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971B1 - 처리가능한 형의 전기전도성 폴리아닐린 및 그로부터 형성된 전도성 제품 - Google Patents
처리가능한 형의 전기전도성 폴리아닐린 및 그로부터 형성된 전도성 제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61971B1 KR100261971B1 KR1019930703839A KR930703839A KR100261971B1 KR 100261971 B1 KR100261971 B1 KR 100261971B1 KR 1019930703839 A KR1019930703839 A KR 1019930703839A KR 930703839 A KR930703839 A KR 930703839A KR 100261971 B1 KR100261971 B1 KR 1002619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aniline
- acid
- alkyl
- conductive polymer
- substr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01B1/128—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compris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in the main chain, e.g. polyanilines, polyphenylen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4)
- 효과적인 프로톤 첨가량의 프로톤산과의 혼합물에서 필름형성 분자량의 폴리 아닐린으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프로톤산은 비극성 또는 약하게 극성인 유기용매, 액화된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 또는 그의 혼합물들에 용해성이 되며 약 10-3S-cm-1보다 큰 전도도를 갖는 폴리아닐린과의 착체를 형성하도록 관능화되는 반대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닐린은 다음식 1의 아닐린을 중합함으로써 제조된 약 10,000보다 큰 중량 평균분자량을 갖는 폴리아닐린이며,(상기식에서,n은 0내지 4의 정수이고;m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단 n과 m의 합이 5이며;R은 각 경우에서 같거나 또는 다르며, 알킬, 알케닐, 알콕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알카노일, 알킬티오, 아릴옥시, 알킬티오알킬,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알킬, 알킬술포닐, 아릴, 아릴티오, 아릴술피닐, 알콕시카르보닐, 아릴술포닐, 카르복실산, 할로겐, 시아노,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알킬; 또는 함께 취해진 어떤 두 개의 R기가 3,4,5,6 또는 7-원 방향족 또는 지환족 고리를 만드는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기를 형성할수도 있는데, 이 고리는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상기 프로톤산이 다음식 VI-VII의 것이고,(상기식에서, A는 술폰산, 셀렌산, 포스폰산, 카르복실산, 황산수소염, 셀렌산수소염, 인산 수소염이며,n*은 0내지 5의 정수이고,m*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단 n*과 m*의 합이 5이며,R1은 5내지 약 20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알케닐, 알콕시, 알카노일, 알킬티오, 알킬티오알킬 ; 또는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알킬, 알킬술포닐, 알콕시카르보닐, 카르복실산, 여기서 알킬 또는 알콕시는 0 내지 약 20 탄소원자를 가지며;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디아조,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3내지 약 20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3,4,5,6 또는 7원방향족 또는 지환족 탄소고리이며, 이 고리는 티오펜일, 피롤릴, 푸라닐, 피리디닐 같이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수 있고; 또는 복수의 A단위가 부착되어 있는 중합체 골격이며,R*은 각 경우에서 같거나 또는 다르며, 알킬, 알케닐, 알콕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알카노일, 알킬티오, 아릴옥시, 알킬티오알킬,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 알킬, 알킬술포닐, 아릴, 아릴티오, 아릴술피닐, 알콕시카르보닐, 아릴술포닐, 카르복실산, 할로겐, 시아노,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디아조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알킬이거나, 또는 함께 취해진 어떤 두 개의 R 치환기가 3,4,5,6 또는 7원 방향족 또는 지환족 탄소고리 또는 그의 복합체를 만드는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기인데, 이 고리 또는 고리들은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수도 있다.)상기 폴리아닐린, 프로톤산 및 기질은 폴리아닐린 1중량부, 프로톤산 0.01 내지 20중량부, 기질이 0.1 내지 500중량부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유기용매, 벌크중합체 및 그의 혼합물들로부터 선택된 유기기질로 추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질 자체는 10-8S-cm-1미만의 벌크전도도와 22미만의 유전상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기질은 비극성이거나 또는 약하게 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기질은 관능화된 반대이온이 용해성인 용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기질은 관능화된 반대이온이 용해성인 벌크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기질은 벌크중합체와 용매로 이루어지고 관능화된 반대이온은 이들 둘다와 용해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폴리아닐린과 상기 관능화된 반대이온을 가진 프로톤산으로 이루어지는 연속상으로 이루어지는 미소구조를 가지며 적어도 약 10중량%의 기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약 10-1S-cm-1의 전도도를 갖는 프로톤 첨가된 폴리아닐린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폴리아닐린과 관능화된 프로톤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약 3×102S-cm-1의 전도도를 갖는 프로톤 첨가된 폴리아닐린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폴리아닐린과 관능화된 프로톤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아닐린이 비치환된 아닐린이 되도록 m이 5와 같고 n이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닐린이 치환된 아닐린으로부터 유도되도록 n이 