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4508B1 - 광 디스크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508B1
KR100254508B1 KR1019920005037A KR920005037A KR100254508B1 KR 100254508 B1 KR100254508 B1 KR 100254508B1 KR 1019920005037 A KR1019920005037 A KR 1019920005037A KR 920005037 A KR920005037 A KR 920005037A KR 100254508 B1 KR100254508 B1 KR 100254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uster
recording
sectors
dis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681A (ko
Inventor
후지이에가즈히꼬
마에다야스아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20018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50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13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for discrete information, i.e. where each information unit is stored in a distinct discrete location, e.g. digital information formats within a data block or sec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77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for managing gaps between two recordings, e.g. control data in linking areas, run-in or run-out fields, guard or buffer zo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적 수단으로 데이타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디스크 기록 장치 및 디스크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가 미리 기록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데이타를 기록할 때, 기록하려는 디지탈 데이타를 기억 수단에 일시 기억하고, 그 기억 수단에서의 디지탈 데이타를 일정수의 섹터마다 클러스터화하고 각 클러스터의 접속 부분에 상기 인터리브 처리 시의 인터리브 길이보다 긴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를 설치하고, 인터리브를 실시하고 재생되는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어드레스에 기준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소정의 기록 위치에 기록함으로써 하나의 클러스터내의 데이타나 인터리브가 상기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내에서 수납되며 이웃의 클러스터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므로 클러스터 단위로 기록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또, 이때, 기록을 개시하는 섹터의 위치를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에서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기록 장치
제1도는 클러스터와 절대 시간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로서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3도는 기록 단위가 되는 클러스터 구조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클러스터와 클러스터 어드레스 및 섹터 어드레스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상기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사용한 데이타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상기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기록계에 있어서 메모리 제어된 메모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7도는 상기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계에 있어서 메모리 제어된 메모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광 자기 디스크 3 : 광학 헤드
4 : 자기 헤드 6 : 서보 제어 회로
본 발명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 광 디스크 기록 장치 및 디스크 재생 장치에 관하며, 예컨대 광학적 수단으로 데이타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광 디스크 기록 장치 및 디스크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 디스크는 자기 디스크에 비해서 기록 용량을 2-3 자리정도 크게 할 수 있고, 테이프형 기록 매체에 비해서 고속 액세스가 가능하며, 또한 매체에 대해 접촉하지 않고서 데이타의 기록/재생을 행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는 것에서 근래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 디스크로서는 소위 CD(컴팩트 디스크)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휴대용, 특히 포켓 크기 정도의 헤드폰 스테레오 장치 또는 그와 유사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하려는 경우에 있어서,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CD에 있어서는, 디스크 외경이 12㎝인 것과 8㎝인 것이 포맷상 규정되어 있지만, 외경이 12㎝인 디스크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의 외형 치수가 과대해져서 휴대성이 열악하게 되므로, 8㎝ 또는 보다 작은 지름의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러한 8㎝ 정도 이하의 작은 지름의 광디스크를 사용한 휴대용 또는 포켓 크기 정도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구성하려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샘플링 주파수가 44.1kHz이고 16비트 직선 양자화된 스테레오의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가 메이커측에서 공급되어, 사용자측에서는 재생만이 행해지는 것과 같은 표준적인 CD 포맷(이하 CD-DA 포맷이라 함)에 있어서는, 지름이 8㎝인 디스크 재생 시간(기록 시간)은 최대여도 20분-22분 정도로 짧으며, 고전 음악의 교향곡 1곡 계속해서 수록할 수 없게 된다. 더군다나, 재생 시간으로는 현재의 12㎝ CD와 동일한 정도의 최대 74분 정도가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CD-DA 포맷에 있어서는, 사용자측에서 기록을 행할 수 없다. 더욱이, 비접촉의 광학 픽업 헤드는 기계적인 진동 등에 약하고, 진동 등에 의한 트랙 어긋남이나 포커스 어긋남 등이 생기기 쉬우므로 장치를 휴대하는 경우에 있어선 이들 트랙 어긋남이 포커스 어긋남 등에 의한 재생 동작에 대한 악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어떤 강력한 대책이 필요해진다.
다음으로 상기 표준적인 CD 포맷(CD-DA 포맷)의 확장 포맷으로서 CD-MO 포맷(기록 가능한 광자기디스크를 사용하는 포맷)은 지름이 8㎝인 디스크의 기록 재생 시간이 상기 CD-DA 포맷과 마찬가지로 20분-22분 정도로, 짧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기계적 진동 등에 의한 광학 픽업 헤드의 트랙 어긋남이나 포커스 어긋남이 생기기 쉽고, 그에 따른 기록, 재생 동작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할 대책이 필요해진다.
다음에 소위 CD-I(CD-인터액티브) 포맷이나, 소위 CD-ROM/XA 포맷에 있어서는, 비트 압축된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기록/재생하는 모드로서, 다음의 표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각각의 레벨이 규정되어 있다.
