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67137B1 - 발진회로 및 지연회로 - Google Patents

발진회로 및 지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137B1
KR100267137B1 KR1019980004349A KR19980004349A KR100267137B1 KR 100267137 B1 KR100267137 B1 KR 100267137B1 KR 1019980004349 A KR1019980004349 A KR 1019980004349A KR 19980004349 A KR19980004349 A KR 19980004349A KR 100267137 B1 KR100267137 B1 KR 100267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output
wells
inverter
mos transisto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1343A (ko
Inventor
다까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7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13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4Astable circu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differential amplifiers or compara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0231Astable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logic circuit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03Astable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logic circuit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03Astable circuits
    • H03K3/0315Ring oscillators
    • H03K3/0322Ring oscillators with differential cel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0018Special modifications or use of the back gate voltage of a FET

Landscapes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Pulse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소면적으로 발진주파수, 듀티비, 위상을 제어할 수 있는 발진회로, 및 지연시간, 상승시간, 하강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지연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링 오실레이터, 또는 종속접속된 논리게이트를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의 웰 (SOI 디바이스에서는 채널영역이나 백 게이트) 을 각각 전기적으로 분리하고, 그 각각을 가변 바이어스전압 발생회로의 출력에 접속시킴으로써 웰 전위를 변동시킨다. 그럼으로써, 각 MOS 트랜지스터의 임계치가 변동되어, 구동전류능력이 개별적으로 제어되어진다.

Description

발진회로 및 지연회로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회로에 집적화할 수 있으며 발진주파수, 듀티비, 위상을 변경시킬 수 있는 발진회로와, 지연시간, 상승시간, 하강시간을 변경시킬 수 있는 지연회로에 관한 것이다.
발진주파수나 듀티비가 가변인 발진신호를 얻을 수 있는 종래의 발진회로로서, 이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84-86326 호에 제안된 발진회로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2 는 종래 발진회로의 회로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를 참조하면, 링 오실레이터를 구성하는 홀수단의 인버터군 (INT1, INV2, …, INV2K+1(k 는 1 이상의 정수)) 의 전원단자에 접속되며, 소스가 전원에 접속된 제어용 Pch MOS 트랜지스터군 (TP1, TP2,…, TP2K+1) 의 드레인이 각각 접속되고, 상기 인버터군의 접속단자에 소스가 각각 접지되어진 제어용 Nch MOS 트랜지스터군 (TN1, TN2,…, TN2K+1) 의 드레인이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게이트전위 제어부 (2) 는 원하는 발진주파수, 듀티비에 대응한 게이트전위 제어신호 (GP1, GP2,…, GP2K+1, GN1, GN2,…, GN2K+1) 를 출력하고, 이들 신호는 각각 제어용 MOS 트랜지스터 (TP1, TP2,…, TP2K+1, TN1, TN2,…, TN2K+1) 의 게이트 전극으로 인가된다.
계속해서, 상술한 종래 발진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 에 있어서, 제어용 Pch MOS 트랜지스터 (TP1) 의 온 (ON) 저항 (RON) 은 트랜지스터 (TP1) 가 비포화영역에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하기 식 (1) 로 주어진다.
단, β는 능력계수, VGS는 게이트·소스간 전압, VDS는 소스·드레인간 전압, Vth는 임계치 전압이다.
이는 인버터 (INV1) 의 전류단자와 전원 사이에 저항 (RON) 이 부가된 것으로, 인버터 (INV1) 의 전류구동능력이 게이트전위 제어부 (2) 의 출력전압 GP1에 의하여 등가적으로 제어된다. 다른 제어 트랜지스터군에 대해서도 동일한 원리로서, 게이트전위 제어부 (2) 의 출력전압에 따라서 링 오실레이터를 구성하는 각단의 논리게이트의 전류구동능력을 제어할 수 있고, 발진주파수와 듀티비를 가변으로 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진주파수를 높게 할 때에는 각단의 논리게이트의 전류구동능력을 높이면 되므로, 게이트전위 제어부 (2) 의 출력 중에서 GP1, GP2,…, GP2K+1의 전위를 낮게 하고, GN1, GN2,…, GN2K+1의 전위를 높게 한다.
또한, 듀티비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홀수단째 논리게이트의 출력이 하강하는 속도와 짝수단째 논리게이트의 출력이 상승하는 속도가 늦어짐과 동시에, 또한 홀수단째 논리게이트의 출력이 상승하는 속도와 짝수단째 논리게이트의 출력이 하강하는 속도가 빨라지면 된다. 따라서, 게이트전위 제어부 (2) 의 출력 중 홀수단째 논리게이트로 입력되는 GP1, GN1, GP3, GN3, …, GP2K+1, GN2K+1의 전위를 낮게 하고, 짝수단째 논리게이트로 입력되는 GP2, GN2, GP4, GN4, …, GP2K, GN2K의 전위를 높게 하면 된다.
