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1423B1 -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423B1
KR100281423B1 KR1019980055810A KR19980055810A KR100281423B1 KR 100281423 B1 KR100281423 B1 KR 100281423B1 KR 1019980055810 A KR1019980055810 A KR 1019980055810A KR 19980055810 A KR19980055810 A KR 19980055810A KR 100281423 B1 KR100281423 B1 KR 100281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atching device
network matching
processing system
communic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231A (ko
Inventor
류원
이현우
김대웅
전경표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80055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423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42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9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5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rou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정보통신 서비스를 요구하는 전화망상의 서비스 이용자들의 욕구를 충족 시키기 위하여 특정망(즉 PSTN 망,PSDN 망)을 대상으로 했던 종래의 통신처리 시스템에 비하여, 현재 사용 중인 전화망(PSTN)과 패킷망(PSDN)의 수용 뿐 아니라 프레임 릴레이(Frame-Relay Network)망, ISDN망, 그리고 ATM 망도 수용 가능하도록 설계 구현 중인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을 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망정합 장치 사용자가 정보 제공자의 호스트가 제공하는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의 고속 스위칭 접속 모듈군과 각 망 정합 장치에 적용되는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스 드라이브 보드를 초기화하는 제 1 단계; 할당 가능한 라우팅 데이블을 찾은 후에, 할당 받은 채널을 이용하여 고속 스위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고속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읽어 연결 승인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연결 승인 신호인 경우에는 성공 응답 신호를 리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로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 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
본 발명은 고속 정보통신 서비스를 요구하는 전화망상의 서비스 이용자들의 욕구를 충족 시키기 위하여 특정망(즉 PSTN 망,PSDN 망)을 대상으로 했던 종래의 통신처리 시스템에 비하여, 현재 사용 중인 전화망(PSTN)과 패킷망(PSDN)의 수용 뿐 아니라 프레임 릴레이(Frame-Relay Network)망, ISDN망, 그리고 ATM 망도 수용 가능하도록 설계 구현 중인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을 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처리시스템(ICPS :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은 전화망을 이용하는 사용자 터미날과 패킷 교환망(Hinet-P)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센터를 연결하여 다양한 정보를 검색, 수집, 저장할 수 있는 관문 시스템이다. 사용자 터미날은 2400 ~ 57600bps급 모뎀을 가진 PC 또는 하이텔 전용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며 정보 서비스 센터는 X.25 공중 패킷 서비스에 56kbps 회선을 사용하여 정보 제공을 하고 있다.
통신 처리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이용자측 단말기에 맞는 형태로 정보를 변환해 주는 미디어 변환기능, 패킷 교환망과 전화망간의 속도 차이를 해결해 주는 속도 변환 기능, 망간 프로토콜의 차이를 해결해 주는 프로토콜 변환 기능, 망 관리 기능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존의 통신처리 시스템은 데이타 망으로 X.25 패킷 교환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PC통신 사용자의 급격한 증가와 이용자 단말의 성능 향상 및 음성, 그래픽, 화상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구 사항으로 인하여 통신처리 시스템과 패킷 교환망간의 회선 증설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기존의 통신 처리시스템은 용량 확대 및 개방형 구조로의 변경이 불가피 하게 되었으며 이 배경으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이 출현하게 되었다.
