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9898B1 - 회생제동량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제동방법 - Google Patents

회생제동량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제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898B1
KR100259898B1 KR1019950059213A KR19950059213A KR100259898B1 KR 100259898 B1 KR100259898 B1 KR 100259898B1 KR 1019950059213 A KR1019950059213 A KR 1019950059213A KR 19950059213 A KR19950059213 A KR 19950059213A KR 100259898 B1 KR100259898 B1 KR 100259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enerative braking
brake pedal
braking amount
vehicle
bra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328A (ko
Inventor
정유석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5005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898B1/ko
Publication of KR970036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89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60L7/18Controlling the brak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6Driver interactions by ped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제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 되었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정도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여, 메모리(MEMORY)에 기 입력된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정도와 주행속도 및 회생제동량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DATA TABLE)과 비교하므로써 초기의 회생제동량을 산출하는 회생제동량 산출단계(100)와; 상기 회생제동량 산출단계(100)를 수행하여 산출한 회생제동량으로 회생제동을 실시하는 회생제동 실시단계(200); 및 상기 회생제동 실시단계(200)를 수행한 후,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상태가 해제 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상태가 해제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회생제동량 산출단계(100)로 복귀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차가 정지할 때까지 회생제동량을 소정의 비율로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회생제동량 증가단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회생제동량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제동방법{A BRAKING METHOD OF ELECTRIC VEHICLE BY USING RESURRECTION BRAKING}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생제동량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제동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회생제동량 산출단계 200 : 회생제동 실시단계
300 : 회생제동량 증가단계
[발명의 목적]
[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제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상태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상태와 주행 속도에 따른 회생제동을 실시하여, 그 회생제동량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제동을 할 수 있는 회생제동량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제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에서 구동모터를 정지시킬 시(특히,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시)에는,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배터리를 차단하고,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상기 구동모터가 진행방향에 대한 역으로 회전하게끔 구동모터에 인가하므로써 그 제동력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말해, 전기자동차가 진행 중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구동모터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고, 차량의 진행 관성력 의해 회전하는 구동모터의 전원인가 단자에서 역으로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다시 구동모터에 인가하여 진행방향에 대해 구동모터가 역으로 회전하게끔 함으로써 제동력이 발생되어지는데, 이러한 제동력 발생을 회생제동이라 한다.
즉, 모터의 축을 회전시킬 시, 플레밍의 법칙에 의해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모터를 진행방향에 대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동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주지하다시피 이를 유압브레이크와 조합하여 사용하므로써 차량의 제동력 및 제동특성을 향상시켰다. 이때, 회생제동비율은 0% ~ 100%의 범위까지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모터의 최대 정격을 고려하여 적정한 어느 값으로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생제동장치에 있어서는, 회생제동비율이 고정되어 있어 급제동이 이루어져서 운전자에게 충격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회생제동비율에 해당하는 제동력만 발생하므로 인해 자동차를 제동시키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레이크 페달의 가압상태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브레이크페달의 가압상태와 주행속도에 따라 회생제동을 실시할 수 있는 회생제동량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제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되었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정도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여, 메모리(MEMORY)에 기입력된,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정도와, 주행속도와, 회생제동량에 대한 데이타 테이블(DATA TABLE)과 비교하므로써 초기의 회생제동량을 산출하는 회생제동량 산출단계(100)와: 상기 회생제동량 산출단계(100)를 수행하여 산출한 회생제동량으로 회생제동을 실시하는 회생제동 실시단계(200) 및; 상기 회생제동 실시단계(200)를 수행한 후,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상태가 해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상태가 해제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회생제동량 산출단계(100)로 복귀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차가 정지할때에는 회생제동량을 소정의 비율로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회생제동량 증가단계(30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회생제동량 증가단계(300)의 회생제동량 증가비율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ECU(ELECTRIN CONTROL UNIT)의 메모리에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정도와 주행속도 및 회생제동량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입력시킨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테이블은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정도와 주행속도에 맞추어 공지된 방식으로 회생제동량을 산정하는 방식으로 처리하여 얻어진 데이터로 되어 있다.
이후 상기 회생제동량 산출단계(100)를 수행하여,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되었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이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정도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여, 메모리에 기 입력된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정도와 주행속도 및, 회생제동량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과 비교함으로써 초기의 회생제동량을 산출하게 된다.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정도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회생제동량 산출의 변수로 채택한 이유는 자동차의 제동력이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변화되며, 또한 제동의 정도가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정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회생제동량 산출단계(100)를 수행한 후에는, 상기 회생제동량 산출단계(100)에서 산출된 회생제동량으로 회생제동을 실시하는 상기 회생제동 실시단계(200)를 수행하여 자동차를 제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회생제동 실시단계(200)를 수행하여 자동차를 초기제동한 후에는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상태가 해제 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상태가 해제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회생제동량 산출단계(100)로 복귀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차가 정지할 때까지 회생제동량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상기 회생제동량 증가단계(300)를 수행하여 자동차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생제동량은 가하급수적으로 신속하게 증가시킴으로써 급브레이크의 경우 차량이 보다 빠르게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없이, 필요에 따라 종래의 브레이크 장치와 병행하여 자동차를 정확하게 제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생제동량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제동방법은 특히,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상태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상태와 주행속도에 따라 회생제동을 실시하고, 그 회생제동량을 점차적으로 높이거나 줄임으로써 정확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laims (1)

