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637B1 - Portionally variable ratio scaling apparatus and method of video signals - Google Patents
Portionally variable ratio scaling apparatus and method of video signa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62637B1 KR100262637B1 KR1019980015112A KR19980015112A KR100262637B1 KR 100262637 B1 KR100262637 B1 KR 100262637B1 KR 1019980015112 A KR1019980015112 A KR 1019980015112A KR 19980015112 A KR19980015112 A KR 19980015112A KR 100262637 B1 KR100262637 B1 KR 1002626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 vertical
- clock
- section
- clock spe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23—Controlling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신호의 표시비율 변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의의 수평 및 수직 위치에서 영상 데이터의 클럭 속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해당 위치에서 영상의 종횡비를 다르게 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표시비율 변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display ratio of an image signal, and more particularly, to displaying an image signal capable of varying aspect ratios of an image at a corresponding position by varying clock speeds of the image data at arbitrary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s. It relates to a ratio converter and a method.
최근들어 영상표시기기의 발전과 정보 통신의 발달로 일반인도 개인적인 용도의 영상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도 영상을 펀집하는 경우가 점점 늘고 있다. 지금까지 화면의 편집은 주로 PC상에서 행해져 왔다. 화면 편집은 대부분 비디오 램에서 영상 데이터를 읽어 내어 변형시킨 다음 다시 쓰는 방법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video display device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e general public can easily access images for personal use. Accordingly, more and more homes and offices collect images. Until now, screen editing has been mainly performed on a PC. Most screen editing is based on reading image data from video RAM, transforming it, and then rewriting it.
그러나, TV의 경우는 영상을 원래의 모습대로 표시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편집기능을 할 수 있는 장치가 아니다. 일반적인 화면비율은 4:3 또는 16:9와 같은 고정된 종횡비이기 때문에 입력 영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화면비의 변환을 시도하려고 할 때, 지금까지는 화면 전체의 종횡비를 변화시키는 기법에 국한되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V, since the purpose is to display an image as it is, it is not a device that can perform an editing function. Since the general aspect ratio is a fixed aspect ratio such as 4: 3 or 16: 9, when attempting to convert the aspect ratio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image, it has been limited to the technique of changing the aspect ratio of the entire screen.
이것은 편집이라기보다는 단순히 시청하기 편할 목적으로 처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기울기를 조절하거나 리드/라이트 클럭속도를 조절하여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표시 비율이 변하도록 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This is not simply for editing, but for easy viewing. In addition, a method of changing the display ratio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by adjusting the deflection inclination of the display device or adjusting the read / write clock speed has been proposed.
이러한 기술은 화면전체에 대한 표시비율이 화면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비율로 변경시킨다. 따라서, 화면 전체의 비율만 선형적으로 바꿀 수 있었다.This technique changes the display ratio of the entire screen at a constant ratio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screen. Therefore, only the ratio of the entire screen could be changed linearly.
예로서, 도 1에 보인 일반적인 아날로그 방식의 편향파 발생기는 입력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Vsync)에 따라 수평 및 수직 톱니파(saw tooth wave)를 각각 발생시키는 수평 및 수직 톱니파 발생회로(11,21)와, 수평 및 수직 톱니파 발생회로(11,21)에서 출력되는 출력 파형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을 각각 S-자 형상으로 보정하는 수평 및 수직 S-자 보정회로(12,22)와, 수평 및 수직 S-자 보정회로(12,22)의 출력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씨알티(CRT)로 각각 출력하는 전류 증폭기(13,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평 및 수직 톱니파는 한쪽 방향으로, 예를 들면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주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영상은 수평 S자 보정에 의해 모든 수직방향에 대해 일정비율로 수평변환을 실시하거나 또는 수직 S자 보정에 의해 모든 수평방향에 대해 일정비율로 수직 변환을 실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eneral analog deflection wave generator shown in FIG. 1 generates horizontal and vertical sawtooth wave circuits 11 for generating horizontal and vertical saw tooth waves according to input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Hsync / Vsync. 21 and horizontal and vertical S-shaped correction circuits 12 and 22 for correcting the start and end portions of the output waveforms output from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awtooth wave generating circuits 11 and 21 into S-shaped shapes, respectively. And amplify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shape correction circuits 12 and 22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outputting them to the CRTs, respectively. He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awtooth waves are set to scan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from left to right, at regular intervals from top to bottom. Here, the image may be horizontally converted at a constant ratio in all vertical directions by horizontal S-shape correction or vertically at a constant ratio in all horizontal directions by vertical S-shape correction.
이는 직선은 직선으로만 표시되므로 수평선과 수직선들이 만나는 각은 항상 직각이 된다. 그 이유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가 한쪽 방향으로, 보통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주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 straight line is represented only by a straight line, so the angle between the horizontal line and the vertical line is always perpendicular. The reason is that a typical display device is designed to scan at regular intervals in one direction, usually from left to right and top to bottom.
즉, 도 2a와 같이 비율변환을 하지 않은(영상의 표시비율 = 1) 정상적인 모양은 화면의 임의의 점 1(x1, y1)에서 주사시간의 비와 주사거리의 비는 수평과 수직 방향에 대하여 식 1이 항상 성립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2A, the normal shape without the ratio conversion (display ratio of the image = 1) is the ratio of the scanning time and the scanning distance at an arbitrary point 1 (x 1 , y 1 ) of the scree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Equation 1 always holds for.
그러나, 원래의 영상보다 더 보기 좋은 화면을 만들거나 반대로 의도적으로 화면의 종횡비를 바꿀 필요가 있을 때 종래의 방법으로는 이를 실시할 수 없었다. 즉, 지금까지는 입력 영상의 편향 비율이 화면전체에 있어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보면 일정한 비율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화면전체의 비율을 공통으로 한꺼번에 바꿀 수 있었을 뿐 이를 화면의 부분에 따라서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비율대로 변환하기란 불가능하였다.However, when it is necessary to intentionally change the aspect ratio of the screen to make a screen that looks better than the original image or vice versa, the conventional method cannot. That is, until now, the ratio of deflection of the input image is fixed at a constant ratio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entire screen. Therefore, the ratio of the entire screen can be changed in common at the same time. It was impossible to convert.