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A는 술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12항에 있어서, M*은 4이고 n*은 1이며, 반대이온은 R*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각 경우에서 같거나 다르며 2 내지 약 14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콕시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알킬인 식 VII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닐린에 더하여 5 내지 9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폴리아닐린과 착체를 형성하는 술폰산 HOSO2-R1(여기서 R1은 C6H12-, C8H17-, C8F17-,4-도데실 벤젠, (L, D)-10-캄포-, 에틸벤젠-, o-아니시딘-5-, p-클로로벤젠-, 히드록시벤젠-, 트리클로로벤젠-, 2- 히드록시-4- 메톡시-벤조페논-, 4-니트로 톨루엔-2-, 디노닐나프탈렌-, 4-모르폴리에탄-, 및 2-{[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 아미노]}-1-에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그리고 C8F17COOH, 비스(인산수소 2-에틸헥실) 및 인산수소디페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프로톤산으로 이루어지는 약 10-8S-cm와 같거나 그 보다 큰 전도도를 갖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12항에 있어서, 아닐린에 더하여 5내지 95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폴리아닐린과 착체를 형성하는 도데실 벤젠술폰산으로 이루어지는 약 10-8S-cm-1과 같거나 그보다 큰 전도도를 갖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4-헥실옥시페놀, 3-펜타데실페놀, 노닐페놀, 4-도데실레조르시놀, 4-(tert-옥틸) 페놀, 2,6-디-tert-부틸-4- 메틸페놀, 3,4-디메틸페놀, 2,6-디메틸페놀, 메틸 p- 톨루엔 술포네이트, 에틸 p-톨루엔술포네이트, n-헥실 p-톨루엔술포네이트, 에틸 도데실 벤젠술폰산 이소프로필아민 dkf킬아릴술포네이트, 1-도데칸올, 1-트리데칸올, 1-도코산올, 화학식 CH3(CH2)XCH2COCH2CH2)nOH(여기서 x=10-14, n= 1.3; x=6.8, n=1.0; x=10-12, n=3; x=6-8, n=2)의 에톡실레이트; 폴리(옥시-1,2-에탄디일), 알파(노닐페녹시)-ω-히드록시 및 황산화된 알킬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암모늄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가소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기질은 용융된 또는 액체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17항에 있어서, 기질은 추가로 액체 용매 및/또는 가소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유기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약22보다 더 작은 유전상수를 가지며 상기 용매는 약 5 내지 약 12 탄소원자를 갖는 알칸 및 알켄, 광유, 방향족 화합물, 할로겐화된 방향족 화합물, 할로겐화된 알칸, 및 지방족 알코올, 4 내지 약 12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에테르 및 케톤, 시클로알칸, 시클로알켄, 사염화탄소, 2 황화탄소, 클로로포름, 브로모포름, 디클로로메탄, 모르폴린, 아닐린, 알킬벤젠, 크실렌, 톨루엔, 데카히드로나프탈렌, 스티렌, 벤질알코올, 나프탈렌, 페놀, 및 크레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4-헥실옥시페놀, 3-펜타데실페놀, 노닐페놀, 4-도데실레조르시놀, 4-(tert-옥틸) 페놀, 2,6-디-tert-부틸-4- 메틸페놀, 3,4-디메틸페놀, 2,6-디메틸페놀, 메틸 p- 톨루엔 술포네이트, 에틸 p-톨루엔술포네이트, n-헥실 p-톨루엔술포네이트, 에틸 도데실 벤젠술폰산 이소프로필아민 dkf킬아릴술포네이트, 1-도데칸올, 1-트리데칸올, 1-도코산올, 화학식 CH3(CH2)XCH2COCH2C H2)nOH(여기서 x=10-14, n= 1.3; x=6.8, n=1.0; x=10-12, n=3; x=6-8, n=2)의 에톡실레이트; 폴리(옥시-1,2-에탄디일), 알파(노닐페녹시)-ω-히드록시 및 황산화된 알킬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암모늄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가소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비닐아세테이트),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에틸렌-비닐렌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실록산, 폴리술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의 호모- 및 공중합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12, 나일론 8,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4,6, 비정질 나일론,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부티랄)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10-8S-cm-1보다 큰 전도도, 및 485내지 675nm의 스펙트럼범위에 걸쳐 60% 이상의 통합 투과율을 갖는 투명한 도체로 고화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23항에 있어서, 기질은 용융된 또는 액체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23항에 있어서, 기질은 액체용매 및/또는 가소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23항에 있어서, 기질은 용매 더하기 용융된 또는 액체 올리고머 또는 벌크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약 5 내지 약 12 탄소원자를 갖는 알칸 및 알켄, 광유, 방향족 화합물, 할로겐화된 방향족 화합물, 할로겐화된 알칸, 및 지방족 알코올, 4 내지 약 12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에테르 및 케톤, 시클로알칸, 시클로알켄, 사염화탄소, 2 황화탄소, 클로로포름, 브로모포름, 디클로로메탄, 모르폴린, 아닐린, 알킬벤젠, 크실렌, 톨루엔, 데카히드로나프탈렌, 스티렌, 나프탈렌, 페놀, 크레졸, 벤질알코올, 에폭시 및 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23항에 있어서, 관능화된 프로톤산은 약 22와 같거나 그 보다 작은 유전상수를 갖는 액체이며 상기 프로톤산은 또한 기질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약 10-6S-cm-1과 같거나 그 보다 큰 전도도와 485내지 675nm의 스펙트럼 범위에 걸쳐 60% 이상의 통합투과율을 갖는, 폴리아닐린과 폴리아닐린과 착체를 형성하는 관능화된 프로톤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16항중 어느 한항의 전도성 중합체 물질.
