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2192B1 - 조직의 유도 재생용 복합막 - Google Patents

조직의 유도 재생용 복합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192B1
KR100252192B1 KR1019940702108A KR19940702108A KR100252192B1 KR 100252192 B1 KR100252192 B1 KR 100252192B1 KR 1019940702108 A KR1019940702108 A KR 1019940702108A KR 19940702108 A KR19940702108 A KR 19940702108A KR 100252192 B1 KR100252192 B1 KR 100252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ic acid
composite membrane
ester
derivative
composi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2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리가티 프랑코
칼레가로 랑프랑코
로메오 아우렐리오
Original Assignee
리카르도 갈로
엠.유.알.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카르도 갈로, 엠.유.알.에스.티. filed Critical 리카르도 갈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19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61F2/105Skin implants, e.g. artificial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40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27/44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 A61L27/48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with macromolecular fi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1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2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2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31/125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 A61L31/129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containing macromolecular fi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5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grain, strips, or filamentary elements in respective layers or components in angular relation
    • Y10T428/24124Fi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02Woven scrim
    • Y10T442/172Coated or impregn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Immobilizing And Processing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에서 조직의 유도 재생을 위한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및 생흡수성 복합막으로 이루어진 바이오 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막은 매트릭스에 봉입된 실을 포함하며, 매트릭스와 실 모두가 단일의 하이알루론산의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배합물이거나, 하이알루론산의 에스테르와 알긴산의 에스테르 또는 다른 중합체와의 배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조직의 유도 재생용 복합막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하이알루론산 유도체로부터 형성되고 복합막이라 명명되는 신규한 바이오 물질, 그의 제조방법, 및 외과분야에서 외상 및 내부상처의 치료시 조직의 유도 재생을 위한 이들 복합막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관련 선행 기술의 설명]
하이알루론산은 D-글루크론산 및 N-아세틸-D-글루코스아민의 잔기가 교대로 배열된 천연 헤테로폴리사카라이드이다. 이 하이알루론산은 이들이 수득되는 공급원, 및 사용한 제조방법과 정량방법에 따라 50,000 내지 13,000,000의 분자량을 갖는 선형 중합체이다. 하이알루론산은 실제로 세포주위 겔, 척추동물 유기체의 주요 구성성분의 하나인 결합조직의 기본 물질, 관절의 활액, 초자체역, 인간의 제대 삭 조직, 및 수탉 볏에 존재한다.
1990 년 7월 25일에 출원인에게 부여된 유럽 특허 번호 제 0 138 572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연수내막액에 대한 대체물에 대해 염증 활성을 나타내지 않고, 따라서 상처를 치유하는데 사용할 수 있거나, 관절내 삽입에 의해 관절 병리학에 대한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명확한 분자량을 갖는 하이알루론산의 특정 부분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출원인에게 부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851,521 호, 동 제 4,965,353 호 및 동 제 5,147,861호, 및 1988년 1월 7일에 공고된 유럽특허 출원 제 0 251 905 A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산의 카복시 그룹 모두 또는 일부가 에스테르화된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 및, 이를 약제학 및 화장품 분야에, 또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물질에 사용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하이알루론산은 조직 회복 과정에 있어서, 특히 응집 매트릭스를 안정화시켜 그의 분해를 억제하고, 다형핵 백혈구 및 단핵세포와 같은 염증 세포, 결합조직형성세포 및 내피 세포와 같은 간엽 새포의 회복을 도와주고, 상피세포의 순차적 이동의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육아형성의 제 1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하이알푸론산 용액을 욕창, 창상 및 화상 환자에게 적용함으로써 그의 치유를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직 회복 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하이알루론산의 역할은 이론적 모델로 확립된 웨이겔 피.에이취. 등(Weigel P.H. et al.)의 문헌[J. Theor. Biol., 119:219, 1986: “A model for the role of hyaluronic acid and fibrin in the early events dur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and wound healing”]에 기술되어 있다.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를 그 자체로 또는 다른 중합체와의 혼합물로 함유하는 생성물을 피부에 적용시키기 위한 연구를 한 결과 각종 형태의 생성물이 개발되었다. 이들중에 두께(센티미터당 실의 수) 및 크기가 다양하고, 실의 데니르(실 9000미터당 중량)가 다양한 거즈와 같은 직물이 있다.
미합중국 특혀 제 4,851,521 호 및 등 제 4,965,353호에는 두께가 매우 광범위한 필름이 제안되었다.
또다른 중합체와 함께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제품의 용도에 있어서 한 가지 한계점은 그들의 사용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낮은 기계적 저항성이다. 그 자리에서 꾀매야 하는 막 또는 또다른 유형의 필름 형성 용품과 같은 바이오 물질의 경우에, 외과용 바늘 또는 봉합실은 막의 생체조직 손데를 위태롭게 하는 크랙, 절단 또는 열상을 유발하여, 결과적으로 그의 적용 장소에서 막의 안전성을 위태롭게 함으로써 오염에 노출된 상처 및 원치 않는 결과를 유발할 수 있다.
현대 외과에서 가능한 모든 장소에서 적용되는 경향이 있는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로부터 수득된 것과 같은 고도의 생채적합성을 갖는 바이오 물질은 또한 고도의 생분해성 및 생흡수성에 의해서 특징지어진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단독 또는 그의 혼할물로 사용된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생체적합성 및 생흡수성 복합막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를 포함한다. 인체의 내부 또는 외피상에 바이오 물질의 적용을 위한 외과적 수행에서 봉합 스티치가 사용되거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료를 위한 또다른 수단이 사용될지라도, 동일한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로부터 수득된 다른 막들에 비하여 이들 복합막은 기계적 저항력, 인장강도, 및 물리적 기계적 인열 강도에 대한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새로운 기계적 특성과는 별도로 이러한 복합막은 또한 고도로 생체적 합성 및 생분해성이다.
본 발명의 복합막은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 알긴산 에스테르 단독 또는 배합물을 함유할 수 있고, 또한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와 알긴산 에스테르 배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된 막일 수 있으며, 또는 이러한 에스테르를 다른 중합체와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성의 또다른 범위는 아래에 제공하는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간단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상새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내용 및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화시키고 변경시킨 것이므로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들에게 명백할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수반하는 도면들에 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자세하게 이해될 수 있지만, 이들 모두는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복합막의 제조에 포함된 단계들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제2도는 실시예 27에 기재된 방법으로부터 재조된 HYAFF 7 메쉬(mesh)를 나타낸다.
제3도는 실시예 27에 기재된 바와 같이 HYAFF 11 중합체 매트릭스 적용후의 제2도에 나타낸 HYAFF 7 메쉬를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를 도울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재된 태양에서 변경 및 별법은 본 발명의 내용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을 부당하게 제한하려는 뜻으로 해석되어서는 않된다.
본 출원에 인용된 각 참고문헌의 내용은 모두 참고자료로서 기재하였다.
상기 목적은 기본 중량 약 8gr/cm2내지 50gr/cm2, 건조시 두께 약 0.08mm 내지 약 0.5mm, 건조시 최소 파단 인장강도 약 100 kg/cm2내지 약 1000kg/cm2, 건조시 신장율 약 3% 내지 약 12%, 습윤시 최소 파단 인장강도 약 30kg/cm2내지 450kg/cm2, 습윤시 신장율 약 20% 내지 약 60%, 건조시 인열강도 약 40kg/cm2내지 약 200kg/cm2, 습윤시 인열강도 약 20kg/cm2내지 약 160kg/cm2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각합막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복합막은 중합체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복합 구조물이며, 중합체 매트릭스는 그 매트릭스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을 함유하는 매쉬 강화물이 끼워진 것이다.
봉합실 또는 외과용 바늘에 의한 크랙 또는 찢김을 퍼지지 않게 하는 강화구조물은 건조 또는 습윤한 조건에서 압출시켜 제조되며 약 10내지 약 16 게이지의 섬유내로 직조된 복합실이며 가능한한 꼬인실을 함유한다.
복합실은 약 30 내지 약 120개의 필라멘트(가닥), 약 8 내지 약 35미크론의 직경, 약 150 내지 약 400 데니르로 되어 있다.
중합체 매트릭스 및 내부 강화 메쉬는 미합중국 특허 제 4,851,521호 및 동 제 4,965,353호, 및 PCT공개 WO 92-13579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이 알루론산 에스테르를 함유할 수 있으며,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 단독 또는 여러가지 백분율로 서로를 혼합한 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쉬 강화물이 끼워진 중합체 매트릭스는 하나 이상의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의 흔합물뿐만 아니라 키틴, 알기네이트, 키토산, 겔란, 및 이들의 합성 또는 반합성 유도체와 같은 생물학적으로 및 약리학적으로 활성인 겔화된 폴리사카라이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복합막은 내부적으로 및 외부적으로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완전히 생체적합성이고 생분해성인 독특한 것이다. 복합구조, 즉 메쉬/중합체 매트리스는 습윤 조건에서도 두 성분이 분리되지 않는 단일 매스(mass)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강화 메쉬에 사용된 코팅 기술의 결과이며, 그 중합체 코팅 용액은 강화 메쉬를 함유하는 물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가용화 용매를 함유한다. 이 가용화 용매는 메쉬상에서 중합체와 강화 메쉬 사이에 화학적 결합을 형성하는 작용을 한다. 최종 생성물은 두 개가 조합된 구조로 된 단일물질이다.
본 발명의 복합막은 또한 습윤한 조건하에서 물질의 저항력과 강성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독특한 것이다. 이는 중합체 매트릭스 내애서 단일체를 구성하는 생체적합성 및 생흡수성 강화메쉬를 삽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로 구성되는 다양한 고유 특성을 갖는 각종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여러가지 기계적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HYAFF 11 및 ALAFF 11에 관하여, 이들 실의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막은 최종 생성물의 보존성을 보장하는 등안 필요에 따라 내부 매쉬의 강성도를 변조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중합체 매트릭스에 강화 매쉬를 함유하는 생의학 용도를 위한 종래의 복합 물질은 두 성분이 상이한 특성을 가지므로 예를들면 습윤한 조건하에서 분리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복합막은 상이한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갖는 물질로 만들어졌지만 사용시 분리되는 단점이 없는 이점이 있다. 상기 특성을 갖는 복합막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 메쉬 강화물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1도를 참조하여, 용기(1)에서 약 80 내지 약 180mg/ml 농도의 중합체 용액이 제조되고, 기어 계량 펌프(2)에 의하여 각각의 직경이 약 55내지 약 140 미크론으로 측정된 약 30내지 120개의 구멍이 있는 습식 압출용 방사판(spinneret)으로 유입된다. 그로부터 압출된 복합실이 응집배쓰(3)내로 통과하고, 다음에 세 개의 연속 배쓰(4, 5 및 6)로 이송 롤러를 가로질러 이등하고 거기에서 헹궈진다. 세번째 롤러(III)의 속도와 첫번째 롤러(I)의 속도의 비를 늘림율이라 하고, 약 1 내지 1.3에서 다양하지만, 그 롤러들의 속도는 약 2 내지 약 30rpm(회전수/분)으로 다양하다. 일단 행굼 배쓰를 통과하면, 복합실이 약 40 내지 약 55℃의 다양한 온도에서 온풍(7)에 의하여 건조된 다음, 권선틀(winding frame)(8)상으로 권선된다. 실의 데니르는 약 150 내지 400 데니르에서 다양하다.
