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63010B1 - 비어있는 테이블 요소들을 감추도록 프로그램된 이동클라이언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어있는 테이블 요소들을 감추도록 프로그램된 이동클라이언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010B1
KR100263010B1 KR1019970065343A KR19970065343A KR100263010B1 KR 100263010 B1 KR100263010 B1 KR 100263010B1 KR 1019970065343 A KR1019970065343 A KR 1019970065343A KR 19970065343 A KR19970065343 A KR 19970065343A KR 100263010 B1 KR100263010 B1 KR 100263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rocessor
control program
mobile client
digital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9507A (ko
Inventor
랜달 리 버트람
Original Assignee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만 제프리 엘
Publication of KR1998007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01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45/00Computer graphics processing and selective visual display systems
    • Y10S345/905Display device with hous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시스템, 특히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mobile client system)과 같은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테이블의 빈 요소(empty element), 셀(cell) 또는 필드(field)가 기입(entry)을 하기 위하여 호출될 때까지는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억제된다.

Description

비어 있는 테이블 요소들을 감추도록 프로그램된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
특히 IBM PC를 비롯한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은 오늘날 현대 사회의 여러 분야에 컴퓨팅 능력을 제공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은 단일 시스템 프로세서와 이에 연관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디스플레이 모니터, 키보드, 하나 이상의 디스켓 드라이브, 고정 디스크 저장 장치, 및 선택 사양인 프린터를 가진 시스템 유닛으로 이루어진 데스크 톱(desk top), 플로어 스탠딩(floor standing), 또는 휴대용 마이크로 컴퓨터로 정의될 수 있다. 이들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들의 하나의 두드러진 특징은 상기 구성 요소들을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마더보드(motherboard) 또는 시스템 플래너(system planar)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상기 시스템들은 단일 유저(single user)에게 독립적인 컴퓨팅 능력(computing power)을 제공하고, 주로 개인 또는 소규모의 기업이 값싸게 구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그러한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들의 예로는 IBM社에 의해 제공되는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들이 있는데, 이들은 PERSONAL COMPUTER AT, PERSONAL SYSTEM/2, PS/1 Aptiva 등과 같은 이름이 붙여져있다. 컴퓨터 분야의 당업자는 이러한 시스템들에 친숙할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두 개의 일반적인 계열(family)로 분류할 수 있다. 대개 Family Ⅰ 모델로 언급되는 첫 번째 계열은 IBM PERSONAL COMPUTER AT 및 다른 "IBM 호환(IBM compatible)" 머신과 같은 버스 구조(bus architecture)를 사용한다. Family Ⅱ 모델로 언급되는 두 번째 계열은 IBM의 PERSONAL SYSTEM/2 Models 50 내지 95와 같은 IBM의 MICRO CHANNEL 버스 구조를 사용한다. Family Ⅰ 모델은 원래 시스템 프로세서로 보편적인 INTEL 8088 또는 8086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프로세서들은 1 메가 바이트 메모리를 어드레스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 Family Ⅱ 모델은 저속인 INTEL 8086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에뮬레이트(emulate)하기 위해 리얼 모드(real mode)로 동작할 수 있거나 또는 몇 몇 모델에 대해서 어드레스할 수 있는 범위를 1 메가바이트에서 4 기가바이트까지 확장하는 보호 모드(protected mode)로 동작할 수 있는 고속의 INTEL 80286, 89386, 및 80486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질적으로, 80286, 80386, 및 80486 프로세서의 리얼 모드 기능은 8086 및 8088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위해 작성된 소프트웨어와의 하드웨어 호환성을 제공한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FamilyⅠ 시스템은 Intel PENTIUMTM마이크로프로세서, 그리고 Intel PENTIUMTM의 경쟁 제품들, 예를 들면 IBM과 Motorola의 Power PC 프로세서와 같은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고성능 중앙 처리 장치와, VESA 및 PCI 버스 구조와 같은 고성능 버스 구조 개발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다. 또한, 컴퓨터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이러한 시스템들도 친숙할 것이다.
이러한 발전으로 인하여, 비지니스 및 소비자 환경(business and consumer environments)에서 컴퓨팅이 수행되는 방식에 심대한 영향이 미치게 되었다. PC 시스템이 개발되기 전에는, 컴퓨터는 주로 비지니스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데이터 처리는 컴퓨터 시스템을 수용하고 있는 "유리집(glass house)"에서 수행되었다. 경영자들에게 필요한 조회(照會) 사항은 정보 관리자를 통하여 컴퓨터 전문가에게 전달되었다. PC 시스템이 광범위하게 보급됨에 따라 회사 내에 퍼져있는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은 경영자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현장 작업자에게도 중요한 일이 되었다.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회사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회사 시스템 또는 메인프레임으로 계층화된 액세스(layered access)가 가능해 지면서, PC 시스템의 네트워크도 발전하였다.