- 제2항에 있어서, 약 10-8S-cm-1보다 큰 전도도와 485 내지 675nm의 스펙트럼 범위에 걸쳐 60% 이상의 통합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30항에 있어서, 475 내지 675nm의 스펙트럼 범위에서 90% 이상의 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 제31항에 있어서, 적어도 10 S-cm-1의 전도도를 가지며 폴리아닐린과 (L, D)-10-캄포술폰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 a. 폴리아닐린, 22미만의 유전상수를 갖는 유기액체용매와 임의적으로 10-8S-cm-1미만의 전도도를 갖는 기질 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질과 상기 용매 및 상기 임의의 중합체에 용해성인 관능화된 프로톤산으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b. 용액을 원하는 물품으로 형태화한후 또는 형태화와 동시에 상기 용액으로부터 상기 용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리아닐린은 다음식 1의 아닐린을 중합함으로써 제조된 약 10,000 보다 큰 중량 평균분자량을 갖는 폴리아닐린이며,(상기식에서,n은 0내지 4의 정수이고;m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단 n과 m의 합이 5이며;R은 각 경우에서 같거나 또는 다르며, 알킬, 알케닐, 알콕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알카노일, 알킬티오, 아릴옥시, 알킬티오알킬,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알킬, 알킬술포닐, 아릴, 아릴티오, 아릴술피닐, 알콕시카르보닐, 아릴술포닐, 카르복실산, 할로겐, 시아노,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알킬; 또는 함께 취해진 어떤 두 개의 R기가 3,4,5,6 또는 7-원 방향족 또는 지환족 고리를 만드는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기를 형성할수도 있는데, 이 고리는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호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상기 프로톤산이 다음식 VI-VII의 것이고,(상기식에서, A는 술폰산, 셀렌산, 포스폰산, 카르복실산, 황산수소염, 셀렌산수소염, 인산 수소염이며,n*은 0내지 5의 정수이고,m*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단 n*과 m*의 합은 5이며,R1은 5내지 약 20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알케닐, 알콕시, 알카노일, 알킬티오, 알킬티오알킬, ; 또는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알킬, 알킬술포닐, 알콕시카르보닐, 카르복실산, 여기서 알킬 또는 알콕시는 0 내지 약 20 탄소원자를 가지며;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디아조,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3내지 약 20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3,4,5,6 또는 7원방향족 또는 지환족 탄소고리이며, 이 고리는 티오펜일, 피롤릴, 푸라닐, 피리디닐 같이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호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수 있고; 또는 복수의 A단위가 부착되어 있는 중합체 골격이며,R*은 각 경우에서 같거나 또는 다르며, 알킬, 알케닐, 알콕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알카노일, 알킬티오, 아릴옥시, 알킬티오알킬,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 알킬, 알킬술포닐, 아릴, 아릴티오, 아릴술피닐, 알콕시카르보닐, 아릴술포닐, 카르복실산, 할로겐, 시아노,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디아조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알킬이거나, 또는 함께 취해진 어떤 두 개의 R 치환기가 3,4,5,6 또는 7원 방향족 또는 지환족 탄소고리 또는 그의 복합체를 만드는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기인데, 이 고리 또는 고리들은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수도 있다.)상기 폴리아닐린, 프로톤산 및 기질은 폴리아닐린 1중량부, 프로톤산 0.01 내지 20중량부, 기질이 0.1 내지 500중량부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a. 폴리아닐린, 22미만의 유전상수를 갖는 유기액체 단량체의 액체기질 그리고 상기 기질에 유해성인 관능화된 프로톤산으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b. 용액을 원하는 물품으로 형태화한후 또는 형태화와 동시에 상기 용액에서 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중합체 물품의 형성방법으로서, 상기 폴리아닐린은 다음식 1의 아닐린은 중합함으로써 제조된 약 10,000 보다 큰 중량 평균분자량을 갖는 폴리아닐린이며,(상기식에서,n은 0내지 4의 정수이고;m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단 n과 m의 합이 5이며;R은 각 경우에서 같거나 또는 다르며, 알킬, 알케닐, 알콕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알카노일, 알킬티오, 아릴옥시, 알킬티오알킬,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알킬, 알킬술포닐, 아릴, 아릴티오, 아릴술피닐, 알콕시카르보닐, 아릴술포닐, 카르복실산, 할로겐, 시아노,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알킬; 또는 함께 취해진 어떤 두 개의 R기가 3,4,5,6 또는 7-원 방향족 또는 지환족 고리를 만드는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기를 형성할수도 있는데, 이 고리는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상기 프로톤산이 다음식 VI-VII의 것이고,(상기식에서, A는 술폰산, 셀렌산, 포스폰산, 카르복실산, 황산수소염, 셀렌산수소염, 인산 수소염이며,n*은 0내지 5의 정수이고;m*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단 n*과 m*의 합이 5이며;R1은 5내지 약 20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알케닐, 알콕시, 알카노일, 알킬티오, 알킬티오알킬; 또는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알킬, 알킬술포닐, 알콕시카르보닐, 카르복실산, 여기서 알킬 또는 알콕시는 0 내지 약 20 탄소원자를 