따라서, 대용량통신처리시스템의 출현으로 새로운 망 정합 장치들간의 효율적인 경로 설정이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병렬 공통버스를 기반으로 한 고속 스위치를 근간으로 각 망정합 장치들이 효율적으로 접속되게 하며, 각 노드들간에 일대일 통신, 일대 다수들간의 통신이 지원되며, 각 노드로부터 발생한 패킷이 본 발명 방식을 통해 신속,정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 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라우팅 테이블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망정합 장치의 라우팅 테이블 로딩 관련 타스크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망정합 장치의 라우팅 테이블 로딩 관련 내부 타스크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보드의 드라이브 초기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 접속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망정합 장치와의 데이타 송신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망정합 장치와의 데이타 수신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 스위치와 인터페이스시 필요한 수신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 스위치와 인터페이스시 필요한 송신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HSSA(High Speed Switching Assembly board)
102 : TSPA(Telephone Service Processing Assembly board)
103 : NPA(Network Processing Assembly board)
104 : LANA(LAN Access Network Assembly board)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망정합 장치 사용자가 정보 제공자의 호스트가 제공하는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의 고속 스위칭 접속 모듈군과 망 정합 장치에 적용되는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스 드라이브 보드를 초기화하는 제 1 단계; 할당 가능한 라우팅 데이블을 찾은 후에, 할당 받은 채널을 이용하여 고속 스위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고속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읽어 연결 승인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연결 승인 신호인 경우에는 성공 응답 신호를 리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로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망정합 장치 사용자가 정보 제공자의 호스트가 제공하는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의 고속 스위칭 접속 모듈군과 각 망 정합 장치에 적용되는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수신큐에 맞는 크기로 메모리를 할당하는 제 1 단계; 및 고속 스위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할당한 메모리를 해제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로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망정합 장치 사용자가 정보 제공자의 호스트가 제공하는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의 고속 스위칭 접속 모듈군과 각 망 정합 장치에 적용되는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송신큐에 맞는 크기로 메모리를 할당하는 제 1 단계; 및 고속 스위치로 데이터를 송신한 후에, 할당한 메모리를 해제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로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 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은 고속 정보통신 서비스를 요구하는 전화망상의 서비스 이용자들의 욕구를 충족 시키기 위하여 특정망(즉 PSTN 망,PSDN 망)을 대상으로 했던 기존의 통신처리 시스템에 비하여, 현재 사용 중인 전화망(PSTN)과 패킷망(PSDN)의 수용 뿐 아니라 프레임 릴레이(Frame-Relay Network)망,ISDN망, 그리고 ATM 망도 수용 가능하도록 설게 구현 중인 시스템이다.
또한, 각종 새로운 망정합 모듈이 출현할 때마다 고속 스위치를 근간으로 정합 모듈을 만들어 접속 하기만 하면 새로운 서비스를 보일 수 있는 개방형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통신 시장의 개방으로 인해 야기될 새로운 VAN 사업자들도 약 50개의 VAN 사업자는 동등 접속이 가능하며 다양한 망들이 출현해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새로운 모듈군 들만 개발하여 부착 시키기만 하면 쉽게 새로운 서비스를 보일 수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개념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서비스 망간 접속 및 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개방형 통신처리 플랫포옴 구조를 가져야 한다. 또한, 개방형 통신처리 플랫폼 구조의 핵심 기능을 가진 내부 고속 상호 연동망인 HSSF 서브시스템은 각 망 정합 모듈 및 서비스 모듈에 탑재되어 가입자 입출력부와 직렬 송수신 기능을 담당하는 고속 시스템 버스 어댑터(HSNA), 각 망정합 모듈 및 서비스 모듈과의 직렬 접속을 통해 패킷 데이터의 입/출력 송수신을 담당하는 가입자 입출력부(HSCA),그리고 마지막으로 공통버스의 사용권을 중재하고 패킷 데이터의 교환을 담당하는 중재 교환부(HSSA)로 구성되어 있다.
고속 스위치(HSSF)를 근간으로 초기 시스템이 정상 구동을 시작할 때에 LOMS(Local Operation,administration,Maintenance System)로 부터 스위치를 거쳐 원하는 목적지 까지의 경로 설정에 관련되는 라우팅 테이블을 고속 스위치의 중재 교환부(HSSA)나, 각 망정합 장치(NAS:Network Access System)의 프로세서 보드가 로딩을 받아 고속 스위치를 거쳐 망정합 장치간에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원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게 함을 원칙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경로 설정 방식"은 전화망과 패킷망 이외에도 새로 출현하는 다양한 종류의 망들도 수용 가능하며, 초기에는 전화망 가입자 1,200채널, 패킷망 가입자 56Kbps 속도의 16 포트를 효율적으로 경로 설정을 해주는 방식이다.
또한, 본 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각 노드들간에 일대일 통신, 일대다수 들간의 통신이 지원되며, 각 망정합 장치들간 7초 주기로 2회 자신의 상태를 HSSF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망정합 장치들에게 브로드 캐스팅함으로서 소스에서 목적지 까지 효율적으로 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 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도면에서,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은, 전화망 교환기(102)에 연결된 PC 통신 사용자들이 통신처리 서비스를 위한 특정 번호를 다이얼할 때 교환기에서 통신처리 시스템으로 호를 수집하게 되어 있으며 전화망 정합장치(TNAS : Telephone Network Access Subsystem) (102)를 통하여 통신처리 시스템에 연결되게 되어있다.
