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40778B1 -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질환치료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질환치료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778B1
KR100240778B1 KR1019970067407A KR19970067407A KR100240778B1 KR 100240778 B1 KR100240778 B1 KR 100240778B1 KR 1019970067407 A KR1019970067407 A KR 1019970067407A KR 19970067407 A KR19970067407 A KR 19970067407A KR 100240778 B1 KR100240778 B1 KR 100240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benzyloxy
methyl
formula
hydrogen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8648A (ko
Inventor
최혜진
이경준
최명희
김대훈
곽승준
정광원
문성환
이수진
정재욱
하종렬
오세웅
김종명
권민창
Original Assignee
이병언
주식회사중외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언, 주식회사중외제약 filed Critical 이병언
Priority to KR1019970067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778B1/ko
Priority to EP98944315A priority patent/EP1045841B1/en
Priority to US09/530,796 priority patent/US6262083B1/en
Priority to PCT/KR1998/000273 priority patent/WO1999023090A1/en
Priority to ES98944315T priority patent/ES2189238T3/es
Priority to AU91886/98A priority patent/AU9188698A/en
Priority to DE69809967T priority patent/DE69809967T2/de
Publication of KR19990048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7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9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or with ring systems containing such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06Peri-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간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하기 화학식 1의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
Figure kpo00000
상기식에서
R1은 수소원자, 저급알킬 또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내고,
R2는 저급알킬 또는 벤질을 나타내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을 나타내고,
R4는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벤질옥시, 니코티노일옥시 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질환치료제 조성물
본 발명은 우수한 간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하기 화학식 1의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입체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
화학식 1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1은 수소원자, 저급알킬 또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내고,
R2는 저급알킬 또는 벤질을 나타내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을 나타내고,
R4는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벤질옥시, 니코티노일옥시, 이소니코티노일옥시, 2-피리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카보닐메톡시를 나타내거나,
R3및 R4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원자 및 탄소원자와 함께
Figure kpo00002
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서
Figure kpo00003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내며, R5는 에틸 또는 p-톨루엔설포닐을 나타내고,
단, R1이 메틸을 나타내고, R3가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경우에 R4는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신체장기중 생체내 대사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간에 바이러스나 각종 약품과 같은 유해물질, 영양부족 등 여러 다양한 원인에 의해 급성 또는 만성의 장애가 일어나면 지방간, 간염, 황달, 간경변, 간경화, 간암등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간질환을 치료하는 공지의 치료제로는 실리마린(참조: Biotech, Therapeutics, 4, 263-270, 1993), 말로틸레이트(참조: Japan, J. Exp. Med., 56, 235-245, 1986; Biochem. Biophy. Res. Comm., 200, 1414, 1994), 디디비(참조: Biochem. Biophy. Res. Comm., 103, 1131-1137, 1981), 플루메시놀(참조: USP 4,039,589 호) 등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식사요법, 대중요법, 스테로이드제, 면역제제 등의 약물요법을 이용하여 간질환을 치료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나 그 치료효능은 미미한 실정이며, 천연물에서 분리된 이리도이드 유도체인 피크로리브(피크로시드 I과 쿠루아를 함유하는 엑기스)에 간보호활성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으나(참조: Indian, J. Med. Res., 92, 195-200, 1990; USP 5,145,955 호), 간보호활성을 갖는 이리도이드 유도체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는 지금까지 공지된 바가 없다.
한편, 하기 화학식 2의 제니핀 및 화학식 3의 오쿠빈은 이리도이드 계통의 천연물로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는 기작을 통해 B형 간염의 치료제로 작용한다고 보고되어 있다(참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94-1886 호).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상기 구조의 제니핀 및 오쿠빈은 항 바이러스 활성을 비롯하여 간보호작용, RNA 및 단백질 생합성의 억제, 해독활성 등의 생체활성을 갖고 있으며, 특히 제니핀의 경우 항암제로서의 유효성도 보고되어 있다(일본국 특허 공개 제 80/164625 호). 그러나, 이들 화합물은 또한 생체내에서 분해되어 디알데히드를 생성하는데, 생성된 디알데히드는 알부민 등 생체내 단백질의 아미노산 잔기와 결합함으로써, 뇨, 변 및 각종 장기를 푸른 빛으로 변화시키고 면역독성을 유발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는 상기 제니핀 및 오쿠빈 이외에도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언급할 수 있으며(참조: 국제 특허 공개 제 WO 92/06061 호 및 유럽 특허 공개 제 EP 0505572 호), 이들은 고지혈증 치료제나 이담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
R1은 벤조일옥시, 하이드록시, 아세톡시 또는 에톡시에톡시를 나타내고,
R2는 벤조일옥시메틸, 메톡시메틸, 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 카복시 또는 하이드록시메틸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상기 언급한 선행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B 형 간염 바이러스의 억제에 있어서 종래 화합물들보다 우수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개발하기 위해 오쿠빈 및 제니핀의 유도체로서 신규한 일련의 화합물을 합성하고 이들의 항바이러스 활성 및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이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5-38181 호, 96-46732 호 및 97-14907 호로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이에 그치지않고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의 합성 및 그의 약리활성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옥사인덴환의 2, 5, 및 7 위치가 치환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새로이 합성하였다. 그리고, 이 화합물이 우수한 간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가 우수한 화학식 1의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치료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간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가 우수한 하기 화학식 1의 제니핀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입체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kpo00007
상기식에서
R1은 수소원자, 저급알킬 또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내고,
R2는 저급알킬 또는 벤질을 나타내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을 나타내고,
R4는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벤질옥시, 니코티노일옥시, 이소니코티노일옥시, 2-피리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카보닐메톡시를 나타내거나,
R3및 R4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원자 및 탄소원자와 함께
Figure kpo00008
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서
Figure kpo00009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내며, R5는 에틸 또는 p-톨루엔설포닐을 나타내고,
단, R1이 메틸을 나타내고, R3가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경우에 R4는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가 아니다.