이렇게 전체화면 중 필요한 부분의 화면의 종횡비를 바꿀 수 있다면, 영상신호의 고유특성을 살려서 더욱 향상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영상표시장치의 여러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If the aspect ratio of the screen of the necessary part of the entire screen can be chang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proved screen by utiliz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video signal, and this technique may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체화면을 다수의 수평구간 및 수직구간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화면의 원하는 위치 또는 원하는 구간 동안에 원하는 비율을 갖도록 영상 데이터의 출력속도를 변환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technique capable of converting the output speed of the image data to have a desired ratio during a desired position or a desired section of the screen in a state in which the entire scree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horizontal sections and vertical sections.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에서 언급된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영상신호의 종횡비나 시청 영역의 범위에 상관없이 어떤 종류의 영상신호라도 주어진 스크린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화면 비율을 나타낼 수 있도록 임의의 수평 및 수직 위치에서 영상 데이터의 클럭속도를 다르게 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표시비율 변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m suitable for a given screen regardless of the aspect ratio of the input video signal or the range of the viewing area.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display ratio of a video signal to enable different clock speeds of video data at arbitrary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s so as to indicate an aspect ratio of the video sig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면의 어떤 점에서라도 필요에 따라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영상신호의 표시비율 변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display ratio of a video signal satisfying the following Equation 2 as necessary at any point of a scree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영상신호의 표시비율 변환장치가 입력영상을 상기 수평구간과 수직구간으로 만들어지는 블럭단위별로 클럭속도 변화량 정보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클럭속도 변화량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 및 저장하는 버스 디코더와, 저장된 클럭속도 변화량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순서로 해당 블럭의 수평 및/내지 수직변환의 클럭속도 변화량을 결정하고, 상기 변화량으로부터 상기 수평 및/내지 수직 클럭변환속도를 제어하는 클럭속도 제어부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isplay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display ratio of an image signal generates a clock speed change amount information for each block unit is mad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ections of the input image, the clock speed A bus decoder for receiving, decoding, and storing the change amount information, and the clock rate change amount of the horizontal and / or vertical conversion of the block are determined in a predetermined order using the stored clock speed change amount information, and the horizontal and / or the change amount is determined from the change amount. The clock speed control unit controls the vertical clock conversion spe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영상신호의 표시비율 변환방법이 입력영상을 미리 설정된 순서로 상기 수평구간과 수직구간이 서로 겹쳐져서 만들어지는 블럭단위별로 클럭속도 변화량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와, 클럭속도 변화량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 및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클럭속도 변화량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순서로 해당 수평 및/내지 수직변환의 클럭속도 변화량을 결정하고, 상기 변화량만큼 상기 수평 및/내지 수직 클럭변환신호를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isplay ratio conversion method of the video signal generates the clock speed change amount information for each block unit that is made by overlapping the horizontal section and the vertical section in the preset order And receiving, decoding, and storing the clock speed change amount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clock speed change amount of a corresponding horizontal and / or vertical conversion in a preset order by using the stored clock speed change amount information. And / or controlling the vertical clock conversion signal.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임의의 수평 및 수직 위치에서 영상 데이터의 출력속도를 쉽게 변환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그 해당 위치에서의 영상의 종횡비가 달라지도록 한다. 또한, 임의의 입력화소를 원하는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control device such as a microprocessor, it is possible to easily convert the output speed of the image data in any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 resulting in a change in the aspect ratio of the image at that position. In addition, any input pixel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at a desired position.
도1은 일반적인 아날로그방식의 편향파 발생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analog deflection wave generator.
도 2a는 비율변환을 하지 않은 정상적인 경우의 화면 상태도이고,2A is a screen state diagram of a normal case without ratio conversion.
도 2b는 도 2a에 보인 정상적인 화면에 대해 모든 수직구간에 대해 일정비율로 수평 클럭변환을 실시한 화면 상태도이고,FIG. 2B is a screen state diagram in which horizontal clock conversion is performed at a constant rate for all vertical sections with respect to the normal screen shown in FIG.
도 2c는 도 2a에 보인 정상적인 화면에 대해 모든 수평구간에 대해 일정비율로 수직 클럭변환을 실시한 화면 상태도이다.FIG. 2C is a screen state diagram in which vertical clock conversion is performed at a constant rate for all horizontal sections with respect to the normal screen shown in FIG. 2A.
도 2d는 도 2a에 보인 정상적인 화면에 대해 모든 수직구간에 대해 다른 비율로 수평 클럭변환을 실시한 화면 상태도이다.FIG. 2D is a screen state diagram in which horizontal clock conversion is performed at different rates for all vertical sections with respect to the normal screen shown in FIG. 2A.
도 2e는 도 2a에 보인 정상적인 화면에 대해 모든 수평 구간에 대해 다른 비율로 수직 클럭변환을 실시한 화면 상태도이다.FIG. 2E is a screen state diagram in which vertical clock conversion is performed at different rates for all horizontal sections with respect to the normal screen shown in FIG. 2A.
도 2f는 도 2a에 보인 정상적인 화면에 대해 수직 위치별 수평비율이 다르고, 수평위치별 수직비율이 다른 경우, 화면의 수평 및 수직 클럭변환을 수평 및 수직구간에 따라 다르게 실시한 경우를 보인 화면 상태도이다.FIG. 2F is a scree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horizontal ratio of each vertical position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screen shown in FIG. 2A and the vertical ratio of the horizontal positions is different,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lock conversion of the screen is per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ections.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비율 변환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nverting a screen display rat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보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제어버스의 포맷을 보인 블럭 구성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ormat of a control bus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shown in FIG.
도 5는 도 3에 보인 버스 디코더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럭 구성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us decoder illustrated in FIG. 3.
도 6은 도 5에 보인 버스 디코더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 구성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us decoder shown in FIG.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비율 변환방법을 실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상태도이다.7A to 7B are screen state diagrams for describing an implementation of a display ratio conver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수평 클럭 속도 제어부 및 수직 클럭 속도 제어부의 블럭 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orizontal clock speed controller and a vertical clock speed controller illustrated in FIG. 3.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수평 및 수직 클럭값 발생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럭 구성도이다.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lock value generators shown in FIG. 3.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플립플롭 어레이의 구성을 보인 블럭 구성도이다.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lip-flop array shown in FIG.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버스 디코더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블럭 구성도이다.FIG.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s decoder illustrated in FIG. 5.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5에 도시된 영상처리부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블럭 구성도이다.12A to 12C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respective embodiments of the image processor illustrated in FIG. 5.
도 13은 도 12a에 보인 수평처리부의 내부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FIG.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orizontal processing unit shown in FIG. 12A.