상기 표1에 있어서, 예컨대 레벨 B의 모드로 기록된 디스크를 재생할 때에는, 표준적인 CD-DA 포맷의 디지탈 신호를 약 4 배로 비트 압축한 신호가 재생된다. 따라서, 예컨대 기록 데이타의 모두가 스테레오의 오디오 압축 데이타로 되어 있을 때에는, 약 4 배의 시간(또는 4 채널분)의 재생이 행해지게 되며, 지름이 8㎝ 정도 이하의 광 디스크에서도 70 분 정도의 기록 재생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상기 CD-I 포맷에 있어서는, 표준의 CD-DA 포맷과 같은 선속도로 디스크가 회전 구동되므로, 연속하는 오디오 압축 데이타가 디스크상에서의 재생단위의 n 단위에 대해 1 단위의 비율로 재생되게 된다. 이러한 단위는 블록 또는 섹터로 칭해지며, 1 블록(섹터)은 98 프레임이며, 주기는 1/75 초이다. n은 상기 재생시간, 또는 데이타의 비트 압축율에 따른 수치이며, 예컨대 레벨 B의 스테레오 모드에서는 n=4로 된다. 따라서, 이 레벨 B의 스테레오 모드에서는 섹터 단위로,
S D D D S D D D - - -
(단, S는 오디오 섹터, D는 다른 데이타 섹터)와 같이, 4 섹터에 대해 1 섹터가 오디오 섹터로 된 데이타 열이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게 된다. 단, 실제의 기록시에는, 상기 데이타 열은 통상의 CD 포맷의 오디오 데이타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의 소정의 인코드 처리(에러 정정 부호화 처리 및 소위 인터리브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디스크상의 기록 섹터에는 오디오 섹터 S의 데이타와 데이타 섹터 D의 데이타가 분산되어 배치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다른 데이타 섹터 D로서는, 예컨대 비디오 데이타나 컴퓨터 데이타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데이타 섹터 D에도 비트 압축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4 채널분의 오디오 섹터 S1-S4가 순차 순회적으로 배치된 데이타 열인,
S1 S2 S3 S4 S1 S2 S3 S4 - - -
가 인코드 처리되어서 디스크상에 기록되게 된다. 그리고, 연속하는 오디오 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4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제 1 채널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4 채널까지 접속하여 사용하는 것이 된다. 이때, 디스크 최내주에서 오디오 섹터 S1에 대응하는 제 1 채널의 데이타를 최외주까지 재생한 후, 다시 디스크 최내주로 돌아오고, 이번엔 오디오 섹터 S2에 대응하는 제 2 채널의 데이타를 최외주까지 재생하고, 다음에 다시 디스크 최내주에서 다음의 오디오 섹터 S3에 대응하는 제 3 채널의 데이타를 최외주까지 재생하고 최후에 다시 디스크 최내주에서 나머지의 오디오 섹터 S4에 대응하는 제 4 채널의 데이타를 최외주까지 재생하는 것에 의해 연속하는 4 배 시간의 재생이 행해지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연속 재생의 경우에는, 최외주에서 최내주로 돌아가는 장거리의 소위 트랙 점프 동작이 여러번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트랙 점프 동작은 순간에 행할 수 없으므로, 그 사이에는 재생 데이타가 얻어지지 않게 되어 재생음이 끊어지게 되는 큰 문제가 있다. 또한, 연속하는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려고 하면, 기록시의 인터리브 처리 관계에서 예컨대 섹터 S2의 신호만을 단독으로 기록할 수 없고, 인접하는 섹터 S1과 S3 또는 주변 섹터의 데이타를 더 포함한 인터리브가 필요해지고, 이미 기록되어 있는 섹터의 신호를 교체해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속적인 압축 오디오 데이타의 실시간 기록은 사실상 매우 곤란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압축 모드가 전환 선택 가능하면, 기록 재생 장치의 용도가 대폭으로 확대되어 바람직하지만, 이들의 전환 선택된 압축 모드 마다 예컨대, 디스크 회전 속도나 기록 패턴이나 신호처리 동작 등을 전환하면 회로 구성이 복잡화되고 염가의 장치의 공급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압축 모드가 달라도 제어 동작이나 기록 패턴이나 신호 처리 등에 있어서의 변경 부분이 적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은 미국특허출원번호 746787(1991)의 명세서 및 도면에서 이하에 설명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탈 데이타를 일정수의 섹터마다 예컨대 32 섹터마다 클러스터화하고, 각 클러스터의 접속부에 인터리브 길이보다 긴 클러스터 접속용의 예컨대, 5 개의 섹터(이하, 링킹용 섹터라 함)를두고, 한 클러스터내의 데이타 인터리브가 인접하는 클러스터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디스크상의 데이타를 관리하는, 즉 디스크상의 데이타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로서는, 예컨대 CD-DA 포맷에서는 소위 서브 코드 Q에, 예컨대 CD-ROM 포맷에서는 소위 헤더 데이타에, 예컨대 CD-MO 포맷에서는 가이드 그루브의 변조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절대시간(예컨대 상술한 제 1 도에 도시하는 분, 초, 섹터 번호)이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절대시간은 실연주시간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탈 오디오 신호에 비트 압축 처리를 실시하고 기록하면, 압축이 예컨대 2 배나 4 배 등과 같은 간단한 정수배 이외일 경우에는, 실연주시간을 산출하는데 시간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링킹용 섹터는 실연주시간에 기여하지 않으므로 그에 해당하는 부분을 뺄 필요가 있게 되어 실연주시간을 산출하는데 시간을 소비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링킹용 섹터로부터 시작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링킹용 섹터가 절대시간의 어디에 상당하는지를 산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압축 오디오 데이타를 디스크에 기록할 때, 인터리브에 의한 처리의 복잡화를 피하고 압축 모드를 몇가지 종류내에서 전환 선택해도 제어 동작이나 신호 처리 동작의 변경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기록 개시 위치를 간단히 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연주시간을 간단하게 산출가능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 디스크 기록 장치 및 디스크 재생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는, 디지탈 데이타가 일정수의 섹터마다 클러스터화되며, 각 클러스터의 접속부분에 인터리브 길이보다 긴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가 설치되며, 인터리브가 실시되어 기록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서, 상기 각 클러스터를 식별하는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클러스내의 각 섹터를 식별하는 섹터 어드레스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하는 디스크 기록 장치는, 각 클러스터를 식별하는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클러스터내의 각 섹터를 식별하는 섹터 어드레스가 미리 기록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그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서 상기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를 재생하는 어드레스 재생 수단과, 디지탈 데이타를 일시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그 기억 수단에서의 디지탈 데이타를 일정수의 섹터마다 클러스터화하고 각 클러스터의 접속 부분에 인터리브 처리시의 인터리브 길이보다 긴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를 설치하고, 인터리브를 실시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재생 수단에서의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수단의 액세스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는, 각 클러스터를 식별하는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클러스터내의 각 섹터를 식별하는 섹터 어드레스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것과 함께, 디지탈 데이타가 일정수의 섹터마다 클러스터화되고, 각 클러스터의 접속 부분에 인터리브 길이 보다 긴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가 설치되고, 인터리브가 실시되어 기록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를 재생하는 어드레스 재생 수단과,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서 재생 데이타를 재생하는 데이타 재생 수단과, 그 데이타 재생 수단으로부터의 재생 데이타를 일시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그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재생 데이타의 데이타 량이 소정량 이하가 되면 상기 재생 데이타의 기록을 행하고, 상기 기억수단에 소정 데이타 량 이상의 판독 공간을 확보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메모리 제어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재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데이타 재생 수단의 액세스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데이타를 기록할 경우에는, 미리 기록(소위 프리포맷)되어 있는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클러스터를 단위로 하는 데이타의 기억이 행해지며 또한, 클러스터간에는 인터리브 길이 보다 긴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가 배치되므로, 이러한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를 포함하여 기록함으로써 인접하는 클러스터에 대한 인터리브의 영향을 없앨 수 있음과 더불어,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디스크상의 예컨대 기록 개시 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클러스터(및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를 기록 단위로 함으로써, 인터리브에 의한 다른 클러스터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서 클러스터마다 독립적으로 기록을 행할 수 있고,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예컨대 기록이 유효하게 행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재기록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재생시에는, 재생 데이타의 일시 기억용의 기억 수단을 설치함과 더불어 프리포맷되어 있는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재생을 행함으로써 상기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에 의한 재생 데이타의 누락을 버퍼링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기억 수단에서는 연속적인 재생 데이타를 얻을 수 있음과 더불어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에서 연주 시간을 간단하게 산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1 실시예를 도면 참조로 설명한다. 제 2 도는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회로도이다.
