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4352B1 - 실로 감은 골프공 - Google Patents

실로 감은 골프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352B1
KR100284352B1 KR1019940009049A KR19940009049A KR100284352B1 KR 100284352 B1 KR100284352 B1 KR 100284352B1 KR 1019940009049 A KR1019940009049 A KR 1019940009049A KR 19940009049 A KR19940009049 A KR 19940009049A KR 100284352 B1 KR100284352 B1 KR 100284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liquid
ball
diameter
co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9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시게 스기모또
게이지 모리야마
다다히로 에비스노
미끼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요꼬이 다스꾸
스미도모 고무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꼬이 다스꾸, 스미도모 고무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꼬이 다스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35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6Physical properties
    • A63B37/0062Hardness
    • A63B37/00621Centre hard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2Special cores
    • A63B37/08Liquid cores; Plastic cores
    • A63B2037/085Liquid cores; Plastic cores liquid, jelly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2Special cores
    • A63B37/08Liquid cores; Plastic cores
    • A63B2037/087Wound cores o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17Specified total dimple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18Specified number of dimp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23Covers
    • A63B37/0029Physical properties
    • A63B37/0031Hard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23Covers
    • A63B37/0029Physical properties
    • A63B37/0033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38Intermediate layers, e.g. inner cover, outer core, mantle
    • A63B37/004Physical properties
    • A63B37/0043Hard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38Intermediate layers, e.g. inner cover, outer core, mantle
    • A63B37/004Physical properties
    • A63B37/0045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51Materials other than polybutadienes; Constructional details
    • A63B37/0052Liquid co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51Materials other than polybutadienes; Constructional details
    • A63B37/0053Thread wou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6Physical properties
    • A63B37/0064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6Physical properties
    • A63B37/0066Density; Specific gra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액체 중심부, 상기 액체 중심부 위에 형성된 고무 실 층 및 상기 고무실 층을 덮고있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액체 중심부는 29.5 내지 32㎜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커버는 그 표면에 총 딤플 부피가 280 내지 340㎣인 딤플을 가지고 있는 실로 감은 골프공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실로 감은 골프공
제1도는 딤플(dimples: 골프공의 표면에 보조개 형태로 움푹 파인 곳)의 부피를 측정하기 위해 픽업(pick-up)형태의 표면윤곽측정장치(surface profile measuring equipment)로 딤플 단면의 밑부분을 투사하여 얻은 딤플의 한 끝A에서 다른 쪽 끝 B까지의 그림을 보여준다.
제2도는 제1도에서 보여진 그림의 점 A와 점 B를 지나가는 접선 C를 긋고 이 접선 C와 딤플의 하부를 둘러싼 면적 D의 부피를 구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략도를 보여준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로 감은 골프공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체 중심부 1a : 중심백
1b : 물 또는 비중조절제를 함유하고 있는 액체 2 : 고무실층
3 : 커버 3a : 딤플들
본 발명은 실로 감은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회전을 가지면서 비행거리가 증가하도록 고안된 실로 감은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실로 감은 골프공으로는 구형의 액체중심부의 둘레에 고발포 고무 실로 감아 코아(core)를 형성하고 딤플(dimples)을 가진 커버로 고무실층을 코팅한 다음 실로 감은 골프공으로 압착하여 만든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이 액체중심부에는 고무등으로 구성된 중공구형(中空球形) 중심백(center bag)의 중공부분이 물 또는 비중조절제를 함유한 액체로 채워져 있다.
골프공에 요구되는 기능은 긴 비행거리와 용이한 공의 컨트롤이 포함된다. 실로 감은 골프공은 보다 큰 역회전을 허용하고 투피스고체(two-piece solid) 골프공보다도 뛰어난 컨트롤성을 가지고 있으나, 볼이 역회전에 의해 날리기 때문에 투피스고체 골프공보다도 짧은 비행거리를 가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시장에서는, 보다 긴 비행거리를 원하는 일반골퍼들은 잘 날아갈 수 있는 투피스고체 골프공을 선호하고 핸드캡이 작은 전문 및 프로골퍼들은 비행거리보다도 컨트롤성에 더 큰 강조를 두어 일반적으로 실로 감은 골프공(특히 발라타(balata)로 코팅된 실로 감은 골프공)의 사용을 선호한다.
투피스고체 골프공의 컨트롤성을 증가시키기위해, 커버를 부드럽게 하여 실로 감은 골프공과 같이 공에 회전을 주기위한 많은 개발이 시도되어 왔다. 또한 실로 감은 골프공의 비행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개발이 시도되어왔다.
