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9053B1 -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및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및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053B1
KR100259053B1 KR1019980015508A KR19980015508A KR100259053B1 KR 100259053 B1 KR100259053 B1 KR 100259053B1 KR 1019980015508 A KR1019980015508 A KR 1019980015508A KR 19980015508 A KR19980015508 A KR 19980015508A KR 100259053 B1 KR100259053 B1 KR 100259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base station
identification number
password
memo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1503A (ko
Inventor
이정봉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5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053B1/ko
Publication of KR1999008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05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에서 무선단말기 등록 및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중복 오용 방지를 위한 무선단말기 등록 및 인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그룹 식별번호와 기지국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가정용 기지국과 그룹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등록 슬롯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2메모리를 구비하는 무선단말기로 이루어지는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기지국이 소정의 키입력을 받아 무선단말기 등록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식별번호와 기지국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독출하여 인증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무선단말기로 송신하는 제 1과정과, 상기 무선단말기가 소정의 키입력을 받아 가정용 기지국 등록모드로 설정한 되고, 상기 등록모드에서 슬롯이 선택되면 상기 무선단말기의 인증 여부를 판단한 다음, 상기 무선단말기가 인증되면 상기 인증데이터를 상기 제 2메모리에 저장하고 난 후, 상기 무선단말기 식별코드를 송신하는 제 2과정과,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단말기 식별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차세대 디지탈 무선전화기에 이용한다.

Description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 및 인증 방법
본 발명은 차세대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에서 차세대 디지탈 무선전화기(Second Codeless Telephone: 이하 "무선단말기"라 함)의 등록 및 인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른 기지국을 사용하는 무선단말기의 중복 오용을 방지하기 위한 무선단말기의 등록 및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은 텔리포인트(Telepoint)라 불리우는 무선기지국과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화로를 형성하는 무선단말기로 구성된다.
상기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에서는 용도에 따라 공중용 모드(Public Mode), 가정용 모드(Home Mode) 그리고 사업자용 모드(PABX Mode)의 3가지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공중용 모드는 도시의 거리에 있는 공중전화에 연결되어 있는 공중용 기지국(텔리포인트)을 통해 공중교환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과 연결되어 사용된다. 상기 공중용 모드에서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무선단말기가 호 요청신호를 상기 공중용 기지국으로 송신함으로써 발신이 시도된다. 그런 다음, 이에 응답하여 공중용 기지국으로부터 채널이 할당되고,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해 통화로를 형성한다. 사업자용 모드는 상기 공중용 모드와 동일하게 운용되며 사용자 입장에서 다른 것은 PSTN망이 아닌 텔리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는 무선사설교환기(PABX)와 연결되어 사용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가정용 모드는 텔리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는 가정용 무선전화기(이하 "가정용 기지국"이라 함)를 통해 PSTN망과 연결되어 통화로를 형성한다.
상기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과금 체제에 있어서, 상기 공중용 모드와 사업자용 모드에서는 동일한 서비스 체계에 의해 부가되는 소정의 과금 체계를 가진다. 그러나 가정용 모드에서는 상기 공중용 또는 사업자 기지국의 과금 체제와는 다르게 일반전화의 과금 체제에 따라 운용되고 있다.
그리고 무선단말기의 등록방법에 있어서, 공중용 모드 및 사업자 모드에서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서만 등록이 가능하다. 그러나 가정용 모드에서는 가정용 기지국과 무선단말기 모두가 등록모드에 있으면 상호간의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해 등록이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에서 무선단말기와 가정용 기지국과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 참조된 부호 200과 201은 동일한 과금체제, 즉 한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정용 기지국이고, 60과 60-1은 상기 가정용 기지국(200, 201)에 등록되어 있는 자신의 CT2단말기이다. 상기 60과 60-1은 상기 동일한 과금체제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두 가정용 기지국(200, 201)에 각각 등록해 놓아야 한다. 상기 무선단말기(60)와 무선단말기(60-1)는 상기 가정용 기지국(200)을 통해 무선링크를 형성하고, 공중교환전화망(PSTN)을 통해 통화할 수 있다.