우수한 간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중에서도 바람직한 화합물은 R1은 수소원자, 메틸, 이소프로필 또는 나트륨을 나타내고, R2는 메틸 또는 벤질을 나타내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4는 하이드록시, 메톡시, t-부톡시, 벤질옥시, 니코티노일옥시, 이소니코티노일옥시, 2-피리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카보닐메톡시를 나타내거나, R3및 R4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원자 및 탄소원자와 함께
Figure kpo00010
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서
Figure kpo00011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내며, R5는 에틸 또는 p-톨루엔설포닐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OR2그룹이 부착되어 있는 탄소원자는 비대칭 중심(asymmetric center)을 이루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R 또는 S 형태이거나 R 및 S 형태의 혼합물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이들 각각의 입체이성체 및 이들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는 아스파라긴산염, 글루콘산염, 염산염, p-톨루엔설폰산염 또는 구연산염 등과 같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 피리딘염 또는 암모니아염 등과 같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부가염, 그밖에 이리도이드계 화합물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다른 산 또는 염기와의 염을 언급할 수 있다. 이들은 통상의 전환공정에 의하여 제조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하기에 설명하는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 기재되거나 선행문헌에 개시된 여러 가지 합성방법을 임의로 조합함으로써 극히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러한 조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범용화된 통상의 기술이다.
1) 먼저, R1이 메틸이고 R2가 저급알킬 또는 벤질이며, R3가 수소원자이고, R4가 t-부톡시, 벤질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메톡시 또는 2-피리딜메톡시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즉, 단계 1에서 트리플루오로보란 디에틸에테르 존재하에 제니핀을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알콜 또는 벤질알콜과 반응시켜 제니핀의 5번 탄소에 위치한 하이드록시를 저급알콕시 또는 벤질옥시로 전환시키고, 단계 2에서 피리디늄클로로크로메이트(PCC)를 사용하여 7번 탄소에 위치한 하이드록시메틸을 포르밀로 산화시킨 후 생성된 화합물을 단계 3에서 t-부톡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벤질옥시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카보닐메톡실아민 헤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2-피리딜메톡실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목적화합물을 제조한다.
Figure kpo00012
상기 반응식 1에서
R2는 저급알킬 또는 벤질을 나타내고,
R4' 는 t-부톡시, 벤질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메톡시 또는 2-피리딜메톡시를 나타낸다.
반응식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단계 2 반응 후에 생성되는 제니핀 유도체는 5번 탄소에 부착된 -OR2그룹의 입체화학적 배열에 따라 R 또는 S 형태의 입체이성체로 존재한다. 따라서, 단계 2 반응을 수행한 후에 각각의 이성체로 분리하여 각 이성체를 다음 반응에 이용한다.
2) R1이 메틸이고, R2가 저급알킬 또는 벤질이며, R3가 수소원자이고, R4가 니코티노일옥시 또는 이소니코티노일옥시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1에서 포르밀화합물을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킨 후, 생성된 화합물을 단계 2에서 니코티노일할라이드 또는 이소니코티노일할라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13
상기 반응식 2에서
R2는 저급알킬 또는 벤질을 나타내고,
R4" 는 니코티노일옥시 또는 이소니코티노일옥시를 나타낸다.
3) R1이 메틸이고, R2가 저급알킬 또는 벤질이며, R3및 R4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원자 및 탄소원자와 함께 4-(p-톨루엔설포닐옥시카보닐)티아졸린-2-일 또는 4-에톡시카보닐티아졸-2-일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1에서 포르밀 화합물을 L-시스테인 또는 L-시스테인 에틸에스테르와 반응시킨 다음, 생성된 화합물을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p-톨루엔설포닐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키거나(단계 2a) 망간디옥사이드와 함께 반응시켜(단계 2b) 각각 제조한다.
Figure kpo00014
상기 반응식 3에서
R2는 저급알킬 또는 벤질을 나타내고,
R5' 는 수소 또는 에틸을 나타낸다.
4) R1이 메틸이고, R2가 저급알킬 또는 벤질이며, R3가 저급알킬이고, R4가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벤질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알콕시, 니코티노일옥시, 이소니코티노일옥시 또는 2-피리딜메톡시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한다. 즉, 단계 1에서 포르밀 화합물을 메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나 에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와 같은 저급알킬마그네슘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2차 알콜화합물을 제조하고, 단계 2에서 알콜화합물을 PCC등의 산화제로 처리하여 케톤화합물을 제조한 다음, 단계 3에서 반응식 1의 단계 3에서와 같이 상응하는 아민화합물과 반응시켜 목적화합물을 제조한다.
Figure kpo00015
상기 반응식 4에서
R2는 저급알킬 또는 벤질을 나타내고,
R3' 는 저급알킬을 나타내며,
R4"' 는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벤질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알콕시, 니코티노일옥시, 이소니코티노일옥시 또는 2-피리딜메톡시를 나타낸다.
5) R1이 이소프로필이고, R2, R3, 및 R4가 상기 화학식 1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니핀의 5-번 위치가 치환된 화합물을 용매로도 작용하는 이소프로판올과 함께 티타늄이소프로폭사이드와 같은 루이스산 존재하에 반응시켜 2-번 위치의 메톡시카보닐을 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로 전환시킨 후 반응식 1 내지 4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Figure kpo00016
상기 반응식 5에서
R2, R3, 및 R4는 화학식 1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다.
6) R1이 수소원자 또는 알칼리금속이고, R2가 저급알킬 또는 벤질이며, R3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고, R4가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벤질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알콕시, 니코티노일옥시, 이소니코티노일옥시 또는 2-피리딜메톡시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한다. 즉, 반응식 1, 2, 및 4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물과 아세토니트릴의 혼합용매중에서 3당량의 수산화나트륨과 반응시킨 후 진한 염산으로 처리하여 R1이 수소원자인 화합물을 제조한 다음, 이 화합물을 1 당량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로 처리하여 R1이 알칼리금속인 목적화합물을 제조한다.
Figure kpo00017
상기 반응식 6에서
R1' 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내고,
R2는 저급알킬 또는 벤질을 나타내며,
R3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을 나타내고,
R4"' 는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벤질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알콕시, 니코티노일옥시, 이소니코티노일옥시 또는 2-피리딜메톡시를 나타낸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상기 방법 1 내지 6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된 공지의 화합물들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5-38181 호 및 96-46732 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신규 제니핀 유도체의 간보호효과는 사염화탄소 모델과 D-갈락토사민 모델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사염화탄소 모델(참조: Philippe letteron et al., Biochemical Pharma- cology, 39, 12, 2027-2034, 1990; Tips, 10, 1989; Kyoichi Kagawa et al., Japan J. Pharmacol., 42, 19-26, 1986; K. T. Liu and P. Lesca, Chem. Biol. Interactions, 41, 39-47, 1982; Richard O. et al., J. Biological Chemistry, 236, 2, 1961)은 실험적 간장해 모델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염화탄소가 체내 사이토크롬 P-450에 의해 독성이 강한 대사물인 트리클로로메틸 자유라디칼(CCl3·)로 전환되고 이 대사물이 간 마이크로좀의 막단백 티올기와 강하게 결합하여 지질라디칼(lipid radical)을 형성하며 산소 존재시 과산화라디칼(peroxy radical)로 되어 막의 지질 과산화반응을 촉진하는 현상을 기초로하여 확립된 것이다. 즉, 사염화탄소는 간에서의 단백질 생합성을 억제하고, 혈중 ALT, AST 치의 증가를 야기시키며, 조직학적으로는 간세포의 소엽중심성 괴사를 일으킨다.