이어서, 종래 사용되어 온 지연회로의 예를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낸다.
도 13 에 나타낸 지연회로는 종속(縱續)접속된 j 단의 인버터열 (j 는 2 이상의 짝수) 로 구성되어 있다. 각 인버터는 소스·드레인 방향으로 3 단 직렬로 접속된 Nch MOS 트랜지스터와, 소스·드레인 방향으로 3 단 직렬로 접속된 Pch MOS 트랜지스터로 각각 이루어진다. 각 인버터의 전류구동능력은, 각각이 직렬 트랜지스터의 온저항의 합에 반비례하므로, 트랜지스터를 3 개 직렬로 접속시킴으로써, Nch 트랜지스터 1 개와 Pch 트랜지스터 1 개로 이루어진 인버터에 비해서 전류구동능력이 낮아지게 된다. 게다가, 각 인버터가 구동하는 용량은 다음단의 인버터의 게이트용량이므로, 각 인버터가 6 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는 만큼 다음단의 용량이 증가한다. 또한, 트랜지스터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백 바이어스 효과에서 트랜지스터 (Nan및 TPan(1 ≤ n ≤ j)) 의 임계치가 각각 TNcn및 TPcn보다도 높아진다. 이상의 세가지 효과에 의해, 비교적 큰 지연을 얻을 수가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14 에 나타낸 제 2 종래 지연회로도, 종속접속된 j 단의 인버터열 (j 는 2 이상의 짝수) 로 구성되어 있다. 단, 홀수단의 인버터는 소스·드레인 방향에 3 단 직렬로 접속된 Nch MOS 트랜지스터 (예를들면, TNa1, TNb1, TNc1) 와 1 개의 Pch MOS 트랜지스터 (TPa1) 로 이루어지고, 짝수단의 인버터는 1 개의 Nch MOS 트랜지스터 (예를들면, TNa2) 와 소스·드레인 방향에 3 단 직렬로 접속된 Pch MOS 트랜지스터 (예를들면, TPa2, TPb2, TPc2) 로 이루어진다. 예외로, 최종단의 인버터는 파형을 조정하기 위해 간단한 인버터 (TPaj, TNaj) 가 사용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홀수단 인버터의 출력하강은 늦어지고 출력상승은 빨라지며, 짝수단 인버터의 출력상승은 늦어지고 출력하강은 빨라진다. 따라서, 도 14 의 IN 단자에 상승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OUT 단자에 상승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큰 지연시간이 더해지고, IN 단자에 하강신호가 입력되었을 때는 신속하게 OUT 단자에 하강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나, 도 12 에 나타낸 종래 발진회로의 구성은, 간단한 인버터로 링 오실레이터를 형성한 경우보다도,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온저항 만큼 전류구동능력이 감소한다. 이 발진회로에 있어서, 발진주파수와 듀티비의 변동폭은 링 오실레이터를 형성하는 각 논리게이트의 최대 전류구동능력에 따라서 제한되므로, 제어용 MOS 트랜지스터와 인버터의 게이트폭을 크게 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특히 동작주파수가 큰 경우에는, 게이트폭을 크게, 즉 진동회로의 면적을 크게 하여야만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지연회로도 많은 트랜지스터를 직렬로 접속하여 인버터를 구성하고 각 인버터를 다단 종속접속하므로, 면적이 커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지연회로에서는, 회로설계시에 일단 지연시간을 설정하면, 그 후의 제조편차와 동작시의 전원전압변동이나 온도변화에 따라서 지연시간이 변동되므로, 동작시에 지연시간을 보정하기 위한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면적으로 발진주파수, 듀티비, 위상을 제어할 수 있는 발진회로와, 소면적으로 지연시간, 상승시간, 하강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지연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진회로는, 링 오실레이터를 구성하는 각 트랜지스터의 백 바이어스로 조절함으로써, 발진회로수, 듀티비, 위상을 제어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발명의 발진회로는, MOS 집적회로에 있어서, 링 오실레이터를 구성하는 각 MOS 트랜지스터의 웰 중에서 동일한 도전형 웰이 2 개 이상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동일 도전형 웰 중에서 1 개이상이 가변 바이어스 전압발생회로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발명 발진회로는, SOI 형 MOS 집적회로에 있어서, 링 오실레이터를 구성하는 각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 중에서 1 개 이상이 가변 바이어스 전압발생회로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 발명의 발진회로는, SOI 형 MOS 집적회로에 있어서, 링 오실레이터를 구성하는 각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 중의 1 개 이상에 대하여 하부전극이 매설 절연막을 통해 기판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전극이 가변 바이어스 전압발생회로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제 4 발명의 지연회로는, MOS 집적회로에 있어서, 반전회로가 복수단 종속접속된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반전회로를 형성하는 각 MOS 트랜지스터의 웰 중에서 동일한 도전형 웰이 2 개 이상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동일 도전형 웰 중의 1개이상이 가변 바이어스 발생회로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 발명의 지연회로는, SOI 형 MOS 집적회로에 있어서, 반전회로가 복수단 종속접속된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반전회로를 형성하는 각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 중의 1개이상이 가변 바이어스 전압발생회로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 6 발명의 지연회로는, SOI 형 MOS 집적회로에 있어서, 반전회로가 복수단 종속접속된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반전회로를 형성하는 각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 중의 1개이상에 대하여 하부전극이 매설 절연막을 통하여 기판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전극이 가변 바이어스 전압발생회로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발진회로의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발진회로의 실시예 1 의 요부 레이아웃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발진회로의 실시예 1 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도 3a 는 도 2 의 Y-Y' 선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 3b 는 도 2 의 X-X' 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발진회로의 실시예에서, 발진주파수를 높게 했을 때의 파형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발진회로의 실시예에서, 듀티비를 크게 했을 때의 파형도.
