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34552B1 - 제직기의 드로잉장치 - Google Patents

제직기의 드로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552B1
KR100234552B1 KR1019920000973A KR920000973A KR100234552B1 KR 100234552 B1 KR100234552 B1 KR 100234552B1 KR 1019920000973 A KR1019920000973 A KR 1019920000973A KR 920000973 A KR920000973 A KR 920000973A KR 100234552 B1 KR100234552 B1 KR 100234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cable
fixed
weaving machine
spr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965A (ko
Inventor
장폴프로망
안드레푸메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드에따블리스망스타불리(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드에따블리스망스타불리(프랑스) filed Critical 에스.에이.드에따블리스망스타불리(프랑스)
Publication of KR920014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55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00Dobbies
    • D03C1/14Features common to dobbies of different types
    • D03C1/144Features common to dobbies of different types linking to the heald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의 드로잉장치는 제어용 케이블(2)의 헤들 프레임(1)에 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2)의 일단부가 제직기구(13) 가동용 가동부재(13a)들중 하나에 고정되는 한편, 타측 단부는 제직기의 고정된 수직 프레임(9)에 구비된 지지축(10)에서 요동하도록 장착된 요동레버(3)에 의해 가이드된 다음 스프링장치(4)와 연결된 소극형 제직기구(13)의 헤들 프레임(1)을 작동시키는 것에 있어서, 보수작업시에 케이블(2)과 스프링장치(4)의 장력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키도록 상기 지지축(10)은 슬로트(11a, 109a, 111a)에 배치되어 그 안에서 가이드되며, 상기 슬로트(11a, 109a, 111a)에서 지지축(10)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조정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스프링장치를 분해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스프링, 케이블 및 헤들 프레임들에 대한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직기의 드로잉(drawing)장치
본 발명은 도비(dobby) 및 소극형 제직기구(negative type weaving mechanis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제직기구를 가동하는 각각의 가동부재와 그에 대응하여 제직기(weaving machine)에 장착된 헤들 프레임(heddle frame)사이에 배치된 드로잉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극형 제직기구는 헤들 프레임을 왕복운동하는 행정의 일방향으로만 제어하는 형태로서, 제직기구의 가동부재가 그 동작을 중지하는 순간 각 헤들 프레임을 귀환시키도록 장력을 발휘하는 탄성요소들을 구비해야 한다.
실제로, 이들 탄성요소들은 2개의 후크부재들 사이에서 유지되는 복수개의 스프링들을 포함하는 스프링장치이다. 상기 후크부재들의 하나는 제직기의 고정된 수직프레임에 장착되는 한편, 다른 후크부재는 각각의 헤들 프레임에 연결된 제어 케이블의 단부에 고정되거나 또는 헤들 프레임과 스프링장치 사이에서 케이블의 경로를 따라 배치된 요동레버에 고정된다.
제직기가 고속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현재로서는 매우 강력한 스프링장치를 채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결과 스프링장치의 스프링들과 제어용 케이블이 자주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파손을 보수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우며, 그 이유는 매우 큰 장력을 발휘하는 다수의 스프링들을 분해하고 다시 조립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여 스프링장치를 분해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스프링, 케이블 및 헤들 페리임들에 대한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제직기의 드로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로잉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Ⅱ-Ⅱ에 의한 단면도.
제3도는 요동레버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플랜지에 조정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제4도는 스프링장치의 스프링들이 신장된 상태의 제1도와 같은 측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슬롯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
제6도는 헤들 프레임 위의 제직기 상부 프레임에 장착된 제직기구에 본 발명을 적용한 드로잉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들 프레임 2 : 케이블
3 : 요동레버 4 : 스프링장치
5 : 스프링 9 : 수직 프레임
10 : 지지축 10a : 나사구멍
11 : 플랜지 11a, 109a, 111a : 슬로트
12 : 스크류 13 : 제직기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어용 케이블이 헤들 프레임 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제직기구 가동용 가동부재들중 하나에 고정되는 한편, 타측 단부는 제직기의 고정된 수직프레임에 구비된 지지축에서 요동하도록 장착된 요동레버에 의해 가이드된 다음 스프링장치와 연결된 소극형 제직기구의 헤들 프레임을 작동시키는 제직기의 드로잉장치에 있어서, 보수작업시에 케이블과 스프링장치의 장력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키도록 상기 지지축은 슬로트에 결합되어 그 안에서 가이드되며, 상기 슬로트에서 지지축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조정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의 드로잉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참조번호 1은 제직기에 장착된 헤들 프레임들중 하나를 지시하고 있다. 각각의 헤들 프레임(1) 케이블(2)이 헤들 프레임 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2)의 일단부는 제직기구 가동용 가동부재들중 하나에 고정되는 한편, 반대쪽 단부는 일련의 요동레버(3)들중 해당 요동레버 위로 가이드되어 스프링장치(4)에 고정된다. 각각의 스프링장치(4)는 일련의 수직방향의 스프링(5)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들의 상단부는 해당 요동레버(3) 밑에서 케이블(2)의 단부에 고정된 스프링장치의 상측 후크요소(6)에 걸리고, 하단부는 제직기의 수직 프레임(9)에 고정된 래크(8)에 의해 제위치에서 유지되는 하측 후크요소(7)에 걸려 고정된다.
