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8790B1 -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모터 기동용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모터 기동용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790B1
KR100258790B1 KR1019970019604A KR19970019604A KR100258790B1 KR 100258790 B1 KR100258790 B1 KR 100258790B1 KR 1019970019604 A KR1019970019604 A KR 1019970019604A KR 19970019604 A KR19970019604 A KR 19970019604A KR 100258790 B1 KR100258790 B1 KR 100258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tor
triac
terminal memb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9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7934A (ko
Inventor
주니치 하마타니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970077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7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6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 H02P3/18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n AC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4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single-phase induction motor
    • H02P1/44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single-phase induction motor by phase-splitting with a capaci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9/026Current limitation using PTC resistors, i.e. resistors with a large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02Details of starting control
    • H02P1/04Means for controlling progress of starting sequence in dependence upon time or upon current, speed, or other motor para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 Induction Machinery (AREA)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모터의 기동시에 동작하는 보조 코일(auxiliary coil)과 모터의 정상 회전 구동을 수행하는 주 코일(main coil)을 구비한 모터 구동 회로(motor-driving circuit)에 조립되는 모터 기동용 부품(motor start-up component)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이 모터 기동용 부품은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을 구비한 모터 기동용 정특성 서미스터와; 전기한 제 1 전극에 접속되고 제 1 수(male)단자부를 구비한 제 1 접속 부재; 및 전기한 제 2 전극에 접속되고 제 2 수단자부를 구비한 제 2 접속 부재를 포함한다. 모터 기동용 서미스터는 제 1 전극을 통하여 보조 코일에 직렬로 접속된다. 전류 차단 장치는, 각각 상응하는 수단자부를 수용하는 암단자부를 구비한 제 1 단자 부재와 제 2 단자 부재; 제 1 트라이악 단자, 제 2 트라이악 단자 및 게이트 단자를 구비한 트라이악; 트라이악 제어용 정특성 서미스터 및 적어도 트라이악과 트라이악 제어용 서미스터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모터 기동용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장치
본 발명은 정특성(positive temperature characteristic) 서미스터(이하에서는 "PTC 서미스터"라 한다)를 사용하는 모터 기동용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차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러한 모터 기동용 회로에 결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6은 냉장고의 압축기에 사용되는 단상 유도 모터(single-phase inductive motor) 등의 종래의 모터 11의 구동 회로를 도시한 것이며, 이 회로는 모터 11의 기동시에 동작하는 보조 코일 12와 모터의 11의 정상 회전 구동을 수행하는 주 코일 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모터 구동 회로에 조립되는 기동용 회로는 소위 CSR(Capacitor Start and Run)형 모터용이며, 보조 코일 12에 직렬로 접속된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 16은 스위치 15를 거쳐 모터 11에 접속된다. 스위치 15가 모터 1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닫혀지면, 기동 초기에는 비교적 큰 전류가 PTC 서미스터 14를 통하여 보조 코일 12에 흘러서 모터 11을 기동시킨다. 모터 11의 기동이 완료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PTC 서미스터 14는 자체 발열에 의해 자신의 저항을 증가시키게 되고, 이것에 의해 보조 코일 12에 흐르는 전류를 감쇠시킨다.
PTC 서미스터 14에 모터 기동용 커패시터 17이 직렬로 접속되고, PTC 서미스터 14와 기동용 커패시터 17에 모터 운전용 커패시터 18이 병렬로 접속된다. 모터 11이 단상 유도형인 경우, 기동용 커패시터 17은 보조 코일 12에 의해 가해지는 기동 토크(start-up torque)를 증가시키기 위해 위상을 90°이동시킨다. 모터 운전용 커패시터 18은 모터 11이 기동된 후에 요동(pulsation)을 막아주며, 회전 동작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이들 커패시터 17, 18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다는 기동시킬 모터의 종류에 따라 꼭 필요하지는 않다.
도 16의 회로에서, 점선 19에 의해 둘러싸여진, PTC 서미스터 14를 포함하는 일부분은 모터 기동용 부품으로서 시판되고 있다. 외부와의 접속을 위하여 다섯 개의 단자 1, 2, 3, 5 및 6이 제공된다. PTC 서미스터는 이러한 단자 1, 2, 3, 5 및 6을 지지하는 케이스(도시하지 않았음)에 수납된다.
도 16의 모터 기동용 부품 19에 병합된 PTC 서미스터 14의 저항이 무한히 커지지 않기 때문에, 소비성 전류가 모터 11이 기동된 이후에도 PTC 서미스터 14를 거쳐 보조 코일 12에 계속해서 흐를 것이다. 소비 전력은 수W(와트)에 달하며, PTC 서미스터는 계속해서 발열하게 된다.
한편, 일본특허 공개 6-339291호 공보에는, 도 17에 나타낸 기동용 회로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회로가 기재되어 있다. 도 17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 것이며, 이들에 대해서 반복해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7에 나타낸 회로는 보조 코일 12에 직렬로 접속된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 외에, 트라이악 20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모터 기동용 서미스터 14에 병렬로 접속되고, 트라이악 20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PTC 서미스터 2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의 한쪽 전극은 트라이악 20의 게이트 G에 접속된다.
