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73769B1 -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3769B1
KR100273769B1 KR1019980046440A KR19980046440A KR100273769B1 KR 100273769 B1 KR100273769 B1 KR 100273769B1 KR 1019980046440 A KR1019980046440 A KR 1019980046440A KR 19980046440 A KR19980046440 A KR 19980046440A KR 100273769 B1 KR100273769 B1 KR 100273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virtual path
network
subnetwork
managem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8276A (ko
Inventor
홍원규
황우선
윤성숙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46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769B1/ko
Publication of KR20000028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7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2Alternate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19Network Node Interface, e.g. tandem connections, transit switching
    • H04L2012/5624Path aspects, e.g. path bund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04L2012/5627Fault tolerance and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 장애발생시 신속하게 기설정된 가상경로 연결에 대한 복구를 처리하도록 된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에 관한 것으로, 장애발생 이전의 정상적인 상태에서 주 연결과 예비 연결을 생성하고서 주 연결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다가 주 연결에서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예비 연결로 신속하게 절체하여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 가상경로 연결에 대한 장애복구를 확실하게 보장해 줌으로써,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의 망관리 시스템에 적용되어 망관리 시스템에서 정의하는 정보객체의 유기적인 관계에 의해 실시간 및 동적으로 수행되어 신뢰도를 필요로 하는 중요한 비동기식 전송모드의 가상경로 연결에 대한 신속하고 확실한 연결복구를 보장하게 된다.

Description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
본 발명은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망관리 시스템에 적용되어 신뢰도가 높은 가상경로 연결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된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제안되어 있는 계층적 망구조를 규정하는 ITU-T G.805에서, 대규모 공중 전기 통신망은 그 전송 특성에 따라 동기식 디지털 계위 (SDH ;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비동기식 전송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의 가상경로(VP ; Virtual Path)와 가상채널 (VC : Virtual Channel) 등 하나 이상의 계층망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가상경로 연결(VPC : Virtual Path Connection)에는 다수의 가상채널 연결(VCC : Virtual Channel Connection)이 포함될 수 있다. 가상경로 연결에 대한 신뢰도는 해당 가상경로 연결에 포함된 가상채널 연결의 신뢰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그 파급효과 또한 매우 크다.
따라서 가상경로 연결에 대한 장애 발생시 최단 시간내에 연결 복구를 확실하게 보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 장애발생시 신속하게 기설정된 가상경로 연결에 대한 복구를 행하도록 된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은, 비동기식 전송모드의 가상경로 연결 서비스 등급에 따라 최상의 신뢰도를 요하는 연결에 대해서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주 가상경로 연결 및, 상기 주 가상경로 연결에 대한 장애발생을 대비하여 예비 가상경로 연결을 동시에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주 가상경로 연결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시 상기 주 가상경로 연결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예비 가상경로 연결로 절체하는 과정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의 물리형상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의 가상경로 계층망의 계층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의 가상경로 연결 설정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계층망 및 부분망 관리자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계층망 및 부분망 관리자 구성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설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설정후 연결정보 객체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발생시 절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레벨의 절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계층망 관리자
12, 18, 26, 34, 41, 48 : 형상 관리 서브 시스템
14, 20, 28, 36, 42, 50 : 연결 관리 서브 시스템
15, 22, 30, 37, 44, 52 : 데이터 베이스
16, 24, 32 :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
38, 39, 40, 45, 46, 47 : 요소관리층 부분망 관리자
54∼64, 116, 117 :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의 물리형상 구조도로서,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 포트 및,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간을 연결시키는 링크로 구성된다. 도 1에서는 각각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 포트 및 링크를 포함하는 두개의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의 물리형상 관리영역(100, 101)을 설정하여 상호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었다.