정보를 취급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되고, 정보를 취급하는 작업이 기업 내의 더 많은 종업원들의 업무에 영향을 미치게됨에 따라, 종업원들의 이동성(mobility)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방문 판매원, 화물차 운전자, 또는 비지니스 컨설턴트와 같은 "외부(outside)" 업무를 많이 하는 사람에게는, 회사로부터 떨어져(remote) 있는 동안, 대개 회사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되게 마련인, 회사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액세스는 노트북 또는 랩톱(laptop)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통신선(wireline)을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달성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에는 모뎀 및 통신 소프트웨어가 장착되어 있어서, 공중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에 접속할 때 상기 시스템이 지원 서버 또는 메인프레임에 접속되어 사용자가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 망(cellular telephone networks)과 같은 무선 통신의 개발로 PC와 지원 서버 간에 통신선을 사용하지 않고도 접속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특히 소매점 및 창고형 매장(warehousing) 비지니스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용으로 개발되어 왔는데, 이러한 시스템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회사의 활동을 지원하는 서버 또는 메인프레임과 데이터가 교환되는 데이터 채널과 간헐적으로 또는 계속적으로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무선 송수신 서비스가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저가 휴대하는 그러한 시스템들을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mobile client systems)"으로 부르기로 한다.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의 유저는 유선(有線) 연결로 인한 이동의 제한을 받게 되거나,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되는 회사 데이터가 (이동 클라이언트와 통신하는) 서버 또는 메인프레임 컴퓨터 시스템 상에 저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비롯되는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속성으로 인한 이동의 제한을 받지 않게 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종종 개인용 통신 보조기기 또는 개인용 정보 단말기라고 불린다.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관한 추가적인 배경 기술 및 정보에 관한 관심있는 문헌으로는 Ira Brodsky(Artech House, Boston, 1995)의 "Wireless: The Revolution in Personal Telecommunications"가 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와 같은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하여 액세스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에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일정한 양식(forms)을 검색하여, 검색된 양식을 디스플레이한 후, 양식 내의 필드 또는 셀을 채우거나 완성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도큐먼트 생성이 이루어진다. 그러한 도큐먼트들은 다양한 크기의 윈도우로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이 달성되는 하나의 방법은 도큐먼트 리플로잉(reflowing)을 포함한다. 리플로잉이란 애플리케이션 또는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용 가능한 윈도우 크기를 수용하면서 도큐먼트의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을 최대화하도록 시도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한 도큐먼트가 빈칸을 채울 수 있는 양식의 형태이거나 또는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으면, 리플로잉은 리플로잉 텍스트를 칼럼(column) 내에 유지하면서 더 작은 크기의 윈도우 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테이블 칼럼 또는 데이터 엔트리 필드를 좁히는(narrowing)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식 또는 테이블이 HTML과 같은 마크업 랭귀지(markup language)로 작성된 것이면, 디스플레이는 통상적으로 "빈(empty)" 셀 또는 필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빈 셀 또는 필드는 타이틀 또는 데이터 정보에 해당하는 임의의 문자 엔트리가 없는 셀 또는 필드를 말한다. 테이블 요소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셀을 가지며 보통은 하나 이상의 셀을 가진 테이블의 부분 집합(subset)이다. 요소 내의 모든 셀들이 타이틀 또는 데이터 정보에 해당하는 임의의 문자 엔트리를 가지지 않으면, 테이블 엔트리들은 "빈(empty)" 또는 "블랭크(blank)" 상태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아래에서 정의할 것이다.
핸드헬드(handheld)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와 같이 이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작거나 또는 선택(choice)에 의해 작은 윈도우를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비어 있는 셀 또는 필드를 디스플레이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의미있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요소들이 리플로잉에 의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므로 비어 있는 셀 또는 테이블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유저에게 혼란을 유발시킨다.
상기에서 기술한 것을 배경으로 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시스템, 특히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같은 컴퓨터를 고안하였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는 비어 있는 요소, 셀 또는 필드가 기입을 위해 호출될 때까지는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이하의 설명에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클라이어언트 컴퓨터 시스템의 특정 요소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실제 사용하기 위하여 조립된 도 1의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지원 주변 요소들 및 시스템들 간의 상호 관계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4는 도 2의 이동 클라이언트에서 구현되는 특정 회로 소자들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도 2의 이동 클라이언트 내의 특정 회로 소자들 및 소자들 간의 상호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6은 도 2의 이동 클라이언트에 대한 전력 모드들(power modes) 및 전력 모드들 간의 전이(transitions)를 나타낸 상태 다이어그램.
도 7은 도 2의 이동 클라이언트의 특정 소자들의 상태를 보여주며, 이동 클라이언트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의 상태를 포함하는 도 6의 다이어그램과 유사한 다이어그램.
