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523B1 -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40523B1 KR100240523B1 KR1019900012777A KR900012777A KR100240523B1 KR 100240523 B1 KR100240523 B1 KR 100240523B1 KR 1019900012777 A KR1019900012777 A KR 1019900012777A KR 900012777 A KR900012777 A KR 900012777A KR 100240523 B1 KR100240523 B1 KR 1002405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circuit
- pair
- output
- semiconductor integra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Landscapes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9)
- 여러개의 메모리셀, 상기 여러개의 메모리셀중 선택된 메모리셀에서 리드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보출력신호로써 출력하는 제1의 센스증폭기,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로부터의 상보출력신호를 유지하는 래치회로, 상기 래치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받는 제2의 센스증폭기, 상기 제2의 센스증폭기의 상보출력신호를 받는 출력버퍼,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와 상기 래치회로 사이에 접속된 제1의 패스게이트,상기 래치회로와 상기 제2의 센스증폭기 사이에 접속된 제2의 패스게이트 및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2의 센스증폭기로 상기 제1의 패스게이트와 상기 래치회로 및 상기 제2의 패스게이트를 우회해서 직접 전송하는 신호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경로는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와 상기 제2의 센스증폭기를 사이에 다른 요소가 들어가는 일없이 직접 접속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의 상보출력신호는 상기 신호경로를 통해서 상기 제2의 센스증폭기의 상보입력으로 직접 전송되고, 상기 출력버퍼는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의 상보출력에 따라서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그 후 상기 제1의 패스게이트 및 상기 제2의 패스게이트는 각각 도통상태로 되며,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는 비활성상태로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패스게이트는 상기 제1의 패스게이트 및 상기 제2의 패스게이트가 도통상태로 된 후에 비도통상태로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회로는 1쌍의 인버터회로를 갖는 정귀환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래치회로와 상기 제2의 패스게이트 사이에는 신호를 한방향으로만 전달하는 회로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인버터회로와 상기 신호를 한방향으로만 전달하는 회로는 CMOS인버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는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가 받는 상보신호에 응답하는 1쌍의 차동트랜지스터, 상기 1쌍의 차동트랜지스터의 출력에 접속되고 그 게이트전극과 드레인전극이 교차접속된 제1 및 제2의 부하용 MOS트랜지스터, 상기 1쌍의 차동트랜지스터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고 제1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1의 스위칭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메모리셀은 1쌍의 비트선에 접속됨과 동시에 그 소스드레인경로가 상기 1쌍의 비트선에 접속된 등화용 MOS트랜지스터를 갖고, 상기 등화용 MOS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에는 라이트신호의 종료에 응답해서 소정기간 발생되는 펄스신호가 공급되고 상기 소정기간 상기 등화용 MOS트랜지스터가 도통상태로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패스게이트는 상기 제1의 패스게이트 및 상기 제2의 패스게이트가 도통상태로 된 후에 비도통상태로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회로는 1쌍의 인버터회로를 갖는 정귀환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래치회로와 상기 제2의 패스게이트 사이에는 신호를 한방향으로만 전달하는 회로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인버터회로와 상기 신호를 한방향으로만 전달하는 회로는 CMOS인버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는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가 받는 상보신호에 응답하는 1쌍의 차동트랜지스터,상기 1쌍의 차동트랜지스터의 출력에 접속되고 그 게이트전극과 드레인전극이 교차접속된 제1 및 제2의 부하용 MOS트랜지스터 및 상기 1쌍의 차동트랜지스터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고 제1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1의 스위칭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여러개의 메모리셀, 상기 여러개의 메모리셀중 선택된 메모리셀에서 리드된 신호를 증폭하고 상보출력신호로서 출력하는 1쌍의 출력단자를 갖는 제1의 증폭회로, 상기 제1의 증폭회로로부터의 1쌍의 출력신호를 유지하고 1쌍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갖는 래치회로, 상기 래치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받고 1쌍의 입력단자 및 1쌍의 출력단자를 갖는 제2의 증폭회로, 출력버퍼회로 및 신호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1쌍의 출력단자와 상기 래치회로의 1쌍의 입력단자는 제1의 스위칭수단을 거쳐서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래치회로의 1쌍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의 증폭회로의 1쌍의 입력단자는 제2의 스위칭수단을 거쳐서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출력버퍼회로는 상기 제2의 증폭회로의 1쌍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경로는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1쌍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의 증폭회로의 1쌍의 입력단자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회로의 1쌍의 입력단자와 1쌍의 출력단자는 공통의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경로는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1쌍의 