도 17에 나타낸 모터 기동용 회로에서는, 전원 16으로부터 전력이 모터 11에 공급되면, 트리거 신호(trigger signal)가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을 거쳐 트라이악 20의 게이트 G에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트라이악 20이 통전되고, 모터 기동을 위한 전류가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를 거쳐 보조 코일 12에 흐르게 된다. 모터 11이 기동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의 저항은 자체 발열에 의해 증가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보조 코일 12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게 된다. 동시에,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도 자체 발열에 의해 저항이 증가됨으로써 트라이악 20의 게이트 G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게 된다. 그런다음, 트라이악 20은 OFF 상태로 돌아가게 되고, 모터 11이 기동된 후에 불필요해진 보조 코일 12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한다.
이후에도, 작은 전류가 계속해서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을 통하여 흐르지만,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로 작용하는 것에 비하여 훨씬 작은 열용량(thermal capacitor)을 갖는 서미스터가 트라이악 제어용 서미스터 21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을 고온, 고저항 조건에 유지시키는데에는 아주 작은 전류만이 필요하다. 요약하면, 도 16에 나타낸 회로가 사용되는 경우에 비하여, 소비 전력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도 17의 회로에서, 점선 22에 의해 둘러싸여진 트라이악 20과 두 개의 서미스터 14, 21을 포함하는 일부분도 모터 기동용 부품으로서 일원화될 수 있으며, 외부 접속을 위한 다섯 개의 단자 1, 2, 3, 5 및 6을 구비한 케이스에 수납된다.
그러나, 모터 11을 기동시키기 위한 전류는 기동이 완료될 때까지 일정 시간동안 지속되어야 한다. 돌입 전류(rush current)의 절반이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그것의 동작시간(operating time)이라 하면, 동작시간은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의 체적이 감소함에 따라 단축되며, 이것은 서미스터가 뜨거워지는 시간(heat-up time)이 단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6의 부품 19 및 도 17의 부품 22 어느 경우에도, 각종 모터에 따라 여러 체적을 지닌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가 필요하게 되고, 그 결과 예를 들어 긴 동작시간을 필요로 하는 모터에서는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가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다.
복귀시간(return time)에 대하여 살펴보면, 복귀시간은 모터 11이 기동되고,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된 후에, 스위치 15가 켜져서 다시 turn-ON될 때까지 요구되는 시간이다.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된 후, 충분히 긴 시간이 경과한 후에 스위치가 turn-ON되는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예를 들어, 부품 22가 냉장고의 압축기용 모터와 접속되어 사용되는 경우, 냉장고의 문이 열리고, 온도조절장치(thermostat)가 스위치-OFF된 후 즉시 내부 온도가 올라가거나 순간 정전이 발생하여 모터가 섰다가 재기동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대형의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는 모터를 재기동시키기 위하여 충분히 빠른 속도로 냉각되지 못한다.
따라서,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가 자신의 온도를 낮추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모터 11을 설계하여야 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모터의 설계를 쉽게 변경시키지 못한다. 이런 경우에는,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의 방열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의 방열을 개선시키는데에는 제한이 있다.
게다가,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의 크기는 모터 11의 동작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결과적으로 부품 19와 22는 다른 크기의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를 조립할 수 있어야 한다. 부품 19, 22의 케이스로서 1종의 크기만으로 준비하는 경우에는, 이 크기는 가장 큰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를 포함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작은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가 내장된다면, 케이스 내부의 공간의 낭비를 초래하며, 뿐만 아니라 케이스 재료의 측면에서도 낭비가 있게 된다. 또한 다른 크기의 서미스터를 내장하는데에 한가지 크기의 케이스들이 사용될 수 있더라도,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와 같은 내부의 소자들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다른 부품들이 동일한 크기로 모두 만들어 질 수는 없으며, 다른 크기의 부품들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 또한 생산비의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한가지 크기의 케이스를 사용하여도 생산비를 현저히 감소시키지는 못한다.
반면에, 다른 크기의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에 대응하여 다른 크기의 케이스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케이스용 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는 있으나, 여러 종류의 제품을 제작하여야 하며, 따라서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단자 등의 각종 부품들이 요구되고, 이들의 가격 또한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다른 형태의 부품의 수도 한가지 크기의 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휠씬 많아진다. 결과적으로, 제조효율은 낮아지고, 전체 제조비용은 한가지 종류의 케이스를 생산하는 경우에 비하여 증가하게 된다.
모터를 기동시키는데에는 많은 방법들이 있다. 따라서 부품 19, 22는 다른 종류의 모터 기동에 대응하는 여러 종류의 단자들을 필요로 한다. 이또한 고려되어야 할 인자이다.