도 14는 도 12b 내지 12c에 보인 수직처리부의 내부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FIG. 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ertical processing unit shown in FIGS. 12B to 12C.
도 15는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수평처리부와 수직처리부의 동작에 따른 화면의 변환상태도이다.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conversion state according to operations of the horizontal processing unit and the vertical processing unit illustrated in FIGS. 13 to 14.
도 16은 도 13 내지 도 14의 동작에 따른 수평 및 수직변환에서의 어드레스 변환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ddress translation in horizontal and vertical conversions according to the operations of FIGS. 13 to 14.
도 17a 내지 17d는 수평 및 수직구간의 클럭속도 변화를 보이기 위한 그래프이다.17A to 17D are graphs showing changes in clock speeds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sections.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symbols in the drawings
500 : 마이크로 프로세서 501 : 버스 디코더500: microprocessor 501: bus decoder
502 : 화소 카운터부 503 : 수평클럭 발생부502: pixel counter unit 503: horizontal clock generator
504 : 수직위치 카운터부 505 : 수직클럭 발생부504: vertical position counter unit 505: vertical clock generating unit
506 : 수평클럭속도 제어부 507 : 수평클럭값 발생부506: horizontal clock speed control unit 507: horizontal clock value generating unit
508 ; 수평클럭값 로우 패스 필터 509 : 클럭 선택부508; Horizontal Clock Value Low Pass Filter 509: Clock Selector
510 : 영상처리부 513 : 수직클럭속도 제어부510: image processing unit 513: vertical clock speed control unit
514 : 수직클럭값 발생부 515 : 수직클럭값 로우 패스 필터514: vertical clock value generator 515: vertical clock value low pass filter
521 : 수평/수직변환 표시구간 522 : 구간정의 표시구간521: horizontal / vertical conversion display section 522: section definition display section
523 : 구간번호 표시구간 524 : 기울기 표시구간523: section number display section 524: slope display section
525 : 증가/감소 표시구간 526 : 구간길이 표시구간525: increase / decrease display section 526: section length display sec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신호의 표시비율 변환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onverting a display ratio of a video sig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신호의 표시비율 변환 장치는 사용자의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입력영상을 다수의 수평구간과 수직구간으로 만들어지는 블록단위별로 클럭속도 변화량 정보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00)와, 마이크로 프로세서(500)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속도 변화량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 및 저장하는 버스 디코더(101)와, 버스 디코더(101)에 저장된 클럭속도 변화량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블록의 수평 및/내지 수직의 클럭속도 변화량을 결정하고, 이 변화량만큼 수평 및/내지 수직의 클럭속도 변화량을 제어하는 클럭속도 제어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클럭속도 제어부는 버스 디코더(501)에서 출력되는 화소클럭으로 각 수평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화소 카운터부(502)와, 버스 디코더(501)에 저장된 클럭속도 변화량 정보로부터 제공되는 기울기 또는 증가/감소 정보를 받아 수평 클럭속도를 제어하는 수평 클럭속도 제어부(506)와, 수평 클럭속도 제어부(506)에서 출력되는 수평클럭 속도제어신호와 입력수평동기신호(Hsync)를 이용하여 수평클럭값을 발생시키는 수평클럭값 발생부(507)와, 수평클럭값 발생부(507)의 출력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시키는 수평클럭값 로우 패스 필터(508)와, 수평클럭값 로우 패스 필터(508)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수평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수평클럭 발생부(503)와, 버스 디코더(501)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Vsync)로 각 수직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수직위치 카운터부(504)와, 버스 디코더(501)에 저장된 클럭속도 변화량 정보로부터 제공되는 기울기 또는 증가/감소 정보를 받아 수직클럭속도를 제어하는 수직클럭속도 제어부(513)와, 수직클럭속도 제어부(513)에서 출력되는 수직클럭 속도제어신호와 외부에서 제공되는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수직클럭값을 발생시키는 수직클럭값 발생부(514)와, 수직클럭값 발생부(514)의 출력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시키는 수직클럭값 로우 패스 필터(515)와, 수직클럭값 로우 패스 필터(515)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수직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직클럭 발생부(505)와, 수평클럭 발생부(503)와 수직클럭 발생부(505)의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선택하는 클럭선택부(509)와, 클럭선택부(509)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표시비율 변환값에 따라 입력영상을 각 블록별로 변환시켜 표시하는 영상처리부(51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an apparatus for converting a display ratio of a video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that generates clock speed variation information for each block unit in which an input image is formed into a plurality of horizontal and vertical sections according to an input of a user's control signal. And a bus decoder 101 for receiving, decoding, and storing clock speed change amoun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500, and horizontal and horizontal blocks of the corresponding block using the clock speed change amount information stored in the bus decoder 101. And a clock speed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clock speed change amou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trolling the horizontal and / or vertical clock speed change amount by the change amount. Here, the clock speed controller is a pixel clock output from the bus decoder 501, and a tilt or increase provided from the pixel counter unit 502 for determining the length of each horizontal section and the clock speed change amount information stored in the bus decoder 501. / Horizontal clock speed control unit 506 for controlling the horizontal clock speed in response to the reduction information, and the horizontal clock value using the horizontal clock speed control signal and the input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output from the horizontal clock speed control unit 506 A horizontal clock value generator 507 to generate the horizontal clock value low pass filter 508 for filte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horizontal clock value generator 507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nd a horizontal clock value low pass filter 508 The length of each vertical section is determined by the horizontal clock generator 503 that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and generates a horizontal clock signal,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output from the bus decoder 501. A vertical clock speed controller 513 for controlling the vertical clock speed by receiving the inclination or the increase / decreas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osition controller 504, the clock speed change information stored in the bus decoder 501, and the vertical clock speed controller. The output signal of the vertical clock value generator 514 and the vertical clock value generator 514 for generating a vertical clock value by using the vertical clock speed control signal output from 513 and a vertical synchronous signal provided from the outside A vertical clock value low pass filter 515 for filtering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 vertical clock generator 505 for receiving an output signal of the vertical clock value low pass filter 515 and generating a vertical clock signal, and a horizontal clock A clock selector 509 for selectively selecting output signals of the generator 503 and the vertical clock generator 505, and an input image according to the display ratio conversion value of the video signal inputted through the clock selector 509;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510 converts and displays each block.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영상신호의 표시비율 변환장치에서는 전 화면을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에 의해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구간으로 구분한 뒤 각 구간에 걸쳐서 클럭속도를 변환한다.In the apparatus for converting the display ratio of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entire scree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by the microprocessor 100, and the clock speed is converted over each section.
