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2047B1 -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047B1
KR100282047B1 KR1019930015323A KR930015323A KR100282047B1 KR 100282047 B1 KR100282047 B1 KR 100282047B1 KR 1019930015323 A KR1019930015323 A KR 1019930015323A KR 930015323 A KR930015323 A KR 930015323A KR 100282047 B1 KR100282047 B1 KR 100282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extending
contact member
carbon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914A (ko
Inventor
죠르그스트로브르
Original Assignee
크리스토퍼 제임스 머레이
존슨 일렉트릭 에스.에이 .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토퍼 제임스 머레이, 존슨 일렉트릭 에스.에이 . filed Critical 크리스토퍼 제임스 머레이
Publication of KR940004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7/00A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6Manufacture of commutators
    • H01R43/08Manufacture of commutators in which segments are not separated until after assem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04Commutators
    • H01R39/06Commutators other than with external cylindrical contact surface, e.g. flat commut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9Dynamoelectric machine
    • Y10T29/49011Commutator or slip ring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평탕 카본 절편형 정류자는 단자(31)가 구비되고, 베이스 부재(1)의 구멍(3)내에 배치되어 앵커피스(6)를 형성하도록 오버 몰딩된 카본 절편(5)에 의해 절연성 베이스 부재(1)의 전면(2)에 접촉부재(4)가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구멍(3)에는 좀 더 단면이 작은 제 1부위(7)의 후방으로 제 2부위(8)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구멍(3)으로 부터 앵커피스(6)가 축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멍(3)의 제 2부위(8)에 충만된 록킹부(10)를 가진 구멍(3)을 통해 앵커피스(6)가 배치되어있다.
상기 접촉부재(4)는 카본절편(5)과 일체화 되며, 접촉 부재(4)와 절편(5)간의 인터록킹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카본 절편으로 충만된 홀(2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 및 그 제조방법
제1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 및 접촉부재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복수개의 접촉부재를 제1도의 베이스 부재에 결합시킨 상태인 부-조립체의 사시도.
제4도는 카본절편 형성용 외층을 형성하여 오버몰딩한 카본을 제3도에 구성시킨 경우에 대한 사시도.
제5도, 제6도는 정류자의 전후면을 도시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평탄 카본절편형 정류자의 사시도.
제7도는 제5도 및 제6도의 정류자에 대한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부재 4 : 접촉부재
6 : 앵커피스 11 : 경계면
19 : 리세스 27 : 중심환상링
29 : 바브 30 : 내부면
31 : 단자
본 발명은 방사상으로 베어링한 원통형 정류자와는 달리, 정류자에 평탄하게 형성된 접촉면에 대향해서 접촉브러쉬를 축방향으로 베어링한 평탄형 혹은 정반형(定盤形, faceplate) 정류자에 관한것으로써, 상기 접촉면에는 접촉브러쉬를 구성하기 위한 카본외층이 형성된 복수개의 절편(정상적으로 배치될 경우 환상링)을 구성한 것이다.
