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64099B1 - 전자메모리카드접속용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자메모리카드접속용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099B1
KR100264099B1 KR1019980702804A KR19980702804A KR100264099B1 KR 100264099 B1 KR100264099 B1 KR 100264099B1 KR 1019980702804 A KR1019980702804 A KR 1019980702804A KR 19980702804 A KR19980702804 A KR 19980702804A KR 100264099 B1 KR100264099 B1 KR 100264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lade
support
branch line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리꼬 에르베
쥐레 베르나르
Original Assignee
쟈크 빠스칼
이떼떼 꽁뽀쟝 에 엥스뜨뤼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9315633A external-priority patent/FR2714539B1/fr
Application filed by 쟈크 빠스칼, 이떼떼 꽁뽀쟝 에 엥스뜨뤼망 filed Critical 쟈크 빠스칼
Priority to KR101998070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09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 재료로 주조되며 평면(20)을 갖는 지지대(12)와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한 블레이드(16) 형태의 다수의 도전체(16)를 포함하는 전자 메모리 카드 접속용 전기 커넥터(10)를 제공하는데, 각 접촉 블레이드(16)는 카드상의 패드에 접촉시키는 제1의 만곡된 단부(30)와, 블레이드(16)를 지지대(12)에 접속시키는 중앙부(38)와, 블레이드를 접속시키는 제2 단부(34)를 포함한다. 전자 메모리 접속용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각 블레이드(16)의 상기 중앙 접속부(38)는 지지대(12)의 대응 슬롯(64)에 수용되는 작살 모양의 측면 고리발(62)로 구성되어 블레이드(16)를 지지대 (12)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메모리 카드 접속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CONNECTING AN ELECTRONIC MEMORY CARD}
본 발명은 주표면상에 판독/기록 장치로의 카드의 삽입 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된 복수개의 전기 접촉 패드를 포함하는 전자 메모리 카드 접속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말해서, 본 발명은 절연 재료로 제조되며 전자 메모리 카드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평면을 갖는 지지대와, 카드의 삽입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블레이드 형태의 다수의 도전체(이하,, 접촉 블레이드라 한다)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각 접촉 블레이드는 카드상의 패드를 접촉시키며 지지대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만곡된 제1 단부와, 블레이드를 지지대에 접속시키는 중앙부와, 블레이드를 판독/기록 장치의 처리 회로에 접속시키는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삽입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예컨대, FR-A-2,638,293에 개시된 공지된 설계안에 따르면, 각 접촉 블레이드는 지지대의 절연 재료의 한 단부에 삽입되는 빔의 형태이며 만곡된 자유 접촉 단부에서 종단되기 위해 이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설계안은 카드상의 대응하는 패드와 접촉하기 위한 한정된 힘을 제공하는 충분한 탄성을 갖는데 필요한 각 접촉 블레이드의 길이로 인하여 부피가 커지는 단점을 갖는다.
EP-A-0,520,080(MOLEX)에는 각 블레이드의 중앙부가 지지대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머리핀 형태로 폴딩된 부분이고, 자유 단부가 블레이드의 접속 단부에 의해 연장되며 블레이드를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1 지선과, 자유 단부가 블레이드의 만곡된 접촉 단부에 의해 연장된 제2 지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선은 U자 형태의 중앙 폴드부에 의해 서로 접속된 형태의 커넥터가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블레이드의 만곡의 크기가 증가되는 상술한 형태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표면 상에 정렬된 복수 개의 전기 접촉 패드를 포함하는 전자 메모리 카드 접속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지지대, 접촉 블레이드, 제1 지선 및 제2 지선을 포함하는데, 상기 지지대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전자 메모리 카드와 평행한 평면과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블레이드 형태의 다수의 도전체(접촉 블레이드)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접촉 