도 1에 도시된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의 물리적인 형상을 기반으로 ITU-T G.805에 따라 비동기식 전송모드 가상경로 계층망을 부분망으로 분할한 계층적 망구조를 나타내면 도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비동기식 전송모드 가상경로 계층망은 관리 영역 혹은 지역망 개념에 따라 하나 이상의 부분망(Subnetwork; SNW)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임의의 부분망은 또 다시 하나 이상의 부분망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분할은 부분망이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와 1:1로 대응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리고, 비동기식 전송모드 가상경로 계층망은 다음과 같은 계층 구조로 정의된다. 비동기식 전송 모드 가상 경로 계층망에 대한 부분망 분할은 ITU-T전기통신관리망(TMN :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에서 정의하는 망관리층(NML : Network Management Layer)에 속하는 부분망(이하, nmlSNWi)과 요소관리층(EML ; Element Management Layer)에 속하는 부분망(이하, emlSNWi)으로 구분된다.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 혹은 크로스 커넥터와 1:1로 대응되는 부분망은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으로 정의하고, 하나 이상의 부분망을 포함하는 부분망을 망관리층 부분망(nmlSNW)으로 정의한다. 부분망에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의 포트와 대응되는 다수의 링크 종단점(LTP : Link Termination Point, 이하 LTPi.j.k)이 존재하고, 이웃 스위치 포트간의 링크는 부분망의 링크 종단점간의 위상 링크(TL : Topological Link, 이하 TLi)로 정의한다.
도 1에서,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1.1)는 도 2의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1.1)과 대응되고,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1.2, ATM SW1.3, ATM SW2.1, ATM SW2.2, ATM SW2.3)는 각각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1.2, emlSNW1.3, emlSNW2.1, emlSNW2.2, emlSNW2.3)에 대응된다.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1.2,∼ATM SW2.3)에는 하나 이상의 포트가 존재하는데, 이는 도 2에서 링크 종단점(LTP)으로 표현된다. 도 1의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1.1)의 포트(포트1.1.1)는 도 2의 요소 관리층 부분망(emlSNW1.1)의 링크 종단점(LTP1.1.1)으로 표현되고, 이는 또한 망관리층 부분망 및 계층망에서 서로 다른 링크 종단점(LTP)으로 표현되지만,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1.1)의 동일한 포트(포트1.1.1)를 표현하는 것이다.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에 포함된 임의의 포트간을 연결한 링크는 망 요소 관리층에서는 표현되지 않고, 망관리층 부분망에서 형상 정보의 일 부분으로 표현된다. 형상 정보란 부분망(SNW), 부분망이 포함하고 있는 링크 종단점(LTP) 및, 이웃 부분망의 링크 종단점 사이를 위상 링크(TL)로 연결한 형상을 표현하는 것으로 라우팅을 위해 사용된다. 즉, 도 1의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1.1, ATM SW1.2, ATM SW1.3)가 하나의 망 관리층 부분망으로 정의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들은 각각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으로 표현되고, 망관리층 부분망(nmlSNW1)에서는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간의 형상 정보(도 2의 망관리층 부분망(nmlSNW1)의 분할 형상)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도 2의 망관리층 부분망(nmlSNW1)이 유지하는 분할 형상 정보중 위상 링크(TL1)는 도 1의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1.1과 ATM SW1.2)사이를 연결시킨 링크1을 표현하고, 위상 링크(TL2)는 도 1의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1.1과 ATM SW1,3)사이를 연결시킨 링크2를 표현한 것이다. 도 1의 링크4와 링크5는 도 2에서 망관리층 부분망(nmlSNW0)의 형상 분할 정보에 포함된다. 이는 전술한 ITU-T G.805의 계층할 및 분할화 개념에 따른 것으로, 망관리층 부분망(nmlSNW0)의 형상 분할 정보에서는 요소관리층 부분망의 분할 모습은 보이지 않고 망 관리층 부분망(nmlSNW1과nmlSNW2)과 이들간의 위상 링크(TL5, TL6) 연결 모습만을 볼 수 있다.
도 2에 정의된 비동기식 전송모드의 가상 경로 계층망의 계층 구조 상에서 가상 경로 연결(VPC : Virtual Path Connection)을 설정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표현 정보 객체들을 정의하게 된다.
비동기식 전송모드의 가상경로 계층망에 존재하는 임의의 링크 종단점 사이의 연결을 트레일(trail)이라 한다. 이 트레일은 가장 상위레벨에서 가상경로 연결에 대한 세부 사항(라우팅 경로 등)을 다루지 않고 단지 단대단 연결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서, 트레일 연결이 종단되는 점은 링크 종단내에 트레일 종단점(TTP : Trail Termination Point)을 생성하고 이를 트레일과 바인딩시켜 연결을 표현한다. 트레일 종단점(TTP)에는 가상경로 식별자(VPI : Virtual Path Identifier)가 할당된다.
