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046B1 - Device for retrace in trellis decoder - Google Patents
Device for retrace in trellis deco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49046B1 KR100249046B1 KR1019980011314A KR19980011314A KR100249046B1 KR 100249046 B1 KR100249046 B1 KR 100249046B1 KR 1019980011314 A KR1019980011314 A KR 1019980011314A KR 19980011314 A KR19980011314 A KR 19980011314A KR 100249046 B1 KR100249046 B1 KR 1002490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cktracking
- decoded
- data
- survivor path
- b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7476 Maximum Likeliho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62 f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9—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 H03M13/41—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using the Viterbi algorithm or Viterbi processors
- H03M13/4161—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using the Viterbi algorithm or Viterbi processors implementing path management
- H03M13/4169—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using the Viterbi algorithm or Viterbi processors implementing path management using tracebac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22—Intended application, e.g.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standard
- H03M13/6538—ATSC VB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DTV(High Definition TV) 방식 등의 디지털 전송 규격을 수신하는 시스템에서 비터비(Viterbi) 복호 알고리즘을 이용한 그랜드 얼라이언스(Grand Alliance:) 8VSB(Vesigital Side band)용 격자복호기(Trellis Decoder)의 역추적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제어부에서 매 4심볼 데이터 입력마다 1회만 생존자 경로 저장값을 읽을수 있는 제1활성화신호 및 어드레스를 발생하고, 동시에 상기 읽어들인 생존자 경로값을 지연시킬 수 있는 제2 활성화 신호를 발생하며, 역추적부에서는 제1활성화신호 및 어드레스에 따라 저장된 생존자 경로 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생존자 경로 정보중 복호화된 하위 비트의 생존자 경로정보와 자신의 상태 출력값을 입력으로하여 상태 천이 과정을 수행하면서 하위 비트의 복호값을 역추적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지연부는 역추적부에서 출력되는 복호 데이터를 소정 비트씩 순차 지연시켜 1회 역추적시마다 1바이트의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grid alliance (Trellis Decoder) for a Grand Alliance (Vesigital Side band) 8VSB using a Viterbi decoding algorithm in a system for receiving digital transmission standards such as HDTV (High Definition TV).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acktrack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activation signal and address capable of reading a survivor path stored value only once every 4 symbol data inputs, and at the same time, delays the read survivor path value. 2 generates an activation signal, and the traceback unit reads the survivor path information stored according to the first activation signal and the address and inputs the survivor path information of the decoded lower bits and its state output value from the survivor path information read. During the transition process, the decoded values of the lower bits are traced back. The data delay unit sequentially delays the decoded data output from the back tracker by a predetermined bit and outputs one byte of decoded data for each back tr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HDTV(High Definition TV) 방식 등의 디지털 전송 규격을 수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터비(Viterbi) 복호 알고리즘을 이용한 그랜드얼라이언스(Grand Alliance:이하, 'GA'라고 약침함) 8VSB(Vesigital Sideband;잔류측대역)용 격자복호기(Trellis Decoder)의 역추적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ceiving digital transmission standards such as HDTV (High Definition TV). In particular, a Grand Alliance (hereinafter, abbreviated as 'GA') using a Viterbi decoding algorithm is referred to as 8VSB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 trace of a trellis decoder for a vesigital sideband.
일반적으로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는 잡음, 페이딩 현상 등의 채널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오류정정(error control and correction)기술을 이용한다.In general,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use error control and correction techniques to overcome channel disturbances such as noise and fading.
이러한 오류정정 기술에는 전송측에서의 채널 부호화 기술과 수신측에서의 채널 복호화 기술이 있으며, 상기 부호화 기술에는 주로 길쌈부호기(Convolution Encoder), 복호화 기술에는 비터비 복호기(Viteri Decoder)를 사용한다.The error correction technique includes a channel encoding technique on the transmitting side and a channel decoding technique on the receiving side. A convolutional encoder is mainly used for the encoding technique, and a Viterbi decoder is used for the decoding technique.
상기 부호화 기술중 길쌈부호기는 첨부된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비트의 쉬프트 레지스터(11)와 모듈로(modulo)-2 덧셈을 실행하는 2개의 덧셈기(12,12')로 구성되어, 쉬프트 레지스터(11)의 내용인 상태(State)와 입력(13)에 의해 출력 G1, G2가 결정되며, 시간에 따른 출력상태는 도2의 격자도(Trellis Diagram)와 같다.As shown in FIG. 1, the convolutional encoder of the encoding technique includes a 2-bit shift register 11 and two adders 12 and 12 'that perform modulo-2 addition. The outputs G1 and G2 are determined by the state of the shift register 11 and the input 13, and the output state according to time is shown in the trellis diagram of FIG. 2.
상기 도2의 격자도에서의 각 점은 쉬프트 레지스터(11)가 가질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실선의 가지(Branch)는 입력이 '0'일 때의 천이(Transition)를, 점선의 가지는 입력이 '1'일 때의 천이를 나타내고, 각 가지에 표시된 숫자는 그 가지의 천이가 일어났을 때 출력되는 G1, G2의 값을 나타낸다. 이때, 각 상태에 2개의 경로(Path)가 합쳐지게 됨에 따라, 수신측의 비터비 복호기에서는 최우복호법(Maximum Likelihood Decoding)이란 비터비 복호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2개의 경로중 가능성이 있는 경로만 선택하고 가능성이 없는 경로는 버리게 된다. 상기 선택되어진 경로는 생존자 경로(Survivor Path)라 하여 각 상태에서 정해진 결정깊이( Decision Depth 또는 Truncation Depth)만큼의 생존자 경로(예를들면, 도2의 굵은 실선은 시간 단위 10에서의 상태1(01)의 생존자 경로임)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게 된다.Each point in the lattice diagram of FIG. 2 represents a state that the shift register 11 may have, a branch of a solid line indicates a transition when the input is' 0 ', and an input having a dotted line is' The transition when 1 'is shown, and the number displayed on each branch indicates the values of G1 and G2 output when the branch transition occurs. At this time, as two paths are combined in each state, the Viterbi decoder at the receiving side selects only the probable paths among the two paths by a Viterbi decoding algorithm called Maximum Likelihood Decoding. And the path that is not possible is discarded. The selected path is called a survivor path, and a survivor path (decision depth or truncation depth) determined by each state (for example, a thick solid line of FIG. 2 is represented by state 1 (01). Information about the survivor's path).