도 6 은 발진회로의 실시예에서, 위상을 진행했을 때의 파형도.
도 7 은 본 발명의 발진회로의 실시예 2 의 요부 레이아웃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발진회로의 실시예 2 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도 8a 는 도 7 의 Y-Y' 선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 8b 는 도 7 의 X-X' 선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발진회로의 실시예 3 의 요부 레이아웃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발진회로의 실시예 3 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도 10a 는 도 9 의 Y-Y' 선을 따라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 10b 는 도 9 의 X-X' 선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지연회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는 종래 발진회로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은 종래 지연회로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는 종래 지연회로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게이트전위 제어부 2 : 백 바이어스 제어부
3 : P 형 반도체기판 4 : 절연막
5 : 깊은 N 웰 6 : 반도체기판
11, 12 : 게이트전극 21, 22 : P 형 확산층
31, 32 : N 형 확산층 41, 42 : N 웰
51, 52 : P 웰 61, 62, 71, 72 : SOI 층
81, 82, 91, 92 : 백 게이트 101, 102 : 배선
QP1, QP2, …, QP2k+1: P 형 MOS 트랜지스터
QN1, QN2, …, QN2k+1: N 형 MOS 트랜지스터
TP1, TP2, …, TP2k+1: P 형 MOS 트랜지스터
TN1, TN2, …, TN2k+1: N 형 MOS 트랜지스터
OUT : 출력단자
BP1, BP2, …, BP2k+1: Pch MOS 백 바이어스 제어단자
BN1, BN2, …, BN2k+1: Nch MOS 백 바이어스 제어단자
GP1, GP2, …, GP2k+1: Pch MO 게이트전위 제어단자
GN1, GN2, …, GN2k+1: Nch MO 게이트전위 제어단자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진회로는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 오실레이터를 구성하는 각 트랜지스터의 백 바이어스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발진주파수, 듀티비, 위상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벌크 CMOS 에서는 웰을 각 트랜지스터마다 전기적으로 분리하고 (도 2 및 도 3 의 41, 42, 51, 52), 각 웰에 개별적으로 제어전압을 부여할 수 있는 수단 (도 1 의 백 바이어스 제어부 (1)) 을 가진다.
또한, 부분 공핍화형 SOI 에서는 웰 대신에 각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 (도 7, 도 8 의 61, 62, 71, 72) 에 대하여 제어전압을 부여한다.
또한, 부분 공핍화형 (空乏化形) SOI 에서는 웰 대신에 각 트랜지스터의 백 게이트 (도 9, 도 10 의 81, 82, 91, 92) 에 대하여 제어전압을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연회로는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짝수단 종속접속된 인버터열을 구성하는 각 트랜지스터의 백 바이어스를 조절함으로써, 지연시간, 상승시간, 하강시간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벌크 MOS 에서는 웰을 각 트랜지스터마다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각 웰에 개별적으로 제어전압을 부여할 수 있는 수단 (도 11 의 백 바이어스 제어부 (1)) 을 가진다.
또한, 부분 공핍화형 SOI 에서는 웰 대신에 각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에 대하여 제어전압을 부여한다.
또한, 완전 공핍화형 SOI 에서는 웰 대신에 각 트랜지스터의 백 게이트에 대하여 제어전압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발진회로는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백 바이어스 제어부 (도 1 의 1) 를 사용하여 링 오실레이터를 구성하는 각 Pch 트랜지스터의 N 웰의 전위를 낮게 설정하고, 각 Nch 트랜지스터의 P 웰의 전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각 트랜지스터의 임계치 (Vth) 가 감소하고 링 오실레이터 각단의 전류구동능력이 높아지므로, 발진주파수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도 4 참조).
반대로, 발진주파수를 낮게 할 때에는 N 웰의 전위를 높게 하고, P 웰의 전위를 낮게 하면 된다.