다음에 복합실이 약 90 내지 약 200회/미터로 꼬여지고, 약 10내지 약 16의 게이지로 매끄러운 편직물(9 및 10)로 직기상에서 직조된다. 직기가 풀어졌을 때, 직물은 캘린더(11)을 통하여 유입되어 얇게 된다. 중합체 매트릭스가 두 개의 에어 부러시(14) 사이에 유입되어 약 30내지 약 120mg/ml 농도의 중합체 용액으로 스프레이된다. 이러한 중합체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용매는 비양자성 용매일 수 있고, 카복실산의 아미드, 특히 탄소 원자수 1 내지 5의 지방족 산의 디알킬아미드 및 탄소원자수 1 내지 6의 알킬그룹으로부터 유도된 디알킬아미드, 및 유기 설폭사이드, 즉 탄소원자수 6 이하의 알킬 그룹을 갖는 디알킬설폭사이드, 특히 디메틸설폭사이드 또는 디에틸설폭사이드로부터 유도된 비양자성 용매, 및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저융점을 갖는 불소화 용매가 포함된다. N-메틸 피롤리돈 또한 유용하다. 스프레이된 메쉬는 응집배쓰(15), 세척 챔버(16), 및 약 40 내지 약 55℃의 다양한 온도를 갖는 가열된 롤러 건조 챔버(17) 내로 통과한다.
응집배쓰(3) 및 (15)는 스테인레스 스틸이며, 추출된 가용화 용매가 그의 깊은 부분에서 침적될 수 있도록, 반면 형성되는 물질이 신선한 응집 용매와 접촉할 수 있도록 위로 향한 삼각형의 형태이다.
응집 과정은 실질적으로 중합체와 용매의 용액으로부터의 추출 과정이며, 가용화 용매의 추출과 중합체의 고체화는 에탄올과 같은 제 2의 용매의 첨가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가용화 용매, 예를들면 디메틸설폭사이드는 가용성이며, 중합체는 불용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상처 또는 외상의 치료를 위한 의약/제약 분야에서 사용되는 신규한 군의 생성품에 관한 것이다. 이 생성품은 복합막으로서 알러지며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생체적합성 또는 생흡수성이다. 이 생성품은 하이알무론산 에스테르 단독, 또는 다른 천연, 합성 또는 반합성 중합채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물질들은 높은 기계적 저항성, 특히 막이 수술 부위 주위의 조직에 고정될 때 외과에서 일어나기 쉬운 찢김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복합막이 단순 압출에 의해 수득된 막에 비해서 더 우수한 기계적 저항성을 갖는 것은 기계적 특성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이것을 나타기 위해서 하이알루론산 에틸 에스테르의 연속막과 하이알루론산 에틸 에스테르 메쉬와 하이알루론산 벤질 에스테르의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복합막을 비교하였다. 이 비교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인열강도는 외과용 바늘을 사용하여 막을 통하여 8/0붕합실을 통과시킴으로써 측정하였다.
이들 데이타는 습윤 조건(작업 조건)하에서 본 발명의 복합막의 기계적 특성이 종래의 연속막의 기계적 특성보다 현저하게 우수함을 나타낸다.
[하이알루론산의 에스테르]
본 발명에서 유용한 하이알루론산의 에스테르는 지방족, 아르알리파틱, 지환족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알콜과의 하이알루론산의 에스테르이며, 이는 모두 에스테르화된(소위 “완전 에스테르”) 또는 하이알루론산의 카복실 그룹의 단지 일부가 에스테르화된 (소위 “부분 에스테르”), 및 부분 에스테르와 생체 적합성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 염기 또는 금속과의 부분 에스테르의 염이다.
유용한 에스테르로는 자체가 현저한 약리학적 작용을 갖는 알콜들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지방록 계열의 포화된 알콜 또는 지환족 계열의 간단한 알콜이 본 발명에서 유용하다.
카복실산 그룹의 일부가 유리된 상태로 남아있는 상기 언급한 에스테르(즉, 부분 에스테르)에서, 이들은 알카리 금속 또는 알카리 토금속, 또는 암모니아 또는 질소 유기 염기와 같은 금속 또는 유기 염기로 염화시킬 수 있다.
하이알루론산(“HY”) 그 자체와는 달리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의 대부분은 유기 용매중에서 특정한 정도의 용해도를 나타낸다. 이 용해도는 에스테르화된 카복실 그룹의 퍼센트 및 카복실과 결합한 알킬 그룹의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그의 카복실 그룹이 전부 에스테르화된 HY 화합물은 실온에서, 예를들어 디메틸설폭사이드에 대해 우수한 용해도를 나타낸다(HY의 벤질 에스테르는 DMSO중에 200mg/ml 정도로 용해된다). HY의 완전 에스테르 대부분은 또한, HY 및 특히 그의 염과는 달리 물에 대한 용해도가 좋지 않으며 실제적으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다. 용해 특성은 특정의 주목할만한 점탄성과 함께 HY 에스테르가 복합막에 사용하기에 특허 바람직하도록 만든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막에 사용하기 위한 하이알루론산의 카복실 그룹의 에스테르화 성분으로 사용되는 지방쪽 계열의 알콜은 예를들어 탄소수 최대 34 이고, 포화되거나 불포화될 수 있고, 가능하다면 다른 유리된 기능성 그룹 또는 기능적으로 변형된 그룹, 예를들면 아민, 하이드록실, 알데히드, 케톤, 머캅탄, 또는 카복실 그룹에 의해서나, 또는 이들로 부터 유도된 그룹, 예를들어 하이드로카빌 또는 디-하이드로카빌 아민 그룹(용어 “하이드로카빌”은 CnH2n+1형태와 같은 탄화수소의 1 가 래디칼 뿐 아니라 “알킬렌” CnH2n또는 “알킬리덴” CnH2n과 같은 2가 또는 3 가 래디칼을 언급하도록 사용된다),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그룹, 아세탈 또는 케탈 그룹, 티오에테르 또는 티오에스테르 그룹, 및 에스테르화된 카복실 또는 카바미드 그룹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이드로카빌 그룹, 니트릴 그룹 또는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카바미드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것이다.
하이드로카빌 래디칼을 함유하는 상기 언급한 그룹중에서 바람직한 그룹은 탄소수 최대 6 인 알킬과 같은 저급 지방족 래디칼이다. 이러한 알콜은 또한 탄소 원자쇄에서 산소, 질소 및 황 원자와 같은 헤테로 원자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두개의 상기 언급한 기능성 그룹으로 치환된 알콜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상기 언급한 그룹의 알콜은 탄소수 최대 12, 및 특히는 6 인 알콜이고, 이때 상기 언급한 아민, 에테르. 에스테르, 티오에테르, 티오에스테르, 아세탈, 케탈 그룹에서 하이드로카빌 원자는 탄소수 최대 4 인 알킬 그룹을 나타내고, 또한 에스테르화된 카복실 또는 치환된 카바미드 그룹에서 하이드로카빌 그룹은 동일한 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이며, 아민 또는 카바미드 그룹은 탄소수 최대 8 인 알킬렌아민 또는 알킬렌카바미드 그룹일 수 있다. 이들 알콜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예를들면 매틸, 에틸, 프로필 및 이소프로필 알콜, 노말 부틸 알콜, 이소부틸 알콜, 3급 부틸 알콜, 아밀, 펜틸, 헥실, 옥틸, 노닐 및 도데실 알콜과 같은 포화된 비치환 알콜, 및 그중에서도 노말 옥틸 및 도데실 알콜과 같은 선형 쇄를 갖는 알콜이다. 상기 그룹의 치환된 알콜중에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과 같은 2가 알콜, 글리세린과 같은 3가 알콜, 타르트론산 알콜과 같은 알데히드 알콜, 락트산과 같은 카복실 알콜, 예를들면 글리콜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미노알콜, 예를들면 노말 아미노에탄올, 아미노프로판올, 노말 아미노부탄을 및 아민 부위에서 디메틸화 및 디에틸화된 그의 유도체, 콜린, 피롤리디닐에탄올, 피페리디닐에탄올, 피페라지닐에탄올 및 노말 프로필 또는 노말 부틸 알콜의 상응하는 유도체, 모노티오에틸렌글리콜 또는 그의 알킬 유도체, 예를들면 머캅탄 부위에서의 에틸 유도체가 유용하다.
고급 포화 지방족 알콜중에서는 세틸 알콜 및 미리실 알콜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서는 특히 시트로넬롤, 게라니올, 네롤, 네롤리돌, 리날로올, 파르네솔, 피톨과 같은 테르펜에 대해 친화성이 있고 많은 필수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것과 같은 하나 또는 두개의 이중 결합을 갖는 고급 불포화 알콜이 특히 중요하다. 불포화저급알콜중에서 알릴 알콜 및 프로파길 알콜이 고려될 수 있다. 아르알리파틱 알콜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하나만의 벤젠 잔기를 갖고, 지방족 쇄가 최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벤젠 잔기가 1 내지 3 개의 메틸 또는 하이드록실 그룹에 의해, 또는 할로겐 원자, 특히 염소, 브롬 및 요오드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지방폭 쇄가 유리 아민 그룹을 함유하거나 모노- 또는 디메틸화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 그룹에 의해 또는 피롤리딘 또는 피페리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알콜이다. 이들 알콜중에서 벤질 알콜 및 펜에틸 알콜이 가장 바람직하다.