상기한 문제점은 도 16의 부품 19와 도 17의 부품 22의 두 경우에 모두 적용되지만, 도 17의 부품 22에서 더욱 심각하다. 예를 들어 모터 11이 재기동될 수 있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의 방열을 개선시키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그러나, 도 17의 부품 22의 경우에는, 서미스터 14의 방열을 방해하는, 열원으로서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 이외에도 트라이악 20과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이 존재한다. 게다가 도 17의 부품 22는 도 16의 부품 19에 비하여 많은 구성 요소를 갖고 있으므로, 더 큰 케이스가 필요하다. 이러한 것들이 상기한 문제가 도 17의 부품 22에서 더 심각해지는 이유이다. 내열성 수지등의 재료는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에 비하여 많은 양의 열을 방출하고 고온에 도달하는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에 적절하게 사용되어야 하며, 이것이 케이스의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케이스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은 불리함을 의미한다.
도 17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에 의한 트라이악 20의 온도상승을 억제하고, 열폭주(thermal run-away)를 방지하기 위하여 트라이악 20의 방열부에 금속제의 방열판(heat-radiating plate) 등을 부착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에 의해 부품 수가 증가하게 되고,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도 17에 나타낸 종래의 부품 22의 이점을 가지면서, 부품 22을 도 16에 나타낸 부품 19에 상응하는 부분과 자동 전류 차단 성능을 제공하는 트라이악 20과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을 포함하는 다른 부분으로 분리하여, 후자의 자동 전류 차단 성능을 제공하는 부분을 단독 부품으로서 취급하여 도 16에 나타낸 모터 기동용 부품 19에 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개선된 모터 기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및 네 번째 구현예에 따른 장치 및 이 장치에 결합된 모터 기동용 부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수(male)단자부를 구비한 단자 부재(terminal member)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암(female)단자부를 구비한 단자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수단자부와 암단자부가 일체로 형성된 단자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낸 장치의 외관을, 이 장치에 결합되기에 적합한 모터 기동용 부품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낸 장치의 저면을,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장치의 케이스 본체에 수납되는 부품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나타낸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나타낸 장치의 외관을, 이 장치에 결합되기에 적합한 모터 기동용 부품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12에 나타낸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장치의 케이스 분체에 수납되는 부품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8에 나타낸 장치의 변형예로서 다른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모터 기동용 회로를 조립한 모터 구동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17은 다른 종래의 모터 기동용 회로를 조립한 모터 구동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5, 6 ... 단자 11 ... 모터
12 ... 보조 코일 13 ... 주 코일
14 ... 모터 기동용 정특성 서미스터 16 ... 전원
19 ... 모터 기동용 부품 20 ... 트라이악(triac)
21 ... 트라이악 제어용 정특성 서미스터
23, 24, 25, 26, 84 ... 전류 차단 장치 27 ... 제 1 전극
28 ... 제 2 전극 29 ... 제 1 기동측 단자 부재
30 ... 제 2 기동측 단자 부재 31 ... 제 1 수(male)단자부
32 ... 제 2 수단자부 33 ... 제 3 기동측 단자부재
34 ... 제 3 수단자부 35~37 ... 단자 부재
38 ... 제 1 암(female)단자부 39 ... 제 1 단자 부재
40 ... 제 2 암단자부 41 ... 제 2 단자 부재
42 ... 제 1 트라이악 단자 43 ... 제 2 트라이악 단자
G ... 게이트 44 ... 단자측 전극
45 ... 트라이악측 전극 46, 49, 51 ... 수단자부
47 ... 제 3 단자 부재 48 ... 암단자부
50 ... 제 4 단자 부재 54, 71, 85 ... 케이스
59, 72 ... 케이스 본체 60, 73 ...
62, 63, 65, 68 ... 접속 부재 64, 69, 70 ... 위치 결정용
66, 67, 80, 81 ... 단자 부재 77, 78, 83 ... 리드선
상기한 목적 및 그외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먼저 모터의 기동시에 동작하는 보조 코일과 모터의 정상 회전 구동을 수행하는 주 코일을 포함하는 모터 구동 회로에 조립되는 모터 기동용 부품과 결합되어 사용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모터 기동용 부품은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구비한 정특성 서미스터와; 전기한 제 1 전극에 접속되고 제 1 수(male)단자부를 구비한 제 1 접속 부재; 및 전기한 제 2 전극에 접속되고 제 2 수단자부를 구비한 제 2 접속 부재를 포함한다. 모터 기동용 서미스터는 제 1 전극을 통하여 보조 코일에 직렬로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 1 수단자부를 수용하는 제 1 암단자부를 구비한 제 1 단자 부재와; 제 2 수단자부를 수용하는 제 2 암단자부를 구비한 제 2 단자 부재; 제 1 트라이악 단자, 제 2 트라이악 단자 및 게이트 단자를 구비한 트라이악; 트라이악 제어용 정특성 서미스터; 및 적어도 트라이악과 트라이악 제어용 서미스터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트라이악 단자는 제 2 단자 부재에 접속되고, 트라이악 제어용 서미스터는 제 1 단자 부재에 접속된 전극과 게이트 단자에 접속된 다른 전극을 구비한다. 제 3 단자 부재는 제 2 트라이악 단자에 접속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장치가 모터 기동용 부품에 결합될 때, 제 1 암단자부 및 제 2 암단자부가 각각 제 1 수단자부 및 제 2 수단자부를 수용하도록, 제 1 단자 부재 및 제 2 단자부재는 케이스에 의해 지지된다. 케이스는, 장치가 모터 기동용 부품에 결합될 때, 모터 기동용 부품에 의해 폐쇄되는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단자 부재와 트라이악 제어용 서미스터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과, 제 2 단자 부재와 제 1 트라이악 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는 리드선(lead line)에 의한 것일 수 있다.