독일 실용모델 G89 07 045.3호에 기술된 평탄카본 절편형 정류자는 회전축을 구비한 절연재인 베이스부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횡으로 일부분이 뻗은 전면, 상기 전면 후방으로 뻗은 복수개의 구멍과,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전면에 장착된 복수개의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구멍 후방으로 뻗은 전체 앵커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오버몰딩한 복수개의 카본절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앵커수단은 그 일부 방사형 지지체가 원심력에 대향해서 상기 접촉부재상에 장착시킨 카본절편을 지지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접촉부재가 축을 중심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나 이와같은 지지 작용은 지지체를 뻗도록한 구멍과 앵커수단간의 기능적 구성 정도와 앵커수단내 카본의 쉬어(shear) 강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접촉부재 및 카본절편에 대해 적절한 회전반경 및 축을 중심으로한 지지 작용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접촉부재에 베이스부재의 전면내로 삽입몰딩된 후방신장부를 구성시키고, 오버몰딩된 카본절편의 후부 전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리세스를 형성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공정에 의해 정류자를 제조하면,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소모되며, 예비 조립공정이 필요할뿐만 아니라, 제품이 견고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소폭 확장시킨 평탄 카본절편형 정류자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카본절편들을 좀더 견고하게 베이스부재에 고정시켜서 정류자의 타소자들을 고정시키는데도 유용하도록 한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부위 및 이 제1부위의 후방 측면으로 편이되도록 접경면을 구성하고, 이 접경면이 구성된 제2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각 절편에 최소한 하나의 구멍을 형성시키고, 상기 구멍의 제2부위내로 접경면이 뻗도록하여 이 구멍으로부터 축을 중심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앵커수단을 정류자에 구성시키므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회전축이 있고 절연재로 된 베이스부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횡으로 뻗은 전면, 상기 전면후방으로 뻗은 복수개의 구멍과, 제 1 부위 및 접경면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부위의 후방측면으로 편이되도록 제2부위를 형성하고,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전면에 장착된 복수개의 접촉부재와, 최소한 하나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하나의 구멍을 통해 후방으로 전체 앵커수단을 신장구성시키며, 상기 구멍의 제2부위내에 록킹수단을 배치함과 동시에 접경면을 형성시켜서 앵커수단이 구멍으로 부터 축을 중심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촉부재상에 각각 형성하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오버몰딩한 복수개의 카본절편으로 구성된 전기모터용 평탄 카본절편형 정류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을 가진 절연재인 베이스부재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횡으로 그 일부분을 뻗도록 전면을 형성하는 스텝과, 제1부위 및 이 제1부위 후방측면으로 편이되어 접경면이 구성된 제2부위가 형성된 상태에서 각 절편에 배치된 최소한 하나의 구멍이 후방으로 뻗은 복수개의 베이스부재를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전면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접촉부재를 장착하는 스텝과, 각 절편에 상기 구멍을 통해 후방으로 뻗은 앵커수단이 구성되도록 상기 접촉부재상에 각각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카본절편을 오버몰딩하는 스텝과, 제1,제2부위가 형성된 구멍을 통해 뻗도록함과 동시에 제2부위내에 배치된 록킹수단 및 접경면을 형성시킨 앵커수단을 구성한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를 제공한다.
단일 카본층을 베이스부재의 전면상에 오버몰딩하고 이 베이스부재로 단일층을 통과시키는 방사 홈을 절단함으로써 상술한 바와같은 절편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접촉부재를 베이스부재에 장착하였을 경우 몰딩공정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행해지며, 상기 구멍의 후단부들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몰딩가능하도록 혼합한 탄소분말 및 캐리어재의 혼합물을 상기 베이스부재와 몰딩재 간에 형성된 공간에 주입시킨다.
상기 혼합물은 접촉부재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구멍의 일부분에도 확실하게 주입된다. 몰딩가능한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예를들어 페놀수지와 같이 이미 알려진 캐리어재를 탄소분말과 함께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 캐리어재의 선택 및 후속열처리 공정은 서로 다른 동작조건을 갖추고 있는 정류자에 따라 달라질 수 밖에 없다.
두개의 앵커수단을 카본절편 후방으로 뻗도록하면, 이들 각각의 앵커수단은 비-평행축을 따라 뻗도록한 두개의 앵커수단에 제공된 단면을 동일하게 분배받게 된다.