지환족 또는 지방족-지환족 계열의 알콜은 모노- 또는 폴리사이클릭 탄화수소로 부터 유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계는 최대 34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고, 비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지방쪽 알콜에 대해 언급한 바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환체를 함유할 수 있다. 사이클릭 단일환 탄화수소로 부터 유도된 알콜중에서 탄소 원자수 최대 12이고, 환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예를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 그룹과 같은 1 내지 3개의 저급 알킬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룹의 특정 알콜중에서 사이클로헥산올, 사이클로헥산디올, 1,2,3-사이클로헥산트리올 및 1,3,5-사이클로헥산트리올(플로로글루시톨), 이노시톨 및 P-메탄으로 부터 유도된 알콜, 예를들어 카보멘톨, 멘톨 및 α-γ 테르피네올, 1-테르피네올, 4-테르피네올 및 피페리톨, 또는 “테르피네올”로서 공지된 이들 알콜의 혼합물, 1,4- 및 1,8 테르핀이 가장 바람직하다. 투잔, 피난 또는 콤판의 것과 같은 축합환을 갖는 탄화수소로 부터 유도된 알콜중에서 투자놀, 사비놀, 피놀수화물, D 및 L-보르네올 및 D 및 L-이소보르네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스테르에 사용되는 지방족-지환족 폴리사이클릭 알콜은 스테롤, 콜린산 및 스테로이드, 예를들어 성 호르몬 및 그의 합성 유사체, 특히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그의 유도체이다. 따라서 콜레스테롤, 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에피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코프로스타놀, 에피코프로스타놀, 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에르고스테롤, 콜린산, 데옥시콜린산, 리토콜린산, 에스트리올, 에스트라디올, 에퀼레닌, 에퀼린 및 그의 17위치에서의 에티닐 또는 프로피닐 유도체와 그의 알킬레이트 유도체, 예를들어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 또는 7α-메틸-l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 프레그네놀론, 프레그난디올, 테스토스테론 및 그의 유도체, 예를들어 17α-메틸테스토스테론, 1,2-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및 17α-메틸-1,2-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테스토스테론 및 1,2-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17 위치에서 알키닐레이트 유도체, 예를들어 17α-에티닐테스토스테론, 17α-프로피닐테스토스테론, 노르게스트렐, 하이드록시프로게스테론, 코르티코스테론, 데옥시코르티코스테론, 19-노르테스토스테론, 19-노르-17α-메틸테스토스테론 및 19-노르-l7α-에티닐테스토스테론, 항호르몬, 예를들어 사이프로테론, 코르티손, 하이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솔론, 플루오로코르티손, 덱사메타손, 배타메타손, 파라메타손, 플우메타손, 플루오시놀론, 플루프레드닐리덴, 클로베타솔, 베클로메타손, 알도스테론, 데옥시코르티코스테론, 알팍솔론, 알파돌론, 및 볼라스테론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스테르화에 사용되는 에스테르화 성분으로는 디기톡시게닌, 기톡시게닌, 디곡시게닌, 스트로판티딘, 티고게닌 및 사포닌과 같은 심장 활성 글루코사이드의 게닌(아글리콘)이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또 다른 알콜은 악세로프톨, 비타민 D2및 D3, 아네우린, 락토플라빈, 아스코르브산, 리보플라빈, 티아민 및 판토텐산과 같은 비타민류 이다.
헤테로사이클릭 산중에서, 이들의 선형 또는 사이클릭 쇄가 예를들어 -0-, -5-, -N 및 -NH-에 의해 형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 예를들면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에 상기 언급한 지환족 또는 지방족-지환족 알콜의 유도체로 고려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불포화 결합, 예를들면 특히는 1 내지 3개의 이중 결합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또한 방향쪽 구조를 가지는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이들로는 푸르푸릴 알콜, 알칼로이드 및 그의 유도체, 예를들면 아트로핀, 스코폴아민, 킨코닌, 라 킨코니딘, 퀴닌, 모르핀, 코데인, 날로르핀, N-부틸스코폴암모늄 브로마이드, 아즈말린: 에페드린, 이소프로테레놀, 에피네프린과 같은 페닐에틸아민; 페르펜아진, 피포티아진, 카르펜아진, 호모펜아진, 아세토펜아진, 플우오펜아진 및 N-하이드록시에틸프로메타진 클로라이드와 같은 페노티아진 약제; 플루펜틱솔 및 클로펜틱솔과 같은 티옥산텐 약제; 메프로펜디올과 같은 항경련제; 오피프라몰과 같은 항내용병제; 옥시펜딜과 같은 진토제; 카르베티딘, 페노페리딘 및 메타돌과 같은 진통제; 에토드록시진과 같은 최면제; 벤지드롤 및 디페메톡시딘과 같은 식욕감퇴제; 하이드록시진과 갈은 소정온제; 신나메드린, 디필린, 메페네신, 메토카바몰, 클로르페네신,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구아이페네신, 하이드로실아미드와 같은 근육 이완제: 디피리다몰 및 옥시페드린과 같은 관상 혈관확장제; 프로파놀롤, 트리물롤, 핀돌롤, 부프라놀롤, 아테놀롤, 메트로프롤롤, 프락톨롤과 같은 아드레날린 차단제; 6-아자우리딘, 사이타라빈, 플록수리딘과 같은 항신생물제; 클로르암페니콜, 티암페니콜, 에리트로마이신, 올레안도마이신, 린코마이신과 같은 항생제; 이독수리딘과 같은 항바이러스제; 이소니코티닐 알콜과 같은 말초혈관확장제; 슬로카르빌레이트와 같은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티아르아미드와 같은 항천식제 및 항염증제; 2-p-설파닐로노에탄올과 같은 설파미딕이 언급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는 에스테르 그룹이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하이드록실 물질로부터 유도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으며, 이때 당연히 모든 가능한 변형체들이 수득될 수 있다. 하이드록실 특성을 갖는 약제로부터 유도된 두개의 상이한 에스테르 그룹이 존재하고, 남아있는 카복실 그룹은 금속 또는 염기로 염화되고 유리되며, 이때 염기가 가능하다면 또한 에스테르화 성분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활성을 가지는 것과 같이 그 자체로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염기인 물질이 특히 유용하다. 특히, 한편으로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항염중성 스테로이드 및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언급한 비타민, 알카로이드 또는 항생제로 부터 하이알루론산 유도체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HY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방법 A:]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는 카복실산을 에스테르화시키는 그 자체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를들면 유리된 하이알루론산을 강한 무기산 또는 산 형태의 이온 교환기와 같은 촉매화 물질의 존재하에서 목적하는 알콜로 처리하거나, 또는 유기 또는 무기 염기의 존재하에서 목적하는 알콜성 잔기를 도입시킬 수 있는 에테르화제로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에스테르화제로서 특히 수소산, 즉 메틸 또는 에틸 요오다이드 등의 하이드로카빌 할로게나이드와 같은 각종 무기산 또는 유기 설폰산의 에스테르, 또는 중성 설페이트 또는 하이드로카빌 산, 알파이트, 카보네이트, 실리케이트, 포스파이트 또는 하이드로카빌 설포네이트, 예를들어 메틸 벤젠 또는 p-톨루엔-설포네이트 또는 메틸 또는 에틸 클로로설포네이트와 같은 문헌에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은 적합한 용매, 예를들어 알콜, 바람직하게는 카복실 그룹에 도입되는 알킬 그룹에 상응하는 알콜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반응은 또한 케톤, 디옥산과 같은 에테르와 같은 비극성 용매 또는 디메틸설폭사이드와 같은 비양자성 용매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염기로서 예를들어 알카리 금속, 알카리 토금속, 산화마그네슘 또는 산화은의 수화물 또는 탄산염과 같은 이들 물질중의 하나의 염기염 및 유기 염기의 염기염, 피리딘 또는 콜리딘과 같은 삼급아조화 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염기의 경우에 염기성 형태의 이온 교환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에스테르화 방법에서는 금속염 또는 유기 아조화 염기와의 염, 예를 들어 암모늄 또는 암모늄 대체염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알카리 금속 또는 알카리 토금속의 염이 사용되지만, 또한 그밖의 다른 금속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에스테르화제는 또한 상기 언급한 것이 사용되며, 이때 용매도 동일한 것이 적용된다. 비양자성 용매, 예를들어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 또는 이후에 기재된 다른 방법에 따라 수득된 에스테르에서, 부분 에스테르의 유리 카복실 그룹은 필요에 따라 그 자체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염화시킬 수 있다.
[방법 B :]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는 또한 하이알루론산의 4급 암모늄염을 바람직하게는 비양자성 용매중에서 에스테르화제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유기 용매로서 디알킬설폭사이드, 디알킬카복스아미드, 예를들어 특히는 저급 알킬 디알킬설폭사이드, 그중에서도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디에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저급 지방족산의 저급 알릴 디알킬아미드와 같은 비양자성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알콜, 에테르, 케톤, 에스테르, 특히 저비점 지방족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알콜 및 케톤, 예를들어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트리플루오로에탄올 및 N-메틸피롤리돈과 같은 비양자성이 아닌 기타 다른 용매들도 고려된다.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약 0℃내지 100℃, 특히 약 25℃ 내지 75℃, 예를들어 약 3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에스테르화는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제를 상기 언급한 용매중의 하나, 예를들어 디메틸설폭사이드중에서 상기 언급한 암모늄염에 서서히 가하여 수행한다.
알킬화제로 상기 언급한 것, 특히 하이드로카빌 할로겐, 예를들어 알킬 할로겐을 사용할 수 있다. 출발 4급 암모늄 염으로는 알킬 그룹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저급 암모늄 테트라알킬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로, 테트라부틸암모늄의 하이알루로네이트가 사용된다. 이 4급 암모늄 염은 하이알루론산의 금속염,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한 것 중의 하나, 특히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을 수용액중에서 4급 암모늄 염기와 함께 염화 설폰 수지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방법의 한 변법은 디메틸설폭사이드와 같은 적합한 용매중에 현탁시킨 하이알루론산의 칼륨 또는 나트륨 염을 촉매량의 4급 암모늄 염, 예를들어 테트라부틸암모늄의 요오다이드의 존재하에서 적합한 알킬화제와 반응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하이알루른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예를들어 상기 언급한 천연출발물질, 예를들면 수탉 볏으로 부터 추출한 산과 같은 원액 그 자채의 하이알루론산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산을 제조하는 방법은 문헌에 기술되어 있으며, 정제된 하이알루론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는, 분자량이 예를들어 분자량 1.3 × 107인 완전산(integral acid)의 분자량에 대해 약 90 에서 80% (MW =1.17 내지 1.04 x 107) 내지 0.2% (MW = 30,0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0.2% 로 광범위하게 달라지는 유기 물질을 직접 추출하여 수득한 완전산의 분자 부분을 함유하는 하이알루론산이 사용된다.
