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7552B1 - 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552B1
KR100257552B1 KR1019960029096A KR19960029096A KR100257552B1 KR 100257552 B1 KR100257552 B1 KR 100257552B1 KR 1019960029096 A KR1019960029096 A KR 1019960029096A KR 19960029096 A KR19960029096 A KR 19960029096A KR 100257552 B1 KR100257552 B1 KR 100257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late heater
side plate
heater
heated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115A (ko
Inventor
사토루 코다마
타카시 아사히나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97000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05B6/6485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further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64Aspects related to the power supply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수단으로서, 복사형 히터 및 마이크로파발생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식품을 최적의 가열방법에 의해 조리하는 오븐레인지 등의 가열조리기에 관한것으로서, 피가열물의 크기나 양에 따라서 가동하는 측판히터를 제어하므로써 양호하게 가열조리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피가열물(1)을 수납하는 가열실(2)과 상기 피가열물(1)을 얹어놓는 재치대(3)와, 상기 피가열물(1)을 가열하는 천정판히터(5), 바닥판히터(6), 가동측판히터(13)와 상기 가동측판히터(13)를 구동하는 구동수단(14)과 상기 각 히터에의 전원공급 및 상기 구동수단(14)을 제어하는 제어부(19)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측판히터(13)를 조리메뉴에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14)을 제어하여, 회전 또는 회전과 승강을 수반하여 이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종래의 열풍순환에 의한 가열방식에서 볼수 있었던 구이불균일이나 과도한 건조를 억제할 수 있어 다양한 피가열물을 양호하게 가열조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조리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가열조리기의 가열실의 정면단면도.
제2도는 동가열조리기의 외관도.
제3도는 동가열조리기의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종래의 실시예와의 가열조리기의 예비가열시간의 비교도.
제5(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종래의 실시예와의 가열조리기의 피가열물가열시에 있어서의 재치대(載置臺)의 평면온도분포도, (b)는 동재치대의 평면도.
제6(a)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가열조리기의 예비가열시의 가열방법을 표시한 도면.
(b)는 동가열조리기의 가열조리방법을 표시한 도면.
(c)는 동가열조리기의 다른 가열조리방법을 표시한 도면.
(d)는 동가열조리기의 다른 가열조리방법을 표시한 도면.
(e)는 동가열조리기의 다른 가열조리방법을 표시한 도면.
제7도는 종래의 가열조리기의 일실시예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가열물 2 : 가열실
3 : 재치대 4 : 문짝
6 : 바닥판히터 12 : 가열지령키이(입력수단)
13 : 가동(可動)측판히터(측판히터) 14 : 구동수단
16 : 선반부 17 : 재치대검출장치(검출수단)
18 : 마그네트론(마이크로파발생기) 19 : 제어부
20 : 기억수단
