프바를 표시하고 싶은 경우 팩킹 회로 (18)에 있어서는 벡터 발생 회로(23)가 발생시키는 크로마 벡터, 휘도 데이터(Y) 옵셋트 레벨, 크로마 데이터(C) 옵셋트 레벨도 자막 데이터에 부수하여 팩킹된다. 휘도 데이터 옵셋트 레벨은 Y 코드 데이터에 관한 옵셋트치를 표시한다. 또한 크로마 데이터 옵셋트 레벨은 크로마 디폴트치에 관한 옵셋트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10도를 참조하여 크로마 벡터를 설명한다.
이제 제10도 도시처럼 자막으로서 문자 A 내지 E 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들면 이 자막이 가라오께 장치의 가사인 경우 곡의 진행에 따라 노래할 가사(문자)의 위치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서서히 변화한다. 이때 노래할 가사의 위치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노래할 가사(문자)를 소정색의 와이프바(200)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자막(문자) A∼E는 그 페이지 사이에 표시되어 있다. 즉, 그 가사 (A∼E)의 처음부터 끝까지가 노래가 끝날때 까지의 사이, 그 자막(A∼E)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 그 페이지는 복수의 필드 또는 프레임의 비디오 화상으로 구성된다.
제10도에 있어서 0, n-2, n-1, n는 각각 시간과 함께 변화하는 프레임을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n-2) 프레임에 있어서 문자 A의 좌반분의 거의 중간 위치에 와이프바(200)의 끝이 위치하고 제(n-1) 프레임에 있어서는 문자 A의 우반분의 약 3/4의 위치에 와이프바(200)의 끝이 도달하고 있다. 또한 제 n 프레임에 있어서는 문자 B 의 약 1/4의 위치에 와이프바(200)의 끝이 도달하고 있다.
이제 제10도에 있어서 (a)로 표시하는 라인과 (b)로 표시하는 라인에 있어서의 크로마 신호의 각 프레임 n-2, n-1, n에서의 레벨 변화를 표시하면 각각 TRn-2, TRn-1, TRn에 표시하는 바와 같아진다. 즉 와이프바(200)의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에서는 크로마의 레벨이 변화한다. 그리고 프레임 0부터 프레임 n-2 까지의 기간에 와이프바(200)는 도면 중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그 사이의 와이프바(200)의 동작을 표시하는 크로마 벡터는 TRn-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프레임 n-2로부터 프레임 n-1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크로마 벡터와 프레임 n-1부터 프레임 n까지의 와이프바 (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크로마 벡터는 각각 TRn-1및 TRn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이와 같은 크로마 벡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1도의 문자 발생 회로(5)는 문자 데이터외에 자막 데이터로서 와이프바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와이프바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양자화 회로(14)의 출력이 문턱 회로(21)에 공급되고 문턱 회로(21)의 출력이 종료 검출 회로(22)에 공급되고 종료 검출 회로(22)의 출력이 벡터 발생 회로(23)에 공급되고 벡터 발생 회로(23)가 출력하는 크로마 벡터가 팩킹 회로(18)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문턱 회로(21)는 예를들면 제11도 도시처럼 구성된다. 양자화 회로(14)가 출력하는 와이프바(200)에 대응하는 색차 데이터 Cu는 감산 회로 (41)에 공급된다. 레지스터(42)에는 직전의 클럭이 공급된 타이밍에 있어서의 감산 회로(41)의 출력이 유지되어 있다. 감산 회로(41)는 이 레지스터(42)에 유지되어 있는 값을 현재 입력된 값에서부터 감산하고 그 차분을 새로이 레지스터(42)에 유지한다.
즉 이러한 동작이 클럭 입력시마다 반복되므로 레지스터(42)에는 두개의 클럭이 입력된 타이밍의 색차 데이터 Cu의 차분 데이터가 유지되게 된다. 두개의 클럭이 발생한 기간에 있어서 색차 데이터 Cu에 변화가 없는 경우 레지스터(42)에는 실질적으로 0 의 값(또는 극히 작은 값)이 유지되게 된다. 이에 대해 색차 데이터 Cu에 변화가 있는 경우 레지스터(42)에는 큰값이 유지된다. 레지스터(42)의 값은 1 라인마다 클리어된다.
레지스터(42)에 유지되어 있는 값은 비교 회로(43)에 공급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기준치와 비교된다. 비교 회로(43)는 레지스터(42)에 유지되어 있는 값이 기준치보다 클때 논리 "1"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감산 회로(41), 레지스터(42) 및 비교 회로(43)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이 감산 회로(51), 레지스터(52) 및 비교 회로(53)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회로로 와이프바 (200)에 대응하는 다른 색차 데이터 Cv에 관하여 동일하게 처리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비교 회로(53)는 색차 데이터 Cv에 기준치 이상의 큰 변화가 있을때 논리 "1"을 출력한다.
OR회로(44)는 비교 회로(43)또는 비교 회로(53)에서 논리 "1"의 신호가 출력됐을때 그 신호를 종료 검출 회로(22)에 출력한다. 즉 OR 회로 (44)는 제10도에 도시한 와이프바(200)의 오른쪽 끝 위치를 검출했을때 논리 "1"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종료 검출 회로(22)는 예를들면 제12도 도시처럼 구성된다. 제11도의 OR 회로(44)의 출력은 제12도의 레지스터(61)에 공급되고 유지된다. 레지스터(61)에 유지된 데이터는 인버터(62)로 반전되어 AND 회로(63)와 NOR 회로(64)에 공급된다. AND 회로(63)와 NOR 회로(64)에는 또한 제11도의 OR회로(44)로 출력된 데이터가 직접 공급되어 있다.
즉 레지스터(61)는 OR 회로(44)가 직전의 클럭 발생 타이밍에 있어서 발생한 논리를 유지하고 있고 AND 회로(63)와 OR 회로(64)는 이직전의 논리와 OR회로(44)가 현재 출력한 논리를 연산한다. AND 회로(63)는 레지스터(61)에 유지되어 있는 논리가 "0"이며 (인버터(62)의 출력이 논리 "1"이며) OR회로 (44)로부터 출력된 논리가 "1"일때, 즉, 논리가 "0"에서 논리 "1"로 반전했을때 논리 "1"을 출력한다.
