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567B1 -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wire/wireless digital telephone. - Google Patents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wire/wireless digital tele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69567B1 KR100369567B1 KR10-2000-0054500A KR20000054500A KR100369567B1 KR 100369567 B1 KR100369567 B1 KR 100369567B1 KR 20000054500 A KR20000054500 A KR 20000054500A KR 100369567 B1 KR100369567 B1 KR 1003695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ll
- line
- telephone
- empty
- wirel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0255925 Dipter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3 porcela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04M3/4365—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based on information specified by the calling party, e.g. priority or subjec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04M1/72513—On hold, intercom or transfer communication m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1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dial plan and call rou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기(고정장치)와 자기(휴대장치)로 이루어진 유, 무선 동시 통화 방식의 디지털 유,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 장치인 모기는 국선 5회선까지 입력을 받아 자동으로 빈 회선을 찾아 연결하여 주는 자동 수신 기능을 갖고 있으며, 자기는 1 ∼ 40대까지 연결 사용할 수 있으며, 모기와 자기간의 통화 방식은 무선 통화 방식이고, 자기와 자기간에도 무선 통화 방식으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자기와 자기간에는 모기를 통하지 않는 직접 통화 방식을 채택하여 자기에서도 국선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wired and wireless telephone of a wired / wireless simultaneous call method consisting of a mosquito (fixing device) and a magnetic device (portabl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device that receives an input up to 5 lines of a CO line. It has an automatic receiving function that finds and connects an empty line, and it can be used for 1-40 people.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mosquito and the self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addition, by adopting a direct call method that does not use mosquitoes between yourself and yourself, you can make a trunk line call from yourself.
이로써, 자기 수량의 확대가 가능하고, 자기간 그룹 통화가 가능하며, 자기국선통화시 다른 자기도 참여하는 3자통화 기능 외에 그룹 통화 기능도 가능하다. 또한, 국선을 1 ∼ 100회선 이상까지 수용하여 빈 회선을 자동 인식하여 찾아 주는 기능이 가능하고, 자기의 국선 통화 채널을 확대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self, group call between the self, and the group call function in addition to the three-party call function that other parties can also participate in the self-maintenance call. In addition, a function of accommodating CO lines up to 1 to 100 or more lines and automatically recognizing and searching for empty lines is possible, and it is possible to expand its CO line communication channel.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유,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 및 무선간 상호 통화 방식을 개선하여 모기(고정장치)와 자기(휴대장치)간에 동시 통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모기와 자기, 자기와 자기간 내선 및 국선 통화가 자유롭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디지털 900㎒대의 40채널을 기본 방식으로 하는 디지털 유선/무선 겸용 전화기의 통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wired and wireless telephone, and in particular, to improve a mutual call between wired and wireless, so that simultaneous calls can be made between a mosquito (fixed device) and a magnetic device (mobil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device and a method of a digital wired / wireless combined telephone using a 40-channel digital 900 MHz band in which internal and internal telephone calls can be made freely.
좀 더 상세하게는, 모기와 자기로 이루어진 유선/무선 통합 디지털 전화기에서, 모기는 국선 5회선까지 입력을 받아 자동으로 빈 회선을 찾아 연결하여 주는 자동 수신 기능을 갖도록 하고, 자기는 1 ∼ 40대까지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모기와 자기, 자기와 자기간에는 무선 통화 방식으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자기와 자기간에는 모기를 통하지 않는 직접 통화 방식으로 채택하여 자기에서도 국선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유선/무선 겸용 전화기의 통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n a wired / wireless integrated digital telephone composed of mosquitoes and porcelain, the mosquito has an automatic receiving function that receives input up to 5 trunk lines and automatically finds and connects an empty line. The digital wired system allows users to make call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mosquitoes and magnetism, and between themselves and themselv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device and a method of a wireless combined telephone.
종래의 디지털 유선/무선 겸용 전화기는, 키패드를 포함한 각종 회로가 내장된 전화기 본체("고정장치" 또는 "모기"라고도 칭함)와 무선 전화기("휴대장치" 또는 "자기"라고도 칭함)를 구비하고, 모기를 통하여 통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Conventional digital wired / wireless combined telephones include a telephone body (also referred to as a "fixing device" or a "mosquito") with a built-in circuit including a keypad and a cordless telephone (also referred to as a "mobile device" or "magnetic"). It is designed to make calls through mosquitoes.
즉, 종래의 유, 무선 겸용 전화기에는 모기와 자기로 구성되어 모기와 자기간 1대1 통화만 가능하고, 다자간 국선 통화는 불가능하며, 내선 통화도 1대1 통화만 가능한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wired / wireless combined phone is composed of a mosquito and a self, and only one-to-on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squito and the self is possible.