제 2 도에 도시하는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스핀들 모터(1)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광 자기 디스크(2)가 기록 매체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광자기 디스크(2)에 대해서 예컨대 광학 헤드(3)에 의해 레이저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기록데이타에 따른 변조 자계를 자기 헤드(4)에 의해 인가함으로써,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기록 트랙을 따라 데이타의 기록(소위 자계 변조 기록)을 행하고, 또한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기록 트랙을 상기 광학 헤드(3)에 의해 레이저광으로 트레이스함으로써 자기 광학적으로 데이타의 재생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데이타 기록 또는 데이타 재생은 상기 광자기 디스크(2)에 미리 기록(프리포맷)되어 있는 후술하는 클러스터 어드레스 및 섹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상기 광학 헤드(3)는 예컨대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레이저 광원이나 시준 렌즈, 대물 렌즈, 편광 빔 스플리터, 원통형 렌즈 등의 광학부품 및 소정의 배치로 분할된 포토디덱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자기 디스크(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자기 헤드(4)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광학 헤드(3)는 상기 광자기 디스크(2)에 데이타를 기록할 때, 후술하는 기록계의 헤드 구동회로(16)에 의해 상기 자기 헤드(4)가 구동되어 기록 데이타에 따른 변조 자계가 인가되는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목적 트랙에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열자기 기록에 의한 데이타 기록을 행한다. 또한, 이러한 광학 헤드(3)는 목적 트랙에 조사한 레이저광의 반사광을 검출함으로써 예컨대 소위 비점수차법으로 포커스 에러를 검출하고, 또한, 예컨대 소위 푸시풀법에 의해 트래킹 에러를 검출함과 더불어, 상기 광자기 디스크(2)에서 데이타를 재생할 때 레이저광을 목적 트랙에서의 반사광의 편광각(커(Kerr) 회전각)의 차이를 검출하여 재생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이러한 광학 헤드(3)는 예컨대 섹터의 선두부의 가이드 그루브가 변조되어 프리포맷되는 상기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를 재생한다.
상기 광학 헤드(3)의 출력은 RF 회로(5)에 공급된다. 이 RF 회로(5)는 상기 광학 헤드(3)의 출력에서 포커스 에러 신호나 트래킹 에러 신호를 추출하고 서보 제어 회로(6)에 공급함과 더불어 재생 신호를 2 진화하고 후술하는 재생계의 디코더(21)에 공급한다. 또, 이 RF 회로(5)는 상기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를 후술하는 시스템 제어기(7)에 공급한다.
상기 서보 제어 회로(6)는 예컨대 포커스 서보 제어 회로나 트래킹 서보 제어 회로, 스핀들 모터 서보 회로, 스레드 서보 제어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커스 서보 제어 회로는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가 영으로 되도록 상기 광학 헤드(3)의 광학계의 트래킹 제어를 행한다. 더욱이, 상기 스핀들 모터 서보 제어 회로는 상기 광자기 디스크(2)를 소정의 회전속도(예컨대 일정 선속도)로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스핀들 모터(1)를 제어한다. 또, 상기 스레드 서보 제어 회로는 시스템 제어기(7)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목적 트랙 위치에 상기 광학 헤드(3) 및 자기 헤드(4)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각종 제어 동작을 행하는 상기 서보 제어 회로(6)는 그 서보 제어 회로(6)에 의해 제어되는 각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시스템 제어기(7)에 공급하고 있다.
상기 시스템 제어기(7)는 키 입력 조작부(8)나 표시부(9)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 제어기(7)는 상기 키 입력 조작부(8)에 의한 조작 입력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동작 모드로 기록계 및 재생계의 제어를 행한다. 또, 이 시스템 제어기(7)는 상기 광자기 디스크(2)에서 재생되는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 헤드(3) 및 자기 헤드(4)가 트레이스하고 있는 기록 트랙상의 기록 위치나 재생 위치를 관리한다. 더욱이, 시스템 제어기(7)는 상기 키 입력 조작부(8)에 의해 전환 선택된 후술하는 ADPCM 인코더(13)에서의 비트 압축 모드 정보나 상기 RF 회로(5)에서 후술하는 재생계를 통하여 얻어지는 재생 데이타 내의 비트 압축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이 비트 압축 모드를 표시부(9)에 표시시킴과 더불어 그 비트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데이타 압축율과 상기 클러스터 어드레스 등에 기초하여 표시부(9)에 연주시간, 즉 재생 시간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재생시간 표시는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기록 트랙에서 재생되는 클러스터 어드레스에 상기 비트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데이타 압축율의 역수(예컨대 1/4 압축일 경우는 4)등을 승산함으로써 실제의 시간 정보를 구하고, 이것을 표시부(9)에 표시시키는 것이다. 또한, 기록시에 있어서도 이 프리포맷된 클러스터 어드레스를 판독하여 데이타 압축율의 역수 등을 승산함으로써 현재 위치를 실제의 기록 시간으로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이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기록계는 입력 단자(10)에서 로우 패스 필터(11)를 통하여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 AIN이 공급되는 A/D 변환기(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A/D 변환기(12)는 상기 오디오 신호 AIN을 양자화하고, 이 A/D 변환기(12)에서 얻어진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는 AD(Adaptive differential) PCM 인코더(13)에 공급된다. 이 ADPCM 인코더(13)는 상기 오디오 신호 AIN을 상기 A/D 변환기(12)에 의해 양자화한 소정의 전송 속도의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에 대해서 상술한 표1에 표시된 CD-I 방식에 있어서의 각종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타 압축 처리를 행하는 것이며, 상기 시스템 제어기(7)에 의해 동작 모드가 지정되게 되어 있다. 예컨대 표1의 B 레벨 모드에선 샘플링 주파수가 37.8kHz이고 1 샘플당의 비트수가 4 비트의 압축 데이타(ADPCM 오디오 데이타)로 되며, 메모리(14)에 공급된다. 이 B 레벨의 스테레오 모드에서의 데이타 전송 속도는 표준의 CD-DA의 포맷의 데이타 전송속도(75 섹터/초)의 1/4(18.75 섹터/초)로 감소된다.
여기에서 제 2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A/D 변환기(12)의 샘플링 주파수가 예컨대 상기 표준적인 DC-DA 포맷의 샘플링 주파수인 44.1kHz에 고정되어 있으며, ADPCM 인코더(13)에 있어선 상기 압축 모드에 따른 샘플링 레이트 변환(예컨대, 레벨 B에선 44.1kHz에서 37.8kHz로 변환)이 행해진 후, 16 비트에서 4 비트로의 비트 압축 처리가 실시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또한, 다른 구성예로서는, A/D 변환기(12)의 샘플링 주파수를 자체를 상기 압축 모드에 따라서 전환 제어토록 해도되며, 이 경우에는 전환 제어된 A/D 변환기(12)의 샘플링 주파수에 따라 로우 패스 필터(11)의 컷오프 주파수도 전환 제어한다. 즉, 상기 압축 모드에 따라서 A/D 변환기(12)의 샘플링 주파수 및 로우 패스 필터(11)의 컷오프 주파수를 동시에 절환제어토록 하면 된다.