또한 NOR 회로(64)는 레지스터(61)가 유지하는 논리가 "1"이고 (인버터(62)의 출력이 논리 "0"이고 ) OR 회로 (44)로부터 출력된 논리가 "0"일때, 즉, 논리가 "1"에서 "0"으로 반전했을때 논리 "1"을 출력한다.
OR 회로(65)는 AND 회로(63) 또는 NOR 회로(64)로부터 논리 "1"이 입력 됐을때(와이프바 (200)의 오른쪽의 끝이 검출 했을때) 레지스터 (67)를 인에이블 상태로 한다.
카운터(66)는 클럭을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값이 수평 동기 신호의 타이밍으로 클리어되도록 되어 있다. 즉, 카운터(66)는 수평 방향의 화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카운트값을 레지스터(67)에 출력하고 있다. 따라서 레지스터 (67)는 OR 회로(65)에서 논리 "1"의 신호가 입력된후 클럭이 공급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카운터(66)의 값을 유지한다. OR 회로(6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0도의 와이프바(200)의 오른쪽 끝에서 논리 "1"을 출력하므로 레지스터(67)는 그 위치에 대응하는 화소의 위치를 기억하게 된다. 이 레지스터(67)가 기억한 값이 후단의 벡터 발생 회로(23)에 공급된다.
벡터 발생 회로(23)는 예를들면 제13도 도시처럼 구성된다. 제12도의 레지스터(67)에서 출력된 데이터는 비교 회로(76)에 공급되고 레지스터(72)에 기억되어 있는 값과 비교된다. 레지스터(72)에는 그때까지 선택기 (71)를 통하여 공급된 데이터중 가장 큰 값이 유지되어 있다. 비교 회로(76)는 레지스터(7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와 지금 레지스터(67)에서 공급된 데이터를 비교하고 큰쪽을 선택기(71)로 선택시킨다.
즉 레지스터(72)에 이미 유지되어 있는 데이터쪽이 큰 경우에는 선택기 (71)는 다시 레지스터(7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레지스터(72)에 공급한다. 이로써 레지스터(72)에는 직전에 유지되고 있었던 값이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이에 대해 레지스터(67)에서 공급된 데이터쪽이 레지스터(72)에 유지되어 있는 데이터보다 큰 경우에는 선택기(71)는 레지스터(67)에서 공급된 데이터를 선택하고 레지스터(72)에 공급한다. 이로써 레지스터(72)에는 보다 큰 값이 유지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레지스터(72)는 1라인의 기간에 있어서 입력되는 값중 가장 큰 값을 유지하게 된다.
레지스터 (72)에 유지된 값은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후단의 레지스터(73)에 전송된다. 레지스터(73)에 유지된 데이터는 다시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후단의 레지스터(74)에 전송 기억된다. 즉, 레지스터(74)에는 직전의 필드(1 프레임에 1회의 수직 동기 신호로 하면 프레임)에 있어서의 와이프바 (200)의 오른쪽 에지를 표시하는 데이터중 가장 큰 값이 유지되고 레지스터(73)에 는 이의 1 필드 앞의 값의 최대치가 유지된다. 감산 회로(75)는 레지스터(74)가 유지하고 있는 값에서부터 레지스터(73)가 유지하고 있는 값을 감산한다. 즉 감산 회로(75)의 출력은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프바(200)의 1필드 앞의 수평 방향의 위치와 1필드 뒤의 수평 방향의 위치의 차에 대응하고 있고, 이것이 크로마 벡터이다. 이 크로마 벡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팩킹 회로(18)에 공급되고 다른 데이터와 다중화된다. 또한 복호화측에 있어서는 와이프바(200)를 소정색으로 하기 위해 이 크로마 벡터를 이용하여 크로마 데이터 뿐만 아니라 휘도 데이터도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14도는 와이프바를 부호화하는 경우의 팩킹 회로(18)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포멧을 표시하고 있다. 동도면 도시처럼 이 데이터 선두에는 헤더가 배치되고 헤더 내부에는 동기 신호, 타임 코드, 위치 정보, 패킷 사이즈가 등록되어 있다. 헤더 다음에는 EOP가, 또한 그 다음에는 휘도 신호(Y) 옵셋트 레벨 및 크로마(C) 신호 옵셋트 레벨이 배치된다.
이들 옵셋트 레벨 다음에는 크로마 벡터가 소정수(n 개)만큼 배치된다. 이 n의 값은 1페이지분의 필드수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크로마 벡터 다음에는 코드화된 휘도 데이터가 배치된다. 또한 그 다음에는 에러 검출용 CRC코드가 배치된다.
제15도는 1프레임분의 비디오 화상의 어느 위치에 자막을 삽입하는가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1 프레임분의 비디오 화상이 k개의 블럭에 수평 방향으로 구분되고 제 k-1개째의 블럭 라인에 자막이 삽입되도록 위치 정보가 지정되어 있다. 자막을 이 위치에 표시하는 경우,이 k-1데이터(블럭 라인 번호)가 제14도에 도시한 헤더의 일부로서 기록된다.
제16도는 이상과 같이 부호화된 자막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디멀티플렉서(8l)는 디스크(28)에 의해 재생된 데이터 또는 전송 채널(29)에서 전송되어온 데이터의 입력을 받고 자막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분리한다.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95)에 공급되고 복호화된후 믹서(92)에 공급된다.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복호화 장치(96)에 공급되고 복호화된 후 도시하지 않은 회로에 공급된다.
한편 자막 데이터는 에러 체크 회로(82)에 공급되고 에러의 유무가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에러 체크 회로(82)는 예를들면 16비트의 CRC를 사용한 경우 제17도 도시처럼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멀티플렉서(81)에서 공급된 데이터가 XOR회로(101)의 한쪽 입력에 공급되어 있다. XOR 회로(101)의 다른쪽 입력에는 입력을 4 클럭분 지연 출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106)의 출력이 공급되어 있다. XOR 회로(101)는 두 입력의 XOR 를 연산한다. 그 출력은 시프트 레지스터(102)에 공급되고 5 클럭분 지연된 후 XOR 회로(103)의 한쪽 입력에 공급된다.