도 3에서, 부분망에 존재하는 임의의 링크 종단점 간의 내부적인 연결을 부분망 연결(Subnetwork Connection; SNC)이라 하고, 특히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 내부의 연결을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emlSNCi)이라 하며, 망관리층 부분망(nmlSNW) 내부의 연결을 망관리층 부분망 연결(nmlSNCi)이라 한다. 상기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emlSNCi) 및 망관리층 부분망 연결(nmlSNCi)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각 부분망에 속한 링크 종단점(LPT)에 연결 종단점(CTP : Connection Termination Point,)을 생성하여 이에 부분망 연결을 바인딩시킨다. 또한 부분망 간을 연결한 위상 링크(TL)에는 링크 연결(LC : Link Connection)을 생성하고 이들을 부분망 연결 생성시 생성된 연결 종단점(CTP)과 바인딩시켜 전체적으로 단대단 연결성을 표현하도록 한다.
도 3에서와 같이 비동기식 전송모드의 가상경로 계층망(ATM VP LNW)간의 주 연결은 주 트레일(Main Trail)과 이의 종단점인 트레일 종단점(TTP1.1과 TTP2.1)으로 구성된다. 망관리층 부분망0(nmlSNW0) 내부의 연결은 망관리층 부분망 연결(nmlSNC0)과 이의 종단점인 연결 종단점(CTP1.1과 CTP2.1)으로 구성된다. 망 관리층 부분망 관리자(nmlSNW1과 nmlSNW2)내부의 연결은 각각 망관리층 부분망 연결(nmlSNC1)과 이의 종단점인 연결 종단점(CTP1.1.1및 CTP1.2.1), 망관리층 부분망 연결(nmlSNC2)과 이의 종단점인 연결 종단점(CTP2.1.1및 CTP2.3.1)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망관리층 부분망(nmlSNW0)의 내부 연결인 망관리층 부분망 연결(nmlSNC0)은 하위 레벨의 망관리층 부분망 연결(nmlSNC1), 링크 연결(LC5.1) 및 망관리층 부분망 연결(nnmlSNC2)로 구성된다.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에 대한 연결도 위와 동일한 과정으로 생성된다.
도 3에서 비동기식 전송모드 가상경로 연결 설정을 위해 채용되는 송/수신점이 위치하는 노드를 액세스 노드라고 하는데, 도 3에서 링크 종단점(LTP1.1.1과 LTP2.3.2) 사이의 연결 설정시, 링크 종단점(LTP1.1.1)을 포함하는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1.1)과 링크 종단점(LTP2.3.2)을 포함하는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2.3)은 액세스 요소 관리층 부분망(Access emlSNW)으로 정의하고, 이에 대응하는 도 1의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1.1및 ATM SW2.3)를 각각 액세스 노드로 정의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서 행해지는 주연결 및 예비 연결 설정은 도 4에서 계층망 관리자(LNWM),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NSM0, NMS1, NMS2)와 액세스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1.1, emlSNW2.3)을 관리하는 요소관리층 부분망 관리자(ESM1.1, ESM2.3)을 제외한 모든 요소관리층 부분망 관리자(ESM1.2, ESM1.3, ESM2.1, ESM2.2)에서는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액세스 요소관리층 부분망 관리자(ESM1.1, ESM2.3)는 도 3과 같이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1.1)에 주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Main emlSNC1.1) 및 예비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Backup emlSNC1.1)을 생성하고,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2.3)에 주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Main emlSNC2.3) 및 예비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Backup emlSNC2.3)을 생성하지만, 주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Main emlSNC)에 대해서만 비동기식 전송 모드 스위치에 대한 연결 설정 요청을 하고, 예비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Backup emlSNC)에 대한 스위칭 요청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치 레벨에서 보면 주 가상경로 연결로만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예비 가상경로 연결로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 연결의 임의의 부분에서 장애 발생시, 액세스 망 관리층 부분망에 설정되어 있는 주 부분망 연결(주 emlSNC1.1, 주 emlSNC2.3)에 대응하는 스위치 레벨의 연결을 삭제하도록 요청하고, 삭제가 완료되면, 예비 부분망 연결(예비 emlSNC1.1, 예비 emlSNC2.3)에 대한 스위칭을 스위치에게 요청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예비 가상경로 연결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4는 도 2에서 정의한 비동기식 전송모드의 가상경로 계층구조 형상과 이를 기반으로 가상경로의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 계층망 및 부분망 관리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계층망 관리자(LNWM: Layer Network Manager)와, 부분망 관리자(SM: Subnetwork Manager)를 구비한다.