상기와 같은 방식의 유선/무선 전화기는 자기의 수량이 많은 경우에도 불구하고, 모기나 다른 자기 하나만 사용되어도 나머지 자기들은 사용이 안되는 방식이다.The wire / wireless phone of the above-mentioned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mosquitoes or the other magnets are not used even if the number of magnets is large, but the other magnets are not used.
종래의 유선/무선 겸용 전화기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a conventional wired / wireless combined telephone is as follows.
아날로그 코드리스 전화는 통상의 고정 전화선 중 옥내 배선 일부를 무선 회로로 바꾸어 놓고 반경 20M정도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갖고 다니면서 통화 할 수 있도록 한 전화기 세트이며, 접속 장치(고정장치)와 무선전화(휴대장치)로 구성된다.An analog cordless telephone is a telephone set that allows a user to carry and talk freely within a range of about 20 meters by replacing part of indoor wiring with a wireless circuit among ordinary fixed telephone lines, and a connection device (fixed device) and a wireless phone (mobile device). It consists of.
초기의 코드리스 전화는 전화선의 길이를 무선으로 연장시키는 단순한 형태 였으며, 고정 전화와 같이 수신과 송신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전2중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코드리스 전화는 최소한 두 개의 무선 채널이 필요하며 각 채널은 서로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충분히 떨어진 주파수를 사용하여야 한다.In the early days, cordless telephones were a simple form of extending the length of a telephone line wirelessly and operated in a double-duplex manner so that reception and transmission could be performed simultaneously like a fixed telephone. Therefore, cordless telephony requires at least two radio channels, each of which must use frequencies that are far enough apart to avoid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초기의 형태는 두 개의 채널(한 쌍이 하나의 통신 채널을 이룸)만 사용하였으므로 송신과 수신에 각각 한가지 주파수 만 사용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인접한 코드리스 전화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코드리스 전화는 출력이 매우 낮은 수준과 범위로 제한되었다.Early forms used only two channels (a pair constituted one communication channel), so that only one frequency could be us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us, to minimize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cordless phones, each cordless phone is limited to very low levels and ranges of output.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안이나 마당을 자유롭게 다니면서 통화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부각되어 현재 매우 보편화되었다.Nevertheless, being able to talk freely in the house or in the yard has emerged as an advantage and is now very common.
아직도 단일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 모델이 남아 있지만 현재의 코드리스 전화는 FM을 사용하면서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10개에서 15개 채널 쌍을 갖추고 있다.Although models still use a single communication channel, current cordless phones have 10 to 15 channel pairs for use with FM and with minimal interference.
또한 가장 많이 사용되는 10개 채널 쌍을 선별하는 기능,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최적의 주파수를 찾아 주는 기능도 부가되어 있다.It also adds the ability to select the 10 most used pairs of channels and find the optimal frequency before transmitting the signal.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 사용 중인 가정용 무선 전화기 세트는, 주지한 바와 같이 옥내 배선 일부를 무선 회로로 바꾸어 사용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주파수 대도 서로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충분히 떨어진 주파수를 사용하여야 한다.However, the home cordless telephone set used in the general home is a form in which part of the indoor wiring is replaced with a wireless circuit, as is well known, and the frequency band should also use a sufficiently separated frequency to avoid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그러므로 송신과 수신에 각각 한가지 주파수밖에 사용할 수밖에 없는 제약이 따르며, 인접한 지역에서 동시에 같은 제품을 사용할 경우 혼선의 가능성이 매우 높고 심지어 인접한 지역의 접속 장치가 동작되어 다른 세트의 접속 장치로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 restriction that only one frequency can be us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if the same product is used simultaneously in an adjacent area,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rosstalk, and even if the adjacent device is operated to make a call to another set of access devices. There were also disadvantages that occur.
또한, 상기와 같은 연유로 아직도 가까이 있는 두 코드리스 전화를 같은 시간대에 같은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In addition, it is not possible to use two cordless telephones which are still close to each other using the same frequency band at the same tim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유선/무선 겸용 전화기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wired / wireless combined telephon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유,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 및 무선간 상호 통화 방식을 개선하여 모기(고정장치)와 자기(휴대장치)간에 동시 통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모기와 자기, 자기와 자기간 내선 및 국선 통화가 자유롭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디지털 900㎒대의 40채널을 기본 방식으로 하는 디지털 유선/무선 겸용 전화기의 통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wired and wireless telephone, and in particular, to improve a mutual call between wired and wireless, so that simultaneous calls can be made between a mosquito (fixed device) and a mobile device (mobile device),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ll device and a method of a digital wired / wireless combined telephone based on a 40-channel digital channel of 900 MHz, which enables self and self-extension and trunk line calls to be made freel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900㎒의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무선 통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인접한 지역에서도 혼선 없이 깨끗한 음질과 안정적인 무선통신 신호를 확보하여 이상적인 시스템을 확보함과 동시에 모기의 국선 수용 능력을 확대하여 1 ∼ 5회선까지(최대 100회선까지 증설 가능함) 대표 번호를 부여하여 자동으로 빈 회선 찾아 연결시켜 주도록 한다.By adopting the 900 ㎒ digital communication method, the system secures an ideal system by ensuring clean sound quality and stabl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without interference in adjacent areas, and expands the mosquito's trunk line capacity by 1 to 5 lines ( It can be expanded up to 100 lines.) Assign a representative number to automatically find an empty line and connect it.