블레이드는 상기 카드 상의 다수의 패드중 하나와 접촉하며 상기 지지대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만곡된 제1 단부, 상기 접촉 블레이드를 상기 지지대에 접속시키는 중앙 접속부, 및 상기 접촉 블레이드를 판독/기록 장치의 처리 회로에 접속시키는 제2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접촉 블레이드의 중앙 접속부는 머리핀 형태로 폴딩된 부분이고, 상기 제1 지선의 자유 단부는 상기 지지대의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접촉 블레이드의 접속 단부에 의해 연장되고, 상기 제2 지선의 자유 단부는 상기 접촉 블레이드의 만곡된 접촉 단부에 의해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선은 U자 형태의 중앙 폴드부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접촉 단부는 상기 지지대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돌출부(nose)에 의해 연장되고, 상기 접촉 블레이드의 만곡 정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삽입부에 홀이 구비되며, 이 홀은 상기 블레이드가 굴곡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의 자유 단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 돌출부는 커넥터의 정지 표면에 영향이 미치도록 탄성적으로 힘이 가해지고,
- 제1 지선은 지지대의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굽혀지도록 지지대의 평면을 향하게 형성된 하우징과 대향하여 연장되며,
- 각 블레이드의 만곡된 접촉 단부는 블레이드의 중앙 접속부에 있는 제1 지선의 삽입된 자유 단부와 동일선 상으로 연장되고,
- 각 접촉 블레이드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절단 및 폴딩된 금속 스트립(strip)의 형태로 형성되고, 각 접촉 스트립은 특히 압축에 의해 제조되는 감소된 두께를 갖는 중간부를 포함하며, 이 중간부는 상기 접촉 블레이드의 접촉 단부와 접속 단부의 사이로 연장되며,
- 두께가 감소된 부분은 제1 지선의 자유 단부와 제2 지선의 자유 단부의 사이로 연장되고,
- 만곡된 접촉 단부는 중앙 접속부의 제1 지선 및 제2 지선을 접속시키는 중앙 폴드부와 접속 단부의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은 이후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상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에 대해 도 4의 라인 3-3을 따라 절단하여 부분적으로는 횡단면으로 나타내고 더 큰 비율로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상부로부터 커넥터의 덮개를 절반 절단하여 나타낸 상면도.
도 5는 도 4의 라인 5-5를 따라 절단한 반단면도.
도 6은 도 1의 우측 상부와 유사학, 본 발명에 따른 머리핀 모양의 접촉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형태의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커넥터(10)는 절연 재료로 제조된 케이스 또는 지지대(12)와, 주조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덮개(14)와, 일련의 도전체(16)로 구성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또는 지지대(12)는 평면(20)을 한정하는 수평판(18)과, 직사각형인 측벽(22)으로 구성되는 것이 필수적인다.
직사각형의 상부 표면(20)은 수평판(18)의 상부 표면의 공동처럼 형성된 일련의 하우징(24)을 포함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수직 중앙면 P에 대해 대칭인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지지대(12)는 쌍으로 정렬된 일련의 4개의 하우징(24)을 포함한다.
각 하우징(24)은 케이스(12)의 편평한 상부 표면(20)과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하는 하우징의 바닥부(28)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평행한 단부 즉 표면(26)을 갖는 노치(notch)의 형태이다.
각 하우징(24)은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한 전도 재료로 제조된 도전체(16)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각 구성 요소(16)는 절단되어 폴딩된 접촉 블레이드의 형태로 제조된다.
각 접촉 블레이드(16)는 대응 하우징(24)의 평행한 표면(26)과 평행하며 지지대(12)의 표면(20)과 직교하는 수직면에 포함된 일반적인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접촉 블레이드(16)는 하우징(24)과 평행한 방향 I 로 본 발명에 따라 커넥터(10)가 설치된 판독/기록 장치로의 삽입이 가능한 전자 메모리 카드상의 대응 패드와 상호 작용하도록 제공된 제1의 볼록하게 만곡된 단부(30)를 포함한다.
각 블레이드(16)의 만곡된 접촉 단부(30)는 실질적으로 평면(20)과 평행하며 돌출부(nose)(32)에 의해 연장되며, 그 기능은 차후에 설명된다.
또한 각 접촉 블레이드(16)는 예컨대 표면 장착 소자 기술에 따라 각 블레이드(16)를 인쇄 회로 기판상의 트랙에 접속시키면서 수직적으로, 즉 지지대(12)의 측벽(22)을 따라서 상부 표면(2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직각에서 다시 구부려지는 리드선(36)에서 종단하는 접속 단부(34)를 포함한다.