또한, 백 바이어스 제어부 (도 1 의 1) 를 사용하여 링 오실레이터의 홀수단째의 논리 게이트의 웰 전위를 낮게 하고, 짝수단째의 논리 게이트의 웰 전위를 높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출력신호의 상승이 빠르고 하강이 늦어지므로, 듀티비를 크게 할 수가 있다 (도 5 참조).
반대로, 듀티비를 작게 할 때에는 홀수단째의 논리 게이트의 웰 전위를 높게 하고, 짝수단째의 논리 게이트의 웰 전위를 낮게 하면 된다.
또한, 백 바이어스 제어부 (도 1 의 1) 를 사용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발진주파수를 변화시킬 수가 있다. 예컨데, 주기보다 짧은 시간만큼 일시적으로 발진주파수를 높게 하여 다시 본래의 주파수로 복귀시킴으로써, 출력신호의 위상을 진행시킬 수 있다 (도 6 참조).
반대로, 위상을 늦출 때에는 일시적으로 발진주파수를 작게 하여 다시 본래의 주파수로 복귀시키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연회로는 그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백 바이어스 제어부를 사용하여 다단 종속접속된 인버터열을 구성하는 각 Nch 트랜지스터의 P 웰 전위를 낮게 하고, 각 Pch 트랜지스터의 N 웰 전위를 높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트랜지스터의 임계치 (Vth) 가 상승하고, 각 인버터 전류구동능력이 작게되므로, 지연시간을 크게 할 수 있다. 지연시간을 작게 할 때에는 P 웰 전위를 높게 하고, N 웰 전위를 낮게 하면 된다.
또, 백 바이어스 제어부를 이용하여 인버터열의 홀수단째 논리 게이트 웰 전위를 낮게 하고, 짝수단째 논리 게이트 웰의 전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함으로써, 상승신호가 입력될 때는 지연 시간을 크게 하고, 하강신호가 입력될 때는 지연 시간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반대로, 상승신호가 입력될 때에는 지연 시간을 크게 하고, 하강신호가 입력될 때에 지연 시간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홀수단째 논리 게이트 웰 전위를 높게 하고, 홀수단째 논리 게이트의 웰 전위를 낮게 하면 된다.
이하, 이상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발진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MOS 트랜지스터 (QP1와 QN1, QP2와 QN2,…… QP2k+1과 QN2k+1, k 는 1 이상의 정수) 는 각각 인버터를 형성하고 있어, 최종단 인버터의 출력 (OUT) 은 초기단 인버터의 입력으로 귀환되어 있으며, 이들 인버터군에 의해 링 오실레이터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P 채널 MOS 트랜지스터는 QP1, N 채널 MOS 트랜지스터는 QN1으로 나타낸다.
백 바이어스 제어부 (1) 는 여러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회로로서, 백 바이어스 제어단자 (BP1, BN1, BP2, BN2,… BP2k+1, BN2k+1, k 는 1 이상의 정수)) 에 백 바이어스 제어전압을 개별적으로 공급한다. 백 바이어스 제어전압은, 예를 들면 충전펌프 (charging pump) 회로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것으로 한다.
인버터군을 구성하는 각 트랜지스터 (QP1, QN1, QP2, QN2,… QP2k+1, QN2k+1) 의 각 웰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각각이 대응하는 백 바이어스 제어단자 (BP1, BN1, BP2, BN2,… BP2k+1, BN2k+1) 에 접속되어 있다.
도 2 는 도 1 의 링 오실레이터의 일부, 트랜지스터 (QP1, QN1, QP2, QN2) 의 레이아웃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의 Y-Y'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 3a 에, X-X'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 3b 에 각각 나타낸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P 형의 반도체 기판 (3) 상부에 N 웰 (41, 42) 과 깊은 N 웰 (5) 이 형성되어 있고, 서로 기판 (3) 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깊은 N 웰 (5) 상부에는 P 웰 (51, 52) 이 형성되어 있고, 서로 깊은 N 웰 (5) 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N 웰 (41) 의 표면에는 한 쌍의 p 형 확산층 쌍 (21), N 웰 (42) 의 표면에는 한 쌍의 P 형 확산층 쌍 (22), P 웰 (51) 의 표면에는 한 쌍의 N 형 확산층 쌍 (31), P 웰 (52) 의 표면에는 한 쌍의 N 형 확산층 쌍 (32) 이 형성되어 있고, 웰의 더욱 상부에는 절연막 (4) 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 (4) 중에는 게이트 전극 (11, 12) 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전극 (11) 은 P 형 확산층 쌍 (21) 과 N 형 확산층 쌍 (31) 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게이트 전극 (12) 은 P 형 확산층 쌍 (22) 과 N 형 확산층 쌍 (32)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백 바이어스 제어단자 (BP1, BN1, BP2, BN2) 는 각각 N 웰 (41), P 웰 (51), N 웰 (42) 및 P 웰 (52) 에 접속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발진회로 동작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웰의 전위를 변동시키면, 그 웰 내의 MOS 트랜지스터의 임계치 (Vth) 가 변동한다 (「기판 바이어스 효과」라고도 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발진회로의 링 오실레이터에서는 각 트랜지스터마다 웰을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제어부 (1) 로부터 각 웰에 개별적으로 백 바이어스 제어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각 트랜지스터마다 임계치 (Vth) 의 제어가 가능하다.
