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34134B1 -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134B1
KR100234134B1 KR1019970042728A KR19970042728A KR100234134B1 KR 100234134 B1 KR100234134 B1 KR 100234134B1 KR 1019970042728 A KR1019970042728 A KR 1019970042728A KR 19970042728 A KR19970042728 A KR 19970042728A KR 100234134 B1 KR100234134 B1 KR 100234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ceived
management table
data
r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349A (ko
Inventor
서원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2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134B1/ko
Priority to CN98120220A priority patent/CN1115013C/zh
Priority to US09/144,244 priority patent/US6487201B1/en
Publication of KR1999001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28List acknowledgements, i.e. the acknowledgement message consisting of a list of identifiers, e.g. of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본 발명은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의 데이터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수신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
본 발명은 프레임을 수신하는 순서에 따라 링 버퍼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 컨텐트 버퍼에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프레임을 프레임 관리 테이블에 등록하여 관리하며, 상기 저장한 프레임이 이전 프레임에 연속한 프레임이 아닌 경우에는 무효 관리 테이블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을 구현하였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

Description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와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단말기를 복합한 형태의 단말기를 말한다. 상기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의 일 예를 들면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송, 수신 서비스가 가능한 디지털 셀롤러 시스템(CDMA System;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과 데이터의 관리 또는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개인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복합한 단말기를 들 수 있다.
상기한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 있어서 팩스 기능(FAX Service)이나 비동기 데이터 서비스(Asynchronous Data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단말기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즉, 데이터 처리 단말기에 해당하는 상위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PPP; Point to Point Protocol) 계층(layer)과 무선 통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하위 IS95-A 계층(layer)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레디오 링크 프로토콜(RLP; Radio Link Protocol) 계층이 존재하여야 한다.
상기 RLP 계층은 "TIA/EIA IS95-A"와 "TIA/EIA IS-99" 또는 "TIA/EIA IS-657"을 규정하는 스펙(SPEC)을 만족하여야 한다. 상기 스펙은 이미 공지된 내용으로 상세한 내용은 기재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상기 RLP에서 가변적인 두 가지 인자인 프레임 율(frame rate)과 프레임 씨퀀스 넘버(frame sequence number)를 가지는 프레임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상기 관리에 따른 메모리 맵의 일 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Vn"은 현재 까지 씨퀀스(sequence)하게 수신한 유효(valid)한 프레임이 저장된 영역을 지정하는 프레임 씨퀀스 넘버이며, "Vr"은 다음에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프레임을 저장할 영역을 지정하는 프레임 씨퀀스 넘버이다.
또한 버퍼에 저장되는 프레임 데이터는 하프(half)와 풀(full) 두 개의 형태의 프레임 율로 구분된다. 상기 저장되는 프레임 데이터를 하프(half)와 풀(full) 두 개 형태의 프레임 율로 구분하는 것은 수신되는 RLP 프레임의 타입(type)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한 "TIA/EIA IS-99"에 도시된 상기 RLP 프레임 타입(type)에 대응한 데이터 비트의 일 예를 표로 나타내면 〈표 1〉과 같다.
RLP Frame Type Bit per Frame
Full Rate 171
Half Rate 80
Eighth Rate 16
Blank 0
상기 〈표 1〉에도 나타난 바와 같이 수신되는 RLP 프레임 타입에 의해 데이터 크기 즉, 프레임 율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RLP에서 프레임을 씨퀀스하게 관리하는 것은 도중에 전송 에러가 발생하면 전송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를 예상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모든 프레임 율을 만족 시키기 위해 최대 크기(max_size), 즉 풀 타입 프레임 율로 처리한다면 메모리 운용의 효율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버퍼를 이용하는 경우 버퍼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 데이터를 프레임 씨퀀스 넘버에 관계없이 수신되는 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 테이블을 두어 저장된 수신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효 프레임 발생으로 인해 연속한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으면 무효 프레임을 무효 관리 테이블에서 별도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되지 않았던 무효 프레임이 수신되면 수신한 프레임을 관리하던 관리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레임을 수신하는 순서에 따라 링 버퍼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 컨텐트 버퍼에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프레임을 프레임 관리 테이블에 등록하여 관리하며, 상기 저장한 프레임이 이전 프레임에 연속한 프레임이 아닌 경우에는 무효 관리 테이블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을 구현하였다.