다음에 상기 메모리(14)는 데이타의 기록 및 판독이 상기 시스템 제어기(7)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ADPCM 인코더(13)에서 공급되는 ADPCM 오디오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기억해두고, 필요에 따라서 디스크상에 기록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로서 쓰이고 있다. 즉, 상기 B 레벨의 스테레오의 모드에 있어서, 상기 ADPCM 인코더(13)에서 공급되는 압축 오디오 데이타는, 그 데이타 전송속도가 표준적인 CD-DA 포맷의 데이타 전송속도(75 섹터/초)의 1/4 즉 18.75 섹터/초로 저감되고 있으며, 이 압축 데이타가 메모리(14)에 연속적으로 기록되어진다. 이 압축 데이타(ADPCM 데이타)는, 4 섹터에 대해서 1 섹터의 기록을 행하면 되지만, 이같은 4 섹터마다의 기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실상 곤란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섹터 연속의 기록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크로의 기록은 휴지 기간을 거쳐서 소정의 복수 섹터, 예컨대 32 섹터 데이타와 수 섹터 링킹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스터를 기록 단위로서 표준적인 CD-DA 포맷과 같은 데이타 전송 속도(75 섹터/초)로 버스트식으로 행해진다. 즉, 메모리(14)에 있어서는, 상기 비트 압축 레이트에 따라 18.75(=75/4) 섹터/초의 낮은 전송속도로 연속적으로 기록된 B 레벨 스테레오 모드의 ADPCM 오디오 데이타가 기록 데이타로서 상기 75 섹터/초의 전송속도로 예컨대 클러스터 단위로 버스트식으로 판독된다. 이와 같이 판독되어 기록되는 데이타에 대해서, 기록 휴지 기간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데이타 전송 속도는, 상기 18.75 섹터/초의 낮은 속도로 되어 있으나, 버스트식으로 행해지는 기록 동작의 시간내에서의 순시적인 데이타 전송 속도는 상기 표준적인 75 섹터/초로 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회전속도가 표준적인 CD-DA 포맷과 같은 속도(일정 선속도)일 때, 그 CD-DA 포맷과 같은 기록밀도, 기억 패턴의 기록이 행해지게 된다.
상기 메모리(14)에서 75 섹터/초의 전송속도로 버스트식으로 판독된 ADCPM 오디오 데이타 즉 기록 데이타는 인코더(15)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상기 메모리(14)에서 인코더(15)에 공급되는 데이타 열에 있어서, 1 회의 기록으로 연속 기록되는 단위는, 복수 섹터(예컨대 32 섹터)로 이루어지는 데이타 클러스터 및 그 클러스터의 전후 위치에 배정된 클러스터 접속용의 수 섹터로 되어 있다. 이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는 인코더(15)에서의 인터리브 길이보다 길게 설정하고 있으며, 인터리브 되어도 인접하는 클러스터의 데이타에 영향은 주지 않게 하고 있다. 이 클러스터 단위 기록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선 제 3 도를 참조로 후술한다.
상기 인코더(15)는 상기 메모리(1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버스트식으로 공급되는 기록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정정을 위한 부호화 처리(패리티 부가 및 인터리브 처리)나 EFM 부호화 처리 등은 실시한다. 이 인코더(15)에 의한 부호화 처리가 실시된 기록 데이타가 상기 자기 헤드 구동 회로(16)에 공급된다.
이 자기 헤드 구동 회로(16)는 상기 자기 헤드(4)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기록 데이타에 따라 변조 자계를 상기 광자기 디스크(2)에 인가하도록 상기 자기 헤드(4)를 구동한다.
또, 상기 시스템 제어기(7)는 상기 메모리(14)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기록/판독 제어를 행함과 더불어, 이 메모리 제어에 의해 상기 메모리(14)에서 버스트식으로 판독되는 상기 기록 데이타를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기록 트랙에 연속적으로 기록하도록 기록 위치의 제어를 행한다. 이 기록 위치의 제어는, 상기 메모리(14)에서 버스트식으로 판독되는 상기 기록 데이타의 디스크상의 기록 위치를 상기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제어기(7)에 의해서 관리하고,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기록 트랙상의 기록 위치를 지정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서보 제어 회로(6)에 공급함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에, 이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재생계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록계에 의해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기록트랙상에 연속적으로 기록된 기록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광학 헤드(3)에 의해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기록 트랙을 레이저광으로 트레이스함으로써 얻어지는 재생 출력이 상기 RF 회로(5)에 의해 2 진화되어 공급되는 디코더(21)를 구비한다.
상기 디코더(21)는 상술한 기록계에 있어서의 상기 인코더(15)에 대응하는 것이며, 상기 RF 회로(5)에 의해 2 진화된 재생 출력에 대해서 에러 정정을 위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복호화 처리나 EFM 복호화 처리 등의 처리를 행하고 상술한 B 레벨 스테레오 모드의 ADPCM 오디오 데이타를 상기 B 레벨 스테레오 모드에 있어서의 정규 전송 속도보다 빠른 75 섹터/초의 전송 속도로 재생한다. 이 디코더(21)에 의해 얻어지는 재생 데이타는 메모리(22)에 공급된다.
상기 메모리(22)는 데이타의 기록 및 판독이 상기 시스템 제어기(7)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디코더(21)에서 75 섹터/초의 전송속도로 공급되는 재생 데이타가 그 75 섹터/초의 전송속도로 기록된다. 또, 이 메모리(22)는 상기 75 섹터/초의 전송속도로 기록된 상기 재생 데이타가 B 레벨 스테레오 모드의 정규의 18.75 섹터/초의 전송 속도로 연속적으로 판독된다.
상기 시스템 제어기(7)는 상기 재생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22)에 75 섹터/초의 전송속도로 기록함과 더불어, 상기 메모리(22)에서 상기 재생 데이타를 상기 18.75 섹터/초의 전송 속도로 연속적으로 판독하는 것과 같은 메모리의 기록/판독 제어를 행한다.
또, 상기 시스템 제어기(7)는, 상기 메모리(22)에 대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록/판독 제어를 행함과 더불어, 이 메모리 제어에 의해 상기 메모리(22)에 버스트식으로 기록되는 상기 재생 데이타를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기록 트랙에서 연속적으로 재생하도록 재생 위치의 제어를 행한다. 이 재생 위치의 제어는, 상기 메모리(22)에 버스트식으로 기록되는 상기 재생 데이타의 디스크상의 재생 위치를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제어기에 의해 관리하고,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기록 트랙상의 재생 위치를 지정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서보 제어 회로(6)에 공급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메모리(22)에서 18.75 섹터/초의 전송속도로 연속적으로 판독된 재생 데이타로서 얻어지는 B 레벨 스테레오 모드의 ADPCM 오디오 데이타는 ADPCM 디코더(23)에 공급된다.