또, 링 오실레이터를 형성하는 각 논리 게이트의 전류 구동 능력은 트랜지스터 포화영역의 전류 (ION) (다음 식 (2) 참조) 로 정해지므로, 임계치 (Vth) 를 제어함으로써 각 논리 게이트의 전류 구동 능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바이어스 제어부 (1) 의 출력 중에서 BP1, BP2,… BP2k+1의 전위를 낮게 하고, BN1, BN2,… BN2k+1의 전위를 높게 한다. 이때, 각 단 인버터의 전류 구동능력이 높아지므로, 발진주파수를 높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도 5 및 도 6 에는 백 바이어스 제어부 (1) 의 출력 (BP1, BN1) 및 발진회로의 출력 (OUT) 의 타이밍 파형이 나타나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바이어스 제어부 (1) 의 출력 중에서 홀수단 째의 인버터 웰에 입력되는 BP1, BN1, BP3, BN3,… BP2k+1, BN2k+1의 전위를 낮게 하고, 짝수단 째의 인버터 웰에 입력되는 BP2, BN2, BP4, BN4,… BP2k, BN2k의 전위를 높게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출력이 상승할 때까지의 지연 시간이 작고, 출력이 하강할 때까지의 지연시간이 커지므로, 출력 파형의 듀티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기보다 짧은 시간만큼 BP1, BP2,… BP2k+1의 전위를 낮게 하고, BN1, BN2,… BN2k+1의 전위를 높게 하여, 바로 본래의 전위로 복귀시킨다. 이때, 단시간만 발진주파수가 높아져 바로 본래의 발진주파수로 복귀하므로, 출력 (OUT) 위상을 진행시킬 수가 있다.
또한,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층과 웰, P 웰과 깊은 N 웰, N 웰과 P 형 반도체 기판은 P-N 접합으로 접하고 있으므로, P 형 반도체측 전위는 인접하는 N 형 반도체측 전위보다 확산전위 (Vf) 이상 높아서는 안된다.
예컨데, 도 3 에서 P 형 기판 (3) 의 전위를 전원전위 (Vdd) 이하로 하면, N 웰 (41, 42) 의 전위는 Vdd-Vf보다 높아야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백 바이어스 전위의 제어범위가 어느 정도 한정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링 오실레이터를 구성하는 각 트랜지스터의 웰은 모두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일부 웰만 전기적으로 분리해도 된다. 또한, 본 설명에서 기판 (3) 은 P 형 반도체로 하였지만, N 형 반도체 기판상에 깊은 P 웰과 P 웰, 깊은 P 웰상에 N 웰을 형성해도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어서, 본 발명 (청구항 2) 의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를 부분 공핍화형 SOI (Silicon On Insulator) 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은 도 1 의 링 오실레이터의 일부, 트랜지스터 (QP1, QN1, QP2, QN2) 의 레이아웃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7 의 Y-Y'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를 도 8a 에, X-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를 도 8b 에 각각 나타낸다.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 P 형 또는 N 형의 반도체 기판 (6) 의 상부에 절연막 (4)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 N 형 SOI 층 (61, 62) 과 P 형 SOI 층 (71, 72) 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SOI 층은 상호 절연막 (4) 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N 형 SOI 층 (61) 측면에는 한쌍의 P 형 확산층 쌍 (21), N 형 SOI 층 (62) 측면에는 한쌍의 P 형 확산층 쌍 (22), P 형 SOI 층 (71) 측면에는 한쌍의 N 형 확산층 쌍 (32), P 형 SIO 층 (72) 측면에는 한쌍의 N 형 확산층 쌍 (32) 이 형성되어 있고, SOI 층의 더 상부에는 절연막 (4) 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 (4) 중에는 게이트 전극 (11, 12) 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전극 (11) 은 P 형 확산층 (21) 과 N 형 확산층 (31)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게이트 전극 (12) 은 P 형 확산층 (22) 과 N 형 확산층 (32)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백 바이어스 제어단자 (BP1, BN1, BP2, BN2) 는 각각 N 형 SOI 층 (61), P 형 SOI 층 (71), N 형 SOI 층 (62), P 형 SOI 층 (72) 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회로동작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의 웰에 비해, SOI 층은 기생용량이 작아, 발진주파수, 듀티비, 위상을 변화시킬 때의 동작이 고속이 되고, 또 소비전략이 작아진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 SOI 층과 기판 (6) 이 절연막 (4) 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웰에 설정할 수 있는 전위는 기판 (6) 의 전위의 영향을 받지않는다. 이 때문에, 상기 제 1 실시예와 비교해 볼때, 본 실시예에서는 백 바이어스 제어전위의 설정범위의 자유도가 높다.