또한, 자기의 수량을 증가시켜 모기와 자기간 자기와 자기간은 모기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화 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신호 처리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국선 통화가 회선 수만큼 모기와 자기에서 자유롭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elf, by implementing a new signal processing method that can talk directly between the mosquito and the self without a mosquito, the CO line can be made free from the mosquito and self as much as the number of lines Make sure
또한, 다자간 통화 방식과 내선간에는 외부 선로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a direct call between a multi-party call system and an extension line through an external li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유선/무선 전화기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digital wired /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자동 교환 전화기(모기)의 일 실시 예를 보인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switching telephone (mosquito) of FIG.
도 3은 도 1의 무선 전화기(자기)의 일 실시 예를 보인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wireless telephone (self)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유선/무선 전화기의 통화 방법중 자동 교환 전화기에서의 국선 자동 인식 과정을 보인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a trunk line in an auto attendant telephone during a call method of a digital wired /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유선/무선 전화기의 통화 방법중 무선 전화기에서의 국선 자동 인식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a trunk line in a wireless telephone in a call method of a digital wired /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유선/무선 전화기의 통화 방법중 무선 전화기에서의 국선 및 내선 통화 과정을 보인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unk line and extension calls in a wireless telephone in a method of calling a digital wired /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자동 교환 전화기 101: 인터페이스부100: auto attendant telephone 101: interface unit
102, 202: 제어회로 103, 203: 주파수 합성기102, 202: control circuit 103, 203: frequency synthesizer
104: 송수신기 200: 무선 전화기104: transceiver 200: cordless phone
201: 송수신기 204: 송수신 회로201: transceiver 204: transceiver circuit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유선/무선 전화기의 통화 장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call apparatus of a digital wired /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참조 부호 100은 자동 교환 전화기로서, 기존 유선/무선 전화기와 대비하면 고정 장치인 모기를 나타낸다.Here, 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an automatic switching telephone, which represents a mosquito that is a fixed device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wired / wireless telephone.
상기 자동 교환 전화기(100)는 전화국선 5회선과 연결되고, 국선 및 내선 전화(교환대)가 걸려 오는 전화에 대한 신호를 검출하는 인터페이스부(101)와, 대표 번호로 묶여 있는 5회선 중 사용 중인 회선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국선 및 내선 수용 터미널 1 ∼ 5회선까지 40m/s간격으로 감시하고 있다가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하지 않는 회선을 검출하여 빈 회선 번호로 연결을 제어해 주며, 자동 교환 전화를 우선 순위 1번으로 지정하고, 무선전화의 우선 순위는 2 ~ 41번까지 지정하는 제어회로(102)와, 상기 제어회로(102)의 제어에 따라 우선 순위대로 순차적으로 자동 접속하고, 해당 국선의 수신 신호는 무선 주파수로 변조하고, 무선 전화로부터 전송된 무선 송신 신호는 복조 하여 상기 접속된 국선으로 출력해 주는 주파수 합성기(103)와, 상기 주파수 합성기(103)에서 출력되는 변조된 무선 주파수(데이터 및 음성신호)을 무선 전화기(200)로 송신해 주며, 그 무선 전화기(200)로부터 송신된 무선 주파수를 수신하여 상기 주파수 합성기(103)에 전달해 주는 송수신기(104)로 구성된다.The auto attendant telephone 100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5 lines, the interface unit 101 for detecting a signal for the incoming line and the extension telephone (switchboard) and the use of the five lines tied with the representative number In order to detect the busy line, it monitors the trunk line and the extension terminal 1 ~ 5 line at 40m / s interval, and when the signal is input, it detects the unused line and controls the connection with the empty line number. Is designated as the priority number 1, and the control circuit 102 for assigning the priority of the radiotelephone to the number 2 to 41, and automatically connected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circuit 102, the corresponding trunk line And a frequency synthesizer (103) for demodulating and outputting a radio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radio telephone to the connected trunk line, and the frequency synthesizer (103).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modulated radio frequency (data and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radio telephone 200 to the radio synthesizer 200 and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radio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radio telephone 200 to the frequency synthesizer 103. 104).
또한 참조 부호 200은 종래 유선/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같은 무선 전화기로서, 통상적으로 고정 전화선 중 옥내 배선 일부를 무선 회로로 바꾸어 놓고 반경 1㎞정도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휴대하면서 통화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eference numeral 200 is a wireless telephone such as a portable device of a conventional wired / wireless telephone. In general, a part of indoor wiring of a fixed telephone line is replaced with a wireless circuit, and the user can talk freely while carrying within a radius of about 1 km.