그러나, 고무의 충격탄성을 증가시켜 볼의 초기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골프공의 특성에 의해 한정되는 초기속도 상한에 의해 제한받기 때문에 초기속도를 증가시켜 비행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은 그자체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고무충격탄성을 증가시켜 초기속도를 증가시키는 것과는 다른, 액체중심부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과 같은, 어떤 수단에 의해 비행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실로 감은 골프공의 중심부에 대해 지금까지 제안되어온 기술과 실제로 채택될수 있는 기술에 대해 하기에 설명하였다.
실로 감은 골프공의 중심부는 액체중심부와 고체중심부가 있다.
고체중심부는 소위 고무럼프(rubber lump)라 하는데 쉽게 만들수 있기 때문에, 일본국 공개공보 제 48-4025호에서는 25-28㎜로 사용되어 왔던 중심부의 직경을 23-39㎜로 상당히 증가시키는 것이 제안되어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공보 제 59-129072호에서는, 비중이 큰 재료를 커버에 사용하면서 고체중심부의 직경을 30-38㎜로 증가시키고 비중을 감소시켜,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키고 비행거리를 개선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제 60-168471호에서는, 고체중심부의 직경을 28-32㎜의 크기로 고안하고 커버를 보다 단단하게 만들어, 발사각도를 증가시키고 회전을 감소시켜 비행거리를 개선하는 것이 제안되어있다.
한편, 액체중심부에 대해서는, 오랜시간동안 여러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는데 영국특허 180,619(1921년에 출원)의 명세서에는, 그당시 액체중심부의 제조방법이 이미 개발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주형의 구형중공부분내에 액체 페이스트를 채워 냉각하여 펠렛으로 만든 다음 이것은 고무로 덮고 프레스 가황하는 방법이 나타나있다. 이 영국의 특허명세서에는 중심부의 직경이나 딤플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없었다.
미국 특허 제 2,249,612호 또는 일본국 공개공보 제 48-4026호의 명세서에는 냉각시키지 않고 액체 페이스트를 덮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들 명세서에는 중심부의 직경이나 딤플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없었다.
일본국 특허공보 제 60-92782호는 25.4-26.99㎜로 사용되어왔던 중심부의 직경을 28.6±0.0076㎜로 변화시킴으로써 회전을 줄인다고 기재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국 공개공보 제 60-165966호는 중심부의 직경을 28.5㎜로 변화시킨 예를 소개하였다. 일본국 공개공보 제 60-187875호는 중심부의 직경을 25-34㎜, 바람직하게는 26-30㎜로 추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딤플과 결합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었고 있다 할지라도 골프공은 종래기술의 직경을 가진다. 일본국 특허공보 제 62-112575호는 중심부의 직경이 20-35㎜, 바람직하게는 28-34㎜이라고 기재하였다.
그러나, 이 중심부는 고수분 함량의 겔 구형물질로 형성되고 제조과정에서 반복적으로 냉동, 웨더링(weathering), 해동된다. 그것에 의해 이 중심부는 커버로 부터 유리(遊離)되어 고무실로 직접 감을 수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은 액체중심부보다도 고체중심부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일본국의 공개공보 제2-255162호에서는 액체중심부를 종래의 것보다 부드럽게 만들고 액체중심부를 변형시키는데 요구되는 하중을 종래의 것보다도 작도록 고안하여 그 결과 역회전을 감소시키고 비행거리를 증가시킨다고 기재하고 있다. 또한 중심부의 직경을 26-29㎜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기재하고 있다.
일본국의 공개공보 제 54-135037호는 중심부에 액체도 고체도 아닌 물유리를 사용한 골프공을 제안하고 있는데 2㎜이하 두께의 코팅재료로 직경 27-31㎜의 물유리 코아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기재하고 있다.
상기에서 기재한 것처럼, 중심부의 직경에 대해 수많은 명세서에 여러 제안들이 기재되어 있고, 중심부의 직경에 대해서는 70년이상의 연구 역사를 가지고 있어 모든 것들이 이미 연구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 시장에 진출해있는 실로 감은 골프공의 액체중심부의 직경을 조사해봤을대, 거의 모든 직경은 25-29㎜ 범위에 포함되어있어 실제로는 이 범위가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사실은 액체가 단지 액체중심부내 고무백에 의해 싸여있기 때문에 액체중심부는 고체중심부가 할 수 있는 만큼 중심부 그 자체에 의해서 경도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중심부의 직경이 클때 감는 고무실의 소비는 감소하고, 그 결과 적합한 경도를 갖는 공이 얻어질수 없어 초기 공의 속도가 느려지거나 또는 공을 칠때 높이 날아가는 것을 방해한다. 이것이 직경이 약 29㎜ 초과의 것이 채택되지 않는 이유이다.