또한, 본 발명화합물의 간보호작용을 D-갈락토사민 모델(참조: Koji Hase et al., Biol. Pharm. Bull., 20, 4, 381-385, 1997; Jun-ichi Nagakawa et al., J.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64, 1, 1992; Toxicology of the Liver, Raven Press, New York, 1985)에 의해서도 확인하였다. D-갈락토사민을 과량 투여하는 경우 생성되는 N-아실 갈락토사민은 UDP-갈락토사민, UDP-N-아실갈락토사민의 기질로 작용하는데, UDP-글루코스, UDP-헥소사민의 과잉합성은 간세포내 UTP의 결합과 UDP-글루코스, UDP-갈락토스 생합성을 저해하므로 결국은 간세포막 구조의 변화와 기능변화를 야기시켜 소엽산재성 괴사 및 혈중 ALT, AST치의 상승을 일으키게 된다. D-갈락토사민에 의한 독성의 발현은 바이러스성 간염과 유사하여 이에 대한 모델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랫트를 실험동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규화합물을 4일간 경구투여한 후 사염화탄소 및 D-갈락토사민 유발 간장해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각 실험동물의 간 손상정도는 혈청중 ALT, AST 치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으며(참조: Biol. Pharm. Bull., 20, 4, 381-385, 1997;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95, 1-11, 1988), 본 발명 화합물의 간 보호활성은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참조: Planta Medica, 55, 127-132, 1989). 이때, ALT 값 대신에 AST 값을 사용하여서도 동일한 수식에 의거하여 간보호활성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1019970067407_B1_M0001
상기 수학식에서 정상군(Normal)은 용제만 투여받은 군을 나타내며, 대조군(Control)은 사염화탄소 및 D-갈락토사민을 투여받아 간손상이 유발된 군을 나타내고, 화합물 투여군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4회 투여하고 마지막으로 투여한지 30분 후에 사염화탄소 또는 D-갈락토사민을 투여한 군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간보호제로서 널리 공지되어있는 실리마린에 비해서도 우수한 간보호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일반적인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1 회 경구투여시 각 화합물의 LD50은 2,000mg/kg 이상으로서 상당히 안전한 화합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간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지니고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치료제 조성물을 제공함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제 조성물은 임상학적으로 투여시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담체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배합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약제학적 제제로 제형화시켜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담체는 고체이거나 액체일 수 있으며 희석제, 향미제, 가용화제, 윤활제, 현탁제, 결합제, 정제팽화제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고체 또는 액체 담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유당, 전분, 만니톨, 면실유 등을 언급할 수 있다.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목적으로 사용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활성화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초기에는 하루에 체중 킬로그람당 0.1 내지 100㎎의 투여량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투약량은 환자의 필요정도, 치료되어야할 상태의 정도, 사용될 화합물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특정한 상태에서 바람직한 투약량을 결정하는 것은 본 분야의 전문가에게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화합물의 최적량보다 적은 투약량으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상황에 따라 최적의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조금씩 투약량을 증가시킨다. 필요에 따라 하루 총 투약량을 몇회로 나누어 하루 동안 투여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기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메틸 (1S,5R,6S)-5-벤질옥시-7-(t-부톡시이미노메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kpo00018
메틸 (1S,5R,6S)-5-벤질옥시-7-포르밀-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0.63g, 2.00mmol)를 메탄올과 물의 혼합액(11㎖, 10/1, v/v)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t-부톡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34g, 2.71mmol)를 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다가 반응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 후, 포화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n-헥산/에틸아세테이트=10/1, v/v)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0.64g, 수율 83%)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MHz, CDCl3) : δ 1.19(s, 9H), 2.37-2.45(m, 1H), 2.82-2.92(m, 1H), 3.38-3.40(m, 2H), 3.75(s, 3H), 4.63(d, 1H, J=12.3Hz), 4.83(d, 1H, J=12.3 Hz), 5.70(d, 1H, J=2.6㎐), 6.06(s, 1H), 7.29-7.37(m, 5H), 7.50(s, 1H), 7.83 (s, 1H)
13C NMR(CDCl3) : δ 27.84, 33.09, 39.34, 47.54, 51.51, 70.53, 79.13, 97.04, 112.04, 128.19, 128.26, 128.83, 136.79, 137.65, 138.21, 145.09, 152.33, 168.11
MASS : 386[M+1]+
실시예 2: 메틸 (1S,5R,6S)-5-벤질옥시-7-벤질옥시이미노메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kpo00019
t-부톡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벤질옥시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수율 83%)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 δ 2.36-2.43(m, 1H), 2.86-2.94(m, 1H), 3.34- 3.39(m, 2H), 3.76(s, 3H), 4.60(d, 1H, J=12.1Hz), 4.84(d, 1H, J=12.1Hz), 5.03(s, 2H), 5.53(d, 1H, J=3.9㎐), 6.15(s, 1H), 7.29-7.40(m, 5H), 7.52(s, 1H), 7.94(s, 1H)13
C NMR(CDCl3) : δ 33.52, 39.61, 47.08, 51.51, 70.79, 76.61, 97.72, 111.77, 128.16, 128.23, 128.29, 128.38, 128.43, 128.76, 136.26, 137.68, 137.92, 139.61, 146.61, 152.44, 168.06
MASS : 420[M+1]+, 442[M+23]+
실시예 3: 메틸 (1S,5R,6S)-5-벤질옥시-7-하이드록시카보닐메톡시이미노메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kpo00020
t-부톡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하이드록시카보닐메톡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수율 44%)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 δ 2.31-2.39(m, 1H), 2.86-2.95(m, 1H), 3.23- 3.27(m, 1H), 3.31-3.36(m, 1H), 3.75(s, 3H), 4.55(s, 2H), 4.62(d, 1H, J=12.1 Hz), 4.86(d, 1H, J=12.1Hz), 5.34(d, 1H, J=4.8㎐), 6.23(bs, 1H), 7.29-7.36(m, 5H), 7.52(s, 1H), 7.98(s, 1H)