가지며; 또는 하나 또는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디아조,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3내지 약 20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3,4,5,6 또는 7원방향족 또는 지환족 탄소고리이며, 이 고리는 티오펜일, 피롤릴, 푸라닐, 피리디닐 같이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수 있고; 또는 복수의 A단위가 부착되어 있는 중합체 골격이며,R*은 각 경우에서 같거나 또는 다르며, 알킬, 알케닐, 알콕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알카노일, 알킬티오, 아릴옥시, 알킬티오알킬,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 알킬, 알킬술포닐, 아릴, 아릴티오, 아릴술피닐, 알콕시카르보닐, 아릴술포닐, 카르복실산, 할로겐, 시아노,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디아조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알킬이거나, 또는 함께 취해진 어떤 두 개의 R 치환기가 3,4,5,6 또는 7원 방향족 또는 지환족 탄소고리 또는 그의 복합체를 만드는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기인데, 이 고리 또는 고리들은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수도 있다.)상기 폴리아닐린, 프로톤산 및 기질은 폴리아닐린 1중량부, 프로톤산 0.01 내지 20중량부, 기질이 0.1 내지 500중량부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물칠의 형성방법
- a. 폴리아닐린, 22미만의 유전상수를 갖는 용매 그리고 용매 및 기질중합체에 용해성인 관능화된 프로톤산과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벌크기질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b. 상기 용액으로부터 상기 용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여, 이로써 전도성 중합체 물품을 일으키는 단계들로 이루어지는 용액으로부터 전도성 중합체 물품의 형성방법으로서, 상기 폴리아닐린은 다음식 1의 아닐린을 중합함으로써 제조된 약 10,000 보다 큰 중량 평균분자량을 갖는 폴리아닐린이며,(상기식에서,n은 0내지 4의 정수이고;m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단 n과 m의 합이 5이며;R은 각 경우에서 같거나 또는 다르며, 알킬, 알케닐, 알콕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알카노일, 알킬티오, 아릴옥시, 알킬티오알킬,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알킬, 알킬술포닐, 아릴, 아릴티오, 아릴술피닐, 알콕시카르보닐, 아릴술포닐, 카르복실산, 할로겐, 시아노,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알킬; 또는 함께 취해진 어떤 두 개의 R기가 3,4,5,6 또는 7-원 방향족 또는 지환족 고리를 만드는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기를 형성할수도 있는데, 이 고리는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호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상기 프로톤산이 다음식 VI-VII의 것이고,(상기식에서, A는 술폰산, 셀렌산, 포스폰산, 카르복실산, 황산수소염, 셀렌산수소염, 인산 수소염이며,n*은 0내지 5의 정수이고,m*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단 n*과 m*의 합이 5이며,R1은 5내지 약 20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알케닐, 알콕시, 알카노일, 알킬티오, 알킬티오알킬 ; 또는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알킬, 알킬술포닐, 알콕시카르보닐, 카르복실산, 여기서 알킬 또는 알콕시는 0 내지 약 20 탄소원자를 가지며;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디아조,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3내지 약 20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3,4,5,6 또는 7원 방향족 또는 지환족 탄소고리이며, 이 고리는 티오펜일, 피롤릴, 푸라닐, 피리디닐 같이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수 있고; 또는 복수의 A단위가 부착되어 있는 중합체 골격이며,R*은 각 경우에서 같거나 또는 다르며, 알킬, 알케닐, 알콕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알카노일, 알킬티오, 아릴옥시, 알킬티오알킬,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 알킬, 알킬술포닐, 아릴, 아릴티오, 아릴술피닐, 알콕시카르보닐, 아릴술포닐, 카르복실산, 할로겐, 시아노,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디아조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알킬이거나, 또는 함께 취해진 어떤 두 개의 R 치환기가 3,4,5,6 또는 7원 방향족 또는 지환족 탄소고리 또는 그의 복합체를 만드는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기인데, 이 고리 또는 고리들은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수도 있다.)상기 폴리아닐린, 프로톤산 및 기질은 폴리아닐린 1중량부, 프로톤산 0.01 내지 20중량부, 기질이 0.1 내지 500중량부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물질의 형성방법
- a. 폴리아닐린, 상기 기질중합체에 대한 유기액체 단량체 전구체, 그리고 상기 단량체에 용해성인 관능화된 프로톤산 용질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b. 