또한, 통화 버튼, 무선 마이크 버튼, 인터컴 버튼 그룹을 형성하고 인터컴 버튼 선택시 자동 교환 전화기(100)와 내선통화 및 다른 무선전화와 자동 교환 전화기(100)를 통하지 않고 일대일 통화가 가능한 칩셋을 채용하여 내선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일대 다자간 그룹 통화가 가능하고 통화 버튼 선택시 상기 자동 교환 전화기(100)와 통신하여 국선5회선 중 빈 회선을 자동으로 찾아 국선 통화를 할 수 있으며, 국선통화중 인터컴 버튼을 이용하여 무선전화와 무선전화간 그룹 국선 통화가 가능하다.In addition, by forming a call button, a wireless microphone button, an intercom button group, and adopting a chipset capable of one-to-one call without passing through the auto attendant telephone 100 and an extension call and another wireless telephone and the auto attendant telephone 100 when the intercom button is selected, It is possible to make an internal call, and a one-to-many multi-party group call is possible, and when a call button is selected, it can communicate with the auto attendant phone 100 to automatically find an empty line among five trunk lines and make a trunk line call. Group call between wireless phones and wireless phones is possible by using.
상기 무선 전화기(200)는 복수개(200 ~ 200+n)가 상기 자동 교환 전화기(100)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무선 전화기(200 ~ 200+n)의 각각의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하나의 무선 전화기(예를 들어, 참조 부호 200)의 구성 및 동작만을 설명한다.Since the plurality of wireless telephones 200 to 200 + n are connected to the automatic switching telephone 100,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telephones 200 to 200 + n are the sam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one wireless telephone (for example, reference numeral 200) will be described.
상기 무선 전화기(200)는 크게 상기 자동 교환 전화기(100) 또는 다른 무선 전화기(휴대장치)와 무선 주파수로 데이터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한 송수신기(201)와, 무선 전화기(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202)와, 송수신 데이터 및 음성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기 위한 주파수 합성기(203)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수신된 상대방 음성을 사용자에게 송출해 주며, 사용자가 조작하는 기능 및 전화번호(내선 번호 포함)를 입력받기 위한 송수신 회로(204)로 구성된다.The wireless telephone 200 is a transceiver 20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voice signals over a radio frequency with the automatic switching telephone 100 or another wireless telephone (mobile device) and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less telephone 200 A control circuit 202 for controlling, a frequency synthesizer 203 for modulating and demodulating data and a voice signal, a user's voice, and a user's voice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and the user operates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204 for receiving a telephone number (including an extension number).
상기에서 송수신 회로(204)는 크게 마이크, 스피커, 다이얼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와 연결된다.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 204 is largely connected to a keypad including a microphone, a speaker, and a dial button.
첨부한 도면 도 2는 상기 국선 5회선과 연결되는 자동 교환 전화기(100)의상세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automatic switching telephone 100 connected to the 5 main lines.
도시된 바와 같이, 달력, 시계, 내선 넘버, 다이얼 번호 등을 표시하는 장치인 LCD(111), 900㎒대의 송수신 안테나(112), 국선을 1 ∼ 5회선까지 선택하여 외부 전화를 사용하는 기능 버튼인 국선 전환 버튼(113), 휴대장치의 지정 번호를 선택하여 호출할 수 있는 버튼인 인터컴 버튼(114), 전화나 인터컴 사용시 다이얼을 송출할 때 사용하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이얼 버튼(115), 특수 기능 서비스를 위한 특수 기능 서비스 키(116)(118), 수화기를 들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117), 전화기의 후크 스위치를 통하지 않고 전화기를 온(ON)시킬 수 있으며 스피커로 통화할 수 있는 기능 스위치인 온/오프 스위치(119), 전화기 연결 통화 중 보류 음을 송출하고 다른 내선 번호로 연결할 수 있는 버튼인 보류 버튼(120), 마지막으로 걸었던 전화 번호를 재송출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재다이얼 버튼 및 다이얼을 잠시 멈추게 하고 사설 교환기에 연결하여 단축 번호에 메모리 하여 사용토록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재다이얼/포즈버튼(121), 전화기로 통화도중 제3자에게 내선 전환 통화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후레쉬(FLASH)버튼(122), 전화 통화중 제3자에게 내선 전환 및 해당 전화국의 특수 기능 서비스를 신청하여 이용할 때 해당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3자통화 버튼(123), 모기에서 휴대장치를 호출하거나 다른 전화기를 호출할 때 해당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내선 버튼(124), 전화 통화 중 음성이 외부로 송출되도록 하는 스피커(125), 음성을 입력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된 음성을 듣기 위한 송수화기(126), 수화기를 들면 다이얼 할 수 있는 후크 스위치로 수화기를 들고 다이얼할 때 사용하는 버튼인 발신 버튼(127), 전화통화시 음성 레벨을 조절 할 수 있는 볼륨 조정 스위치(128), DIGITAL 유선/무선 PCB(129), 전원 아답터를 유선/무선 전화 충전 장치와 전원 콘센트에 연결하는 단자인 전원 입력 단자(130), PC모뎀 또는 다른 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단자인 일반 전화 연결 단자(131), 국선 코드를 국선 가입자선에 2회선 입력 받을 수 있는 단자인 국선 입력 단자(132 ~ 136)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function button for