따라서, 비터비 알고리즘에 의한 복호는 각 상태가 유지하고 있는 생존자 경로중 가장 가능성이 있는 생존자 경로를 선택하여 역추적(Traceback)함으로써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decoding by the Viterbi algorithm is performed by selecting and tracebacking the most likely survivor path among the survivor paths maintained by each state.
상기 비터비 알고리즘에 근거한 격자복호기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입력부호(21)와 격자도의 각 가지의 참고값(Reference Value)의 유사성(Branch Metric)을 계산하는 가지 매트릭(Branch Mertic)연산장치(22)와, 각 상태에서의 생존자 경로를 선택하고 생존자 경로의 상태값(State Metric)을 연산하는 ACS(Add-Compare-Select) 연산장치(23)와, ACS연산 결과로부터 최대 유사값을 감산하는 정규화 연산장치(24)와, 상태값을 저장하는 상태값 저장장치(State Metric Memory)(25)와, 각 상태의 생존자 경로중 가장 가능성 있는 생존자 경로를 검출하는 최대 유사값 검출장치(Maximum Likelihood Value Detection)(26)와, 각 상태의 생존자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경로 저장장치(Path Memory)(27) 및 상기 최대 유사값 검출장치(26)에서 각각 출력되는 값으로 역추적을 실행하는 역추적장치(Trace back unit)(28)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lattice decoder based on the Viterbi algorithm is a branch metric for calculating a branch metric between the received input code 21 and the reference value of each branch of the lattice diagram. Mertic) arithmetic unit 22, an ACS (Add-Compare-Select) arithmetic unit 23 that selects survivor paths in each state and calculates a state metric of the survivor paths; Normalization arithmetic unit 24 for subtracting similarity values, State Metric Memory 25 for storing state values, and Maximum likelihood value detection for detecting the most probable survivor paths among survivor paths in each state Inverse values are respectively output from the device (Maximum Likelihood Value Detection) 26, a path memory 27 storing information on survivor paths of each state, and the maximum likelihood value detection device 26. Trace back to run the trace unit) 28.
그리고, 상기 역추적장치(28)는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결정깊이 만큼의 생존자 경로를 저장하는 기억장치인 경로 저장장치(31), 다중화기(32) 및 레지스터(33)로 구성되며, 상기 레지스터(33)의 크기는 K(구속장)-1과 일치하고 경로 저장장치(31)의 크기는 M(=2K-1)*L(결정깊이)이며, 다중화기(32)는 M : 1 다중화기가 필요하다.As shown in FIG. 4, the backtracking device 28 is composed of a path storage device 31, a multiplexer 32, and a register 33, which is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survivor paths as much as the depth of determination. The size of the register 33 corresponds to K (resistance length) -1, and the size of the path storage device 31 is M (= 2 K-1 ) * L (decision depth), and the multiplexer 32 is M: 1 multiplexer is requir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격자복호기의 역추적장치에 의한 역추적은 기저장된 각 시간 단위에서의 생존자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하게 된다.The backtracking by the backtracking device of the grid decod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erformed by using survivor path information in each pre-stored time unit.
즉, 시간 단위 j에서의 상태 mj=ajbj의 생존자 정보가 smj일 때, 생존자 경로상에 존재하는 전상태인 시간 단위 j-1에서의 상태 mj-1=aj-1bj-1는 mj-1=bjsmj된다. 이때, 길쌈 부호화기의 구조로부터 bj=aj-1,smj=bj-1임을 알 수 있으므로 복호는 매 시간 단위에서 최소값을 갖는 상태를 검출하여, 이 최소 상태값을 갖는 상태로부터 경로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생존자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전상태를 결정하도록 하고, 이러한 과정을 결정깊이(Decision Depth;이하, 'L'이라 약칭함)만큼 반복하여 실행하게 된다.That is, the state at the time unit j m j = a survivor information of j b j s mj one time, the state of the former from the state of the time unit j-1 present on the survivor path m j-1 = a j-1 b j-1 is m j-1 = b j s mj . At this time, since the structure of the convolutional encoder can know that b j = a j-1, s mj = b j-1 , the decoding detects a state having a minimum value in every unit of time and stores a path from the state having the minimum state value. The survivor route information stored in the device is used to determine the whole state, and this process is repeated as much as the Decision Depth (hereinafter, abbreviated as 'L').
첨부한 도면 도5는 상기 ATSC 8VSB 모드에서 사용하는 격자 부호 인터리버(Trellis Code Interleaver)의 구조이며, 하기한 <표1>은 격자 부호 인터리버의 출력을 보여준다.5 is a structure of a trellis code interleaver used in the ATSC 8VSB mode, and Table 1 below shows the output of the trellis code interleaver.
<표1><Table 1>
도5의 격자 부호 인터리버는, 인터리버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단(41)과, 격자 부호화된 데이터 및 전치 코딩된 데이터를 알맞게 배열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43)과, 상기 입력단(41)과 출력단(43) 사이에 구비되며 동일한 구조를 갖는 12개의 격자 부호화기 및 전치 코더로 이루어진 격자 부호기(42)로 구성된다.The grid code interleaver of FIG. 5 includes an input terminal 41 for receiving interleaver data, an output terminal 43 for arranging and outputting lattice-coded data and pre-coded data accordingly, and the input terminal 41 and the output terminal 43. And a lattice encoder 42 comprising 12 lattice encoders and a precoder having the same structure.