이들 부분은 가수분해, 산화, 효소 또는 물리적 방법, 예를들어 기계적 또는 복사 방법과 같은 문헌에 기술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최초의 추출물은 종종 이미 알려진 방법 (참조예 : Balazs등에 의한 “Cosmetics & Toile-tries”인용부분)에 의해 상기와 동일한 과정중에 형성된다. 수득한 분자 분획을 공지의 기술에 따라, 예를들어 분자 여과에 의해 분리 및 정제한다.
추가로, 예를들어 유럽 특허 공개 번호 제 0138572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하이알루론산으로 부터 수득할 수 있는 정제 분획이 유용하다.
상술된 특정 에스테르화에 대한 출발 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언급한 금속에 의한 HY의 염화는 그 자제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를들면 HY를 기지량의 염기, 예를들어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콰 같은 상기 금속의 염기 염 또는 알카리 수화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한다.
부분 에스테르의 경우에, 화학양론적으로 목적하는 정도의 염화가 일어나도록 염기를 가하여 남아있는 카복실 그룹 전부 또는 이들의 일부를 염화시킬 수 있다. 적당한 정도로 염화시킴으로써, 해리상수가 광범하여 치료학적으로 적용시 용액중에서 또는 “원 위치에서” 목적하는 pH를 제공하는 에스테르를 수득할 수 있다.
[제조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복합막에 유용한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실시예 1]
[하이알루론산(HY)의 (부분) 프로필 에스테르의 제조]
- 에스테르화 카복실 그룹 50%
- 염화 카복실 그룹(Na) 50%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7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l에 용해시키고, 프로필 요오다이드 1.8g (10.6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물 62ml 및 염화나트륨 9g을 함유하는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아세톤 3,500m1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5:1 의 아세톤/물 500ml로 3회 및 아세톤으로 3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8 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킨다.
그후, 생성물을 1%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물 550ml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일정한 교반하에 아세톤 3,0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물(5:1) 500m1로 2회 및 아세톤 500ml로 3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킨다. 표제의 부분 프로필 에스테르 화합물 7.9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알.에이치. 쿤디프(R.H. Cundiff)와 피.씨. 마르쿠나스(P.C. Markunas)의 방법[참조 : Anal. Chem. 33, 1028-1030 (1961)]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2]
[하이알루론산(HY)의 (부분)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의 제조-에스테르화 카복실 그룹 50%-염화 카복실 그룹(Na) 50%]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6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l에 용해시키고, 이소프로필 요오다이드 1.8g(10.6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등안 유지한다.
물 62ml 및 염화나트륨 9g을 함유하는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아세톤 3,500m1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5:1 의 아세톤/물 500ml로 3회 및 아세톤으로 3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8 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킨다.
그후, 생성물을 1%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물 550ml에 용해시키고, 이용액을 일정한 교반하에 아세톤 3,0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물(5:1) 500m1로 2회 및 아세톤 500ml로 3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킨다. 표제의 부분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화합물 7.8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알.에이치. 쿤디프(R.H. Cundiff)와 피.씨. 마르쿠나스(P.C. Markunas)의 방법[참조 ; Anal. Chem. 33, 1028-1030 (1961)]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3]
[하이알루론산(HY)의 (부분)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에스테르화 카복실 그룹 50%-염화 카복실 그룹(Na) 50%]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25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l에 용해시키고, 에틸 요오다이드 2.5g(15.9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물 62ml 및 염화나트륨 9g을 함유하는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아세톤 3,5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5:1 의 아세톤/물 500ml로 3회 및 아세톤으로 3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8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킨다.
그후, 생성물을 1%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물 550ml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일정한 교반하에 아세톤 3,0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5:1 의 아세톤/물 500ml로 2회 및 아세톤 500ml로 3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 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킨다. 표제의 부분 에틸 에스테르 화합물 7.9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알.에이치. 쿤디프(R.H. Cundiff)와 피.씨. 마르쿠나스(P.C. Markunas)의 방법[참조 : Anal. Chem. 33, 1028-1030 (1961)]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4]
[하이알루론산(HY)의 (부분)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에스테르화 카복실 그룹 75%-염화 카복실 그룹(Na) 25%]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8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 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l에 용해시키고, 메틸 요오다이드 2.26g (15.9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물 62ml 및 염화나트륨 9g을 함유하는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아세톤 3,500m1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5:1의 아세톤/물 500m1로 3회 및 아세톤으로 3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8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킨다.
그후, 생성물을 1%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물 550ml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일정한 교반하에 아세톤 3,0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5:1 의 아세톤/물 500m1로 2회 및 아세톤 500ml로 3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킨다. 표제의 부분 메틸 에스테르 화합물 7.8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알.에이치. 쿤디프(R. H. Cundiff)와 피.씨. 마르쿠나스(P.C. Markunas)의 방법[참조 : Anal. Chem. 33, 1028-1030 (1961)]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5]
[하이알루론산 (HY)의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2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l에 용해시키고, 메틸 요오다이드 3g (21.2밀리당량)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반응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ml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메틸 에스테르 화합물 8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알.에이치. 쿤디프(R.H. Cundiff)와 피.씨. 마르쿠나스(P.C. Markunas)의 방법[참조 : Anal. Chem. 33, 1028-1030 (1961)]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6]
[하이알루론산 (HY)의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85,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1에 용해시키고, 에틸 요오다이드 3.3g(21.2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반응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1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ml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에틸 에스테르 화합물 8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알.에이치. 쿤디프(R.H. Cundiff)와 피.씨. 마르쿠나스(P.C. Markunas)의 방법[참조 : Anal. Chem. 33. 1028-1030 (1961)]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7]
[하이알루론산 (HY)의 프로필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7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l에 용해시키고, 프로필 요오다이드 3.6g (21.2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반응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 아세테이트 3,500m1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ml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프로필 에스테르 화합물 8.3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알.에이치. 쿤디프(R.H. Cundiff)와 피.씨. 마르쿠나스(P.C. Markunas)의 방법[참조 : Anal. Chem. 33, 1028-1030 (1961)]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8]
[하이알루론산 (HY)의 (부분적) 부틸 에스테르의 제조-에스테르화된 카복실 그룹 50%-염화된 카복실 그룹(Na) 50%]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애 상응하는 62,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1에 용해시키고, n-부틸 요오다이드 1.95g (10.6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물 62m1와 염화나트륨 9g을 함유하는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아세톤 3,500m1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아세톤/물(5:1) 500m1로 3회 세척하고, 아세톤으로 3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8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다음에 그 생성물을 염화나트륨 1%를 함유하는 물 550ml에 용해시키고, 그 용액을 일정한 교반하에 아세톤 3,000m1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아세톤/물 (5:1) 500ml로 2회 세척하고, 아세톤 500m1로 3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부분적 부틸 에스테르 화합물 8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 측정은 알.에이치. 쿤디프(R.H. Cundiff)와 피.씨. 마르쿠나스(P.C. Markunas)의 방법 [참조 : Anal. Chem. 33, 1028-1030 (1961)]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9]
[하이알루론산 (HY)의 (부분적) 에톡시 카보닐메틸 에스테르의 제조-에스테르화된 카복실 그룹 75%-염화된 카복실 그룹 (Na) 25%]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8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1에 용해시키고,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2g 및 에틸 클로로아세테이트 1,84g (15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용액을 30℃에서 24시간 동안 유지한다.
물 62ml와 염화나트륨 9g을 함유하는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흔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아세톤 3,5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아세톤/물(5:1) 500ml로 3회 세척하고, 아세톤으로 3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8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다음에 그 생성물을 염화나트륨 1%를 함유하는 물 550m1에 용해시키고, 그 용역을 일정한 교반하에 아세톤 3,000m1에 서서히 붓는다. 여과시켜 형성된 침전물을 아세톤/물 (5:1) 500ml로 2회 세척하고, 아세톤 500m1로 3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부분적 에톡시카보닐 에스테르 화합물 10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알.에이치, 쿤디프(R.H. Cundiff)와 피.씨. 마르쿠나스(P.C. Markunas)의 방법[참조 : Anal, Chem. 33, 1028-1030 (1961)]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10]
[하이알루론산 (HY)의 n-펜틸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62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1에 용해시키고, n-펜틸 브로마이드 3.8g (25 밀리당량)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0.2g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500ml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n-펜틸 에스테르 화합물 8.7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시기아 에스. (Siggia S.)와 한나 제이.쥐. (Hanna J. G.)의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4th Editon, John Wiley and Sons, 169-172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11]
[하이알루론산 (HY)의 이소펜틸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7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l에 용해시키고, 이소펜틸 브로마이드 3.8g (25 밀리당량) 밋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0.2g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1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500ml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이소펜틸 에스테르 화합물 8.6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시기아 에스. (Siggia S.)와 한나 제이.쥐. (Hanna J.G.)의 [“Quantitative orgas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iton, John Wiley and Sons, 169-172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12]
[하이알루론산 (HY)의 벤질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7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l에 용해시키고, 벤질 브로마이드 4.5g (25밀리당량)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0.2g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500ml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벤질 에스테르 생성물 9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시기아 에스. (Siggia S.)와 한나 제이.쥐, (Hanna J. G.)의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iton, John Wiley and Sons, 169-172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13]
[하이알루론산 (HY)의 β-페닐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25,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l에 용해시키고, 2-브로모에틸벤젠 4.6g(25 밀리당량)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185mg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500ml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β-페닐에틸 에스테르 9.1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시기아 에스. (Siggia S.)와 한나 제이.쥐, (Hanna J, G.)의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iton, John Wiley and Sons, 169-172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14]
[하이알루론산 (HY)의 벤질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62,000의 분자량을 갖는 HY의 칼륨염 3g을 디메틸설폭사이드 200ml에 현탁시키고,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120mg 및 벤질 브로마이드 2.4g을 첨가한다.