using an external telephone by selecting an LCD (111) which is a device for displaying a calendar, a clock, an extension number, a dial number, a 900 MHz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112, and a trunk line from 1 to 5 lines IN CO line switching button 113, the intercom button 114 which is a button for selecting and calling a designated number of a mobile device, a dial button 115 for inputting a number used to transmit a dial when using a telephone or an intercom, Special function service keys 116 and 118 for special function services, a microphone 117 that can be used without picking up the handset, the phone can be turned on without a hook switch on the phone, On / off switch (119), which is a function switch, a hold button (120), which is a button for transmitting a held tone during a telephone connection call and connecting to another extension number, and resending the last dialed telephone number. Redial / pause button 121 for entering a function to pause the redial button and dial for input and connect to a private exchange to memorize and use the speed dial number. FLASH button 122 for inputting a function capable of making a call, a three-way call button for inputting a corresponding function when applying for an extension to a third party and a special function service of the telephone company during a phone call ( 123), an extension button 124 for inputting a corresponding function when calling a mobile device from a mosquito or another phone, a speaker 125 for transmitting voice to the outside during a phone call, and inputting and transmitting a voice from the other party A handset 126, which is a button used to pick up the handset and dial it with a hook switch to lift the handset and a handset to listen to the voice. (127), volume control switch (128) to adjust the voice level when making a phone call, DIGITAL wired / wireless PCB (129), a power input terminal that connects the power adapter to a wired /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power outlet 130, a general telephone connection terminal 131 that can be used to connect a PC modem or another telephone, and a CO line input terminal 132 to 136 that is a terminal to receive a two-line input to a trunk line subscriber line do.
첨부한 도면 도 3은 상기 무선 전화기(200)의 상세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telephone 200.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가 왔을 때나 인터컴(INTERCOM) 휴대장치(200) 호출시 신호 음을 송출하는 벨(BELL)(211), 상기 휴대장치(200) 착용시 줄을 연결할 수 있는 외관 구조물인 목걸이 고리(212), 상기 휴대장치(200)의 전원을 온 시키거나 오프 시킬 때 사용하는 스위치인 전원 온(ON)/오프(OFF) 스위치(213), 상기 휴대장치(200)와 연결되며, 송화/수화 연결 장치인 이어폰 마이크 연결잭(214), 900㎒대의 송수신 안테나(215), 전화 및 인터컴 사용시 음성전달 장치인 수화기(216), 전화통화시 자신의 음성이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상대방에게 들리지 않게 하기 위한 송화 차단키인 송화 차단키(MUTE Key)(217), 통화 상태에서 혼신이 있을 경우 혼신 없는 채널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인 채널 선택 버튼(218), 마지막으로 걸었던 전화번호를 재송출하기 위한 기능을 입력하고, 다이얼을 잠시 멈추게 하고 사설 교환기에 연결하여 단축 번호에 메모리하여 사용토록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재다이얼/포즈버튼(219), 휴대장치로 통화중 제3자에게 내선 전환 및 해당 전화국의 특수 기능 서비스를 신청하여 이용할 때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후레쉬(FLASH)버튼(220), 전화기 번호를 기억시키거나 기억시킨 전화 번호로 다이얼할 때 해당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메모리 버튼(221), 무선 마이크(MIC) 사용시 자신의 음성이 버튼을 누르는 동안 상대방에게 들리지 않게 하기 위한 기능을 입력하는 무선 마이크 뮤트버튼(222), 인터컴 기능을 설정, 일대일 또는 일대 다자간 기능을 설정하여 상대 호출번호 또는 그룹을 지정하여 통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버튼인 인터컴 기능 설정 버튼(223), 인터컴 기능을 정지시키고 다이어리 마이크 역할을 담당하여 앰프(AMP)나 기타 방송 장치에 라인 출력(LINE OUT)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입력하는 버튼인 방송 전용 입력 버튼(224), 인터컴 기능 및 방송 기능은 정지시키고 무선 전화기의 전화 대기 상태를 설정하며, 국선으로 연결되어 일반 무선전화기의 대기 상태를 만드는 대기/통화 버튼(225), 휴대장치가 사용 중임을 외부에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사용중 램프(226), 휴대장치 충전용 밧데리의 전압이 일정전압 이하로 떨어질 경우 경고음과 함께 시각적으로 경고해 주는 충전 램프(227), 전화나 인터컴 사용시 다이얼을 송출 할 때 사용하는 전화 번호 입력 버튼인 다이얼 버튼(228), 인터컴, 방송 전용 입력, 일반 무선전화기의 기능을 승인하여 통화 할 수 있게 하여주는 시행 장치(229), 상기 인터컴 기능이 설정되었을 때 일대일, 일대 다자간 연결 방식을 승인하여 통화할 수 있게 해주는 그룹 선택 장치(230), 전화기나 인터컴, 방송용 무선 마이크 기능을 하는 마이크 송화장치(231), 휴대장치의 전원을 베이스로부터 공급하여 밧데리에 충전하기 위한 밧데리 충전단자(232), 리디움 소자로서 충전 레벨을 지정하지 않고 충전하는 밧데리(233), 메인 PCB와 동일한 디지털 유선/무선 PCB(234)로 구성된다.As shown, a bell (211) for transmitting a signal tone when the call comes to the phone intercom (INTERCOM) portable device 200, the necklace which is an external structure that can connect the string when wearing the portable device 200 Ring 212, a power on (ON) / off (OFF) switch 213 which is a switch