여기서, 부분망 관리자(SM)는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NSM: Network Management Layer Subnetwork Manager;16, 24, 32)와, 요소관리층 부분망 관리자(ESM: Element Management Layer Subnetwork Manager;38, 39, 40, 45, 46, 47)로 구분하여 정의되고, 상기 계층망 관리자(LNWM;10)는 비동기식 전송모드의 가상경로 계층망 및 계층망 종단점을 관리하고 종단점간의 트레일 연결을 생성하고, 연결하고자 하는 단대단 위치를 파악하여 이들 간의 연결 설정을 위해 필요한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NSM) 혹은 요소관리층 부분망 관리자(ESM)를 선택하고 이에게 부분망 연결설정에 대한 요청을 보낸다. 그리고, 이러한 계층망 관리자(LNWM;10)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가상경로 계층망에 하나씩 할당된다.
상기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16)는 망관리층 부분망(nmlSNW0)의 분할 형상을,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24)는 망관리층 부분망(nmlSNW1)의 분할 형상을,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32)는 망관리층 부분망(nmlSNW2)의 분할 형상을 관리하고, 각각의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16, 24, 32)는 각각의 분할 형상을 기반으로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며 각 부분망 내부의 망관리층 부분망 연결(nmlSNC)을 생성하고 삭제하는 관리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요소관리층 부분망 관리자(38, 39, 40, 45, 46, 47)는 각각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의 링크 종단점(LTP)을 관리하고, 망요소 관리층 부분망 내부의 요소 관리층 부분망 연결(emlSNC)을 생성 및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일대일로 연결된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54∼64)를 제어하여 스위치 레벨에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계층망 관리자(LNWM)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가상경로 계층망(ATM VP LNW)과 이에 속한 링크 종단점(LTP1, LTP2)을 생성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유지하는 형상 관리 서브 시스템(TMSS;12)과, 형상 관리 서브 시스템(12)이 생성하여 유지하고 있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가상경로 계층망(ATM VP LNW)상에서 가상경로 연결(주 트레일 및 예비 트레일)을 생성, 삭제 및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연결 관리 서브 시스템(CMSS;14) 및, 형상 관리 서브 시스템(12) 및 연결 관리 서브 시스템(14)이 생성한 정보 객체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데이터 베이스(DB; 15)로 구성된다.
상기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16; 24; 32)는 해당하는 망관리층 부분망(nmlSNW0, nmlSNW1, nmlSNW2;도 2참조)의 종단점 정보(LTPs)와 각각의 내부 형상 정보(도 2에 정의된 nmlSNW0의 분할 형상, nmlSNW1의 분할 형상, nmlSNW2의 분할 형상)를 관리하는 형상 관리 서브 시스템(18; 26; 34)과, 각 형상 관리 서브 시스템(18; 26; 34)이 생성하여 유지하고 있는 망 관리층 부분망 연결(주 및 예비 망관리층 부분망 연결)과 링크 연결(주 및 예비 링크 연결)을 생성, 삭제 및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연결 관리 서브 시스템(20, 28, 36) 및, 형상 관리 서브 시스템(18; 26; 34) 및 연결 관리 서브 시스템(20; 28; 36)이 생성한 정보 객체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데이터 베이스(22; 30; 37)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요소관리층 부분망 관리자(38;39;40;45;46;47)는 각각의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1.1; emlSNW1.2,; emlSNW1.3; emlSNW2.1; emlSNW2.2; emlSNW2.3)과 이의 종단점 정보(LTPs)와 이들 정보 객체와 비동기식 전송 모드 스위치의 스위치, 포트와의 관계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형상 관리 서브 시스템(TMSS1.1(41); TMSS1.2; TMSS1.3; TMSS2.1; TMSS2.2; TMSS2.3(48))과, 형상 관리 서브 