단량체를 중합하여 고체물품을 수득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지는 비전도성 기질 중합체를 갖는 고체 전도성 중합체 물품의 형성방법으로서, 상기 폴리아닐린은 다음식 1의 아닐린을 중합함으로써 제조된 약 10,000 보다 큰 중량 평균분자량을 갖는 폴리아닐린이며,(상기식에서,n은 0내지 4의 정수이고;m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단 n과 m의 합이 5이며;R은 각 경우에서 같거나 또는 다르며, 알킬, 알케닐, 알콕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알카노일, 알킬티오, 아릴옥시, 알킬티오알킬,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알킬, 알킬술포닐, 아릴, 아릴티오, 아릴술피닐, 알콕시카르보닐, 아릴술포닐, 카르복실산, 할로겐, 시아노,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알킬; 또는 함께 취해진 어떤 두 개의 R기가 3,4,5,6 또는 7-원 방향족 또는 지환족 고리를 만드는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기를 형성할수도 있는데, 이 고리는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상기 프로톤산이 다음식 VI-VII의 것이고,(상기식에서, A는 술폰산, 셀렌산, 포스폰산, 카르복실산, 황산수소염, 셀렌산수소염, 인산 수소염이며,n*은 0내지 5의 정수이고,m*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단 n*과 m*의 합이 5이며,R1은 5내지 약 20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알케닐, 알콕시, 알카노일, 알킬티오, 알킬티오알킬; 또는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알킬, 알킬술포닐, 알콕시카르보닐, 카르복실산, 여기서 알킬 또는 알콕시는 0 내지 약 20 탄소원자를 가지며;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디아조,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3내지 약 20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3,4,5,6 또는 7원 방향족 또는 지환족 탄소고리이며, 이 고리는 티오펜일, 피롤릴, 푸라닐, 피리디닐 같이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A단위가 부착되어 있는 중합체 골격이며,R*은 각 경우에서 같거나 또는 다르며, 알킬, 알케닐, 알콕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알카노일, 알킬티오, 아릴옥시, 알킬티오알킬,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 알킬, 알킬술포닐, 아릴, 아릴티오, 아릴술피닐, 알콕시카르보닐, 아릴술포닐, 카르복실산, 할로겐, 시아노,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디아조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알킬이거나, 또는 함께 취해진 어떤 두 개의 R 치환기가 3,4,5,6 또는 7원 방향족 또는 지환족 탄소고리 또는 그의 복합체를 만드는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기인데, 이 고리 또는 고리들은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수도 있다.)상기 폴리아닐린, 프로톤산 및 기질은 폴리아닐린 1중량부, 프로톤산 0.01 내지 20중량부, 기질이 0.1 내지 500중량부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물질의 형성방법.
- a. 폴리아닐린, 그리고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융된 중합체 기질에서 친밀하게 혼합된 관능화된 프로톤산 용질로 이루어지는 용융물로 형성하는 단계.b. 상기 용융물을 고화하는 단계에 의해 전도성 폴리아닐린의 기질과의 전도성 물품의 형성방법으로서, 상기 폴리아닐린은 다음식 1의 아닐린을 중합함으로써 제조된 약 10,000 보다 큰 중량 평균분자량을 갖는폴리아닐린이며,(상기식에서,n은 0내지 4의 정수이고;m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단 n과 m의 합이 5이며;R은 각 경우에서 같거나 또는 다르며, 알킬, 알케닐, 알콕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알카노일, 알킬티오, 아릴옥시, 알킬티오알킬,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알킬, 알킬술포닐, 아릴, 아릴티오, 아릴술피닐, 알콕시카르보닐, 아릴술포닐, 카르복실산, 할로겐, 시아노,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알킬; 또는 함께 취해진 어떤 두 개의 R기가 3,4,5,6 또는 7-원 방향족 또는 지환족 고리를 만드는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기를 형성할수도 있는데, 이 고리는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상기 프로톤산이 다음식 VI-VII의 것이고,(상기식에서 A는 술폰산, 셀렌산, 포스폰산, 카르복실산, 황산수소염, 셀렌산수소염, 인산 수소염이며,n*은 0내지 5의 정수이고,m*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단 n*과 m*의 합이 5이며,R1은 5내지 약 20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알케닐, 알콕시, 알카노일, 알킬티오, 알킬티오알킬; 또는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알킬, 알킬술포닐, 알콕시카르보닐, 카르복실산, 여기서 알킬 또는 알콕시는 0 내지 약 20 탄소원자를 가지며;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디아조,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3내지 약 20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3,4,5,6 또는 7원방향족 또는 지환족 탄소고리이며, 이 고리는 티오펜일, 피롤릴, 푸라닐, 피리디닐 같이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수 있고; 또는 복수의 A단위가 부착되어 있는 중합체 골격이며,R*은 각 경우에서 같거나 또는 다르며, 알킬, 알케닐, 알콕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알카노일, 알킬티오, 아릴옥시, 알킬티오알킬,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술피닐, 알콕시 알킬, 알킬술포닐, 아릴, 아릴티오, 아릴술피닐, 알콕시카르보닐, 아릴술포닐, 카르복실산, 할로겐, 시아노,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술폰산, 카르복실산,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디아조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알킬이거나, 또는 함께 취해진 어떤 두 개의 R 치환기가 3,4,5,6 또는 7원 방향족 또는 지환족 탄소고리 또는 그의 복합체를 만드는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기인데, 이 고리 또는 고리들은 질소, 황, 술피닐, 술포닐 또는 산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수도 있다.)상기 폴리아닐린, 프로톤산 및 기질은 폴리아닐린 1중량부, 프로톤산 0.01 내지 20중량부, 기질이 0.1 내지 500중량부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중합체 물질의 형성방법
- 제29항의 투명한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발광 다이오우드.