used to turn on or off the power of the portable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device 200, Earphone microphone connection jack 214, which is a handset connection device, a transmit / receive antenna 215 of 900MHz, a handset 216 that is a voice communication device when using a telephone and an intercom, and a voice caller so that his or her voice cannot be heard while pressing a button Call blocking key (MUTE Key) 217, which is a call blocking key for communication, if there is interference in a call state, a channel selection button 218, which is a button for switching to a channel without interference, resending the last dialed number Function to enter, dial Redial / pause button (219) for entering a function to memorize and temporarily connect to a private exchange and use it to memorize and use a speed dial number. FLASH button 220 for inputting a function when using the application, memory button 221 for inputting a corresponding function when dialing a stored phone number or memorizing a phone number, an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MIC) Wireless microphone mute button 222 for inputting a function to prevent the other party from being able to hear his / her voice while pressing the button, set the intercom function, set one-to-one or one-to-many function, and specify a call number or group for the call Intercom function setting button (223), which is a function button to stop the intercom function and act as a diary microphone The broadcast-only input button 224, which is a button for inputting a function to transmit the line out to an amplifier or other broadcasting device, stops the intercom function and the broadcasting function, and Standby / call button (225) connected to the trunk line to create a standby state of the normal radiotelephone, in-use lamp (226) to visually inform the outside that the portable device is in use, the voltage of the battery for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is constant Charge lamp (227) to visually warn you when it falls below voltage, dial button (228), a telephone number input button for dialing out dials when using a telephone or intercom, intercom, broadcast-only input, general wireless telephone Enforcement device (229) that allows the user to make a call by approving the function of the intercom function, when the intercom function is set Group selector 230 to allow a user to talk, a microphone or telephone intercom, a wireless microphone for broadcasting wireless microphone function 231, a battery charging terminal 232 for charging the battery by supplying power from the base to the portable device; As a lithium element, the battery 233 is configured to be charged without specifying a charge level, and the same digital wired / wireless PCB 234 as the main PCB is includ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유선/무선전화기의 통화 장치에 의거 본 발명에 의한 통화 방법을 첨부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Figures 4 to 6 attached to the cal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all device of the digital wired /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follows.
첨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유선/무선전화기의 통화 방법중 자동 교환 전화기(100)에서의 국선 인식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여기서 S는 단계(STEP)를 나타낸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 trunk line in an automatic switching telephone 100 of a call method of a digital wired /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S represents the step.
먼저 단계 S101에서는 자동 교환 전화기(100)의 핸드셋이 오프-훅크 상태인가를 확인한다.First, in step S101, it is checked whether the handset of the auto attendant phone 100 is in the off-hook state.
이 확인 결과 상기 핸드셋이 온-훅크 상태이면, 단계 S102에서 호신호가 발생되는가를 제어회로(102)내 검출기에서 체크한다.As a result of this confirmation, if the handset is in the on-hook state, the detector in the control circuit 102 checks whether a call signal is generated in step S102.
상기 체크 결과 호신호가 검출되거나 상기 핸드셋이 오프-훅크 상태이면, 단계 S103에서 빈 회선이 있는가를 체크한다.If a call signal is detected as the result of the check or the handset is in the off-hook state, it is checked in step S103 whether there is an empty line.
상기 체크 결과 빈 회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104에서 통화중 톤을 발생해 주고, 이와는 달리 상기 빈 회선을 체크한 결과 빈 회선이 존재하면, 단계 S105에서 빈 회선중 우선 순위를 판별한다.If the empty line does not exist as a result of the check, a busy tone is generated in step S104. Alternatively, if the empty line exists as a result of checking the empty line, the priority among the empty lines is determined in step S105.