전화망 정합장치(102)는 전화망 교환기의 서브 하이웨이에 해당되는 트렁크 인터페이스 기능과 모뎀 기능을 가지고 있는 TNIF(Telephone Network InterFace) (102)와, 직렬 가입자 포트를 시스템 버스에 연결시키는 허브 역할을 담당하고 사용자의 각 채널당 정보를 데이터망에 연동시키기 위한 TAXI 직렬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있는 HSNA(101) 보드, 32개의 TAXI 포트를 통하여 내부의 고속 패킷 스위칭 기능을 하는 고속 스위칭 접속장치(HSSF : High Speed Switching Fabric) (101), 패킷망에 연결해 주기 위한 패킷망 정합장치(PNAS : Packet Network Access Subsystem) (103), 정보 제공자(IP : Information Provider)로 구성된다.
종래의 통신처리 시스템과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의 차이점은 데이타망 정합을 위해서 시스템 내부에 고속 스위칭 접속장치(HSSF) (101)를 둔데 있다. 고속 스위칭 접속장치(101)는 전화망 정합장치(TNAS) (102)와 패킷망 정합장치(PNAS)(103)간에 위치하여 96 가입자 단위의 처리 용량을 가지는 전화망 정합장치 (101) 10대를 수용하며 데이타망 정합용으로 28포트를 사용하고 운용 관리용으로 2포트를 지원할 수 있는 32포트 용량의 내부 스위치이다.
종래의 소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처리할 수 있는 전화망 가입자의 수용용량인 96가입자 용량을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는 1,200 가입자로 증설하게 되었고, 이에 따른 데이타망과의 연동을 위해서 100Mbps TAXI (Transparent Asynchronous Xmitter-Receiver Interface) 직렬 인터페이스를 기본으로 하는 고속 스위칭 접속장치를 (101)를 추가하게 되었다.
고속 스위칭 접속장치에서는 가입자 입출력부에 TAXI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자체로 정의한 프로토콜에 의해 가변 길이의 패킷 크기를 갖는 패킷을 이용하여 전화망 정합장치(102)와 패킷망 정합장치(103)간에 프로세서간 통신을 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라우팅 테이블 구조도로서, 망의 종류를 나타내는 영역과, 서브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영역과, 버스 구분을 나타내는 영역과, 버스 상태를 나타내는 영역과, 노드 구분을 나타내는 영역과, 노드 상태를 나타내는 영역과, 프로세스 보드를 나타내는 영역과, NPA/SPA 상태를 나타내는 영역으로 구분된다.
1) 운용 관리 장치(LOMS)에서의 라우트 테이블(Route Table) 처리
라우트 테이블(Route Table)의 관리는 노드(Node) 번호만 관리하고 상태 필트(Status field)는 처리하지 않는다.
또한 망정합 장치들이 라우트 테이블(Route Table) 요구시 상태(Status)는 초기 값으로 0xFF를 채워서 각 망정합 장치로 로딩한다.
라우트 테이블(Route Table)의 상태에 대한 출력은 운용 관리 정합 장치(ONAS) 0과 1번으로부터 수신하고, 조합하여 처리한다. ONAS는 라우트 테이블(Route Table)이 변경될 때마다 운용 관리 장치(LOMS)로 보고하며, Node Block/Unblock 시 해당 망정합 장치로는 요구(Demand) 명령이 전송되며, 해당 망정합 장치의 보고(Report) 신호가 수신되면 상태를 변경한다.
노드 블럭(Node Block)인 망정합 장치에서 REP_RESTART가 보고되면, 운용 관리 장치(LOMS)는 노드 블럭(Node block) 명령을 전송한다.
2) 각 망정합 장치에서의 라우트 테이블(ROUTE TABLE) 처리
라우트 테이블(Route Table) 처리 조건은 A와 B 노드(Node)로 동시에 ACT 메시지를 브로드 캐스트(Broadcast) 한다.
주기는 7초로 하며, 연속 2회 수신되지 않는 망 정합 장치는 bad로 한다. HSSF와 망 정합 장치의 ACT 메시지를 조합하여 모두 정상일 경우만 GOOD으로 처리하고, 그렇지 않으면 망 정합 장치에서 전송하는 값을 우선 적용한다.
그리고 모든 망 정합 장치는 A, B 노드가 같은 ID를 사용하며, 하나의 망 정합 장치에서 브로드 캐스트(Broadcast)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망 정합 장치의 노드 상태(Node Status)만 BAD등의 상태가 되지만, 모든 망 정합 장치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노드 상태(Node Status)외 버스 상태(Bus Status)도 BAD로 처리해도 무관하다.