시스템(TMSS1.1(41); TMSS1.2;TMSS1.3;TMSS2.1; TMSS2.2; TMSS2.3(48))이 생성하여 유지하고 있는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주 및 예비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과 생성, 삭제 및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생성된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emlSNC)이 에지 부분망에 대한 연결인 경우 주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emlSNC)에 대해서는 스위치에 연결 설정 요청을 보내고, 예비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emlSNC)에 대해서는 스위치에 연결 설정 요청을 보내지 않는 기능을 제공하는 연결 관리 서브 시스템(CMSS1.1(42); CMSS1.2; CMSS1.3; CMSS2.1; CMSS2.2; CMSS2.3(50)) 및, 형상 관리 서브 시스템(TMSS1.1(41); TMSS1.2;TMSS1.3;TMSS2.1; TMSS2.2; TMSS2.3(48)) 및 연결 관리 서브 시스템(CMSS1.1(42); CMSS1.2; CMSS1.3; CMSS2.1; CMSS2.2; CMSS2.3(50))이 생성한 정보 객체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데이터 베이스(DB1.1, DB1.2, DB1.3(44),DB2.1, DB2.2, DB2.3(5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1.1, ATM SW1.2, ATM SW1.2, ATM SW2.1, ATM SW2.2, ATM SW2.3;54∼64)는 요소관리층 부분망 관리자(38, 39, 40, 45, 46, 47)의 요청에 따라 스위치 레벨의 연결 설정을 통해 스위치에서 비동기식 전송모드용 셀(데이터)이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 연결 해제 요청을 받아 스위치 레벨의 연결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2에서 정의한 비동기식 전송모드의 가상 경로 계층망에 대한 분할 모습을 표현하는 모든 정보 요소(VP LNW, nmlSNW, emlSNW, TL, LTP)와, 도 3에서 정의한 가상 경로 계층망 내부의 연결(Trail, TTP), 망관리층 부분망 내부의 연결(nmlSNC, LC, CTP) 및 요소 관리층 부분망 내부의 연결(emlSNC, CTP)을 표현하는 모든 정보 요소는 분산처리 플랫폼 상에서 클라이언트/서버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객체로 실현되고, 이들 객체의 생성, 삭제 및 관리는 상술한 도 4에서 정의한 각 관리자의 형상 관리 서브 시스템(TMSS) 및 연결 관리 서브 시스템(CMSS)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주 연결 및 예비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 주 연결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예비 연결로 절체하는 과정으로 크게 구분된다.
먼저, 주 연결 및 예비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도 5에 예시된 가상경로 연결 설정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첫번째로, 계층망 관리자(LNWM;16)는 이용자가 지정한 송/수신점(LTP1.1.1/ LTP2.3.2)간의 연결 설정 요청을 받아 도 6과 같이 주 트레일 및 예비 트레일을 동시에 생성한다. 주 트레일과 예비 트레일이 생성되면, 이들간에 관계를 설정하여 주 트레일에 대한 예비 트레일이 어느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두번째로, 주 트레일 및 예비 트레일을 생성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설정한 계층망 관리자(LNMW;10)는 이 가상경로 계층망 관리자(10) 하부에 있는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NSM0;16)에게 망관리층 부분망 연결 생성을 요청한다.
세번째로, 망관리층 부분망 연결 설정 요청을 받은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16)는 도 2의 망관리층 부분망(nmlSNW0)의 분할 형상을 토대로 하여 도 3과 같이 링크 종단점(LTP1.1)과 링크 종단점(LTP1.2)사이에 주 부분망 연결(Main nmlSNC1)을 생성하고, 링크 종단점(LTP2.1)과 링크 종단점(LTP2.3)사이에 주 부분망 연결(Main nmlSNC2)설정하며, 위상 링크(TL5)내부에 링크 연결(LC5.1)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주 부분망 연결이 생성되면, 송/수신 종단점을 제외한 모든 경로가 다른 것을 선택하여 예비 부분망 연결(Backup nmlSNC)을 주 부분망 연결과 동일하게 생성된다.
네번째로, 상기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16)는 하부의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24, 32)에게 부분망 연결 설정 요청을 보낸다.