- 제30항의 투명한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발광 다이오우드.
- 제31항의 투명한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발광 다이오우드.
- 에멀션 중합에 의해 제조된 제1항에 따르는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 제29항의 전도성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홀-주입전극과 가요성 콘주게이트된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전기 루미네센스층으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발광 다이오우드.
- 4. 3 미만의 일함수를 갖는 전자-주입 접촉부로 추가로 이루어지는 제42항의 가요성 발광 다이오우드.
- 전도성 홀- 주입 전극과 접촉하여 가요성 중합체 지지물로 추가로 이루어지는 제45항의 가요성 발광 다이오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7/714,165 US5232631A (en) | 1991-06-12 | 1991-06-12 | Processible forms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aniline |
US714165 | 1991-06-12 | ||
US80055591A | 1991-11-27 | 1991-11-27 | |
US80055991A | 1991-11-27 | 1991-11-27 | |
US800559 | 1991-11-27 | ||
US800555 | 1991-11-27 | ||
PCT/US1992/004167 WO1992022911A1 (en) | 1991-06-12 | 1992-05-19 | Processible forms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aniline and conductive products formed therefro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61971B1 true KR100261971B1 (ko) | 2000-07-15 |
Family
ID=27418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703839A KR100261971B1 (ko) | 1991-06-12 | 1992-05-19 | 처리가능한 형의 전기전도성 폴리아닐린 및 그로부터 형성된 전도성 제품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EP (1) | EP0588906B2 (ko) |
JP (2) | JP3384566B2 (ko) |
KR (1) | KR100261971B1 (ko) |
AT (1) | ATE195197T1 (ko) |
AU (1) | AU669662B2 (ko) |
CA (1) | CA2111150C (ko) |
DE (1) | DE69231312T3 (ko) |
FI (1) | FI113374B (ko) |
NO (1) | NO308704B1 (ko) |
WO (1) | WO199202291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2196B1 (ko) * | 2000-11-23 | 2003-07-23 | (주)해은켐텍 | 전도성 페이스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08109A (en) * | 1991-02-27 | 1995-04-18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Visible light emitting diodes fabricated from soluble semiconducting polymers |
FI98820C (fi) * | 1993-06-04 | 1997-08-25 | Neste Oy | Menetelmä työstettävän johdepolymeerimateriaalin valmistamiseksi |
FI101077B (fi) * | 1993-06-04 | 1998-04-15 | Neste Oy | Sähköä johtava muovimateriaali ja menetelmä sen valmitamiseksi |
NL9301307A (nl) * | 1993-07-26 | 1995-02-16 | Oce Nederland Bv | Electrisch geleidend tonerpoeder voor beeldontwikkeling in electrostatische, elektrofotografische of magnetografische beeldvormingsprocessen. |
US5783111A (en) * | 1993-09-03 | 1998-07-21 | Uniax Corporation | Electrically conducting compositions |
WO1995006685A1 (en) * | 1993-09-03 | 1995-03-09 | Neste Oy | Electrically conducting compositions |
US5520852A (en) * | 1994-06-08 | 1996-05-28 | Neste Oy | Processible electrically conducting polyaniline compositions |
US6559473B1 (en) * | 1994-08-05 | 2003-05-06 | Hoechst Japan Limited | Light-emitting diodes with hetero-PN-junction |
NL9402196A (nl) | 1994-12-23 | 1996-08-01 | Oce Nederland Bv | Werkwijze voor het registreren van beelden, alsmede een beeldvormingsinrichting voor toepassing van de werkwijze. |
US5804100A (en) | 1995-01-09 | 1998-09-0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eaggregate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and precursors thereof |
US5645764A (en) * | 1995-01-19 | 1997-07-0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Electrically conduct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
US5716550A (en) * | 1995-08-10 | 1998-02-10 | Eastman Kodak Company |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ion and elements containing solubilized polyaniline complex and solvent mixture |
US5928566A (en) | 1995-11-29 | 1999-07-27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lasticized, antiplasticized and crystalline conducting polymers |
US5932143A (en) * | 1995-11-29 | 1999-08-0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olycrystalline conducting polymers and precursors thereof having adjustable morphology and physical properties |
KR970058474A (ko) * | 1995-12-20 | 1997-07-31 | 정몽원 | 전자파 차폐용 케이스 |
US5798170A (en) * | 1996-02-29 | 1998-08-25 | Uniax Corporation | Long operating life f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
GB2311166A (en) * | 1996-03-13 | 1997-09-17 | Sharp Kk | An optoelectronic semiconductor device |
US5871671A (en) * | 1997-10-14 | 1999-02-16 | Monsanto Company | 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plasticizer blends with enhanced conductivity |
DE19757542A1 (de) * | 1997-12-23 | 1999-06-24 | Bayer Ag | Siebdruckpaste zur Herstellung elektrisch leitfähiger Beschichtungen |
GB9816130D0 (en) * | 1998-07-23 | 1998-09-23 | Instance Ltd David J | Display device |