기동되는 모터의 형태에 따라서 많은 변형과 다양화가 가능하다.
이하, 본 명세서에 포함되며,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작용 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을 구현하는 장치 23, 24, 25 및 26의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도 16 및 도 17에서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으며,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들 장치 23~26 각각은 도 16에 나타낸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를 포함하는 모터 기동용 부품 19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모터 기동용 부품 19는 다섯 개의 단자 1, 2, 3, 5, 6과; 제 1 전극 27과 제 2 전극 28을 구비한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와; 제 1 전극 27에 접속된 제 1 단자 부재 29와; 제 2 전극 28에 접속된 제 2 단자 부재 30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단자 부재 29는 단자 3과 6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며, 단자 3으로서 작용하는 제 1 수단자부 31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단자 부재 30은 단자 1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 2 수단자부 32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 기동용 부품 19는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와는 독립적으로, 단자 2와 5를 일체로 형성하는 제 3 단자 부재 33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제 3 단자 부재 33은, 단자 2로서 작용하는 제 3 수단자부 3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는 제 1 전극 27에 접속된 제 1 단자 부재 29의 단자 6을 통하여 보조 코일 12에 직렬로 접속된다.
모터 기동용 부품 19와 결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23~26 각각은 단자 1, 2, 3에 각각 접속되는 단자 A, B, C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장치 23~26에서, 단자 A, B 및 C로서는, 도 5,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형상의 단자 부재가 사용된다. 도 5에는, 예를 들어 패스트-온(fast-on) 단자 등의 수단자부를 구비한 단자 부재 35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수단자부를 수용할 수 있는 암단자부를 구비한 단자 부재 36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수단자부 및 암단자부를 일체로 형성한 단자 부재 37이 도시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3종류의 단자 부재 35~37은 모터의 기동 방식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적절히 사용된다.
장치 23~26 각각은 모터 기동용 부품 19의 제 1 수단자부 31을 수용하는 단자 C로서 사용되는 제 1 암단자부 38을 구비한 제 1 단자 부재 39; 제 2 수단자부 32를 수용하는 단자 A로서 사용되는 제 2 암단자부 40을 구비한 제 2 단자 부재 41; 제 2 단자 부재 41에 접속된 제 1 단자 42와, 제 2 단자 43 및 게이트 단자 G를 구비한 트라이악 20; 제 1 단자 부재 39에 접속되는 전극 44와 게이트 단자 G에 접속되는 다른 전극 45를 구비한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 및 트라이악 20의 제 2 단자 43에 접속되는 암단자부 46을 구비한 제 3 단자 부재 47을 구비한다. 도 1~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적어도 트라이악 20과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을 수납하는 케이스도 또한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첫 번째 구현예에 따른 장치 23은 소위 CSIR(Capacitor Start Induction Run)형 모터용이며, 모터 기동용 부품 19의 제 3 수단자부 34를 수용하는 단자 B로서 사용되는 암단자부 48과, 수단자부 49를 구비한 제 4 단자 부재 50을 부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런 장치 23에서, 제 1 단자 부재 39와 제 2 단자 부재 41은 암단자부만을 구비한 도 6의 단자 부재 36으로 실현되며, 제 3 단자 부재 47은 오직 수단자부만을 구비한 도 5의 단자 부재 35로 실현되고, 제 4 단자 부재 50은 수단자부와 암단자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도 7의 단자 부재 37로 실현된다.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두 번째 구현예에 따른 장치 24는 CSR형 모터용이다. 이것은 제 1 단자 부재 39가 암단자부 38 뿐만 아니라 수단자부 51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 1에 나타낸 장치 23과 다르다. 따라서 장치 24의 제 1 단자 부재 39는 수단자부와 암단자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도 7의 단자 부재 37로 실현된다.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세 번째 구현예에 따른 장치 25는 소위 RSIR(Resistance Start Induction Run)형 모터용이며, 이것은 제 3 단자 부재 47과 분리된 제 4 단자 부재 50이 없고, 제 3 단자 부재 47이 수단자부와 암단자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도 7의 단자 부재 37로 실현되며, 이것에 의해 수단자부 46 뿐만 아니라 모터 기동용 부품 19의 수단자부 34를 수용하는 단자 B로서 작용한다는 점에서 도 1에 나타낸 장치 23과 다르다.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네 번째 구현예에 따른 장치 26은 소위 RSCR (Resistance Start Capacitor Run)형 모터용이며, 도 2에 나타낸 장치 24의 경우와 같이, 제 1 단자 부재 39가 암단자부 38 뿐만 아니라 수단자부 51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만 도 3의 장치 25와 다르다. 따라서, 이 장치의 제 1 단자 부재 39는 수단자부와 암단자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도 7의 단자 부재 37로 실현될 수 있다.