제직기의 헤들 프레임(1)들과 같은 수의 요동레버(3)들이 수평 지지축(10)상에 희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요동운동하며, 요동레버(3)들에는 부호 3a로 지시된 것과 같은 고정요소들로 케이블(2)이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지지축(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직기의 2개의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플랜지(1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플랜지(11)들 각각에는 장공 형태의 슬로트(slot : 11a)가 형성되어 있고, 슬로트의 길이방향의 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들 프레임(2)의 수직축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슬로트(11a)의 폭은 그 속에 지지축(10)의 단부가 삽입되어 위치 변경되게 이동할 수 있는 크기이다.
상기 지지축(10)을 슬로트(11a)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변경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조정수단으로서의 스크류(12)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플랜지(11)에서 슬로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형성된 구멍(11b)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지지축(10)의 단부에 직경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구멍(10a)에 체결된다.
제직기가 작동할 때, 요동레버(3)들의 지지축(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로트(11a)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 위치에서, 상측 후크요소(6)는 고정된 하측 후크요소(7)로부터 거리 H만큼 이격되며, 그 결과 스프링장치(4)의 스프링(5)들이 신장된다. 케이블(2)에 의해 발휘되는 제어작용하에 헤들 프레임(1)이 하강하여 스프링장치(4)가 신장되고, 제직기구를 가동시키는 가동부재의 작동이 정지되는 순간 스프링장치가 헤들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상부 위치로 복귀시킨다.
예를들어, 스프링(5)이 끊어지거나 케이블이 마모 또는 절단되어 이들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작업자는 플랜지(11)에 구비된 스크류(12)를 풀고 지지축(1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로트의 하측으로 밀어 하강시킨다. 이와같이 지지축(10)을 거리 h만큼 하강시킴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스프링장치(4)의 상측 후크요소(6)가 하강되어서, 스프링(5)들은 신장된 상태에서 수축되어 장력이 완화됨에 따라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보수 작업을 완료하면, 지지축(10)을 슬로트 상측의 작동위치에 배치하고 스크류(12)로 고정시킨다.
슬로트(11a)의 길이방향의 축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지지축(10)의 하강시에 지지축은 수평방향으로 거리 d만큼 변위되며, 이로써 헤들 프레임(1)과 요동레버들의 고정위치 사이에 케이블(2)들의 부분이 수직프레임(9)을 향하에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케이블(2)은 헤들 프레임(1)으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공간이 확대됨에 따라 헤들 프레임(1)을 제거하거나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슬로트(11a)의 길이방향 축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제직기 구조상 케이블(2)의 수평으로의 변위가 방해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은 변형예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변형예에서, 슬로트(111)는 삼각형 형상으로 플랜지(111a)에 형성되며, 삼각형 형상의 슬로트 하변측에 2개의 요홈(111b, 111c)들이 형성되어 지지축(10)의 단부가 슬로트에 결합될 때 요홈들에서 선택적으로 수용된다.