그 현탁액을 교반하에 30℃에서 48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1,0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150m1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벤질 에스테르 생성물 3.1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시기아 에스. (Siggia S. )와 한나 제이.쥐. (Hanna J. G.)의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iton, John Wiley and Sons, 169-172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15]
[하이알루론산 (HY)의 (부분적 프로필) 에스테르의 제조-에스테르화된 카복실 그룹 85%-염화된 카복실 그룹(Na) 15%]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65,1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ml에 용해시키고, 프로필 요오다이드 2.9g (17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물 62ml와 염화나트륨 9g을 함유하는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아세톤 3,5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아세톤/물(5:1) 500ml로 3회 세척하고, 아세톤으로 3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다음에 그 생성물을 염화나트륨 1%를 함유하는 물 550m1에 용해시키고, 그 용액을 일정한 교반하에 아세톤 3.0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아세톤/물 (5:1) 500ml로 2회 세척하고, 아세톤 500ml로 3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부분적 프로필 에스테르 화합물 8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알.에이치. 쿤디프(R.H. Cundiff)와 피.씨. 마르쿠나스(P.C. Markunas)의 방법[참조 : Anal. Chem. 33, 1028-1030 (1961)]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16]
[하이알루론산 (HY)의 n-옥틸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용하는 17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lg에 용해시키고, 1-브로모옥탄 4.1g (21.2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1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500ml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등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옥틸 에스테르 9.3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시기아 에스. (Siggia S.)와 한나 제이.쥐. (Hanna J. G.)의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4th Editon, John Wiley and Sons, 169-172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17]
[하이알루론산 (HY)의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7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1에 용해시키고, 이소프로필 브로마이드 2.6g (21.2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m1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화합물 8.3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알.에이치. 쿤디프(R.H. Cundiff)와 피.씨. 마르쿠나스(P.C. Markunas)의 방법[참조 : Anal. Chem. 33, 1028-1030 (1961)]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18]
[하이알루론산 (HY)의 2,6-디클로로벤질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7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태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l에 용해시키고, 이소프로필 브로마이드 5.08g (21.2 밑리당량)을 첨가하고 그 용엑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ml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2,6-디클로로벤질 에스테르 9.7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시기아 에스. (Siggia S.)와 한나 제이.쥐.(Hanna J. G.)의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iton, John Wiley and Sons, 169-172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19]
[하이알루론산 (HY)의 4-t-부틸벤질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7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l에 용해시키고, 4-t-부틸벤질 브로마이드 4.81g (21.2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ml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4-t-부틸벤질 에스테르 9,8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시기아 에스. (Siggia S.)와 한나 제이.쥐. (Manna J. G.)의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iton, John Wiley and Sons, 169-172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20]
[하이알루론산 (HY)의 헵타데실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 당량에 상응하는 17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1에 용해시키고, 헵타데실 브로마이드 6.8g (21.2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ml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헵타데실 에스테르 11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시기아 에스. (Siggia S.)와 한나 제이.쥐. (Hanna J. G.)의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iton, John Wiley and Sons, 169-172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21]
[하이알루론산 (HY)의 옥타데실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7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1에 용해시키고, 옥타데실 브로마이드 7.1g (21.2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m1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옥타데실 에스테르 생성물 11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시기아 에스. (Siggia S.)와 한나 제이.쥐. (Hanna J. G.)의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iton, John Wiley and Sons, 169-172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22]
[하이알루론산 (HY)의 3-페닐프로필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7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l에 용해시키고, 3-페닐프로필 브로마이드 4.22g (21.2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m1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등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3-페닐프로필 에스테르 9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시기아 에스. (Siggia S.)와 한나 제이.쥐. (Hanna J. G.)의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iton, John Wiley and Sons, 169-172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23]
[하이알루론산 (HY)의 3,4,5-트리메톡시-벤질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7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l에 용해시키고, 3,4,5-트리메톡시-벤질 브로마이드 4.6g (21.2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 혼합몰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ml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3,4,5-트리메톡시-벤질 에스테르 생성물 10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시기아 에스. (Siggia S.)와 한나 제이.쥐. (Hanna J. G.)의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ition, John Wiley and Sons, 169-172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24]
[하이알루론산 (HY)의 신나밀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7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l에 용해시키고, 신나밀 브로마이드 4.2g (21.2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그 용역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만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m1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신나밀 에스테르 생성물 9.3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시기아 에스. (Siggia S.)와 한나 제이.쥐. (Hanna J. G.)의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iton, John Wiley and Sons. 169-172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25]
[하이알루론산 (HY)의 데실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7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1에 용해시키고, 1-브로모 데칸 4,7g (21.2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1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ml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데실 에스테르 생성물 9.5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시기아 에스. (Siggia S.)와 한나 제이.쥐. (Hanna J. G.)의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iton, John Wiley and Sons, 169-172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실시예 26]
[하이알루론산 (HY)의 노닐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 20 밀리당량에 상응하는 170,000의 분자량을 갖는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m1에 용해시키고, 1-브로모노난 4,4g (21.2 밀리당량)을 첨가하고 그 용역을 30℃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3,500ml에 서서히 붓는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ml로 4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표제의 노닐 에스테르 생성물 9g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그룹의 정량측정은 시기아 에스. (Siggia S.)와 한나 제이.쥐. (Hanna J. G.)의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iton, John Wiley and Sons, 169-172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알긴산의 에스테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알긴산 에스테르는 EPA 0 251 975 A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알긴산의 4급 암모늄염을 출발물질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디알킬설폭사이드, 디알킬카복스아미드와 같은 비양자성 유기 용매, 예를들면 특히 저급알킬 디알킬설폭사이드, 상기 모든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저급 지방족 산의 저급 알킬 디알킬아미드, 예를들면 디메틸 또는 디에틸 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 또는 디매틸 아세트아미드중에서 에스테르화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항상 비양자성 용매가 아닌 그밖에 다른 용매, 예를들면 알콜, 에스테르, 케톤, 에스테르, 특히 지방족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알콜, 및 저비점을 갖는 케톤, 예를들면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을 및 트리플루오로에탄올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5내지 75℃, 예를들면 약 3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에스테르화는 상기 용매중의 하나, 예를들면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된 상기 암모늄염에 에스테르화계를 점차적으로 첨가함으로써 수행된다. 알킬화제로는 상기에서 언급된 알킬화제 특히 하이드로카빌 할라이드, 예를들면 알킬 할라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에스테르화 방법은 유기용매 존재하에서 알긴산의 4급 암모늄염을 화학 양론적 양의 일반식 A-X의 화할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되며, 일반식에서 A는 지방족, 아르알리파틱, 지환족, 지방족-지환족 및 헤테로사이클릭 래디칼로부터 선택되고, X는 할로겐 원자이며, 상기 A-X의 화학양론적 양은 목적하는 에스테르화의 정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출발물질인 4급 암모늄염으로써는, 저급 암모늄 테트라알킬레이트, 바람직하계는 탄소원자수 1 내지 6의 알킬 그룹이 사용된다. 가장 바람직하계는 테트라부틸암모늄의 알기네이트가 사용된다. 이러한 4급 암모늄염은 알긴산의 금속염,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된 것중의 하나, 특히 나트륨 또는 칼륨염을 수용액 존재하애서 4급 암모늄 염기로 염화된 술폰 레진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명시된 방법의 한 가지 별법은 디메틸설폭사이드와 같은 적합한 용매중에 현탁된 알긴산의 칼륨염 또는 나트륨염을 촉매량의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와 같은 4급 암모늄염의 존재하에서 적합한 알킬화제와 반응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알긴산의 완전 에스테르를 수득할 수 있게 한다.
새로운 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하여, 어떠한 근원의 알긴산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산의 제법은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정제된 알긴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적 에스테르에서, 원하는 염기화의 화학양론적 정도를 얻을 수 있도록 염기의 양을 제공함으로써 모든 잔류 카복시 그룹 또는 이들의 오직 일부를 염기화할 수 있다. 염기화의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광범위한 상이한 해리상수를 갖는 에스테르를 얻음으로써 용액중에서 또는 치료에 적용할 때 그 자리에서 원하는 pH를 제공할 수 있다. ALAFF 11, 알긴산의 벤질 에스테르, 및 ALAFF 7, 알긴산의 에틸 에스테르는 특히 본 발명의 복합막에서 유용하다.
단지 설명할 목적으로 하기에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되는 복합막의 제조 방법 및 이들이 실제 사용되는 방법의 몇 가지 예를 기재하였다.
[실시예 27]
하기 방법에 있어서, 기본 중량 14mg/cm2, 두께 0.25mm, 건조시 최소 파단 인장강도 및 신장율이 각각 400kg/cm2및 7%, 습윤시 최소 파단 인장강도 및 신장율이 각각 50kg/cm2및 55%, 건조시 인열강도 90kg/cm2, 습윤시 인열강도kg/cm2인, 하이알루론산 벤질 에스테르 HYAFF 11, 즉 벤질 알콜로 100%에스테르화된 하이알루론산을 함유하고, 하이알루론산 에틸 에스테르 HYAFF 7, 즉 에틸 알콜로 100% 에스테르화된 하이알루론산을 함유하는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제1도에 나타낸 용기(1)에서 제조된 125mg/m1 농도의 HYAFF 7 디메틸설폭사이드의 용액을 출발물질로 하여 HYAFF 7을 수득하였다. 직경이 65미크론으로 측정되는 100개의 구멍이 있는 습식 압출용 방사판 내로 기어 계량 폄프(2)에 의하여 용액을 유입시켰다. 무수 에탄을을 함유하는 응집배쓰(3) 내로 압출된 복합실을 통과시키고, 다음에 또한 무수 에탄올을 함유하는 세 개의 연속 헹굼 배쓰(4, 5 및 6)내로 이송 롤러상에서 이동시킨다.
셋째 롤러(III)의 속도와 첫째 롤러(I)의 속도의 비를 늘림율이라 부르며, 각각의 롤러들의 속도가 23rpm (롤러 I), 24rpm (롤러 II 및 III), 25rpm (롤러 IV)일 때, 늘림율은 1.05의 값을 갖는다. 일단 복합실이 헹굼 배쓰를 통과하면 45℃의 온도의 온풍(7)에 의하여 건조되고 권취틀(8)상에서 권취된다. 실은 237 데니르이다. 다음에 복합실을 14의 게이지를 갖는 매끄러운 편직물로 직기상에서 직조된다. 직기로부터 직물이 캘린더(11)를 통과하여 유입되면 얇아진다. 제2도는 상기 방법으로부터 생성된 메쉬를 나타내는 것이다.
중합체 매트릭스는 40mg/ml의 농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중에서 HYAFF 11의 용액을 스프레이하는 두 개의 에어브러시(14)에 의하여 적용된다. 따라서, 스프레이된 메쉬가 무수 에탄올을 함유하는 응집 배쓰 (15), 순수한 증류수를 함유하는 헹굼챔버(16), 및 50℃ 온도의 특수 건조 챔버 (17)로 통과한다. 제3도는 최종 생성물을 나타낸다.
[실시예 28]
하기 방법에 따라서, 기본 중량 10mg/cm2, 두께 0.15mm, 건조시 최소 파단 인장강도 및 신장율이 각각 300kg/cm2및 4%, 습윤시 최소 파단 인장강도 및 신장율이 각각 40kg/cm2및 45%, 건조시 인열강도 120kg/cm2, 습윤시 인열강도 60kg/cm2인, 하이알루론산의 부분적 벤질 에스테르(75%), HYAFF 11p75의 매트릭스와 하이알루론산의 완전 벤질 에스테르 HYAFF 11을 함유하는 강화 메쉬를 포함하는 강화된 막을 제조하였다.