브로드 캐스트(Broadcast) 절차는 각 망 정합 장치는 초기화 후 타 망 정합 장치로 ACT 메시지를 브로드 캐스트(Broadcast) 한다.
각 망 정합 장치는 HSNB 보드가 비 정상/복구 시 즉시 ACT 메시지를 브로드 캐스트 한다.
HSSB는 HSCB 보드나 TAXI Cable이 비 정상/복구 시 즉시 ACT 메시지를 브르드 캐스트 한다. 노드가 블럭(Block)이면 ACT 메시지를 PRE/MMC Block으로 변경하여 즉시 브로드 캐스트 한다.
그리고 운용 관리 장치로는 상태(접속 중)에 따라 PRE_BLOCK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태(접속 해제 완료)가 변하면 MMC_BLO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것은 LOMS 운용자로 하여금 망 정합 장치에 대한 조치 시점을 알려주기 위함이다.
라우트 테이블(Route Table)에 등록되지 않은 망 정합 장치에서 요구(Request)하거나, ACT 메시지를 전송하면 무시한다.(Not Equip)
Booter는 브로드 캐스트(Broadcast)된 ACT 메시지에 포함된 운용 관리 정합 장치(ONAS)의 노드(Node) 번호를 추출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Booter는 ACT 메시지를 브로드 캐스트하지 않는다.
라우트 테이블(Route Table) 구조는 기본 구조는 동일하나 노드(Node)의 상태(status)에는 블럭(Block)이 추가된다.
상태 필드(Status filed)의 값은 MMC_BLOCK(0x40), PRE_BLOCK(0x60), GOOD(0x00), BAD(0x01)를 비트 조합하여 사용한다.
망 정합 장치의 브로드 캐스트시는 상태값을 그래로 사용한다. 운용 관리 장치로부터 라우트 테이블(Route Table)을 수신하고, 브로드 캐스트(Broadcast)된 ACT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태(status) 값을 변경한다.
3) 라우트 테이블(Route Table) 처리 내역
모든 망 정합 장치(AS)가 정상이고 TNAS0가 시동 중일 경우에 TNAS0는 요구(Request) 메시지를 브로드 캐스트하여 ONAS의 ACT 메시지를 받는다.
ONAS의 노드 번호 3으로 호 접속하여 OS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로딩 받는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동작 시 요구(Request) 메시지를 브로드 캐스트(Broadcast)하여 ONAS의 ACT 메시지를 수신받아 노드(Node) 번호를 알아낸다. ONAS의 노드(Node) 번호로 호 접속하여 시간(Time)과 라우트 테이블(Route Table)을 수신한다.
타 망 정합 장치로 'Restart Notify'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한다. 기타 초기화에 필요한 작업을 한다. 타 망 정합 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ACT 메시지를 이용하여 라우트 테이블(Route Table)의 상태(status)를 변경한다.
정상 동작시(Restart Report 후) ACT 메시지를 브로드 캐스트(Broadcast0 한다. 라우트 테이블(Route Table)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서브시스템에서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에 라우트 테이블(Route Table)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타 망 정합 장치에서는 이를 무시한다. 해당 서브시스템이 정상 동작하더라도 호 접속 요구등의 절차는 하지않는다.
운용 관리 장치에서 등록이 되어 라우트 테이블(Route Table)이 로딩되면 타 망 정합 장치와 같이 처리한다. 위와같이 처리하는 것은 단순히 설치만 해놓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Equip/Not-Equip 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4) 브로드캐스팅 시 필요한 자료구조
typedef struct {
unsigned charsrc_asid; /* source asid(0~255) */
unsigned charbus_type; /* A Side(0)/B Side(1) */
unsigned charnode_id; /* Node ID(0~31) */
unsigned charsignal;
int len;
unsigned chardata[1016];
} BROADCAST_DATA;
BROADCAST_DATA *broad_data = &hsnb_data->data[0];
버스 형태, 노드 인식자 필드는 TAXI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검사하기 위해 사용한다. 만약 고속스위치 정합보드(HSNB1)으로 데이터가 수신되었는데 버스 형태의 값이 0이면 잘못 연결된 것이다. 이 경우 ONAS는 운용관리 장치로로 보고하고, 타 망정합 장치는 데이터를 무시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망정합 장치의 라우팅 테이블 로딩 관련 타스크 흐름도로서,상태검사 타스크가 상태를 검사한 후 운용관리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책임을 가진 운용관리 장치는 운용관리 전송 타스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운용관리 장치로 송신하고, 그 데이터를 실제 실어 나르는 타스크는 고속 스위치의 hbus 송신 타스크가 된다. 그 역도 마찬 가지로 고속 스위치의 hbus 타스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면, 운용관리 장치의 수신 타스크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운용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타스크가 구동한다.
