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028B1 - Calling device between mobile devices of wireless telephone and method - Google Patents
Calling device between mobile devices of wireless telephone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43028B1 KR100243028B1 KR1019970005973A KR19970005973A KR100243028B1 KR 100243028 B1 KR100243028 B1 KR 100243028B1 KR 1019970005973 A KR1019970005973 A KR 1019970005973A KR 19970005973 A KR19970005973 A KR 19970005973A KR 100243028 B1 KR100243028 B1 KR 1002430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carrier frequency
- selecting
- control signal
- signal out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무선전화기 기능외에 휴대장치간에 독립적으로 소출력의 무전기처럼 상호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범위를 확대코자 한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devices of a wireless telephone intended to expand the range of use by allowing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devices independently of the existing wireless telephone function as a low power radio.
종래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는 휴대장치간에는 내선으로 직접 통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에 송수신 주파수가 다르게 되어 있어 하나의 고정장치에 연결된 여러대의 휴대장치간에는 직접통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portable devices of wireless telephone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directly talk to each other between mobile devices, and becaus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requencies are different between fixed devices and mobile devices, it is difficult to make direct calls between multiple mobile devices connected to one fixed device. There was this.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화기모드/무전기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수단과; 모드선택수단수단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지정된 캐리어 주파수를 선택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아울러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제어수단에서 출력된 캐리어 주파수 선택 제어신호에 따라 고정장치 또는 타 휴대장치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캐리어 주파수를 선택하는 캐리어 주파수 선택수단과; 제어수단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듀플렉스에서 절체된 수신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송화부에서 입력된 송신 음성 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변조한 후 전력 증폭하여 상기한 듀플렉스로 전달하는 송신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mode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a telephone mode / walkie-talkie mod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Control means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select a designated carrier frequency according to the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means means, and controlling the overall function of the system; Carrier frequency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 carrier frequency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fixed device or another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 carrier frequency selection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Receiving means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switched in the duplex into an origina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Transmitting means is a transmission means for modulating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input from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and then amplified and delivered to the duplex.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무선전화기 기능외에 휴대장치간에 독립적으로 소출력의 무전기처럼 상호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범위를 확대코자 한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device and a method between portable devices of a wireless telephone, and in particular, portable telephones intended to expand the range of use by allowing mutual calls like radios of low power independently of portable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device call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종래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 블럭 구성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ANT)와, 송수신 신호를 절체하기 위한 듀플렉스(1)와, 상기 듀플렉스(1)에서 절체된 수신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수신부(2)와, 상기 수신부(2)에서 복원된 수신음성을 외부로 송출하는 스피커(3)와, 송신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송화기(4)와, 상기 송화기(4)에서 입력된 송신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듀플렉스(1)로 전달하는 송신부(5)와, 상기 수신부(2)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셀룰라폰 시스템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6)와, 다이얼 및 기능 구현을 하기 위해 다수개의 키로 구비된 키패드부(7)와, 상기 중앙처리부(6)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송수신 신호를 위상 동기시키기 위한 위상동기루프부(8)와, 상기 위상동기루프부(8)에서 출력된 위상 동기 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전압제어발진부(9)로 구성되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 a portable device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radiotelephone includes an antenna A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 frequency, a duplex 1 for switch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and a reception switched in the duplex 1. A receiver (2) for demodulating the signal into an original signal, a speaker (3)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voice restored by the receiver (2) to the outside, a talker (4) for inputting the transmitted voice, and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는 안테나(ANT)를 통해 고주파가 수신되면 듀플렉스(1)는 수신측으로 수신되는 고주파를 절체 시킨다.In the portable device of the conventional radiotelephon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igh frequency i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T, the duplex 1 switches the high frequency received to the receiving side.