두개의 앵커수단중 하나의 앵커수단이 베이스부재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축을 따라 뻗어 있을 경우라도, 비-평행 앵커수단은 제1부위 및 이 제1부위의 후방에 위치한 제2부위와, 상기 제1부위 측면으로 편이되도록 접경면이 구성된 균일한 단면으로 뻗게되며, 나머지 앵커수단은 구멍의 제2부위에 의해 접경면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의 제2부위내에 배치된 록킹수단을 갖게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로 부터 카본절편이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최초에 언급한 앵커수단은 베이스부재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므로 카본절편이 베이스부재로부터 축 이외의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들 앵커수단이 모두 베이스부재의 회전축에 평행하지 않은 비-평행축을 따라 후방으로 뻗은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록킹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의 (제조의 편의상) 구멍에는 제1부위 보다 단면이 큰 제2부위가 형성되어 있으며, 최소한 하나의 오버몰딩된 카본절편을 가진 앵커수단은 이들 절단된 구멍들중 하나의 구멍을 통해 뻗은 단일 앵커피스(piece)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과 앵커피스는 모두 회전축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하부가 절단된 각각의 구멍은 구멍의 제2부위에 접경면을 형성시킨 내면 후단부의 경우에는 원추형 형상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형태의 정류자에 있어서, 제1,제2부위가 형성된 구멍은 이 구멍의 원주방향으로 뻗은 내부경계면을 갖게되며, 상기 구멍경계면중 최소한 하나의 부위 즉, 원주방향으로 뻗은 돌출부는 내부면을 규정짓고, 상기 구멍을 통해 뻗어있는 앵커피스의 록킹수단은 원주방향으로 뻗은 돌출부의 후방으로 배치된 엣지 및 축과 일치하는 접경부가 형성된 록킹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 부재에 접촉부재 및 각각의 절편을 축을 중심으로 좀더 포지티브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측면부 및 후면부가 있고, 각 접촉부재에는 그 외부가 방사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최소한 하나의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파지부에는 베이스부재에 축방향으로 접촉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의 측면을 따라 방사형인 접촉부재의 외부로부터 그 후방으로 뻗은 제1부위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면을 따라 제1부위로 부터 방사형으로 내측으로 뻗은 제2부위가 구성되어 있다. 더구나, 각 접촉부재에는 접촉부재의 방사형 외부로부터 뻗은 단자의 대향측에 상술한 바와같은 두개의 파지부가 구성된다.
베이스부재에 접촉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추가수단 혹은 대체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오버몰딩 공정전에 축방향으로 복수개의 리세스를 베이스부재에 형성하며, 각 접촉부재에는 후방으로 뻗은 최소한 하나의 위치부가 형성되고, 이 위치부는 각각 상기 축방향으로 형성된 리세스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위치부에는 축방향으로 형성된 리세스로부터 위치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리세스의 내면에 바브(barb)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하면, 베이스부재에 접촉부재를 고정시키는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탄소분말과 캐리어재를 몰딩가능하도록 혼합시킨 혼합물이 베이스부재와 접촉부재에 주입될 경우 오버몰딩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접촉부재를 베이스부재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각 접촉부재에는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최소한 하나의 접경면이 구성되어 있으며 방사형으로 외부쪽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카본절편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각 접촉부재에는 내부경계면을 포함하는 최소한 하나의 홀과 상기 접경면을 구성하는 일부 경계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같은 경우, 각 구멍은 제1부위의 전방으로 배치된 제3부위를 가짐과 동시에 앵커피스를 가진 카본절편을 구멍을 통해 뻗게하여 접촉부재에 각각 형성된 홀이 전체적으로 중첩된 것과 같은 단면을 갖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하면, 오버몰딩된 카본과 접촉부재간에 최대반경으로 인터록킹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 제3도 및 제 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형베이스부재(1)에는 중심환상링(27)을 포함하는 회전축 및 전면, 축에 수직인 방사스트립(2) 및 지지면(28)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트립(2)은 제1부위(7)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된 중심제1부위(7) 및 제2,제3부위(8)(24)로 구성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구멍(3)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도 및 제 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멍(3)에는 제2,제3부위(8)(24)가 제1부위(7)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원주방향으로 돌출부(12)가 형성되며, 이 돌출부(12)의 크기를 규정짓는 경계면(11)이 구성된다.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재(4)를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1)의 전면부에 형성시킨 지지부(28)가 구멍(3) 둘레에 구성되며,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형인 각 접촉부재(4)의 내측끝단에 형성된 위치부(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축 방향의(축과 평행)의 리세스(19)가 상기 베이스부재(1)내에 형성되어있다.
상기 위치부(20)상에 있는 바브(29)는 축 방향의 리세스(19)로 부터 위치부(20)가 분리되지 않도록 축 방향 리세스(19)의 내부면(30)에 형성되어있다.