출력단자의 신호를 상기 래치신호를 우회해서 상기 제2의 증폭회로의 1쌍의 입력단자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증폭회로는 상기 신호경로를 거쳐서 신호를 받은 후 상기 제2의 스위칭수단이 도통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 상기 래치회로로부터의 신호도 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1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신호경로는 상기 메모리셀의 정보를 리드하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스위칭수단의 도통/비도통에 관계없이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1쌍의 출력단자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제2의 증폭회로의 1쌍의 입력단자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여러개의 메모리셀, 상기 여러개의 메모리셀중 선택된 메모리셀에 축적된 정보에 대응한 신호가 입력되는 제1의 증폭회로,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받아 유지하는 래치회로, 상기 래치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받아 증폭하는 제2의 증폭회로,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상보출력신호의 상기 래치회로로의 전달을 제어하는 제1의 스위칭수단, 상기 래치회로의 상보출력신호의 상기 제2의 증폭회로로의 전달을 제어하는 제2의 스위칭수단, 상기 제1 및 제2의 스위칭수단을 우회하여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상기 제2의 증폭회로로 전달하는 신호경로 및 상기 래치회로의 상보출력단자와 상기 제2의 증폭회로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래치회로에서 상기 제2의 증폭회로의 한방향으로만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수단은 CMOS인버터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수단은 상기 래치회로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의 스위칭수단 사이에 그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접속된 1쌍의 CMOS인버터회로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여러개의 메모리셀, 상기 여러개의 메모리셀중 선택된 메모리셀에서 리드된 신호를 증폭하고제1 및 제2의 입력단자와 제1 및 제2의 출력단자를 갖는 제1의 증폭회로, 상기 제1의 증폭회로로부터의 1쌍의 출력신호를 유지하고 제3 및 제4의 입력단자와 제3 및 제4의 출력단자를 갖는 래치회로, 상기 래치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받고 제5 및 제6의 입력단자와 제5 및 제6의 출력단자를 갖는 제2의 증폭회로 및 제1의 및 제2의 신호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3의 입력단자는 제1의 스위칭수단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4의 입력단자는 제2의 스위칭수단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3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5의 입력단자는 제3의 스위칭수단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4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6의 입력단자는 제4의 스위칭수단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6의 입력단자는 상기 제1의 신호경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5의 입력단자는 상기 제2의 신호경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 상기 제3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3의 스위칭수단 사이에는 제1의 인버터 회로가 접속되고, 상기 제4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4의 스위칭수단 사이에는 제2의 인버터회로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입력단자 및 상기 제3의 출력단자는 공통의 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4의 입력단자 및 상기 제4의 출력단자는 공통의 단자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인버터회로는 PMOSFET 및 NMOSFET로 구성되는 CMOS인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및 제6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메모리셀의 정보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버퍼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여러개의 메모리셀, 상기 메모리셀에 기억된 정보에 대응한 상보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의 증폭회로,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래치하는 래치회로, 상기 래치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받고 상보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2의 증폭회로 및 1쌍의 우회신호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상보출력신호는 제1의 1쌍의 신호경로 및 제1의 스위칭수단 및 제2의 1쌍의 신호경로를 거쳐서 상기 래치회로에 입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래치회로의 상보출력신호는 제3의 1쌍의 신호경로 및 제2의 스위칭회로 및 제4의 1쌍의 신호경로를 거쳐서 상기 제2의 증폭회로에 입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1쌍의 우회신호경로는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상기 제2의 증폭회로에 제1 및 제2의 스위칭수단 및 상기 래치회로를 우회해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1쌍의 우회신호경로에는 상기 1쌍의 우회신호경로의 전위변동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회로수단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1쌍의 신호경로와 상기 제3의 1쌍의 신호경로는 공통의 신호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수단은 상기 1쌍의 우회신호경로를 전원전압에 접속하는 스위칭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23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수단은 상기 1쌍의 우회신호경로를 단락하는 스위칭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수단은 상기 메모리셀로의 정보라이트시에 상기 1쌍의 우회신호 경로의 전위변동을 억제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1쌍의 신호경로에는 상기 제1의 1쌍의 신호경로를 단락하는 스위칭수단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증폭회로의 출력신호는 제5의 1쌍의 신호경로를 거쳐서 출력버퍼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5의 1쌍의 신호경로에는 상기 제5의 1쌍의 신호경로를 단락하는 스위칭수단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2145689 | 1989-08-30 | ||