이하, 이들 장치 23~26의 기계적인 결합 구조에 대하여, 도 8~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도 11은 CRS형 모터용 모터 기동용 부품 19에 결합되기에 적합한, 도 2에 나타낸 장치 24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서, 모터 기동용 부품 19의 케이스 52는 비교적 높은 내열성을 지닌 수지재로 구성되며, 이 케이스 52에는,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도 8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음)를 수용하기 위한 볼록부 53이 형성된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장치 24의 케이스 54는 비교적 낮은 내열성을 지닌 수지재로 구성되며, 이 케이스 54에는 볼록부 53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 55가 형성된다. 장치 24와 모터 기동용 부품 19를 기계적으로 결합할 때에는, 이러한 볼록부 53과 오목부 54를 서로 맞물림한다.
모터 기동용 부품 19에는, 전술한 제 1 수단자부 31, 제 2 수단자부 32 및 제 3 수단자부 34가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장치 24의 케이스 54에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수단자부 31, 32 및 34를 삽입할 수 있는 홀(holes) 56, 57 및 58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54는 본체 59, 커버 60, 및 커버 60을 관통하여 형성된 홀 56~58로 구성된다.
장치 24의 케이스 54 안에는, 전술한 트라이악 20과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이 수납된다. 또, 트라이악 20의 방열부 61은 케이스 54의 외부에 배치되며, 이로써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트라이악 2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단자 부재 39, 41, 47, 50은 본체 59에 의해 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트라이악 20은,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부재 39와 제 4 단자 부재 50과의 사이에, 면적이 넓은 면을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옆으로 뉘어져 본체 59 내에 배치된다. 트라이악 20의 제 1 단자 42는 접속 부재 62를 거쳐 제 2 단자 부재 41에 접속된다. 제 2 단자 부재 41은 본체 59에 설치된 위치결정용 오목부(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위치결정되며, 이렇게 하여 그의 암단자부 40은 커버 60을 통하여 홀 57에 삽입된다. 트라이악 20의 제 2 단자 43은 다른 접속 부재 63을 거쳐 제 3 단자 부재 47에 접속된다. 제 3 단자 부재 47은, 본체 59에 설치된 위치결정용 슬릿 64를 관통함으로써 위치 결정되며, 그의 수단자부 46은 본체 59으로부터 돌출된다.
트라이악 20의 게이트 단자 G는 다른 접속 부재 65를 거쳐, 스프링 접촉편(spring contact piece)를 구비한 스프링 단자 부재 66에 접속된다. 스프링 단자 부재 66은,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의 전극 45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 접속을 이룬다.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의 전극 44에는, 이와 유사한 구조의 다른 스프링 단자 부재 67이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 접속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스프링 단자 부재 66, 67은, 본체 59 내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은 스프링 단자 부재 66과 67 사이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이들 두 스프링 단자 부재 66, 67에 의해 지지된다.
스프링 단자 부재 67에는 제 1 단자 부재 39가 접속 부재 68을 접속되어 있다. 제 1 단자 부재 39는, 본체 59에 설치된 위치결정용 슬릿 69에 관통함으로써 위치 결정되며, 그의 수단자부 51은 본체 59로부터 돌출된다. 또, 그의 암단자부 38은, 커버 60에 설치된 홀 56에 삽입된다.
이러한 모든 부품들이 케이스 54의 본체 59 내부에 수납되고, 또는 지지된 후에, 커버 60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 59에 결합된다. 이러한 모든 부품들은 본체 59에 의해 본질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커버 60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커버 60이 제공되지 않은 경우에도, 본체 59의 개구는, 모터 기동용 부품 19와 결합되면, 모터 기동용 부품 19의 케이스 52에 의해 결국에는 폐쇄되게 된다. 따라서, 커버 60은 생략되어도 큰 문제는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치 24는 도 8에서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 기동용 부품 19에 접속되어 도 17에 나타낸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환언하면, 도 16에 나타낸 통상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모터 기동용 부품 19의 단자 1, 2, 3에서의 접속을 끊고, 거기에 상술한 장치 24를 삽입하는 것과 같다.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장치 24의 단자 A, B 및 C로서 작용하는 암단자부 40, 48 및 38은 모터 기동용 부품 19의 단자 1, 2 및 3으로 작용하는 수단자부 32, 34, 31을 수용하여 결합하며, 이것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을 이룬다. 장치 24는 3개의 수단자부 46, 49 및 51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단자부 46, 49 및 51은 먼저 모터 기동용 부품 19의 수단자부 32, 34 및 31이 접속되어 있는 암단자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24의 3개의 수단자부 46, 49 및 51이 모터 기동용 부품 19의 3개의 수단자부 32, 34 및 31과 유사하게 설계된다면, 장치 24의 삽입은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장치 24와 모터 기동용 부품 19가 접속된 후에는, 도 17에 나타낸 스위치 15가 닫혀지면,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을 거쳐 트라이악 20의 게이트 단자 G에 전류(게이트 전류(gate current))가 흐른다. 모터 11의 기동시에는,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은 상온상태이고, 저항은 작으므로, 게이트 전류는 트라이악 20을 켜기에는 충분히 강하다. 그 결과로서 트라이악 20은 매 반주기마다 트리거되고,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를 거쳐 보조 코일 12에 모터 11을 기동시키기 위한 전류가 흐른다.