이 ADPCM 디코더(23)는, 상기 기록계의 ADPCM 디코더(13)에 대응하는 것이며, 상기 시스템 제어기(7)에 의해 동작 모드가 지정되어, 이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B 레벨 스테레오 모드의 ADPCM 오디오 데이타를 4 배로 데이타 신장하여 CD-DA 모드의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를 재생한다. 이 ADPCM 디코더(23)에 의해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는 D/A 변환기(24)에 공급된다.
상기 D/A 변환기(24)는, 상기 ADPCM 디코더(23)에서 공급되는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를 아날로그화해서,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 AOUT를 형성한다. 이 D/A 변환기(24)에 의해 얻어지는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 AOUT는 로우 패스 필터(25)를 통해 출력 단자(26)에서 출력된다.
또한, 이 실시예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계에서는, 디지탈 출력 기능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ADPCM 디코더(23)에 의해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가 디지탈 출력 인코더(27)를 거쳐 디지탈 오디오 신호 DOUT로서 디지탈 출력 단자(28)에서 출력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쓰이는 광자기 디스크(2)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로 60분 이상 74분 정도까지를 기록가능한 용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상기 B 레벨과 같은 1/4의 데이타 압축률을 채용하는 경우, 약 130M바이트 정도가 필요하게 된다. 또, 휴대용 또는 포켓 크기 정도의 기록 및/ 또는 재생 장치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외경은 8㎝, 또는 보다 작은 지름의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트랙 피치 및 선속도에 대해선 CD와 같은 트랙 피치 1.6μm, 선속도 1.2-1.4m/s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조건을 만족하는 디스크로서는, 예컨대 디스크 외경을 64mm로 하고, 데이타 기록 영역의 외경을 61mm, 데이타 기록 영역의 내경을 31mm, 리드인 영역의 내경을 28mm, 센터홀 지름을 11mm로 하면 된다. 이 디스크를 세로 가로가 68mm x 72mm 인 디스크 캐디에 수납하여 시장에 공급토록 하면, 포켓 크기 정도의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 그 디스크에 대한 기록 재생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1/4의 데이타 압축 모드로 72분-76분 정도의 기록 재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스크의 데이타 기록 영역의 내경 및 외경의 치수의 범위로서는 내경을 31mm로 할때의 외경 60mm-62mm에서 내경을 50mm로 할때의 외경 71mm-73mm 까지의 범위에서 적당하게 설정하면 된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한 기록 재생 동작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기록 데이타(메모리(14)에서 판독된 데이타)는, 일정수의 섹터(또는 블록)마다 클러스터화되고, 이들 클러스터간에 클러스터 접속용의 몇몇의 섹터가 배정된 형태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3 도에 도시하듯이 클러스터 C는 예컨대 32개의 섹터(블록) B0-B31로 이루어지며, 이들 클러스터 C 사이에 각각 예컨대 5 개의 접속용 섹터(이하 링킹용 섹터라 함) L1-L5가 배정되어서 인접하는 클러스터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1 개의 클러스터, 예컨대 K 번째의 클러스터 CK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이 클러스터 CK의 32 개의 섹터 B0-B31 뿐 아니라, 전후 각각 3 섹터씩의 접속용 섹터, 즉, 클러스터 CK-1측의 3 개의 섹터 L3-L5(런-인 블록)와, 클러스터 CK+1측의 3 개의 섹터 L1-L3(런-아웃 블록)을 포함해서, 총 38 섹터를 단위로 하여 기록을 행하게 하고 있다. 이때, 이들 38 섹터분의 기록 데이타가 메모리(14)에서 인코더(15)로 보내지며, 이 인코더(15)에서 인터리브 처리가 행해지므로써 최대 108 프레임(약 1.1 섹터에 상당)의 거리의 배열 바꿈이 행해지지만, 상기 클러스터 CK내의 데이타에 대해선 상기 런-인 블록 L3-L5에서 런-아웃 블록 L1-L3 까지의 범위내에 충분히 수납되며, 인접하는 클러스터 CK-1이나 CK+1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링킹용 섹터 L1-L5에는, 예컨대 0 등의 더미 데이타가 배정되고 있으며, 인터리브 처리에 의한 원래의 데이타에 대한 악영향을 피할 수 있다. 또, 다음의 클러스터 CK+1을 기록할 때에는, 클러스터 CK와의 사이의 5개의 링킹용 섹터 L1-L5 내의 3 개의 섹터 L3-L5가 런-인 블록으로서 쓰이므로 섹터 L3은 중복하여 기록되지만 아무런 문제가 없다. 또, 상기 클러스터로서는 링킹용 섹터를 포함한 예컨대 37 섹터를 1 클러스터로 해도 된다.
그리고, 상술한 클러스터 단위의 기록은, 예컨대 각 섹터의 선두에 클러스터를 서로 식별하는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클러스터 내의 각 섹터를 서로 식별하는 섹터 어드레스를 가이드 그루브를 변조하는 것에 의해 트랙폭 방향으로 변위시켜 프리포맷하여 두고, 이 가이드 그루브의 변위를 재생해서 복조함으로써 얻어지는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행한다. 예컨대 제 4 도에 도시하듯이 32 개의 데이타 기록용의 섹터와 5 개의 링킹용 섹터의 합계 37 섹터로 1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클러스터를 식별하는 클러스터 어드레스로서 예컨대 0000-21XX을 할당하고 클러스터내의 섹터를 식별하는 섹터 어드레스로서 예컨대 0-36을 할당한다. 그리고, 이들의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를 비트로서 프리포맷하여 두고, 기록시에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를 재생하고, 이 재생된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기록 트랙상의 기록 위치를 관리하도록 한다.
이같이 해서 클러스터 단위의 기록을 행하게 함으로써, 다른 클러스터와의 사이에서의 인터리브에 의한 상호 간섭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며, 데이타 처리가 대폭으로 간략화된다. 또, 포커스 어긋남, 트래킹 어긋남, 기타의 오동작 등에 의해 기록시에 기록 데이타가 정상으로 기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클러스터 단위로 재기록이 행해지며, 재생시에 유효한 데이타 판독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클러스터 단위로 재판독이 행해진다.