상기에서, 12개의 격자 부호기 및 전치 코더는 각각 제1 내지 제12 격자 부호기 및 전치 코더를 위에서부터 아래 순서대로 42a - 42l이라는 부호로 표기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welve lattice encoders and the precoder denote the first to twelfth lattice encoders and the precoder,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42a to 42l from the top to the bottom.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격자 부호 인터리버는, 길쌈 인터리버(Convolution Interleaver)로부터 출력되는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는 12개의 길쌈 부호화기 각각에 의해 바이트 단위로 처리된다. 각 바이트 단위 데이터는 하나의 부호화기를 통하여 4심볼의 부호화된 데이터를 생성한다. 길쌈 부호화기에 입력되는 심볼 데이터는 최상위비트(MSB)로부터 2비트씩 입력된다. 각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는 하나의 길쌈 부호화기를 통하여 부호화되므로 12개의 길쌈부호화기를 통하여 부호화되기 위해서는 12배수의 바이트 단위 데이터가 필요하다.In the lattice code interleav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ata in byte units output from a convolutional interleaver is processed in units of bytes by each of the 12 convolutional encoders. Each byte unit data generates four symbols of encoded data through one encoder. The symbol data input to the convolutional encoder is input by 2 bits from the most significant bit (MSB). Since the data of each byte unit is encoded through one convolutional encoder, twelve times of byte unit data are required to be encoded through the twelve convolutional encoders.
하나의 세그먼트는 828 심볼, 즉 207 바이트의 데이터로 구성되는데, 이는 12의 배수가 아니므로 바이트 데이터를 심볼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4세그먼트(828 = 12*69바이트) 단위의 변환이 이루어진다. 필드내에서의 첫 번째 바이트 데이터의 첫 번째 심볼(7,6)은 제1 격자 부호화기 및 전치 코더(42a)를 통하여 부호화되며, 두 번째 바이트의 첫 번째 심볼(7,6)은 제2 격자 부호화기 및 전치 코더(42b)를 통해 부호화되고, 12번째 바이트의 첫 번째 심볼(7,6)은 제12 격자 부호화기 및 전치 코더(42l)를 통해 부호화된다. 세그먼트내 첫 번째 바이트의 두 번째 심볼(5,4)은 제1 격자 부호화기 및 전치 코더(42a)를 통하여 부호화되고 두 번째 바이트의 두 번째 심볼(5,4)은 제1 격자 부호화기 및 전치 코더(42b)로 입력되는 방식으로 각 바이트 데이터는 심볼 단위로 부호화된다.One segment is composed of 828 symbols, that is, 207 bytes of data, which is not a multiple of 12. Therefore, four segments (828 = 12 * 69 bytes) are converted to convert byte data into symbol data. The first symbol (7,6) of the first byte data in the field is encoded by the first lattice encoder and the precoder (42a), and the first symbol (7,6) of the second byte is the second lattice encoder. And coded via the precoder 42b, and the first symbols 7 and 6 of the 12th byte are coded through the twelfth lattice encoder and the precoder 42l. The second symbol (5,4) of the first byte in the segment is encoded by the first lattice encoder and the precoder 42a, and the second symbol (5,4) of the second byte is the first lattice encoder and the precoder ( Each byte data is encoded in symbol units in a manner inputted to 42b).
세그먼트 동기 신호 구간에서 동기 신호 구간에 해당되는 4개의 부호화기는 심볼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아 부호화된 심볼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는다. 상기 4개의 심볼 데이터는 12주기동안 지연된 후 각 부호화기에 입력되어 부호화된다. 그러므로 상기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필드의 첫 번째 세그먼트에서는 제1 격자 부호화기 및 전치 코더(42a)로부터 제12 격자 부호화기 및 전치 코더(42l)까지의 정상적인 순서로 부호화된 심볼 데이터가 출력되나, 두 번째 세그먼트에서는 제4 격자 부호화기 및 전치 코더(42d)로부터 제12 격자 부호화기 및 전치 코더(42l)까지의 심볼 데이터가 먼저 출력된 후, 제1 격자 부호화기 및 전치 코더(42a)로부터 제3 격자 부호화기 및 전치 코더(42c)까지의 부호화된 심볼 데이터가 출력된다. 세 번째 세그먼트에서는 제9 격자 부호화기 및 전치 코더(42i)로부터 제12 격자 부호화기 및 전치 코더(42l)까지, 그리고 나서 제1 격자 부호화기 및 전치 코더(42a)로부터 제8 격자 부호화기 및 전치 코더(42h)까지의 부호화된 심볼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러한 3 세그먼트 패턴이 필드내에 반복되어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 신호가 삽입된 후의 데이터 심볼은 12 심볼의 거리가 떨어지게 된다.The four encoders corresponding to the sync signal section in the segment sync signal section do not output the encoded symbol data because no symbol data is input. The four symbol data are inputted to each encoder after being delayed for 12 cycles and encoded. Therefore, as shown in Table 1, in the first segment of each field, symbol data encoded in a normal order from the first lattice encoder and the precoder 42a to the twelfth lattice encoder and the precoder 42l is output. However, in the second segment, symbol data from the fourth trellis encoder and the precoder 42d to the twelfth trellis encoder and the precoder 42l are first outputted, and then the third trellis encoder and the precoder 42a to the third segment. Coded symbol data up to the trellis encoder and precoder 42c are output. In the third segment, from the ninth lattice encoder and the precoder 42i to the twelfth lattice encoder and the precoder 42l, and then from the first lattice encoder and the precoder 42a to the eighth lattice encoder and the precoder 42h. Coded symbol data up to is output. This three-segment pattern is repeated in the field so that the data symbols after the data segment synchronizing signal is inserted have a distance of 12 symbols.