XOR 회로(103)의 다른쪽 입력에는 시프트 레지스터(106)의 출력이 공급되어 있고 XOR 회로(103)는 두 입력의 XOR를 연산하고 시프트 레지스터(104)에 출력한다. 시프트 레지스터 (104)는 XOR 회로(103)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7 클럭분 지연한 후 XOR 회로(105)에 공급하고 있다. XOR 회로(105)는 이 시프트 레지스터(104)에서 공급된 데이터와 시프트 레지스터(106)에서 공급되는 데이터의 XOR를 연산하고 그 연산 결과를 시프트 레지스터 (106)에 공급하고 있다.
패킷의 개시를 표시하는 동기 신호에서 수득되는 부의 싱크(sync)(도면중 싱크의 문자위에 수평선을 붙여 표시하는 기호)로 초기화된 카운터(302)는 시프트 레지스터(106)의 출력을 일정 간격으로 에러 체크하는 것이며 부의 RCO 출력 신호(도면중 RCO의 문자위에 수평선을 붙여 표시한 기호 )를 플립플롭(303)의 클럭 인에이블에 공급하고 시프트 레지스터(106)의 출력을 래치한다. 래치된 신호가 한번 낮은 레벨(즉 "L" 레벨 )에서 부터 논은 레벨 (즉 "H" 레벨)이 되면 OR 회로(304)와 플립플롭 (305)에 의해 계속 "H"레벨로 되고 NOT회로(107)로 그 논리가 반전되어 AND 회로(108)에는 논리 "0"이 입력된다. 그 결과 오류가 검출되었을때 AND 회로(108)가 비 도통 상태가 되어 디멀티플렉서(81)에서 공급된 자막 데이터가 필요단수의 지연회로(301)를 거친 후 AND 회로(108)를 통하여 후단의 워드 검출회로(83)에 공급되는 것이 금지된다. 즉, 자막 데이터에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 오류 페이지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자막이 표시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6도의 워드 검출 회로(83)는 에러 체크 회로(82)에서 공급된 데이터로부터 EOP, 휘도 데이터 옵셋트 레벨 또는 크로마 데이터 옵셋트 레벨 및 크로마 벡터를 분리하고 각각 어드레스 발생기(84), 레지스터(93) 또는 프레임 레지스터(94)에 공급한다. 또한 자막 데이터는 스위치(85)를 통하여 코드 버퍼(86a, 86b)에 공급된다. 또한 코드 버퍼 (86a, 86b)는 각각 적어도 자막 데이터 일페이지 분의 용랑을 가지고 있다.
어드레스 발생기(84)는 스위치 (85 및 87)의 전환 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코드 버퍼(86a 및 86b)의 기록 또는 판독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제18도 도시처럼 코드 버퍼(86a)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을때, 코드 버퍼(86b)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내게 하고 역으로 코드 버퍼(86b)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을때, 코드 버퍼 (86a)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낸다. 이 코드 버퍼의 전환은 일페이지의 종료를 표시하는 EOP 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로써 워드 검출 회로(83)에서 공급되는 데이터를 연속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드 버퍼(86a 및 86b)에 각각 일페이지 분의 용량을 확보하여 EOP 의 타이밍으로 판독/기록을 전환하므로 자막 데이터의 순시 전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어드레스 발생기(84)는 디멀티플렉서(81)로부터 공급되는 자막 데이터의 전송이 너무 빨라서 코드 버퍼(86a또는 86b)의 한쪽으로부터의 데이터 읽어내기가 완료되기 전에 다음 데이터가 공급되는 타이밍인 때에는 디멀티플렉서(81)에 정지 신호를 공급하고 새로운 데이터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가변길이 복호화 (IVLC) 회로(88)는 스위치(87)를 통하여 코드 버퍼 (86a 또는 86b)에서 읽어낸 런데이터를 제9도의 VLC 테이블을 사용하여 가변길이 복호화한다. 레벨 데이터와 가변 길이 복호화된 런데이터는 역런길이 회로(89)에 공급된다.
역런길이 회로(89)는 런의 단수분의 카운터를 동작시키고, 그 카운터를 돌리고 있는 기간의 런수만큼 코드 버퍼(86a 및 86b)의 판독을 정지시킨다. 또한 역런길이 회로 (89)는 런의 수만큼 레벨 데이터를 IDPCM 회로(90)에 공급한다.
IDPCM회로(90)는 레지스터를 갖고 있으며 그 레지스터에 기억된 하나 앞의 레벨 데이터와 역런길이 회로(89)로부터 공급된 새로운 레벨 데이터를 가산하고 그 레벨 데이터가 자막 데이터인 경우에는 후단의 역양자화 회로(91)에 공급한다. 또한 그 레벨 데이터가 키이 데이터인 경우에는 4 비트의 데이터중 키이 데이터와 자막 데이터의 식별자를 표시하는 MSB를 제외한 3 비트의 키이 데이터를 후단의 믹서(92)에 출력한다. 역양자화 회로(91)에서는 4 비트의 데이터를 8 비트의 데이터로 바꾼다. 그리고 이 데이터는 믹서(92)에 공급된다.
제19도는 역양자화 회로(91)에 있어서의 역양자화 동작의 처리예를 도시하고 있다. 동도면 도시처럼 4 비트의 양자화 데이터 z는 스텝 S41∼S48에 있어서 그 값이 15∼8 중 어느 값인지가 판정된다. 양자화 데이터 z가 15∼8중 어느 한 값일때 스텝 S49∼S56로 진행하고 자막 데이터(필 데이터) x로서 245, 233, 215, 150, 140, 128, 85 또는 44 의 값이 설정된다.