실시예 3
이어서, 본 발명 (청구항 3) 의 실시예에 대해, 즉 트랜지스터가 완전 공핍형 SOI 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트랜지스터 임계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예컨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95-106579 호의 기재를 참조한다.
도 9 는 도 1 의 링 오실레이터의 일부, 트랜지스터 (QP1, QN1, QP2, QN2) 의 레이아웃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9 의 Y-Y'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를 도 10a 에, X-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를 도 10b 에 각각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면, P 형 또는 N 형 기판 (6) 의 상부에 절연막 (4)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 N 형 SOI 층 (61, 62) 과 P 형 SOI 층 (71, 72) 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SOI 층은 상호 절연막 (4) 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N 형 SOI 층 (61) 의 측면에는 1 쌍의 P 형 확산층 쌍 (21), N 형 SOI 층 (62) 의 측면에는 1 쌍의 P 형 확산층 쌍 (22), P 형 SOI 층 (71) 의 측면에는 1 쌍의 N 형 확산층 쌍 (31), P 형 SOI 층 (72) 의 측면에는 1 쌍의 N 형 확산층 쌍 (32) 이 형성되어 있으며, SOI 층의 더욱 상부에는 절연막 (4) 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 (4) 중에는 게이트 전극 (11, 12) 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전극 (11) 은 P 형 확산층 (21) 과 N 형 확산층 (31) 의 상부에, 게이트 전극 (12) 은 P 형 확산층 (22) 과 N 형 확산층 (32) 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백 바이어스 제어단자 (BP1, BN1, BP2, BN2) 는 각각 기판 (6) 의 표면에 접속되며, 또한 각 SOI 층 하부에 형성된 백 게이트 (81, 82, 91, 92) 에 접속된다. 백 게이트는, 예를 들어 반도체 기판 (6) 과 반대되는 도전형의 반도체로 한다.
본 실시예의 회로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단, 백 게이트의 용량이 웰 용량보다 일반적으로 작으므로, 본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발진 주파수, 듀티비, 위상을 변화시킬 때의 동작이 고속이고 소비전력이 작아지게 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확산층과 백 게이트가 절연막 (4) 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백 게이트에 설정할 수 있는 전위는 확산층 전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서는 백 바이어스 제어전압의 설정범위에 대한 자유도가 높다.
실시예 4
도 11 은 본 발명 (청구항 4) 의 지연회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 을 참조하면, MOS 트랜지스터 QP1과 QN1, QP2와 QN2, …, QPj와 QNj(j 는 2 이상의 짝수) 는 각각 인버터를 형성하고 있고, 이들 인버터군은 출력단자와 입력단자가 연속적으로 종속접속되어 있다. 백 바이어스 제어부 (1) 는 여러가지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회로로서, 백 바이어스 제어단자 BP1, BN1, BP2, BN2, …, BPj와 BNj(j 는 2 이상의 정수) 에 백 바이어스 제어전압을 개별적으로 공급한다. 백 바이어스 제어전압은, 예를 들어 충전펌프 회로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것으로 한다.
인버터군을 구성하는 각 트랜지스터 QP1, QN1, QP2, QN2, …, QPj, QNj의 각 웰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각각이 대응하는 백 바이어스 제어단자 (BP1, BN1, BP2, BN2, …, BPj, BNj) 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1 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지연회로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지연회로에서, 종속접속된 인버터열은, 각 트랜지스터마다 웰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고, 제어부 (1) 에서 각 웰에 개별적으로 백 바이어스 제어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각 트랜지스터에서 마다 임계치 (Vth) 제어가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발진회로의 실시예 동작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계치 (Vth) 를 제어함으로써 각 인버터의 전류구동능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백 바이어스 제어부 (1) 의 출력 중에서 BP1, BP2, …, BPj의 전위를 높게 하고, BN1, BN2, …, BNj의 전위를 낮게 한다. 이때, 각 단의 인버터의 전류구동능력이 작아지므로, 웰 전위에 의하여 지연시간 길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백 바이어스 제어부 (1) 의 출력 중에서 홀수단 째의 인버터 웰에 입력되는 BP1, BN1, BP3, BN3, …, BPj-1, BNj-1의 전위를 낮게 하고, 짝수단 째의 인버터 웰에 입력되는 BP2, BN2, BP4, BN4, …, BPj,BNj의 전위를 높게 한다. 이렇게 하면, 상승신호를 입력했을 때의 지연시간은 커지고, 하강신호를 입력했을 때의 지연시간은 작아진다. 반대로, 홀수단 째의 인버터의 웰 전위를 높게 하고 짝수단 째의 인버터 웰의 전위를 낮게 하면, 하강신호를 입력했을 때의 지연시간은 커지고 상승신호를 입력했을 때의 지연시간은 작아진다. 이로써, 입력신호의 이동방향에 의하여 지연시간을 매우 다르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발진회로와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참조), 본 실시예의 지연회로에 대해서도, 부분 공핍화형 SOI 디바이스 또는 완전 공핍화형 SOI 디바이스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부분 공핍화형 (SOI) 디바이스의 경우에는 웰 대신에 각 트랜지스터의 채널영역에 대하여 재어전압을 부여하고, 또 완전 공핍화형 (SOI) 디바이스에서는 윌 대신에 백 게이트에 대하여 제어전압을 부여함으로써, 지연시간, 상승/하강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첫번째 효과는, 발진회로의 면적을 감축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전술한 종래 발진회로에서의 트랜지스터 (TP1, TN1) (도 12 참조) 와 같은, 특히 게이트폭이 큰 제어용 MOS 트랜지스터가 본 발명에서는 불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효과는, 발진주파수가 매우 높은 발진회로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인버터만으로 링 오실레이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각 트랜지스터의 임계치를 알맞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세번째 효과는, 지연회로의 면적이 감축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서는 Nch 트랜지스터와 Pch 트랜지스터를 각각 1 개씩만 사용하여, 지연회로를 구성하는 각 인버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네번째 효과는, 지연회로의 지연시간, 상승시간, 하강시간을 전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즉, 동작시에 지연시간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서는 지연시간이 백 바이어스 제어부의 출력전위로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었기 때문이다.