단자(31)는 아마츄어리드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각 접촉부재(4)의 외부엣지(16)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있다. 베이스부재(1)에 축 방향으로 접촉부재(4)를 고정시키기 위한 파지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두개의 휭거를 단자(31)와 대향하여 각 접촉부재(4)의 외부엣지(16)로부터 방사상 후방으로 뻗도록한 제 1부위(17)와, 베이스부재(1)의 배면(15)을 따라 제1부위(17)로부터 내측으로 방사형으로 뻗도록한 제 2부위(18)가 형성되어 있다.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접촉부재(4)가 베이스부재(1)상의 정위치에 장착될 경우, 부 조립체는 중심환상링(27)을 둘러 싼 환상 캐비티를 형성하는 몰드(도시생략)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에 있는 구멍(3)의 제 2부위(8)는 베이스부재(1)의 후방측에 블랭크오프된다.
카본 분말과 캐리어재 예를들어, 페놀수지와 같은 것을 몰딩 가능하도록 혼합한 혼합물을 상기 환상 몰드 캐비티내로 주입시킨다. 이와같이 주입된 혼합물은 접촉부재(4) 내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전체적인 앵커피스(6)를 형성하도록 베이스부재(1)의 구멍(3)에 충진된다.
제 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앵커피스(6)의 후방 끝단부에는 이 앵커피스(6)가 배치되어있는 구멍(3)의 제 2부위(8)내에 록킹부(10)를 배치하며, 원주방향으로 신장시킨 돌출부(12)의 크기를 결정짓는 접경면(9)과 함께, 축과 일치함과 동시에 내측 후방으로 배치된 엣지(13)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구멍(3)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앵커피스(6)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 3도 및 제 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재(4)에는 내부 경계면(23)을 가진 3개의 홀(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경계면(23)들 각각의 방사형 내부 부위는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며, 접촉부재(4)를 에워싸도록 절편부(5)를 형성시킨 카본을 채용한 접경면(2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절편(5)에 대해 접촉부재(4)가 외부쪽으로 방사형 운동을 하도록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각 접촉부재(4)가 예를들어 위치부(20)에 의해 베이스부재(1)에 장착되도록 뻗어있고, 각 구멍(22)의 경계면(23)을 구성하는 방사형태인 외부 부위가 접촉부재(1)를 에워싸도록 절편(5)을 형성하는 카본에 접경되므로써 접촉부재(4)가 절편(5)에 대해 외측으로 방사형운동을 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와 같이 접촉부재(4)를 카본에 인터록킹 하는 것은 각 구멍(3)의 제 3부위(24)의 단면을, 인접한 접촉부재(4) 내의 홀(22) 전부를 완전히 에워쌀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게 하므로써 그 효과를 증대시킬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재(1)와 접촉부재(4)는 별도로 형성시킨 상태에서 조립하며, 카본절편(5)용으로 카본층(25)을 오버몰딩함으로써 함께 록킹시키면 베이스부재(1)에 위치한 카본층(25)을 보유할 수 있을 정도의 전체 앵커피스(6)가 형성된다. 카본층(25)은 베이스부재(1) 하부로 이 카본층(25)을 통과 시키는 방사형 슬롯(26)을 절단함으로써 절편으로 분리된다.
제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슬롯(26)들은 중심 환상링(7)을 통과하여 스트립(2)으로 뻗어있다.
따라서, 절편(5)은 원주방향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서로 절연되어있다.

