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5899B1 - 스포트제거회로 - Google Patents

스포트제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899B1
KR100285899B1 KR1019960078031A KR19960078031A KR100285899B1 KR 100285899 B1 KR100285899 B1 KR 100285899B1 KR 1019960078031 A KR1019960078031 A KR 1019960078031A KR 19960078031 A KR19960078031 A KR 19960078031A KR 100285899 B1 KR100285899 B1 KR 100285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spot
ray tube
cathode ray
p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697A (ko
Inventor
윤경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78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899B1/ko
Priority to US09/000,866 priority patent/US6046552A/en
Publication of KR19980058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89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02Intensit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4Blank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0Prevention of damage to cathode-ray tubes in the event of failure of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H04N5/68Circuit details for cathode-ray displ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음극선관을 사용하여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수직 귀선 소거 회로에서 수직 귀선 소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콘덴서의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오프할 경우에 음극선관의 중앙에 스포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수직 귀선 소거 신호를 출력하는 콘덴서와 마이너스 전원의 사이에 방전 차단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콘덴서의 충전 전원을 접지로 방전시키는 방전 소자를 구비하여, 캐소드에서 열전자가 방출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콘덴서의 충전 전원이 방전되지 않고, 음극선관의 제 1 그리드에 지속적으로 마이너스 전원을 인가하여 스포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캐소드에서 열전자가 방출되지 않을 정도의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콘덴서의 충전 전원이 방전 소자를 통해 모두 방전되게 한다.

Description

스포트 제거회로
본 발명은 음극선관을 사용하는 모니터 및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영상 표시기기에 있어서, 기기의 전원을 오프할 경우에 음극선관의 화면 중앙부에서 스포트(Spot)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스포트 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의 내면 및 외면에 흑연 등을 정제한 도전막(2)(3)이 도포되고, 상기 도전막(2)(3)의 사이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의 유리를 유전체로 하는 콘덴서가 형성된다.
상기 콘덴서는 약 800~2000pF정도의 용량이고, 내압도 매우 높은 편이다.
그러므로 상기 도전막(2)(3)의 사이에 형성되는 콘덴서는 고압 정류회로의 필터에서 콘덴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음극선관이 동작할 경우에 패널(1)의 내측 도전막(2)에는 고압(+B)이 인가되고, 인가된 고압(+B)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도전막(2)(3)의 사이에 형성된 콘덴서에 충전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기기의 전원을 오프하게 되면, 음극선관의 히터는 여열이 남아 있어 열전자를 계속 방사하게 된다.
이 때, 기기의 전원을 오프함에 따라 수직 편향 코일 및 수평 편향 코일로 편향 전류가 흐르지 않아 편향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방사된 열전자에 의한 전자 빔은 상기 도전막(2)(3)의 사이에 형성된 콘덴서에 충전되어 있는 고압에 의해 가속되는 데 상기한 바와 같이 편향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전자 빔은 음극선관의 형광막의 중앙 부위에만 충돌되어 스포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도전막(2)(3)의 사이에 형성된 콘덴서에 충전되어 있는 고압은 서서히 방전하게 되고, 이 방전 시간이 길게 되면, 형광면에 스포트가 남아 있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형광면에 강한 자극을 계속 주게 되므로 형광막이 열화된다.
그러므로 음극선관을 사용하는 영상 표시 기기는 전원을 오프하였을 경우에 음극선관에 스포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영상 표시 기기의 전원을 오프하였을 경우에 음극선관에 스포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종래의 스포트 제거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10은 수직 귀선 소거 회로이다. 수직 귀선 소거 회로(10)는 수직 동기신호(/VS)가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는 전원(+B1)이 저항(R2)을 통해 인가되게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속점에 콘덴서(C1)의 일측 단자가 접속된다.
상기 콘덴서(C1)의 타측 단자에는 전원(-B3)이 저항(R3)을 통해 인가되게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이 저항(R4)을 통해 음극선관(11)의 제 1 그리드(11A)에 접속되며, 전원(+B2)이 콘덴서(C2) 및 역방향 다이오드(D1)를 통해 상기 음극선관(11)의 제 1 그리드(11A)에 접속된다.