13C NMR(75 MHz, CDCl3) : δ 33.94, 39.75, 51.65, 70.56, 70.79, 97.65, 111.49, 128.31, 128.39, 128.77, 128.91, 135.72, 137.35, 141.57, 148.23, 152.63, 168.11, 174.75
MASS : 388[M+1]+, 410[M+23]+
실시예 4: 메틸 (1S,5R,6S)-5-벤질옥시-4-옥사-7-(2-피리딜메톡시이미노메틸)-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kpo00021
2-피리딜카빈올(2.41㎖, 24.98m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120㎖)에 용해시킨 후 트리에틸아민(9.40㎖, 67.44mmol)을 가하고 0℃로 냉각시켰다. 여기에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3.48㎖, 67.44mmol)를 적가하고 동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포화중조수와 포화식염수로 세척해주고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n-헥산/에틸아세테이트=1/1, v/v)로 정제하여 2-(메탄설포닐옥시메틸)피리딘(3.34g, 수율 71%)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화합물을 아세토니트릴(200㎖)에 용해시킨 후, 포타슘카보네이트(4.94g, 35.74mmol) 및 N-(t-부톡시카보닐)하이드록실아민(2.8g, 21.41mmol)을 가하여 3시간동안 환류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 후, 포화중조수로 세척하고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n-헥산/에틸아세테이트=2/1, v/v)로 정제하여 N-(t-부톡시카보닐)-O-(2-피리딜메틸)하이드록실아민(1.67g, 7.45mmol, 수율 42%)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화합물(1g, 4.46mmol)에 염산가스로 포화된 에틸아세테이트(50㎖)를 가해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다가 농축시켜 O-(2-피리딜메틸)하이드록실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수득하였다. 이 후, t-부톡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O-(2-피리딜메틸)하이드록실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표제화합물(0.86g, 수율 46%)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CDCl3) : δ 2.35-2.42(m, 1H), 2.84-2.94(m, 1H), 3.27-3.39(m, 2H), 3.74(s, 3H), 4.55(d, 1H, J=12.1㎐), 4.79(d, 1H, J=12.1㎐), 5.17(s, 2H), 5.48(d, 1H, J=4.1Hz), 6.18(bs, 1H), 7.21(dd, 1H, J=5.4, 7.1Hz), 7.28-7.40(m, 6H), 7.49(s, 1H), 7.67(dt, 1H, J=1.7, 7.7Hz), 8.01(s, 1H), 8.60(d, 1H, J=4.5Hz)
13C NMR(75MHz, CDCl3) : δ 33.53, 39.58, 47.08, 51.52, 70.79, 77.07, 97.64, 111.72, 122.30, 122.81, 128.14, 128.74, 136.07, 136.83, 137.56, 140.07, 147.15, 149.61, 152.43, 158.41, 168.03
MASS : 420[M]+
실시예 5: 메틸 (1S,5R,6S)-5-벤질옥시-7-(니코티노일옥시이미노메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kpo00022
메틸 (1S,5R,6S)-5-벤질옥시-7-포르밀-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1.0g, 3.18mmol)를 메탄올과 물의 혼합액(11㎖, 10/1, v/v)에 용해시키고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44g, 6.36mmol)를 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다가 과량의 물을 넣으면 흰색 고체가 생성되었다. 생성된 흰색 고체를 감압하에 여과하고 물로 여러번 세척한 후 감압하에 건조시키 흰색 고체상의 메틸 (1S,5R,6S)-5-벤질옥시-7-하이드록시이미노메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1g, 수율 95%)가 수득되었다.
니코틴산(1.12g, 9.11m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20㎖)에 현탁시키고 옥살릴클로라이드(1.59㎖, 18.22mmol)를 가한 다음 2시간동안 환류교반한 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농축된 잔류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20㎖)에 녹이고 피리딘(5㎖)을 가한 다음 앞에서 수득한 메틸 (1S,5R,6S)-5-벤질옥시-7-하이드록시이미노메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1g, 3.04mmol)를 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에 녹이고 포화중조수, 포화식염수 순으로 세척하였다.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농축시키고 농축된 잔류물은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n-헥산/에틸아세테이트=1/2, v/v)로 정제하여 연한 노란색 오일상의 표제화합물(1.12g, 수율 85%)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CDCl3) : δ 2.49(m, 1H), 3.00(m, 1H), 3.33(m, 1H), 3.78(s, 3H), 4.70(d, 1H, J=11.8㎐), 4.92(d, 1H, J=11.7㎐), 5.61(d, 1H, J=3.2 ㎐), 6.59(s, 1H), 7.32(m, 5H), 7.47(dd, 1H, J=5.1, 7.8Hz), 7.57(s, 1H), 8.32(s, 1H), 8.37(d, 1H, J=7.9Hz), 8.86(bs, 1H), 9.29(bs, 1H)
13C NMR(75MHz, CDCl3) : δ 34.13, 39.97, 47.01, 51.62, 71.37, 98.44, 111.30, 123.89, 125.26, 128.17, 128.73, 134.94, 137.54, 137.56, 145.86, 151.12, 152.17, 154.18, 154.45, 162.85, 167.90
실시예 6: 메틸 (1S,5R,6S)-5-벤질옥시-7-이소니코티노일옥시이미노메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kpo00023
니코틴산 대신에 이소니코틴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에서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수율 87%)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CDCl3) : δ 2.48(m, 1H), 3.01(m, 1H), 3.42(m, 2H), 3.78 (s, 3H), 4.68(d, 1H, J=11.8㎐), 4.92(d, 1H, J=11.8㎐), 5.59(d, 1H, J=4.4㎐), 6.60(s, 1H), 7.38(m, 5H), 7.54(s, 1H), 7.89(d, 1H, J=6.0㎐), 7.89(d, 1H, J=2.8㎐), 8.33(s, 1H), 8.84(d, 1H, J=6.0Hz), 8.84(d, 1H, J=2.9Hz)
실시예 7: 이소프로필 (1S,5R,6S)-5-벤질옥시-7-하이드록시이미노메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kpo00024
메틸 (1S,5R,6S)-5-벤질옥시-7-하이드록시메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1.45g, 4.58㎜ol)를 이소프로판올(30㎖)에 용해시키고 티타늄이소프로폭사이드(2.73㎖, 9.16mmol)를 가하여 하룻밤동안 환류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0℃로 냉각시킨 후 1N-염산을 적가해 반응을 종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 후, 유기층을 분리하여 포화중조수와 포화식염수로 세척해주었다.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이소프로필 (1S,5R,6S)-5-벤질옥시-7-하이드록시메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1.47g, 4.27mmol, 수율 93%)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화합물(1.47g, 4.27m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150㎖)에 용해시키고 셀라이트(1.84g)와 피리디늄클로로크로메이트(1.84g, 8.54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다가 셀라이트를 통과하여 여과한 다음 여액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n-헥산/에틸아세테이트=7/1, v/v)로 정제하여 노란색 오일상의 이소프로필 (1S,5R,6S)-5-벤질옥시-7-포르밀-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1.02g, 수율 70%)를 수득하였다.