  1. 브레이크페달의 가압되었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된 것으로 파단될 경우에는,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정도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여, 메모리에 기 입력된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정도와 주행속도 및 회생 제동량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과 비교하므로써 초기의 회생제동량을 산출하는 회생 제동량 산출단계(100)와; 상기 회생제동량 산출단계(100)를 수행하여 산출한 회생 제동량으로 회생제동을 실시하는 회생제동 실시단계(200); 및 상기 회생제동 실시 단계(200)를 수행한 후,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상태가 해제 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상태가 해제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회생제동량 산출단계(100)로 복귀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차가 정지할때까지 회생제동량을 소정의 비율로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회생제동량 증가단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생제동량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제동방법.
KR1019950059213A 1995-12-27 1995-12-27 회생제동량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제동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59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213A KR100259898B1 (ko) 1995-12-27 1995-12-27 회생제동량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제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213A KR100259898B1 (ko) 1995-12-27 1995-12-27 회생제동량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제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328A KR970036328A (ko) 1997-07-22
KR100259898B1 true KR100259898B1 (ko) 2000-06-15

Family

ID=1944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92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9898B1 (ko) 1995-12-27 1995-12-27 회생제동량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제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8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278A (ko) * 2002-07-02 2004-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 제동 방법
KR100957309B1 (ko) 2008-06-19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
KR20190051135A (ko) * 2017-11-06 2019-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생 제동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294158B1 (ko) 2020-10-27 2021-08-25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xEV 차량의 주행 인지 기반 회생제동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800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278A (ko) * 2002-07-02 2004-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 제동 방법
KR100957309B1 (ko) 2008-06-19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
KR20190051135A (ko) * 2017-11-06 2019-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생 제동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448100B1 (ko) 2017-11-06 2022-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생 제동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294158B1 (ko) 2020-10-27 2021-08-25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xEV 차량의 주행 인지 기반 회생제동 제어방법
US12157468B2 (en) 2020-10-27 2024-12-03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method of xEV vehicle based on driving recogn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328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239929A (ja) ブレーキ装置
JPH1134855A (ja) 電気駆動装置を備えた車両のブレーキ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880004971A (ko) 차량스핀 제어장치
JP2001270431A (ja) 回生協調ブレーキ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H10181579A (ja) パッドクリアランス調整機構を備えた電動ブレーキとそのパッドクリアランス調整法
EP0770511A4 (en) BRAKE CONTROL FOR ELECTRIC VEHICLE
EP0397328A3 (en) Vehicle traction control apparatus & method
KR970074434A (ko) 안티록 브레이크 제어장치
JPH05176408A (ja) 電気自動車の制動制御装置
KR100259898B1 (ko) 회생제동량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제동방법
US58532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rake system of a vehicle
KR102434540B1 (ko) 이피비와 이에스씨를 이용한 차량의 비상 제동 장치 및 방법
JP3951597B2 (ja) 制動装置
CA2350350A1 (en) Braking force control-type behavi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motor vehicle
CN113879134B (zh) 一种电动车制动优先处理方法
JPH06253406A (ja) 電気自動車用制動装置
JP2000018293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2001278020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3262068B2 (ja) 産業車両の走行速度制御装置
JP3565353B2 (ja) 回生ブレーキ連動摩擦ブレーキシステム
KR970015166A (ko) 전기자동차의 회생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0924126A2 (en) Electric brake apparatus for prohibiting actuation of parking brake when a vehicle is moving
CN107225977A (zh) 制动能量回收处理方法、装置及电动汽车
KR20040049409A (ko) 차량용 주행제어 장치
JP4517622B2 (ja) Abs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4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