물론 액체중심부의 직경을 39㎜까지 증가시키는 제안들이 있어왔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그런 실예가 없고 실현성도 없다. 액체중심부를 갖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골프공을 조사해보면 실제로 사용되는 액체중심부의 직경이 25 내지 29㎜의 직경내에 있음을 보여준다.
딤플에 관해서, 위에서 언급한 일본국 공개공보 제60-92782호는 약 28.6㎜의 중심부의 직경에서 딤플의 깊이와 직경을 제안하고 있지만 이것은 중심부가 관련되는 한 종래기술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한다. 일본국 공개공보 제54-4626호는 고체중심부를 가진 실로 감은 작은 골프공의 딤플에 대해 상세히 쓰고 있고 바람직한 중심부의 직경은 25-29㎜라고 기재하고 있다. 이 일본문헌은 고체중심부의 구조를 가진 실로 감은 골프공의 비행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구조와 딤플사이의 관계를 최적화하는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작은 공은 거의 생산되고 있지않고 이 기술은 고체중심부에 관한 것으로 액체중심부에 적용하는 본 발명의 그것과 다른 산업분야다.
액체중심부를 사용한 실로 감은 골프공에 대해 상기에서 기재된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속도한계를 준수하고 실로 감은 골프공이 제공하는 좋은 촉감과 컨트롤성을 잃지 않으면서 비행거리가 증가하여 일반 골퍼들조차도 선호하는 실로 감은 골프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실로 감은 골프공의 액체중심부의 물성과 역회전 및 비행거리 사이의 관계에 대해 여러가지 조사를 시도하여, 액체중심부의 직경을 29.5-32㎜로 증가시켜 역회전을 줄이고 총 딤플의 부피를 280-340㎣로 규정하여 최적의 궤적을 얻었으며 비행거리를 증가시켜서, 상기에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액체중심부의 직경을 증가시켜 역회전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기술로 바람에 날리는 것과 같은 궤도를 가지는 종래의 실로 감은 골프공의 단점을 개선하고 투피스고체 골프공의 궤도(즉 궤도가 포물선에 보다 가까운)과 유사한 부드러운 궤도를 얻었다. 그리고 총 딤플의 부피를 280-340㎣로 규정하였을 때 최적의 로프트(loft : 경사각도가 다른 클럽의 면으로 쳤을때 생기는 궤도)가 공에 주어진다. 이 방법에 의해 감소된 역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공을 로프트하기가 어려운 점을 해결하고 최적의 궤도를 얻을 수 있게 하여, 최종적으로 비행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액체중심부의 직경을 종래의 것에서 29.5-32㎜로 증가시켰다. 이런 방법으로 종래의 것보다 액체중심부를 증가시킨 이유는 역회전을 감소시키고 바람에 날리는 것과 같은 공의 궤도로부터 투피스고체 골프공과 유사한 궤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다. 직경의 상한을 32㎜로 정한 이유는 액체중심부의 직경을 더 증가시키면 골프공으로서 필요한 경도를 얻기 위해 감아야하는 고무실의 소비가 감소되어, 요구되는 경도를 얻기가 어렵기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총 딤플부피를 280-340㎣로 규정하였다. 280㎣로부터 딤플의 총 부피를 증가시킨 이유는 적절하게 공을 로프트하여 감소된 역회전에 의해 상승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총 딤플의 부피를 340㎣로 상한을 정한 이유는 총 딤플의 부피가 340㎣를 초과할때 로프트가 짧게되고 궤도가 낮아지며 충분한 비행거리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 총 딤플의 부피는 300-335㎣ 범위의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딤플의 갯수는 350-450개, 바람직하게는 420±25개이다.
상기 언급한 이전의 기술에서 기재한 것처럼, 종래의 기술은 단지 중심부의 구조만을 규정한 실로 감은 골프공에 관한 것이고, 공을 클럽으로 칠때 공이 비행하는 거동에 대해 언급한 예가 거의 없고 특히 딤플에 대해 기재한 예는 거의 없다. 본 발명은 비행하는 거동과 결합될수 없다고 믿어온 구조와 결합하여, 그 구조를 최적화시키고 실로 감은 골프공의 비행거리를 증가시켰다는 점에서 현저한 기술적 진보를 가져온 것이다.