본 발명은, 가열수단으로서, 복사형히터 및 마이크로파발생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식품을 최적의 가열방법에 의해 조리하는 오븐레인지 등의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븐레인지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히터를 이용한 가열방식으로서 가열실의 천정판 및 바닥판에 히터를 배치하고, 히터의 복사열이나 대류열에 의해 가열조리하는 소위 대류방식과, 히터의 열을 송풍기에 의해 가열실로 보내어 열풍에 의해 가열조리하는 소위 열풍순환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하, 그 일예인 열풍순환방식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피가열물(1)을 가열하는 가열실(2)과, 피가열물(1)을 얹어놓는 착탈자재한 재치대(3)와 가열실(2)을 밀폐하는 문짝(4)과, 피가열물(1)을 가열하는 수단인 천정판히터(5), 바닥판히터(7), 뒤판히터(7)와 뒤판히터(7)의 열을 가열실에 송풍하는 순환홴(8)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순환홴(8) 및 뒤판히터(7)는, 가열실(2)의 뒤쪽에 형성된 부가열실(9)의 속에 배치되어 있으며, 가열실(2)과 부가열실(9)을 칸막이하는 뒤판에는 열풍이 순환될 수 있도록 복수의 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뒤판히터(7)의 열을 순환홴(8)에 의해서, 가열실(2)내에 송풍하여, 피가열물(1)을 가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리메뉴에 따라서 피가열물(1)을 가열할때에는, 천정판히터(5), 바닥판히터(6)의 복사열과, 뒤판히터(7)와 순환홴(8)에 의한 열풍을 각각 제어해서 행하여, 조리메뉴에 적합한 가열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열풍순환식의 가열방식에서는, 뒤판히터(7)의 열풍불어내기부와, 문짝부에서는 온도구배가 크며, 당연하지만, 뒤판히터(7)의 열풍불어내기부가 온도가 높고, 문짝쪽으로 감에 따라서 온도가 내려가는 경향에 있어, 피가열물(1)이 균일하게 가열되지 않고, 구이불균일의 원인으로 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구이불균일을 조금이라도 해소하기 위하여, 둥근접시에 피가열물(1)을 얹고, 회전시키면서 가열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지만, 둥근접시가 되면 1회에 조리할 수 있는 양이 적어 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피가열물(1)의 표면에 열풍이 직접 닿기 때문에, 피가열물(1)의 표면의 수분층이 날라버리고, 표면만이 급격히 가열되어, 건조되어버려, 완성상태로서, 표면이 퍼석퍼석해지거나, 구운색이 진해도, 속이 충분히 가열되어 있지 않거나해서 조리의 성과는 바람직한 것이 못되었다. 그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서는, 열풍의 불어내기위치나, 풍량을 조정하므로써, 조리성과의 개선을 도모하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으나 곤란한 점이 많고, 충분한 것이 못되었다.
또, 또한편의 종래의 천정판히터와 바닥판히터를 사용한 대류방식의 가열방법에서는, 재치대의 사용수자 한정되어, 한 번에 다량의 피가열물을 조리할 수 없고, 양을 증가하려고하면 가열실의 용량을 크게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게했을경우에는, 가열하는데 시간이 걸리거나, 히터의 소비전력을 크게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대류방식 및 열풍순환방식의 양쪽을 겸비한 가열조리기도 나오고 있으나, 각각의 결점을 보충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고, 특히 2단(段)에서 조리를 하는 경우에는, 구이불균일과 건조가 발생하게 되고, 좋은성과라고는 할 수 없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 그릴조리와 같이 피가열물의 표면에 단시간에 누른끼를 내게하는 조리에 있어서는 천정판히터만을 사용해서 조리하기 때문에, 조리도중에서의 뒤집기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조리의 진행상태를 주의해서 봐둘 필요도 있어, 시간이 걸리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과제의 해소를 도모한 것으로서, 피가열물의 크기나 양에 따라서, 가동하는 측판히터를 제어하므로써, 양호하게 가열조리하는 것을 제 1의 목적으로 한다.
또, 제 2의 목적은, 재치대의 종류나 재치대가 가열실내의 어느곳에 놓였는지를 검출하므로써, 피가열물의 가열방식을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피가열물을 최적의 가열조건에서 조리하는 일이다.
본 발명의 제 3의 목적은 가열실의 예비가열시의 시간단축을 도모하여, 에너지절약화를 실현하는 일이다.