그러고 도면에 참조된 부호 300-1은 상기 가정용 기지국(200)과 다른 요금체제를 가지는 가정용 기지국(300)을 사용하는 무선단말기이다. 상기 무선단말기(300-1)는 가정용기지국(300)을 통해 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가정용 기지국(200)을 통해서는 통화로를 형성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무선단말기(300-1) 사용자는 상기 무선단말기(300-1)를 등록모드로 설정하고, 슬롯을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가정용 기지국(200)이 등록모드로 설정된다면,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기(300-1)를 가정용 기지국(200)에 등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정용 기지국에서 자신의 무선단말기 외에도 다른 무선단말기의 등록이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가정용 기지국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모르는 다른 사람이 불법으로 등록하여 200미터 이내에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전화요금에 대해서까지 지불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호가 착신될 경우 불법으로 등록한 무선단말기에서도 이를 수신할 수 있음으로 사생활에 침해를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가정용 기지국에 자신의 무선단말기가 아닌 다른 무선단말기의 불법 등록에 의한 중복 오용을 방지하기 위한 무선단말기 등록 및 인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그룹 식별번호와 기지국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가정용 기지국과 그룹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등록 슬롯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2메모리를 구비하는 무선단말기로 이루어지는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기지국이 소정의 키입력을 받아 무선단말기 등록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식별번호와 기지국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독출하여 인증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무선단말기로 송신하는 제 1과정과, 상기 무선단말기가 소정의 키입력을 받아 가정용 기지국 등록모드로 설정한 되고, 상기 등록모드에서 슬롯이 선택되면 상기 무선단말기의 인증 여부를 판단한 다음, 상기 무선단말기가 인증되면 상기 인증데이터를 상기 제 2메모리에 저장하고 난 후, 상기 무선단말기 식별코드를 송신하는 제 2과정과,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단말기 식별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그룹 식별번호와 기지국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가정용 기지국과 그룹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등록 슬롯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2메모리를 구비하는 무선단말기로 이루어지는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인증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인증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인증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데이터의 그룹 식별번호와 상기 메모리의 그룹 식별번호를 비교하여 무선단말기의 그룹 식별번호를 인증하는 제 2과정과, 상기 그룹 식별번호가 인증되면 상기 인증데이터의 기지국 식별번호와 상기 메모리의 그룹 식별번호를 비교하여 무선단말기의 기지국 식별번호를 인증하는 제 3과정과, 상기 그룹 식별번호가 인증되면 상기 인증데이터의 비밀번호와 상기 메모리의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무선단말기의 비밀번호를 인증하는 제 4과정과, 상기 비밀번호가 인증되면 호를 형성하고, 인증되지 않으면 호 형성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송신하는 제 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에서 무선단말기와 가정용 기지국간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가정용 기지국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일반적인 무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기지국에서 그룹 식별번호 설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일반적인 가정용 기지국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2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가정용 기지국(200)은 제 1제어부(10)와 메모리(20)와 다이얼링부(30)와 표시부(40)와 텔리포인트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10)는 가정용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소정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상기 동작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구비하는 원 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 실현된다. 상기 메모리(20)는 이이피롬(EEPROM)으로서, 등록된 무선단말기의 ID (Identification)와 동일 과금체제를 가지는 가정용 기지국(200, 201)을 식별하기 위한 그룹 식별번호와 비밀번호 그리고 다수의 파라미터들을 저장한다. 다이얼링부(3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무선단말기(60)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다중복합신호(DTMF)신호를 발생하여 PSTN망(70)을 통해 해당 가입자부(71)로 연결한다. 표시부(40)는 상기 무선단말기(60)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표시하고, 가정용 기지국의 동작상태 등을 표시한다.
상기 텔리포인트부(50)는 제 2제어부(51)와 제 1RF부(53)와 제 1신호처리부(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제어부(51)는 무선단말기(60)와 무선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 1RF부(53)는 상기 제 2제어부(51)의 제어를 받아 상기 무선단말기(60)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복조하여 기저대역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1RF부(53)는 소정의 기저대역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이를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60)로 송신한다. 상기 제 1신호처리부(55)는 상기 제 2제어부(51)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PSTN망(70)과 다이얼링부(30)와 제 1제어부(10)와 제 2제어부(51)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적응차동펄스코드변조(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d Modulation: ADPCM)에 의해 기저대역신호(Base Band Signal)로 변환하여 제 1RF부(53)와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60)로 출력한다. 또한 제 1신호처리부(55)는 상기 RF부(53)에서 출력된 기저대역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기저대역신호로를 오디오신호로 복호하여 상기 제 1제어부(10)와 다이얼링부(30)와 PSTN망(70)을 통해 해당 가입자 통신단말기로 출력한다.