모터가 기동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는 가열되어 보조 코일 12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게 된다. 동시에,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도 또한 가열되어 게이트 전류가 매우 약해지게 되고, 트라이악 20을 켤 수 없게 된다. 이때에,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없게 되고, 전력 소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가 상온 근방으로 냉각되게 된다.
이후에도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을 통하여 매우 작은 전류가 계속 흐르게 된다.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은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 14에 비하여, 통상 1/5 이하의 체적을 갖기 때문에, 전력의 낭비를 1/5로 줄일 수 있다. 모터 11이 재기동될 때까지 요구되는 복귀시간도 또한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12~도 14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모터 기동용 부품 19와 결합하는 RSCR형 모터에 사용되는 도 4에 나타낸 장치 26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도 14에서, 도 8~도 11에서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으며,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장치 26은 케이스 71에 수납된 트라이악 20과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 등의 부품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케이스 71은 본체 72와 커버 73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트라이악 20의 방열판 61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 7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커버 73은 3개의 홀 74, 75 및 76을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트라이악 20은 면적이 넓은 면을 측방으로 향하도록 놓인 상태에서, 본체 72의 내부에 배치된다. 트라이악 20의 제 1 단자 42, 제 2 단자 43 및 게이트 단자 G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단자 42에는, 절연 피복된 리드선(lead line) 77이 땜납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이 리드선 77은 커버 73의 홀 74를 통하여 케이스 71의 외부로 인출되고, 그의 단부에는 암단자부 40을 구비한 제 2 단자 부재 41이 땜납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 2 단자 43에는, 다른 절연 피복된 리드선 78이 땜납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이 리드선 78은 커버 73의 홀 75를 통하여 케이스 71의 외부로 인출되고, 그의 단부에는 수단자부 46과 암단자부 47을 구비한 제 3 단자 부재 47이 땜납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게이트 단자 G는 접속편 79를 거쳐, 스프링 접속편을 구비한 스프링 단자 부재 86에 접속된다. 스프링 단자 부재 80은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의 전극 45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이룬다. 이와 유사하게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의 전극 44에는, 다른 스프링 단자 부재 81이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이룬다. 이러한 스프링 단자 부재 80과 81은 본체 72의 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이들 사이에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 21이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지지된다.
또, 스프링 단자 부재 81에는, 접속편 82를 거쳐 절연 피복된 리드선 83이 땜납 등에 의해 접속된다. 이들 리드선 83은, 커버 73의 홀 76을 통하여 케이스 71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고, 그의 단부에는, 수단자부 51과 암단자부 38을 구비한 제 1 단자 부재 39가 땜납 등에 의해 접속된다.
암단자부 38, 40 및 48 각각은 도 12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단자부 31, 32 및 34에 맞물림하며, 이것에 의해 장치 26의 이러한 단자 부재 39, 41 및 47이 각각 모터 기동용 부품 19의 수단자부 31, 32 및 34과 맞물림한다. 이렇게 하여 도 4에 나타낸 회로가 완성되며, RSCR형 모터의 기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장치 26에서는, 리드선 77, 78 및 83이 가요성이기 때문에, 그의 암단자 부재 38, 40 및 48은 대응하는 수단자 부재 31, 32 및 34와 다른 간격에서 맞물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모든 접속들이 리드선에 의해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이들 3개의 단자 부재 39, 41 및 47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이렇게 접속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 15는 다소 다르게 구성된 다른 장치 84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서 도 8~도 11에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장치 84는 도 8~도 11의 제 4 단자 부재 50이 생략되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따라서, 장치 84가 사용되는 경우, 모터 기동용 부품 19의 수단자부 34에는 직접 전원 16으로부터의 배선이 접속된다. 제 4 단자 부재 50이 생략되었기 때문에, 케이스 85는 제 4 단자 부재 50이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가지며, 본체만을 구비하고 커버는 설치되지 않는다. 이렇게 설계된 장치 84는 예를 들면 상술한 장치 24에 비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상에서, 단지 제한된 수의 실시예만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많은 변형과 변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1에서 나타낸 장치 24는 도 2에 나타낸 CSR형 모터에 적용되도록 의도된 것이지만, 제 1 단자 부재 39를 암단자부 38만을 구비한 다른 것으로 치환함으로써, 또는 제 1 단자 부재 39를 그의 수단자부 51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도 1에 나타낸 CSIR형 모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 14에 나타낸 장치 26은 도 4에 나타낸 RSCR형 모터에 적용되도록 의도된 것이지만, 제 1 단자 부재 39를 암단자부 38만을 구비한 다른 것으로 치환함으로써, 또는 제 1 단자 부재 39를 그의 수단자부 51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도 3에 나타낸 RSIR형 모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장치들에서 트라이악은 단자 부재들과 다르게 접속될 수 있다. 