각각의 플랜지(111)와 지지축(10)에 대하여 스크류(12)를 조정함으로써 지지축(10)을 밀어 요홈(111b)속에 배치할 수 있다. 지지축(10)을 수직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케이블(2)의 방향을 변경시키지 않고 스프링장치(4)와 케이블(2)을 장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헤들 프레임(1)들의 분해를 위하여, 작업자는 지지축(10)의 양단부가 수용된 요홈(111b)에서 지지축 단부들을 요홈(111c)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케이블(2)이 헤들 프레임(1)으로부터 이격되어 작업공간이 확대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플랜지(111) 상측에 형성된 구멍은 스크류(12)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을 제직기구(13)가 제직기의 상부프레임(4)에 의해 지지되는 제직기에의 이용을 보여주고 있다. 헤들 프레임(1)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직기구(13)를 작동시키는 가동부재(13a)와 연결된 2줄의 케이블(2)은 2개의 요동레버(103)들 위에 가이드되어 권취되며(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6에는 1줄의 케이블만 도시되어 있으며 나머지 1줄의 케이블과 요동레버는 타측에 배치됨), 상기 요동레버(103)들은 스프링장치(4)에 의해 상부프레임(14)에 연결되고 또한 연결 로드(15)들에 의해 헤들 프레임(1)에 연결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의 요동레버(103)들의 측방향으로의 조립은 동일한 수평의 지지축(10)에서 수행된다. 지지축(10)의 양단부들은 슬로트(109a)에 맞물리며, 상기 슬로트는 수직 프레임(109)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지지축의 각 단부들을 체결 고정하는 스큐류(12)의 헤드는 수직 프레임(109)에 형성된 구멍의 주변부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측의 가이드 풀리(16)와 대응된 요동레버(103)사이에 포함된 케이블(2)의 부분은 스프링장치(4)와 마찬가지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슬로트(109a)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스크류(12)를 조작함에 따라 지지축(10)과 요동레버(103)들의 하강으로 인하여 스프링장치(4)와 케이블(2)의 장력이 완화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케이블(2)의 단부는 스프링장치(4)의 수직축과 둔각을 이루게 된다. 그러한 경우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로트(109a)의 축이 상기 둔각의 이등분선을 따라 배향되어 지지축(10)이 슬로트에서 하방으로의 변위시에 스프링장치(4)와 케이블(2)의 장력이 동시에 완화된다.
상기한 모든 실시예 및 변형예들에 있어서, 슬로트 내에서의 지지축(10)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조정수단으로서 스크류(12)외에 예를들어 소형의 유압잭과 같은 다른 수단들이 드로잉장치의 스프링장치(4)에 대하여 지지축(10)의 고정 및 위치 변위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지직기외에 다른 형태의, 예를들어 헤들 프레임을 승하강시키도록 공조하는 드로잉장치가 단일을 케이블로 헤들 프레임 가동용으로 제공된 2개의 요동레버를 작동시키는 도비 또는 소극형의 제직기구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직기의 수직 프레임에 직접 형성하거나 플랜지에 상단과 하단의 수평 위치가 다르게 슬로트를 형성하고 거기에 지지축을 스크류로 위치 변경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축을 간편하게 수직으로 변위시켜 스프링장치의 장력을 완화시킴으로써 드로잉장치를 분해하지 않고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지지축의 수평 변위에 의해 케이블을 헤들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교체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확대됨에 따라 헤들 프레임을 제거하거나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제어용 케이블(2)이 헤들 프레임(1)에 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2)의 일단부가 제직기구(13)의 가동용 가동부재(13a)들중 하나에 고정되는 한편, 타측 단부는 제직기의 고정된 수직 프레임(9)에 구비된 지지축(10)에서 요동하도록 장착된 요동레버(3)에 의해 가이드된 다음 스프링장치(4)와 연결된 소극형 제직기구(13)의 헤들 프레임(1)을 작동시키는 제직기의 드로잉장치에 있어서, 보수작업시에 케이블(2)과 스프링장치(4)의 장력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키도록 상기 지지축(10)은 슬로트(11a, 109a, 111a)에 배치되어 그 안에서 가이드되며, 상기 슬로트(11a, 109a, 111a)에서 지지축(10)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조정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의 드로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케이블(2)들을 헤들 프레임(1)에의 고정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방향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스프링장치(4)의 장력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지지축(10)을 변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의 드로잉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고정된 플랜지(11, 109, 111)들에 형성된 구멍(11b)에 삽입되어 슬로트(11a, 109a, 111a)에 합입된 지지축(10)의 단부에 직경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구멍(10a)에 체결됨과 함께 슬로트(11a, 109a, 111a)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배향된 스크류(23)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의 드로잉장치.
KR1019920000973A 1991-01-25 1992-01-24 제직기의 드로잉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34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101065A FR2672062B1 (fr) 1991-01-25 1991-01-25 Dispositif de tirage pour la commande des cadres de lisses des mecaniques d'armure du type negatif.
