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5746B1 - 전사롤러의눌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사롤러의눌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746B1
KR100285746B1 KR1019970075919A KR19970075919A KR100285746B1 KR 100285746 B1 KR100285746 B1 KR 100285746B1 KR 1019970075919 A KR1019970075919 A KR 1019970075919A KR 19970075919 A KR19970075919 A KR 19970075919A KR 100285746 B1 KR100285746 B1 KR 100285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roller
photosensitive drum
paper
transfer
soleno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5943A (ko
Inventor
김순남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5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746B1/ko
Publication of KR19990055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74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14Transfer ro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사 롤러의 눌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시된 눌림방지장치는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 드럼;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감광 드럼과 함께 현상재를 용지상에 전사시키는 전사 롤러; 및 급지된 용지가 상기 감광 드럼과 전사 롤러사이를 통과할 때만 상기 전사 롤러가 감광 드럼쪽으로 밀착되는 힘을 제공하여 일정한 닙을 형성시키는 눌림방지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사 롤러의 눌림방지장치{DEVICE FOR MAINTAINING NIP OF TRANSCRIPTABLE ROLLER}
본 발명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상기의 롤러 중, 전사 롤러 눌림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전자사진 프로세서는 프린터, 레이져 빔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기기가 있으며, 이러한 기기는 토너라는 현상재를 현상기에서 현상작용을 수행함으로서, 용지상에 복사하였다.
이러한 기기는 다수매의 용지가 급지 카세트에 적재되고, 픽업 롤러에 의해 낱장씩 순차적으로 최상단의 용지가 정렬 롤러쪽으로 향하고, 정렬 롤러에 의해 용지의 선단이 정렬되면, 현상기 쪽으로 향한다. 이러한 현상기가 도 1에 도시되었다.
종래의 현상기는 다수개의 롤러 등으로 구성되는 바, 공지의 대전, 노광, 전사 및 정착의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대전 과정에서는 감광 드럼(2)을 접촉 하는 대전기인 도전성 롤러1에 의해 감광 드럼을 대전시킴으로서, 감광 드럼(2)상에 균일한 전하를 형성시킨다. 노광 과정에서는 대전된 감광 드럼(2)을 원고 또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여 LSU에 의해 노광시킴으로서, 감광 드럼(2)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킨다. 이어서 현상 과정은 감광 드럼(2)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공급 롤러(5)에 의해 공급된 현상재를 전달하여 부착시킨다. 이어서 전사 과정은 감광 드럼(2)에 부착된 현상재가 전사 롤러(9)에 의해 기록용지로 전사시킨다. 마지막으로 미도시된 정착기에 의해 현상제는 용지상에 정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으로 현상되는 현상기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 드럼(2)을 포함한 현상기는 세트에 장착시, 세트에 부착된 전사 롤러(9)가 압축 코일스프링(14)에 의해 감광 드럼(2)과 일정한 닙을 형성한다. 상기 전사 롤러는 샤프트 지지대(13)에 의해 지지된다.
용지가 닙을 지나가면서 전사과정이 진행되는 데, 용지가 지나갈 때나 지나가지 않을 때나 현상기를 세트에 장착과 동시에 항상 감광 드럼(2)과 전사 롤러(9)사이에 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시간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닙이 형성되어 접촉된 부분은 미세한 영구변형이 발생되고, 또한 전자 전도형 전사롤러의 경우, 저항이 변하게 되어 전사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전사 불량″이란 예를 들어 용지전체를 새까맣게 프린트하려고 할 때, 닙이 형성된 채로 장시간 방치하게 되면, 전사 롤러가 감광 드럼과 접촉되었던 부분은 비 접촉부에 비해 전사가 되지 않아 전사 롤러가 주기적으로 희뿌옇게 발생되는 ″화상빠짐현상″을 말한다. 또한, 종래기술은 용지가 지나가지 않을 때도 감광 드럼과 직접 접촉하고 있어 감광 드럼상의 클리닝되지 않은 토너가 전사 롤러를 오염시키고, 이것은 다시 용지의 화상배면을 오염시키는 악영향을 주게된다.