도 2의 도면 설명중 미설명 부호 11B는 캐소드이고, 11C는 히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포트 제거회로는 기기의 전원을 온할 경우에 음극선관(11)의 히터(11C)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되고, 히터(11C)의 발열에 따라 캐소드(11B)가 열전자를 방사하여 전자 빔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음극선관(11)의 네크(neck)부에는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이 설치되고, 이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로 소정의 편향 전류가 흘러 수평 및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직 귀선 기간으로 수직 귀선 소거 회로(10)에 저전위의 수직 동기 신호(/VS)가 입력되고, 입력된 저전위의 수직 동기 신호(/VS)는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그러면, 트랜지스터(Q1)는 수직 동기 신호(/VS)를 고전위로 반전시켜 그의 콜렉터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로 출력되는 고전위의 수직 동기 신호는 콘덴서(C1)를 통한 후, 저항(R3)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B3)에 중첩되고, 저항(R4)을 통해 음극선관(11)의 제 1 그리드(11A)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수직 동기 신호의 기간 동안은 음극선관(11)의 제 1 그리드(11A)에 높은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캐소드(11B)에서 발생된 전자 빔이 제 1 그리드(11A)를 통과하지 못하고, 음극선관(11)에는 귀선이 표시되지 않게 된다.
이 때, 전원(+B2)과 음극선관(11)의 제 1 그리드(11A)의 사이에는 콘덴서(C2)가 접속되어 전원을 오프하였을 경우에 콘덴서(C2)의 충전 전압이 다이오드(d1)를 통해 유기되어 빠르고, 일정 시간동안 제 1 그리드(11A)에 마이너스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게 되어 전자 빔이 통과되지 못하게 제어한다.
여기서, 다이오드(D1)는 역방향 전류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포트 제거회로는 전원을 오프하였을 경우에 음극선관(11)의 제 1 그리드(11A)에 일정 시간동안 마이너스 전원을 인가하여 스포트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전원 오프시 제 1 그리드(11A)에 마이너스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이 짧을 경우, 전원 오프 초기에는 스포트가 발생되지 않지만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스포트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휘도가 높은 경우 등의 하이 빔 상태일 경우, 콘덴서(C2)의 용량이 충분히 크지 않으면, 전원 오프시 음극선관(11)의 제 1 그리드(11A)에 충분히 큰 마이너스 전원이 인가되지 못하기 때문에, 소정의 전자빔이 통과하여 음극선관에 스포트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스포트 제거회로는 콘덴서(C2)의 용량을 충분히 크게 설정하여, 전원을 오프할 경우에 스포트가 발생되지 않는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제 1 그리드(11A)에 마이너스 전원이 인가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용량이 큰 콘덴서(C2)는 매우 고가로서 제품의 생산 원가가 상승하게 됨은 물론 콘덴서(C2)의 크기가 커져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콘덴서(C2)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큰 용량의 콘덴서를 사용하지 않고, 스포트가 발생하는 시간동안 음극선관의 제 1 그리드에 지속적으로 마이너스 전원을 인가하여 스포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스포트 제거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포트 제거회로는 수직 귀선 소거 회로에서 수직 귀선 소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콘덴서의 충전 전원을 이용한다.
상기 콘덴서의 충전 용량은 적으므로 전원을 오프할 경우에 빠른 속도로 방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콘덴서와 마이너스 전원의 사이에 방전 차단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콘덴서의 충전 전원이 방전되지 않고, 음극선관의 제 1 그리드에 지속적으로 마이너스 전원을 인가하여 스포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음극선관의 제 1 그리드에 계속 마이너스 전원이 인가되면, 다음에 기기의 전원을 온할 경우에 상기 콘덴서의 충전 전원에 의해 휘도의 발생 시간이 늦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콘덴서의 충전 전원을 접지로 방전시키는 방전소자를 구비하여 방전 시간을 조절한다.
상기 방전 소자의 방전 시간으로서는 히터의 여열에 의해 캐소드에서 열전자가 방출되는 시간에 따라 조절하는 것으로서 캐소드에서 열전자가 방출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콘덴서의 충전 전원이 모두 방전되는 값으로 설정한다.