HYAFF 11p75는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분자량 620.75 (16.1 nmole)의 하이알루론산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0g을 N-메틸피롤리돈/물 (90/10), 2.5 중량%의 혼합물에 용해시켜 용액 400m1를 얻는다. 그 용액을 10℃로 냉각시킨 다음, 30분 동안 정제된 N2가스를 통과시킨다. 다음에 벤질 브로마이드 1.49ml (12.54mmole)로 에스테르화시킨다. 그 용액을 15 내지 20℃에서 60시간 동안 온화하게 흔든다.
수득한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중에 침전시키고, 여기에 염화나트륨 포화용액을 가한 후, 계속해서 에틸 아세테이트/무수 에탄올(80/20)의 혼합물로 세척함으로써 정제를 수행한다. 고체상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무수 아세톤으로 처리한다. 생성물 6.8g(수율 약 95%)을 수득한다.
제1도에 나타낸 용기(1)에서 제조된 145mg/ml 농도의 디메틸설폭사이드중의 HYAFF 11 용액을 출발물질로 하여 HYAFF 11 메쉬를 제조하였다. 직경이 50 미크론으로 측정되는 70개의 구멍이 있는 습윤 압출용 방사판으로 기어 계량 펌프(2)에 의하여 용액을 유입시켰다. 90% 무수 에탄올 및 10% 순수한 증류수를 함유하는 응집배쓰(3)으로 압출된 복합실로 통과시키고, 다음에 또한 90% 무수 에탄올 및 10% 순수한 증류수를 함유하는 세 개의 연속 헹굼 배쓰(4, 5 및 6)내로 이송 롤러상에서 이동시킨다.
셋째 롤러(III)의 속도와 첫째 롤러(I)의 속도의 비를 늘림율이라 부르며, 각각의 롤러들의 속도가 20rpm (롤러 I), 21rpm (롤러 II 및 III), 22rpm (롤러 IV)일때, 늘림율은 1.03의 값을 갖는다. 일단 복합실이 헹굼 배쓰를 통과하면 47℃의 온도의 온풍(7)에 의하여 건조되고 권취틀(8)상에서 권취된다. 실은 150 데니르이다. 다음에 복합실을 12의 게이지를 갖는 매끄러운 편직물 (9,10)로 직기상에서 직조된다. 직기로부터 직물이 캘린더(11)를 통과하여 유입되면 얇아진다.
중합체 매트릭스는 30mg/ml의 농도의 디메틸설폭사이드중의 HYAFF 11p75의 용액으로 스프레이하는 두 개의 에어브러시(14)에 의하여 도포된다. 따라서, 스프레이된 메쉬가 무수 에탄올을 함유하는 응집 배쓰 (15), 순수한 증류수를 함유하는 헹굼챔버(16), 및 45℃ 온도의 특수 건조 챔버(17)내로 통과한다.
[실시예 29]
하기 방법에 따라서, 기본 중량 16mg/cm2, 두께 0.25mm, 건조시 최소 파단 인장강도 및 신장율이 각각 350kg/cm2및 5%, 습윤시 최소 파단 인장강도 및 신장율이 각각 100kg/cm2및 35%, 건조시 인열강도 110kg/cm2, 습윤시 인열강제도 70kg/cm2인, 하이알루론산의 완전 벤질 에스테르, HYAFF 11과 알긴산 벤질 에스테르 ALAFF 11의 동등량의 섬유 혼합물을 함유하는 메쉬 강화물을 갖는 하이알루론산의 부분적 벤질 에스테르(75%), HYAFF 11p75의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알긴산 벤질 에스테르 ALAFF 11은 미합중국 특허 제 5,147,861호 및 EPA 0 251 905 A2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알긴산의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0g(23.5 밀리당량)을 25℃ 에서 DMSO 400ml에 용해시킨다. 벤질 브로마이드 4.45g(26 밀리당량)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0.1g을 첨가한다.
그 용액을 30℃에서 12 시간 동안 잘 알긴화시킨 다음, 규칙적인 방울로 교반하에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톨루엔) 3.5리터에 천천히 붓는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다음에 에틸아세테이트로 4회 세척하고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 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화합물 5g을 얻는다.
동등한 백분율의 HYAFF 11 및 ALAFF 11의 복합실로부터 형성된 메쉬는 60 데니르의 HYAFF 11 및 75 데니르의 ALAFF 11의 별개의 두 개의 복합 필라멘트를 출발물질로 하여 수득하였다. HYAFF 11의 복합 필라멘트는 실시예 2와 같이 수득하였으며, ALAFF 11는 다음과 같이 수득하였다.
제1도에 나타낸 용기(1)에서 제조된 100mg/ml 농도의 디메틸설폭사이드중의 ALAFF 11 용액을 출발물질로 하여 ALAFF 11 메쉬를 제조하였다. 직경이 57미크론으로 측정되는 35개의 구멍이 있는 습윤 압출용 방사판으로 기어 계량 펌프(2)에 의하여 용역을 유입시켰다. 45%무수 에탄올, 45%에틸 아세테이트 및 10%순수한 증류수를 함유하는 응집배쓰(3)내로 압출된 복합실을 통과시킨다. 다음에 아세톤을 함유하는 세개의 연속 헹굼 배쓰(4, 5 및 6) 내로 이송 롤러상에서 이동시킨다. 셋째 롤러(III)의 속도와 첫째 롤러 (I)의 속도의 비를 늘림율이라 부르며, 각각의 롤러들의 속도가 20rpm (롤러 I), 21rpm (롤러 II 및 III), 22rpm (롤러 IV)일때, 늘림율은 1.1의 값을 갖는다. 일단 복합실이 헹굼 배쓰를 통과하면 55℃의 온도의 온풍(7)에 의하여 건조되고 권취틀(8) 상에서 권취된다. 60 데니르의 HYAFF 11 실 및 75 데니르의 ALAFF 11실을 꼬임 머신 상에서 조합하고, HYAFF 11와 ALAFF 11의 복합 필라멘트를 생성한다. 다음에 이것을 90회/m 꼬고 12의 게이지를 갖는 매끄러운 편직물 (9,10)로 직기상에서 직조된다. 직기로부터 직물이 캘린더(11)를 통과하여 유입되면 얇아진다.
중합체 매트릭스는 30mg/ml 농도의 디메틸설폭사이드 중의 HYAFF 11p75의 용액으로 스프레이하는 두 개의 에어브러시(14)에 의하여 도포된다. 따라서, 분사된 메쉬가 무수 에탄올을 함유하는 응집 배쓰(15), 순수한 증류수틀 함유하는 헹굼챔버(16), 및 45℃ 온도의 특수 건조 챔버(17) 내로 통과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복합막의 기계적 및 생물학적 이점은 표준 유도 조직 재생(GRT) 프로토콜에 따르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물질을 사용하여 수행된 임상적 및 치주의 외과용 실험의 시리즈에 의하여 설명된다.
그러한 프로토콜은 각종 치주 병리학에 의하여 손상되거나 파괴된 조직을 대체하기 위하여 새로운 조직의 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적용 부위에 포화시킴으로써 적합한 외과적 기법을 수반하는 물질을 필요로 한다.
그러한 손상은 일반적으로 점성 치은 조직에서 형성된 동공 내에 치주조직과 내방굴절의 원래 구조의 손상을 갖는다. 이들은 관련된 치과 요소의 기능, 구조 및 안정성을 쇠약하게 하는 작용과 함께 불완전한 치료를 유도한다.
두 유형의 결함이 연구되었다. 첫째는 다양한 유형(하나 이상의 장애, 특히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노출된 분기점, 순화적 또는 반순환적 결함)의 치근 주위의 손상이 포함된다. 둘째 유형은 너무 미세하여 정상적인 치아 교체 또는 이식편의 삽입을 지지할 수 없는 골능(bone ridge)이 포함된다.
기준치는 현지에서 및 그의 적용시에 강화된 막의 원형(최대 원형은 +++로 정의한다), 막 위의 조직의 염증 (최대 염증은 +++로 정의한다), 수술한지 30일 후 결함의 감소 (최대 감소는 +++로 정의한다), 및 삽입된 물질의 재흡수 (최대 재흡수는 +++로 정의한다)를 함유한다. 실시예 27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복합막을 사용하여 임상 실험에서 사람의 외과적 수술에 대한 데이타의 예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표 2에 나타낸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복합막이 고도의 기계적 저항성과 함께 생체적합성, 생흡수성 및 생분해성을 성공적으로 수반함을 나타낸다. 특성들의 이러한 조합은 치과 수술에서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된 다른 화합물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종래의 제품보다 본 발명의 복합막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상술된 본 발명은 명백히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내용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며, 이러한 모든 변형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들에게 명백한 것으로 하기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31)

  1. 하이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 알긴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겔화된 폴리사카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적어도 하나 함유하는 중합체 매트릭스에 봉입된 하이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알긴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적어도 하나 함유하는 메쉬(mesh)를 포함하는 복합막.
  2. 제1항에 있어서, 하이알루론산의 유도체가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3. 제1항에 있어서, 알긴산의 유도체가 알긴산 에스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4. 제1항에 있어서, 겔화된 폴리사카라이드가 키틴, 알기네이트, 키토산, 겔란, 상기한 것 중의 어느 하나의 합성 유도체, 및 상기한 것 중의 어느 하나의 반합성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5. 제2항에 있어서,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가 단독으로 존재하거나, 다른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와의 배합물로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6. 제3항에 있어서, 알긴산 메스테르가 단독으로 존재하거나, 다른 알긴산 에스테르와의 배합물로서 존재함을 륵징으로 하는 복합막.
  7. 제1항에 있어서, 단일의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 또는 상이한 하이알루론산 에 스테르들의 흔합물을 함유함을 륵징으로 하는 복합막.