이에 따라, 수신부(2)는 수신되는 고주파를 증폭시키고 주파수 합성부(도면 미도시)에서 얻어지는 국부 주파수와 이를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를 검출하고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여 중앙처리장치(6)에 입력 시킨다.Accordingly, the
그러면, 중앙처리장치(6)는 수신되는 데이타를 검색하여 통화이면 수신음성신호를 스피커(3)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는 수신되는 음성을 듣게 된다.Then, the
한편, 송화기(4)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 음성신호는 송신부(5)에 전달되고, 상기 송신부(5)는 입력되는 송신 음성을 변조한 후 전력 증폭하여 상기한 듀플렉서(1)로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그러면, 듀플렉스(1)는 상기 송신부(5)에서 출력된 송신 신호를 전압제어발진부(9)에서 발생된 발진 주파수에 따라 동기시켜 상기한 안테나(ANT)를 통해 외부로 송출토록 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 진다.Then, the duplex 1 makes a call by synchronizing the transmission signal output from the
이때, 무선 전화 통화방법은 셀룰라폰의 고정장치에 연계되어 내선으로만 통화가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wireless telephone call method is connected to the fixed device of the cellular phone so that the call can be made only to an extension.
특히, 휴대장치끼리의 독립적 통화는 할 수 없으며, 또한 고정장치는 등록된 휴대장치 각각에 대하여 다른 송수신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1휴대장치와 제2휴대장치 사이에 통화를 하려면 각각 고정장치와 통화 연결후에 고정장치의 중계를 거쳐야만 가능하였다.In particular, the mobile device cannot make independent calls, and since the fixed device uses different transmit / receive frequencies for each of the registered mobile devices, to make a call between the first mobile device and the second mobile device, the fixed device and the second mobile device are called. After connection, it was possible to relay the fixing device.
그러나 이러한 종래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는 휴대장치간에는 내선으로 직접 통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에 송수신 주파수가 다르게 되어 있어 하나의 고정장치에 연결된 여러대의 휴대장치간에는 직접통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ortable device of such a conventional wireless telephon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directly talk to an extension between the portable devices,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frequency is different between the fixed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무선전화기 기능외에 휴대장치간에 독립적으로 소출력의 무전기처럼 상호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범위를 확대코자 한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between portable devices of a wireless telephone intended to expand a range of use by allowing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devices independently, such as a radio having a low power, in addition to the existing wireless telephone func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화기모드/무전기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수단과; 상기 모드선택수단수단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지정된 캐리어 주파수를 선택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아울러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된 캐리어 주파수 선택 제어신호에 따라 고정장치 또는 타 휴대장치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캐리어 주파수를 선택하는 캐리어 주파수 선택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듀플렉스에서 절체된 수신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송화부에서 입력된 송신 음성 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변조한 후 전력 증폭하여 상기한 듀플렉스로 전달하는 송신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mode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the telephone mode / walkie-talkie mod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operation; Control means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select a carrier frequency designated according to the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ng means and controlling the overall function of the system; Carrier frequency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 carrier frequency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fixed device or another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 carrier frequency selection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Receiving means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switched in the duplex into an origina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Transmitting means is a transmission means for modulating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input from the transmitter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and then amplifies the power to transmit to the duplex.
또한, 본 발명의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2개 이상의 휴대장치를 보유하는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제1휴대장치의 모드와 제2휴대장치의 모드를 동일하게 선택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휴대장치에서 제2휴대장치의 고유번호(ID)를 다이얼하여 통화접속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 진다.In addition, a method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selecting a mode of a first portable device and a mode of a second portable device in a wireless telephone having two or more portable devices; In the first mobile device, a second process of dialing a unique number (ID) of the second mobile device is connected to a call.