도면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망정합 장치의 라우팅 테이블 로딩 관련 내부 타스크 흐름도로서, 형상관리 핸들러, 과금관리 핸들러, 성능관리 핸들러, 장애관리 핸들러, 보안관리 핸들러를 통해 각 망정합 장치에서 수집된 정보가 수신되면 고속 스위치를 통해 운용관리 장치로 수집된 정보를 송신한다. 송신된 운용관리 정보는 LOMS라는 운용관리 장치에서 처리하여 운용자가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하게 한다.
도면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보드의 드라이브 초기화 흐름도로서, 드라이브 관련 파라미터를 초기화 시킨 후에(501), 고속 스위치로의 송신 큐를 생성하고 고속 스위치로부터 수신 큐를 생성하여 인커밍 큐를 생성한다(502).
이후에, 고속 스위치로의 송신 태스크를 생성하여, 고속 스위치로부터 수신 태스크 생성한 후에, 인커밍 테스크를 생성한다(503).
도면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 접속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 접속은, 할당 가능한 라우팅 테이블을 찾은 후에(601), 할당 받은 채널을 이용하여 고속 스위치로 데이터를 송신한다(602).
이후에, 고속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읽어(603), HSNA_CC 타잎의 신호인지를 판단한다(604).
판단 결과, HSNA_CC 타잎의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성공 응답 신호를 돌려보내고(605), HSNA_CC 타잎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실패 응답 신호를 돌려보낸다(606).
도면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망정합 장치와의 데이타 송신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망정합 장치와의 데이터 송신은, 할당 가능한 라우팅 테이블을 찾은 후에(701), 할당 받은 채널을 이용하여 고속 스위치로 데이터를 송신한다(702).
이후에, 고속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읽어(703), HSNA_CC 타잎의 신호인지를 판단한다(704).
판단 결과, HSNA_CC 타잎의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성공 응답 신호를 돌려보내고(705), HSNA_CC 타잎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실패 응답 신호를 돌려보낸다(706).
도면에서,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망정합 장치와의 데이타 수신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망정합 장치와의 데이터 수신은, 수신 큐에 맞는 크기로 메모리를 할당한 후에(801), 에러 체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802), 에러 체크가 성공하였으면 패킷 길이 만큼 데이터를 packet_data에 복사한 후에, 할당된 메모리를 해제하며(803), 성공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804).
판단 결과, 에러 체크가 성공하지 못하였으면 실패 응답 신호를 리턴한다(805).
도면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 스위치와 인터페이스시 필요한 수신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 스위치와 인터페이스시 필요한 수신은, 수신 큐에 맞는 크기로 메모리를 할당한 후에(901), 고속 스위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902), 수신된 패킷의 형태가 OAM이라는 패킷이면 OAM 수신 타스크를 구동 시키고 빠져 나오고, 호 설정 요청 패킷(H_CR)이면 수신 큐에 데이터를 넣고 빠져 나오고, 호 설정 확인(H_CC) 패킷 이거나 데이터 패킷(H_DATA) 이면 마찬 가지로 데이터를 넣고 빠져 나온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위 경우 이외의 패킷 이거나 호 해제 요청(H_CL) 패킷이면 할당된 메모리를 해제한 후 처음으로 돌아간다.