물론, 변환제어 데이터 메모리가 충분하고 변화율의 기울기 변화가 심하여 화질손실에 무리가 가더라도 상관이 없다면 각 화소 단위로도 처리가 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시각적으로 구간 경계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만 세분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개의 구간중 각 구간 단위별로 처리하는 것으로 설명한다.Of course, if the conversion control data memory is sufficient and the change in the slope of the change rate is so severe that the image loss does not matter, processing can be performed for each pixel unit. However,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division can only be visually impaired. It will be described by processing for each section unit of a plurality of preset sections.
즉, 화면을 수평적으로 64 구간 수직적으로 64 구간으로 각각 나눈다. 각 구간은 또한 등간격이 아닌 구간길이를 갖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구간이 수평적으로 1 내지 64 화소 단위로 또는 수직적으로는 라인 단위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적으로는 아무리 급격하게 변환 비율의 변화를 준다 하더라도 거의 경계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That is, the screen is divided into 64 sections horizontally and 64 sections vertically. Each section also has a section length rather than an equal interval,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ection can be freely adjusted horizontally in units of 1 to 64 pixels or vertically in units of lines. Therefore, no matter how rapidly the change of the conversion rate is visually felt, almost no boundary is felt.
도 3의 버스 디코더(501)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00)로부터 직렬로 입력되는 버스를 받아 각 수평 및 수직 64 구간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러면 각 수평 수직 구간이 겹쳐질 때 생기는 사각형을 블록으로 정의할 때, 각 해당 블록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클럭 속도를 얼마나 조절할 것인지를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전달받게 된다.The bus decoder 501 of FIG. 3 receives a bus input in series from the microprocessor 500 and stores necessary data in 64 horizontal and vertical sections. Then, when defining a rectangle that occurs when each horizontal and vertical section overlaps as a block, the stored data receives how much to adjust the horizontal or vertical clock speed for each corresponding block.
여기서, 화소카운터부(502)는 화소(pixel) 클럭으로 각 수평구간의 길이 만큼 세어서 캐리가 발생되면 그 구간의 끝을 알림과 동시에 다음 수평 구간으로 넘어가서 카운트를 진행시킨다.Here, the pixel counter unit 502 counts the length of each horizontal section by a pixel clock, and when carry is generated, the end of the section is notified and the count is progressed to the next horizontal section.
마찬가지로, 수직위치 카운터부(504)는 수평동기신호(Hsync)로 각 수직구간의 길이 만큼 세어서 캐리가 발생되면 그 구간의 끝을 알림과 동시에 다음 수직 구간으로 넘어가서 카운트를 진행시킨다.Similarly, the vertical position counter unit 504 counts the length of each vertical section by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nd if a carry occurs, the end of the section is notified and the count is advanced to the next vertical section.
수평클럭속도 제어부(506)에서는 버스 디코더(501)로 부터 기울기 또는 증가/감소 정보를 받아 수평 클럭 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수평클럭값 발생부(507)에서 발생된 수평클럭값이 수평 로우 패스 필터(508)를 거쳐 디지털 수평 클럭발생부(503)에 의해 수평변환 클럭으로 바뀌게된다. 이것이 바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원하는 비율로 수평 변환 클럭이 된다.The horizontal clock speed controller 506 controls the horizontal clock speed by receiving the slope or increase / decrease information from the bus decoder 501. Then, the horizontal clock value generated by the horizontal clock value generator 507 is changed into a horizontal conversion clock by the digital horizontal clock generator 503 via the horizontal low pass filter 508. This is the horizontal conversion clock at the desired rate for the displayed image.
또한, 수직 클럭속도 제어부(513)에서는 버스 디코더(501)로 부터 기울기 또는 증가/감소 정보를 받아 수직클럭 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수직클럭값 발생부(514)에서 발생된 수직클럭값이 수직 로우 패스 필터(515)를 거쳐 디지털 수직 클럭발생부(505)에 의해 수직변환 클럭으로 바뀌게된다. 이것이 바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원하는 비율로 수직 변환 클럭이 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 clock speed control unit 513 controls the vertical clock speed by receiving slope or increase / decrease information from the bus decoder 501. Then, the vertical clock value generated by the vertical clock value generator 514 is converted into a vertical conversion clock by the digital vertical clock generator 505 through the vertical low pass filter 515. This is the vertical conversion clock at the desired rate for the displayed image.
한편, 수평 내지 수직구간을 64로 할 수 있다는 것은 클럭속도의 변화분(기울기)의 부호가 최대 64번까지 바뀔 수 있다는 것이므로 64차의 곡선을 이룰 수 있지만, 이는 사인파의 주기가 32번 까지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to vertical interval of 64 means that the sign of the change in the clock speed (tilt) can be changed up to 64 times, so that the curve of the 64th order can be formed, but the period of the sine wave is repeated up to 32 times. Can be.
그러므로, 수평클럭값 로우 패스 필터(508)는 예를 들어, 각 구간이 등간격이라고 가정하면 60Hz, 525 라인의 주사선을 갖는 경우 31.5kHz x 32 = 약 1MHz 이상의 대역을 갖게 될 것이며, 수직클럭값 로우 패스 필터(515)는 60 Hz x 32 = 약 2kHz 이상의 대역을 갖게 된다. 단, 도 6과 같이 수직변환 클럭이 수평구간에 따라 달라질 때 즉, 화면의 수평선이 상하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수직클럭값 로우 패스 필터(515)도 약1MHz 이상의 대역을 갖게 된다.Therefore, the horizontal clock value low pass filter 508 will have a band of 31.5 kHz x 32 = about 1 MHz or more, for example, if each section has a scanning line of 60 Hz and 525 lines, assuming that the intervals are equally spaced. The low pass filter 515 will have a band of 60 Hz x 32 = about 2 kHz or more. However, as shown in FIG. 6, when the vertical conversion clock is chang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section, that is, when the horizontal line of the screen is converted up and down, the vertical clock value low pass filter 515 also has a band of about 1 MHz or more.
도 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00)에서 출력되는 제어버스의 포맷을 보인 것이다.4 shows the format of the control bus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500.