도 8은 특정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이동 클라이언트 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구동되는 도 2의 이동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빈 요소들을 가진 테이블의 디스플레이를 보여주는 도 8에 유사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빈 요소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억제되는 디스플레이를 보여주는 도 8 및 도 9에 유사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시스템 태블릿 12 : 홀스터
13 : 무선 송수신기(radio transceiver)
18 : 컨덕터 19 : 프린터
20 : 서버 21 : 메인 프레임 데이터 저장 장치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더 구체적으로 기술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것으로부터 당업자는 본 발명의 양호한 결과를 달성하면서도 본 발명에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것은 당업자에게 다양한 개시를 교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첨부도면을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클라이언트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이동 클라이언트(mobile client)"라고도 함) (1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동 클라이언트는 본 발명의 고안 내에 있는 다양한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상기 시스템이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지원 서버 및 메인프레임 간에 데이터, 및 음성과 같은 오디오가 모두 통신 가능하지만 적어도 데이터와 통신하는 능력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그러한 능력은 시스템 태블릿 (11), 홀스터 (12), 및 무선 송수신기 (13)과 같은 3 개의 개별 콤포넌트들로 분리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제공된다. 예시된 양식에서, 송수신기 (13)은 홀스터 (12) 내에 장착될 수 있는 셀룰러 전화기(cellular telephone)이고, 홀스터 (12)는 태블릿을 홀스터 (12) 내에 구비된 리셉터클(receptable) 내로 끼워넣음(slip)으로써 시스템 태블릿 (11)과 결합될 수 있다. 3 개의 콤포넌트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예시되고 기술되지만,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많은 장점들은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 (10)이 일체로 된 시스템에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무선 송수신기 (13)이 시스템 태블릿 (11)과 통합되고, 이들 간의 접속은 홀스터 (12)를 사용함이 없이 시스템에 대한 단일 커버 내에서 이루어진다. 송수신기/홀스터/태블릿 구조는 몇 몇 환경에서는 소정의 장점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특정 구조와는 별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3 개의 구성부로 된 구조에서 실현될 수 있는 장점은 무선 송수신기를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디지털 데이터 및 아날로그 오디오는 셀룰러 전화기 무선 인터페이스(cellular telephone radio interface)를 통하여 셀룰러 디지털 패킷 데이터(cellular digital packet data: CDPD)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데이터와 교환될 수 있지만, 다른 가능성들도 존재한다. 이들 프로토콜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및 시분할 다중 액세스(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와 같은 디지털 무선 기법(digital radio techniques); 직접 시퀀스 확산 대역(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및 합성(resulant)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와 같은 확산 대역 기법; 주파수 도약 확산 대역(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FH-SS); 및 이들 기법들중 하나 이상을 진보된 이동 전화 시스템(advanced mobile phone systems: AMPS) 또는 진보된 무선 데이터 정보 서비스(advanced radio data information service: ARDIS) 또는 RAM Mobile Data라고 하는 기법들과 결합한 디지털 무선 기법들일 수 있다. 이러한 기법들이 등장하여 폭넓게 적용되고 있으므로, 3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구조는 기존의 태블릿 (11)을 새로이 등장하는 무선 송수신기 (13)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저가 시스템에 비용을 투자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온도, 습도와 같은 악영향을 미치는 환경 조건, 또는 떨어뜨리는 것과 같은 충격에 대한 노출과 같은 소정의 환경에서는 송수신기, 태블릿, 및 지원 회로가 단일 커버(single cover) 내에 통합된 시스템이 바람직한 선택이 될 수 있다.
도 3에는, 지원 서버 및 주변 요소들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10) 간의 상호관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태블릿 (11)(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 것임)이 일반적으로 백라이트형 액정 디스플레이(backlit liquid crystal display)에 구현된 터치스크린 (15)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지만, 시스템 (10)은 전통적인 키보드 (16)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는 시스템 (10)에 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을 원할 때 통신선 (18)을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가 시스템 (10)에 도달하도록 신호 통로(signal pathway)를 제공한다. 그와는 달리, 키보드는 공지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적외선 링크와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수단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링크(link)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시스템이 적외선 방사(infrared radiation)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한 IrDA 링크에 의해 프린터 (19)에 링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기는 서버 (20)으로의 무선 주파수 링크를 제공하는데, 상기 서버는 통신선을 통하여 지원 메인프레임 데이터 저장 장치 (21)과 통신할 수 있다. 기업 전체의 활동에 관련된 데이터는 지원 메인프레임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클라이언트 (10)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회로 소자들로 이루어진 구성의 하나의 양식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 (10)은 자신의 코어(core)로 RISC 특성을 사용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30)을 가지고 있다. 프로세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기 (31); PC 카드 또는 PCMCIA 카드로 알려진 형태의 주변 기기 제어기 (32); 인스트럭션/데이터 캐쉬 (33); 메모리 및 외부 버스 (34) 인터페이스; 및 리얼 타임 클록(real time clock) (35)를 포함하는 소자들을 가진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인터럽트 제어기 (36) 및 다양한 서비스 (37)을 제공하도록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특징들을 가진 단일 프로세서로 개시되어 있지만, 종래 기술 컴퓨터 시스템의 제조자 및 사용자들에게는 그러한 계산 능력 및 인터페이스 이용 가능성이 적당한 지원 로직 또는 칩들로 둘러싸인 Intel X86 계열 기반의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도 4의 실시예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로서 제공되지만, 그러한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핵심 기능(core functionality)은 다른 방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마이크로프로세서 (30)은 주변 장치들에 의해 지원받는다.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전력은 배터리 (40)으로부터 공급된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40)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재충전 진행 상황을 자체 감시하는 장비가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smart)" 배터리형이다. 그러한 배터리들은 공지이며, 유저에게 배터리 충전 상태, 충전 후 재 사용을 위한 준비 등과 같은 표시를 발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이동 클라이언트 프로세서 (30)에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클라이언트는 바람직하게는 통신선에 의해 연결될 때 사용하기 위한 통상의 모뎀 (41), 및 전화 상호 접속 지점 (42)(RJ-11 커넥터로 표시됨)를 가진다. 시스템용 메모리는 플래쉬 메모리 액세스 카드 (44); DRAM (45); 및 코어 플래쉬 메모리 (46)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기능들을 추가하기 위하여 타입 Ⅱ인 한 쌍의 PCMCIA 슬롯 (48), (49)이 제공된다.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핸들링 동작들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시스템 (10)은 상기에서 언급한 LCD (15)를 가지고 있다. 상기 LCD는 유저에 의해 이루어지는 입력 시점을 인식하기 위하여 디지타이저(digitizer)의 역할을 하는 적당한 터치스크린 (50)에 의해 오버레이(overlay)된다. 이러한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배터리 및 온도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입력과 마찬가지로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발생하는 입력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51)을 통하여 프로세서 (30)의 입력/출력(I/O) 포트로 전달된다. 프로세서 (30)의 다른 I/O 포트들은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키보드; IrDA 포트 (52), 오디오 CODEC (54), 그것에 연관된 스피커 (55)와 마이크로폰 (56); 및 무선 송수신기 (13)용 인터페이스 커넥터 (58)에 대한 연결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도 4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능들의 특정 구성은 지원되는 기능들에 대한 설계자의 선택, 프로세서 코어, 및 지원 로직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에서 언급되었듯이,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 (10)은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그러한 동작이 이동성에 적합하지만, 교류 본선(alternating current electrical mains) 형태의 좀 더 통상적인 전원(power source)에 연결함으로써 시스템 (10)에 대한 지원이 마련된다. 그러한 전원은 도 5에 도면 부호 (60)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전력 관리 상호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의한 전력 사용의 관리는 시스템의 사용도(usability)와 관련하여 중요하다.