그런데, 상기 제 2 도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기록계에 있어서, A/D 변환기(12)에서 얻어지는 디지탈 데이타는, 예컨대 제 5 도에 도시하듯이 상기 CD-DA 포맷과 마찬가지의 데이타, 즉 샘플링 주파수 44.1kHz, 양자화 비트수 16 비트, 데이타 전송속도 75 섹터/초의 오디오 PCM 데이타이다. 이러한 것이 ADPCM 인코더(13)에 보내져서, 예컨대 상기 B 레벨의 스테레오 모드에 비트 압축되는 경우에는, 우선 37.8kHz의 샘플링 주파수에 레이트 변환되며, 양자화 비트수가 4 비트로 압축됨으로써 데이타 전송 레이트가 1/4의 18.75 섹터/초의 ADPCM 오디오 데이타로 되어서 출력된다. 이 ADPCM 인코더(13)에서 18.75 섹터/초의 전송 속도로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B 레벨 스테레오 모드의 ADPCM 오디오 데이타는 메모리(14)에 공급된다.
상기 시스템 제어기(7)는 예컨대 제 6 도에 도시하듯이, 상기 메모리(14)의 기록 포인터(W)를 18.75 섹터/초의 전송 속도로 연속적으로 증가함으로써, ADPCM 오디오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14)에서 18.75 섹터/초의 전송 속도로 연속적으로 기록 하고, 상기 메모리(14)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ADPCM 오디오 데이타의 데이타 량이 소정량 K 이상이 되면, 상기 메모리(14)의 판독 포인터(R)를 75 섹터/초의 전송 속도로 증가하고, 상기 메모리(14)에서 상기 ADPCM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 데이타로서 소정량 K 만큼 상기 75 섹터/초의 전송 속도로 판독하도록 메모리 제어를 행한다.
즉, 상기 제 2 도에 도시하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기록계에 있어서는, 상기 시스템 제어기(7)에 의한 상기 메모리 제어에 따라서, 상기 ADPCM 인코더(13)에서 예컨대 18.75 섹터/초의 전송속도로 연속해서 출력되는 ADPCM 오디오 데이타를 상기 18.75 섹터/초의 전송속도로 상기 메모리(14)에 기록하며, 이 메모리(14)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ADPCM 오디오 데이타의 량이 소정량 K 이상이 되면, 상기 메모리(14)에서 상기 ADPCM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 데이타로서 소정량 K만큼 75 섹터/초의 전송 속도로 판독하도록 했으므로, 상기 메모리(14)내에 항상 소정량 이상의 데이타 기록 가능 영역을 확보하면서 입력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14)에 연속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메모리(14)에서 버스트식으로 판독되는 기록 데이타는,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기록 트랙상의 기록 위치를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제어기(7)에 의해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기록 트랙상에서 연속하는 상태로 기록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14)에는 항상 소정량 이상의 데이타 기록 가능 영역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외란 등에 의한 트랙 점프 등이 발생한 것을 상기 시스템 제어기(7)에 의해 검출해서 상기 광자기 디스크(2)에 대한 기록 동작을 중단했을 경우에도, 상기 메모리(14)의 소정량 이상의 데이타 기록 가능영역에 입력 데이타를 계속 기록하고, 그 사이에 클러스터 어드레스에 기초해서 기록을 중단한 기록 위치에 재차 기록을 행하는 복귀 처리 동작을 행할 수 있으며,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기록 트랙상에는 입력 데이타를 연속한 상태로 기록할 수 있다. 또, 클러스터 어드레스를 판독하고, 예컨대, 클러스터 어드레스에 32/75와 데이타 압축율의 역수를 승산함으로써 현위치를 실제의 기록 시간으로 표시시킬 수도 있다.
다음에, 제 2 도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계에서는, 상기 시스템 제어기(7)는 예컨대 제 7 도에 도시하듯이 상기 메모리(22)의 기록 포인터(W)를 75 섹터/초의 전송속도로 증가하고, 상기 디스크에서의 재생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22)에 75 섹터/초의 전송속도로 기록함과 더불어, 상기 메모리(22)의 판독 포인터(R)를 18.75 섹터/초의 전송 속도로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메모리(22)에서 상기 재생 데이타를 상기 18.75 섹터/초의 전송속도로 연속적으로 판독하고, 상기 기록 포인터(W)가 상기 판독 포인터(R)에 따라 붙게 되면 기록을 정지하고, 상기 메모리(22)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재생 데이타의 량이 소정량 L 이하로 되면 기록을 행하도록 상기 메모리(22)의 기록 포인터(W)를 75 섹터/초의 전송 속도로 버스트식으로 증가하고 메모리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계에 있어서는, 상기 시스템 제어기(7)에 의한 상기 메모리 제어에 의해서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기록 트랙이 버스트식으로 재생되는 B 레벨 스테레오 모드의 ADPCM 오디오 데이타를 75 섹터/초의 전송속도로 상기 메모리(22)에 기록하며, 상기 메모리(22)에서 상기 ADPCM 오디오 데이타를 재생 데이타로서 75 섹터/초의 전송속도로 연속적으로 판독하도록 했으므로 상기 메모리(22)내에 항상 소정량 L 이상의 데이타를 판독하는 영역을 확보하면서 재생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22)에서 연속적으로 판독할 수 있다. 또, 상기 메모리(22)에 기록되는 재생 데이타는,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기록 트랙상의 재생 위치를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제어기(7)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상기 광자기 디스크(2)의 기록 트랙에서 연속하는 상태로 재생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22)에는 항상 소정량 L 이상의 데이타 판독 영역이 확보되고 있으므로 외란 등에 의한 트랙 점프 등이 발생한 것을 상기 시스템 제어기(7)가 검출해서 상기 광자기 디스크(2)에 대한 재생 동작을 중단했을 경우에도, 상기 메모리의 소정량 L 이상의 데이타 판독 영역에서 재생 데이타를 판독해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계속할 수 있으며, 그 사이에 재생을 중단한 위치의 데이타의 재생을 클러스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재차 행하는 복귀 처리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 예컨대 한 음악의 최종 클러스터 어드레스를 판독하여 예컨대 클러스터 어드레스에 32/75와 데이타 압축율의 역수를 승산하는 것에 의해서 연주시간을 표시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상기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B 레벨 스테레오 모드의 ADPCM 오디오 데이타의 기록 재생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다른 CD-I 방식에 있어서의 다른 모드의 ADPCM 오디오 데이타 또는 다른 압축 방식으로 압축된 데이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기록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 데이타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섹터수도 32 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64 섹터 등의 임의의 개수의 섹터로 1 클러스터를 구성토록 해도 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는 디스크 기록 장치에 의하면,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가 미리 기록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데이타를 기록할 경우, 기록하려는 디지탈 데이타를 기억 수단에 일시 기억하고, 그 기억 수단에서의 디지탈 데이타를 일정수의 섹터마다 클러스터화하고, 각 클러스터의 접속 부분에 상기 인터리브 처리시의 인터리브 길이보다 긴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를 설치하여, 인터리브를 실시하고, 재생되는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소정의 기록 위치에 기록함으로써, 하나의 클러스터내의 데이타의 인터리브가 상기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내에서 수납되며, 인접하는 클러스터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클러스터 단위에서의 기록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이때, 기록을 개시하는 섹터의 위치를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로부터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과 관련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에 의하면,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가 미리 기록됨과 더불어, 디지탈 데이타가 일정수의 섹터마다 클러스터화되고, 각 클러스터의 접속 부분에 인터리브 길이보다 긴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가 설치되고, 인터리브가 실시되어서 기록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클러스터 어드레스와 섹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재생해서 얻어진 재생 데이타를 기억 수단에 일시 기억하고, 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재생 데이타의 데이타 량이 소정량 이하로 되면 상기 재생 데이타의 기록을 행하고, 상기 기억 수단에 소정 데이타량 이상의 판독 공간을 확보해두도록 제어를 행함으로써, 상기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에 의한 재생 데이타의 누락을 버퍼링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상기 기억 수단에서는 연속적인 재생 데이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 어드레스에서 간단하게 연주시간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기록된 데이타가 각각 다수의 비트들을 포함하는 섹터들로 분할되는 형태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있어서, 기록된 데이타는 인접하는 클러스터들의 접속 부분들에서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들을 갖는 소정수의 섹터들의 클러스터들로서 구성되며, 클러스터들을 식별하는 클러스터 어드레스들 및 클러스터내의 섹터들을 식별하는 섹터 어드레스들이 기록 매체상에 미리 기록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클러스터 어드레스들 및 섹터 어드레스들은 기록 매체상의 기록 트랙을 반지름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미리 기록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3. 