제16도의 레지스터(93), 프레임 레지스터(94) 및 믹서(92)의 보다 상세한 구성은 제20도 및 2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0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레지스터(93)가 ROM(131) 및 ROM(13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레지스터(94)는 가산 회로(141), 레지스터(142), 카운터(143) 및 지연 희로(144)로 구성되어 있다. 제20도의 기타 회로는 믹서(92)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워드 검출 회로(83)로 출력된 휘도 데이터 옵셋트 레벨(와이프바 (200)를 소정색으로 하기 위안 레벨)은 ROM(131)에 공급되고 거기에 기억되어 있는 테이블에 대응하여 소정값으로 바뀐다. 그리고 ROM(131)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가 AND 회로(135)를 통하여 가산 회로(154)에 공급되고 제 16도의 역양자화 회로(91)로 출력된 자막 데이터의 휘도 데이터(와이프바(200)를 표시하지 않을 때의 문자의 색을 특정하기 위한 초기 데이터)에 가산되고 제21도의 선택기(113) 및 가산 회로(114)에 공급된다. 이 옵셋트 레벨은 제1도에 도시한 부호화 장치(엔코더)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소정값으로 설정된 것이다. 따라서 이 값을 적의 변경하므로써 와이프바의 휘도 데이터를 소정의 값(색)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마찬가지로 워드 검출 회로(83)에서 출력된 크로마 옵셋트 레벨은 ROM(132)에 공급되어 거기에 기억되어 있는 테이블에 대응하여 소정값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ROM(132)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가 지연 회로(161)에 의해 소정 타이밍이 되도록 지연된후 AND 회로(162)를 통하여 제21도의 선택기(112)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ROM(131)과 ROM(132)에 의해 데이터를 전환하므로 와이프바(200)에 보다 적은 비트로 보다 많은 색(휘도)을 지정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자막의 휘도 데이터와 색차 데이터의 비트수를 보다 크게 하면 이와 같은 ROM(131)이나 ROM(132)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 전송 효율이 저하하게 된다.
한편 워드 검출 회로(83)에 의해 분리된 크로마 벡터는 프레임 레지스터(94)의 가산 회로(141)에 공급되고 레지스터(142)에 유지되어 있는 직전의 값과 가산된다. 그리고 가산된 값이 다시 다음 연산을 위해 레지스터 (142)에 유지된다. 이 레지스터(142)는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클리어된다. 즉 레지스터(142)에는 1 필드의 기간에 있어서의 크로마 벡터의 누적 가산치가 순차 유지된다. 다시말하면 레지스터(142)에 기억되어 있는 값은 제10도에 도시한 와이프바(200)의 각 필드내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된다.
카운터(143)는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될때 마다 가산 회로(141)의 출력을 로드한다. 즉 직전 필드에 있어서의 와이프바(200)의 수평 방향 위치에 대응하는 값을 로드한다. 그리고 즉시 수평 방향 화소에 대응하는 클럭의 카운트를 개시하며 예를들면 로드한 값을 하나씩 감량한다. 그리고 이 카운트치가 미리 설정한 소정치(예를들면 0)가 되었을때 리플 캐리 오버(rco) 단자의 출력을 논리 "1"에서 논리 "0"으로 반전한다. 이 신호는 지연 회로(144)에 의해 타이밍이 조정된후 AND 회로(135 및 162)에 공급된다.
AND회로(135 및 162)는 논리 "1"이 입력되어 있는 기간, 즉, 카운터(143)에 수직 동기 신호가 임력되고 난후 그 카운트치가 0 이 될때까지의 기간, ROM(131 또는 132)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통거ㅣ시킨다. 그러나 지연 회로(144)의 출력이 논리 "0"으로 반전한 후는 이들 데이터의 통과를 금지한다. 즉, 이에 의해 제10도에 도시한 와이프바(200)가 카운터(143)로 설정한 위치까지 표시되고 그것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에는 와이프바(200)가 표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산 회로(154)에서 출력된 휘도 데이터는 제21도의 선택기(113)와 가산 회로(114)에 공급되고 AND 회로(162)에서 출력된 크로마 데이터는 제21도의 선택기(112)에 공급된다.
선택기(113)는 가산회로(154)에서 공급된 자막 휘도 데이터를 LSB측에 1 비트만 시프트한 7 데트의 데이터, 2 비트만 시프트한 6 비트의 데이터 ‥ 6 비트만 시프트한 2 비트의 데이터, 또는 7 비트만 시프트한 1 비트의 데이 타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어느 데이터를 선택하는가는 제16도에 도시한 IDPCM 회로(90)로부터 공급되는 키이 데이터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감산 회로(114)는 가산 회로(154)로부터 공급된 휘도 데이터에서 선택기(113)로 선택은 데이터를 감산하여 선택기(115)에 공급한다. 즉, 선택기(113)의 출력을 예를들면 α 로 할때 감산 회로(114)는 1-α를 출력한다. 선택기(115)는 이 α 또는 1-α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가산 회로(116)에 출력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16도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95)에서 출력된 배경 화상의 휘도 데이터가 선택기(123)와 감산 회로(124)에 공급되어 있다. 선택기(123)는 선택기(113)와 마찬가지로 입력된 휘도 데이터를 소정 비트만큼 최하위 자리(즉 LSB)측으로 시프트한 데이터를 키이 데이터에 대응하여 선택하고 선택기(125)와 감산 회로(124)에 출력한다. 감산 회로(124)는 선택기(123)의 출력을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감산하고 선택기(125)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택기(125)도 예를 들면 감산 회로(124)에서 공급되는 1-β 의 데이터와 선택기(123)에서 공급되는 β의 데이터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가산 회로(116)에 출력한다.
단 상술한 설명은 제2도의 T3의 기간에 있어서도 자막 데이터뿐만 아니라 키이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예를 표시하고 있는 본 실시예의 경우 실제로는 선택기(113), 감산 회로(114), 선택기(115)는 불필요하며 가산 회로(154)의 출력은 가산 회로(116)에 직접 입력된다.
선택기(115)와 선택기(125)는 각각 상보적으로 동작하도록 전환된다. 즉, 가산 회로(116)는 선택기(115)가 출력하는 자막의 휘도 데이터와 선택기(125)가 출력하는 배경 비디오 화상의 휘도 데이터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것이지만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배경 비디오 화상은 키이 데이터의 값이 작아질수륵 감쇠율이 커진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IDPCM(90)에서 공급되는 키이 데이터가 선택기(113, 115)에는 그대로의 3비트 데이터로서, 또한 선택기(123, 125)에는 인버터(311)로 반전된 데이터로서 각각 공급된다.