장치 23과 24에서의 트라이악은 도 12에 나타낸 리드선을 사용하여 접속시킬 수 있고, 도 8에 나타낸 장치 25와 26의 단자 부재들은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들은, 도 16에 나타낸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를 구비한 모터 기동용 부품에 조립됨으로써,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모터 기동용 부품 22의 경우와 동일하게, 모터 기동 후에 기동 전류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트라이악과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를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되는 도 17에 나타낸 종래의 부품 22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들은 트라이악과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가 분리되어 단독의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트라이악과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로부터의 발열에 의한 영향을 덜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로부터의 열에 의한 열폭주를 방지하기 위하여 트라이악에 방열판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된 장치들은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로부터의 발열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그들의 케이스는 내열성 재료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케이스의 재료 선정 폭이 넓어진다. 케이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트라이악과 트라이악 제어용 PTC 서미스터가 다른 부품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 기동용 PTC 서미스터로부터의 열을 더 효과적으로 방산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또한 모터의 재기동을 가능하게 하는 복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이점은, 장치를 다양한 종류의 모터를 기동시키는데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11)

  1. 모터 구동 회로에 조립되는 모터 기동용 부품과 결합되는 장치로서,
    상기한 모터 구동 회로는, 모터의 기동시에 동작하는 보조 코일과 모터의 정상 회전 구동을 수행하는 주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한 모터 기동용 부품은,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구비한 정특성(positive temperature characteristic) 서미스터와; 상기한 제 1 전극에 접속되고 제 1 수(male)단자부를 구비한 제 1 접속 부재(connector member); 및 상기한 제 2 전극에 접속되고 제 2 수단자부를 구비한 제 2 접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한 모터 기동용 서미스터는 상기한 제 1 전극을 통하여 상기한 보조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한 장치는,
    상기한 제 1 수단자부를 수용하는 제 1 암단자부를 구비한 제 1 단자 부재;
    상기한 제 2 수단자부를 수용하는 제 2 암단자부를 구비한 제 2 단자 부재;
    제 1 트라이악 단자, 제 2 트라이악 단자 및 게이트 단자를 구비한 트라이악으로서, 상기한 제 1 트라이악 단자가 상기한 제 2 단자 부재에 접속되어 있는 트라이악(triac);
    상기한 제 1 단자 부재에 접속된 전극과 상기한 게이트 단자에 접속된 다른 전극을 구비한 트라이악 제어용 정특성 서미스터; 및
    상기한 트라이악과 상기한 트라이악 제어용 서미스터를 수납하는 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단자 부재와 제 2 단자 부재는, 상기한 장치가 상기한 모터 기동용 부품과 결합할 때, 상기한 제 1 암단자부 및 제 2 암단자부 각각이 상기한 제 1 수단자부 및 제 2 수단자부를 수용하도록, 상기한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스는 개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한 개구는 상기한 장치가 상기한 모터 기동용 부품과 결합할 때, 상기한 모터 기동용 부품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단자 부재와 상기한 한쪽 전극과의 전기적인 접속과, 상기한 제 2 단자 부재와 상기한 제 1 트라이악 단자와의 전기적인 접속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는 리드선(lead line)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단자 부재가 수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2 트라이악 단자에 접속되는 제 3 단자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한 제 3 단자 부재가 수단자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한 모터 기동용 부품은 상기한 주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고 제 3 수단자부를 구비한 제 3 접속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한 제 3 단자 부재는 상기한 제 3 수단자부를 수용할 수 있는 암단자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모터 기동용 부품은 상기한 주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고 제 3 수단자부를 구비한 제 3 접속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한 장치가 상기한 제 3 수단자부를 수용할 수 있는 암단자부와; 수단자부를 구비한 제 4 단자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단자 부재가 암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트라이악 단자에 접속되는 제 3 단자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한 제 3 단자 부재는 수단자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모터 기동용 부품은 상기한 주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고 제 3 수단자부를 구비한 제 3 접속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한 장치가 상기한 제 3 수단자부를 수용할 수 있는 암단자부와; 수단자부를 구비한 제 4 단자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70019604A 1996-05-20 1997-05-20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모터 기동용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장치 KR100258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435696A JP3144298B2 (ja) 1996-05-20 1996-05-20 オートオフリレー部品
JP8-124356 1996-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7934A KR970077934A (ko) 1997-12-12
KR100258790B1 true KR100258790B1 (ko) 2000-06-15

Family