Claims (10)

  1.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대해 적어도 일부분이 횡으로 뻗은 전면(2)과, 상기 전면(2)으로부터 후방으로 뻗은 복수개의 구멍(3)을 구비하는 절연재인 베이스부재(1)와; 상기 전면(2) 위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접촉부재(4)와; 상기 접촉부재(4) 위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오버몰딩되며, 상기 구멍(3)을 통해 후방으로 뻗은 일체된 앵커수단(6)을 갖는 복수 개의 카본 절편(5)으로 구성된 모터용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에 있어서, 상기 각 카본 절편(5)은 최소 하나의 상기 구멍(3)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정합되고; 각 절편(5)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정합된 상기 최소 하나의 구멍(3)은 제 1부위(7)와, 이 제 1부위(7)로부터 후방 측면으로 편이된 접경면(9)을 가지는 제 2부위(8)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구멍(3) 안쪽으로 뻗은 상기 앵커수단(6)은, 상기 구멍(3)의 제 2부위(8) 내에 배치되며 또 접경면(9)과 맞물리는 록킹수단(10)을 구비하여서, 상기 구멍(3)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용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위(7) 및 제 2 부위(8)가 형성된 최소 하나의 구멍(3)은 회전축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있음과 동시에, 제 1부위 보다 제 2부위 단면이 크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오버 몰딩된 절편(5)과 일체하는 앵커 수단(6)은, 회전축에 대해 평행하게 뻗은 상기 구멍(3)을 통해 축 방향으로 뻗은 단일의 앵커피스(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위(7) 및 제 2부위(8)가 형성된 각 구멍(3)은 구멍(3)의 원주 둘레로 뻗은 내부 경계면(11)을 가지며; 상기 경계면(11) 중 최소 하나의 부위는 원주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뻗은 돌출부(12)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구멍(3)을 통해 뻗은 앵커수단(6)의 록킹수단(10)은,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가며 뻗은 돌출부(12)를 가진 축 방향의 접경면 내에서 후방으로 배치된 엣지(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1)에는 측면부(14) 및 배면부(15)가 형성되어 있고; 각 접촉부재(4)는 방사형 외부 엣지(16)와 최소 하나의 파지부(17, 18)를 가지며; 각 파지부(17, 18)는 상기 베이스부재(1)의 측면(14)을 따라 접촉부재(4)의 방사형 외부엣지(16)로부터 후방으로 뻗는 제1부위(17)와, 베이스 부재(1)의 후면(15)을 따라 상기 제 1부위(17)로부터 방사형으로 내측으로 뻗는 제 2부위(18)를 구비하여서, 접촉부재(4)가 베이스부재(1)에 대해 축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1)는 축 방향으로 복수 개의 리세스(19)를 구비하고; 각 접촉부재(4)는 후방으로 뻗은 최소한 하나의 위치부(20)를 가지며; 또한 상기 위치부(20)는 각각 상기 축 방향의 리세스(19) 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부재(4)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접촉부재(4)에 형성된 카본 절편(5)과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접경면(21)을 구비하여, 상기 접촉부재(4)의 외측으로의 방사형 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부재(4)에는 내부 경계면(23)을 가진 최소한 하나의 홀(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계면(23)의 일부분은 경계면(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멍(3)은 제 1부위(7) 전방으로 배치된 제 3부위(24)를 구비하며, 상기 구멍(3) 내로 뻗은 앵커피스(6)를 가진 카본 절편(5)에 장착되는 접촉 부재(4)에 형성된 각 홀(22)을 충분히 중첩하는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
  9. 회전축과, 최소 일 부분이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횡으로 뻗은 전면(2)을 가지는 절연재인 베이스부재(1)를 형성하는 스텝과; 후방으로 뻗는 복수개의 구멍(3)을 가진 베이스를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전면(2)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접촉 부재(4)를 장착하는 스텝과; 각 절편(5)이 상기 구멍(3) 안쪽으로 해서 후방으로 뻗은 일체의 앵커 수단(6)을 가지도록, 상기 접촉 부재(4) 위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 간격으로 놓인 복수 개의 카본 절편(5)을 오버몰딩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모터용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최소 하나의 구멍(3)은 각 절편(5)과 중심을 맞추도록 정합됨과 동시에, 상기 구멍(3)에는 제 1부위(7)와 이 제 1부위(7)로부터 후방 측면으로 편이되는 접경면(9)을 가진 제2부위(8)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앵커 수단(6)은 제 1부위(7) 및 제 2부위(8)가 형성된 구멍(3) 안쪽으로 뻗게 하며, 제 2부위(8)내에 배치되며 경계면(9)과 맞물리는 록킹수단(10)을 구비하는 앵커 수단(6)을 포함하여, 상기 구멍(3)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용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단일 카본층(25)은 베이스부재(1)의 전면에 오버몰딩시킨 후, 상기 베이스부재(1)내로 단일층(25)을 통과시키는 방사형 홈(26)을 절단하여 절편(5)으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용 평탄카본 절편형 정류자의 제조방법.