한편 선택기(112)에는 AND 회로(162)가 출력하는 자막의 크로마 데이터가 공급됨과 동시에 비디오 복호화 장치(95)가 출력하는 배경 비디오 화상의 크로마 데이터가 공급되어 있다. 선택기 (112)는 이 두 입력중 한쪽을 선택 출력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0%∼100%인 다이나믹레인지를 12.5%(1/8)씩 늦추어서 자막과 배경 비디오 화상을 혼합할 수 있다.
제21도 도시처럼 선택기(113 과 123)에 의해 비트 시프트함으로써 데이터를 연산하여 승산기 사용이 필요치 않게 되며 보다 저코스트의 장치를 실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6도의 믹서(92)에는 자막의 표시를 온 또는 오프하는 제어 신호 혹은 자막의 표시 위치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믹서(92)는 자막의 표시를 오프하는 제어 신호가 입력될때 자막의 표시를 금지시킨다. 이것은 예를들면 제21도의 선택기(112)와 가산 회로(116)의 출력에 게이트 회로를 접속하고 이 게이트 회로를 닫음으로써 실현시킬 수 있다. 자막 표시의 온이 지령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게이트 회로를 해방시키고 선택기(112)와 가산 회로(116)의 출력이 각각 도시하지 않은 회로에 공급되어진다.
또한 믹서(92)에는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도 입력된다. 예를들면 제22도 도시처럼 전송되어 온 데이터에는 표시 위치로서 k-1번째의 블럭 라인이 지정되어 있는 것이지만 믹서(92)는 카운터를 내장하고 있고 입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를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치가 이 블럭 라인 번호에 대응하는 값이 될때 자막 데이터를 배경 비디오 화상에 중첩(superimpose)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해 사용자가 소정 블럭 라인을 지정했을때 상기한 카운터의 카운트치가 사용자가 지정한 값에 대응하는 값으로 되었을때 자막이 배경 비디오 화상에 중첩된다. 이로써 제22도 도시처럼 k-1번째의 블럭 라인에 증첩하는 것이 지정되어 있었더라도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예를들면 두번째의 블럭 라인에 자막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호화측에 DPCM 회로(15)를, 복호화측에 IDPCM 회로(90)를 설치하도록 했으나 부호화측에 있어서 양자화 회로(14)의 출력을 직접 런길이 부호화 회로(16)에서 부호화하고 복호화 측에 있어서 자막 데이터인 경우 역런길이 회로(89)의 출력을 직접 역양자화 회로(91)에 입력하고 카이 데이터인 경우 역런길이 회로(89)의 출력을 믹서(92)에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제23도는 크로마 벡터를 사용하지 않고 와이프바의 부호화를 실현하는 부호화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자막의 휘도 데이터가 프레임 메모리(201)에 공급되고 크로마 데이터가 프레임 메모리(202)에 공급되어 각각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감산 회로(203)는 프레임 메모리(202)에 기억된 데이터를 새로이 공급되는 프레임의 크로마 데이터로부터 감산하고 그 차분을 출력한다. 스위치(204)는 소정 타이밍으로 접점 a측 또는 b측으로 전환되고 프레임 메모리(201)에서 판독된 휘도 데이터 또는 감산 회로(203)에서 출력된 크로마 데이터를 선택하고 자막 복호화 장치 (205)에 공급한다. 자막 복호화 장치(205)는 예를들면 제1도의 자막 부호화 장치(7)에서부터 문턱 회로(21),종료 검출 회로(22), 벡터 발생 회로(23)를 제외한 구성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막 부호화 장치(205)로부터 출력되고 전송된 데이터의 포멧은 예를들면 제24도 도시처럼 되어 있다. 즉, 그 선두에는 헤더가 배치되고 그 다음에는 휘도 데이터의 코드화된 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다음에 와이프될 프레임(또는 필드)의 수에 대응하는 크로마 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포멧의 데이터는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호화 장치에 의해 복호화된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력된 데이터가 코드 버퍼(211)에 일단 기억된후 자막 복호화 장치(212)에 공급된다. 이 자막 복호화 장치(212)는 입력된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자막 복호화 장치(212)에 의해 복호화된 데이터중 휘도 데이터는 스위치(213)의 접점 a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메모리(214)에 공급되고 기억된다. 또한 크로마 데이터는 스위치(213)의 접점 b를 통하여 가산 회로(215)에 공급되고 디스플레이 메모리(216)에 기억되어 있는 1 프레임 앞의 데이터와 가산된다. 그리고 가산된 데이터가 다시 디스플레이 메모리 (216)에 새로이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디스플레이 메모리(216)에는 각 프레임 마다의 크로마 데이터가 기억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메모리(214 및 216)에 기억된 데이터는 소정 타이밍으로 판독되고 도시되지 않은 CRT, LCD등에 출력 표시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1 채널분의 배경 비디오 화상에 대하여 1 채널분의 (한 나라분의) 자막 데이터를 대응시킨도록 했으나 하나의 배경 화상에 대하여 복수의 (복수 언어의)자막 데이터를 대응시키거나 복수의 배경 비디오 화상에 대하여 복수의 자막 데이터를 대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막 데이터 부호화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양자화한 자막 데이터와 키이 데이터를 소정 비트로 하여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송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을 비디오 화상에 중첩할때의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에 대응하는 키이 데이터를 생성하고 키이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을 비디오 화상에 중첩할때의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에 대응하는 키이 데이터를 생성하고 키이 데이터를 양자화하고 양자화한 키이 데이터를 소정 비트로 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배경 비디오 화상의 화질을 악화시키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고품질 자막을 고속으로 필요에 따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막 데이터 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키이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여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키이 데이터가 최대 또는 최소의 데이터일때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최소가 되도록 하고 키이 데이터가 최소 또는 최대의 데이터 일때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최대가 되도록 하고, 키이 데이터가 최소 및 최대 사이의 값일때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값의 크기에 대응시킨다. 따라서 배경 비디오 화상과 자막을 저절로 보기 쉬운 상태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고픔질 자막을 고속으로 필요에 따라 표시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에 따르면 양자화한 키이 데이터를 소정 비트로 하여 기록하도록 했으므로 배경 비디오 화상의 화질을 악화시키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고품질 자막을 고속으로 필요에 따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자막 부호화 방법, 자막 부호화 장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 장치는 영화를 기록한 디스크나 가라오께 디스크를 작성할때의 디스크 작성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막 부호화 방법 및 자막 복호화 장치는 CATV, 위성방송이나 소위 비디오 온디맨드 시스템의 배신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일반 소비자를 위한 판매용 영화 디스크나 임대업자를 위한 영화 디스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일반 소비자나 가라오께 박스의 가라오께 장치용 가로오께 디스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막 복호화 방법, 자막 부호화 방법, 비디오 화상 제어 방법 및 비디오 화상 제어 장치는 영화 디스크나 가라오께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막 복호화 방법, 자막 부호화 방법, 비디오 화상 제어 방법 및 비디오 화상 제어 장치는 CATV, 위성방송, 소위 비디오 온디맨드 시스템등의 수신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6)