Claims (11)

  1. MOS 집적회로에 있어서,
    링 오실레이터를 구성하는 각 MOS 트랜지스터의 웰 중에서 동일한 도전형 웰이 2 개 이상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동일 도전형 웰 중에서 1 개 이상이 가변 바이어스 전압발생회로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회로.
  2. SOI 형 MOS 집적회로에 있어서,
    링 오실레이터를 구성하는 각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 중에서 1개 이상이 가변 바이어스 전압발생회로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회로.
  3. SOI 형 MOS 집적회로에 있어서,
    링 오실레이터를 구성하는 각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 중의 1개이상에 대하여 하부전극이 매설 절연막을 통하여 기판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전극이 가변 바이어스 전압발생회로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회로.
  4. MOS 집적회로에 있어서,
    반전회로가 복수단 종속접속된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반전회로를 형성하는 각 MOS 트랜지스터의 웰 중에서 동일 도전형 웰이 2 개 이상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동일 도전형 웰 중에서 1개 이상이 가변 바이어스 발생회로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회로.
  5. SOI 형 MOS 집적회로에 있어서,
    반전회로가 복수단 종속접속된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반전회로를 형성하는 각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 중에서 1개 이상이 가변 바이어스 전압발생회로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회로.
  6. SOI 형 MOS 집적회로에 있어서,
    반전회로가 복수단 종속접속된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반전회로를 형성하는 각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 중에서 1개이상에 대하여 하부전극이 매설 절연막을 통하여 기판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전극이 가변 바이어스 전압발생회로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회로.
  7. 복수단 종속접속된 논리 게이트를 포함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논리 게이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MOS 트랜지스터의 웰을 2 개 이상으로 전기적으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MOS 트랜지스터의 웰 바이어스를 가변으로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MOS 트랜지스터의 임계치를 개별적으로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각단의 논리 게이트의 전류구동능력을 가변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단 종속접속된 논리 게이트로서, 인버터 게이트를 홀수단 종속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링 오실레이터, 및/또는 인버터 게이터를 짝수단 종속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지연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웰 대신에 상기 논리 게이트를 구성하는 SOI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 또는 백 게이트의 바이어스를 가변으로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0. 링 오실레이터를 구성하는 홀수단의 인버터열에서 각트랜지스터의 백 바이어스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 듀티비, 위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1. 짝수단 종속접속된 인버터열을 구성하는 각 트랜지스터의 백 바이어스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지연회로의 지연시간, 상승시간, 하강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1019980004349A 1997-02-14 1998-02-13 발진회로 및 지연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267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47191 1997-02-14
JP9047191A JP2917957B2 (ja) 1997-02-14 1997-02-14 発振回路および遅延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343A KR19980071343A (ko) 1998-10-26
KR100267137B1 true KR100267137B1 (ko) 2000-10-16

Family

ID=1276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3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67137B1 (ko) 1997-02-14 1998-02-13 발진회로 및 지연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12591A (ko)
JP (1) JP2917957B2 (ko)
KR (1) KR100267137B1 (ko)
CN (1) CN111499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4950B1 (en) * 1997-08-28 2001-02-27 Lucent Technologies Inc. High-speed CMOS multiplexer
US6111455A (en) * 1998-12-30 2000-08-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delays in silicon on insulator circuits
JP2001274265A (ja) * 2000-03-28 2001-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2002124858A (ja) 2000-08-10 2002-04-26 Nec Corp 遅延回路および方法
JP4794067B2 (ja) * 2001-05-24 2011-10-1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内部クロック発生回路
TW589744B (en) * 2003-03-07 2004-06-0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Thin film transistor device with body contact