  8. 제1항에 있어서, 단일의 알긴산 에스테르 또는 상이한 알긴산 에스테르들의 혼합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9. 제1항에 있어서,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와 알긴산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10. 제1항에 있어서,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들과 알긴산 에스테르들의 혼합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11. 제1항에 있어서,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 알긴산 에스테르, 및 키틴, 알기네이트, 키토산, 겔란, 이들의 합성 유도체 및 반합성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겔화된 폴리사카라이드의 흔합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12. 제1항에 있어서, 메쉬 및 매트릭스가 모두 하이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13. 제12항에 있어서, 유도체가 하이알루론산 에스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14. 제13항에 있어서, 메쉬가 하이알루론산의 에틸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매트릭스가 하이알루론산의 벤질 에스테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15. 제13항에 있어서, 메쉬가 하이알루론산의 벤질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매트릭스가 하이알루론산의 부분적 벤질 에스테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16. 제15항에 있어서, 하이알루론산의 부분적 벤질 에스테르가 하이알루론산의 75% 벤질 에스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17. 제13항에 있어서, 메쉬가 하이알루론산의 에틸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매트릭스가 하이알루론산의 부분적 벤질 에스테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18. 제17항에 있어서, 하일알루론산의 부분적 벤질 에스테르가 하일알루론산의 75% 벤질 에스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19. 제1항에 있어서, 메쉬가 하이알루론산 벤질 에스테르와 알긴산 벤질 에스테르의 섬유 혼합물을 함유하고, 매트릭스가 하이알루론산의 부분적 벤질 에스테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20. 제19항에 있어서, 섬유들이 동등량으로 존재하고, 하이알루론산의 부분적 벤질 에스테르가 하이알루론산의 75% 벤질 에스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21. 제1항에 있어서, 기본 중량 8 내지 50g/cm2, 게이지 0.08 내지 0.5mm, 건조시 최소 파단 인장강도 100 내지 500kg/cm2, 건조시 신장율 3 내지 12%, 습윤시 최소 파단 인장강도 30 내지 450kg/cm2, 습윤시 신장율 20 내지 60%, 건조시 인열강도 40 내지 200kg/cm2, 및 습윤시 인열강도 20 내지 160kg/cm2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22. 제1항에 있어서, 기본 중량 14mg/cm2, 게이지 0.25mm, 건조시 최소 파단 인장강도 400kg/cm2, 건조시 신장율 7%, 습윤시 최소 파단 인장강도 50kg/cm2, 습윤시 신장율 55%, 건조시 인열강도 90kg/cm2, 및 습윤시 인열강도 50 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23. 제1항에 있어서, 기본 중량 10mg/cm2, 게이지 0.15mm, 건조시 최소 파단 인강강도 300kg/cm2, 건조시 신장율 4%, 습윤시 최소 파단 인장강도 40kg/cm2, 습윤시 신장율 45%, 건조시 인열강도 120kg/cm2, 및 습윤시 인열강도 60 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24. 제1항에 있어서, 강화 메쉬가 직경 18 내지 30 미크론인 30 내지 120 가닥의 복합실을 함유하고, 실은 150 내지 400 데니르이고, 복합 필라멘트가 90 내지 200회/m로 꼬여지고, 10 내지 16의 게이지를 갖는 편직물로 직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25. 제1항에 있어서, 강화 메쉬가 적어도 100 가닥의 복합실을 함유하고, 실은 237 데니르이고, 복합 필라멘트가 135회/m로 꼬여지고, 14의 게이지를 갖는 편직물로 직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26. 제1항에 있어서, 강화 메쉬가 70 가닥의 복합실을 함유하고, 실이 150 데니르이고, 복합 필라멘트가 90회/m로 꼬여지고, 12의 게이지를 갖는 편직물로 직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27.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에스테르의 알콜이 약리학적으로 불활성인 알콜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28. 제27항에 있어서, 알콜이 지방족, 아르알리파틱, 지환족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알콜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29.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에스테르의 알콜이 약리학적으로 활성인 알콜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30. 하이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 알긴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겔화된 폴리사카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적어도 하나 함유하는 중합체 매트릭스에 봉입된 하이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알긴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 이루어진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적어도 하나 함유하는 메쉬를 포함하는 복합막을 사용하여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외상 또는 내부상처를 보호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의 유도 재생방법.
  31. 하이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알긴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적어도 하나 함유하는 강화 메쉬를 제조하고, 이 강화 메쉬에 하이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 알긴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겔화된 폴리사카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적어도 하나 함유하는 매트릭스를 적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의 제조 방법.
KR1019940702108A 1991-12-18 1992-12-18 조직의 유도 재생용 복합막 Expired - Fee Related KR100252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PD910228A IT1254170B (it) 1991-12-18 1991-12-18 Membrane composite per la rigenerazione guidata di tessuti
ITPD91A000228 1991-12-18
PCT/EP1992/002959 WO1993011805A1 (en) 1991-12-18 1992-12-18 Composite membranes for the guided regeneration of tissu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2192B1 true KR100252192B1 (ko) 2000-06-01

Family

ID=1138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108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2192B1 (ko) 1991-12-18 1992-12-18 조직의 유도 재생용 복합막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5622707A (ko)
EP (1) EP0625056B1 (ko)
JP (1) JP3277212B2 (ko)
KR (1) KR100252192B1 (ko)
AT (1) ATE185699T1 (ko)
AU (1) AU669148B2 (ko)
BG (1) BG61596B1 (ko)
CA (1) CA2126087C (ko)
DE (1) DE69230182T2 (ko)
DK (1) DK0625056T3 (ko)
ES (1) ES2141145T3 (ko)
FI (1) FI109577B (ko)
GR (1) GR3032451T3 (ko)
HU (1) HU217989B (ko)
IT (1) IT1254170B (ko)
NO (1) NO308724B1 (ko)
NZ (1) NZ246576A (ko)
RO (1) RO111200B1 (ko)
RU (1) RU2128057C1 (ko)
WO (1) WO1993011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9778B1 (fr) * 1991-08-02 1995-07-07 Coletica Utilisation de collagene reticule par un agent de reticulation pour la fabrication d'une membrane suturable, biocompatible, a resorption lente, ainsi qu'une telle membrane.
US5879359A (en) * 1992-08-03 1999-03-09 Fidia S.P.A. Biodegradable guide channels comprised of esters of hyaluronic acid for use in tissue repair as surgical aids
IT1259141B (it) * 1992-08-03 1996-03-11 Fidia Spa Canali di guida biodegradabili e bioriassorbibili da impiegare per la riparazione tissutale come adiuvante in interventi chirurgici
US5616568A (en) * 1993-11-30 1997-04-01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Functionalized derivatives of hyaluronic acid
PT850074E (pt) * 1995-08-29 2005-09-30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Biomateriais para prevencao de aderencias pos-cirurgicas, constituidos por derivados de acido hialuronico
JP4177900B2 (ja) * 1997-04-04 2008-11-05 株式会社クラレ 歯周病治療用材料
FR2766716B1 (fr) 1997-08-01 2000-02-18 Cogent Sarl Prothese composite pour la prevention des adherences post-chirurgicales et son procede d'obtention
JP4234803B2 (ja) * 1997-10-27 2009-03-04 久光製薬株式会社 薬物放出速度が制御された医薬組成物
US6872819B1 (en) * 1998-05-27 2005-03-29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Biomaterials containin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s free from cellular components or products thereof for the in vivo regeneration of tissue cells
IT1303735B1 (it) * 1998-11-11 2001-02-23 Falorni Italia Farmaceutici S Acidi ialuronici reticolati e loro usi medici.
US6179840B1 (en) 1999-07-23 2001-01-30 Ethicon, Inc. Graft fixation device and method
RU2162343C2 (ru) * 1999-09-01 2001-01-27 Козлова Татьяна Валентиновна Биосовместимый полимер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DE10050870A1 (de) * 2000-10-11 2002-08-01 Knoell Hans Forschung Ev Biokompatibles Verbundmaterial für medizinische Anwendungen
CA2365376C (en) 2000-12-21 2006-03-28 Ethicon, Inc. Use of reinforced foam implants with enhanced integrity for soft tissue repair and regeneration
US7763769B2 (en) * 2001-02-16 2010-07-27 Kci Licensing, Inc. Biocompatible wound dressing
US7700819B2 (en) 2001-02-16 2010-04-20 Kci Licensing, Inc. Biocompatible wound dressing
US20040078090A1 (en) 2002-10-18 2004-04-22 Francois Binette Biocompatible scaffolds with tissue fragments
US7824701B2 (en) 2002-10-18 2010-11-02 Ethicon, Inc. Biocompatible scaffold for ligament or tendon repair
FR2848118B1 (fr) * 2002-12-06 2006-08-11 Textile Hi Tec Prothese composite
US8197837B2 (en) 2003-03-07 2012-06-12 Depuy Mitek, Inc. Method of preparation of bioabsorbable porous reinforced tissue implants and implants thereof
WO2004087234A1 (en) * 2003-04-04 2004-10-14 Bayco Tech Limited Vascular stent
US8226715B2 (en) 2003-06-30 2012-07-24 Depuy Mitek, Inc. Scaffold for connective tissue repair
US10583220B2 (en) 2003-08-11 2020-03-10 DePuy Synthes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urfacing an articular surface
US7316822B2 (en) 2003-11-26 2008-01-08 Ethicon, Inc. Conformable tissue repair implant capable of injection delivery
US7901461B2 (en) 2003-12-05 2011-03-08 Ethicon, Inc. Viable tissue repair implants and methods of use
US11395865B2 (en) 2004-02-09 2022-07-26 DePuy Synthes Products, Inc. Scaffolds with viable tissue
US8137686B2 (en) 2004-04-20 2012-03-20 Depuy Mitek, Inc. Nonwoven tissue scaffold
US8221780B2 (en) 2004-04-20 2012-07-17 Depuy Mitek, Inc. Nonwoven tissue scaffold
DE112004002828B4 (de) * 2004-04-30 2015-10-08 Optimags Dr. Zimmermann Gmbh Vorrichtung zum Beschichten einer Trägerfolie mit einem pharmazeutischen Wirkstoff
RU2272634C1 (ru) * 2004-07-07 2006-03-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полло инвестментс" Способ омоложения кожи
GB0513552D0 (en) * 2005-07-01 2005-08-10 Bristol Myers Squibb Co Bandage
RU2319256C1 (ru) * 2006-04-26 2008-03-10 Некоммерческая организация Учреждение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химической физики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татус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чреждения) ИПХФ РАН Топливный элемент
US9308068B2 (en) 2007-12-03 2016-04-12 Sofradim Production Implant for parastomal hernia
US8668863B2 (en) 2008-02-26 2014-03-11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Dendritic macroporous hydrogels prepared by crystal templating
GB0808376D0 (en) 2008-05-08 2008-06-18 Bristol Myers Squibb Co Wound dressing
US9242026B2 (en) 2008-06-27 2016-01-26 Sofradim Production Biosynthetic implant for soft tissue repair
IT1391734B1 (it) * 2008-07-29 2012-01-27 Anika Therapeutics Srl Nuovi biomateriali, loro preparazione per elettrospinning e loro uso in campo biomedico e chirurgico.