도 5는 전원 및 전력 소비의 관점에서 본 프로세서 (30) 주변의 주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전력 관리 토폴로지는 전력이 메인 배터리 (40)으로부터 태블릿 (11) 내의 프로세서 (30)으로 흐르고, 전력 흐름의 일부 및 홀스터 (12)의 제어 임팩트는 홀스터 내에 장착된 무선 송수신기 (13) 및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PC 카드 액서세리로 흐른다. 전력 흐름의 상기 분기(division)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매우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개별 배터리 (61)은 홀스터 (12) 내에 구비되어 있다. 홀스터 배터리 (61)은 바람직하게는 "스마트(smart)" 배터리이며, 홀스터 (12) 내의 배터리 제어기 (62), 홀스터 주변 장치 제어기 (63)과 과 관련되며, 프로세서 (30)와 양방향으로 전달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인터페이스 하는 회로 (64)를 무선 송수신기 (13)과 관련시킨다. 따라서, 홀스터 (12) 내의 회로 및 송수신기 (13)이 프로세서 (30)의 제어하에 있지만(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될 것임), 전원은 적어도 태블릿 (11)과는 어느정도 독립적이다. 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태블릿이 홀스터에 결합되면, 두 개의 콤포넌트 내의 회로는 협력하여 전체를 관리한다. 송수신기 (13)(통상적인 셀룰러 폰인 경우 자체 전원 및 전력 관리 기법을 가질 수 있다)이 홀스터 (12) 내에 위치하는 경우, 송수신기 (13)은 3 부분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대한 전력 관리에 참여하는 조정된 역할을 가질 수 있다.
태블릿 (11)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터리 (40)에 대한 제어기 회로, (66) 및 태블릿 (11)의 동작용 배터리 (40)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기 (6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코어 프로세서 (30)으로부터의 소정의 요구 조건 부담을 덜기(off-load)위하여 전력 공급기에 대한 제어를 실행하는 개별 마이크로제어기 (69)에 대한 설비가 마련된다. 마이크로제어기는 프로세서 (30) 및 변환기 (70)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리얼 타임 클록 (35)용 배터리 (71)에 의해 최소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 (30) 및 변환기 (70)이 지원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RTC 배터리 (71)은 태블릿 시스템이 호출될 때 웨이크-업(wake-up)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 (10)을 위한 하드웨어 토폴로지로부터 전력 모드 및 전이 이벤트(transition events)와 관련하여 그러한 방식의 하나의 예가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이하에서의 설명 목적을 위하여,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사용자는 시스템의 활동성 수준을 위한 표시기(indicators)가 구비되어 있다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표시기 또는 호출 표지기(annunciators)는 손쉽게 이용할 수 있고, 값이 싸며, 대부분의 테크니컬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LED 형태일 것이다. 3 부분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에는 태블릿 (11)을 위한 표시기, 홀스터 (12)를 위한 표시기, 및 송수신기 (13)을 위한 표시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는, 태블릿 (11)과 홀스터 (12) 간의 상이한 활동 레벨을 반영하는 활동 상태들 간의 차이점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예시된 시스템은 태블릿 및 홀스터가 결합된 3 부분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인 것으로 가정한다.
배경 기술을 유의하면, 시스템의 완전한 활성 상태는 해당 LEDs 및 백라이트형(backlit) LCD (15)의 발광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활성화된 태블릿 (11) 및 홀스터 (12) 양자를 가진다. 그러한 상태는 도면부호 (75)로 나타나 있다. 모든 콤포넌트들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모든 배터리들이 제거된 것과 같은 경우) 정반대의 상태가 도면 부호 (76)으로 표시되어 있고, 그 결과 모든 LEDs 및 백라이트형 LCD가 소광(unilluminated)된다. 완전히 활성화된 상태로부터 유저는 턴-오프 목적으로 제공된 스위치를 동작시킴으로써, 또는 홀스터를 태블릿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홀스터로부터 무선 송수신기를 분리시켜 필요한 상호 연결을 인터럽팅(interrupting)함으로써 홀스터 (12)를 턴-오프(turn off)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그러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태블릿 LED 및 LCD는 발광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태블릿이 활성화된 상태로 있는한), 홀스터 LED는 소광된다 (78). 이동 클라이언트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으나, 지원 서버 (20) 및 데이터 저장 장치 (21)로부터 여전히 (단속적으로 또는 임시로)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시스템은 중지(suspend)라고 하는 상태로 진입한다. 중지 상태 (79)에서는, 태블릿 LED 및 LCD 및 홀스터 LED가 어두워진다(dark). 무선 송수신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3 부분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은 중지 상태에 있다고 할 때, 홀스터 LED는 발광하고 송수신기는 동작하는 상태 (80)으로 시스템이 진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다시 한 번 결정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시스템은 스탠바이(standby) 상태 (81)로 진입한다. 스탠바이 상태에서, 태블릿 LCD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어두워지지만, 태블릿 LED는 시스템이 즉시 "깨어날(awakened)"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발광된 상태로 남아있다. 홀스터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LED가 어두어짐)로 있거나 또는 활성화된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 타이머 기능이 제공되어, 시스템 (10)이 스탠바이 상태로 있으면서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이 경과한 후에 시스템은 중지 모드로 전이된다.