FR91.01065 1991-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965A KR920014965A (ko) 1992-08-26
KR100234552B1 true KR100234552B1 (ko) 1999-12-15

Family

ID=940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9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34552B1 (ko) 1991-01-25 1992-01-24 제직기의 드로잉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203381A (ko)
EP (1) EP0496686B1 (ko)
JP (1) JP3307971B2 (ko)
KR (1) KR100234552B1 (ko)
DE (1) DE69205294T2 (ko)
ES (1) ES2078711T3 (ko)
FR (1) FR2672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0995B1 (en) 2009-05-15 2020-01-15 Merck Patent GmbH Pigment mixtures
DE102009025293A1 (de) 2009-06-15 2010-12-16 Adolf Pfaff & Dr. Karl-Friedrich Reichenbach GbR (vertretungsberechtigter Gesellschafter: Adolf Pfaff, 79183 Waldkirch) Radioopake Formgedächtnis-Polymere
CN103352286A (zh) * 2013-07-04 2013-10-16 杭州旭仁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多臂机的检测装置
CN105004565A (zh) * 2015-08-13 2015-10-28 吴江万工机电设备有限公司 回综弹簧对织机消极式开口机构影响的试验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50412A (en) * 1940-05-22 1941-07-22 Draper Corp Harness motion
US4687029A (en) * 1984-09-18 1987-08-18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Means for lifting motion of a heddle frame
EP0252177B1 (de) * 1986-07-09 1990-02-07 Kais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Schwingarmes einer Schaftmaschine mit einem Schaft einer Webmaschine
FR2617204B1 (fr) * 1987-06-26 1989-10-27 Staubli Sa Ets Dispositif pour l'accouplement des cadres de lisses aux elements de transmission d'une mecanique pour la formation de la foule
FR2626013B1 (fr) * 1988-01-20 1990-05-18 Staubli Sa Ets Systeme de tirage pour la commande des cadres de lisses des mecaniques d'armure du type negatif
FR2629481B1 (fr) * 1988-03-31 1990-12-28 Staubli Sa Ets Systeme de tirage pour la commande des cadres de lisses des mecaniques d'armure du type negati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96686A1 (fr) 1992-07-29
US5203381A (en) 1993-04-20
KR920014965A (ko) 1992-08-26
FR2672062B1 (fr) 1993-05-07
DE69205294D1 (de) 1995-11-16
FR2672062A1 (fr) 1992-07-31
DE69205294T2 (de) 1996-05-15
ES2078711T3 (es) 1995-12-16
JPH04289239A (ja) 1992-10-14
JP3307971B2 (ja) 2002-07-29
EP0496686B1 (fr) 199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6352A (en) Double lift open shed jacquard machine
GB2047755A (en) Improvements in loom heald control means
KR100234552B1 (ko) 제직기의 드로잉장치
JPH1096134A (ja) 開口形成機構の可動フックの選択方法と装置並びにジャカード式織機
KR100597518B1 (ko) 경사직기
US5491989A (en) Yarn guide and yarn guide unit for a jacquard knitting machine
US5322088A (en) Split loom having a removable loom part including detachable harness holding apparatus
US5307844A (en) Weaving machine having separable parts with constrained guidance upon assembly and re-assembly
CS204981B2 (en) Apparatus for mechanical control of warp thread guides
US5285819A (en) Dobby drawing device
US4386631A (en) Negative double lift dobby machine
US4905739A (en) Draw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heddle frames of weaving mechanisms of the negative type
US4227553A (en) Weaving machine with heddle frames
KR100627617B1 (ko) 피커 빔 유닛을 구비한 자수기
US4060101A (en) Double lift, open shed Jacquard loom
BE1021506B1 (nl) Module geschikt voor inbouw in een jaquardmachine
KR20010062648A (ko) 제직기를 위한 개구형성장치
JP2010242281A (ja) ジャカード・レノ織装置およびジャカード機
US4603713A (en) Lifting device for a heddle frame
EP0742299B1 (en) Thread selecting device
US2896497A (en) Jacquard machines
SU980631A3 (ru) Основонаблюдатель ткацкого станка
US4957142A (en) Tension lever for negative dobby
EP1302580B1 (en) Device for supporting the temple and associated cover in a terry cloth loom with movable bench
CN111893625B (zh) 一种经纱张力补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709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7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