JP1-221456 | 1989-08-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5310A KR910005310A (ko) | 1991-03-30 |
KR100240523B1 true KR100240523B1 (ko) | 2000-01-15 |
Family
ID=16767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127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0523B1 (ko) | 1989-08-30 | 1990-08-20 |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972297B2 (ko) |
KR (1) | KR10024052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9515991T2 (de) * | 1995-05-19 | 2000-11-16 | Stmicroelectronics S.R.L., Agrate Brianza | Ausgabestufe für integrierte Schaltungen, insbesondere für elektronische Speich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66572A (en) * | 1984-12-27 | 1988-08-23 | Nec Corporation | Semiconductor memory having a bypassable data output latch |
US4811295A (en) * | 1986-03-28 | 1989-03-07 | Hitachi, Ltd. | High speed serial input/output semiconductor memory |
US4858188A (en) * | 1986-09-09 | 1989-08-15 | Nec Corporation | Semiconductor memory with improved write function |
-
1990
- 1990-08-20 JP JP2217017A patent/JP297229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8-20 KR KR1019900012777A patent/KR10024052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66572A (en) * | 1984-12-27 | 1988-08-23 | Nec Corporation | Semiconductor memory having a bypassable data output latch |
US4811295A (en) * | 1986-03-28 | 1989-03-07 | Hitachi, Ltd. | High speed serial input/output semiconductor memory |
US4858188A (en) * | 1986-09-09 | 1989-08-15 | Nec Corporation | Semiconductor memory with improved write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5310A (ko) | 1991-03-30 |
JP2972297B2 (ja) | 1999-11-08 |
JPH03162795A (ja) | 1991-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46427A (en) | High speed semiconductor memory having a direct-bypass signal path | |
KR100194741B1 (ko) | 반도체집적회로 | |
KR950007451B1 (ko) | 반도체 기억 장치에 사용되는 증폭기 | |
US5068831A (en) | Data read circuit for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
US6359473B1 (en) | Amplifier for use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 |
US5226014A (en) | Low power pseudo-static ROM | |
EP0639000B1 (en) | Flip-flop type amplifier circuit | |
US4716550A (en) | High performance output driver | |
US6788112B1 (en) | High performance dual-stage sense amplifier circuit | |
US5708607A (en) | Data read circuit of a memory | |
US5715204A (en) | Sense amplifier with hysteresis | |
JPS6374196A (ja) | Cmos半導体メモリ回路 | |
KR950005171B1 (ko) | 전류 미러 증폭회로 및 그의 구동 방법 | |
EP0405411B1 (en) | Semiconductor memory having improved data readout scheme | |
US5724299A (en) | Multiport register file memory using small voltage swing for write operation | |
JP3805802B2 (ja) | 半導体メモリ装置のデータ出力回路 | |
KR100195633B1 (ko) | 출력하한값에 대한 리미트기능을 갖는 증폭회로 및 상보형 증폭 회로 | |
US6347057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sense amplifier block | |
EP0865043B1 (en) | Sense amplifier | |
KR100240523B1 (ko) |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 |
KR20040103003A (ko) | 글로벌 입출력 스킴을 변경한 메모리 소자 | |
US5027325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circuit for reading-out and writing-in of data | |
JP2001216785A (ja) | ラッチ型センスアンプ及びその作動方法 | |
JP3085380B2 (ja) | 半導体メモリ | |
JPS63292483A (ja) | 半導体メモリ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8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8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008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000211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0003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0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9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0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0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