도 1은 종래 수신 데이터를 관리하는 메모리 맵의 일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참조 모델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간에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의 처리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의 실제 Um 프로토콜의 스택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데이터를 관리하는 메모리 맵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이하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와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단말기를 각각 CDMA와 PDA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 있어서 팩스 기능(FAX Service)이나 비동기 데이터 서비스(Asynchronous Data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해 "TIA/EIA IS99"에서 제시하는 참조 모델(Reference Model)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CDMA(30), 테이터를 처리하는 PDA(50), 상기 CDMA(30)와 PDA(50) 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RLP부(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CDMA(30)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CPU)(32)와 램(34) 및 롬(36)으로 구성된다. 상기 PDA(50)와 RLP부(40) 사이의 인테페이싱은 UART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 간에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의 개략적인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구성을 보면, 송신측 및 수신측의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는 크게 IS95-A(30a,b), RLP Layer(40a,40b), PPP Layer(50a,50b) 계층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IS95-A(30a,b)는 도 3에 도시된 CDMA(30) 내에 구비되는 계층이며, PPP Layer(50a,50b)는 PDA(50) 내에 구비되는 계층이다. 또한 상기 RLP Layer(40a,40b)는 상술한 도 3의 RLP부(40)를 나타내는 계층이다.
상기 도 4을 참조하여 송신측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의 기능을 간략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PPP 계층(layer)(50a)으로부터 내려오는 PPP 데이터는 RLP 계층(layer)(40a)으로 제공된다. 상기 RLP 계층(layer)(40a)은 상기 제공되는 PPP 데이터를 20ms 프레임 단위로 "TIA/EIA IU-99"에서 제시하는 프레밍 룰(framing rule)에 따라 프레밍(framing) 한다. 또한 상기 프레밍에 의한 프레임 데이터를 다시 "TIA/EIA IS95-A"의 스펙(spec)에 맞게 변환(assembling)하여 IS95-A 계층(30a)으로 제공한다. 상기 IS95-A 계층(30a)은 기지국(Base Station)(60)과 단말기 모드가 서비스 옵션 4와 5를 지원한다는 가정하에 상기 RLP 계층(40a)으로부터 넘겨 받은 상기 프레임 데이터를 비동기 데이터 서비스나 팩스 서비스 데이터로 처리하여 기지국(60)으로 전송한다.
상기한 RLP 계층(40a,40b)은 크게 두가지 일을 수행하는데, 먼저 RLP 전송 타스크(RLP transmit task)(40a)에서는 PPP 계층(50a)으로부터 내려오는 PPP 데이터들을 20ms 프레임으로 프레밍한 다음 IS95-A(30a)로 전달한다. 이때 상대 단말기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NAK 프레임에 대한 처리를 위하여 자신이 보낸 프레임들을 일정 시간 관리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RLP 수신 타스크(RLP receive task)(40b)도 마찬가지로 IS95-A(30b)로부터 넘겨받은 프레임 데이터를 다시 PPP 프레임 데이터로 변환(assembling)한 후 PPP 계층(50b)로 올려주게 된다. 이때 RLP 수신 타스크(RLP receive task)(40b)도 마찬가지로 자신이 받은 프레임 씨퀀스 넘버와 프레임 체크 씨퀀스(FCS; Frame Check Sequence)를 확인하여 정상적으로 받지 못한 프레임은 NAK RLP 프레임을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여 재 전송 받도록 하는 과정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의 실제 Um 프로토콜(Um protocol) 스택(stack)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데이터를 관리하는 메모리 맵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 버퍼(circle buffer)인 링 버퍼(Ring Buffer)의 구조를 가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상술한 구성을 참조하여 도 7에 나타낸 제어 흐름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씨퀀스한 RLP 프레임이 수신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RLP부(40)는 도 7의 710단계에서 CDMA(30)의 IS95-A를 통해 새로운 RLP 프레임이 수신되는 가를 감지한다. 상기 RLP 프레임은 기지국(60)으로부터 공간(Air)을 통해 수신된 IS95-A 프레임을 CDMA(30)의 IS95-A 층(30a,30b)을 통해 상기 RLP부(40)에서 처리 가능한 프레임으로 재 조립(reassembling)한 프레임이다.