제1도는 종래의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 블럭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device of a conventional wireless telephone.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간 통화장치 블럭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portable devices of a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1 : 모드선택부 102 : 제어부101: mode selection unit 102: control unit
103 : 캐리어 주파수 선택부 104 : 수신부103: carrier frequency selector 104: receiver
105 : 송신부 106 : 듀플렉스105: transmitter 106: duplex
107 : 스피커 108 : 송화부107: speaker 108: transmitter
109 : 키패드부109: keypad unit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간 통화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화기모드/무전기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101)와, 상기 모드선택부(101)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지정된 캐리어 주파수를 선택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아울러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02)와, 상기 제어부(102)에서 출력된 캐리어 주파수 선택 제어신호에 따라 고정장치 또는 타 휴대장치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캐리어 주파수를 선택하는 캐리어 주파수 선택부(103)와, 상기 제어부(102)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듀플렉스에서 절체된 수신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107)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는 수신부(104)와, 송화부(108)에서 입력된 송신 음성 신호를 상기 제어부(102)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변조한 후 전력 증폭하여 상기한 듀플렉스(106)로 전달하는 송신부(106)로 구성되어져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all device between portable devices of a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상기에서 캐리어 주파수 선택부(103)는 상기 제어부(102)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위상동기루프신호를 발생하는 위상동기루프부(103a)와, 상기 위상동기루프부(103a)에서 출력된 위상동기루프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03b)와, 상기 스위칭부(103b)에서 스위칭된 신호에 따라 전화기용 발진 주파수를 발생하는 전화기용 전압제어발진부(103c)와, 상기 스위칭부(103c)에서 스위칭된 신호에 따라 무전기용 발진 주파수를 발생하는 무전기용 전압제어발진부(103d)로 구성되어져 있다.In this case,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모드선택부(101)를 조작하여 전화기모드 또는 무전기모드를 선택하여 제어부(102)에 입력 시킨다.First, the user operates the
그러면, 제어부(102)는 상기 모드선택부(101)에서 선택된 모드가 전화기 모드이면 기존과 동일하게 안테나(ANT)를 통해 고주파가 수신되면 듀플렉스(103)는 수신측으로 수신되는 고주파를 절체 시킨다.Then, when the mode selected by the
이에 따라, 수신부(104)는 수신되는 고주파를 증폭시키고 주파수 합성부(도면 미도시)에서 얻어지는 국부 주파수와 이를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를 검출하고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여 제어부(102)에 입력 시킨다.Accordingly, the
그러면, 제어부(102)는 수신되는 데이타를 검색하여 통화이면 수신음성 신호를 스피커(3)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는 수신되는 음성을 듣게 된다.Then, the
한편, 송신일 경우 송화부(108)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 음성신호는 송신부(105)에 전달되고, 상기 송신부(105)는 입력되는 송신 음성을 변조한 후 전력 증폭하여 상기한 듀플렉서(106)로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ransmission,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그러면, 듀플렉스(106)는 상기 송신부(105)에서 출력된 송신 신호를 캐리어 주파수 선택부(103)내의 전화기용 전압제어발진부(103c)에서 발생된 발진 주파수에 따라 동기시켜 상기한 안테나(ANT)를 통해 외부로 송출토록 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 진다.Then, the
한편, 사용자가 타 휴대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하려고 모드선택부(101)의 무전기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Meanwhile, the user selects the radio mode of the
그러면, 모드선택부(101)는 제어부(102)에 무전기 모드 선택신호를 입력시키게 된다.Then, the
이에 따라, 제어부(102)는 상기 모드선택부(101)에서 선택된 무전기 모드에 따라 지정된 캐리어 주파수 선택 제어신호(일예로서, 상대방의 고유번호(ID))를 주파수선택부(103)에 출력시킨다.Accordingly, the
그러면, 주파수선택부(103)내의 위상동기루프부(103a)는 상기 제어부(102)에서 출력된 캐리어 주파수 선택 제어신호에 따라 위상동기루프신호를 발생하게 된다.Then, the phase synchronization loop 103a in the
이에 따라, 스위칭부(103b)는 상기 위상동기루프부(103a)에서 출력된 위상동기루프신호에 따라 무전기용 전압제어발진부(103d)에 스위칭하게 된다.Accordingly, the
그러면, 무전기용 전압제어발진부(103d)는 상기 스위칭부(103b)에서 스위칭된 신호에 따라 무전기용 발진 주파수를 발생하여 듀플렉스(106)에 출력한다.Then, the transceiver voltage controlled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송, 수신부(105)(104)를 통해 타 휴대장치 또는 타 무전기와 무선통신을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user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portable devices or other radios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한편, 직접통화기능의 접속방법중에는 부여받은 고유번호(ID)를 이용하여 개별통화, 그룹통화 및 전체통화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of accessing the direct call function, individual calls, group calls and all calls can be made by using the unique ID.