도6은 격자 부호 디인터리버로서, 양자화되고 위상 정정된 부호화된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 입력단(51)과, 격자 복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출력단(53)과, 상기 데이터 입력단(51)과 상기 데이터 출력단(53) 사이에 구비되며 동일한 구조를 갖는 12개의 격자 복호기(52)로 구성된다.6 is a grid code deinterleaver, comprising: a data input terminal 51 for receiving quantized and phase corrected coded data, a data output terminal 53 for outputting grid decoded data, and a data input terminal 51; The grating decoder 52 is provided between the data output terminals 53 and has the same structure.
상기에서, 12개의 격자 복호기(52)는 각각 제1 내지 제12 격자 복호기를 위에서부터 아래 순서대로 52a - 52l이라는 부호로 표기한다In the above, the twelve lattice decoders 52 denote the first to twelfth lattice decoders, respectively, by the symbols 52a to 52l in order from top to bottom.
여기서, 각각의 격자 복호기는 도3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기능 및 작용도 동일하다.Here, each lattice decoder has the same structure as in Fig. 3, and its functions and actions are also the same.
또한, 각각의 격자 복호기는 심볼 클록으로 동작하며, 결정 깊이(Decision Depth) L 만큼의 심볼 데이터를 수신한 후 매 4 심볼 클록마다 1바이트의 복호 데이터를 출력한다.In addition, each lattice decoder operates as a symbol clock, and outputs one byte of decoded data every four symbol clocks after receiving symbol data of a decision depth L.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격자 부호 디인터리버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lattice code deinterleave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수신된 필드내의 첫 번째 세그먼트의 심볼 데이터는 제1 격자 복호기(52a)로, 두 번째 심볼 데이터는 제2 격자 복호기(52b)로, 12번째 심볼 데이터는 제12 격자 복호기(52l)로 입력되는 방식으로 입력되어 복호 된다.The symbol data of the first segment in the received field is input to the first lattice decoder 52a, the second symbol data to the second lattice decoder 52b, and the twelfth symbol data to the twelfth lattice decoder 52l. It is input and decoded.
즉, (1,13,25,...),(2,14,26,...),...,(12,24,36,...)의 12 그룹으로 나뉘어 처리된다. 세그먼트 동기 신호 구간에서 입력 순서에 해당하는 4개의 격자 복호기에는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격자 복호기의 출력은 정상적인 복호와 관계없는 부적당한 데이터(invalid data)가 출력된다. 여기서 세그먼트 동기 신호 구간에 해당하는 4개의 격자 복호기에는 각각 12 클록뒤의 심볼 데이터가 입력되어 복호된다.That is, it is divided into 12 groups of (1, 13, 25, ...), (2, 14, 26, ...), ..., (12, 24, 36, ...). Since no data is input to the four lattice decoders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der in the segment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invalid data is output as the output of the lattice decoder. Here, the symbol data of 12 clocks is input to the four lattice decoders corresponding to the segment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and are decoded.
따라서 0번 세그먼트의 마지막 심볼 데이터는 제12 격자복호기에 입력되어 복호되나, 1번 세그먼트의 첫 번째 심볼 데이터는 제1 격자 복호기가 아닌 제5 격자복호기에 입력되어 복호된다. 즉, 1번 세그먼트내에서 격자복호기 기준으로 복호 순서는 (#4,#5,...,#11,#0,...,#3)이 된다. 이것은 0번 세그먼트의 마지막 심볼 데이터와 1번 세그먼트의 첫 번째 심볼 데이터 사이에는 4심볼 클록 분량의 세그먼트 동기 신호가 삽입되었기 때문이다. 동일한 개념으로 2번 세그먼트에서는 격자복호기 기준으로 (#8,#9,...,#0,...,#7)의 순서로, 3번 세그먼트에서는 다시 (#0,#1,...,#11)의 순서로 복호를 실행한다.Accordingly, the last symbol data of segment 0 is inputted to the twelfth lattice decoder and decoded, but the first symbol data of segment 1 is input to the fifth lattice decoder and not decoded. That is, the decoding order of the grid decoder in segment 1 is (# 4, # 5, ..., # 11, # 0, ..., # 3). This is because a 4-symbol clock amount of segment synchronization signal is inserted between the last symbol data of segment 0 and the first symbol data of segment 1. In the same concept, in segment 2, in the order of grid decoder (# 8, # 9, ..., # 0, ..., # 7), in segment 3, again (# 0, # 1, .. Decode in the order of.
한편, GA 8VSB 모드의 전송부에서는 12심볼 세그먼트내 인터리빙(12 symbol intra-segment interleaving)을 실행하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12개의 동일한 격자복호기를 필요로 한다. 상기 12개의 격자 복호기는 수신부에 입력되는 심볼열중 매 12심볼마다 한 심볼만이 의미가 있으므로 가지 매트릭 연산장치, ACS연산장치, 최대 유사값 검출장치 및 정규화 연산장치 등은 상기 12개의 격자 복호기에서 시분할하여 공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transmitter of the GA 8VSB mode performs 12 symbol intra-segment interleaving, the receiver requires 12 identical lattice decoders. Since the twelve lattice decoders have only one symbol for every twelve symbols in the symbol sequence input to the receiver, the branch matrix arithmetic unit, the ACS arithmetic unit, the maximum likelihood detector, and the normalization arithmetic unit are time-divided in the twelve lattice decoders To share.
첨부한 도면 도7은 심볼클록(a)과 입력 데이터(b) 및 각 격자복호기에 입력되는 심볼 데이터(c - e)의 타이밍도이다.7 is a timing diagram of symbol clock a, input data b, and symbol data c-e input to each lattice decoder.