본 발명에서 총 딤플의 부피는 하기와 같이 결정하였다 :
[총 딤플의 부피를 측정하는 법]
20 내지 30개의 딤플을 임의로 선택한 볼 표면상의 딤플로부터 단면윤곽을 하기에 설명된 것과 같은 픽업형태(접촉형태)의 표면윤곽측정장치로 측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개개 딤플의 부피를 얻고 비례적으로 총 딤플의 수를 계산하여 총 딤플의 부피를 구하였다.
각각의 딤플의 부피는 픽업형태의 표면윤곽측정장치로 딤플의 하부를 투사하여, 제1도에서 보여진 것과 같은 딤플의 한쪽 끝 A와 다른쪽 끝 B를 포함하는 그림을 만들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 그림에 각 점을 찍은뒤 제2도에서 보여진 것처럼 점 A와 B를 지나는 접선 C을 그어 이 접선 C와 딤플의 하부로 둘러싸인 영역 D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실로 감은 골프공의 구조는 하기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로 감은 골프공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제3도에서 (1)은 액체 중심부로, 이것은 물 또는 비중조절제를 함유하고 있는 액체 (1b)와 이것이 주입되는 중심백(1a)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 이 액체중심부(1)의 직경은 29.5-32㎜로 설계되었다. (2)는 고무실층으로 상기 액체중심부(1)의 외면을 고무실로 감아서 형성된다.
(3)은 커버로 상기 액체중심부(1)과 고무실층(2)로 구성된 소위 고무실로 감은 코아를 덮고 있다. 커버(3)에서, 딤플들(3a)의 갯수는 바람직하게는 350-45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420±25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딤플들(3a)의 총 부피는 280-340㎣, 바람직하게는 300-335㎣로 규정된다.
상기의 액체중심부를 만들기위한 페이스트의 배합비(제3도에서 액체 1b)로써 설명된 물질을 형성하는 페이스트의 배합비)에 대해, 중심백을 위한 배합비, 고무실 및 커버의 배합비 등 이들의 응용물에 대해 채택할 수 있는 어떤 배합비도 사용될수 있다. 이 배합비는 하기와 같다. 그러나, 이것들은 단지 예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 시키지 않는다.
[① 액체중심부를 위한 페이스트 배합비]
물 88 중량부
글리세린 12 중량부
점토 20 중량부
황산바륨 50-150 중량부
상기 언급한 범위에서 황산바륨의 배합비를 규정한 이유는 공의 중량이 규정된 골프공의 중량인 45.92g 이하가 되도록 하기위해 액체중심부의 직경에 따라 요구되는 만큼 비중을 조정한 것이다. 이 액체 페이스트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1.1 이상,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이상이다.
[② 중심백의 배합비]
천연고무 100 중량부
충전제 30±10 중량부
(비중은 요구되는 수치만큼 조정된다.)
황+경화촉진제 4중량부
이 중심백의 버퍼에서, 충전제의 양은 공의 중량이 골프공에 대해 규정된 값인 45.92g 이하가 되도록 비중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만큼 조정된다. 바람직한 충전제의 예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아연 등이다.
액체 중심부 제조방법 그 자체는 특별하게 규정된 것이 아니어서, 종래의 채택가능한 어떤 방법으로도 제조될수 있다. 중심백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2.0㎜이며 경화된 후에 중심백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JIS-A 형태의 경도계로 40-60이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중심부의 경화조건은 20-40분, 145-165℃이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시간과 온도는 규정된 경도에 요구되는 만큼 조정될수 있다.
[③ 고무실]
천연고무 및/또는 이소프렌고무로 만들어진 0.4-0.6㎜의 두께와 1.3-1.8㎜의 폭을 갖는 탄성고무실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액체중심부의 직경이 증가되도록 고안했기 때문에 감는 고무실의 소비는 그만큼 감소되고 요구되는 경도를 얻기가 어렵기 때문에 요구되는 경도를 얻기 위해 고인장률의 고무실로 단단히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무실로는 예를들면 이소프렌 고무의 비율이 더 큰, 천연고무와 이소프렌고무로 구성된 고무실이 바람직하고, 특히 천연고무와 이소프렌고무의 중량비가 20 : 80 - 50 :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실을 감은후 코아직경은 39.8±0.5㎜인 것이 바람직하다.