도 1a는 음극선관에 형성되는 콘덴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b는 도 1a의 등가 회로도.
도 2는 종래의 스포트 제거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포트 제거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포트 제거회로에서 제 1 그리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귀선 소거 회로
11 : 음극선관
11A : 제 1 그리드
C1 : 콘덴서
D11 : 다이오드(방전 차단수단)
R11 : 접지 저항(방전 수단)
이하, 첨부된 도 3 및 도 4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포트 제거회로를 상세히 설명하겠으며, 여기서 종래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포트 제거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귀선 소거 회로(10)의 수직 귀선 신호를 출력하는 콘덴서(C1)의 타측 단자에는 전원(-B3)이 방전 차단 수단인 역방향 다이오드(D11)와 저항(R3)을 통해 인가되게 접속되어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D11) 및 저항(R3)의 접속점에 방전 수단인 접지 저항(R11)이 접속되고, 상기 콘덴서(C1) 및 저항(R3)의 접속점은 저항(R4)을 통해 음극선관(11)의 제 1 그리드(11A)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포트 제거회로는 기기의 전원을 온하였을 경우에 음극선관(11)의 히터(11C)가 발열되고, 캐소드(11B)가 열전자를 방사하여 전자 빔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직 귀선 기간일 경우에 수직 귀선 소거 회로(10)에 입력되는 저전위의 수직 동기 신호(/VS)가 저항(R1)을 통하고, 트랜지스터(Q1)에서 반전되며, 콘덴서(C1)를 통한 후, 다이오드(D11) 및 저항(R3)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B3)에 중첩되고, 저항(R4)을 통해 음극선관(11)의 제 1 그리드(11A)에 인가되므로 음극선관(11)의 제 1 그리드(11A)에 높은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캐소드(11B)에서 발생된 전자 빔이 제 1 그리드(11A)를 통과하지 못하고, 음극선관(11)에는 귀선이 표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기기의 전원을 오프하여 전원(+B1)(-B3)이 모두 차단되었을 경우에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및 저항(R2)에 접속된 콘덴서(C1)의 일측 단자의 전압이 0V로 되고, 콘덴서(C1)의 타측 단자에 충전되어 있는 마이너스 전원이 저항(R4)을 통해 음극선관(11)의 제 1 그리드(11A)에 인가되어 스포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 때, 다이오드(D11)는 역방향 전위가 인가되어 차단 상태로 되고, 음극선관(11)의 제 1 그리드(11A)는 수MΩ으로서 매우 높으므로 콘덴서(C1)의 충전 전원은 거의 방전되지 않고, 음극선관(11)의 제 1 그리드(11A)에 지속적으로 마이너스 전원을 인가하여 스포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콘덴서(C1)에 장시간동안 마이너스 전원이 충전되어 음극선관(11)의 제 1 그리드(11A)에 마이너스 전원이 인가되면, 다음에 기기의 전원을 온하였을 경우에 휘도가 늦게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이오드(D11)와 저항(R3)의 사이에 접지 저항(R11)을 연결하여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있는 마이너스 전원이 저항(R3)(R11)을 순차적으로 통해 방전되게 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R11)의 값을 작게 설정할 경우에는 콘덴서(C1)에 충전된 마이너스 전원의 방전 시간이 짧아지고, 저항(R11)의 값을 크게 설정할 경우에는 콘덴서(C1)에 충전된 마이너스 전원의 방전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저항(R11)의 값을 조절하여 방전 시간을 조절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캐소드(11B)에서 열전자가 방사되지 않을 경우에 콘덴서(C1)의 충전 전원이 모두 방전되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적은 용량의 콘덴서를 이용하여 음극선관에서 스포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회로의 구성이 간단하고, 큰 용량의 콘덴서를 사용하지 않아 제품의 생산 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인쇄 회로 기판의 공간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Claims (4)

  1. 수직 동기 신호에 따라 수직 귀선 소거 신호를 발생하는 수직 귀선 소거 회로의 콘덴서와, 기기의 전원을 오프하였을 경우에 상기 콘덴서에 충전되어 있는 마이너스 전원이 방전되지 않고 음극선관의 제 1 그리드에 인가되게 하는 방전 차단 수단과, 상기 콘덴서의 충전 전원이 방전되게 하는 방전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트 제거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 차단 수단은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트 제거회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 수단은 접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트 제거회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전 수단은 상기 음극선관에서 스포트가 발생되지 않는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상기 콘덴서의 충전 전원이 모두 방전되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트 제거회로.