도7에서 볼 수 있듯이, 각 격자복호기는 입력되는 심볼 데이터 사이에 11심볼의 시간 여유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각 격자복호기는 새로운 심볼 데이터가 입력되기 전에 역추적을 완료할 수 있다. 심볼 클록 fs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결정 깊이 L=11의 역추적을 실행할 수 있으며, 2fs를 사용하는 경우 결정 깊이 L=22의 역추적을 실행할 수 있다. ATSC DTV 규격의 SNR=14.9dB에서 3*10-6이하의 세그먼트 오류율(Segment Error Rate)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결정 깊이 L=22가 타당하다.As shown in FIG. 7, it can be seen that each lattice decoder has a time margin of 11 symbols between input symbol data. Therefore, each lattice decoder can complete backtracking before new symbol data is input. If the symbol clock fs is used as it is, the backtrace of the decision depth L = 11 can be performed. If 2fs is used, the backtrace of the decision depth L = 22 can be performed. To maintain a segment error rate of 3 * 10 -6 or less at SNR = 14.9dB of the ATSC DTV standard, the decision depth L = 22 is reasonable.
각 격자 복호기는 매 심볼 입력마다 역추적을 실행하여 1심볼(2비트 데이터)을 복호한다. 격자 복호기의 출력에 연결되는 길쌈 디인터리버(Convolutional Deintereaver)는 바이트 단위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각 격자 복호기는 4번의 역추적을 통해 1바이트의 복호 데이터를 생성해야 한다.Each lattice decoder decodes one symbol (2-bit data) by performing backtrace on every symbol input. Since a convolutional deintereaver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grid decoder processes input data in bytes, each grid decoder must generate 1 byte of decoded data through four back traces.
그러나 1바이트의 복호 데이터를 얻기 위해 매 심볼 입력 마다 역추적을 실행한다는 것은 4번의 역추적을 실행해야 함을 의미하며, 도4의 생존자 경로 저장장치를 88번 엑세스 해야 한다. 결국 이것은 천이 빈도를 증가시켜 CMOS ASIC 회로에서의 전력 소모를 증대시킨다. CMOS ASIC 회로에서의 전력 소모의 증대는 열을 발생시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패키징을 필요로 하여 ASIC 제작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However, performing backtrace for every symbol input to obtain 1 byte of decoded data means that 4 backtraces must be executed, and the survivor path storage device of FIG. 4 must be accessed 88 times. This, in turn, increases the frequency of transitions,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in CMOS ASIC circuits.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in CMOS ASIC circuits generates heat, which requires special packaging to increase the cost of ASIC fabrication.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역추적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GA 8VSB용 격자복호기에 있어서, 매 심볼 입력마다 역추적을 실행하지 않고 4심볼 입력마다 역추적을 실행하며, 한 번의 역추적에서 1바이트의 복호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격자복호기의 역추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backtracking device, and its purpose is to perform a backtracking every 4 symbol inputs without performing backtracking for every symbol input in a GA 8VSB grid decod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cktracking device of a grid decoder that generates one byte of decoded data in one backtrack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매 4심볼 데이터 입력마다 1회만 생존자 경로 저장값을 읽을수 있는 제1활성화신호 및 어드레스를 발생하고, 동시에 상기 읽어들인 생존자 경로값을 지연시킬 수 있는 제2 활성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과;Control means for generating a first activation signal and an address capable of reading the survivor path stored value only once every four symbol data inputs, and simultaneously generating a second activation signal capable of delaying the read survivor path value;
상기 제어수단에서 발생되는 제1활성화신호 및 어드레스에 따라 저장된 생존자 경로 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들인 생존자 경로 정보중 복호화된 하위 비트의 생존자 경로정보와 자신의 상태 출력값을 입력으로하여 상태 천이 과정을 수행하면서 하위 비트의 복호값을 역추적하는 역추적수단과;Read the survivor path information stored according to the first activation signal and the address generated by the control means, and perform the state transition process by inputting the survivor path information of the decoded lower bit and its state output value among the read survivor path information. Backtracking means for backtracking the decoded value of the lower bit;
상기 역추적수단에서 출력되는 복호 데이터를 소정 비트씩 순차 지연시켜 1회 역추적시마다 1바이트의 복호 데이터를 지연시켜 출력하는 데이터 지연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nd a data delay means for delaying the decoded data outputted from the traceback means by a predetermined bit and delaying the decoded data of 1 byte for each traceback.
도1은 일반적인 길쌈부호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weaving encoder;
도2는 도1의 길쌈부호기에 따른 격자도,2 is a lattice diagram according to the weaving encoder of FIG.
도3은 일반적인 비터비 복호 알고리즘을 이용한 비터비 복호기의 블록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Viterbi decoder using a general Viterbi decoder;
도4는 램(RAM)을 사용한 일예의 역추적장치의 블록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backtracking device using a RAM;
도5는 종래 격자 부호 인터리버의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grid code interleaver;
도6은 종래 격자 부호 디인터리버의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grid code deinterleaver;
도7은 종래 격자 복호기의 심볼 클록과 데이터 타이밍도,7 is a symbol clock and data timing diagram of a conventional lattice decoder;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격자복호기의 역추적장치 블록 구성도,8 is a block diagram of the traceback device of the lattice deco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도8의 역추적부 상세 구성도,9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traceback part of FIG. 8;
도10은 본 발명에서 심볼데이터와 활성신호간의 타이밍도.10 is a timing diagram between symbol data and an active signa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60:제어부 70:역추적부60: control unit 70: backtracking unit
71:기억장치 72:다중화부71: storage unit 72: multiplexing unit
72a,72b:제1 및 제2 다중화기 73:역추적기72a, 72b: first and second multiplexer 73: backtracker
73a:3비트 레지스터 80:데이터 지연부73a: 3-bit register 80: data delay
81 - 84 : 제1 내지 제4 지연기81-84: first to fourth delayers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격자복호기의 역추적장치 블록 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backtracking device of a lattice deco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 4심볼 데이터 입력마다 1회만 생존자 경로 저장값을 읽을수 있는 제1활성화신호 및 어드레스를 발생하고, 동시에 상기 읽어들인 생존자 경로값을 지연시킬 수 있는 제2 활성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60)와; 상기 제어부(60)에서 발생되는 제1활성화신호 및 어드레스에 따라 저장된 생존자 경로 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들인 생존자 경로 정보중 복호화된 하위 비트의 생존자 경로정보와 자신의 상태 출력값을 입력으로하여 상태 천이 과정을 수행하면서 하위 비트의 복호값을 역추적하는 역추적부(70)와; 상기 역추적부(70)에서 출력되는 복호 데이터를 소정 비트씩 순차 지연시켜 1회 역추적시마다 1바이트의 복호 데이터를 지연시켜 출력하는 데이터 지연부(8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first activation signal and an address capable of reading the survivor path stored value are generated only once every 4 symbol data inputs, and at the same time, a second activation signal capable of delaying the read survivor path value is generated. A controller 60; Read the survivor path information stored according to the first activation signal and the address generated by the controller 60, and the state transition process by inputting the survivor path information of the decoded lower bits and its state output value among the read survivor path information. A backtracking unit 70 for backtracking the decoded value of the lower bit while performing; And a data delay unit 80 that delays the decoded data output from the back tracker 70 by a predetermined bit and delays and outputs the decoded data of 1 byte for each back trace.