[④ 커버의 배합비]
수지 90 중량부
천연고무 10 중량부
충전제 18 중량부
황+촉진제 2 중량부
상기 수지 대해서 합성 트랜스-폴리이소프렌, 구타-퍼차(gutta-percha), 발라타(balata), 고 스티렌 수지, 1,2-폴리부타타디엔, 트랜스-폴리부타디엔 등이 원하는대로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지는 합성 트랜스-폴리이소프렌 수지(쿠라레 회사로부터 TP-301로 시판)이다. 이 커버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JIC-C형태의 경도계로 70-85가 되도록 고안된다. 이 커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2.0㎜이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와 비교예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해주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시키지는 않는다.
[실시예 1-4와 비교예 1-4]
표 1에 나타난 물성의 액체중심부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4에서의 실로 감은 골프공을 표 1에 나타난 딤플의 수와 총부피를 가지도록 제조한다. 표 2에 나타난 물성의 액체중심부를 사용하여, 비교예 1 내지 4에서의 실로 감은 골프공을 표 2에 나타난 딤플 수와 총부피를 가지도록 제조한다.
중심백의 경도와 공의 중량은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각각 표 1과 표 2에 나타나있다. 액체중심부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상세한 페이스트의 배합비, 중심백에 대한 배합비 및 고무실과 커버의 배합비는 하기에 기재될 것이다.
얻어진 공의 변형도와 비행성능은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각각 표 1과 표 2에 나타나있다. 공의 변형도, 초기속도, 회전 및 비행거리는 하기에 나타난 것과 같다.
[공의 변형도 :]
공의 변형도(㎜)는 초기하중 10㎏가 적용되는 점에서 부터 최종하중 130㎏가 적용되는 점까지 측정된다. 공이 단단할수록 공의 변형도는 작아진다.
[공의 초기속도 :]
트루 템퍼(True Temper) 스윙 로보트(swing robot)를 사용하여 45㎧의 헤드속도로 금속헤드 클럽으로 공을 칠때 초기속도를 측정하였다. 24개의 공에 대해 초기속도를 측정하였으며 평균값으로 표시하였다.
[회전 :]
트루 템퍼 스윙 로보트를 사용하여 45㎧의 헤드속도로 금속헤드 클럽으로 공을 칠때 타구되는 공을 사진으로 찍어 회전을 측정하였다. 24개의 공에 대해 회전을 측정하였으며 평균값으로 표시하였다.
[비행거리 :]
트루 템퍼 스윙 로보트를 사용하여 45㎧의 헤드속도로 금속헤드 클럽으로 공을 칠때 비행거리를 측정하였다. 24개의 공에 대해 초기속도를 측정하였으며 평균값으로 표시하였다.
비행거리는 공이 지면에 떨어질때 까지의 거리로서 총 거리는 공이 떨어진후 공이 구르는 (주행하는) 거리를 비행거리에 더한 것이다.
[표 1]
[표 2]
표 1과 2의 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종래의 공에 해당하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회전이 감소하고 비행거리가 증가하였다.
비교예 1은 실시예 1 내지 4의 액체중심부의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을 가진 종래의 표준 실로 감은 골프공을 보여주는데 초기속도가 빨라지나 회전이 증가하고 그결과 실시예 1 내지 4에서 보다도 비행거리가 짧아진다.
비교예 2는 액체중심부의 직경이 과도하게 큰 경우를 보여주는데 많은 량의 고무실이 사용될수 없기 때문에 중심부가 매우 부드러워져 공의 변형이 크게 일어난다. 그 결과 공의 초기속도는 느려지게 되고 공을 로프트하는 것이 어렵게 되며 비행거리가 짧아진다.
비교예 3은 액체중심부의 직경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 들도록 고안된 경우를 보여주는데 이것은 회전을 감소시키지만 딤플의 총부피가 270㎣로 본 발명의 것보다도 작기 때문에 공이 과도하게 높이 치솟아 비행거리를 짧게 만든다.