결과적으로, 용지가 지나갈 때나 지나가지 않을 때나 현상기를 세트에 정착과 동시에 항상 감광 드럼과 전사 롤러사이에 닙이 형성되어 있어, 감광 드럼에 비해 상대적으로 푹신한 전사 롤러는 보통 2∼2.5mm사이의 닙이 형성된 만큼 표면이 눌리게 되고, 그 부분의 전기적 저항이 변하게 되어 전사롤러의 주기의 전사불량이 생기고, 감광 드럼과 전사 롤러가 용지가 지나가지 않을 때도 직접 접촉되어 있어 화상의 배면오염의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사 롤러의 눌림 자국은 외형적으로 복원되었다 할지라도 전기적 저항의 변화가 생긴값은 100% 복원이 힘들뿐만 아니라, 복원되는데 2주일이상이 소요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사할 때만 전사 롤러가 감광 드럼에 붙는 전사 롤러의 눌림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사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화상품질을 향상시키는 전사 롤러의 눌림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 드럼;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감광 드럼과 함께 현상재를 용지상에 전사시키는 전사 롤러; 및
급지된 용지가 상기 감광 드럼과 전사 롤러사이를 통과할 때만 상기 전사 롤러가 감광 드럼쪽으로 밀착되는 힘을 제공하여 일정한 닙을 형성시키는 눌림방지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가 눌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 눌림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를 중심으로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 눌림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5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감광 드럼 9:전사 롤러
11:솔레노이드 12:붙임판
15:가이드 22:캠
S1,S2:센서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의 눌림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용지가 감광 드럼과 전사 롤러사이를 통화할 때만 전사 롤러가 감광 드럼으로 밀착되어 일정한 닙을 형성하도록 눌림방지수단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눌림방지수단을 2개의 실시예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사 롤러 눌림방지수단은 감광 드럼(2)과 전사 롤러(9)가 설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감광 드럼(2)의 양단에서 마주보는 본체 세트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11)와, 상기 감광 드럼(2)과 마주보는 전사 롤러(9)의 전사 롤러 샤프트(9a)에 대칭으로 조립된 붙임판(12)과, 상기 전사 롤러(9)의 샤프트(9a)에 조립된 전사 롤러 가이드(15)와, 상기 감광 드럼 기어(2a)와 맞물리는 전사롤러 구동기어(9a)로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1)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전자기력에 인성이 작용하는 재질의 붙임판(12)은 솔레노이드(11)에 달라 붙게된다. 상기 붙임판(11)은 철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사 롤러(9)는 감광 드럼(2)쪽으로 이동되어 전사에 필요한 일정한 닙이 형성되고, 상기 전사 롤러의 구동기어(9a)가 감광 드럼의 기어(2a)와 연결되어 구동된다. 이때, 상기 감광 드럼(2)와 전사 롤러(9)사이에 발생되는 닙의 폭을 조절하는 방법은 세트의 몸체에 부착된 솔레노이드(11)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가능하다.
상기 솔레노이드(11)에 전원이 가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상기 전사 롤러(9)는 전사 롤러 가이드(15)상에 놓여 있고, 구동도 되지 않으며, 감광 드럼(2)과도 분리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전사 롤러(9)가 용지가 지나갈 때만 감광 드럼(2)에 달라 붙도록 이미 기술한 눌림방지장치의 작동을 지시하는 별도의 센서를 설치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를 중심으로, 전후방에 독립적인 센서(S1,S2)를 설치한다. 즉, 용지(P)가 현상기를 지나가기 전의 위치에는 급지 센서(S1)을 설치하고, 용지(P)가 현상기를 지나간 후의 위치에는 배지 센서(S2)를 설치한다. 상기 센서(S1,S2)는 광센서가 바람직하며, 이런 센서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용지가 지나감에 따라서 회전하다 복귀하는 공지의 액츄에이터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센서 설치에 따라서, 상기 급지 롤러에 의해 급지된 용지(P)는 급지 센서(S1)를 건드리면서 통과하게 된다. 급지 센서(S1)를 건드리고 지나간 용지가 감광 드럼(2)에 도달하기 전에 솔레노이드(11)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아래의 붙임판(12)가 솔레노이드(11)에 달라 붙게 되고, 상기 전사 롤러(9)도 함께 감광 드럼(2)에 밀착됨과 함께 필요한 닙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사 롤러의 샤프트(9b)에 끼워진 전사롤러 구동 기어(9a)에 의해 감광 드럼(2)과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전사 롤러(9)에 걸린 고전압으로 감광 드럼(2)상에 생성된 가시상의 토너를 용지위로 전사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며, 용지(P)가 배지 센서(S2)를 통과하는 순간, 솔레노이드(11)에 공급된 전원은 차단되며, 전사 롤러(9)는 자중에 의해 전사롤러 가이드(15)에 놓이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일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 눌림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의 눌림방지수단은 현상기를 중심으로, 용지이송 중, 현상기를 지나가지 전에 용지가 있다는 감지하는 급지 센서(S1)와, 상기 급지 센서(S1)의 감지에 의해 모터(도면에 미도시됨)가 구동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캠(22)과, 상기 캠(22)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면접촉을 하도록 전사 롤러 샤프트(9b)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판(21)과, 상기 전사 롤러(9)를 지지하는 전사 롤러 가이드(15)와, 상기 캠(22)의 회전에 의해 전사 롤러(9)가 감광 드럼(2)쪽으로 밀착되어 감광 드럼의 기어(2a)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전사롤러 기어(9a)와, 용지(P)가 현상기를 지나 현상후 상태를 감지하여 캠(22)를 원위치로 회전하도록 감지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지시를 하는 배지 센서(S2)로 구성된다.