JP4258583B2 (ja) * | 1999-02-23 | 2009-04-30 | 淳二 城戸 | 電界発光素子 |
KR100674686B1 (ko) | 1999-04-06 | 2007-01-26 | 캠브리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 폴리머를 도핑하는 방법 |
GB9907931D0 (en) * | 1999-04-07 | 1999-06-02 | Univ Edinburgh | An optoelectronic display |
US6030551A (en) * | 1999-04-07 | 2000-02-29 | Conpoly Technology Co., Ltd. | Polyaniline-containing solu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JP3459203B2 (ja) * | 1999-08-06 | 2003-10-20 | 株式会社マルアイ | 導電性インキまたは導電性塗料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導電性インキを充填した筆記具 |
JP4537065B2 (ja) * | 2001-11-12 | 2010-09-01 | フォルクスヴァーゲン アーゲー | プロトン伝導性電解質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における使用 |
WO2003051961A1 (en) * | 2001-12-19 | 2003-06-26 | Nitto Denko Corporation | Conductive polyaniline composition, film thereof,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se |
DE10208188B4 (de) * | 2002-02-20 | 2006-05-24 | Amaxa Gmbh | Behälter mit zumindest einer Elektrode |
US7351359B2 (en) | 2003-10-08 | 2008-04-01 | The Yokohama Rubber Co., Ltd. | Method for producing conductive polyaniline and organic polymer composition |
KR101143664B1 (ko) | 2003-11-28 | 2012-05-09 |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 폴리아닐린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이루어지는 성형체 |
JP4187764B2 (ja) | 2004-03-31 | 2008-11-26 | 横浜ゴム株式会社 | 光電変換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色素増感太陽電池 |
GB2418064A (en) * | 2004-09-09 | 2006-03-15 | Stephen Harvey | Vehicle brake and hazard lights |
KR101334472B1 (ko) * | 2005-05-27 | 2013-11-29 |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 도전성 고분자 적층체 |
JP4485420B2 (ja) * | 2005-06-22 | 2010-06-23 | 日東電工株式会社 | 結晶薄膜を製造する方法 |
WO2008018420A1 (fr) * | 2006-08-10 | 2008-02-14 | Idemitsu Kosan Co., Ltd. | Composition de polyaniline conductrice et procédé pour la produire |
JP5303107B2 (ja) * | 2006-09-25 | 2013-10-02 | 出光興産株式会社 | 導電性ポリアニリン複合体の製造方法 |
EP2142584A1 (en) * | 2007-05-02 | 2010-01-13 | Plextronics, Inc. | Solvent system for conujugated polymers |
JPWO2009084418A1 (ja) * | 2007-12-27 | 2011-05-19 | 出光興産株式会社 | ポリアニリン複合体、その組成物及び成形体 |
WO2009084419A1 (ja) * | 2007-12-27 | 2009-07-09 | Idemitsu Kosan Co., Ltd. | ポリアニリン複合体、その組成物及び成形体 |
WO2010072646A1 (en) | 2008-12-23 | 2010-07-01 | Oce-Technologies B.V. |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forming device and an image forming device for application of the method |
TWI478957B (zh) | 2009-09-07 | 2015-04-01 | Idemitsu Kosan Co | Conductive composition |
US9384866B2 (en) | 2011-01-27 | 2016-07-05 | Idemitsu Kosan Co., Ltd. | Polyaniline composit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composition |
WO2012152366A1 (en) * | 2011-05-12 | 2012-11-15 | Merck Patent Gmbh | Organic ionic compounds, compositions and electronic devices |
JP5955786B2 (ja) | 2013-01-07 | 2016-07-20 | 出光興産株式会社 | 導電性高分子組成物 |
WO2016006251A1 (ja) | 2014-07-11 | 2016-01-14 | 出光興産株式会社 | ポリアニリン複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ポリアニリン複合体組成物 |
US11767399B2 (en) | 2018-05-08 | 2023-09-26 | Idemitsu Kosan Co., Ltd. |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conductive film, conductive film, capacitor |
CN114293277A (zh) * | 2022-01-14 | 2022-04-08 | 中国纺织科学研究院有限公司 | 导电聚乙烯纤维及其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8424B2 (ja) * | 1987-07-24 | 1995-09-27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フィルム状導電性高分子の製造方法 |
US5160457A (en) * | 1987-08-07 | 1992-11-03 | Allied-Signal Inc. | Thermally stable forms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aniline |
US5069820A (en) * | 1987-08-07 | 1991-12-03 | Allied-Signal Inc. | Thermally stable forms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aniline |
DE3729566A1 (de) * | 1987-09-04 | 1989-03-16 | Zipperling Kessler & Co | Intrinsisch leitfaehiges polymer in form eines dispergierbaren feststoffes,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
US4851487A (en) * | 1988-02-22 | 1989-07-25 | Lockheed Corporation | Conductive polymer material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
US4935163A (en) * | 1988-08-01 | 1990-06-19 | Lockheed Corporation | High service temperature conductive polymer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
JP2868564B2 (ja) * | 1989-03-13 | 1999-03-10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磁気記録媒体 |
JPH02240163A (ja) * | 1989-03-14 | 1990-09-25 | Tomoegawa Paper Co Ltd | 高分子導電性溶液 |
WO1990013601A1 (en) * | 1989-05-12 | 1990-11-15 | Lockheed Corporation | Conductive polymer-polyamide blend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
US5093439A (en) * | 1989-10-19 | 1992-03-03 | Ohi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 Processes for preparation of sulfonated polyanilin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