그리고 단계 S106에서는 우선 순위에 따라 국선 접속 스위치를 제어하여 국선을 점유하게 된다.In step S106, the trunk line connection switch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iority to occupy the trunk line.
첨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유선/무선전화기의 통화 방법중 휴대장치인 무선전화기의 국선 자동 인식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a trunk line of a wireless telephone, which is a portable device, of a call method of a digital wired /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S는 단계(STEP)를 나타낸다.Where S represents the step.
먼저, 단계 S201에서 통화 버튼이 온(on) 상태인가를 체크한다. 이 확인 결과 통화 버튼이 오프 상태이면 단계 S202에서 호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체크한다.First, it is checked in step S201 whether the call button is on. If the call button is in the off state as a result of this checking, it is checked in step S202 whether a call signal is generated.
상기 체크 결과 호신호가 발생되거나 상기 통화 버튼이 온(on) 상태이면, 단계 S203에서 빈 회선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If a call signal is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check or the call button is on, it is checked in step S203 whether an empty line exists.
상기 체크 결과 빈 회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204에서 통화중 톤을 발생해 준다.If no empty line exists as a result of the check, a busy tone is generated in step S204.
이와는 달리 상기 빈 회선을 체크한 결과 빈 회선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S205에서 빈 회선중 우선 순위를 판별한다.On the contrary, if the empty line exists as a result of checking the empty line, the priority among the empty lines is determined in step S205.
그리고 단계 S206에서 빈 회선중 상기 판별한 우선 순위에 따라 국선 접속을 제어하여 국선을 점유토록 한다.In step S206, the CO line connec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among the free lines to occupy the CO line.
첨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유선/무선전화기의 통화 방법중 휴대장치인 무선 전화기에서 국선 및 내선통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making a trunk line and an internal call in a wireless telephone, which is a portable device, of a digital wired / wireless telephone cal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S는 단계(STEP)를 나타낸다.Where S represents the step.
먼저 단계 S301에서 통화 버튼이 온(on) 상태인가를 체크한다. 그 결과 상기 통화 버튼이 오프 상태이면 단계 S302에서 호신호가 발생했는지를 체크한다.First, in step S301, it is checked whether the call button is on. As a result, if the call button is in the off state, it is checked in step S302 whether a call signal has occurred.
상기 체크 결과 호신호가 발생되었거나 상기 통화 버튼이 온 상태이면, 단계 S303에서 호신호 접속 스위치를 접속시킨다.If a call signal is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check or the call button is on, the call signal connection switch is connected in step S303.
그리고 단계 S304에서 발생된 호 신호의 종류를 판별한다.Then, the type of call signal generated in step S304 is determined.
이 판별 결과 발생된 호신호가 국선이면, 단계 S305에서 국선 접속 스위치를 접속하고, 단계 S306에서 빈 회선이 존재하는가를 체크한다.If the call signal generated as a result of this determination is a trunk line, the trunk line connection switch is connected in step S305, and it is checked in step S306 whether an empty line exists.
상기 체크 결과 빈 회선이 존재하면 단계 S307에서 빈 회선중 우선 순위를 판별하고, 단계 S308에서 빈 회선중 상기 판별된 우선 순위에 따라 국선을 점유하게 된다.If there is an empty line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priority of the empty lines is determined in step S307, and the trunk line is occupi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among the empty lines in step S308.
만약, 상기 단계 S306에서 빈 회선의 존재 여부를 체크한 결과 빈 회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309에서 통화중 톤을 발생해 주게 된다.If there is no empty line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n empty line in step S306, a busy tone is generated in step S309.
한편, 단계 S304에서 호신호의 종류를 판별한 결과, 내선일 경우에는 단계 S310에서 내선 접속 스위치를 접속한다.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type of call signal in step S304, in the case of an extension, the extension connection switch is connected in step S310.
그리고 단계 S311에서 빈 회선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게 되고, 그 체크 결과 빈 회선이 존재할 경우에는 단계 S312에서 빈 회선중 내선 번호를 판별하고, 단계 S313에서 지정된 번호로 내선을 접속하게 된다.In step S311, it is checked whether an empty line exists. If the empty line exists as a result of the check, an extension number of the empty lines is determined in step S312, and an extension is connected to the number specified in step S313.
이와는 달리 상기 단계 S311의 체크 결과 빈 회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309에서 통화중 톤을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empty line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311, a busy tone is generated in step S309.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유선/무선 겸용 전화기의 통화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모기와 자기간, 자기와 자기간 멀티플한 통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자기 수량의 확대가 가능하고, 자기간 그룹 통화가 가능하며, 자기국선통화시 다른 자기도 참여하는 3자통화 기능 외에 그룹 통화 기능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alling device and method of a digital wired / wireless combined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applying a multipl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squito and the self, the magnetic and the magnetic,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magnetic quantity, It is possible to have a group call between them, and in addition to the three-party call function in which other parties participate in the own call,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group call function is also possible.