비교예 4는 비교예 3과 같이 액체중심부의 직경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 들도록 한 경우를 보여주는데 이것은 회전을 감소시키지만 딤플의 총부피가 350㎣으로 본 발명의 그것보다 크기 때문에 공이 충분이 치솟지 않아 비행거리가 충분하지 않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 대해 5명의 프로골퍼들에 의해 촉감(공을 칠때 느낌)과 컨트롤성을 평가받았을대 본 발명에 따르는 실로 감은 골프공이 종래표준골프공인 비교예 1과 근접한 느낌과 컨트롤성을 가졌다고 보고했는데,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실로 감은 골프공이 뛰어난 촉감과 컨트롤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촉감에 대해서 금속헤드드라이브를 가진 프로골퍼들에 의해 실제로 공을 타구할때 골프공이 타구되는 시점의 촉감을 비교예 1과 비교하였다. 이들은 실시예 1 내지 4가 비교예 1과 동등한 촉감을 가지고 있으며 실로 감은 골프공에 특수한 좋은 촉감을 유지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컨트롤성에 대해서는 프로골퍼들이 금속헤드드라이브로 의도적으로 공을 왼쪽으로 드라이브를 걸고 오른쪽으로 드라이브를 걸었을 때 곡선을 그리는 용이성 및 짧은 아이언으로 정지시키는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4는 비교예 1보다 곡선을 덜 그리나 정지용이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며, 실로 감은 골프공에 특수한 양호한 컨트롤성을 유지함을 나타낸다.
액체중심부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페이스트의 배합비, 중심백에 대한 배합비 및 고무실과 커버의 배합비는 하기와 같다. 그러나, 이들은 산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① 액체중심부를 위한 페이스트 배합비 :]
물 88 중량부
글리세린 12 중량부
점토 20 중량부
황산바륨 60-100중량부
(공의 중량이 규정된 골프공의 중량인 45.92g 이하가 되도록
중심부의 직경에 따라 요구되는 만큼 비중을 조절.)
[② 중심백의 배합비 :]
천연고무 100 중량부
충전제 20-40중량부
(비중은 요구되는 수치로 조정된다.)
(산화아연과 탄산칼슘)
황+경화촉진제 4 중량부
[③ 고무실 :]
천연고무 대 이소프렌고무 혼합비윤이 30 대 70인 혼합고무로 만들어진 0.5㎜의 두께와 1.5㎜의 폭을 갖는 탄성고무실이 사용된다.
[④ 커버의 배합비]
합성 트랜스-폴리이소프렌 80 중량부
고 스티렌수지 10 중량부
천연고무 10 중량부
충전제 18 중량부
황+촉진제 2 중량부
상기에서 기재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라, 액체중심부의 직경을 종래의 것으로부터 29.5-32㎜로 증가시키고 딤플의 총부피를 280-340㎣로 규정하여 초기속도의 제한범위를 유지하면서 실로 감은 골프공이 주는 좋은 촉감과 컨트롤성을 잃지않고 큰 비행거리를 갖는 실로 감은 골프공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0)

  1. 액체 중심부, 상기 액체 중심부 위에 형성된 고무 실 층 및 상기 고무 실 층을 덮고있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액체 중심부는 29.5 내지 32㎜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커버는 그 표면에 총 딤플 부피가 280 내지 340㎣인 딤플을 가지고 있는 실로 감은 골프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중심부가 중심백과 그곳에 담겨있는 액체재료로 구성되는 실로 감은 골프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재료가 물과 비중조절제로 구성되는 실로 감은 골프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조절제가 탄산칼슘, 황산바륨, 이산화아연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실로 감은 골프공.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백이 천연고무와 비중조절제를 함유한 고무 조성물로 부터 형성된 실로 감은 골프공.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백이 1.5 내지 2.0㎜의 두께와 40 내지 60의 경도(JIS-A)를 가지는 실로 감은 골프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실층이 상기 액체중심부의 둘레에 고무실을 감음으로써 형성되는 실로 감은 골프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중심부와 상기 고무실 층으로 구성된 코아가 38.8 내지 41.5㎜의 직경을 갖는 실로 감은 골프공.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70 내지 85의 경도(JIS C)와 0.6 내지 2.0㎜의 두께를 갖는 실로 감은 골프공.
  10. 제1항에 있어서, 딤플의 수가 350 내지 450인 실로 감은 골프공.