1H NMR (300㎒, CDCl3) : δ 1.29(d, 6H, J=6.2㎐), 2.51-2.59(m, 1H), 2.98-3.07(m, 1H), 3.35-3.41(m, 2H), 4.66(d, 1H, J=12.0㎐), 4.88(d, 1H, J=12.0 ㎐), 5.11(Sep, 1H, J=6.3Hz), 5.40(d, 1H, J=4.4㎐), 6.98(t, 1H, J=2.5㎐), 7.31-7.48(m, 5H), 7.57(s, 1H), 9.79(s, 1H)
메틸 (1S,5R,6S)-5-벤질옥시-7-포르밀-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 및 t-부톡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이소프로필 (1S, 5R,6S)-5-벤질옥시-7-포르밀-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 및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수율 70%)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CDCl3) : δ 1.28(d, 6H, J=6.2㎐), 2.23-2.31(m, 1H), 2.88-2.98(m, 1H), 3.18-3.23(m, 1H), 3.28-3.33(m, 1H), 4.67(d, 1H, J=12.2㎐), 4.91(d, 1H, J=12.1㎐), 5.11(Sep, 1H, J=6.2Hz), 6.20(s, 1H), 7.27-7.37(m, 5H), 7.52(s, 1H), 7.89(bs, 1H), 7.94(s, 1H)
실시예 8: 이소프로필 (1S,5R,6S)-5-벤질옥시-7-메톡시이미노메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kpo00025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메톡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의 마지막 단계에서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수율 89%)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CDCl3) : δ 1.29(d, 6H, J=6.3㎐), 2.33-2.40(m, 1H), 2.80-2.86(m, 1H), 3.28-3.33(m, 1H), 3.34-3.37(m, 1H), 3.81(s, 1H), 4.65(d, 1H, J=12.0㎐), 4.90(d, 1H, J=12.0㎐), 5.11(Sep, 1H, J=6.2㎐), 5.46(d, 1H, J=4.7㎐), 6.16(bs, 1H), 7.30-7.38(m, 5H), 7.57(s, 1H), 7.85(s, 1H)
13C NMR(75MHz, CDCl3) : δ 22.35, 22.41, 33.94, 39.68, 46.83, 62.19, 67.54, 70.86, 98.12, 112.19, 128.10, 128.21, 128.70, 136.38, 137.67, 139.33, 146.19, 152.06, 167.15
MASS : 372[M+1]+
실시예 9: 메틸 (1S,5R,6S)-5-벤질옥시-7-[(4-에톡시카보닐)티아졸-2-일]-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kpo00026
메틸 (1S,5R,6S)-5-벤질옥시-7-포르밀-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1.0g, 3.18mmol)를 벤젠(100㎖)에 용해시킨 후, L-시스테인 에틸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1.43g, 7.70mmol), 피리딘(0.78㎖, 9.64mmol), 및 p-톨루엔설폰산(0.62g, 3.26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고 반응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켜 포화중조수와 포화식염수로 세척해준 후 무수 소듐카보네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n-헥산/에틸아세테이트=3/1, v/v)로 정제하여 메틸 (1S,5R,6S)-7-[4-(에톡시카보닐)-티아졸리딘-2-일]-4-옥사-5-벤질옥시-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0.75g, 1.68mmol, 수율 53%)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화합물(0.45g, 1.0mmol)을 벤젠(25㎖)에 용해시키고 망간옥사이드(3.4g, 40mmol)를 가하여 하룻밤 동안 환류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반응액을 셀라이트를 통과하여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n-헥산/에틸아세테이트=3/1,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0.08g, 수율 18%)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CDCl3) : δ 1.34(t, 3H, J=7.1㎐), 2.23-2.33(m, 1H), 2.95- 3.05(m, 1H), 3.27-3.39(m, 2H), 3.68(s, 3H), 4.36(q, 2H, J=7.1Hz), 4.50(d, 1H, J=11.6㎐), 4.81(d, 1H, J=11.7㎐), 5.13(d, 1H, J=6.2Hz), 6.71(t, 1H, J=2.4Hz), 7.01-7.05(m, 2H), 7.15-7.20(m, 3H), 7.48(s, 1H), 7.96(s, 1H)
실시예 10: 이소프로필 (1S,5R,6S)-5-벤질옥시-7-[4-(p-톨루엔설포닐옥시카보닐)티아졸린-2-일]-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kpo00027
이소프로필 (1S,5R,6S)-5-벤질옥시-7-포르밀-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1.90g, 5.55mmol)를 톨루엔(20㎖)에 용해시키고 L-시스테인(1.35g, 11.14mmol)과 촉매량의 피리디늄-p-톨루엔설포네이트를 가한 후 딘스탁 장치를 사용하여 2시간동안 환류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30㎖)에 용해시킨 다음 트리에틸아민(3.47㎖, 24.9mmol)과 p-톨루엔설포닐클로라이드(2.12g, 11.12mmol)를 가하여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0.1N 염산수용액, 포화중조수 및 포화식염수로 세척해준 다음,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0.40g, 수율 12%)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CDCl3) : δ 1.18(d, 6H, J=6.2㎐), 1.85-1.93(m, 1H), 2.30- 2.35(m, 1H), 2.33(s, 3H), 2.63-2.72(m, 1H), 2.83-2.88(m, 1H), 3.52-3.58(m, 1H), 3.67-3.74(m, 1H), 4.46(d, 1H, J=8.3㎐), 4.52(d, 1H, J=11.3㎐), 4.70(t, 1H, J=6.3Hz), 4.86(d, 1H, J=11.3Hz), 4.99(Sept, 1H, J=6.2Hz), 5.64(s, 1H), 7.17(d, 2H, J=8.0Hz), 7.25-7.31(m, 1H), 7.41(s, 1H), 7.54(d, 2H, J=8.3㎐)
실시예 11: 이소프로필 (1S,5R,6S)-5-메톡시-7-[4-(p-톨루엔설포닐옥시카보닐)티아졸린-2-일]-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kpo00028