KR1019930015323A 1992-08-14 1993-08-06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282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217259-2 1992-08-14
GB929217259A GB9217259D0 (en) 1992-08-14 1992-08-14 A planar carbon segment commu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914A KR940004914A (ko) 1994-03-16
KR100282047B1 true KR100282047B1 (ko) 2001-02-15

Family

ID=1072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323A KR100282047B1 (ko) 1992-08-14 1993-08-06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5386167A (ko)
EP (1) EP0583892B1 (ko)
JP (1) JP3310727B2 (ko)
KR (1) KR100282047B1 (ko)
CN (1) CN1033881C (ko)
BR (1) BR9303324A (ko)
DE (1) DE69302446T2 (ko)
ES (1) ES2088232T3 (ko)
GB (1) GB9217259D0 (ko)
MX (1) MX93047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7242B2 (ja) * 1993-12-22 1998-09-17 株式会社ミツバ 整流子及びその製造方法
GB2286487A (en) * 1994-02-12 1995-08-16 Johnson Electric Sa Planar moulded carbon segment commutator
JP3313508B2 (ja) * 1994-04-25 2002-08-12 株式会社ミツバ コミテータ
FR2734669B1 (fr) * 1995-05-22 1997-06-20 Le Carbonne Lorraine Bagues d'alternateurs et collecteurs cylindriques en materiau composite cupro-graphitique fritee
US5793140A (en) * 1995-12-19 1998-08-11 Walbro Corporation Electric motor flat commutator
US5925962A (en) * 1995-12-19 1999-07-20 Walbro Corporation Electric motor commutator
US5826324A (en) * 1995-12-29 1998-10-27 Aupac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flat-type commutator
US5925961A (en) * 1996-04-05 1999-07-20 Sugiyama Seisakusyo Co., Ltd. Plane carbon commut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0944938B1 (de) * 1996-12-12 2002-05-08 COMTRADE HANDELSGESELLSCHAFT mbH Kommutator mit armierungsring
US5955812A (en) * 1997-06-09 1999-09-21 Joyal Products Co., Inc. Electric motor with carbon track commutator
US5932949A (en) 1997-10-03 1999-08-03 Mccord Winn Textron Inc. Carbon commutator
US5912523A (en) * 1997-10-03 1999-06-15 Mccord Winn Textron Inc. Carbon commutator
US6161275A (en) * 1998-07-08 2000-12-19 Siemens Canada Limited Method of manufacturing commutators for electric motors
JP3805912B2 (ja) * 1998-11-13 2006-08-09 トライス株式会社 カーボン整流子
DE19859006A1 (de) * 1998-12-21 2000-06-29 Bosch Gmbh Robert Anker mit Plankommutator für einen Elektromotor
US6236136B1 (en) 1999-02-26 2001-05-22 Morganite Incorporated Methods and results of manufacturing commutators
DE10025695B4 (de) * 2000-05-24 2008-09-25 Sugiyama Seisakusyo Co., LTD., Meguro Flacher Kohlekollekto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MXPA05006707A (es) * 2000-05-31 2005-09-08 Kolektor Group Doo Conmutador plano.