클러스터 어드레스들 및 클러스터 내의 섹터들을 식별하는 섹터 어드레스들이 광 디스크 상에 미리 기록되는 광 디스크용 광 디스크 기록 장치에 있어서; 압축된 연속적인 신호들의 입력 디지탈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 수단;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입력 디지탈 데이타를 판독하여 각각 다수의 비트들을 포함하는 소정수의 섹터들의 클러스터들에 배열하고, 입력 디지탈 데이타에 대한 인터리브 길이 보다 긴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들을 클러스터들의 접속 부분들에 부가하고, 이후 클러스터들의 입력 디지탈 데이타를 인터리브하는 신호 처리 수단; 상기 디스크로부터 클러스터 어드레스들 및 섹터 어드레스들을 재생하는 어드레스 재생 수단; 상기 어드레스 재생 수단으로부터 재생된 클러스터 어드레스들 및 섹터 어드레스들에 기초하여 디스크상의 기록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제어 수단에 의해 지정된 디스크상의 어드레스 위치들에 신호 처리 수단으로 부터의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광 디스크 기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기록 동작시 비정상 상태를 판정하기 위해 트랙 어긋남(detracking) 및/또는 포커스 어긋남(defocusing)을 검출하는 비정상 상태 검출 수단; 비정상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비정상 상태의 검출시 기록 동작을 금지하며, 메모리 수단을 비정상 상태로부터 정상 상태로 재설정하는 재설정 제어 수단; 및 메모리 수단에 제 2 의 사전 설정된 량 보다 많은 기록 공간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입력 디지탈 데이타 량이 제 1 의 사전 설정된 량을 초과할 때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클러스터 단위로 소정량의 데이타를 판독함으로써 메모리 수단의 판독 제어를 실행하는 메모리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메모리 제어 수단의 제어 하에서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클러스터 단위로 단속적으로 판독된 데이타가 클러스터 어드레스들 및 섹터 어드레스들에 기초하여 디스크의 기록 트랙상에 연속적으로 기록되는 방식으로 기록 위치 제어가 실행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 2 의 사전 설정된 량은 기록할 수 없는 상태로부터 기록할 수 있는 상태로의 복원 시간 동안 메모리 수단에 입력된 데이타 량을 초과하는, 광 디스크 기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 1 의 사전 설정된 량은 클러스터의 데이타 량에 상당하는, 광 디스크 기록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는 클러스터내의 디지탈 데이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더미 데이타로 형성되는, 광 디스크 기록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섹터는 컴팩트 디스크의 98 EFM 프레임들의 블록에 상당하는, 광 디스크 기록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디스크상에 기록된 클러스터 어드레스들을 기초하여 절대 시간을 연산하는 처리 수단을 더 구비하는, 광 디스크 기록장치.
  10. 광 디스크상에 기록된 압축 디지탈 데이타를 재생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로서, 기록된 디지탈 데이타는 각각 다수의 비트들을 포함하는 섹터들로 분할되고, 섹터들은 소정수의 섹터들의 클러스터들로 배열되며, 각각 인터리브 길이보다 긴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들은 인접하는 클러스터들의 접속 부분들에 부가되고, 클러스터들을 식별하는 클러스터 어드레스들 및 섹터들을 식별하는 섹터 어드레스들이 디스크상에 미리 기록되는, 상기 디스크 재생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로부터 기록된 압축 디지탈 데이타, 클러스터 어드레스들 및 섹터 어드레스들을 재생하는 재생 수단; 재생 수단에 접속되어, 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압축 디지탈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 수단; 메모리 수단으로부터의 압축 디지탈 데이타를 판독 및 신장하여, 신장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신장 수단; 메모리 수단의 오버플로(overflow) 전에 메모리 수단의 데이타 기록이 종료되고,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데이타 량이 소정의 량 보다 작을 때 데이타 기록이 재개되도록, 메모리 수단의 기록 및 판독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데이타 량을 감시하는 메모리 제어 수단; 및 기억 수단에 기억된 데이타에 연속하는 데이타가 재생되도록,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클러스터 어드레스들 및 섹터 어드레스들에 기초하여 메모리 수단의 데이타 기록 재개시 디스크상의 재생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섹터는 컴팩트 디스크의 98 EFM 프레임들의 블록에 상당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디스크상에 기록된 클러스터 어드레스들을 기초하여 절대 시간을 연산하는 처리 수단을 더 구비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3. 기록된 데이타가 각각 다수의 비트들을 포함하는 섹터들로 분할되고, 섹터들 내의 데이타는 인터리브되어지는 형태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있어서, 기록된 데이타는 인접하는 클러스터들의 접속 부분들에서 데이타의 인터리브 길이 보다 큰 길이를 갖는 각각의 클러스터 접속용 섹터을 갖는 소정수의 섹터들의 클러스터들로서 구성되며, 클러스터들을 식별하는 클러스터 어드레스들 및 클러스터내의 섹터들을 식별하는 섹터 어드레스들이 기록 매체상에 미리 기록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KR1019920005037A 1991-03-28 1992-03-27 광 디스크 기록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254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737691A JP3158474B2 (ja) 1991-03-28 1991-03-28 記録方法、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91-87376 1991-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681A KR920018681A (ko) 1992-10-22
KR100254508B1 true KR100254508B1 (ko) 2000-05-01

Family

ID=1391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037A Expired - Lifetime KR100254508B1 (ko) 1991-03-28 1992-03-27 광 디스크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28569A (ko)
EP (1) EP0506471B1 (ko)
JP (1) JP3158474B2 (ko)
KR (1) KR100254508B1 (ko)
CA (1) CA2063908C (ko)
DE (1) DE69215730T2 (ko)
MY (1) MY1081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3069B2 (en) 2002-08-12 2007-12-25 Pioneer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pparatus, the medium including a linking region between unit block reg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3338B1 (en) * 1993-01-06 2006-04-05 Sony Corporation Recording method of recording medium
JP3405464B2 (ja) * 1993-02-22 2003-05-12 ソニー株式会社 光磁気デイスク装置
DE69421029T2 (de) * 1993-02-25 2000-01-27 Sony Corp., Tokio/Tokyo Plattenaufzeichnungsgerät
JP3353381B2 (ja) * 1993-04-23 2002-12-03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3353382B2 (ja) 1993-04-23 2002-12-03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又は再生装置、及びメモリ制御装置
US5897652A (en) * 1993-04-23 1999-04-27 Sony Corporation Memory control device and address generating circuit
JP3517907B2 (ja) * 1993-10-08 2004-04-1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装置
JPH08124365A (ja) * 1994-10-24 1996-05-17 Pioneer Electron Corp 記録再生装置
US5778142A (en) * 1994-11-24 1998-07-07 Kabushiki Kaisha Toshiba Large capacity 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a large-capacity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 large-capacity recording medium
JP2842262B2 (ja) * 1994-11-25 1998-12-24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3503231B2 (ja) * 1994-11-30 2004-03-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
CA2168327C (en) * 1995-01-30 2000-04-11 Shinichi Kikuchi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data containing navigation data is recorded,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 data according to navigationdata,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 data containing navigation data on a recording medium.