만곡된 접촉 단부(30)와 접속 단부(34)는 머리핀 모양의 중앙 접속부(38)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각 블레이드(16)의 중앙 접속부(38)는 지지대(12)의 평면(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선(40)과 이 제1 지선(40)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는 제2 지선(42)을 포함하며, 이들 지선은 U자형 중앙 폴드부(44)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이 중앙 폴드부(44)는 커넥터의 중앙을 향하여 구부려지는데, 즉 칩 카드가 판독/기록 위치에 있을 경우에 칩 카드상의 칩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기하학적 배치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매우 소형화되어 커넥터가 장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상의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게 된다.
사실상, 블레이드(16)의 세로 방향과 평행하게 측정되는 커넥터의 길이는 가능한 짧게된다.
제1 지선(40)의 자유 단부(46)는 블레이드(16)의 접속 단부(34)에 의해 연장되는 반면에, 중앙 접속부(38)의 제2 지선(42)의 자유 단부(42)는 만곡된 접촉 단부(30)에 의해 연장된다.
각 블레이드(16)의 제1 지선(40)의 자유 단부(46)는 중앙 접속부(38)와 특히 제1 지선(40)이 지지대(12)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 D로 탄력적으로 굽혀질 수 있도록 삽입된다.
이를 위해, 자유 단부(46)는 지지대(20)의 평면(20)과 평행하나 상부 표면(20)에 대해 수직적으로 하부를 향하여 오프셋되는 평면부(48)와, 지지대(12)의 편평한 상부 표면(20)에 대해 압력을 견디는 덮개(14)의 내부 표면(52)을 향하게 형성되는 대응 표면부(50) 사이에 삽입된다.
사실상, 도 3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덮개(14)는 케이스(12)로 고정되며, 하층 표면(52)으로부터 수직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지지대(12)의 편평한 상부벽(18)에 형성된 2개의 대응 구멍(56)에 수용되고 덮개(14)와 함께 제조된 2개의 못(54)에 의한 핫 크림핑(hot crimping)에 의해 고정된다.
못(54)의 헤드(58)를 핫 크림핑한 후, 덮개(14)는 표면(48, 50)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하우징에서의 삽입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블레이드(16)의 중앙 접속부(38)에 있는 제1 지선(44)의 자유 단부(46)가 삽입되도록 지지대(12)상에 단단히 고정된다.
블레이드(16)의 만곡된 접촉 단부(30)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또한 일부 중앙 접속부(38)에 있는 제2 지선(42)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덮개(14)는 하우징(24)과 블레이드(16)와 대향하는 일련의 정렬된 이머징(imerging) 슬롯(6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8개의 하우징(24)과 6개의 접촉 블레이드(16)를 갖는 형태이며, 따라서 덮개(14)는 쌍으로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단지 6개의 이머징 슬롯을 포함한다.
덮개(14)의 설치에 앞서, 각 접촉 블레이드(16)는 측면 삽입에 의해, 즉 실질적으로 삽입 방향 I 에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대(12)에 설치된다.
이 측면 삽입 동안, 각 접촉 블레이드(16)상의 작살 모양의 고리발(62)은 지지대(12)의 대응 슬롯(64)으로 강력하게 삽입된다.
각 고리발(62)은 가로대(65)에 의해 접속되는 중앙 접속부(38)에 있는 제1 지선(4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각 슬롯(6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와 함께 주조된 횡단 브리지(66)에 의해 최상부를 향하여 경계가 정해진다.
각 고리발(62)은 덮개(14)상의 주변 플랜지(plange)(72)의 내부 표면(70)과 대향하는 블레이드(16)의 접속 단부(34)를 넘어 외부를 향하여 측면으로 연장되는 돌출된 힐(heel)을 포함하며, 이는 접촉 블레이드(16)의 예상치 못한 측면으로의 탈장을 방지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착된 위치에서, 각 접촉 블레이드(30)의 돌출부(32)는 각 블레이드(16)의 만곡된 접촉부(30)의 정확한 기하학적 레스트(rest) 위치를 정의하기 위해 덮개(14)의 하층 표면(52)을 향하는 부분(74)에 대해 탄력적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유지되어 이 만곡된 접촉부는 지지대(12)에 대해 정의된 정확한 기하학적 위치를 차지한다.
덮개(14)는 모든 블레이드(16)가 정확한 기하학적 위치에서 탄력적으로 다소 압력 응축되도록 유지시킨다.