상기 급지 센서(S1)에 의해 용지(P)가 현상 전 상태에서 현상기쪽으로 향하고 있다는 것을 감지하고, 이어서 모터에 의해 캠(22)은 180°회전을 한다. 이어서 캠(22)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면접촉에 의해 슬라이드 판(21)은 감광 드럼(2)쪽으로 밀착하고, 이어서 전사 롤러(9)도 감광 드럼(2)과 밀착하게 되어 감광 드럼 기어(2a)와 전사롤러 기어(9a)는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일정한 닙이 형성되어 전사 롤러(9)에 걸린 고전압으로 감광 드럼(2)상에 생성된 가시상의 토너는 용지상으로 전사된다.
이어서 용지가 현상후 배지 센서(S2)를 통과하는 순간, 상기 센서(S2)의 지시에 의해 모터는 회전하게 되고, 모터의 회전에 의해 캠(22)은 원위치로 회전하게 되어 전사 롤러(9)는 자중에 의해 가이드(15)에 놓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에 있어서, 닙이 형성된 만큼의 표면이 눌리게 되어 눌린 부분의 전기적 저항이 변하게 되어 발생될 수 있는 전사 불량을 방지하게 되어 화상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전사 롤러가 용지가 지나가지 않을 때도 직접 감광 드럼에 접촉되어 있어 화상배면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Claims (4)

  1.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 드럼;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감광 드럼과 함께 현상재를 용지상에 전사시키는 전사 롤러; 및
    급지된 용지가 상기 감광 드럼과 전사 롤러사이를 통과할 때만 상기 전사 롤러가 감광 드럼쪽으로 밀착되는 힘을 제공하여 일정한 닙을 형성시키는 눌림방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롤러의 눌림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방지수단은
    현상기를 중심으로, 용지가 현상기를 지나가지 전에 용지가 있다는 감지하는 급지 센서;
    상기 급지 센서의 감지에 의해 전류인가여부가 결정되며, 세트 본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기력이 발생되면 인성이 작용하는 재질이며, 상기 전사롤러의 샤프트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붙임판;
    상기 전사 롤러를 지지하는 전사 롤러 가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감광 드럼쪽으로 달라붙게 되어 감광 드럼의 기어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전사롤러 기어; 및
    용지가 현상기를 지나 현상후상태에 있다는 것을 감지하여 솔레노이드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감지하는 배지 센서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롤러의 눌림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질은 철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롤러의 눌림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방지수단은
    현상기를 중심으로, 용지이송중 현상기를 지나가지 전에 용지가 있다는 감지하는 급지 센서;
    상기 급지 센서의 감지에 의해 모터가 구동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캠;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면접촉을 하도록 전사롤러 샤프트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판;
    상기 전사 롤러를 지지하는 전사롤러 가이드;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전사 롤러가 감광 드럼쪽으로 밀착되어 감광 드럼의 기어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전사롤러 기어;
    용지가 현상기를 지나 현상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캠을 원위치로 회전하도록 감지하여 모터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배지 센서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롤러의 눌림방지장치.
KR1019970075919A 1997-12-29 1997-12-29 전사롤러의눌림방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85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919A KR100285746B1 (ko) 1997-12-29 1997-12-29 전사롤러의눌림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919A KR100285746B1 (ko) 1997-12-29 1997-12-29 전사롤러의눌림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943A KR19990055943A (ko) 1999-07-15
KR100285746B1 true KR100285746B1 (ko) 2001-04-02

Family

ID=37514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91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85746B1 (ko) 1997-12-29 1997-12-29 전사롤러의눌림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7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943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2491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接触式転写手段の清掃方法
US7917053B2 (en) Image forming and toner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US5144383A (en) Transfer assembly of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2002296927A (ja) 画像形成装置
EP0246459B1 (en) Copier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US669758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85746B1 (ko) 전사롤러의눌림방지장치
JP2003131494A (ja) トナー像転写装置
US5860043A (e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having a development unit shifter
US6006048A (en) Wrong-sign toner detection system
JPH07261577A (ja) 電子写真装置
US77832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adjust a supplied charge to improve printing quality and image forming method thereof
JP3000759B2 (ja) 画像形成装置
JPH0282278A (ja) 電子写真記録装置
JPH07334018A (ja) 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3196617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53065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제어방법
JP3740864B2 (ja) 画像形成装置
JP434040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055542A (ja) 画像形成装置
KR0177094B1 (ko) 접촉대전기의 오염을 방지하기위한 대전전압 제어방법
CN202003145U (zh) 一种充电效果优良的激光束打印机处理盒
JPH0548197Y2 (ko)
JPH08160779A (ja) 画像形成装置
JP2535025Y2 (ja) 記録紙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