CN1086498C (zh) * 1995-02-22 2002-06-19 株式会社东芝 信息记录方法,信息重放方法以及信息重放装置
JP3511721B2 (ja) * 1995-03-15 2004-03-2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US6009234A (en) 1995-04-14 1999-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reproducing information
US6009433A (en) * 1995-04-14 1999-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storage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dia with parental control
US5813010A (en) * 1995-04-14 1998-09-22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storage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dia with parental control
CA2173929C (en) * 1995-04-14 2001-04-03 Kazuhiko Taira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reproducing information
JP3627237B2 (ja) * 1995-08-04 2005-03-09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H09265731A (ja) * 1996-01-24 1997-10-07 Sony Corp 音声再生装置及び方法、音声録音装置及び方法、音声録音再生システム、音声データの転送方法、情報受信装置、記録媒体
EP0821828B1 (en) * 1996-02-16 2003-07-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recording an information carrier, method and information carrier therefor
JP3824701B2 (ja) * 1996-04-01 2006-09-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
DE69704217T2 (de) * 1996-10-07 2001-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sche Platte, Gerät dafür, und Verfahren zur Aufzeichnung auf eine optische Platte
JP4144054B2 (ja) * 1997-07-24 2008-09-03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
KR100329391B1 (ko) * 1999-01-04 2002-03-22 구자홍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방법 및 장치
JP2001297536A (ja) * 2000-04-14 2001-10-26 Sony Corp データ再生方法、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記録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装置
KR100713097B1 (ko) * 2000-12-26 2007-05-02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기록 매체, 및 정보 재생 장치 및 방법
US6891694B2 (en) * 2002-08-23 2005-05-10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Method for writing streaming audiovisual data to a disk drive
JP4337341B2 (ja) * 2002-12-13 2009-09-30 ソニー株式会社 再生専用記録媒体、再生装置、再生方法、ディスク製造方法
JP3782398B2 (ja) * 2003-02-19 2006-06-07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媒体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2005057321A (ja) * 2003-08-01 2005-03-03 Canon Inc 信号処理装置
JP2005216395A (ja) * 2004-01-30 2005-08-11 Sony Corp 記録媒体評価方法、記録再生装置、記録媒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0722A2 (en) * 1986-09-19 1988-03-23 Kabushiki Kaisha Toshiba Erroneous track jump restoration apparatus for optical record disc play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96590B1 (en) * 1985-03-27 1992-05-20 Sony Corporation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an opto-magnetic disk
JPH01143080A (ja) * 1987-11-30 1989-06-05 Sony Corp 記録装置
JP2845920B2 (ja) * 1989-02-09 1999-01-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再生方式
JPH0646487B2 (ja) * 1989-03-31 1994-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担体
EP0419239B1 (en) * 1989-09-22 1995-11-15 Sony Corporation Information-recording method and medium
US5244705A (en) * 1990-08-24 1993-09-14 Sony Corporation Disc-shaped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0722A2 (en) * 1986-09-19 1988-03-23 Kabushiki Kaisha Toshiba Erroneous track jump restoration apparatus for optical record disc play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3069B2 (en) 2002-08-12 2007-12-25 Pioneer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pparatus, the medium including a linking region between unit block regions
US7545721B2 (en) 2002-08-12 2009-06-09 Pioneer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pparatus, the medium including a linking region between unit block reg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15730D1 (de) 1997-01-23
DE69215730T2 (de) 1997-04-10
EP0506471B1 (en) 1996-12-11
JPH04301264A (ja) 1992-10-23
JP3158474B2 (ja) 2001-04-23
KR920018681A (ko) 1992-10-22
MY108116A (en) 1996-08-15
EP0506471A1 (en) 1992-09-30
CA2063908C (en) 2001-12-18
US5528569A (en) 1996-06-18
CA2063908A1 (en) 199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508B1 (ko) 광 디스크 기록 장치
KR100242901B1 (ko) 디스크 기록 장치 및 디스크 재생 장치
KR100221437B1 (ko) 광 디스크 기록 장치
KR100266047B1 (ko) 디스크 기록 장치 및 디스크 재생 장치
JP3158557B2 (ja) 再生装置
JP3158556B2 (ja)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236364B1 (ko)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
JP3715327B2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再生装置
JPH04258834A (ja) 記録再生装置
JPH04321975A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3239388B2 (ja) デイスク記録装置、デイスク再生装置及び記録方法
JPH056572A (ja) デイスク状記録媒体
JPH04349270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3729758B2 (ja) ディスク
JP3381168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
JP3116903B2 (ja) 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ディスク再生方法
JP3405358B2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3407734B2 (ja) ディスク及びデータ記録方法
JPH04105272A (ja) デェ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1236741A (ja) ディスク
JP2002334521A (ja) ディスク再生装置の再生制御回路
JPH11162109A (ja)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3007002A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3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203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2120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