이소프로필 (1S,5R,6S)-5-벤질옥시-7-포르밀-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 대신에 이소프로필 (1S,5R,6S)-7-포르밀-5-메톡시-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를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에서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수율 12%)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CDCl3) : δ 1.18(d, 6H, J=6.2㎐), 1.89-1.97(m, 1H), 2.23- 2.29(m, 1H), 2.36(s, 3H), 2.65-2.73(m, 1H), 2.82-2.87(m, 1H), 3.45(s, 3H), 3.63-3.71(m, 1H), 4.25(d, 1H, J=8.2㎐), 4.77(t, 1H, J=6.1㎐), 4.99(Sept, 1H, J=6.2Hz), 5.65(bs, 1H), 7.23(d, 2H, J=8.2Hz), 7.38(s, 1H), 7.67(d, 2H, J=8.2㎐)
실시예 12: 메틸 (1S,5R,6S)-5-벤질옥시-7-[1-(하이드록시이미노)에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kpo00029
메틸 (1S,5R,6S)-5-벤질옥시-7-포르밀-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1.2g, 4.08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5㎖)에 용해시키고 -78℃로 냉각시켰다. 여기에 메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3M, 1.63㎖, 4.90mmol)를 적가하여 동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다가 0℃로 승온시켰다. 포화 암모늄클로라이드 수용액을 이용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v/v)로 정제하여 메틸 (1S,5R, 6S)-5-벤질옥시-7-(1-하이드록시에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1.17g, 3.55mmol, 수율 87%)를 수득하였다.
1H NMR (300㎒, CDCl3) : δ 1.20(d, 3H, J=6.6Hz), 1.95(m, 1H), 2.35(d, 1H, J=4.5Hz), 2.52(m, 1H), 2.75(m, 1H), 3.10(m, 1H), 3.60(s, 3H), 4.28(bs, 1H), 4.50-4.62(m, 2H), 4.90(d, 1H, J=11.8㎐), 5.70(s, 1H), 7.15-7.30(m, 5H), 7.42(s, 1H)
13C NMR(75㎒, CDCl3) : δ 20.19, 34.45, 36.71, 45.01, 49.10, 63.97, 69.47, 98.70, 109.00, 124.57, 126.19, 126.51, 134.00, 145.48, 149.82, 165.56
상기 수득한 화합물(2.55g, 7.72m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30㎖)에 용해시키고 규조토(3.5g)와 피리디늄클로로크로메이트(3.32g, 15.4mmol)를 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규조토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n-헥산/에틸아세테이트=7/1, v/v)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상의 메틸 (1S,5R,6S)-7-아세틸-5-벤질옥시-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1.65g, 수율 65%)를 수득하였다.
1H NMR (300㎒, CDCl3) : δ 2.32(s, 3H), 2.50(m, 1H), 2.90-3.10(m, 1H), 3.30-3.40(m, 2H), 3.75(s, 3H), 4.65(d, 1H, J=11.9Hz), 4.85(d, 1H, J=11.9Hz), 5.42(m, 1H), 6.85(s, 1H), 7.22-7.42(m, 5H), 7.50(s, 1H)
13C NMR(75㎒, CDCl3) : δ 27.71, 33.80, 39.82, 46.61, 51.59, 71.06, 98.18, 111.26, 128.16, 128.23, 128.79, 137.50, 143.81, 146.57, 152.70, 167.91, 196.58
메틸 (1S,5R,6S)-5-벤질옥시-7-포르밀-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 및 t-부톡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상기 수득한 화합물 및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수율 80%)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CDCl3) : δ 1.83(s, 3H), 2.05(m, 1H), 2.62-2.80(m, 1H), 3.00-3.15(m, 2H), 3.58(s, 3H), 4.45(d, 1H, J=12.2Hz), 4.68(d, 1H, J=12.0Hz), 4.85(m, 1H), 6.00(s, 1H), 7.00-7.15(m, 5H), 7.35(s, 3H)13
C NMR(75㎒, CDCl3) : δ 11.98, 34.98, 39.64, 46.08, 51.56, 71.31, 99.79, 111.45, 128.19, 128.68, 134.99, 137.55, 140.19, 152.66, 153.70, 168.16
실시예 13: 메틸 (1S,5R,6S)-5-벤질옥시-7-[1-(메톡시이미노)에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kpo00030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메톡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수율 78%)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CDCl3) : δ 1.90(s, 3H), 2.25(m, 1H), 2.78(m, 1H), 3.25 (m, 2H), 3.65(s, 3H), 3.66(s, 3H), 4.53(d, 1H, J=12.2Hz), 4.75(d, 1H, J=12.2 Hz), 5.45(d, 1H, J=3.8Hz), 6.05(m, 1H), 7.15-7.30(m, 5H), 7.42(s, 1H)13
C NMR(75㎒, CDCl3) : δ 33.49, 39.34, 47.09, 51.54, 62.08, 70.67, 98.19, 111.97, 128.09, 128.16, 128.74, 134.72, 137.76, 139.49, 152.44, 152.61, 168.18
실시예 14: 메틸 (1S,5R,6S)-7-[1-(하이드록시이미노)에틸]-5-메톡시-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kpo00031
메틸 (1S,5R,6S)-5-벤질옥시-7-포르밀-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 대신에 메틸 (1S,5R,6S)-7-포르밀-5-메톡시-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를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수율 85%)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CDCl3) : δ 2.25(s, 3H), 2.42(m, 1H), 2.88(m, 1H), 3.25 (m, 1H), 3.38(s, 3H), 3.65(s, 3H), 5.12(d, 1H, J=7.0Hz), 6.72(s, 1H), 7.20(s, 1H), 7.40(s, 1H)
실시예 15: (1S,5R,6S)-5-벤질옥시-7-메톡시이미노메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산의 합성
Figure kpo00032