본 발명은, 제 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천정판, 바닥판, 측판으로 이루어진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을 밀폐하는 문짝과. 상기 피가열물을 얹어놓는 재치대와, 상기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천정판히터와 바닥판히터와 가동하는 측판히터와, 상기 측판히터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각 히터에의 전력공급 및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판히터는 조리메뉴에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또는 회전과 승강을 수반해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은 제 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실의 측판에 재치대를 얹는 1단이상의 선반부와, 상기 재치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재치대가 얹힌 것을 검출하고,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측판히터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조리메뉴의 가열방법을 코드화해서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입력되는 코드에 대응하는 가열조건을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령과 상기 재치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에 의거해서 상기 기억수단을 검색하고, 상기 측판히터의 구동과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피가열물을 얹어놓는 재치대는, 둥근형, 모난형, 그물형상의 수종류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재치대의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재치대의 종류를 판별하여, 상기 측판히터의 구동과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서, 상기 천정판히터와, 바닥판히터와, 측판히터와, 마이크로파발생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메뉴의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령과 상기 재치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의 지령에 의거해서 상기 기억수단을 검색하고, 상기 마이크로파발생기와 상기 측판히터와의 구동과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은 제 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피가열물을 가열하기 전의 가열실을 예비가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측판히터를 구동수단에 의해 가열실중앙부로 구동하고, 측판히터에 전력을 연속공급해서 행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후, 상기 천정판히터, 바닥판히터, 측판히터에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의해서,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지령과, 재치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에 의해, 기억수단을 검색하고, 천정판히터, 바닥판히터와 측판히터의 구동 및 마이크로파발생장치에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므로써, 다종다양한 식품을 가열조리할 수 있다. 또, 열풍을 식품에 불어대지않기 때문에, 식품의 표면의 건조나 구이불균일을 억제해서, 양호한 완성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예비가열시에, 측판히터를 구동해서, 가열실중앙에 배치하므로써, 가열실외부로의 방열을 감소시켜, 효율좋게, 단시간으로 가열실내부를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종래의 실시예와 동일한 명칭의 부재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식품가열방식에 관한 가열조리기의 외관도이다. 즉, 본체(23)의 앞면에는 문짝(4)이 개폐자재하게 축받이되고, 식품이 수용되는 가열실의 개구를 폐색하고 있다. 조작보드(11)에는 입력수단인 가열지령키이(12)가 배설되고, 가열지령키이(12)로부터 입력되는 코드 및 후술하는 재치대검출장치로부터의 정보를 근거로, 가열방법을 선택하여, 제어부에 지령한다.
제1도는, 가열실의 정면단면도이며, 가열실(2)에는, 피가열물(1)을 가열하는 천정판히터(5), 바닥판히터(6)와 가동하는 측판히터(13)가 배치되고, 이 가동측판히터(13)는, 가열실(2)의 뒤쪽에 설치된 구동수단(14)에 의해 구동한다. 가열실(2)의 측면에는 피가열물(1)을 얹어놓는 재치대(3)를 얹는 선반부(16)가 형성되고, 재치대(3)가 얹힌 것을 검출하는 재치대검출장치(17)가 가열실(2)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가열실(2)에는 마이크로파발생장치인 마그네트론(18)이 배치되어 있다. 도면은, 가열실(2)내부에 피가열물(1)을 얹은 재치대(3)가 가열실(2)에 형성한 선반부(16)에 얹힌 것을 가열실뒤쪽에 설치한 재치대검출장치(17)가 검출하고, 구동수단(14)이 가동측판히터(13)를 구동시켜 가열실(2)의 측면으로부터 중앙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장면을 표시하고 있다. 또, 피가열물(1)을 가열하기전에 가열실(2)을 예비가열할때에는, 가동측판히터(13)를 구동수단(14)에 의해 가열실(2)의 중앙부로 구동시켜, 가동측판히터(13)에 전원을 연속공급하고, 입력수단인 가열지령키이(12)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후, 천정판히터(5), 바닥판히터(6). 가동측판히터(13)에의 전원을 공급제어한다.
제3도는 제어시스템구성을 표시한 블록도이며, 제어부(19)는 가열지령키이(12)로 부터 입력된 가열지령코드 및 재치대검출장치(17)로부터의 정보를 해독하고, 기억수단(20)으로부터 지정된 가열조건을 판독한다. 가열조건으로서는, 가동측판히터(13)의 구동장치인 구동수단(14)의 제어데이터와, 천정판히터(5), 바닥판히터(6), 가동측판히터(13)에의 전력공급의 제어와, 마그네트론(18)에의 급전조건을 표시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이들 데이터는 각각의 블록의 시계열데이터적인 제어치라도 되고, 어떤수식이라도 상관없다. 수식의 경우에는, 제어부(19)는 이것을 연산해서 시계열데이터를 얻고, 이 시계열데이터에 의해, 천정판히터(5), 바닥판히터(6), 가동측판히터(13), 구동수단(14), 마그네트론(18)에의 급전을 제어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종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정온도까지의 예비가열에 소용되는 시간을 비교한 것이다. 이에의해, 예비가열시에 본 발명의 가동측판히터(13)가 가열실중앙부로 구동하고, 소정의 온도까지 가동측판히터(13)에 전원이 연속공급되기 때문에, 종래의 실시예와 같이 천정판히터(5) 및 바닥판히터(7), 뒤판히터(7)에 의한 가열보다도 가열실외부에의 방열이 적어지기 때문에, 예비가열시간은 단축된다.