도면에서,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 스위치와 인터페이스시 필요한 송신 흐름도로서, 먼저, 송신 큐에 맞는 크기로 메모리를 할당한 후에(1001), 고속 스위치로 데이터를 송신한 후에, 할당된 메모리를 해제한다(1002).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 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은, 첫째, 대용량 통신처리 구조에서 1,200 가입자를 처리하기 위하여 시스템 제어부, 고속 스위칭 접속장치 정합부, 프레임 릴레이망 정합부를 기본으로 정보제공 사업자의 호스트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신뢰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둘째, 새로 출현하는 망들도 고속 스위치를 근간으로 정합 장치를 개발하여 접속 하기만 하면 효율적인 이기종 망들간의 연동 기능을 보일 수 있고, 세째, 사용자들도 각 망정합 장치가 이상 상태가 발생 했을 경우에도 우회 경로를 통해 서비스를 계속 보일 수 있으므로 효율적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 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각 망정합 장치 사용자가 정보 제공자의 호스트가 제공하는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의 고속 스위칭 접속 모듈군과 각 망 정합 장치에 적용되는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스 드라이브 보드를 초기화하는 제 1 단계;
    할당 가능한 라우팅 데이블을 찾은 후에, 할당 받은 채널을 이용하여 고속 스위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고속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읽어 연결 승인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연결 승인 신호인 경우에는 성공 응답 신호를 리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로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드라이브 관련 파라미터를 초기화하는 제 5 단계;
    상기 고속 스위치로의 송신 큐를 생성한 후에, 상기 고속 스위치로부터 수신 큐를 생성하여 인커밍 큐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고속 스위치로의 송신 태스크를 생성하며, 상기 고속 스위치로부터 수신 태스크를 생성하여 인커밍 태스크를 생성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로 설정 방법.
  3. 각 망정합 장치 사용자가 정보 제공자의 호스트가 제공하는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의 고속 스위칭 접속 모듈군과 각 망 정합 장치에 적용되는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수신큐에 맞는 크기로 메모리를 할당하는 제 1 단계; 및
    고속 스위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할당한 메모리를 해제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로 설정 방법.
  4. 각 망정합 장치 사용자가 정보 제공자의 호스트가 제공하는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의 고속 스위칭 접속 모듈군과 각 망 정합 장치에 적용되는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송신큐에 맞는 크기로 메모리를 할당하는 제 1 단계; 및
    고속 스위치로 데이터를 송신한 후에, 할당한 메모리를 해제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로 설정 방법.
KR1019980055810A 1998-12-17 1998-12-17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81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810A KR100281423B1 (ko) 1998-12-17 1998-12-17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810A KR100281423B1 (ko) 1998-12-17 1998-12-17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231A KR20000040231A (ko) 2000-07-05
KR100281423B1 true KR100281423B1 (ko) 2001-02-01

Family

ID=1956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8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281423B1 (ko) 1998-12-17 1998-12-17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953B1 (ko) * 1999-12-08 2006-07-13 주식회사 케이티 비동기식 전송모드망에서의 장애복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231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21424B2 (ja) Atm電子交換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同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電子交換機
JP2002513534A (ja) 信号方式ネットワーク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信号方式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その使用
JP2001268034A (ja) 多方向多重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チャネルアサイン方法
KR100281423B1 (ko)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
JP3394430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交換機
KR100251579B1 (ko) Atm, 프레임 릴레이, pdh망에서 pvc와 svc의 전체 경로에 대한 정보 추출 방법
JP3883128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伝送装置
KR100281974B1 (ko) 교환기의프레임핸들링장치및방법
KR100198444B1 (ko)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경로 설정방법
KR0173378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시스팀에서 입중계 중계선 호제공 방법
KR100314582B1 (ko) 디스램 시스템의 가입자보드 확장을 위한 제어메시지 관리방법
KR950006568B1 (ko) Isdn 교환기의 패킷교환장치
KR100237365B1 (ko) 광대역 댁내망 구성방법 및 망종단장치
KR100299660B1 (ko) 통신처리시스템의중계선채널과다중모뎀채널의통화로설정방법및전화망정합장치
KR100236946B1 (ko)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에서의 가입자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
KR950001512B1 (ko) 통신처리 망관리장치 및 통신방식
KR100350904B1 (ko) 비동기 디지털 가입자 라인(adsl)의 집선장치인 디스램(dslam) 시스템의 통신환경 초기 설정방법
KR100211023B1 (ko) 초고속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에이.티.엠(atm) 서비스 노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US7509410B1 (en) Bulk status enquiry in a network
JPH06120947A (ja) 遠隔端末データ収集方法
KR100248414B1 (ko) 이기종망상의정보제공자접속을위한다단계호접속방법
JPH11331267A (ja) 加入者線伝送装置
KR100218686B1 (ko) 중소형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의 예약모드 가상경로/채널 연결 등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예약모드 가상경로/채널 연결 등록 방법
JP3208105B2 (ja) Atm通信網およびセル転送方法
JP2709884B2 (ja) Isdnスイッチングシステムの呼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3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711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11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