KR1019940009049A 1993-04-27 1994-04-27 실로 감은 골프공 Expired - Fee Related KR100284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24944 1993-04-27
JP5124944A JP3057624B2 (ja) 1993-04-27 1993-04-27 糸巻きゴルフボ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4352B1 true KR100284352B1 (ko) 2001-04-02

Family

ID=1489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90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84352B1 (ko) 1993-04-27 1994-04-27 실로 감은 골프공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421580B1 (ko)
EP (1) EP0622092B1 (ko)
JP (1) JP3057624B2 (ko)
KR (1) KR100284352B1 (ko)
AU (1) AU673726B2 (ko)
CA (1) CA2121736A1 (ko)
DE (1) DE69408590T2 (ko)
TW (1) TW28469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865A (ko) * 2019-12-05 2021-06-15 김지원 연식 야구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3618B1 (en) 1993-04-28 2001-02-27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Low spin golf ball comprising a mantle with a cellular or liquid core
US6244977B1 (en) 1996-09-16 2001-06-12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Golf ball comprising a metal mantle with a cellular or liquid core
US6142887A (en) 1996-09-16 2000-11-07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Golf ball comprising a metal, ceramic, or composite mantle or inner layer
US6432000B1 (en) 1993-06-01 2002-08-13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Multilayer golf ball with filled inner layer having dual core, liquid core, or wound core
JPH08141114A (ja) * 1994-11-22 1996-06-04 Bridgestone Sports Co Ltd 糸巻きゴルフボール
US5885172A (en) 1997-05-27 1999-03-23 Acushnet Company Multilayer golf ball with a thin thermoset outer layer
US5836832A (en) * 1995-09-01 1998-11-17 Acushnet Company Golf ball
US6309312B1 (en) 1996-09-16 2001-10-30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Golf ball comprising a metal mantle having a hollow interior
US6120393A (en) 1996-09-16 2000-09-19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Low spin golf ball comprising a mantle having a hollow interior
US6849006B2 (en) 1997-05-27 2005-02-01 Acushnet Company Thin, thermoset, polyurethane-covered golf ball with a dual core
US6913547B2 (en) 1997-05-27 2005-07-05 Acushnet Company Thin-layer-covered multilayer golf ball
US6634964B2 (en) 1997-05-27 2003-10-21 Acushnet Company Initial velocity dual core golf ball
US20050070377A1 (en) * 1997-05-27 2005-03-31 Christopher Cavallaro Thin-layer-covered multilayer golf ball
US6486261B1 (en) * 1998-12-24 2002-11-26 Acushnet Company Thin-layer-covered golf ball with improved velocity
US6465578B1 (en) 1998-12-24 2002-10-15 Acushnet Company Low compression, resilient golf balls including an organosulfur catalyst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812317B2 (en) * 1997-05-27 2004-11-02 Acushnet Company Wound golf ball having cast polyurethane cover
US7223181B2 (en) * 1998-02-04 2007-05-29 Taylormade-Adidas Golf Company Polyurethane material for two and three piece golf balls and method
US6196937B1 (en) 1998-02-04 2001-03-06 Sanjay M. Kuttappa Three piece golf ball
US7244384B1 (en) 1998-02-04 2007-07-17 Taylormade-Adidas Golf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two and three piece golf balls constructed from polyurethane material
US6998445B2 (en) * 1998-03-26 2006-02-14 Acushnet Company Low compression, resilient golf balls with rubber core
US6458895B1 (en) 1998-12-24 2002-10-01 Acushnet Company Low compression, resilient golf balls including elemental catalyst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417278B1 (en) 1998-03-26 2002-07-09 Acushnet Company Low compression, resilient golf balls including a cis-to-trans catalyst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291592B1 (en) 1998-12-24 2001-09-18 Acushnet Company Low compression, resilient golf balls including aromatic catalyst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162135A (en) * 1998-12-24 2000-12-19 Acushnet Company Low compression, resilient golf balls including an inorganic sulfide catalyst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4260293B2 (ja) * 1998-09-18 2009-04-30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マルチピースゴルフボール
US6293877B1 (en) * 1998-12-29 2001-09-25 Acushnet Company Golf ball
US6413171B1 (en) * 1999-08-19 2002-07-02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US6551203B2 (en) 1999-09-16 2003-04-22 Callaway Golf Company Golf ball with multiple sets of dimples