  1.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을 부호화하는 자막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을 표시하는 자막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상기 자막을 중첩할때의 상기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표시하는 키이 데이터를 부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데이터 및 상기 키이 데이터를 양자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데이터 및 상기 키이 데이터를 동일한 비트수로 표현하고 상기 자막 데이터 및 상기 키이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동일 데이터로 하여 부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자막 데이터 및 상기 부호화된 키이 데이터를 부호화된 비디오 화상과 다중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화상을 스퀴즈 모드로 부호화할때 상기 자막 데이터를 스퀴즈 모드로 부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데이터 및 키이 데이터의 부호 발생량에 대응하여 상기 비디오 화상을 압축하여 부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데이터로서 상기 자막의 휘도 데이터를 부호화함과 동시에 상기 비디오 화상의 소정 필드 또는 프레임 마다 상기 자막의 색차 데이터의 차분을 연산하고 상기 차분을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데이터로서 상기 자막의 휘도 데이터를 부호화함과 동시에 상기 자막의 색차 데이터를 소정의 옵셋트치와 화면상의 색차 데이터의 변화점의 좌표 위치에 대응하는 크로마 벡터로서 다중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의 휘도 데이터의 옵셋트치를 다중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을 표시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다중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의 페이지 마다 상기 자막의 페이지의 종료를 표시하는 유니크 워드를 다중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의 페이지 마다 에러 검출용 코드를 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와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데이터 및 키이 데이터를 DPCM, 런길이 부호화 또는 가변길이 부호화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방법.
  14. 부호화된 자막을 복호화하는 자막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전송된 부호화 데이터 내의 부호화된 자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자막을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전송된 부호화 데이터 내의 부호화된 키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막이 중첩되는 비디오 화상을 감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자막 데이터를 역양자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부호화된 비디오 화상을 분리하고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화상을 복호화하여 상기 비디오 화상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부호화된 휘도 데이터를 복호화 함과 동시에 부호화된 색차 데이터를 소정 필드 또는 프레임 마다 가산하여 색차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자막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부호화된 휘도 데이터를 복호화함과 동시에 부호화된 색차 데이터를 소정 색차 데이터의 옵셋트치와 화면상의 색차 데이터의 변화점의 좌표 위치에 대응하는 크로마 벡터를 기초로 하여 복호화하여 상기 자막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마 벡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복호화된 휘도 데이터에 상기 전송된 부호화 데이터내의 휘도 데이터의 옵셋트치를 가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부호화 데이터내의 자막을 표시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막의 표시 위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자막 데이터 및 상기 부호화된 키이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억하고,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부호화된 자막 데이터 및 상기 부호화된 키이 데이터를 판독하고 복호화를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부호화 데이터내의 자막의 페이지의 종료를 표시하는 유니크 워드를 기초로 하여 상기 메모리의 뱅크 전환을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의 페이지 마다 설정된 에러 검출용 코드를 사용하여 에러 검출을 행하고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는 에러를 포함하는 자막의 페이지의 부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정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방법.
  24. 제14항 있어서, 상기 자막 데이터 및 키이 데이터를 가변길이 복호화, 런길이 복호화 또는 IDPCM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복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와 상이한 위치에 상기 자막의 표시 위치를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방법.
  26.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에 관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자막을 비디오 화상에 중첩할때의 상기 자막에 인접하는 상기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표시하는 키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키이 데이터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 데이터를 양자화하고, 상기 양자화한 키이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로 하여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8. 비디오 화상에 자막을 중첩 표시할때의 비디오 화상 제어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화상에 중첩할때의 상기 자막에 인접하는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표시하는 부호화된 키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부호화된 키이 데이터를 복호화 하고, 상기 복호화된 키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막에 인접하는 비디오 화상을 감쇠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화상 제어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된 키이 데이터가 최대 또는 최소 데이터인때 상기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최소가 되도록 하고, 상기 키이 데이터가 최소 또는 최대 데이터인때 상기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최대가 되도록 하고, 상기 키이 데이터가 최소와 최대의 사이의 값일때 상기 비디오 화상의 감소율을 상기 값의 크기에 대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화상 제어 방법.
  30. 비디오 화상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을 표시하는 부호화된 자막 데이터와, 상기 자막을 중첩할때의 상기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표시하는 부호화된 키이 데이터를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소정의 색차 데이터의 옵셋트치와, 화면상의 색차 데이터의 변화점의 좌표 위치에 대응하는 크로마 벡터를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2. 제31항에 있어서, 휘도 데이터의 옵셋트지를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3. 제30항에 있어서, 자막을 표시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4. 제30항에 있어서, 자막 페이지의 종료를 표시하는 유니크 워드를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의 페이지 마다 부가된 에러 검출용 코드를 기록힌 것을 특징을 하는 기록매체.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자막 데이터는 상기 자막의 휘도를 표시하는 휘도 데이터와 상기 비디오 화상의 소정 필드 또는 프레임 마다 차분화된 색차 데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7.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을 부호화하는 자막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을 표시하는 자막 데이터 및 상기 자막을 중첩할때의 상기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표시하는 키이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수단은 상기 자막 데이터 및 상기 키이 데이터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수단은 상기 자막 데이터 및 상기 키이 데이터를 동일 비트수로 표현하고 상기 자막 데이터 및 상기 키이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동일 데이터로서 부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장치.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자막 데이터 및 상기 부호화된 키이 데이터를 부호화된 비디오 화상과 다중화하는 다중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장치.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수단은 상기 비디오 화상을 스퀴즈 모드로 부호화할때 상기 자막 데이터를 스퀴즈 모드로 부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장치.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데이터 및 키이 데이터의 부호 발생량에 대응하여 상기 비디오 화상을 압축하여 부호화하는 화상 부호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장치.