시스템은 온/오프 스위치를 사용하여 오프 상태(Off state) (76) 및 활성화 상태(Active state) (78) 또는 (75) 사이에서 전이할 수 있다. 시스템은 온/오프 스위치 또는 배터리를 제거함으로써 중지 또는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 (76)으로 전이 할 수 있다. 시스템은 유저에 의한 중지/재개 입력, 홀스터에 연결된 무선 송수신기로부터의 착신호 표시, 시간 간격의 타임 아웃, 또는 스마트 배터리 제어기로부터의 배터리 저 충전 표시에 응답하여 중지 상태 (79) 또는 (80)으로부터 활성화 상태 (78) 또는 (75)로 전이할 수 있다. 시스템은 터치스크린 또는 키보드를 사용한 입력과 같은 유저 이벤트에 응답하여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활성화 상태 (78) 또는 (75)로 전이할 수 있다.
전력 모드 및 전이 이벤트의 또 다른 방법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시스템 상태는 온 상태(On state) (81); 아이들 상태(Idle state) (82); 스탠바이 상태(Standby state) (84); 중지 상태(Suspend state) (85); 및 오프 상태(Off state)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온 상태 (81)에서는, 시스템 LEDs 및 LCD가 발광되고, 프로세서 (30)은 정상적인 고 기능 모드(normal high function mode)로 동작하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은 활성화 상태에 있고, 다른 주변 장치들은 필요에 의해 전력이 관리되고 있다.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시간이 경과하면 시스템은 아이들 상태 (82)로 진입하게 되는데, 그 상태에서는 프로세서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되고, 프로세서는 전력 관리의 "도즈 하이(doze high)" 모드로 진입하고, LED는 발광하며, 다른 주변 장치들은 필요에 따라 전력이 관리된다. 유저 이벤트는 모두 시스템을 온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시스템을 스탠바이 상태 (84)로 진입하게 하는 시간이 경과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정적(static) 상태가 되고, 프로세서는 "도즈 로(doze low)" 모드로 진입하며, LCD는 어두워지고, 다른 모든 주변 장치들은 필요에 따라 전력이 관리된다. 시스템을 중지 상태 (85)로 진입하게 하는 시간이 경과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정적 상태가 되고, 재개를 위해 검사되며, 프로세서는 전력 관리의 "슬립(slip)" 모드로 진입하고, LCD는 어두워지며, 다른 모든 주변 장치들은 꺼진다. 따라서, 완전한 활성화 상태 (81)로 전환하기 위한 시간 간격의 견지에서 보면, 시스템은 아이들 상태 (82)로부터 가장 빨리 복귀하고, 스탠바이 상태 (84) 및 중지 상태 (85)로부터는 다소 빠르게 복귀하며, 오프 상태 (86)으로부터는 가장 늦게 복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위하여 고안된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및 통신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8을 특별히 참조하면, 시스템 (10)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시적인 표시가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스템 (10)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에 의한 연결 및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작성된 파일을 위해 사용되는 브라우저 프로그램의 성질을 가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HTTP 및 HTML은 인터넷 또는 월드 와이드 웹으로 알려진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서 지원 서버 및 메인 프레임 데이터 저장 장치를 통해 이용 가능한 리소스의 최대 사용 및 클라이언트 내의 최소 리소스를 갖는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프로세서 (30)은 시스템 플래쉬 메모리 (46)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 체제 프로그램 및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면, 시스템은 송수신기 (13) 및 인터페이스 (58) 또는 모뎀 (41)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달함으로써 지원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그렇게 교환된 데이터는 시스템 DRAM 메모리 (45) 내의 운영 체제 및 브라우저로 조작하기 위하여 저장된다. 브라우저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타날 수 있는 LCD (15) 스크린 상에 지원 서버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스크린은 디스플레이된 필드의 상위 경계선을 가로질러 타이틀 바 (90)을 가지며, 디스플레이된 필드 내에서 번호 또는 이름을 식별하는 것과 같은 데이터를 위해 정의된 필드를 가진 양식으로 나타나 있다. 도시된 특정 양식에서는, 필드는 식별된 환자의 센터 번호를 위한 필드, 병원 번호, 생년 월일 및 허가일 등 등을 포함하고 있다. 타이틀 바 (90) 옆에는 동물이 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캉가루 (91)로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는 본 발명의 특정 구현과 부합하여 시스템이 하나의 데이터 액세스로부터 다른 데이터 액세스로 "점프(jumping)"하는 것을 표시하며 유저는 "점프"가 완료되기를 기다려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타이틀 바 (90) 바로 아래에는 메인(또는 초기) 스크린으로의 복귀, 특정 스크린으로의 복귀, 무선 링크에 의한 데이터의 교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시된 스크린에 대한 내비게이션(navigation)과 같은 기능 "버튼"의 표시가 또한 제공된다. ICU에 대한 승인 날짜, 클래스 필드와 같은 특정 필드는 유저가 주석(annotated)을 달 수 있으며, "노트북(notebook)" 아이콘을 이들 필드들의 인접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노트북은 현재 임의의 주석이 없음을 나타내는 클로즈(closed) 상태(승인 필드의 날짜 옆에 위치함), 또는 현재 주석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오픈(opened) 상태(클래스 필드 옆에 위치함)일 수 있다.