US6213898B1 (en) 1999-09-16 2001-04-10 Callaway Golf Company Golf ball with an aerodynamic surface on a polyurethane cover
US6464601B2 (en) 1999-09-16 2002-10-15 Callaway Golf Company Aerodynamic pattern for a golf ball
US6224499B1 (en) 1999-09-16 2001-05-01 Callaway Golf Company Golf ball with multiple sets of dimples
US6331150B1 (en) 1999-09-16 2001-12-18 Callaway Golf Company Golf ball dimples with curvature continuity
US6537159B2 (en) * 1999-09-16 2003-03-25 Callaway Golf Company Aerodynamic pattern for a golf ball
JP2001178849A (ja) * 1999-10-13 2001-07-03 Sumitomo Rubber Ind Ltd 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US6485378B1 (en) 1999-11-23 2002-11-26 Acushnet Company Golf ball
US6287216B1 (en) 1999-12-03 2001-09-11 Acushnet Company Wound golf bal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719646B2 (en) 2000-01-25 2004-04-13 Dunlop Slazenger Sports Polyurethane covered three-piece golf ball
US6354965B1 (en) 2000-02-02 2002-03-12 Acushnet Company Golf balls including low water activity fluid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2002017898A (ja) 2000-05-01 2002-01-22 Sumitomo Rubber Ind Ltd 加硫糸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ゴルフボール
US6441098B2 (en) 2000-05-24 2002-08-27 Acushnet Company Low hardness, resilient golf putter insert
US6514157B2 (en) 2001-03-29 2003-02-04 Acushnet Company Golf ball with non-aqueous liquid center
JP2003038681A (ja) * 2001-07-27 2003-02-12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
EP2699471B1 (en) * 2011-04-20 2019-07-24 Manson Anchors Limited Anchor alignment guide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780A (ja) * 1982-09-13 1984-03-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ラ−ジサイズツ−ピ−スソリツドゴルフボ−ル
JPS61187875A (ja) * 1985-02-18 1986-08-2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糸巻きゴルフボ−ル
JPS62112575A (ja) * 1985-11-12 1987-05-23 日石三菱株式会社 糸巻芯ゴルフボ−ル
US4783078A (en) * 1987-02-27 1988-11-08 Acushnet Company Wound golf balls
JPH02102681A (ja) * 1988-10-12 1990-04-16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ボール
US5020803A (en) * 1989-03-20 1991-06-04 Acushnet Company Golf ball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621472B2 (ja) * 1989-03-28 1997-06-18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糸巻きゴルフボール
JP2844357B2 (ja) * 1989-08-23 1999-01-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US5338038A (en) * 1993-04-28 1994-08-16 Dunlop Slazenger Corporation Golf ball
JP3280770B2 (ja) * 1993-09-06 2002-05-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リキッドセンター糸巻きゴルフボール
JP3080290B2 (ja) * 1993-11-02 2000-08-2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865A (ko) * 2019-12-05 2021-06-15 김지원 연식 야구공
KR102509457B1 (ko) * 2019-12-05 2023-03-10 김지원 연식 야구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22092B1 (en) 1998-02-25
AU6068194A (en) 1994-11-03
JPH06304269A (ja) 1994-11-01
DE69408590T2 (de) 1998-09-10
DE69408590D1 (de) 1998-04-02
AU673726B2 (en) 1996-11-21
TW284694B (ko) 1996-09-01
CA2121736A1 (en) 1994-10-28
JP3057624B2 (ja) 2000-07-04
EP0622092A1 (en) 1994-11-02
US5421580A (en) 1995-06-06
US5421580B1 (en) 1997-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4352B1 (ko) 실로 감은 골프공
JP2614791B2 (ja) 固体状スリーピースゴルフボール
US5467994A (en) Golf ball
JP2886804B2 (ja) 糸巻きゴルフボール
US5072944A (en) Three-piece solid golf ball
US4714253A (en) Three-piece solid golf ball
JP2888168B2 (ja) マルチ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US5779563A (en) Multi-piece solid golf ball
JP2621472B2 (ja) 糸巻きゴルフボール
JPH0975477A (ja) 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US5511791A (en) Thread wound golf ball
US5609532A (en) Thread-wound golf ball
US5605512A (en) Golf ball
US5685785A (en) Wound golf ball
JPS60241464A (ja) ソリツドゴルフボ−ル
JPH09299509A (ja) 糸巻きゴルフボール
GB2134798A (en) Wound golf ball
EP0646395B1 (en) Liquid center thread wound golf ball
EP0674923B1 (en) Thread wound golf ball
GB2294054A (en) Golf ball
JP2728022B2 (ja) 糸巻きゴルフボール
JPH10137367A (ja) ゴルフボール
JP3745850B2 (ja) 中空糸巻きゴルフボール
JP4058144B2 (ja) 中空ゴルフボ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319830A (ja) ゴルフボ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512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122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