KR1019960078031A 1996-12-30 1996-12-30 스포트제거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285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031A KR100285899B1 (ko) 1996-12-30 1996-12-30 스포트제거회로
US09/000,866 US6046552A (en) 1996-12-30 1997-12-30 Spot eliminating circuit of an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031A KR100285899B1 (ko) 1996-12-30 1996-12-30 스포트제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697A KR19980058697A (ko) 1998-10-07
KR100285899B1 true KR100285899B1 (ko) 2001-04-16

Family

ID=1949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80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85899B1 (ko) 1996-12-30 1996-12-30 스포트제거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46552A (ko)
KR (1) KR100285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9693U (ja) * 1998-12-08 1999-07-13 船井電機株式会社 ブラウン管放電装置
US6211908B1 (en) * 1999-05-27 2001-04-03 Thomson Multimedia Licensing S.A. Television apparatus with supplementary kinescope blanking and spot burn protection circuitry
JP2001223916A (ja) * 2000-02-08 2001-08-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ポットキラー回路、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ブラウン管表示システム
WO2002041342A2 (en) * 2000-11-20 2002-05-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and cathode ray tube
JP2003283863A (ja) * 2002-03-20 2003-10-03 Orion Denki Kk 陰極線管表示装置のスポットキラー制御回路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0910A (en) * 1979-09-24 1982-07-20 Gte Sylvania Incorporated CRT Spot suppression circuit
FR2524236A1 (fr) * 1982-03-23 1983-09-30 Thomson Csf Mat Tel Dispositif de commande d'electrode d'un canon electronique pour tube cathodique
JPS63158974A (ja) * 1986-12-23 1988-07-01 Nippon Chemicon Corp スポツトキラ−回路
JPH0617361Y2 (ja) * 1987-05-18 1994-05-02 株式会社東芝 帰線消去回路
JPH0771193B2 (ja) * 1990-04-20 1995-07-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ポットキラー回路
US5043639A (en) * 1990-04-30 1991-08-2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Video display apparatus with kinescope spot burn protection circuit
KR0116710Y1 (ko) * 1994-09-30 1998-04-23 김광호 스포트 킬러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46552A (en) 2000-04-04
KR19980058697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76093B2 (ja) 映像管用グリッドバイアス制御回路
US4045742A (en) High voltage shutdown circuit responsive to excessive beam current and high voltage
HU222289B1 (hu) Elektronsugár eltérítési sebességét moduláló készülék tiltó áramkörrel
KR100285899B1 (ko) 스포트제거회로
US2638562A (en) Kinescope residual beam extinction circuit
US4521720A (en) Projection TV CRT burn protection
US5805211A (en) Electrostatic probe device for signal detection of cathode ray tube displays
US3407330A (en) Protection circuit for cathode ray tube
US2635208A (en) Television circuit
JPH08237511A (ja) マルチスキャン対応水平偏向ドライブ回路
US5671016A (en) High voltage discharge circuit for CRT
US6225763B1 (en) FET discharging circuit of a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KR20000037908A (ko) 스폿 킬러 회로
KR200150311Y1 (ko)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 장치
JPH06315120A (ja) 節電型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31875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스폿 제거 회로
KR200179723Y1 (ko) 수평 안정화 회로
KR930002314Y1 (ko) 스포트 제거 회로
KR19990040152U (ko) 스포트 제거회로
KR920001852B1 (ko) 직류 소자 회로
KR0131597Y1 (ko) 수직동기신호 발생회로
JP2001223916A (ja) スポットキラー回路、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ブラウン管表示システム
KR100339356B1 (ko) 영상표시기기의 방전보호회로
KR100265378B1 (ko) 스폿제거회로
KR930000450Y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압안정화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3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3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