ID=1488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9604A KR100258790B1 (ko) 1996-05-20 1997-05-20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모터 기동용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52811A (ko)
JP (1) JP3144298B2 (ko)
KR (1) KR100258790B1 (ko)
DE (1) DE19721103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164A (ko) * 2020-10-22 2022-04-29 (주)아덴하이진 인체무해 uv광원을 이용한 살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9523B1 (en) * 1999-07-01 2001-05-29 General Electric Company Cutout start switch
US6564568B1 (en) * 2001-11-14 2003-05-20 Kuei-Hsien Shen Refrigerating compressor control circuit
US7412415B2 (en) * 2001-11-29 2008-08-12 Morgan Stanley Pair trading system and method
JP4097034B2 (ja) * 2004-02-24 2008-06-04 株式会社センサータ・テクノロジーズジャパン 省電力化モータ起動装置
US20060059931A1 (en) * 2004-09-20 2006-03-23 Bart Petterson Binary control compressor system
CN1294694C (zh) * 2004-11-24 2007-01-10 常熟市天银机电有限公司 互感式无触点起动器
CN1283037C (zh) * 2005-01-21 2006-11-01 常熟市天银机电有限公司 互感式无触点起动器
US20060218816A1 (en) * 2005-04-04 2006-10-05 Maytag Corporation Dryer heat modulation with solid state motor switch
WO2007043750A1 (en) * 2005-10-07 2007-04-19 Lg Electronics Inc. Power saving type compressor and refrigerator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E202006020240U1 (de) * 2006-09-19 2008-02-07 Ne-Ma S.P.A. Pressostati Schaltungsanordnung für einen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n Kolbenkompressor
CN104426429B (zh) * 2013-08-26 2019-10-18 森萨塔科技公司 正温度系数热敏电阻启动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3142A (en) * 1970-06-02 1972-02-15 Texas Instruments Inc C motor control system utilizing a selectively energizable semiconductor switch means
US3671830A (en) * 1970-06-24 1972-06-20 Westinghouse Electric Corp Single phase motor starting control apparatus
US3832612A (en) * 1970-07-29 1974-08-27 Franklin Electric Co Inc Electrical timing circuit for controlling energization of a load
US3852648A (en) * 1971-05-25 1974-12-03 Carrier Corp Control circuit
US3855509A (en) * 1972-04-18 1974-12-17 Gen Electric Control system for induction motors
US3864844A (en) * 1973-10-26 1975-02-11 Gen Electric Solid state dryer control
US4276506A (en) * 1979-06-29 1981-06-30 Chore-Time Equipment, Inc. Motor control circuit
JP3272493B2 (ja) * 1992-12-05 2002-04-08 山田電機製造株式会社 単相誘導電動機の起動装置
US5617001A (en) * 1995-02-13 1997-04-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C. motor starting control circuit utilizing triggerable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
JPH08251959A (ja) * 1995-03-15 1996-09-27 Sanyo Electric Co Ltd 電動機用始動リレーの消費電力削減装置
US5757162A (en) * 1996-02-28 1998-05-26 Weber; Harold J.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ic induction motor with a long and lossy extension co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164A (ko) * 2020-10-22 2022-04-29 (주)아덴하이진 인체무해 uv광원을 이용한 살균장치
KR102427239B1 (ko) * 2020-10-22 2022-08-22 (주)아덴하이진 인체무해 uv광원을 이용한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44298B2 (ja) 2001-03-12
DE19721103A1 (de) 1997-11-27
KR970077934A (ko) 1997-12-12
JPH09308278A (ja) 1997-11-28
US5952811A (en) 1999-09-14
DE19721103C2 (de) 199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8790B1 (ko)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모터 기동용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장치
US5729416A (en) Motor starter and protector module
US4241370A (en) Thermal relays particularly for starting single-phase asynchronous motors
KR20050021306A (ko) 모터 시동 릴레이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 컴프레서
US4131871A (en)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US5055726A (en) Plug-on protector for compressor motor
KR100268528B1 (ko) 모터기동회로용부품
US4237508A (en) Electrical control
JP2015035904A (ja) サーモスイッチ付過負荷保護装置及び冷媒圧縮機
US6495982B2 (en) Electric motor control
JP2004274896A (ja) モータ起動装置
US4327481A (en) Method of assembling an electrical device
JP3446109B2 (ja) 冷蔵庫用モータの起動装置
JPH1131445A (ja) スイッチ装置
JP3946175B2 (ja) 省電力化モータ始動システム
KR0133975Y1 (ko) 자동 판매기용 히터
JPH028513Y2 (ko)
KR200158094Y1 (ko) 바이메탈형 제상조절기와 온도 퓨즈를 일체화 한 제상조절기 어셈블리
JP2006230158A (ja) モータ始動リレー
JPH0718089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器
JPH0758667B2 (ja) サーミスタ一体形コンデンサ
JP3272472B2 (ja) 単相誘導電動機の起動装置
JP2006246611A (ja) モータ始動リレー
JPS63250092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9285066A (ja) 電動式圧縮機の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5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