다섯번째로, 부분망 연결 설정 요청을 받은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NSM1;24)는 도 2의 망관리층 부분망(nmlSNW1)의 분할 형상을 토대로 하여 도 3과 같이 링크 종단점(LTP1.1.1)과 링크 종단점(LTP1.1.2)사이에 주 부분망 연결(Main emlSNC1.1)을 생성하고, 링크 종단점(LTP1.2.1)과 링크 종단점(LTP1.2.3)사이에 주 부분망 연결(Main emlSNC1.2)설정하며, 위상 링크(TL1)내부에 링크 연결(LC1.1)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주 부분망 연결이 생성되면, 송/수신 종단점을 제외한 모든 경로가 다른 것을 선택하여 예비 부분망 연결(Backup emlSNC)을 주 부분망 연결과 동일하게 생성된다.
상기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24)와 동일하게 부분망 연결 설정 요청을 받은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NSM2;32)는 도 2의 망관리층 부분망(nmlSNW2)의 분할 형상을 토대로 하여 도 3과 같이 링크 종단점(LTP2.1.1)과 링크 종단점(LTP2.1.2)사이에 주 부분망 연결(Main emlSNC2.1)을 생성하고, 링크 종단점(LTP2.3.1)과 링크 종단점(LTP2.3.2)사이에 주 부분망 연결(Main emlSNC2.3)을 설정하며, 위상 링크(TL3)내부에 링크 연결(LC3.1)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주 부분망 연결이 생성되면, 송/수신 종단점을 제외한 모든 경로가 다른 것을 선택하여 예비 부분망 연결(Backup emlSNC)을 주 부분망 연결과 동일하게 생성한다.
여섯번째로, 상기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24, 32)는 각각 자신의 하위 요소망 관리 시스템에게 부분망 연결 설정 요청을 보낸다. 즉,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24)는 요소관리층 부분망 관리자(38, 39, 40)에게, 망관리층 부분망 관리자(34)는 요소관리층 부분망 관리자(45, 46, 47)에게 부분망 연결 설정 요청을 보낸다.
일곱번째로, 부분망 연결 설정 요청을 받은 각 요소관리층 부분망 관리자(38, 39, 40, 45, 46, 47)는 도 2의 각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 내부에 주 및 예비 부분망 연결을 도 3과 같이 생성한다. 이때 상술한 첫번째의 과정에서 이용자가 지정한 송/수신점을 포함하는 요소관리층 부분망은 액세스 부분망으로 정의하고, 이에 대해서는 주 요소망 관리층 부분망 연결에 대해서만 스위치에게 연결 설정 요청을 보낸다. 따라서, 도 2에서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1.1)과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2.3)은 이용자가 지정한 송/수신 링크 종단점(LTP1.1.1/LTP2.3.2)을 포함하는 액세스 부분망이 되므로, 주 및 예비 부분망 연결은 생성하지만, 주 부분망 연결에 대해서만 해당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54∼64)에게 연결 설정 요청을 보낸다.
마지막으로 여덟번째로, 각 요소관리층 부분망 관리자(38, 39, 40, 45, 46, 47)는 자신이 생성한 요소 관리층 부분망 연결에 대한 스위칭을 하도록 각각의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54∼64)에게 요청을 보낸다. 이 과정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1.1)과 요소관리층 부분망(emlSNW2.3.)에는 주 및 예비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요소관리층 부분망 관리자(38)과 요소관리층 부분망 관리자(47)는 주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에 대해서만 스위칭을 하도록 해당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58, 64)에게 요청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침에 따라 도 6과 같이 송/수신 종단점 (LTP1.1.1/LTP2.3.2)사이에 주 및 예비 연결이 설정되어 주 연결을 통해 가상경로 연결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의 도 6과 같은 형태의 주 및 예비 연결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1의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1.1)의 포트(포트1.1.2)와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1.1)의 포트(포트1.2.1) 사이를 연결시킨 링크(링크1)에서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도 7과 같은 과정에 의해 장애가 발생한 주 연결이 신속하게 예비 연결로 절체된다. 스위치간을 연결 시킨 포트(포트1)는 도 2에서 위상 링크(TL1)에 대응되는 것이다. 따라서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ATM SW1.1)에서는 장애 발생 사실을 위상 링크(TL1)에게 통보한다. 위상 링크(TL1)가 장애 발생 사실을 통보받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과정을 통해 장애를 복구한다.