도 4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500)에서 출력되는 클럭속도 변화량 정보를 갖는 버스는 이후의 값들이 수평변환에 적용될 값들인지, 수직변환에 적용될 값들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수직/수평변환 표시구간(521)과, 수평변환 내지 수직변환의 수평구간에 속하는지 수직구간에 속하는지를 구별하기 위한 구간정의 표시구간(522)과, 0-63번의 구간을 지시하기 위한 구간번호 표시구간(523)과, 클럭속도 변환의 실시여부를 구별하기 위한 기울기 표시구간(524)과, 기울기 표시구간(524)의 상태가 클럭속도 변환을 실시할 경우 클럭속도의 기울기를 증가 내지 감소시키기 위한 증가/감소 표시구간(525)과, 현재의 기울기로 몇 화소 (또는 수직일 땐 몇 라인)만큼 같은 기울기를 유지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구간길이 표시구간(526)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a bus having clock speed vari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500 may include a vertical / horizontal transformation display section for distinguishing whether subsequent values are values to be applied to horizontal transformation or values to be applied to vertical transformation. 521, a section definition display section 522 for discriminating whether it belongs to a horizontal section or a vertical section for horizontal to vertical conversion, a section number display section 523 for indicating section 0-63, The slope display section 524 for distinguishing whether or not the clock speed conversion is performed and the increase / decrease display section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lope of the clock speed when the state of the slope display section 524 performs the clock speed conversion ( 525 and a section length display section 526 for determining how many pixels (or how many lines in the vertical) the same slope is maintained at the current slope.
서브 어드레스의 수평/수직 변환 표시구간(521)은 1 비트로 이루어졌으며, 이후의 값들이 수평변환에 적용될 값들인지 수직변환에 적용될 값들인지를 구별한다. 또한, 구간정의 표시구간(522)은 1 비트로 이루어졌으며, 수평변환에 있어서도 수직적으로 다른 위치에서는 비율이 다른 수평 변환을 하게 되므로 수평변환의 수평구간인지 수직구간인지를 구별한다.The horizontal / vertical conversion display section 521 of the sub address is composed of 1 bit, and distinguishes whether subsequent values are values to be applied to the horizontal conversion or values to be applied to the vertical conversion. In addition, the interval definition display section 522 is composed of 1 bit, and even in the horizontal conversion, the horizontal conversion is per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vertically different positions, thereby distinguishing the horizontal section or the vertical section of the horizontal transformation.
구간번호 표시구간(524)은 6 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0 ~ 63 ( 또는 1 ~ 64로 명명하기 나름 ) 번의 구간을 지시한다.The section number display section 524 is composed of 6 bits and indicates a section of 0 to 63 (or 1 to 64).
기울기 표시구간(524)이 1 일 때는 클락 속도를 현재상태로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증가/감소 표시구간(525)은 무시된다. 그러나, 기울기 표시구간(524)이 0 때는 증가/감소 표시구간(525)이 1 이면 변환 클럭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0 이면 변환 클럭의 속도를 감소시킨다.When the slope display section 524 is 1, the clock speed is kept constant in the current state, so the increase / decrease display section 525 is ignored. However, when the slope display section 524 is 0, the increase / decrease display section 525 is 1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converted clock, and 0 to decrease the speed of the converted clock.
구간길이 표시구간(526)은 현재의 기울기로 몇 화소 (또는 수직일 땐 몇 라인)만큼 같은 기울기를 유지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때, 결정된 값이 수평변환에서 화소 카운터부(502)의 로드값 또는 수직변환에서 수직위치 카운터부(504)의 로드값이 된다.The section length display section 526 determines how many pixels (or how many lines are vertical) to maintain the same slope with the current slope. At this time, the determined value becomes the load value of the pixel counter unit 502 in the horizontal transformation or the load value of the vertical position counter unit 504 in the vertical transformation.
이하에서, 도 5를 보면서 클럭속도 수평변환을 위한 버스 디코더(501)의 동작을 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us decoder 501 for horizontal clock speed convers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본 발명에서는 수평변환에 대해서도 각 수직구간마다 수평변환을 달리하므로 6 비트 x 64 플립플롭 메모리(536)를 별도로 두어 이것이 64 x 1 먹스(539)에 의해 각 수직구간별로 선택되도록 하고, 이 값을 수평변환용 라인 카운터(541)에 로드하여 이 값만큼의 라인수가 지난 후 수평변환 라인 카운터(541)의 캐리가 발생하면, 그 수직방향 구간이 끝난 것을 알림과 동시에 모듈로-64 카운터(MC52)의 클럭으로 작용하여 이 카운터(MC52)의 출력이 6 비트 64 x 1 먹스(539)와 수직구간 선택용 8 비트 64 x 1 먹스(538a-538n)의 다음 입력을 선택하게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rizontal conversion is different for each vertical section, the 6-bit x 64 flip-flop memory 536 is set separately so that it is selected for each vertical section by the 64 x 1 mux 539. When the horizontal conversion line counter 541 carries a load after the number of lines in the horizontal conversion line counter 541 is reached, the modulo-64 counter MC52 is notified at the end of the vertical section. The output of this counter MC52 selects the next input of the 6 bit 64 x 1 mux 539 and the 8 bit 64 x 1 mux 538a-538n for vertical section selection.
이렇게 선택된 임의의 수직구간에서의 8 비트 데이터는 각 수평구간마다 64가지의 변환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므로 수평변환용 화소 카운터부(502)의 캐리가 들어오면 이것을 모듈로-64 카운터(MC51)를 거쳐 수평구간번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값에 의해 수평구간 선택용 64 x 1 먹스(540)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블럭에 대한 기울기 내지 증가/감소값과 다음 블럭으로 가기 위해 현재의 6 비트값(즉, 현재 블럭의 수평길이) 이 수평변환용 화소 카운터부(502)의 로드값으로 출력된다.Since the 8-bit data in the selected vertical section has 64 kinds of conversion data in each horizontal section, when the carry of the horizontal conversion pixel counter unit 502 comes in, it is horizontally passed through the modulo-64 counter MC51. The section number will be output. This value selects the 64 x 1 mux 540 for horizontal section selection, and the slope or increment / decrement value for that block and the current 6-bit value (i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current block) It is output as a load value of the conversion pixel counter 502.