메틸 (1S,5R,6S)-5-벤질옥시-7-메톡시이미노메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15g, 43.68mmol)를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혼합액(2/1, v/v, 300㎖)에 녹이고 수산화나트륨(5.24g, 131.04mmol)을 가한 다음 3시간동안 환류교반하였다. 반응용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감압하에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면 갈색 고체가 수득되었다. 수득된 갈색 고체를 에틸아세테이트와 n-헥산으로 재결정하여 흰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12.9g, 수율 90%)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CDCl3) : δ 2.42(m, 1H), 2.93(m, 1H), 3.32(m, 2H), 3.82 (s, 3H), 4.68(d, 1H, J=11.9㎐), 4.90(d, 1H, J=11.9㎐), 5.57(d, 1H, J=4.2㎐), 6.13(s, 1H), 7.32(m, 5H), 7.68(s, 1H), 7.89(s, 1H)
MASS : 330[M+H]+, 352[M+Na]+
실시예 16: 소듐 (1S,5R,6S)-5-벤질옥시-7-메톡시이미노메틸-4-옥사-비사이클로[4.3.0]노나-2,7-디엔-2-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kpo00033
실시예 15에서 수득한 화합물(2g, 6.07mmol)을 물(20㎖)에 현탁시키고 5℃에서 1N-NaOH(6.1㎖, 6.10mmol)을 가한 다음 30분간 교반하면 화합물이 모두 용해되었다. 맑게된 용액을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에 뜨거운 에탄올을 가하여 녹인 다음 0℃로 냉각시키고 흰색 고체가 생길 때까지 에틸아세테이트를 적가하였다. 생성된 흰색 고체를 여과한 후 건조시켜 흰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2.1g, 수율 99%)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D2O) : δ 2.19(m, 1H), 2.82(m, 1H), 3.01(m, 1H), 3.21(m, 1H), 3.68(s, 3H), 4.59(d, 1H, J=11.7㎐), 4.82(d, 1H, J=11.7㎐), 5.11(d, 1H, J=6.3㎐), 6.32(s, 1H), 7.19(s, 1H), 7.37(m, 5H), 7.89(s, 1H)
MASS : 352[M+H]+, 374[M+Na]+
생물학적 실험예 1: 사염화탄소 유발 간장해에 대한 억제효과
공지의 방법(참조: Philippe letteron et al., Biochemical Pharmacology, 39, 12, 2027-2034, 1990)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간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하였으며, 그 과정을 간단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A. 시험동물
실험에 사용한 랫트(SD, male, 180∼200g)는 온도 22±1℃, 습도 60±5%의 환경에 두었으며, 12시간 간격으로 명암을 바꿔주면서 사료와 물은 마음껏 섭취하도록 하였다.
B. 약물투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용제인 옥수수유에 현탁시켰으며 현탁액은 2㎖/kg의 양으로 투여하였다. 각 8 마리의 랫트를 한군으로 하고, 시험화합물을 50mg/kg의 용량으로 1일 1회, 4일간 경구투여하였으며, 마지막 시험화합물을 투여한지 30분 후에 옥수수유에 현탁된 10% 사염화탄소 용액을 2㎖/kg 의 용량으로 복강내 주사하였다. 시험 화합물에 대한 대조화합물로는 실리마린을 사용하였다.
C. 혈청분리 및 혈액의 생화학적 분석
각 시험동물에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후 24시간 절식시켰으며 음수는 마음껏 섭취하게 하였다. 각 시험동물을 에테르로 가볍게 마취시킨 후 개복하여 하대정맥에서 채혈하는 방법으로 혈액을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얻었다. 혈청중 ALT, AST 치는 혈액생화학 분석기(Vitalab, Spectra II, Merc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군별 측정치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은 스튜던트 t-검정법(Student's t-test)으로 검정하였으며 P 값이 5% 미만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주요 화합물을 랫트에 경구투여한 경우, 사염화탄소 유발 간장해에 대한 억제효과는 하기 표 1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사염화탄소 유발 간장해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억제효과
투여 물질 투여량(㎎/㎏) 투여경로 간장해억제효과(GPT, %)
실리마린 150 i.p 84
실리마린 150 p.o 50
실시예 12 50 p.o 76
실시예 15 50 p.o 21
생물학적 실험예 2 : D-갈락토사민 유발 간장해에 대한 억제효과
공지의 방법(참조: Koji Hase et al., Biol. Pharm. Bull., 20, 4, 381-385, 1997)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간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하였으며, 그 과정을 간단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A. 시험동물
실험에 사용한 랫트(SD, male, 180∼200g)는 온도 22±1℃, 습도 60±5%의 환경에 두었으며, 12시간 간격으로 명암을 바꿔주면서 사료와 물은 마음껏 섭취하도록 하였다.
B. 약물투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용제인 옥수수유에 현탁시켰으며 현탁액은 2㎖/kg의 양으로 투여하였다. 각 8 마리의 랫트를 한군으로 하고, 시험화합물을 50mg/kg의 용량으로 1일 1회, 4일간 경구투여하였으며, 마지막 시험화합물을 투여한지 30분 후에 생리식염수에 용해시킨 D-갈락토사민 용액을 2㎖/kg의 용량으로 복강내 주사하였다. 시험 화합물에 대한 대조화합물로는 실리마린을 사용하였다.
C. 혈청분리 및 혈액의 생화학적 분석
각 시험동물에 D-갈락토사민을 투여한 후 24시간 절식시켰으며 음수는 마음껏 섭취하게 하였다. 각 시험동물을 에테르로 가볍게 마취시킨 후 개복하여 하대정맥에서 채혈하는 방법으로 혈액을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얻었다. 혈청중 ALT, AST 치는 혈액생화학 분석기(Vitalab, Spectra II, Merc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군별 측정치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은 스튜던트 t-검정법(Student's t-test)으로 검정하였으며 P 값이 5% 미만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주요 화합물을 랫트에 경구투여한 경우, D-갈락토사민 유발 간장해에 대한 억제효과는 하기 표 2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D-갈락토사민 유발 간장해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억제효과
투여 물질 투여량(㎎/㎏) 투여경로 간장해억제효과(GPT, %)
실리마린 100 i.p 84
실리마린 50 p.o 5
실시예 12 50 p.o 81
생물학적 실험예 3 : 급성독성시험
급성독성시험이란 시험화합물을 시험동물에 1 회 투여하였을 때, 단기간에 나타나는 독성을 질적, 양적으로 검사하는 시험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국립보건안전연구원 고시 제 94-3호" 「의약품등의 독성시험기준」을 참고로하여, 마우스를 사용한 급성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마우스는 대한실험동물센타에서 4주령 ICR 품종의 수컷 특정병원균부재동물(SPF)을 구입하여 1주일간 실험실 환경에 순화시킨 후 사용하였으며, 실험전 절식기간을 제외하고 사료와 물은 자유섭식시켰다.