이러한 디자인은 중앙 접속부(38)의 굽혀지는 정확한 기하학적 모양에 따라 메모리 카드상의 접촉 영역에 대해 접촉시키는 힘을 가변시킬 수 있으면서도 만곡된 접촉부(30)가 커넥터(10)의 덮개(14)의 상부 표면(76)을 넘어 연장되는 한계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개시된 커넥터(10)는 매우 소형이면서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갖춘 판독/기록 장치로 삽입되는 카드상의 접촉 영역에 대해 블레이드(16)의 전기적 접촉의 최적 성능을 제공한다.
블레이드(16)는 설치되어 사전에 주조된 지지대, 즉 케이스(12)에 블레이드(16)를 기계적으로 어셈블링하는 경우에, 작살 모양의 고리발(62)을 고정시킴으로써 지지대(12)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시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선택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6에서, 만곡된 접촉부(30)까지 이르는 삽입부(46)로부터 연장되는 각 접촉 블레이드(16)의 중간부는 가늘어져서 접촉 블레이드가 절단되어 굽혀짐으로써 제조되는 금속 스트립의 두께에 대해 감소된 두께 "e"를 갖게된다.
이 감소된 두께는 각 접촉 블레이드의 탄력적인 변형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특히 커넥터의 전체적인 낮은 높이에도 불구하고 각 접촉 블레이드의 굽혀질 수 있는 한계가 증가되도록 한다.
각 접촉 블레이드(16)의 굽혀질 수 있는 한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블레이드의 삽입된 부분(46)에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구멍은 블레이드가 굽혀졌을 경우에 돌출부(32)의 자유 단부를 수용한다.
블레이드를 절단하기 이전에 국부 압축에 의해 각 블레이드의 중간부는 가늘게 제조된다. 이러한 가는 두께 "e"를 얻은 방법에 의해, 압축에 의해 제작이 힘든 영역의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 다양한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절연 재료로 제조되며 바닥부(18)와 접촉 블레이드(12)를 수용하는 하우징(24)의 경계를 정하는 평행한 표면을 갖는 본체(12)의 디자인은 특히 서로에 대해 뛰어난 전기적 절연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연은 덮개(14)에 있는 슬릿(60)의 상보적인 디자인에 의해 보충된다.
또한, 사용 위치에 카드가 있을 경우에 모든 하우징(24)은 반밀폐 방식으로 차단되어 공동(24)으로의 먼지 또는 다른 이질체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머리핀 접촉 블레이드를 갖는 형태의 이들 실시예에서, 접촉 블레이드(16)의 중앙 루프 또는 폴드부(44)는 커넥터의 중앙을 향하여 구부려지는데, 즉 카드가 사용위치에 있는 경우에 최소형 회로 카드상의 접촉 패드의 중앙과 실질적으로 일치하여 연장하는 중간면 P를 향하여 구부려진다.
이러한 기하학적 디자인으로 인하여 커넥터는 매우 짧은 전체 길이(도 3과 관련하여 폭 방향에서 측정되는)가 제공되며, 따라서 이를 수용하는 인쇄 회로 카드상에 거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개시된 커넥터는 커넥터에 대해 일반적으로 평면과 표면(2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자 메모리 카드가 이동하는 판독/기록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출원서에서, 접촉 블레이드(16)의 디자인으로 인하여 전도 트랙의 최종 랜딩(landing) 위상 동안 만곡된 단부(30)와 카드상의 전도 트랙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주표면 상에 정렬된 복수 개의 전기 접촉 패드를 포함하는 전자 메모리 카드 접속용 전기 커넥터(10)로서,
    상기 전기 커넥터(10)는 지지대(12), 접촉 블레이드(16), 제1 지선(40) 및 제2 지선(42)을 포함하는데, 상기 지지대(12)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전자 메모리 카드와 평행한 평면(20)과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블레이드 형태의 다수의 도전체(접촉 블레이드)(16)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접촉 블레이드(16)는 상기 카드 상의 다수의 패드중 하나의 패드를 접촉시키며 상기 지지대(12)의 평면(20)으로부터 돌출되어 만곡된 제1 접촉 단부(30), 상기 접촉 블레이드(16)를 상기 지지대(12)에 접속시키는 중앙 접속부(38), 및 상기 접촉 블레이드(16)를 판독/기록 장치의 처리 회로에 접속시키는 제2 접속 단부(34)를 구비하며, 상기 각 접촉 블레이드(16)의 중앙 접속부(38)는 머리핀 형태로 폴딩된 부분이고, 상기 제1 지선(40)의 삽입 자유 단부(46)는 상기 지지대의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접촉 블레이드(16)의 제2 접속 단부(34)에 의해 연장되고, 상기 제2 지선(42)의 삽입 자유 단부는 상기 접촉 블레이드(16)의 만곡된 제1 접촉 단부(30)에 의해 연장되며, 상기 제1 지선(40) 및 제2 지선(42)은 U자 형태의 중앙 폴드부(44)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제1 접촉 단부(30)는 상기 지지대의 평면(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돌출부(32)에 의해 연장되고, 상기 접촉 블레이드의 만곡 정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삽입 자유 단부(46)에 홀이 구비되며, 이 홀은 상기 블레이드가 굴곡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의 자유 