수직변환에 대해서도 수평변환과 같은 방식으로 수직변환용 수직위치 카운터부(504)의 캐리가 입력되어 모듈로-64 카운터(MC53)에 의해 수직방향의 구간이 선택된다.In the vertical conversion, the carry of the vertical position counter 504 for vertical conversion is input in the same manner as the horizontal conversion, and the vertical section is selected by the modulo-64 counter MC5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변환을 위한 수직 및 수평구간별 블록과 수직 변환을 위한 수직 및 수평구간별블록을 별도로 두고 있으나, 도 5에서는 수평변환에서만 각 수직구간을 구분하였고, 수직변환에서는 모든 수평구간을 일정 비율로 변환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를 더 확장하여, 도 6에서는 수직변환에서도 각 수평구간별 변환비율을 달리하도록 구성한 버스 디코더(501)를 보여 주고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7A to 7B,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ction blocks for horizontal transformation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ction blocks for vertical transformation are separately provided. The vertical sections were divided, and in the vertical conversion, all horizontal sections were converted to a certain ratio. However, by further expanding this, FIG. 6 shows a bus decoder 501 configured to vary conversion ratios for each horizontal section even in the vertical convers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각 블록의 모양은 가로, 세로를 구간길이 데이터에 의해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모든 블록이 서로 중첩되지 않아야 하며, 빈 영역이 있어서도 안되므로 한 수직구간에 따른 수평구간들의 수직길이는 일정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CPT의 편향 빔이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순서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이며, 그렇다고 해서 수평직선을 상하로 구부리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의 디코더를 이용해도 도 2e와 같이 수평직선을 상하로 구부리는 것은 수직변환 클럭속도의 수평적 변화를 통해서 얼마든지 가능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each block may be arbitrarily determined by the section length data. For convenience, all blocks should not overlap each other and there should not be empty areas, so the vertical lengths of the horizontal sections along one vertical section are made constant. This is because the deflection beam of the CPT runs in order from left to right and top to bottom, but this does not prevent the horizontal straight line from bending up and down. Even if the decoder of FIG. 6 is used, the horizontal straight line can be bent up and down as shown in FIG. 2E through the horizontal change of the vertical conversion clock speed.
도 8은 도3의 수평 및 수직클럭 속도 제어부(506,513)의 구성도이다. 여기서는 버스 디코더(501)로 부터 기울기 또는 기울기에 대한 증가/감소 신호를 받아 기울기 증가일 땐 현재의 값을 증가시키고, 기울기 감소일 땐 현재의 값을 감소시키는 증가/감소 카운터(568)를 구동시킨다.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lock speed controllers 506 and 513 of FIG. In this case, the increase / decrease signal for the slope or the slope is received from the bus decoder 501 to drive the increase / decrease counter 568 that increases the current value when the slope is increased and decreases the current value when the slope is decreased. .
이 증가/감소 카운터(568)의 출력이 클럭 속도제어 출력으로 전달된다. 이 클럭 속도제어 출력은 도 17a, 도 1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구간마다 선형적으로 변화한다.The output of this increment / decrement counter 568 is passed to the clock speed control output. This clock speed control output changes linearly in each section as shown in Figs. 17A and 17B.
도 17a는 정속으로 쓸 때 정상 클럭속도에 대해 리드클럭속도의 변화를 보이고, 도 17b는 정속으로 읽을 때 정상 클럭속도에 대해 라이트 클럭속도의 변화를 보인 것이다.FIG. 17A shows the change of the read clock speed with respect to the normal clock speed when used at constant speed, and FIG. 17B shows the change of the write clock speed with respect to the normal clock speed when reading at constant speed.
참고로, 이 제어값은 도 9의 정상화면의 클럭값인 정상 클럭값보다는 충분히 작은 값이므로 클럭속도는 비교적 느리게 변하게 되며, 수평 또는 수직 로우 패스 필터(508,515)를 거쳐 디지털 클럭발생부(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503,505) 또는 이 값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아날로그 클럭발생부에 입력되더라도 클럭발생부가 무리 없이 변화된 클럭 주파수를 발생하게 된다.For reference, since the control value is sufficiently smaller than the normal clock value of the normal screen of FIG. 9, the clock speed is changed relatively slowly, and the digital clock generator is controlled through the horizontal or vertical low pass filters 508 and 515. oscillator (VCO) (503,505) or digital / analog conversion of this value is input to the analog clock generator even if the clock generator generates a changed clock frequency without difficulty.
이 디지털 클럭값은 한 수평주사선당 화소의 갯수 ( 수직변환일 때는 화면의 라인수) 보다는 많은 10 비트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digital clock value is preferably 10 bits or more, more than the number of pixels per horizontal scan line (the number of lines on the screen in the case of vertical conversion).
도 9에서 속도 제어값이 정상클럭값과 합해져서 도 17d에 도시된 파형과 같은 수평/수직 클럭값이 발생된다.In Fig. 9, the speed control value is summed with the normal clock value to generate a horizontal / vertical clock value such as the waveform shown in Fig. 17D.
도 9의 클럭갯수 비교부(571,574)에서는 영상의 끝에 해당하는 시점까지 클럭 갯수를 세었을 때, 그 숫자가 메모리의 수평 또는 수직 길이보다 크게 되면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와서 라이트 내지 리드를 하게 되므로 라인당 클럭 개수가 그 경계를 초과했을 시는 영상 데이타가 초과하는 분량만큼 수평주사선의 시작부분 (수직일 경우는 상부 시작부분)이 깨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러나 이것이 화면의 스크램블링(scrambling) 효과를 위해서라면 무시해도 상관없으나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개수 초과신호가 발생하면 라인 메모리 내지 필드메모리의 /WE ( 라이트 시 속도변화를 할 때 ) 또는 /RE (리드시 속도변화를 할 때)을 디스에이블시킬 필요가 있다.In the clock number comparison unit 571 and 574 of FIG. 9, when the number of clocks is counted up to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image, when the number is larger than the horizontal or vertical length of the memory, the clock is returned to the origin again and then written or read per line When the number of clocks exceeds the boundary, the start of the horizontal scan line (upper part in the vertical case) is broken by an amount exceeding the image data. However, this can be ignored for scrambling effect of the screen.However, to prevent this phenomenon, if the over-count signal occurs, / WE (when changing the speed during writing) or / RE (lead) of the line memory or the field memory is read. Time speed changes).
이러한 클럭속도 제어방법은 도3에서의 출력이 편향파로 되어 직접 영상변환에 쓰이는 것이 아니라 영상처리부(510)에 속도가 제어된 클럭이 입력되어 영상표시비율을 조절하는 것이다.In this clock speed control method, the output of FIG. 3 is a deflection wave and is not used for direct image conversion. However, the clock whose speed is controlled is input to the image processor 510 to adjust the image display ratio.