상기에서, 역추적부(7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깊이 만큼 생존자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장치(71)와, 상기 기억장치(71)로부터 출력되는 16비트의 생존자 경로 정보를 복호화하는 2개의 8:1다중화기(72a,72b)로 이루어진 다중화부(72)와, 상기 다중화부(72)의 출력중 복호된 하위 비트의 생존자 경로 정보와 자신의 상태 출력값을 입력으로하여 상태 천이 과정을 수행하면서 하위 비트의 복호값을 역추적하는 역추적기(73)로 구성된다.In the above, the backtracking unit 70, as shown in Fig. 9, stores a survivor path information as much as the decision depth, and the 16-bit survivor path information outputted from the storage device 71. A multiplexer 72 consisting of two 8: 1 multiplexers 72a and 72b for decoding a second signal, survivor path information of the decoded lower bits of the output of the multiplexer 72, and its state output value It is composed of a back tracker (73) to back track the decoded value of the lower bit while performing the state transition process.
상기에서, 기억장치(71)는 16*L의 단일포트 램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중화부(72)는 상기 기억장치(71)로부터 출력되는 16비트의 생존자 정보중 상위 8비트만을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제1다중화기(72a)와, 상기 기억장치(71)로부터 출력되는 16비트의 생존자 정보중 하위 8비트만을 다중화하는 제2다중화기(72b)로 구성된다.In the above, the memory device 71 is composed of 16 * L single port RAM, and the multiplexer 72 multiplexes only the upper 8 bits of the 16-bit survivo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emory device 71. A first multiplexer 72a and a second multiplexer 72b for multiplexing only the lower 8 bits of the 16-bit survivo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torage device 71 are provided.
또한, 상기 역추적기(73)는 상기 다중화부(72)내의 제2다중화기(72b)에서 출력되는 복호화된 하위 비트의 생존자 경로 정보와 자신의 상태 출력값을 입력으로하여 상태 천이 과정을 수행하면서 하위 비트의 복호값을 역추적하는 3비트 레지스터(73a)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ack tracker 73 receives the survivor path information of the decoded lower bits output from the second multiplexer 72b in the multiplexer 72 and its state output value and performs a state transition process. It consists of a 3-bit register 73a that traces back the decoded value of the bit.
또한, 상기 데이터 지연부(80)는 상기 역추적부(70)에서 역추적을 통해 생성되는 2비트의 복호 데이터를 순차 지연시켜, 1번의 역추적시 1바이트의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내지 제4 지연기(81 - 84)가 순차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ata delay unit 80 sequentially delays two bits of decoded data generated through the back trace in the back trace unit 70, and outputs one byte of decoded data during one back trace. The fourth retarders 81 to 84 are configured in series connec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역추적장치의 역추적 과정은, 상기 제어부(60)에서 모듈로-L 감산 계수기(modulo-L down counter :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음)를 이용하여 4심볼 입력마다 역추적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도10의 (b)와 (c)같은 제1 및 제2 활성화 신호(활성신호_1, 활성신호_2)를 생성하여 상기 역추적부(70) 및 데이터 지연부(8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시작된다.The backtracking process of the backtr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inversely for every 4 symbol inputs using a modulo-L down counter (not shown in the figure) in the controller 60. By generating the first and second activation signals (activation signal_1, activation signal_2) such as (b) and (c) of FIG. 10 to enable tracking, the traceback unit 70 and the data delay unit ( Start by activating 80).
여기서, 도10의 (b)에 도시된 상기 제1 활성화신호(활성신호_1)는 매 4심볼 입력에 1회 활성화되며, 활성화 기간 동안만 기억장치(71)에 저장된 생존자 경로 값을 읽어 역추적을 실행토록 하는 신호이다.Here, the first activation signal (activation signal_1) shown in FIG. 10 (b) is activated once every four symbol inputs, and the survivor path value stored in the memory device 71 is read only during the activation period. This signal causes the trace to run.
또한, 도10의 (c)에 도시된 상기 제2 활성화 신호(활성신호_2)는 마찬가지로 매 4심볼 입력에 1회 활성화되며, 활성화 기간은 역추적의 마지막 4클록 기간 동안이며, 이 활성화 기간 동안에만 2비트의 복호 데이터가 지연기(81 - 84)에 저장되도록 하는 신호이며, 이로써 매 4심볼 데이터 입력에 1바이트의 복호 데이터가 출력되며, 그 값을 다음 역추적까지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activation signal (activation signal _2) shown in FIG. 10C is similarly activated once every four symbol inputs, and the activation period is during the last four clock periods of backtracking, and this activation period During this time, only two bits of decoded data are stored in the delay units 81 to 84, thereby outputting one byte of decoded data to every four symbol data inputs, and maintaining the value until the next traceback.