또한, 국선을 1 ∼ 100회선 이상까지 수용하여 빈 회선을 자동 인식하여 찾아 주는 기능이 가능하고, 자기의 국선 통화 채널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unction of acquiring the trunk line up to 1-100 lines or more and automatically recognizing and finding an empty line is possible, and it is effective in expanding the trunk line communication channel of the trunk lin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54500A KR100369567B1 (en) | 2000-09-16 | 2000-09-16 |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wire/wireless digital tele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54500A KR100369567B1 (en) | 2000-09-16 | 2000-09-16 |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wire/wireless digital telephon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6089U Division KR200215213Y1 (en) | 2000-09-18 | 2000-09-18 |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 of wire/wireless digital teleph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72635A KR20000072635A (en) | 2000-12-05 |
KR100369567B1 true KR100369567B1 (en) | 2003-01-29 |
Family
ID=1968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545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369567B1 (en) | 2000-09-16 | 2000-09-16 |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wire/wireless digital tele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6956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58474A (en) * | 1999-12-30 | 2001-07-06 | 박승우 | Wireless digital telephon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89727A (en) * | 1990-04-05 | 1991-12-19 | Toshiba Corp | Radio communication system |
KR920011098A (en) * | 1990-11-23 | 1992-06-27 | 정용문 | Cordless Phones for Mobile Devices |
KR950005012U (en) * | 1993-07-14 | 1995-02-18 | 김범진 | Landline, cordless telephone integrated two-line telephone |
KR960016310A (en) * | 1994-10-19 | 1996-05-22 | 김주용 | Two-Line Wired / Wireless Composite Phones and Their Methods |
KR970056615A (en) * | 1995-12-13 | 1997-07-31 | 양승택 | Calling method between wireless terminals through extension when making phone calls in wireless telephone system |
KR19980046093A (en) * | 1996-12-11 | 1998-09-15 | 김광호 | Extension Call between Mobile Devices in Wireless Telephones |
KR19980069086A (en) * | 1997-02-26 | 1998-10-26 | 구자홍 | Calling device between mobile devices of wireless telephone and method |
-
2000
- 2000-09-16 KR KR10-2000-0054500A patent/KR10036956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89727A (en) * | 1990-04-05 | 1991-12-19 | Toshiba Corp | Radio communication system |
KR920011098A (en) * | 1990-11-23 | 1992-06-27 | 정용문 | Cordless Phones for Mobile Devices |
KR950005012U (en) * | 1993-07-14 | 1995-02-18 | 김범진 | Landline, cordless telephone integrated two-line telephone |
KR960016310A (en) * | 1994-10-19 | 1996-05-22 | 김주용 | Two-Line Wired / Wireless Composite Phones and Their Methods |
KR970056615A (en) * | 1995-12-13 | 1997-07-31 | 양승택 | Calling method between wireless terminals through extension when making phone calls in wireless telephone system |
KR19980046093A (en) * | 1996-12-11 | 1998-09-15 | 김광호 | Extension Call between Mobile Devices in Wireless Telephones |
KR19980069086A (en) * | 1997-02-26 | 1998-10-26 | 구자홍 | Calling device between mobile devices of wireless telephone and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72635A (en) | 2000-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197031A (en) | Method and an equipment for transmission of telephone calls to a portable, wireless telephone set | |
US8457614B2 (en) | Wireless multi-unit conference phone | |
CA1175933A (en) | Subscriber telephone station | |
JPS63283390A (en) | Telephone equipment | |
EP0660628A2 (en) | A radio telephone adaptor | |
US6608889B2 (en) | Telephone having convenience feature data transfer capability | |
TW469724B (en) | Cordless telephone system with listening-in capability | |
KR100369567B1 (en) |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wire/wireless digital telephone. | |
KR200215213Y1 (en) |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 of wire/wireless digital telephone. | |
JP2506765B2 (en) | Wireless telephone equipment | |
KR200380553Y1 (en) | Union Type Communication Operation Device | |
KR100381698B1 (en) | Analogue/Digital radio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 |
JP2718099B2 (en) | Cordless telephone | |
KR200256979Y1 (en) | A dialing apparatus in telephone | |
RU2171545C1 (en) | Cordless speaker phone | |
JP3308067B2 (en) | Cordless telephone | |
EP0982914A2 (en) | A telephone linked with an external audio set | |
KR200218014Y1 (en) | Analogue/Digital radio broadcasting circuit | |
JP3233479B2 (en) | Wireless telephone system | |
KR10024810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ct-2 line and co line selecting in pbx | |
JP3420416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0254224Y1 (en) | Apparatus for announcing a cid number by voice message in a cid service telephone | |
JPH0495453A (en) | House management system | |
KR20030046032A (en) | Mobile Phone Call System Using Regular Phone and Base Station Set Used in the System | |
JPH0937331A (en) |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30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3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2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