제5(a),(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종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가열물(1)의 가열시에 있어서의 재치대(3)의 평면온도분포를 비교한 것이다. 이에 의해 종래의 실시예는 가열시간과 함께 재치대의 온도는 뒤판히터(7)의 열풍불어내기부에 가까운 안쪽이 온도가 높고, 문짝부부근인 바로앞쪽으로 감에따라 온도가 내려가는 경향에 있어 온도구배가 크다. 이에대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종래의 실시예의 온도차의 1/3로 개선되어 있다.
제6(a)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예비가열시의 가열방법을 표시하며, 가동측판히터(13)가 가열실(2)의 중앙부로 구동해서,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실(2)을 가열하고 있는 모양을 표시한다.
제6(b)도는, 모난형의 재치대(3)가 가열실(2)에 형성된 상하의 선반부(16)에 얹어놓인 것을 가열실뒤쪽에 설치된 재치대검출장치(17)가 검출하고, 가동측판히터(13)가 가열실(2)의 중앙부로 구동하고, 천정판히터(5), 바닥판히터(6), 가동측판히터(13)에 전원이 공급제어되어 있는 모양을 표시한다. 이 가열방법은, 쿠키나 버터롤, 슈크림과 같은 과자류의 가열조리에 적합하다.
제6(c)도는, 모난형의 재치대(3)가, 가열실(2)에 형성된 선반부(16)의 하단에 얹어놓인 것을 가열실(2)의 뒤쪽에 설치된 재치대검출장치(17)가 검출하고, 가동측판히터(13)가 가열실(2)의 측판쪽으로 구동되고, 천정판히터(5), 바닥판히터(6), 가동측판히터(13)에 전원이 공급제어되어 있는 모양을 표시한다. 이 가열방법은, 가열실(2)의 상하좌우로부터 피가열물(1)을 둘러싸도록 가열하기 때문에 닭구이와같은 대용량의 식품의 가열조리에 적합하다.
제6(d)도는 모난형의 재치대(3)가 가열실(2)에 형성된 선반부(17)의 하단에 얹어 놓이고, 그물형상재치대(21)가 상단에 얹어놓인 것을 재치대검출장치(17)가 검출하고, 가동측판히터(13)가 가열실(2)의 중앙부로 구동하고, 천정판히터(5), 가동측판히터(13)에 전원을 공급제어하고 있는 모양을 표시한다. 이 가열방법은, 단시간에 피가열물(1)의 표면에 누른끼를 내게하는 조리에 적합하며, 피가열물(1)을 상하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해서 가열하기 때문에, 피가열물(1)을 도중에서 뒤집는 수고가 불필요하게 된다.
제6(e)도는, 둥근재치대(22)위에 피가열물(1)이 얹어놓인 것을 재치대검출장치(17)가 검출하고, 마그네트론(18), 천정판히터(5), 바닥판히터(7), 가동측판히터(13)에의 전원공급제어를 하고 있는 모양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가열방법은 케이크등 대용량의 피가열물(1)을 단시간에 조리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가열방법 및 재치대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된 재치대의 종류, 선반위치로부터 기억수단속에 미리 정해진 가열조건에 의해, 가열을 진행시키는 구성을 표시하였으나, 가열실의 환경을 계측하여, 각 히터 및 마그네트론에의 급전을 피드백하는 검지수단을 배설해도 된다. 이러만 검지수단으로서는, 온도검출수단이나 습도검출수단, 전파검출수단 등이 있다.