한편,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활성화신호(활성신호_1) 이외에 기억장치(71)의 읽기 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역추적부(70)에 전달해주게 된다.The controller 60 generates a read address of the memory device 71 in addition to the first activation signal (activation signal_1) and transmits the read address to the traceback unit 70.
상기 역추적부(70)는 상기 제1활성화신호(활성신호_1) 및 읽기 어드레스에 의해 기억장치(71)에 저장된 L-1번지에 저장된 생존자 정보를 출력하게 되며, 이때 역추적기(73)를 이루는 3비트 레지스터(73a)에 저장된 상태값과 상기 기억장치(71)의 L-1번지에 저장된 생존자 정보를 이용하여 역추적기(73)에서 역추적을 시작한다.The back tracker 70 outputs survivor information stored in the L-1 address stored in the memory device 71 by the first activation signal (activation signal_1) and the read address. In this case, the back tracker 73 The back tracker 73 starts back tracking using the state value stored in the 3-bit register 73a and the survivor information stored in the L-1 address of the storage device 71.
상기 기억장치(71)에 저장되는 생존자 경로 정보는 각 상태당 2비트로서, 저장된 2비트 정보중 상위 비트는 부호화시의 상위비트와 관련된 생존자 정보이고, 하위비트는 부호화시의 하위비트와 관련된 생존자 정보이다.The survivor path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71 is 2 bits for each state. The upper bits of the stored 2-bit information are survivo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pper bits during encoding, and the lower bits are survivors associated with the lower bits during encoding. Information.
상기 기억장치(71)로부터 출력되는 16비트의 생존자 정보는 8비트 단위로 다중화부(72)내 2개의 다중화기(72a,72b)에 각각 입력되며, 특히 상위 8비트는 각 상태의 생존자 정보중 상위 비트만으로 구성되어 제1다중화기(72a)로 입력되고, 하위 8비트는 각 상태의 생존자 정보중 하위 비트만으로 구성되어 제2다중화기(72b)로 입력된다.The 16-bit survivo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torage device 71 is input to each of the two multiplexers 72a and 72b in the multiplexer 72 in 8-bit units. In particular, the upper 8 bits of the survivor information of each state are included. Only the upper bits are input to the first multiplexer 72a, and the lower 8 bits are composed of only the lower bits of survivor information of each state and input to the second multiplexer 72b.
여기서 전송부의 부호기측에서 상기 상위 8비트는 부호화하지 않았으므로 제1다중화기(72a)의 출력은 그대로 복호 데이터가 되며, 하위 8비트는 부호화되어 전송됨에 따라 역추적 과정을 통하여 복호된다.Since the upper 8 bits are not encoded at the encoder side of the transmitter, the output of the first multiplexer 72a is decoded data as it is, and the lower 8 bits are decoded through a backtracking process as they are encoded and transmitted.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다중화기(72a)(72b)는 3비트 레지스터(73a)의 출력에 의하여 결정되며, 상기 3비트 레지스터(73a)의 입력은 상기 3비트 레지스터의 출력과 제2다중화기(72b)의 출력에 의해 결정된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multiplexers 72a and 72b are determined by the output of the 3-bit register 73a, and the input of the 3-bit register 73a is the output of the 3-bit register and the second multiplex. It is determined by the output of the firearm 72b.
그리고, 상기 제2다중화기(72b)와 3비트 레지스터(73a)는 일종의 상태기(statemachine)로서 매 클럭마다 상태의 천이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상태 천이 과정이 바로 역추적 과정이다.The second multiplexer 72b and the 3-bit register 73a are state machines, and state transitions occur every clock. This state transition process is a backtracking process.
아울러 최종 상태의 값은 하위 비트의 복호 출력을 결정하게 되며, 상기 3비트 레지스터(73a)가 역추적 과정을 통하여 최종 상태에 도달했을 때, 그 상태 값에 의해 출력되는 제1다중화기(72a)의 출력이 상위 비트의 복호값이 되고 하위비트의 복호값은 상기 최종 상태값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In addition, the value of the final state determines the decoding output of the lower bit, and when the 3-bit register 73a reaches the final state through the backtracking process, the first multiplexer 72a outputted by the state value is output. The output of is the decoded value of the upper bit and the decoded value of the lower bit is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nal state values.
즉, 19,20,21,22번째 값이 하위 비트의 복호 출력을 결정한다. 상기 3비트 레지스터(73a)가 역추적 과정을 통하여 19번째 상태에 도달했을 때, 그 상태값에 의해 출력되는 제1다중화기(72a)의 출력이 상위 비트의 복호값이 되고, 하위 비트의 복호값은 상기 19번째 상태값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이렇게 생성되는 2비트의 데이터가 1바이트 데이터의 최하위 심볼이 되며, 같은 방법으로 20,21번째 상태에 의해서 다음 심볼 데이터가 결정되며, 22번째 상태에 의해 최상위 심볼 데이터가 결정되어 1번의 역추적을 통해 1바이트의 복호 데이터가 결정되어 출력되어지는 것이다.That is, the 19th, 20th, 21st and 22nd values determine the decoded output of the lower bits. When the three-bit register 73a reaches the nineteenth state through the backtracking process, the output of the first multiplexer 72a outputted by the state value becomes the decoded value of the upper bit and the decoded lower bit. The value is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nineteenth state values. The two-bit data generated in this way becomes the lowest symbol of the one-byte data. In the same way, the next symbol data is determined by the 20th and 21st states, and the highest symbol data is determined by the 22nd state, and the first trace is performed. Decoded data of 1 byte is determined and outputted through.