도 3은 일반적인 무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3제어부(61)는 무선단말기(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 3제어부(61)는 소정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상기 동작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구비하는 원 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 구현된다. 제 2메모리(62)는 이이피롬(EEPROM)으로써, 다수의 파라미터와 착·발신 시 가정용 기지국으로부터 인증받기 위한 인증데이터를 저장한다. 키입력부(63)는 다수의 숫자 키 및 기능 키를 구비하며, 상기 키들에 대한 키데이터를 상기 제 3제어부(61)로 출력한다. 표시부(64)는 상기 제 3제어부(61)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키입력부(63)로부터 입력된 키데이터에 해당하는 표시데이터를 상기 제 3제어부(61)로부터 입력받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64)는 무선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로 표시한다. 제 2RF부(65)는 가정용 기지국의 텔리포인트부(50)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기저대역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고, 소정의 기저대역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상기 가정용 기지국(200)으로 송신한다. 제 2신호처리부(56)는 상기 RF부(65)에서 출력된 기저대역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오디오신호로 복호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 2신호처리부(56)는 마이크로폰(MIC)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ADPCM방식에 의해 기저대역신호로 부호화하여 상기 제 2RF부(65)로 출력한다.
우선, 동일한 과금체제를 가지는 가정용 기지국임을 나타내기 위해 각 가정용 기지국은 그룹 식별번호를 설정한다. 상기 그룹 식별번호를 설정하기 위해서 가정용 기지국(200, 201)은 각각 동일한 그룹 식별번호를 설정하여야 한다.
도 4는 상기 그룹 식별번호 설정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1키입력부(35)로부터 소정의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401단계에서 그룹 식별번호 설정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0)는 403단계로 진행하고, 제 1표시부(40)에 그룹 식별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기 메시지가 표시되면 제어부(10)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식별번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제 1키입력부(35)로부터 그룹 식별번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그룹 식별번호를 메모리(20)에 저장한다. 상기 그룹 식별번호는 키입력부(35)에 있는 숫자 및 특수문자 등의 조합에 의해 소정의 자리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식별번호는 가정용 기지국이 하나 이상일 경우에 설정하며, 하나일 경우는 반듯이 설정할 필요는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하 이를 참조하고, 도 1에서 무선단말기(60)는 가정용 기지국(200)에 등록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새로운 무선단말기(60-1)를 가정용 기지국(200)에 등록할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무선단말기(60-1)를 가정용 기지국(200)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가정용 기지국(200)과 무선단말기(60-1)가 501단계와 531단계에서 각각 무선단말기 등록모드와 가정용 기지국 등록모드로 설정되어야 한다.
가정용 기지국(200)의 제 1제어부(10)는 제 1키입력부(35)로부터 소정의 키가 입력되면 531단계에서 무선단말기 등록모드로 전환하고, 메모리(20)로부터 그룹 식별번호와 기지국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독출하여 인증데이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나서 제 1제어부(10)는 533단계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인증데이터를 제 2제어부(51)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 2제어부(51)는 상기 인증데이터를 입력받아 신호처리부(55)와 RF부(53)를 통해 상기 인증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무선단말기(60-1)가 501단계에서 가정용 기지국 등록모드로 설정되면 무선단말기(60-1)의 제 3제어부(61)는 503단계에서 초기 슬롯을 표시부(64)에 표시한 다음, 소정의 키 입력에 의해 슬롯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통상적으로 무선단말기(60-1)는 가정용 기지국 등록용으로 6개 ~ 10개의 슬롯을 가지고 있으며, 공중용 기지국용으로 4개의 슬롯을 가지고 있다. 상기 503단계에서 상기 가정용 기지국 슬롯 중 하나가 선택되면 제 3제어부(61)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인증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중에 인증데이터가 안테나와 제 2RF부(65)와 제 2신호처리부(66)를 통해 입력되면 제 3제어부(61)는 이를 램에 일시 저장하고, 507단계로 진행하여 비밀번호 메시지를 제 2표시부(64)에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 3제어부(61)는 제 2키입력부(63)로부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비밀번호는 숫자키와 특수문자키의 조합에 의한 번호이다.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 여부 검사 중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제 3제어부(10)는 상기 제 2키입력부(63)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와 상기 인증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에 대해 인증이 되면 제 3제어부(61)는 513단계로 진행하고, 제 2메모리(62)를 검색하여 이전에 등록된 슬롯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메모리에 등록된 슬롯이 있으면 제 3제어부(61)는 5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슬롯의 그룹 식별번호와 상기 인증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그룹 식별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이전 그룹 식별번호와 인증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그룹 식별번호가 동일하면 등록 성공 메시지를 제 2표시부(64)에 표시하고, 5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인증데이터를 제 2메모리(62)에 저장한다. 상기 인증데이터가 저장되면 제 3제어부(61)는 521단계에서 무선단말기 식별코드를 상기 가정용 기지국(200)으로 송신한다. 상기 무선단말기 식별코드는 무선단말기(60) 고유의 시리얼 번호(serial Number)이다.