첫번째로, 위상 링크(TL1;110)는 장애 발생 사실을 링크 연결(LC1.1;111)에게 통보한다.
두번째로, 그 링크 연결(LC1.1;111)은 통보받은 장애 발생 사실을 망관리층 부분망 연결(nmlSNC1;112)에게 통보한다.
세번째로, 그 망관리층 부분망 연결(nmlSNC1;112)은 장애 발생 사실을 주 가상경로 트레일(113)에게 통보한다.
네번째로, 상기 주 가상경로 트레일(113)은 트레일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에서, 이용자가 요청한 가상경로 연결의 송/수신 링크 종단점(LTP)을 포함하고 있는 액세스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도 7에서 emlSNC1.1(114)과 emlSNC2.3(115))에 대한 삭제 요청을 각 부분망 연결에 보낸다.
다섯번째로, 상기 액세스 부분망 연결(114)은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116)에게 자신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도록 요청하고, 액세스 부분망 연결(115)은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117)에게 자신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도록 요청하여, 송/수신 종단점을 포함하는 액세스 교환기에서 주 연결을 삭제하도록 한다.
여섯번째로, 상기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emlSNC1.1;114)과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emlSNC2.3;115)은 각각의 교환기에서 자신에 대응하는 연결이 삭제되었음을 주 가상경로 트레일(113)에게 통보한다.
일곱번째로, 상기 주 가상경로 트레일(113)은 자신의 예비 트레일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해당 예비 가상경로 트레일(118)에게 절체 요청을 보낸다. 여기서, 절체란 주 트레일에 장애가 발생하여 더 이상 주 트레일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없으므로 예비 트레일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하라는 것이다
여덟번째로, 상기 예비 가상경로 트레일(118)이 절체 요청을 받으면, 이용자가 요청한 송/수신 종단점(LTP1.1.1과 LTP2.3.2)을 포함하는 액세스 요소 관리층 부분망 연결(Backup emlSNC1.1, Backup emlSNC2.3)에게 절체를 요청한다.
아홉번째로, 절체 요청을 받은 각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emlSNC1.1(119)과 emlSNC2.3(120))은 각각의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116, 117)에게 자신에 대응하는 스위치 레벨의 연결 생성을 요청하여, 예비 가상 경로 연결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도 7에 예시된 아홉번째까지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주 연결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 흐름이 예비 연결을 통해 가능하도록 절체되고, 대부분의 처리 과정은 장애 발생 통보와 비동기식 전송 모드 스위치에 대한 제어로 국한되므로 처리 시간이 빠르다. 이상과 같이 스위치 레벨에서 주 연결이 예비 연결로 절체된 상황은 도 8과 같은 절체형상을 가지게 된다. 즉,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54;116)와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64;117)간의 스위칭 연결은 정상적인 상태의 경우 상측의 주 가상경로 연결인 링크1, 링크4, 링크3을 이용하지만, 주 연결에 장애발생시 하측의 예비 가상경로 연결인 링크2, 링크5, 링크4를 이용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통신망에서 신뢰성 있는 가상경로 연결(VPC : Virtual Path Connection)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기설정되어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되고 있는 가상경로 연결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최단 시간 내에 연결을 복구할 수 있고, 복구 실패 확률이 없는 최선의 가상경로 연결이 되어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의 망관리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비동기식 전송모드(ATM)의 특성상 가상경로 연결(VPC: Virtual Path Connection)에는 다수의 가상 채널 연결(VCC : Virtual Channel Connection)이 생성되므로, 통신망 사업자 관점에서 통신 서비스 이용자에게 신뢰성 있는 가상경로 연결 서비스 제공은 중요하고 사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사업자 측면에서 신뢰성 있는 가상 연결 서비스 제공을 위해 본 발명에서 정의한 예비 경로에 의한 연결 복구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기설정된 가상경로 연결에 장애 발생시, 통신 서비스 사용자가 거의 인식할 수 없는 빠른 시간 내에 예비 연결로 절체하여 통신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장애 발생으로 인한 연결 복구 실패 확률이 없으므로 통신사업자의 위상 제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5)

  1. 비동기식 전송모드의 가상경로 연결 서비스 등급에 따라 최상의 신뢰도를 요하는 연결에 대해서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주 가상경로 연결 및, 상기 주 가상경로 연결에 대한 장애발생을 대비하여 예비 가상경로 연결을 동시에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주 가상경로 연결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시 상기 주 가상경로 연결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예비 가상경로 연결로 절체하는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가상경로 연결은 이용자가 요청한 송/수신점간의 최적 경로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가상경로 연결은 상기 주 가상경로 연결에 대한 경로중 송/수신점을 포함하는 액세스 스위치 또는 액세스 요소관리층 부분망을 제외한 모든 중간의 모든 경로에서 상기 주 가상경로 연결와 다른 경로를 선택함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가상경로로의 절체과정은 장애발생 결과를 주 트레일에게 통보하여 주 트레일을 구성하는 액세스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을 삭제하여 상기 주 트레일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장애발생을 통보받은 주 트레일이 이에 대응되는 예비 