상기 RLP 프레임이 수신되면 상기 RLP부(40)는 7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RLP 프레임을 프레임 씨퀀스 넘버와 관계없이 수신되는 순서에 의해 순차적으로 프레임 컨텐트 버퍼(frame content buffer)에 저장한다. 상기 프레임 컨텐트 버퍼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 버퍼(ring buffer) 형태의 사이클 버퍼(circle buffer) 모양을 가진다. 이는 수신한 RLP 프레임을 프레임 씨퀀스 넘버나 프레임 율에 상관없이 순서대로 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프레임 컨텐트 버퍼에 쌓인 각 프레임들의 관리는 프레임 관리 테이블 버퍼에서 별도로 관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RLP부(40)는 714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RLP 프레임의 프레임 씨퀀스 넘버와 그전에 수신된 RLP 프레임의 프레임 씨퀀스 넘버가 연속되는 가를 비교한다. 상기 714단계에서 연속된 프레임 씨퀀스 넘버를 가지는 RLP 프레임이면 전송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7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20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수신한 RLP 프레임을 PPP 프레임으로 처리하여 UART 인터페이스를 통해 PDA(50) 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PPP 프레임을 PDA(50) 측으로 전송한 후 상기 RLP부(40)는 726단계로 진행하여 프레임 관리 테이블에 상기 RLP 프레임을 등록하는데 상기 프레임 관리 테이블 또한 사이클 버퍼(circle buffer) 타입으로 관리한다.
상기 프레임 관리 테이블 구성의 일 예를 표로 도시하면 아래 〈표 2〉과 같다.
프레임 관리 테이블 [ ] Sequence_Number
Frame_OK_flag
NAK_frame_number
Start_Offset
End_offset
·Sequence_Number ; 현재 수신한 프레임의 씨퀀스 넘버.
·Frame_OK_flag ; 현재 수신한 프레임의 유효(valid)와 무효(invalid)를 구분하는 프레그.
·NAK_frame_number; NAK 제어 프레임이 발생되었을 때 부여되는 씨퀀스 넘버.
·Start_Offset ; 현재 수신된 프레임이 저장된 프레임 컨덴트 버퍼의 시작 번지수.
·End_Offset ; 현재 수신된 프레임이 저장된 프레임 컨덴트 버퍼의 끝 번지수.
상기 726단계에서 RLP부(40)는 상기한 〈표 2〉에 의해 프레임 관리 테이블을 작성하여 상기 수신된 RLP 프레임의 등록이 완료되면 새로운 RLP 프레임이 수신되는 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710단계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연속되지 않은 프레임 씨퀀스 넘버를 가지는 RLP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를 설명하면, RLP부(40)는 710단계와 712단계에서 새로운 RLP 프레임을 수신하여 도 6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 컨텐트 버퍼에 저장한다. 한편 714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RLP 프레임의 프레임 씨퀀스 넘버가 이전에 수신된 RLP 프레임의 프레임 씨퀀스 넘버와 상이하면 71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16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RLP부(40)는 상기 수신된 RLP 프레임이 NAK 관리 테이블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가를 분석한다. 상기 수신된 RLP 프레임이 상기 NAK 관리 테이블에 이미 등록되어 있다는 것은 재 전송된 RLP 프레임임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NAK 관리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연속되는 프레임 씨퀀스 넘버를 가지는 RLP 프레임이 유효하게 전송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상기 RLP부(40)는 716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RLP 프레임이 재 전송되었다고 분석되면 718단계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고 전송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분석되면 7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RLP부(40)는 722단계로 진행하면 수신되지 않은 프레임 씨퀀스 넘버를 가지는 RLP 프레임을 NAK 관리 테이블에 등록하고 724단계에서는 NAK CTL RLP 프레임(NAK Control RLP Frame)을 전송한다.