US5008041A (en) * | 1990-01-30 | 1991-04-16 | Lockheed Corporation | Preparation of conductive polyaniline having controlled molecular weight |
US5278213A (en) * | 1991-04-22 | 1994-01-11 | Allied Signal Inc. | Method of processing neutral polyanilines in solvent and solvent mixtures |
-
1992
- 1992-05-19 CA CA002111150A patent/CA2111150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2-05-19 AU AU20166/92A patent/AU669662B2/en not_active Expired
- 1992-05-19 DE DE69231312T patent/DE69231312T3/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2-05-19 AT AT92912738T patent/ATE195197T1/de active
- 1992-05-19 JP JP50085993A patent/JP3384566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2-05-19 EP EP92912738A patent/EP0588906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2-05-19 KR KR1019930703839A patent/KR10026197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2-05-19 WO PCT/US1992/004167 patent/WO1992022911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3
- 1993-12-08 FI FI935498A patent/FI113374B/fi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3-12-09 NO NO934517A patent/NO308704B1/n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
- 2002-09-11 JP JP2002265945A patent/JP2003176409A/ja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2196B1 (ko) * | 2000-11-23 | 2003-07-23 | (주)해은켐텍 | 전도성 페이스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588906B2 (en) | 2003-06-18 |
DE69231312T2 (de) | 2000-12-28 |
JPH06508390A (ja) | 1994-09-22 |
NO934517D0 (no) | 1993-12-09 |
EP0588906B1 (en) | 2000-08-02 |
NO308704B1 (no) | 2000-10-16 |
EP0588906A4 (en) | 1994-08-24 |
JP3384566B2 (ja) | 2003-03-10 |
JP2003176409A (ja) | 2003-06-24 |
CA2111150A1 (en) | 1992-12-23 |
AU2016692A (en) | 1993-01-12 |
DE69231312T3 (de) | 2003-12-11 |
CA2111150C (en) | 2001-10-30 |
FI935498L (fi) | 1993-12-08 |
WO1992022911A1 (en) | 1992-12-23 |
FI113374B (fi) | 2004-04-15 |
NO934517L (no) | 1994-01-31 |
DE69231312D1 (de) | 2000-09-07 |
FI935498A0 (fi) | 1993-12-08 |
EP0588906A1 (en) | 1994-03-30 |
ATE195197T1 (de) | 2000-08-15 |
AU669662B2 (en) | 1996-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61971B1 (ko) | 처리가능한 형의 전기전도성 폴리아닐린 및 그로부터 형성된 전도성 제품 | |
US5232631A (en) | Processible forms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aniline | |
US5624605A (en) | Processible forms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aniline | |
US5968416A (en) | Optical quality transparent conductors | |
DE69225697T3 (de) | Verfahren zur Herstellung sichtbares Licht emittierender Dioden aus löslichen halbleitenden Polymeren | |
Yang et al. | Morphology of conductive, solution-processed blends of polyaniline and poly (methyl methacrylate) | |
Palaniappan et al. | Polyaniline materials by emulsion polymerization pathway | |
Jagur‐Grodzinski | Electronically conductive polymers | |
Pud et al. | Some aspects of preparation methods and properties of polyaniline blends and composites with organic polymers | |
TWI470024B (zh) | 導電聚合物之磺化反應及有機發光二極體(oled)、光伏特與靜電耗散(esd)裝置 | |
EP1505664B1 (de) | Transparente Elektrode für elektro-optische Aufbauten | |
EP2169023B1 (en) | Electrically conductive films formed from dispersions comprising polythiophenes and ether containing polymers | |
KR100643627B1 (ko) | 제1의 전도성 공액 중합체 및 제2의 전도성 공액 중합체를포함하는 수성 블렌드 및 필름 | |
EP2562199A1 (en) | Highly conductive and stable transparent conducting polymer films | |
WO2004029133A1 (en) | Water dispersible polyanilines made with polymeric acid colloids for electronics applications | |
EP0625280B1 (en) | Colore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aniline compounds | |
KR101307893B1 (ko) | 폴리비닐계 공중합체, 상기를 포함하는 도판트, 및 상기 도판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 |
Yin et al. | Synthesis and optoelectronic properties of high transparent polymer based anode materials with good wetting abilities and their application in electroluminescent devices | |
Pillai | 2. Structural features of conjugated polymers | |
KR20180035588A (ko) | 점착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점착성 고분자 복합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312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5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0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6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7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4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4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4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13020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