여기서, 데이터 지연부(80)내의 제1 내지 제4 지연기(81 - 84)는 상기 역추적부(70)에서 역추적을 통해 생성되는 2비트의 복호 데이터를 순차 지연시켜, 1번의 역추적시 1바이트(하나의 지연기는 2비트 저장, 따라서 2비트*4개지연기=8비트)의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Here, the first to fourth delayers 81 to 84 in the data delay unit 80 sequentially delay the 2-bit decoded data generated through the back trace in the back trace unit 70, and perform one back trace. This function outputs decoded data of 1 byte per hour (one delay unit stores 2 bits, thus 2 bits * 4 delays = 8 bits).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매 심볼 입력마다 역추적을 실행하지 않고 4심볼 입력마다 역추적을 실행하며, 한번의 역추적에서 1바이트의 복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어, 역추적 횟수의 감소(천이 빈도 억제)로 CMOS ASIC 회로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erform backtracking for every symbol input, but performs backtracking for every four symbol inputs, and can generate decoded data of one byte in one backtracking. Reduction (switching the frequency of transitions)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CMOS ASIC circuits.
또한, 상기와 같은 이점으로 인해 기존과 같이 발생된 열을 억제시키기 위해 별도로 부가되는 특별한 패키징(발열 제거 회로)을 제거할 수 있어 격자복호기의 ASIC 제작시 제작 비용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advantages can eliminate the special packaging (heat removal circuit) added separately to suppress the heat generated as in the conventio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when manufacturing the ASIC of the grid decoder.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11314A KR100249046B1 (en) | 1998-03-31 | 1998-03-31 | Device for retrace in trellis decoder |
US09/283,086 US6075822A (en) | 1998-03-31 | 1999-03-31 | Traceback device of a trellis deco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11314A KR100249046B1 (en) | 1998-03-31 | 1998-03-31 | Device for retrace in trellis deco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76387A KR19990076387A (en) | 1999-10-15 |
KR100249046B1 true KR100249046B1 (en) | 2000-03-15 |
Family
ID=19535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11314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9046B1 (en) | 1998-03-31 | 1998-03-31 | Device for retrace in trellis decod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6075822A (en) |
KR (1) | KR10024904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185810B1 (en) * | 2007-04-13 | 2012-05-22 | Link—A—Media Devices Corporation | Low power viterbi trace back architecture |
JP2010206570A (en) * | 2009-03-04 | 2010-09-16 | Sony Corp | Decoding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
GB2559616A (en) * | 2017-02-13 | 2018-08-15 | Accelercomm Ltd | Detection circuit, receiver,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
CN109558377B (en) * | 2018-12-12 | 2023-04-14 | 南京新点星信息科技有限公司 | Product tracing code repetition extreme speed checking algorithm |
CN114696959A (en) * | 2022-04-22 | 2022-07-01 | 电子科技大学 | Viterbi decoder for 4D-PAM5 trellis coding modulation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77625A (en) * | 1985-03-01 | 1987-06-30 | Paradyne Corporation | Distributed trellis encoder |
US5303263A (en) * | 1991-06-25 | 1994-04-12 |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 Transmission channel characteristic equalizer |
DE69432172T2 (en) * | 1993-06-04 | 2003-12-11 |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Tokio/Tokyo | METHOD AND DETECTOR FOR DIFFERENTIAL MAXIMUM LIKELIHOOD DETECTION |
US5533065A (en) * | 1993-12-28 | 1996-07-02 | At&T Corp. | Decreasing length tracebacks |
JP3171772B2 (en) * | 1995-08-23 | 2001-06-04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Viterbi decoding method and Viterbi decoding device |
US5815515A (en) * | 1996-03-28 | 1998-09-29 | Lsi Logic Corporation | Edge metric calcul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permutations |
US5841819A (en) * | 1996-04-09 | 1998-11-24 | Thomson Multimedia, S.A. | Viterbi decoder for digital packet signals |
KR100230275B1 (en) * | 1997-02-21 | 1999-11-15 | 윤종용 | TCM decoder of high resolution television receiver and its decoding method |
-
1998
- 1998-03-31 KR KR1019980011314A patent/KR10024904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
- 1999-03-31 US US09/283,086 patent/US6075822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6075822A (en) | 2000-06-13 |
KR19990076387A (en) | 1999-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8840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trellis code data | |
KR100773448B1 (en) | Robust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 |
US5742622A (en)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system for a stream of encoded data | |
JPH1042290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rellis encoding video input signal | |
KR20020082268A (en) | Digital vestigial sideband transmit system | |
KR20020094427A (en) | Digital vestigial sideband transmit system | |
KR20040057873A (en) | Concatenated code decoder via parity bit recycling and method thereof | |
KR20020094426A (en) | Digital vestigial sideband transmit system | |
EP0917766A1 (en) | Decoder for trellis encoded interleaved data stream and hdtv receiver including said decoder | |
JP2000209106A (en) | Realization by minimum amount of memory of high-speed viterbi decoder | |
US7289569B2 (en) | HDTV trellis decoder architecture | |
KR100212854B1 (en) | Deinterleaving and output processing device in trellis decoder | |
KR100249046B1 (en) | Device for retrace in trellis decoder | |
CA2212098C (en) | Trellis decoder of a dtv | |
CA2178448A1 (en) | An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system for a stream of encoded data | |
KR100273092B1 (en) | Device for rearrangement of decoding data | |
JPH0832632A (en) | Transmission system and its device | |
KR100258234B1 (en) | Trellis code modulation | |
KR10021040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ebacking survivor path of trellis-coded data | |
KR100268406B1 (en) | Method for rearranging a decoding data of lattice decoder for fa standard 8 vbs | |
KR100191324B1 (en) | Recovery device of digital transmission signal | |
GB2330994A (en) | Traceback processor for use in trellis decoder | |
JPH0783280B2 (en) | Error correction device | |
KR20000067332A (en) | Traceback unit of trellis decoder | |
KR19980072599A (en) | Segment synchronous signal cancellation filter of trellis deco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3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11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