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 (10)이 LCD (15)에 놓여있는 터치스크린 (50)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 내로의 데이터 입력은 터치스크린의 필드에 적용되는 스타일러스(stylus), 포인터(pointer) 또는 핑거(finger)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을 참조하여, 유저가 특정 환자의 성별을 식별하는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유저는 해당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남성(male)" 또는 "여성(female)" 버튼을 (스타일러스, 포인터 또는 핑거)로 터치하면 된다.마찬가지로, 유저가 주석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유저는 클로즈 및 오픈 상태 사이의 아이콘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노트북 아이콘에 의해 정의된 필드를 터치하여 적당한 숫자 또는 영문자 데이터의 엔트리를 위한 필드를 오픈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다른 기능들은 다음의 관련 출원에서 개시된 것으로부터 보다 더 명백해질 것이다.
"Mobile Client Computer with Keyboard Interface"라는 명칭으로 T.Aebli, B.Miller, 및 W.W.Vetter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to Predict Input"이라는 명칭으로 R.L.Bertram, D.F.Champion 및 P.Brittenham에 의해 1996년 8월 22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8/703,171호,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to Exchange Lists of Predicted Input"이라는 명칭으로 R.L.Bertram 및 W.T.Oldfield에 의해 1996년 8월 22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8/708,168호,
"Mobile Client Computer Interacting with Docking Device"라는 명칭으로 E.H.Booth, B.A. Carpenter, R.B.Ferrier, R.A.Resnick 및 W.W.Vetter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to Copy Lists of Predicted Input"이라는 명칭으로 R.L.Bertram, P.J.Brittenham 및 D.F.Champion에 의해 1996년 8월 22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8/706,990호,
"Mobile Client Computer with Battery Charging Control"이라는 명칭으로 C.Burroughs, B.A.Carpenter, G.O'Neil 및 R.A.Resnick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for Systems Message Display"라는 명칭으로 R.L.Bertram 및 D.F.Champion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with Brower Function"이라는 명칭으로 R.L.Bertram 및 D.F.Champion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to Combine Cursor, Control and Input Functions"라는 명칭으로 P.J.Brittenham 및 L.D.Comerford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to Display Drop Down Scrolling Indicator"라는 명칭으로 R.L.Bertram 및 D.F.Champion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to Hide Empty Table Elements"라는 명칭으로 R.L.Bertram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Mobile Client Computer with Integrated Cellular Telephone"이라는 명칭으로 B.A.Carpenter, P.Lee, M.Noll 및 R.Reiland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Mobile Client Computer with Holster for Integrating a Radio Transceiver"라는 명칭으로 D.H.Boehm, B.A.Carpenter, D.J.Hunt 및 M.S.Miller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to Display Hexagonal Keyboard"라는 명칭으로 R.L.Bertram, D.F.Champion 및 L.S.Eichron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to Establish Soft Keyboard Targeting"이라는 명칭으로 R.L.Bertram에 의해 1996년 8월 12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8/700,606호,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to Display Lists and Hexagonal Keyboard"라는 명칭으로 R.L.Bertram 및 D.F.Champion에 의해 1996년 8월 22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8/706,991호,
본 발명의 몇 몇 실시예들은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셀들로 이루어진 서브셋(subset) 또는 셀(cell)들을 반복함으로써 이루어진 테이블들을 디스플레이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예를 들어, 도 9의 윈도우에 디스플레이된 테이블은 6개까지의 수술 데이터를 취합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양식의 작성자(author)는 행 및 열에서의 테이블 요소 크기 및 제 1 요소의 오프셋을 특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기본적인 테이블 "요소(element)"는 양측면의 폭이 1 칼럼(First, Second, etc)에 위치하며, 상하 높이가 4행(Date, Minutes, Type, Class)으로 이루어진다. 제 1행, 제 1칼럼에 위치하는 셀들이 헤더이므로, 제 1 요소는 1 칼럼 및 1 행의 오프셋에서 시작한다. 도면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헤더는 전형적으로 칼럼 및 행에 정렬되는 참조된 셀들에 나타나는 데이터 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텍스트 식별자인 타이틀 정보를 포함하는 셀이다. 셀, 또는 정보의 칼럼 및 행 위치는 타이틀 정보 또는 데이터 정보(도 10에 더 상세히 도시됨)의 존재로 정의된다. 기본적인 테이블 요소는 헤더 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테이블 형태의 총 정보 또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일부에 대한 완전한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는데 필요한 다수의 셀들로 이루어진다.