도 10은 도 5의 플립플롭 어레이(535a-535n)가 어떻게 수평구간 수직구간을 구분하여 8 비트 데이터를 저장하는지를 보여 준다. 즉, 수직k번째 구간과 수평l번째 구간을 나타내는 디코더의 출력이 동시에 하이레밸이 될 때, 이에 해당하는 2 x 1 먹스(576)의 선택신호가 하이레벨이 되어 8 비트가 8 비트 플립플롭(577)에 입력되며, 그 외의 경우는 현재의 값이 계속 피드백되어 자신의 값을 유지한다.FIG. 10 shows how the flip-flop arrays 535a-535n of FIG. 5 store 8-bit data by dividing the vertical section of the horizontal section. That is, when the outputs of the decoders representing the vertical kth section and the horizontal lth section are at the same time high level, the selection signal of the corresponding 2x1 mux 576 is at the high level so that 8 bits is an 8 bit flip-flop ( 577), otherwise, the current value is continuously fed back to maintain its value.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64 x 64의 8 비트 플립플롭 어레이(535a-535n) 대신에 플립플롭 메모리(587)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이 플립플롭 메모리(587)는 각 블록 단위로 주어진 길이 만큼 기울기 내지 기울기에 대한 증가/감소 정보를 저장해 두고 있으므로 일종의 2 비트 필드 메모리라 할 수 있다.FIG. 1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flip-flop memory 587 is used instead of the 64 x 64 8-bit flip-flop arrays 535a-535n shown in FIG. 5. Since the flip-flop memory 587 stores inclination to increase / decrease information for a given length in units of blocks, the flip-flop memory 587 is a kind of two-bit field memory.
또한, 수직변환을 위해서는 수직방향으로만 2 비트 데이터를 저장해 놓고 있으므로 이 때의 플립플롭 메모리(587)는 수직방향으로 2 비트 라인 메모리로써도 무방하다. 그러나, 도 6과 같이 수직변환에서도 수평구간을 두어 변환비율을 달리할 때는 이것도 수평변환과 마찬가지로 2 비트 필드 메모리를 사용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2-bit data is stored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the vertical conversion, the flip-flop memory 587 at this time may be a 2-bit line memory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as shown in FIG. 6, when the conversion ratio is changed by placing a horizontal section in the vertical conversion, a 2-bit field memory must be used as in the horizontal conversion.
여기서는, 수평변환을 위하여는 수평변환 클럭값 발생에 필요한 2 비트 데이터를 수평주사 유효구간 동안만 플립플롭 메모리(587)에 저장하면 되고, 수직변환을 위해서는 수직주사 유효구간동안에만 수직변환에 필요한 2 비트 데이터를 저장하면 된다.In this case, two-bit data necessary for generating a horizontal conversion clock value needs to be stored in the flip-flop memory 587 only for the horizontal scanning valid period for horizontal conversion, and two necessary for vertical conversion only for the vertical scanning effective period for vertical conversion. This is done by storing bit data.
도 12a-12c는 도 3의 영상처리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써 방법에 따라 수평처리부와 수직처리부로 나누어 수행할 수도 있으며, A/D 또는 D/A 변환시 수평 변환을 수행한다면, 수직처리부 만으로 영상처리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2a는 라인 메모리로된 수평처리부(602)를 읽을 때 속도가 제어된 클럭을 사용함으로써 수평변환을 하고 그 후에 수직처리부(603)를 이용하여 수직변환을 수행하는 경우이고, 도 12b는 A/D 변환시 수평변환을 하는 경우이며, 도 12c는 D/A 변환시 출력클럭으로 수평변환을 하는 경우이다.12A and 12C illustrate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image processor of FIG. 3, and may be divided into a horizontal processor and a vertical processor according to a method. If the horizontal conversion is performed during A / D or D / A conversion, the image is processed using only the vertical processor. You can also configure a processing part. That is, FIG. 12A is a case where horizontal conversion is performed by using a clock whose speed is controlled when reading the horizontal processing unit 602 which is a line memory, and then vertical conversion is performed using the vertical processing unit 603. FIG. In the case of horizontal conversion during A / D conversion, FIG. 12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horizontal conversion is performed by the output clock during D / A conversion.
여기서, A/D 변환시 수평변환을 한다는 것은 수직처리부(605)의 필드메모리에 쓸 때의 속도를 변환하므로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이며, D/A 변환시 수평변환을 한다는 것은 수직처리부(607)의 필드메모리로 부터 읽을 때의 속도를 변환하므로 도 17a와 같은 경우이다. 그러므로, 서로 반대의 클럭 속도 변화를 발생해야만 결과적으로 같은 비율로 변환을 할 수 있다.Here, the horizontal conversion during A / D conversion converts the speed when writing to the field memory of the vertical processing unit 605. Thus, the horizontal conversion during the D / A conversion is performed by the vertical processing unit 607. This is the case as shown in Fig. 17A because the speed at the time of reading from the field memory of " Therefore, the opposite clock speed changes must occur to convert at the same rate.
도 13은 수평변환을 위해 라인메모리(608,609)에 번갈아 가며 수평주사구간을 쓰고 읽는 도 12에 보인 수평처리부(602)의 구성을 보여준다.FIG. 1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horizontal processing unit 602 shown in FIG. 12 for writing and reading horizontal scanning sections alternately to the line memories 608 and 609 for horizontal conversion.