가정용 기지국(200)의 제 1제어부(10)는 533단계에서 인증데이터를 송신 후 무선단말기(60)로부터 무선단말기 식별코드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중에 무선단말기 식별코드가 수신되면 제 1제어부(10)는 537단계에서 메모리(20)에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601단계에서 무선단말기(60)의 제 3제어부(61)는 제 2키입력부(63)을 검색하여 발신이 시도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601단계에서 발신이 시도되면 제 3제어부(61)는 제 2메모리(62)로부터 인증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인증데이터를 제 2신호처리부(66)와 제 2RF부(65)를 거쳐 안테나(ANT2)를 통해 가정용 기지국(200)으로 송신한다.
가정용 기지국(200)의 제 1제어부(10)는 611단계에서 주기적으로 인증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인증데이터가 무선단말기(60)로부터 수신되면 제 1제어부(10)는 6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인증데이터의 그룹 식별번호와 메모리(20)에 저장되어 있는 그룹 식별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인증과정을 실행한다. 상기 인증과정에서 수신된 그룹 식별번호가 인증되면 제 1제어부(10)는 515단계에서 기지국 식별번호 인증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 식별번호 인증과정은 상기 수신된 인증데이터의 기지국 식별번호와 상기 메모리(2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지국 식별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상기 515단계에서 수신된 기지국 식별번호가 인증되면 제 1제어부(10)는 617단계로 진행하여 비밀번호 인증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비밀번호 인증과정은 상기 수신된 인증데이터의 비밀번호와 메모리(20)에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판단한다. 상기 617단계에서 비밀번호가 인증되면 제 1제어부(10)는 619단계로 진행하여 다이얼링부(30)를 제어하여 상기 무선단말기(60)로부터 수신된 다이얼링 번호에 대한 다중복합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다중복합신호는 공중교환전화국(70)으로 입력되어 해당 가입자 통신단말기(71)로 스위칭되어 무선단말기(60)와 호를 형성한다. 반면, 상기 그룹 인증과정과, 기지국 인증과정 그리고 비밀번호 인증과정 중 어느 한 단계에서라도 인증받지 못하면 호 형성 실패 신호를 제 2제어부(51), 신호처리부(55), RF부(53)를 거쳐 안테나(ANT1)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60)로 송신한다.