CA2735173C (en) 2008-09-02 2017-01-10 Tautona Group Lp Threads of hyaluronic acid and/or derivatives thereof, methods of making thereof and uses thereof
FR2949688B1 (fr) 2009-09-04 2012-08-24 Sofradim Production Tissu avec picots revetu d'une couche microporeuse bioresorbable
US9211175B2 (en) 2010-07-08 2015-12-15 Covidien Lp Self-detachable medical devices
FR2962646B1 (fr) 2010-07-16 2012-06-22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avec element radio-opaque
US9572907B2 (en) 2010-10-01 2017-02-21 Covidien Lp Implantable polymeric films
WO2012048283A1 (en) 2010-10-08 2012-04-1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One-step processing of hydrogels for mechanically robust and chemically desired features
US9095558B2 (en) 2010-10-08 2015-08-0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Anti-adhesive barrier membrane using alginate and hyaluronic acid for biomedical applications
US8920867B2 (en) 2010-10-19 2014-12-30 Covidien Lp Methods of forming self-supporting films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US9861590B2 (en) 2010-10-19 2018-01-09 Covidien Lp Self-supporting films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US8632839B2 (en) 2010-10-19 2014-01-21 Covidien Lp Methods of forming self-supporting films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US9144634B2 (en) 2011-01-14 2015-09-29 Covidien Lp Medical device with intrapore films
FR2972626B1 (fr) 2011-03-16 2014-04-11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comprenant un tricot tridimensionnel et ajoure
FR2977790B1 (fr) 2011-07-13 2013-07-19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pour hernie ombilicale
FR2977789B1 (fr) 2011-07-13 2013-07-19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pour hernie ombilicale
US8579924B2 (en) 2011-07-26 2013-11-12 Covidien Lp Implantable devices including a mesh and a pivotable film
US9782957B2 (en) 2011-08-24 2017-10-10 Covidien Lp Medical device films
CN103781499B (zh) 2011-09-30 2016-09-28 索弗拉狄姆产品公司 轻质网的可逆硬化
US8932621B2 (en) 2011-10-25 2015-01-13 Covidien Lp Implantable film/mesh composite
US9179994B2 (en) 2011-10-25 2015-11-10 Covidien Lp Implantable film/mesh composite
US9005308B2 (en) 2011-10-25 2015-04-14 Covidien Lp Implantable film/mesh composite for passage of tissue therebetween
FR2985271B1 (fr) 2011-12-29 2014-01-24 Sofradim Production Tricot a picots
FR2985170B1 (fr) 2011-12-29 2014-01-24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pour hernie inguinale
RU2488089C1 (ru) * 2012-03-14 2013-07-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ая Фирма "Бакс" Пробоотборник для отбора сероводорода из расплава серы
US10206769B2 (en) 2012-03-30 2019-02-19 Covidien Lp Implantable devices including a film providing folding characteristics
FR2992662B1 (fr) 2012-06-28 2014-08-08 Sofradim Production Tricot avec picots
FR2992547B1 (fr) 2012-06-29 2015-04-24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pour hernie
FR2994185B1 (fr) 2012-08-02 2015-07-31 Sofradim Production Procede de preparation d’une couche poreuse a base de chitosane
FR2995778B1 (fr) 2012-09-25 2015-06-26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de renfort de la paroi abdominale et procede de fabrication
FR2995788B1 (fr) 2012-09-25 2014-09-26 Sofradim Production Patch hemostatique et procede de preparation
FR2995779B1 (fr) 2012-09-25 2015-09-25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comprenant un treillis et un moyen de consolidation
WO2014049446A2 (en) 2012-09-28 2014-04-03 Sofradim Production Packaging for a hernia repair device
CZ2012841A3 (cs) * 2012-11-27 2014-02-19 Contipro Biotech S.R.O. Vlákna založená na hydrofobizovaném hyaluronanu, způsob jejich přípravy a použití, textilie na jejich bázi a použití
US11565027B2 (en) 2012-12-11 2023-01-31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Hydrogel membrane for adhesion prevention
FR3006578B1 (fr) 2013-06-07 2015-05-29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a base d’un textile pour voie laparoscopique
FR3006581B1 (fr) 2013-06-07 2016-07-22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a base d’un textile pour voie laparoscopique
US12232964B2 (en) 2020-12-02 2025-02-25 Anika Therapeutics, Inc. Bioabsorbable textiles and methods for joint function restoration
EP3000489B1 (en) 2014-09-24 2017-04-05 Sofradim Production Method for preparing an anti-adhesion barrier film
EP3000432B1 (en) 2014-09-29 2022-05-04 Sofradim Production Textile-based prosthesis for treatment of inguinal hernia
EP3000433B1 (en) 2014-09-29 2022-09-21 Sofradim Production Device for introducing a prosthesis for hernia treatment into an incision and flexible textile based prosthesis
EP3029189B1 (en) 2014-12-05 2021-08-11 Sofradim Production Prosthetic porous knit, method of making same and hernia prosthesis
EP3059255B1 (en) 2015-02-17 2020-05-13 Sofradim Production Method for preparing a chitosan-based matrix comprising a fiber reinforcement member
EP3085337B1 (en) 2015-04-24 2022-09-14 Sofradim Production Prosthesis for supporting a breast structure
ES2676072T3 (es) 2015-06-19 2018-07-16 Sofradim Production Prótesis sintética que comprende un tejido de punto y una película no porosa y método para formarla
EP3195830B1 (en) 2016-01-25 2020-11-18 Sofradim Production Prosthesis for hernia repair
EP3312325B1 (en) 2016-10-21 2021-09-22 Sofradim Production Method for forming a mesh having a barbed suture attached thereto and the mesh thus obtained
WO2018165327A1 (en) 2017-03-08 2018-09-13 Alafair Biosciences, Inc. Hydrogel medium for the storage and preservation of tissue
EP3398554B1 (en) 2017-05-02 2025-06-25 Sofradim Production Prosthesis for inguinal hernia repair
EP3653171B1 (en) 2018-11-16 2024-08-21 Sofradim Production Implants suitable for soft tissue repair
US12064330B2 (en) 2020-04-28 2024-08-20 Covidien Lp Implantable prothesis for minimally invasive hernia repair
EP4171671A4 (en) * 2020-06-24 2024-07-24 Anika Therapeutics, Inc. COMPOSITE MEDICAL TEXTILE WITH NON-ABSORBABLE FIBERS AND BIOABSORBABLE FIBERS BASED ON HYALURONANE
EP4559410A1 (en) 2023-11-22 2025-05-28 Anika Therapeutics, Inc. Surgical tools and systems
WO2025109556A1 (en) 2023-11-22 2025-05-30 Anika Therapeutics, Inc. Rotator cuff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1745A1 (en) * 1988-05-13 1989-11-15 FIDIA S.p.A. Crosslinked carboxy polysaccharides
US4965353A (en) * 1985-07-08 1990-10-23 Fidia S.P.A. Polysaccharide esters and their salt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0954A (en) * 1975-07-15 1981-07-2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rosslinked collagen-mucopolysaccharide composite materials
GB2103993B (en) * 1981-08-18 1985-03-27 David Philip Tong Production of alginate fibre
IE57931B1 (en) * 1983-10-11 1993-05-19 Fidia Spa Hyaluronic acid fractions having pharmaceutical activity,methods for preparation thereof,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IT1214658B (it) * 1985-07-08 1990-01-18 Fidia Farmaceutici Esteri polisaccaridici e loro sali
IT1203814B (it) * 1986-06-30 1989-02-23 Fidia Farmaceutici Esteri dell'acido alginico
US5147861A (en) * 1986-06-30 1992-09-15 Fidia S.P.A. Esters of alginic acid
IT1198449B (it) * 1986-10-13 1988-12-21 F I D I Farmaceutici Italiani Esteri di alcoli polivalenti di acido ialuronico
FR2616318A1 (fr) * 1987-06-15 1988-12-16 Centre Nat Rech Scient Peau artificiell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JPH0622560B2 (ja) * 1989-04-11 1994-03-30 株式会社紀文食品 ヒアルロン酸塩シートの製造方法
EP0528971B1 (en) * 1990-05-14 1999-09-01 JERNBERG, Gary R. Surgical implant and method incorporating chemotherapeutic agents
IT1247157B (it) * 1991-02-11 1994-12-12 Fidia Spa Canali di guida biodegradabili e bioassorbibili da impiegare per la rigenerazione nervos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353A (en) * 1985-07-08 1990-10-23 Fidia S.P.A. Polysaccharide esters and their salts
EP0341745A1 (en) * 1988-05-13 1989-11-15 FIDIA S.p.A. Crosslinked carboxy polysacchar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R3032451T3 (en) 2000-05-31
CA2126087C (en) 2001-02-13
ES2141145T3 (es) 2000-03-16
NO942329L (ko) 1994-08-17
AU669148B2 (en) 1996-05-30
ITPD910228A0 (it) 1991-12-18
NO308724B1 (no) 2000-10-23
IT1254170B (it) 1995-09-11
DE69230182D1 (de) 1999-11-25
DK0625056T3 (da) 2000-03-27
NZ246576A (en) 1997-07-27
EP0625056A1 (en) 1994-11-23
DE69230182T2 (de) 2000-08-31
WO1993011805A1 (en) 1993-06-24
HU217989B (hu) 2000-05-28
JPH07502431A (ja) 1995-03-16
ITPD910228A1 (it) 1993-06-18
AU3346793A (en) 1993-07-19
FI109577B (fi) 2002-09-13
BG61596B1 (bg) 1998-01-30
EP0625056B1 (en) 1999-10-20
BG98862A (bg) 1995-05-31
HU9401838D0 (en) 1994-09-28
RU2128057C1 (ru) 1999-03-27
FI942895A0 (fi) 1994-06-16
HUT68706A (en) 1995-07-28
US5622707A (en) 1997-04-22
CA2126087A1 (en) 1993-06-24
JP3277212B2 (ja) 2002-04-22
RO111200B1 (ro) 1996-07-30
NO942329D0 (no) 1994-06-17
ATE185699T1 (de) 1999-11-15
FI942895L (fi) 199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2192B1 (ko) 조직의 유도 재생용 복합막
RU2133127C1 (ru)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US5824335A (en) Non-woven fabric material comprising auto-crosslinked hyaluronic acid derivatives
RU2177332C2 (ru) Биоматериал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ослеоперационных спаек, включающий производные гиалуроновой кислоты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ослеоперационных спаек ткани
EP0614914B1 (en) Crosslinked carboxy polysaccharides
KR100261002B1 (ko) 외과용보조물로서조직수복에사용하기위한생분해가능한가이드채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6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