도 14는 도 12b 내지 도 12c에 보인 수직처리부(605,607)의 구성인데, 2개의 필드메모리의 쌍을 사용하여 매 필드마다 번갈아 가며 쓰고 읽는다. 여기서, 제1필드 제1메모리(611)에서는 입력영상을 수평방향으로 쓰면서 제2필드 제1 메모리(616)에서 읽을 때는 수직방향으로 읽음으로써 제1필드제1 메모리(611)의 출력이 도 15b와 같이 되도록 한다. 그러면, D/A 변환기(613)와 로우 패스 필터(614)를 거쳐 영상이 90도 회전한 상태로 다시 A/D 변환기(615)를 통하여 A/D 변환하면 결국 수직으로 재샘플링을 하는 효과가 있다. 이 때는 수직변환클럭의 속도에 따라 라인수가 입력 라인수와는 다른 출력 라인 수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는 화면의 상하로 블랭크가 생기거나 화면의 일부가 안보일 수도 있다. 수직변환 클럭은 D/A 클럭과 A/D 클럭 중 어느 한쪽에만 적용하게 되고 다른 쪽은 정상클럭을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 D/A변환 클럭에 수직변환 클럭을 사용할 때는 도 17a와 같은 경우이고, A/D변환 클럭에 수직변환 클럭을 사용할 때는 도 17b와 같이 서로 반대의 클럭속도 변화를 발생해야만 수직적으로 같은 화면변환 형태를 얻을 수 있다.FIG. 14 is a configuration of the vertical processing units 605 and 607 shown in FIGS. 12B to 12C, which alternately write and read each field using two pairs of field memories. Here, when the first field first memory 611 writes the input ima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reads the second field first memory 616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utput of the first field first memory 611 is shown in FIG. 15B. To be: Then, when the image is rotated 90 degrees through the D / A converter 613 and the low pass filter 614, and then A / D converted again through the A / D converter 615, the effect of vertical resampling is obtained. have.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speed of the vertical conversion clock, the number of lines may have a different number of output lines than the number of input lines. In this case, blanks may be generat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screen, or a part of the screen may not be visible. The vertical conversion clock is applied only to one of the D / A clock and A / D clock, and the normal clock is used for the other. Here, when the vertical conversion clock is used for the D / A conversion clock, it is the same as in FIG. 17A. When the vertical conversion clock is used for the A / D conversion clock, the same screen is vertically generated only when the opposite clock speeds are generated as shown in FIG. 17B. You can get the conversion form.
도 15와 도 16은 수직처리부(605,607)에서의 영상의 수직변환을 어떻게 하는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5 and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how to vertically transform an image in the vertical processing units 605 and 607.
도 17a 내지 17d는 실제로 클럭 제어출력과 정상클럭값을 더하여 영상의 비율변환이 가능한 클럭을 얻었을 때,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톱니파를 변형시킨 편향 파형을 얻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17A to 17D show a method of obtaining a deflection waveform in which a sawtooth wave having such an effect is obtained for understanding, when a clock capable of ratio conversion of an image is obtained by actually adding a clock control output and a normal clock value.
도 2d는 도 17d에서 얻은 수평변환 클럭 및 수평방향으로는 일정한 수직변환 클럭을 이용하여 화면 비율을 변환시킨 영상을 보여준다.FIG. 2D illustrates an image obtained by converting an aspect ratio using a horizontal conversion clock obtained in FIG. 17D and a constant vertical conversion clock in a horizontal direction.
그러나 도 6과 같이 수직편향에서도 수평구간에 따라 클럭속도를 달리하면 수직변환 클럭속도가 수평구간에 따라 느려졌다 빨라졌다 하면서 수직변환을 하므로 도 14의 제2필드 제1 및 제2메모리(616,617)를 거치고 나면 도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주사선 동안에도 수직데이터의 위치가 상하로 바뀌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렇게 하여 화면을 수직편향을 수평구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한 경우의 영상이 도 12f에 나타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6, if the clock spee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section even in the vertical deflection, the vertical conversion clock speed is slowed down and accelerat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section. After passing through, as shown in FIG. 2F,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data is changed up and down even during the horizontal scan line. In this way, the image when the screen is vertically shifted up and down along the horizontal section is shown in Fig. 12F.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CRT와 같은 화면의 전 구간 내지 임의의 구간에 걸쳐 시간당 입력클럭 개수와 출력클럭 개수를 일정한 비율로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라인당 화소 수 및 필드당 라인 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면의 임의의 수평 및 수직 위치에서 입력 영상의 형태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varying the number of input clocks and the number of output clocks per hour over all sections or any section of the screen, such as CRT, by changing the number of pixels per line and the number of lines per field Can be. Therefore, the shape of the input image can be freely changed at any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 of the screen.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15112A KR100262637B1 (en) | 1998-04-28 | 1998-04-28 | Portionally variable ratio scaling apparatus and method of video signals |
US09/157,949 US6191820B1 (en) | 1998-04-28 | 1998-09-22 |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aspect ratio of video sig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15112A KR100262637B1 (en) | 1998-04-28 | 1998-04-28 | Portionally variable ratio scaling apparatus and method of video signal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81265A KR19990081265A (en) | 1999-11-15 |
KR100262637B1 true KR100262637B1 (en) | 2000-08-01 |
Family
ID=1953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1511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62637B1 (en) | 1998-04-28 | 1998-04-28 | Portionally variable ratio scaling apparatus and method of video signa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6263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6105B1 (en) * | 1999-10-25 | 2006-10-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RATII invariant area setting device in panorama function |
KR100404394B1 (en) * | 2001-01-05 | 2003-11-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gulation of display screen size of multi-converter output |
KR20030009838A (en) * | 2001-07-24 | 2003-02-0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Display method of spectrum analyser capable of convers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
-
1998
- 1998-04-28 KR KR1019980015112A patent/KR10026263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81265A (en) | 1999-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67432B1 (en) |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method | |
USRE31200E (en) | Raster scan display apparatus for dynamically viewing image elements stored in a random access memory array | |
US4070710A (en) | Raster scan display apparatus for dynamically viewing image elements stored in a random access memory array | |
JP4686800B2 (en) | Image display device | |
EP0685829A1 (en) | Vertical filtering method for raster scanner display | |
JPH08163457A (en) | On-screen display device and on-screen display method | |
EP0178897B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0262637B1 (en) | Portionally variable ratio scaling apparatus and method of video signals | |
US4618859A (en) | Graphic display unit | |
JP3041951B2 (en) | LCD drive system | |
US5068651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KR100263708B1 (en) | Portionally interpolative ratio scaling apparatus and method of video signals | |
KR100262651B1 (en) | Arbitrary Variable Ratio Deflection Apparatus And Method | |
JPH06138834A (en) | Display device | |
US5418900A (en) | Image expansion device | |
US5396298A (en) |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magnification processing | |
JP2510019B2 (en) | Im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 |
US6670956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n-screen display font height | |
JPH0993516A (en) | Liquid crystal video display device and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 |
JPH11288257A (en) | Method and device for compression display | |
JP3022664B2 (en) | Image display size variable circuit | |
US7106384B1 (en) | Method and device for simultaneously representing at least a first and a second sequence of pictures in an overall picture | |
JP6289559B2 (en) | Image display device | |
JPS60130791A (en) | Control system for character generator | |
JPS644194B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41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05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0504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