또, 재치대검출장치를 가열실뒤쪽에 설치하였으나, 가열실측면이라도 바닥면 이라도 상관없다. 검출수단이 다양해지면 그만큼, 재치대의 수, 종류, 위치의 검출이 더욱 용이해지고, 가열수단도 풍부해지는 것은 명백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기의 효과를 가져온다.
① 가동하는 측판히터를 조리메뉴에 따라서 이동시켜 제어하므로써, 종래의 열①풍순환에 의한 가열방식에서 볼수 있었던 피가열물의 구이불균일이나 과도한 건조를 억제하여 양호한 가열조리를 할 수 있다.
② 그릴조리와 같이 피가열물의 표면에 단시간으로 누른끼를 내게하는 조리에 있어서, 측판히터를 가열실중앙으로 이동시키므로써, 피가열물을 히터에 접근시켜서 상하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해서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조리의 도중에서 뒤집을 필요가 없다.
③ 가열실에 재치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배설하므로써, 재치대가 어디에 얹혀졌는지를 검출하여 이 검출정보에 의거해서 가열수단을 선택하고, 측판히터를 가동제어하므로써, 재치대가 선반의 어디에 얹어놓였는지에 관계없이 그선반위에서 피가열물을 최적의 가열조건에 의해 조리할 수 있다.
④ 조리메뉴의 가열방법을 코드화해서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입력되는 코드에 대응하는 가열조건을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령과 재치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에 의거해서 측판히터의 가동제어 및 각 히터에의 급전제어를 행하므로써 자동적으로 피가열물의 크기, 종류, 양에 따른 가열수단에 의해서 양호한 가열조리를 할 수 있다.
⑤ 또 재치대의 종류를 등근형, 모난형, 그물형상의 수종류로 하고, 입력수단과, 재치대의 짐출수단에 의해 재치대의 종류를 판별하므로써, 자동적으로 피가열물의 크기, 종류, 양을 판별하고, 이에 적합한 가열수단이 선택되어, 양호한 가열조리를 할 수 있다.
⑥ 또, 천정판히터, 바닥판히터, 측판히터 및 마그네트론을 구비하므로써, 피가열물을, 히터가열과 마이크로파가열과의 동시 또는 교호가열을 할 수 있어 단시간에 양호한 가열조리를 할 수 있다.
⑦ 예비가열시에 측판히터를 가열실중앙부로 이동시켜, 소정의 온도까지 전원을 연속공급하므로써, 가열시외부에의 열의 방열을 적게하여, 예비가열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에너지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후, 천정판히터, 바닥판히터, 측판히터, 마그네트론에의 전원을 공급제어하므로써, 피가열물을 가열조리할때에는, 가열실내부는 불균일한 곳없이 균일하게 가열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구이불균일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천정판, 바닥판, 측판으로 이루어진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을 밀폐하는 문짝과, 상기 피가열물을 얹어놓는 재치대와, 상기 가열실의 측판에 상기 재치대를 얹는 1단이상의 선반부와, 상기 재치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천정판히터와 바닥판히터와 가동하는 측판히터와 상기 측판히터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각 히터에의 전력공급 및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판히터는 상기 검출수단의 신호 및 조리메뉴에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또는 회전과 승강을 수반해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가열실의 양쪽에 2본 설치되고, 상기 측판히터가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가열실의 중앙부로 구동되었을때는, 가열실내에 상기 천정판히터, 측판히터, 바닥판히터에 의해 2개의 가열공간이 형성되고, 이 2개의 가열공간 중 어느 한쪽만을 사용해서 피가열물의 조리를 행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 2개의 가열공간에서 각각 다른 종류의 피가열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동시에, 동일한 종류의 피가열물도 동시에 조리할 수 있으며, 한편 상기 측판히터가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측판쪽으로 구동되었을 때는, 상기 천정판히터, 측판히터, 바닥판히터에 의해 상기 피가열물보다 대용량의 피가열물의 조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조리메뉴의 가열방법을 코드화해서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입력되는 코드에 대응하는 가열조건을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제어부는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령과 상기 재치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에 의거해서 상기 기억수단을 검색하고, 상기 측판히터의 구동과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구성으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열물을 얹어놓는 재치대는, 둥근형, 모난형, 그물형상의 수종류로 하고, 제어부는 입력수단과 상기 재치대의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재치대의 종류를 판별하여, 상기 측판히터의 구동과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서 상기 천정판히터와, 바닥판히터와, 측판히터에 추가해서 마이크로파발생기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상기 조리메뉴의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령과 상기 재치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의 지령에 의거해서 상기 기억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마이크로파발생기와 측판히터와의 구동과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5. 