단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2)는 상기 커넥터의 정지 표면(74)에 영향이 미치도록 탄성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선(40)은 상기 지지대(12)의 평면(20)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선(40)을 만곡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대(12)의 상기 평면(20)을 향하도록 형성된 하우징(24)과 대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각 블레이드(16)의 상기 만곡된 접촉 단부(30)는 상기 접촉 블레이드(16)의 중앙 접속부의 제1 지선(40)의 삽입된 자유 단부(46)와 동일선 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 블레이드(16)는 일정한 두께로 절단 및 폴딩된 금속 스트립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각 접촉 스트립은 특히 압축에 의해 제조되는 감소된 두께(e)를 갖는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블레이드의 접촉 단부와 접속 단부의 사이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된 두께(e)를 갖는 중간부는 상기 제1 지선의 자유 단부(46)와 상기 제2 지선(42)의 자유 단부의 사이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접촉 단부(30)는 중앙 접속부(38)의 제1 지선(40) 및 제2 지선(42)을 접속시키는 중앙 폴드부(44)와 접속 단부(34)의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19980702804A 1993-12-24 1994-12-26 전자메모리카드접속용전기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264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02804A KR100264099B1 (ko) 1993-12-24 1994-12-26 전자메모리카드접속용전기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315633A FR2714539B1 (fr) 1993-12-24 1993-12-24 Connecteur électrique pour le raccordement d'une carte à mémoire électronique.
FR93/15633 1993-12-24
PCT/FR1994/001532 WO1995018421A1 (fr) 1993-12-24 1994-12-26 Connecteur electrique pour le raccordement d'une carte a memoire electronique
KR1019980702804A KR100264099B1 (ko) 1993-12-24 1994-12-26 전자메모리카드접속용전기커넥터
KR1019970704124A KR100262806B1 (ko) 1993-12-24 1994-12-26 전자메모리카드접속용전기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124A Division KR100262806B1 (ko) 1993-12-24 1994-12-26 전자메모리카드접속용전기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4099B1 true KR100264099B1 (ko) 2000-08-16

Family

ID=26230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804A Expired - Fee Related KR100264099B1 (ko) 1993-12-24 1994-12-26 전자메모리카드접속용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409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2806B1 (ko) 전자메모리카드접속용전기커넥터
CN2415491Y (zh) 垫片式接点阵列包装型电连接器
JP3746106B2 (ja) 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551485B2 (ja) チップ担持体ソケット
JP3216050B2 (ja) 低背型表面取付電気コネクタ
JP3033788B2 (ja) ラッチ装置付き回路板用コネクタ
WO2000068867A1 (en) One-piece electrical connector for the connection of a smart card
JPS6035791B2 (ja) 電気接続端子
KR960027076A (ko) 전기커넥터
JP3720373B2 (ja) チップカードを印刷回路基板に電気的に接続する装置
JPH11233201A (ja) シールド板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6213785B1 (en) Memory card connector
KR20010040240A (ko) 플러그-인 콘택트
US6086405A (en) Contact member with double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JPH07272773A (ja) 圧接端子
US6431898B1 (en) Card connector
KR100264099B1 (ko) 전자메모리카드접속용전기커넥터
JP2582876Y2 (ja) 電気コネクタ
JP2787534B2 (ja) 接触子及びそれを使用するソケット
JP2850109B2 (ja) 接続用端子
JPH0487172A (ja) 電気コネクタ
US5601442A (en) Switch plug
JP3687886B2 (ja) 基板実装コネクタ
JP323384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コンタクト
JP2671679B2 (ja) 接続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905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526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