유저는 정상적으로는 테이블 요소들을 순서대로 사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유저는 "First" 및 "Second" 요소들을 먼저 완료하지 않고서는 "Third" 요소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환자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수술을 받지 않고서는 세 번째 수술을 받을 수 없다. 그러므로, 유저는 두 개 이상의 비어 있거나 블랭크(empty or blank)인 칼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번 것(next one)"을 제외하고는 비어 있거나 블랭크인 테이블 요소를 모두 감추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1 칼럼부터 3 칼럼까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면, 브라우저는 테이블 전체가 블랭크인 도 9와는 달리, 도 10에는 데이터를 가지는 3 개의 칼럼과 블랭크인 제 4 칼럼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 4 테이블 요소가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 5 요소가 나타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브라우저가 다음번의 비어 있는 요소를 추가할 수 있는 방법이 3 가지 있다. 첫 번째로는, 유저가 기존의 블랭크 요소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시작하면 다음번의 블랭크 요소가 나타나도록 디스플레이가 리프레쉬(refresh)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브라우저와 유저 간에 높은 수준의 상호 작용을 요구하는데, 이것은 대부분의 HTML 브라우저에서 아직까지는 지원되지 않고 있다. 두 번째로는, 다음번의 블랭크 요소가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유저의 요구에 응답하여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요구가 있을 때까지는 어떠한 블랭크 요소들도 보여줄 필요가 없다. 브라우저는 기존의 요소들을 보여주기만 할 뿐 요소들을 생성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유저는 양식이 지원하는 것보다 더 많은 요소들을 추가할 수 없다. 세 번째로는, 브라우저가 양식을 로드한 다음에 다음번 블랭크 요소가 나타날 수 있다. 유저는 브라우저의 "리로드(reload)" 기능을 사용하여 한번에 하나 이상의 새로운 요소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은 브라우저가 동일한 양식을 디스플레이하면, 비어 있는 요소들 모두가 앞에서 설명한 도 9에서와 같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장점은 개선된 양식이 본 발명을 구현하고 있지 않은 브라우저에서도 역시 동작한다는 것이다.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특정 용어가 사용되었지만, 상기 설명은 일반적이며 설명 목적으로만 사용된 용어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비어 있는 요소, 셀 또는 필드가 기입의 목적으로 호출될 때까지는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억제된다.

Claims (18)

  1.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mobile client computer)에 있어서,
    a) 유저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유저의 손에 보유될 수 있는 크기의 하 우징,
    b)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c)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메모리,
    d)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정보를 디 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e)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오버레이(overlay) 하는 입력 디지타이저(input digitizer)―여기서 디지타이저는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저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의 입력을 가능하게 함― 및
    f)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의 처리를 지시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ⅰ) 테이블 요소들 내에 구성된 복수개의 셀들을 가진 테이블들을 디스플레이하고, (ⅱ) 하나의 비어 있는 테이블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며, (ⅲ) 비어 있는 임의의 나머지 테이블 요소들의 디스플레이를 억제하는데 상기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호 협력하여 동작하는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요소들이 각각 단일 셀을 가지는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요소들이 각각 복수개의 셀을 가지는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4. 제 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비어 있는 테이블 요소의 셀 내로 데이터가 기입될 때 인접한 다음번의 비어 있는 테이블 요소를 디스플레이에 추가하도록 상기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호 협력하는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5. 제 4항에 있어서, 유저의 요구시에 상기 인접한 다음번의 테이블 요소를 디스플레이에 추가하도록 상기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호 협력하는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6. 제 4항에 있어서, 테이블 디스플레이의 다음번의 후속 오프닝(opening)시에 상기 인접한 다음번의 테이블 요소를 디스플레이에 추가하도록 상기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호 협력하는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7. 컴퓨터에 있어서,
    a) 하우징,
    b)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c)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메모리,
    d)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및
    e)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의 처리를 지시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ⅰ) 테이블 요소들 내에 구성된 복수개의 셀들을 가진 테이블들을 디스플레이하고, (ⅱ) 하나의 비어 있는 테이블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며, (ⅲ) 비어 있는 임의의 나머지 테이블 요소들의 디스플레이를 억제하는데 상기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호 협력하여 동작하는 컴퓨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요소들이 각각 단일 셀을 가지는 컴퓨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요소들이 각각 복수개의 셀을 가지는 컴퓨터.
  10. 제 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비어 있는 테이블 요소의 셀 내로 데이터가 기입될 때 인접한 다음번의 비어 있는 테이블 요소를 디스플레이에 추가하도록 상기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호 협력하는 컴퓨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유저의 요구시에 상기 인접한 다음번의 테이블 요소를 디스플레이에 추가하도록 상기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호 협력하는 컴퓨터.
  12. 제 10항에 있어서, 테이블 디스플레이의 다음번의 후속 오프닝(opening)시에 상기 인접한 다음번의 테이블 요소를 디스플레이에 추가하도록 상기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호 협력하는 컴퓨터.
  13. 디스플레이 발생 시스템에 있어서,
    a) 하우징,
    b)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c)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메모리―여기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비쥬얼 이미지들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driving) 디지털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상호 협력함―,
    d)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의 처리를 지시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ⅰ) 테이블 요소들 내에 구성된 복수개의 셀들을 가진 테이블들을 디스플레이하고, (ⅱ) 하나의 비어 있는 테이블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며, (ⅲ) 비어 있는 임의의 나머지 테이블 요소들의 디스플레이를 억제하는데 상기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호 협력하여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발생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요소들이 각각 단일 셀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발생 시스템.