화합물을 투여하기 전일 오후 6시부터 투여당일 오전 9시까지 마우스를 절식시킨 후, 각 화합물을 옥수수유에 마쇄·현탁하여 250mg/kg, 500mg/kg, 1,000 mg/kg, 및 2,000mg/kg 용량으로 조제하여 투여하였으며, 마우스당 투여부피는 체중 kg당 10㎖ 또는 20㎖로 하였다. 각 용량군의 수는 5마리로 하였다. 화합물은 투여당일 조제하여 사용하였으며, 경구투여용 바늘을 사용하여 일회 경구투여하였다. 투여후 2주간 관찰하였고, 관찰기간동안 매일 임상증상을 기록하고 체중은 3회이상 기록하였다. 또한, 관찰기간 종료 후 부검을 실시하여 육안적 해부소견을 기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12번 화합물을 선택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마우스 경구투여 급성독성시험 결과
투여 물질 투여 농도(㎎/㎏) 사망동물수/투여동물수 사망률(%)
12 250 0/5 0
500 0/5 0
1000 0/5 0
2000 0/5 0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의 제니핀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입체이성체 :
    화학식 1
    Figure kpo00034
    상기식에서
    R1은 수소원자, 저급알킬 또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내고,
    R2는 저급알킬 또는 벤질을 나타내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을 나타내고,
    R4는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벤질옥시, 니코티노일옥시, 이소니코티노일옥시, 2-피리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카보닐메톡시를 나타내거나,
    R3및 R4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원자 및 탄소원자와 함께
    Figure kpo00035
    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서
    Figure kpo00036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내며, R5는 에틸 또는 p-톨루엔설포닐을 나타내고,
    단, R1이 메틸을 나타내고, R3가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경우에 R4는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가 아니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은 수소원자, 메틸, 이소프로필 또는 나트륨을 나타내고, R2는 메틸 또는 벤질을 나타내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4는 하이드록시, 메톡시, t-부톡시, 벤질옥시, 니코티노일옥시, 이소니코티노일옥시, 2-피리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카보닐메톡시를 나타내거나, R3및 R4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원자 및 탄소원자와 함께
    Figure kpo00037
    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서
    Figure kpo00038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내며, R5는 에틸 또는 p-톨루엔설포닐을 나타내는 화합물
  3.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이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담체와 배합시킨 간질환 치료제 조성물.
  4. 제 4 항에 있어서, 불활성 담체가 유당, 전분, 만니톨 및 면실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조성물.
KR1019970067407A 1997-11-05 1997-12-10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질환치료제조성물 KR100240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407A KR100240778B1 (ko) 1997-12-10 1997-12-10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질환치료제조성물
EP98944315A EP1045841B1 (en) 1997-11-05 1998-09-04 Novel genipin derivative having liver protection activity
US09/530,796 US6262083B1 (en) 1997-11-05 1998-09-04 Genipin derivative having liver protection activity
PCT/KR1998/000273 WO1999023090A1 (en) 1997-11-05 1998-09-04 Novel genipin derivative having liver protection activity
ES98944315T ES2189238T3 (es) 1997-11-05 1998-09-04 Nuevo derivado de genipina que tiene actividad protectora del higado.
AU91886/98A AU9188698A (en) 1997-11-05 1998-09-04 Novel genipin derivative having liver protection activity
DE69809967T DE69809967T2 (de) 1997-11-05 1998-09-04 Genipin-derivate mit einer die leber schützenden aktivitä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407A KR100240778B1 (ko) 1997-12-10 1997-12-10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질환치료제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648A KR19990048648A (ko) 1999-07-05
KR100240778B1 true KR100240778B1 (ko) 2000-03-02

Family

ID=1952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407A KR100240778B1 (ko) 1997-11-05 1997-12-10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질환치료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779A (ko) 2015-03-31 2016-10-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게니핀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비만 치료용 약학 조성물, 비만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779A (ko) 2015-03-31 2016-10-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게니핀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비만 치료용 약학 조성물, 비만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648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45017B2 (ja) スチルベン誘導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制癌剤
DE69527405T2 (de) Antivirale Ether von Aspartat-Protease-Substrat-Isosteren
US6262083B1 (en) Genipin derivative having liver protection activity
DE69215965T2 (de) Pyrazolopyridinverbindung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2009545594A (ja) 改善された効能、安定性および安全性を有する疑似塩基ベンゾ[c]フェナントリジン
WO2019137201A1 (zh) 杂芳基并四氢吡啶类化合物、其制备方法、药物组合物及应用
DD283402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substituierten adenosinderivaten
WO2023165334A1 (zh) 酮酰胺类衍生物及其制药用途
WO1996004268A1 (fr) Compose de 1,4-dihydropyridine et composition medicinale contenant ledit compose
JP6890132B2 (ja) 抗ウイルス用ウリジン類ホスホラミド、その調製方法およびその医薬における使用
KR100240778B1 (ko)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질환치료제조성물
EP0185079B1 (en) N-substituted butyramide derivatives
WO1998043638A1 (fr) Agent therapeutique pour maladies auto-immunes
ITMI20111463A1 (it) 1,4-diaril-2-azetidinoni ad attivita' antitumorale
KR20050007453A (ko) 피리딜아크릴산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 ⅳ 저해제
KR100240779B1 (ko)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질환치료제조성물
JPH0560478B2 (ko)
KR100248329B1 (ko)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질환치료제조성물
KR100327100B1 (ko) 간 보호 및 치료용 디하이드록시페닐 유도체
US6693126B2 (en) Dihydroxyphenyl derivatives for hepatoprotec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s
JP2837318B2 (ja) アンジオテンシンii拮抗性ピリジン誘導体
CN117682966B (zh) 一种手性芳基丙酸衍生物及其药物组合物和用途
JPH0240383A (ja) 1,4−ジヒドロピリジン誘導体
KR100566189B1 (ko) 신규의 5-피리미딘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 및 그를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EP0816359B1 (de) 4-Amino-2-ureido-pyrimidin-5-carbonsäureamid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und deren Verwend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