무선단말기(60)의 제 3제어부(61)는 상기 603단계에서 인증데이터 송신 후 605단계에서 호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가정용 기지국(200)로부터 호 형성 신호가 수신되면 통화를 개시한다. 그러나 호 형성 실패 신호가 수신되면 제 3제어부(61)는 607단계에서 호 형성 실패 메시지를 표시부(64)에 표시하고, 발신을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룹 식별번호와 비밀번호 인증과정을 더 부가함으로써 프로토콜 상에서 생겼던 다중 등록 상에서의 잘못된 과금체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그룹 식별번호와 기지국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가정용 기지국과 그룹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등록 슬롯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2메모리를 구비하는 무선단말기로 이루어지는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기지국이 소정의 키입력을 받아 무선단말기 등록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식별번호와 기지국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독출하여 인증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무선단말기로 송신하는 제 1과정과,
    상기 무선단말기가 소정의 키입력을 받아 가정용 기지국 등록모드로 설정한 되고, 상기 등록모드에서 슬롯이 선택되면 상기 무선단말기의 인증 여부를 판단한 다음, 상기 무선단말기가 인증되면 상기 인증데이터를 상기 제 2메모리에 저장하고 난 후, 상기 무선단말기 식별코드를 송신하는 제 2과정과,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단말기 식별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은,
    상기 가정용 기지국으로부터 인증데이터가 수신되면 비밀번호 입력 요구 메시지를 표시하고, 키입력부로부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의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제 2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입력된 비밀번호와 상기 메모리의 비밀번호가 동일하면 상기 제 2메모리에 등록 슬롯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등록 슬롯이 있으면 상기 등록 슬롯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그룹 식별번호와 상기 수신된 인증데이터의 그룹 식별번호를 비교하여 같은 요금체제를 사용하는지 무선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제 4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가 동일하면 등록 성공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인증데이터를 저장한 다음, 무선단말기 식별코드를 상기 가정용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그룹 식별번호와 기지국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가정용 기지국과 그룹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등록 슬롯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2메모리를 구비하는 무선단말기로 이루어지는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인증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인증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인증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데이터의 그룹 식별번호와 상기 메모리의 그룹 식별번호를 비교하여 무선단말기의 그룹 식별번호를 인증하는 제 2과정과,
    상기 그룹 식별번호가 인증되면 상기 인증데이터의 기지국 식별번호와 상기 메모리의 그룹 식별번호를 비교하여 무선단말기의 기지국 식별번호를 인증하는 제 3과정과,
    상기 그룹 식별번호가 인증되면 상기 인증데이터의 비밀번호와 상기 메모리의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무선단말기의 비밀번호를 인증하는 제 4과정과,
    상기 비밀번호가 인증되면 호를 형성하고, 인증되지 않으면 호 형성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송신하는 제 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기가 소정의 키가 입력되어 발신이 시도되면 상기 제 2메모리의 인증데이터를 상기 가정용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제 6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5과정에서 상기 가정용 기지국으로부터 호 형성 실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단말기가 호 형성 실패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 7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15508A 1998-04-30 1998-04-30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및 인증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59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508A KR100259053B1 (ko) 1998-04-30 1998-04-30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및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508A KR100259053B1 (ko) 1998-04-30 1998-04-30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및 인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503A KR19990081503A (ko) 1999-11-15
KR100259053B1 true KR100259053B1 (ko) 2000-06-15

Family

ID=1953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508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9053B1 (ko) 1998-04-30 1998-04-30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및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0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503A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1802B2 (en) Authentication key entry in cellular radio system
KR100300629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서비스지역에서 심카드를 사용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JP3749284B2 (ja) 音声およびデータ処理通信ネットワークのメッセージ転送装置
US5509052A (en) Base storage of handset's base registrations
HK1003587B (en) Messsage transmission arrange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970701981A (ko) 보안성 무선개인통신 시스템 및 방법(secure radio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AU635357B2 (en) Cordless telephone registration method
EP0817519A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roamers
US5448764A (en) Cordless telephone set with secure communication protocol
EP1092331B1 (en) Authorization method for operational changes on a mobile phone
US6205338B1 (en) Intercommunication method between portable units in TDMA cordless telephone system
KR100491521B1 (ko) 한 세트의 모뎀을 공유하는 가입자 그룹에 무선 통신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6519476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insertion of an attachable external storage medium causes the mobile to interact with the system
KR100259053B1 (ko)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및 인증 방법
KR100487237B1 (ko) 고투과페이징모드의위성통신단말기를위한호전환방법
JPH10304446A (ja) 通信システム
JP3396149B2 (ja) 移動局認証方法とそのシステム
JP2001320764A (ja) クローン端末検知システムおよびクローン端末検知方法
KR101107191B1 (ko) 인증서 등록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6892079B1 (en) Procedure for setting up a call in a wireless local loop
JP3007499B2 (ja) 移動通信方式
EP0910915B1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of the individual handsets
KR20060028275A (ko) 외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잠금해제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23021685A (ja) 電子情報記憶媒体、及び無線通信網接続方法
KR20070012067A (ko)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위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4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3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