JP4413516B2 (ja) * 2003-03-31 2010-02-10 シャープ株式会社 信号タイミング調整システムおよび信号タイミング調整量設定プログラム
EP1617477A4 (en) * 2003-03-31 2008-12-10 Juridical Foundation Osaka Ind LATERAL INTEGRATED BIPOLAR CMOS CIRCUIT
US6831494B1 (en) * 2003-05-16 2004-12-14 Transmeta Corporation Voltage compensated integrated circuits
US7002420B2 (en) * 2004-01-22 2006-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leaved VCO with body voltage frequency range control
JP4722654B2 (ja) 2004-12-20 2011-07-1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オシレ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チャージポンプ回路
CN1300940C (zh) * 2005-03-25 2007-02-14 苏州市华芯微电子有限公司 高精度频率可选rc振荡器
US20070040621A1 (en) * 2005-08-16 2007-02-22 Ngo Hung C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ing dual gated asymmetrical FET devices
CN101243610B (zh) * 2005-08-24 2010-06-23 Nxp股份有限公司 尤其适于集成开关模式电源的具有高频率稳定性的集成rc振荡器
US7279997B2 (en) * 2005-10-14 2007-10-0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ith a multiple gate transistor and method therefor
US7256657B2 (en) * 2005-10-14 2007-08-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having digitally controlled phase adjustment and method therefor
JP4921329B2 (ja) 2007-11-28 2012-04-25 株式会社デンソー A/d変換回路
JP5573048B2 (ja) 2009-08-25 2014-08-20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US8866510B2 (en) * 2012-05-02 2014-10-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9484894B2 (en) 2012-07-09 2016-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adjusting duty cycle tuner
FR3009149A1 (fr) * 2013-07-24 2015-01-30 St Microelectronics Sa Element a retard variable
TWI544728B (zh) 2014-06-06 2016-08-01 聯詠科技股份有限公司 電壓產生電路及預驅動訊號產生模組
JP6872837B2 (ja) * 2017-06-02 2021-05-19 ユナイテッド・セミコンダクター・ジャパン株式会社 発振回路及び電圧制御装置
JP6539381B2 (ja) * 2018-05-14 2019-07-0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ウェラブル装置
US10903823B2 (en) * 2018-09-29 2021-01-26 Qualcomm Incorporated Oscillation signal production
KR102136991B1 (ko) * 2019-04-19 2020-07-23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이식형 디바이스를 위한 cmos 링 오실레이터
FR3104344B1 (fr) * 2019-12-06 2021-12-2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ircuit électronique de diviseur de tension en technologie FDSOI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6326A (ja) * 1982-11-09 1984-05-18 Seiko Epson Corp 発振回路
JPH05167073A (ja) * 1991-12-17 1993-07-02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06579A (ja) * 1993-10-08 1995-04-21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0825A (zh) 1998-08-19
KR19980071343A (ko) 1998-10-26
JPH10229166A (ja) 1998-08-25
JP2917957B2 (ja) 1999-07-12
US5912591A (en) 1999-06-15
CN1114991C (zh)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7137B1 (ko) 발진회로 및 지연회로
KR100229850B1 (ko) 출력신호 노이즈가 저감된 신호출력회로
KR100337999B1 (ko) 기준전압을사용한음전압의발생회로
US7598541B2 (en)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ransistor pair isolated by trench isolation
KR100202635B1 (ko) 리서프 이디모스 트랜지스터와 이를 이용한 고전압 아날로그의 멀티플렉서회로
KR100243850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집적 회로의 고전압 스위칭용고전압 레벨 시프터
KR890003147B1 (ko) 게이트 에레이
KR100764298B1 (ko) 반도체 장치
JPH11177398A (ja) 遅延回路
CN105322923B (zh) 延迟线电路及半导体集成电路
US4635088A (en) High speed-low power consuming IGFET integrated circuit
EP0327608A1 (en) COMPLEMENTARY MOS CIRCUIT WITH INPUT THRESHOLD.
KR19990014027A (ko) 중간전위생성회로
EP3477686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0233625B1 (ko) 게이트 절연 박막을 가진 c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고전압 레벨 시프트 회로
KR100331417B1 (ko) 액정 표시 장치
EP0529328A2 (en) Pulse generator circuit for producing simultaneous complementary output pulses
US6867629B2 (en)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adjusting capacitance of a node of an integrated circuit
JP3540401B2 (ja) レベルシフト回路
JPS63292647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6191461B1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output circuit improved in electrostatic damage resistance
EP0114382A2 (en) MOS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FET and a metal wiring layer
JP3119177B2 (ja) 半導体装置
WO1998054762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S59127424A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2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