  1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요소들이 각각 복수개의 셀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발생 시스템.
  16. 제 13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비어 있는 테이블 요소의 셀 내로 데이터가 기입될 때 인접한 다음번의 비어 있는 테이블 요소를 디스플레이에 추가하도록 상기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호 협력하는 디스플레이 발생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유저의 요구시에 상기 인접한 다음번의 테이블 요소를 디스플레이에 추가하도록 상기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호 협력하는 디스플레이 발생 시스템.
  18. 제 16항에 있어서, 테이블 디스플레이의 다음번의 후속 오프닝(opening)시에 상기 인접한 다음번의 테이블 요소를 디스플레이에 추가하도록 상기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호 협력하는 디스플레이 발생 시스템.
KR1019970065343A 1997-03-07 1997-12-02 비어있는 테이블 요소들을 감추도록 프로그램된 이동클라이언트 시스템 Expired - Lifetime KR100263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13,521 1997-03-07
US08/813,521 US5790118A (en) 1997-03-07 1997-03-07 Mobile client programmed to hide empty table 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507A KR19980079507A (ko) 1998-11-25
KR100263010B1 true KR100263010B1 (ko) 2000-10-02

Family

ID=2521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343A Expired - Lifetime KR100263010B1 (ko) 1997-03-07 1997-12-02 비어있는 테이블 요소들을 감추도록 프로그램된 이동클라이언트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90118A (ko)
JP (1) JP2938421B2 (ko)
KR (1) KR100263010B1 (ko)
TW (1) TW4038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0724A (en) * 1997-03-07 1999-03-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for importation of data into title display
US6909439B1 (en) 1999-08-26 2005-06-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efficiency of small display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20060041836A1 (en) * 2002-09-12 2006-02-23 Gordon T J Information documenting system with improved speed, completeness, retriveability and granularity
US7216291B2 (en) * 2003-10-21 2007-05-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display table data residing in columns outside the viewable area of a window
US7315988B2 (en) 2004-02-02 2008-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hort captions to map user interfaces
US7516414B2 (en) 2004-02-02 2009-04-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ab order mapping of user interfaces
US20050172235A1 (en) * 2004-02-02 2005-08-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cluded elements mapping in a user interface
US7765366B2 (en) * 2005-06-23 2010-07-27 Intel Corporation Memory micro-tiling
US8332598B2 (en) * 2005-06-23 2012-12-11 Intel Corporation Memory micro-tiling request reordering
US7587521B2 (en) * 2005-06-23 2009-09-08 Intel Corporation Mechanism for assembling memory access requests while speculatively returning data
US8253751B2 (en) 2005-06-30 2012-08-28 Intel Corporation Memory controller interface for micro-tiled memory access
US7558941B2 (en) * 2005-06-30 2009-07-07 Intel Corporation Automatic detection of micro-tile enabled memory
US20090199124A1 (en) * 2008-02-01 2009-08-06 Gregory Lawrence Birch Operating hour interactive dynamic system and display
CN101524282B (zh) * 2008-03-07 2014-06-04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对接站和超声诊断设备
US20100064252A1 (en) * 2008-09-08 2010-03-1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expanding and collapsing data entry regions that does not hide entered data
US8952965B2 (en) * 2010-07-21 2015-02-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Non-linear time scale optimization for mechanical-electrical machine behavior model visualization
USD715822S1 (en) * 2013-03-15 2014-10-21 Kachinc, Llc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003847B1 (en) * 2019-11-05 2021-05-11 Sap Se Smart dynamic column sizing
US20250171381A1 (en) * 2023-11-28 2025-05-29 Uop Llc Process for regenerating oligomerization catalyst with purg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7405A (en) * 1990-10-02 1994-08-09 Hewlett-Packard Company Guided data presentation
US5621876A (en) * 1995-04-07 1997-04-15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a display matrix in a computer window by adding one column or row at a 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507A (ko) 1998-11-25
JP2938421B2 (ja) 1999-08-23
US5790118A (en) 1998-08-04
JPH10320495A (ja) 1998-12-04
TW403874B (en) 200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9584A (ko) 테이블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도록 프로그램된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KR100263010B1 (ko) 비어있는 테이블 요소들을 감추도록 프로그램된 이동클라이언트 시스템
US5878276A (en) Handheld computer which establishes an input device as master over the CPU when it is coupled to the system
US5801941A (en)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to establish soft keyboard targeting sensitivity
KR100320979B1 (ko) 이동클라이언트컴퓨터및전력관리아키텍처
US5873045A (en) Mobile client computer with radio frequency transceiver
US5964847A (en) Mobile client computer interacting with docking device
KR100273030B1 (ko)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플래쉬 메모리 관리
US6008810A (en)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for system message display
US6073136A (en) Mobile computer with minimized function display and maximized content display
US5923861A (en)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to display drop down scrolling indicator
KR100255627B1 (ko)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US5784060A (en)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to display lists and hexagonal keyboard
KR100288493B1 (ko) 이동클라이언트컴퓨터컴퓨터및디스플레이발생시스템
US5805157A (en) Mobile client computer with hexagonal keyboard
US59008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ng with a portable computer system
KR100288492B1 (ko) 정보처리시스템
US5974238A (en) Automatic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a handheld and a host computer using pseudo cache including tags and logical data elements
US5880724A (en)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for importation of data into title display
US5926006A (en) Modular electronic apparatus with battery charging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8060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