상기 NAK 관리 테이블 구성의 일 예를 표로 도시하면 아래 〈표 3〉와 같다.
NAK 관리 테이블 [ ] NAK_counter
First_SEQ_NUM
Last_SEQ_NUM
·NAK_counter ; NAK 타이머가 종료된 횟수.
·First_SEQ_NUM ; NAK 되어야 하는 연속된 프레임의 첫 번째 프레임 씨퀀스 넘버.
·Last_SEQ_NUM ; NAK 되어야 하는 연속된 프레임의 마지막 프레임 씨퀀스 넘버.
상기 RLP부(40)는 상기 722단계와 724단계에서 〈표 3〉에 따른 NAK 관리 테이블과 NAK CTL RLP 프레임의 전송이 완료되면 72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26단계에서 상기 RLP부(40)는 상기한 〈표 1〉에 의해 프레임 관리 테이블을 작성하여 상기 수신된 RLP 프레임의 등록이 완료되면 새로운 RLP 프레임이 수신되는 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710단계로 진행한다.
하지만, 상기 RLP부(40)는 716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RLP 프레임이 재 전송되었다고 분석하여 718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수신된 RLP 프레임에 따라 〈표 3〉의 형태로 작성된 해당 NAK 관리 테이블을 삭제한다.
상기 720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수신한 RLP 프레임을 PPP 프레임으로 처리하여 UART 인터페이스를 통해 PDA(50) 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PPP 프레임을 전송한 후 상기 RLP부(40)는 72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한 〈표 2〉에 의해 프레임 관리 테이블을 작성하며, 상기 수신된 RLP 프레임의 등록이 완료되면 새로운 RLP 프레임이 수신되는 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7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10단게에서 새로운 RLP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으면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유효한 RLP 프레임을 수신함에 따라 수신한 RLP 프레임을 PPP 프레임으로 처리하여 PDA(50) 측으로 전송하며, 무효의 RLP 프레임을 수신함에 따라 전송하는 NAK CTL RLP 프레임의 형태는 "TIA/EIA IS-99"에 규정된 프레임 형태를 사용한다. 또한 수신되는 RLP 프레임의 형태도 RLP 프레임 씨퀀스 넘버 영역, RLP 프레임 타입 영역, 데이터 영역 등으로 이루진 "TIA/EIA IS-99"에 규정된 프레임 형태를 사용한다.
이하 상기 프레임 컨텐트 버퍼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LP 프레임이 저장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LP부(40)는 710단계에서 하프(half) 프레임 율을 가지는 RLP 프레임 a를 수신하면 712단계에서 상기 프레임 컨텐트 버퍼에 저장한다. 또한 72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한 하프 프레임 율을 가지는 RLP 프레임을 PPP 프레임으로 처리하여 상기 PDA(50)로 전송하고 726단계에서 〈표 2〉의 프레임 관리 테이블에 등록한다. 상기 프레임 관리 테이블에는 상기 수신된 RLP 프레임 a의 프레임 씨퀀스 넘버, 유효 프레임임을 나타내는 프레그(flag), 상기 RLP 프레임 a가 저장된 프레임 컨텐트 버퍼의 시작 번지와 끝 번지를 등록한다.