  43.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수단은 상기 자막 데이터로서 상기 자막의 휘도 데이터를 부호화함과 동시에 상기 비디오 화상의 소정 필드 또는 프레임 마다 상기 자막의 색치 데이터의 차분을 연산하고 상기 차분을 부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장치.
  44.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수단은 상기 자막 데이터로서 상기 자막의 휘도 데이터를 부호화함과 동시에, 상기 부호화 수단은 상기 자막의 색차 데이터를 소정 옵셋트치와 화면상의 색차 데이터의 변화점의 좌표 위치에 대응하는 크로마 벡터로서 상기 부호화된 자막의 휘도 데이터로 다중화하는 다중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수단은 상기 자막의 휘도 데이터의 옵셋트 치를 상기 부호화된 자막의 휘도 데이터로 다중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장치.
  46.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수단은 자막을 표시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상기 부호화된 자막 데이터 및 키이 데이터로 대중화하는 다중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장치.
  47.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수단은 상기 자막의 페이지 마다 상기 자막의 페이지 종료를 표시하는 유니크 워드를 다중화하는 다중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장치.
  4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수단은 상기 자막의 페이지 마다 에러 검출용 코드를 부가하는 다중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장치.
  4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수단은 상기 자막 데이터 및 키이 데이터를 DPCM, 런길이 부호화 또는 가변길이 부호화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부호화 장치.
  50. 부호화된 자막을 복호화하는 자막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전송된 부호화 데이터내의 부호화된 자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자막을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자막 발생 수단과, 상기 전송된 부호화 데이터 내의 부호화된 키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막이 중첩되는 비디오 화상을 감쇠시키는 비디오 화상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자막 데이터를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장치.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부호화된 비디오 화상을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화상을 복호화하여 상기 비디오 화상을 생성하는 복호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장치.
  5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발생 수단은 부호화된 휘도 데이터를 복호화 함과 동시에, 부호화된 색차 데이터를 소정 필드 또는 프레임 마다 가산하여 색차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자막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장치.
  54.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발생 수단은 부호화된 휘도 데이터를 복호화 함과 동시에 부호화된 색차 데이터를 소정 색차 데이터의 옵셋트치와 화면상의 색차 데이터의 변화점의 좌표 위치에 대응하는 크로마 벡터를 기초로 하여 복호화하여 상기 자막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발생 수단은 상기 크로마 벡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복호화된 휘도 데이터에 상기 전송된 부호화 데이터내의 휘도 데이터의 옵셋트치를 가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장치.
  56.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부호화 데이터내의 자막을 표시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막의 표시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장치.
  57.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자막 데이터 및 상기 부호화된 키이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가지며, 상기 자막 발생 수단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부호화된 자막 데이터 및 상기 부호화된 키이 데이터를 판독하고 복호화를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장치.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부호화 데이터내의 자막의 페이지 종료를 표시하는 유니트 워드를 기초로 하여 상기 기억 수단의 뱅크 전환을 행하는 메모리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장치.
  59.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의 페이지 미다 설정된 에러 검출용 코드를 사용하여 에러를 검출하고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는 에러를 포함하는 자막 페이지의 부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정지시키는 에러 검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장치.
  60.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발생 수단은 상기 자막 데이터 및 키이 데이터를 가변길이 복호화, 런길이 복호화 또는 IDPCM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복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장치.
  61.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와 상이한 위치에 상기 자막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복호화 장치.
  62.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자막을 비디오 화상에 중첩할때의 상기 자막에 인접하는 상기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표시하는 키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키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키이 데이터를 양자화하고, 상기 양자화한 키이 데이터를 소정 비트로 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64. 비디오 화상에 자막을 중첩 표시할때의 비디오 화상 제어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화상에 중첩할때의 상기 자막에 인접하는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표시하는 부호화된 키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부호화된 키이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차 수단과, 상기 복호화된 키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막에 인접하는 비디오 화상을 감쇠하는 감쇠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화상 제어 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 수단은 상기 복호화된 키이 데이터가 최대 또는 최소 데이터일때 상기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최소가 되게하고, 상기 키이 데이터가 최소 또는 최대의 데이터일 때 상기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최대가 되게 하고, 상기 키이 데이터가 최소와 최대 사이의 값일때 상기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상기 값의 크기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화상 제어 장치.