트레일을 식별하여 해당 예비 트레일에게 절체를 통보하여 상기 예비 트레일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되게 절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절체 요청을 받은 예비 트레일의 송/수신 종단점을 포함하는 액세스 요소관리층 부분망 내부에 생성된 송/수신 종단점의 예비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에게 절체를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절체를 통보받은 예비 요소관리층 부분망 연결이 비동기식 전송모드 스위치에게 스위칭을 요청하여 송/수신 종단점간의 데이터 흐름을 상기 예비 가상경로 연결로 전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 트레일 및 예비 트레일은 비동기식 전송모드의 가상경로 계층망 및 계층망 종단점을 관리하고 종단점간의 트레일 연결을 생성하는 가상 경로 계층망 관리자에 의해 동시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
KR1019980046440A 1998-10-30 1998-10-30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 KR100273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440A KR100273769B1 (ko) 1998-10-30 1998-10-30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440A KR100273769B1 (ko) 1998-10-30 1998-10-30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276A KR20000028276A (ko) 2000-05-25
KR100273769B1 true KR100273769B1 (ko) 2000-12-15

Family

ID=1955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440A KR100273769B1 (ko) 1998-10-30 1998-10-30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7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357B1 (ko) * 2002-06-25 2005-12-22 주식회사 케이티 비동기 전송망의 경로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276A (ko)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0866B1 (en) Rerouting in connection-oriented communication networks and communication systems
CA2234314C (en) Fault recovery system and transmission path autonomic switching system
US7133359B2 (en) Fast restor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determining minimum restoration capacity in a transmission networks
US7414985B1 (en) Link aggregation
WO2003017571A2 (en) Service provisioning in a distribut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
US64217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networking service reliability
JP3905218B2 (ja) 同期デジタル階層型通信ネットワーク
US20030043427A1 (en) Method of fast circuit recovery using local restoration
Tomic et al. ASON and GMPLS—overview and comparison
US75900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ialing a connection o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0273769B1 (ko)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복구방법
Touvet et al. Network resilience in multilayer networks: A critical review and open issues
Cidon et al. OPENET Architecture, The
US7283466B1 (en) Tracking physical route changes in optical switching network
Noh End-to-end self-healing SDH/ATM networks
KR100613963B1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 초고속 정보 통신망 구성 장치 및 그구성관리 방법
JP2001036587A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KR20000026057A (ko) 계층구조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가상경로 연결 재설정방법
KR100337142B1 (ko) 비동기 전송모드 서비스품질/트래픽 파라메터 기반의계층적 경로설정기법
KR100234131B1 (ko) 연결 경로에 대한 라우팅 패스 탐색 방법
KR100600953B1 (ko) 비동기식 전송모드망에서의 장애복구 장치 및 방법
KR100283054B1 (ko)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 가상연결 자동복구장치 및 방법
KR101001508B1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의 수동 경로재설정 방법
Struyve et al. A novel generic gateway protection configuration applied to ATM networks
Xin et al. On design and architecture of an IP over WDM optical network control p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0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P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10061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00090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Decision date: 20100628

Request date: 20100619

Appeal identifier: 2010100001580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P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100628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10100001580

Request date: 20100619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Decision date: 201006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