다음으로 풀(full) 프레임 율을 가지는 RLP 프레임 b를 수신하여 앞서 수신된 RLP 프레임 a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저장하며, 상기 RLP 프레임 b에 이어 하프(half) 프레임 율을 가지는 RLP 프레임 e를 수신하면 상기 RLP부(40)는 7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RLP부(40)는 상기 수신된 RLP 프레임 e가 NAK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하고 있는 프레임이 아니므로 722단계로 진행하여 〈표 3〉의 NAK 관리 테이블에 등록한다. 상기 NAK 관리 테이블에는 NAK 되어야 하는 첫 번째 RLP 프레임 c의 프레임 씨퀀스 넘버와 마지막 RLP 프레임 d의 프레임 씨퀀스 넘버를 등록한다.
한편, 도 6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풀(full) 프레임 율을 가지는 RLP 프레임 f를 수신한 후 RLP 프레임 c를 수신하면 상기 RLP부(40)는 718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NAK 관리 테이블에 등록한 RLP 프레임 c를 삭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신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가변적이고 순서되는 프레임이 불규칙한 경우에도 수신되는 순서데로 버퍼에 프레임 데이터를 쌓으면서 관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단말기와 같이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있는 장치의 메모리 운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의 무선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처리 단말기 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레디오 링크 계층에서 수신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을 수신하는 순서에 따라 링 버퍼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 컨텐트 버퍼에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프레임을 프레임 관리 테이블에 등록하여 관리하며, 상기 저장한 프레임이 이전 프레임에 연속한 프레임이 아닌 경우에는 무효 관리 테이블에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한 프레임이 이전 프레임에 연속한 프레임이 아니고 상기 무효 관리 테이블에 이미 등록된 프레임이면 상기 무효 관리 테이블에서 상기 저장한 프레임을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3.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의 무선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처리 단말기 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레디오 링크 계층에서 수신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링 버퍼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 컨텐트 버퍼에 수신한 프레임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프레임의 씨퀀스 넘버가 이전에 수신한 프레임의 씨퀀스 넘버에 연속하면 유효 제어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프레임이 이전에 수신한 프레임에 연속하지 않고 무효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하고 있지 않은 프레임이면 상기 이전 수신한 프레임에 연속하여 수신하여야할 프레임을 상기 무효 관리 테이블에 등록하고 무효 제어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한 프레임이 이전에 수신한 프레임에 연속하지 않고 무효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하고 있는 프레임이면 상기 저장한 프레임을 상기 무효 관리 테이블에서 삭제하고 유효 제어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유효 제어 프레임 또는 상기 무효 제어 프레임을 전송한 후 상기 저장한 프레임을 프레임 관리 테이블에 등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관리 테이블에 수신한 프레임의 데이터를 저장한 프레임 컨텐트 버퍼의 시작 번지와 끝 번지, 씨퀀스 넘버, 유효 및 무효 프레그를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 관리 테이블에 상기 수신한 프레임과 상기 이전 수신한 프레임 사이에 연속하여 수신하지 못한 프레임 중 첫 번째 프레임의 씨퀀스 넘버와 마지막 프레임의 씨퀀스 넘버를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KR1019970042728A 1997-08-29 1997-08-29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KR100234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728A KR100234134B1 (ko) 1997-08-29 1997-08-29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CN98120220A CN1115013C (zh) 1997-08-29 1998-08-29 复合数字蜂窝式终端中管理接收数据的方法
US09/144,244 US6487201B1 (en) 1997-08-29 1998-08-31 Method for managing received data in complex digital cellula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728A KR100234134B1 (ko) 1997-08-29 1997-08-29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349A KR19990019349A (ko) 1999-03-15
KR100234134B1 true KR100234134B1 (ko) 1999-12-15

Family

ID=19519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728A KR100234134B1 (ko) 1997-08-29 1997-08-29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87201B1 (ko)
KR (1) KR100234134B1 (ko)
CN (1) CN111501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7582B1 (en) * 1999-05-27 2003-01-14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protocol enhancements for dynamic capacity wireless data channels
KR100424654B1 (ko) * 1999-08-02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라디오링크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재전송 장치 및 방법