  66. 비디오 화상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비디오 화상을 부호화하고, 상기 비디오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자막을 나타내는 자막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상기 자막을 중첩할때의 상기 비디오 화상의 감쇠율을 표시하는 키이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화상, 자막 데이터 및 키이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작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19950700781A 1993-06-30 1994-06-30 자막 데이터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0289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60782 1993-06-30
JP16078293 1993-06-30
JP639094 1994-01-25
JP94-6390 1994-01-25
PCT/JP1994/001062 WO1995001704A1 (en) 1993-06-30 1994-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coding/decoding subtitles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3257A KR950703257A (ko) 1995-08-23
KR100289857B1 true KR100289857B1 (ko) 2001-05-15

Family

ID=2634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0781A KR100289857B1 (ko) 1993-06-30 1994-06-30 자막 데이터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583577A (ko)
EP (3) EP1326449B1 (ko)
JP (1) JP3430511B2 (ko)
KR (1) KR100289857B1 (ko)
CN (1) CN1113098A (ko)
AT (3) ATE324746T1 (ko)
AU (1) AU677676B2 (ko)
DE (3) DE69432685T2 (ko)
ES (3) ES2193162T3 (ko)
HK (1) HK1044088B (ko)
WO (1) WO1995001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4542A (en) 1993-12-21 1997-11-04 Sony Corporation Video subtitle processing system
US6367634B1 (en) 1993-12-22 2002-04-09 Baxter International Inc. Blood collection systems including an integral, flexible filter
US6422397B1 (en) * 1993-12-22 2002-07-23 Baxter International, Inc. Blood collection systems including an integral, flexible filter
JP2931755B2 (ja) * 1994-04-14 1999-08-09 株式会社東芝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エンコード装置、データエンコード方法及びデータ再生システム
JPH08322046A (ja) * 1995-03-20 1996-12-03 Sony Corp データ符号化/復号化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符号化データ記録媒体
JPH08265661A (ja) * 1995-03-23 1996-10-11 Sony Corp 字幕データ符号化/復号化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符号化字幕データ記録媒体
JPH08275205A (ja) * 1995-04-03 1996-10-18 Sony Corp データ符号化/復号化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符号化データ記録媒体
AU726256B2 (en) * 1995-04-03 2000-11-02 Sony Corporation Subtitle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JP3326669B2 (ja) * 1995-06-30 2002-09-2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再生装置
JPH09130824A (ja) * 1995-11-02 1997-05-16 Funai Electric Co Ltd 映像装置の文字表示時における映像処理方法
US5802226A (en) * 1996-03-29 1998-09-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fade effect with a single video source
JPH09284650A (ja) * 1996-04-15 1997-10-31 Toshiba Corp 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
EP1411725A3 (en) * 1996-05-16 2004-05-19 Kabushiki Kaisha Infocity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MY119560A (en) * 1996-05-27 2005-06-30 Nippon Telegraph & Telephone Scheme for detecting captions in coded video data without decoding coded video data
JP3591227B2 (ja) * 1997-06-24 2004-11-17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3011157B2 (ja) * 1997-10-30 2000-02-21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読取方法及び装置
US6038347A (en) * 1997-11-03 2000-03-14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picture-representing data
US6144774A (en) * 1997-11-03 2000-11-07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picture-representing data
US6573945B1 (en) * 2000-01-12 2003-06-03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Logo insertion on an HDTV encoder
US20030209479A1 (en) * 2000-07-10 2003-11-13 Lynn Daniel R Blood filters, blood collection and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therefore
US7050109B2 (en) 2001-03-02 2006-05-23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provision of user selected advanced close captions
US7532765B2 (en) * 2002-12-30 2009-05-12 Intel Corporation Run length encoded digital image
KR100565614B1 (ko) 2003-09-17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션 송수신 방법
US20050078221A1 (en) * 2003-09-26 2005-04-14 Koji Kobayashi Apparatus for generating video contents with balloon captions, apparatus for transmitting the same, apparatus for playing back the same, system for providing the same, and data structure and recording medium used therein
IL159838A0 (en) 2004-01-13 2004-06-20 Yehuda Binder Information device
JP4747537B2 (ja) * 2004-09-07 2011-08-1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携帯端末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177037B1 (en) * 2007-08-09 2011-01-19 Inlet Technologies Preserving captioning through video transcoding
US20090249392A1 (en) * 2008-03-28 2009-10-01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caption thereof
US20100091187A1 (en) * 2008-10-15 2010-04-15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udio/video device for processing caption information
CN102740000A (zh) * 2011-08-29 2012-10-17 新奥特(北京)视频技术有限公司 一种在图文播出单编辑中预览播出效果的方法及系统
CN113596355B (zh) * 2020-04-14 2024-04-16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字幕图像产生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2494A (ja) * 1985-08-06 1987-02-12 三洋電機株式会社 グラフイツクデコ−ダ回路
JPH07118798B2 (ja) * 1988-02-29 1995-12-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画像情報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JPH0219088A (ja) * 1988-07-06 1990-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字幕表示装置
JPH02308689A (ja) * 1989-05-23 1990-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文字図形情報表示装置
JP2776934B2 (ja) * 1990-01-10 1998-07-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467470A (ja) * 1990-07-06 1992-03-03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憶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JP2652268B2 (ja) * 1990-11-02 1997-09-10 ダブリュエヌエム・ヴエンチヤ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
JP2913825B2 (ja) * 1990-11-19 1999-06-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有料字幕放送送受信装置
JP2692406B2 (ja) * 1991-04-04 1997-12-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信号拡大装置
JPH05304641A (ja) * 1992-04-24 1993-11-16 Victor Co Of Japan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EP1079610B1 (en) * 1992-11-05 2009-04-15 Canon Kabushiki Kaisha Moving-pictur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32660D1 (de) 2003-06-18
DE69434718T2 (de) 2007-03-29
ATE240624T1 (de) 2003-05-15
ATE324746T1 (de) 2006-05-15
CN1113098A (zh) 1995-12-06
KR950703257A (ko) 1995-08-23
DE69432685T2 (de) 2004-04-08
US5583577A (en) 1996-12-10
DE69432660T2 (de) 2004-04-08
EP0662770B1 (en) 2003-05-14
EP1326449A2 (en) 2003-07-09
AU677676B2 (en) 1997-05-01
EP1158810B1 (en) 2003-05-14
AU7082994A (en) 1995-01-24
ATE240623T1 (de) 2003-05-15
HK1044088A1 (en) 2002-10-04
EP1158810A3 (en) 2002-01-09
ES2193162T3 (es) 2003-11-01
EP1158810A2 (en) 2001-11-28
ES2194002T3 (es) 2003-11-16
WO1995001704A1 (en) 1995-01-12
DE69432685D1 (de) 2003-06-18
JP3430511B2 (ja) 2003-07-28
EP0662770A4 (en) 1998-05-27
EP1326449B1 (en) 2006-04-26
HK1044088B (zh) 2004-04-08
DE69434718D1 (de) 2006-06-01
EP0662770A1 (en) 1995-07-12
ES2259117T3 (es) 2006-09-16
EP1326449A3 (en) 200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9857B1 (ko) 자막 데이터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61150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digital video data operable to remove noise from subtitle date included therewith
US5742352A (en) Video caption data decoding device
KR100390593B1 (ko) 서브타이틀데이터인코딩/디코딩방법및장치및그기록매체
US6104861A (en) Encoding and decoding of data streams of multiple types including video, audio and subtitle data and searching therefor
US5731847A (en) Subtitl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6204883B1 (en) Video subtitle processing system
US6424792B1 (en) Subtitl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EP1326451A1 (en) Subtitle colorwiping and positioning
KR100666285B1 (ko) 데이터복호화장치및데이터복호화방법
JPH07250279A (ja) 字幕データ復号化装置
JPH07231435A (ja) 字幕データ符号化装置、その復号化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4391187B2 (ja) データ復号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2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4123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