제2항에 있어서, 피가열물을 가열하기 전의 가열실을 예비가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판히터를 구동수단에 의해 가열실중앙부로 구동하고, 측판히터에 전력을 연속공급해서 행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후, 상기 천정판히터, 바닥판히터 및 상기 측판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KR1019960029096A 1995-07-19 1996-07-19 가열조리기 KR100257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82487 1995-07-19
JP7182487A JPH0933054A (ja) 1995-07-19 1995-07-19 加熱調理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115A KR970007115A (ko) 1997-02-21
KR100257552B1 true KR100257552B1 (ko) 2000-06-01

Family

ID=1611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096A KR100257552B1 (ko) 1995-07-19 1996-07-19 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933054A (ko)
KR (1) KR100257552B1 (ko)
CN (1) CN112215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627B1 (ko) * 2003-04-28 2005-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히터장치
CN108006715B (zh) * 2017-11-24 2019-12-10 宁波德萨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利用烤箱余热的壁炉
CN113294814B (zh) * 2021-05-20 2022-09-27 江西万佳保险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西式组合炉具有快速组合式线圈的加热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6026A (ja) * 1983-09-21 1985-04-16 Sharp Corp グリルオ−ブンレンジ
KR930020095A (ko) * 1992-03-13 1993-10-19 사토 후미오 전자렌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6026A (ja) * 1983-09-21 1985-04-16 Sharp Corp グリルオ−ブンレンジ
KR930020095A (ko) * 1992-03-13 1993-10-19 사토 후미오 전자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115A (ko) 1997-02-21
JPH0933054A (ja) 1997-02-07
CN1122151C (zh) 2003-09-24
CN1144899A (zh) 199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3321B2 (en) Convection oven with forced airflow circulation zones
CN100554789C (zh) 烹饪装置和烹饪方法
CA2152569A1 (en) Baking oven, particularly for bread or confectionery
CN101334179A (zh) 加热烹调器
CN107850313A (zh) 加热烹调器
US7005614B2 (en) Cooking apparatus equipped with heater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60113294A1 (en) Food cooking and heating apparatus
KR100257552B1 (ko) 가열조리기
JP2001046242A (ja) 家庭用オーブン、調理方法および調理装置
JP3023264B2 (ja) 加熱調理器
JP2009127900A (ja) グリルヒータ付きオーブンレンジ
KR20050081371A (ko) 조리용 오븐의 히터 제어 방법
KR20040048034A (ko) 조리 장치 및 방법
EP1253381B1 (en) An oven for foods
JP3363280B2 (ja) 加熱調理器
CN1249382C (zh) 自动烹饪水果的装置和方法
JPH06265155A (ja) 高周波加熱装置
JPH08270951A (ja) オーブン機能付き電子レンジ
JPH0317430A (ja) 加熱調理器
JP3655125B2 (ja) 加熱調理器
KR20240049895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수비드 머신
JP2021196100A (ja) 加熱調理器
KR101074709B1 (ko) 전자레인지 히터 반사판 제어 장치
KR20050081663A (ko) 조리용 오븐의 온도 제어 방법
CN114052530A (zh) 一种电磁煎烤馍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7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