GB0015913D0 (en) * 2000-06-30 2000-08-23 Johnson Electric Sa Star connected rotor
US6359362B1 (en) 2000-07-31 2002-03-19 Mccord Winn Textron Inc. Planar commutator segment attachment method and assembly
GB0104915D0 (en) * 2001-02-28 2001-04-18 Johnson Electric Sa A planar carbon segment comutator
WO2002073776A1 (fr) * 2001-03-13 2002-09-19 Aupac Co., Ltd. Commutateur plat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JP4569046B2 (ja) * 2001-05-29 2010-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機
GB0211441D0 (en) 2002-05-18 2002-06-26 Johnson Electric S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mmutators
GB0319978D0 (en) * 2003-08-27 2003-10-01 Johnson Electric Sa A carbon segment commutator
JP2005204387A (ja) * 2004-01-14 2005-07-28 Denso Corp 整流子とそれを用いた電動機および燃料ポンプ
DE102005028791A1 (de) * 2005-06-16 2006-12-28 Kautt & Bux Gmbh Plankommuta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lankommutators
DE102006021696B4 (de) * 2006-05-10 2014-04-24 Kolektor Group D.O.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otors einer dynamoelektrischen Maschine sowie Rotor einer dynamoelektrischen Maschine
GB0800464D0 (en) * 2008-01-11 2008-02-20 Johnson Electric Sa Improvement in or relating to a commutator
US7977833B2 (en) * 2008-11-14 2011-07-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iode lead support shell
DE102009057063A1 (de) 2009-12-04 2011-06-09 Kolektor Group D.O.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lankommutators sowie Plankommutator
KR101109231B1 (ko) * 2010-07-08 2012-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모터
CN102332669B (zh) 2010-07-12 2015-08-19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换向器及其制造方法
CN103001091A (zh) * 2011-09-16 2013-03-27 深圳市凯中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碳整流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67963A (en) * 1965-01-15 1967-05-10 Suhl Elektrogeraete Veb K Carbon commutator for motors
FR2437709A1 (fr) * 1978-09-27 1980-04-25 Paris & Du Rhone Collecteur frontal po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DE8907045U1 (de) * 1988-07-04 1989-11-02 Deutsche Carbone Ag, 6000 Frankfurt Kollektor, insbesondere Plankollektor einer elektrischen Maschine
DE8908077U1 (de) * 1988-07-04 1989-11-16 Deutsche Carbone Ag, 6000 Frankfurt Plankollektor
FR2633781B3 (fr) * 1988-07-04 1990-06-15 Carbone Ag Collecteur, en particulier collecteur plan d'une machine electrique
DE9006782U1 (de) * 1989-07-01 1990-08-23 Deutsche Carbone Ag, 6000 Frankfurt Kollektor
DE9006538U1 (de) * 1989-07-01 1990-08-16 Deutsche Carbone Ag, 60437 Frankfurt Kollektor
US5175463A (en) * 1989-08-07 1992-12-29 Kirkwood Industries Carbon commutator
DE9010542U1 (de) * 1990-07-13 1991-11-0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Plankollektor
DE4026951A1 (de) * 1990-08-25 1992-02-27 Nettelhoff Friedrich Fa Plankollektor fuer einen elektromotor oder -generator
DE4028420A1 (de) * 1990-09-07 1992-03-12 Kautt & Bux Kg Plankommutato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651963B2 (ja) * 1991-07-17 1997-09-10 純一 高崎 回転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42849A (en) 1995-08-22
KR940004914A (ko) 1994-03-16
JP3310727B2 (ja) 2002-08-05
MX9304768A (es) 1994-02-28
US5386167A (en) 1995-01-31
DE69302446D1 (de) 1996-06-05
GB9217259D0 (en) 1992-09-30
DE69302446T2 (de) 1996-10-02
CN1033881C (zh) 1997-01-22
EP0583892A2 (en) 1994-02-23
EP0583892A3 (en) 1994-07-06
JPH06178503A (ja) 1994-06-24
ES2088232T3 (es) 1996-08-01
BR9303324A (pt) 1994-03-08
EP0583892B1 (en) 1996-05-01
CN1084324A (zh) 1994-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047B1 (ko) 평탄 카본 절편형 정류자 및 그 제조방법
EP066765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nar carbon segment commutator.
CA2488766C (en) An electric rotary shaver
US5124609A (en) Commut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780029B1 (en) Rotary switch
US3450914A (en) Commutators of rotary electric machines
EP1314235B1 (en) Planar commutator segement attachment method and assembly
US3976903A (en) Slip ring assembly for A.C. machines
US3129350A (en) Commutator with oil slinger
US8115363B2 (en) Commutator
US4786835A (en) Commutator winding end supports for electric machines
US1757393A (en) Commutator
US5128578A (en) Commutator
US6157108A (en) Commutator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EP15751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flat commutator
US5933939A (en) Process for producing a commutator of a rotating machine
US3958141A (en) Face commutator
CN118054589A (zh) 转子和用于生产转子的方法
EP1155476A2 (en) Methods and results of manufacturing commutators
JP2000278916A (ja) 整流子及びその成形方法
JPH11308814A (ja) 回転電機用整流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8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7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308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