또한, 직접통화기능에서 채널선택은 엠씨에이(MCA)방식이며, 통화방식은 심플렉스(SIMPLEX) 및 듀플렉스(DUPLEX)로 구현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channel selection in the direct call function is MCA, and the call method can be implemented in SIMPLEX and DUPLEX.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직접통화기능으로 복수의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가정에서 전화기로 사용하며 실외에서는 무전기처럼 사용하여 레져활동시 또는 여행시에 상대방과의 근거리 직접통신용으로 활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rect call function can be used as a telephone in a home and using a portable device of a plurality of wireless telephones at home and outdoors as a walkie-talkie for short-range direct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during leisure activities or travel.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장치를 고정장치의 중계없이 타 휴대장치 또는 타 무선장치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nother portable device or another wireless device without relaying the fixed devic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05973A KR100243028B1 (en) | 1997-02-26 | 1997-02-26 | Calling device between mobile devices of wireless telephone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05973A KR100243028B1 (en) | 1997-02-26 | 1997-02-26 | Calling device between mobile devices of wireless telephone and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9086A KR19980069086A (en) | 1998-10-26 |
KR100243028B1 true KR100243028B1 (en) | 2000-02-01 |
Family
ID=1949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059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3028B1 (en) | 1997-02-26 | 1997-02-26 | Calling device between mobile devices of wireless telephone and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4302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630726B2 (en) | 2005-02-03 | 2009-12-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mmunication method operated by software and apparatus thereof |
KR101080510B1 (en) * | 2004-10-14 | 2011-11-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imultaneous calling both of rf call and push-to-talk cal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4342A (en) * | 1998-12-30 | 2000-07-15 | 박태진 | Method for directly connecting calls between cellular phone termina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JP2000253140A (en) * | 1999-03-01 | 2000-09-14 | Sony Corp | Electronic equipment |
KR100557176B1 (en) * | 1999-07-24 | 2006-03-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lkie Talkie on Cordless Phones |
KR100369567B1 (en) * | 2000-09-16 | 2003-01-29 | 동화전자산업주식회사 |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wire/wireless digital telephone. |
KR100790073B1 (en) * | 2000-12-05 | 2007-12-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w to control a call using a headset connected to a walkie talki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31482A (en) * | 1995-11-14 | 1997-06-26 | 김광호 | Walkie-talkie cordless phone |
-
1997
- 1997-02-26 KR KR1019970005973A patent/KR10024302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31482A (en) * | 1995-11-14 | 1997-06-26 | 김광호 | Walkie-talkie cordless phon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0510B1 (en) * | 2004-10-14 | 2011-11-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imultaneous calling both of rf call and push-to-talk call |
US7630726B2 (en) | 2005-02-03 | 2009-12-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mmunication method operated by software and apparatus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9086A (en) | 1998-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I111674B (en) | User Connection | |
CN101132587B (en) | Dual-mode mobile terminal and its call processing method | |
US5406615A (en) | Multi-band wireless radiotelephone operative in a plurality of air interface of differing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 |
KR100668243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Local Calling | |
JPH04342346A (en) | System for speaking between slave sets for cordless telephone | |
KR100243028B1 (en) | Calling device between mobile devices of wireless telephone and method | |
KR100557161B1 (en) | Walkie talkie | |
JPS58191542A (en) | Mobile communication controlling system | |
KR960012983B1 (en) | Offset Down Switch for Two Handset Cordless Phone Systems | |
KR970006041B1 (en) | Two handset cordless telephone system | |
JPH0396134A (en) | Radio telephone set | |
KR970006042B1 (en) | Two Handset Cordless Phone Systems with Base Unit Using Voltage Control Modified Oscillator (VCXO) | |
KR100379836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local area communications | |
JP2004229242A (en) | Repeating apparatus and repeating method | |
KR100400767B1 (en) | Mobile terminal operating method having walkie-talkie module | |
KR100549923B1 (en) | Multi mode mobile phone handset | |
JPH0984117A (en) | Slave set and master set for cordless telephone device and cordless telephone device | |
JPH08163646A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JP2895051B1 (en) | Group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station | |
JP3738056B2 (en) | Cordless phone | |
KR100724223B1 (en) | Transmitting / receiv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at can be used as a cordless phone | |
JP3469653B2 (en) |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JPH07312779A (en) | Cordless telephone set | |
KR20020018516A (en) | Walkie-talkie system cooperating with potable telephone | |
JPH06252798A (en) | Portable radio tele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03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711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71116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