EP1122959A1 (en) * 2000-02-03 2001-08-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Handling of circuit-switched data services in IP-based GSM networks
JP3525869B2 (ja) * 2000-07-12 2004-05-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の接続装置及び方法
US7007061B1 (en) 2000-08-07 2006-02-28 Cisco Technology, Inc. Communicating data using facsimile protocols
CN1315313C (zh) * 2000-12-20 2007-05-09 Lg电子株式会社 在移动通信系统中控制多媒体呼叫的系统和方法
JP4213100B2 (ja) * 2004-09-17 2009-01-21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US20080005385A1 (en) * 2006-06-30 2008-01-03 Seagate Technology Llc Passive mirroring through concurrent transfer of data to multiple target devices
US10528488B1 (en) * 2017-03-30 2020-01-07 Pure Storage, Inc. Efficient name cod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8342A (en) * 1997-05-05 2000-07-1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Dynamic configuration of radio link protocol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FI101332B (fi) * 1995-12-18 1998-05-2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Epäjatkuvalähetys monikanavaisessa suurinopeuksisessa datasiirrossa
US5878036A (en) * 1995-12-20 1999-03-02 Spartz; Michael K.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tilizing CDMA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GSM A-interface telecommunications network protocol
US5956651A (en) * 1996-09-30 1999-09-21 Qualcomm Incorporated Cellular telephone interface system for AMPS and CDMA data services
KR100260516B1 (ko) * 1997-04-01 2000-07-01 정선종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통신 데이터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
KR19990001580A (ko) * 1997-06-16 1999-01-15 양승택 Cdma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g3 팩스 서비스 방법
US6314101B1 (en) * 1997-06-17 2001-11-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detecting delayed data frames in a transport function
US5963860A (en) * 1997-10-17 1999-10-05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 data communication from a calling communication unit associat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a called communication unit
US6226301B1 (en) * 1998-02-19 2001-05-01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ation and assembly of data frames for retransmission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076181A (en) * 1998-03-03 2000-06-13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retransmission/abort timer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169732B1 (en) * 1999-06-29 2001-01-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208620B1 (en) * 1999-08-02 2001-03-27 Nortel Networks Corporation TCP-aware agent sublayer (TAS) for robust TCP over wirel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013C (zh) 2003-07-16
US6487201B1 (en) 2002-11-26
KR19990019349A (ko) 1999-03-15
CN1212548A (zh) 1999-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9441C (zh) 一种应用于端到端链路传输中ip报头压缩的方法
CN1171428C (zh) 在移动通信系统中提供安全链路的方法和装置
CN101729204B (zh) 在移动通信系统中从用户设备接收调度信息的方法
FI98027C (fi) Pakettiradiojärjestelmä ja päätelaitteisto pakettiradiojärjestelmää varten
WO2019101211A1 (zh) 一种通信方法、通信节点和系统
JP3999280B2 (ja) パケット交換接続を提供するgprs(一般パケット無線サービス)システム
CN101179564B (zh) 基于链路层自动请求重传的tcp分组头部压缩方法及其系统
CN102655448B (zh) 一种长期演进系统媒质访问控制层的数据传输方法
CN101374331B (zh) 配置无线链路控制层序列号的方法、系统和设备
US20070291793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packet aggregation
CN101010913A (zh) 在无线个域网中应答发送的数据流的接收的方法和系统
CA24408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quality of service levels in a wireless packet data services connection
Wang et al. Transmitting IPv6 packets over Bluetooth low energy based on BlueZ
CN105704197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系统
JP2008509622A (ja) Ackフレーム伝送方法及び装置
CN1246024A (zh) 在一个无线通信系统中经过承载电路提供无缝通信的方法
CN104244324A (zh) 无线链路传输方法和系统
CN104079488A (zh) 基于以太网二层头压缩的传输设备及方法
KR100234134B1 (ko)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CN101384020A (zh) 一种无线中继系统及其数据传输方法
US7830918B2 (en) Method of network communication, and node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CN109525370B (zh) 基于zigbee的数据包发送方法
CN101500289A (zh) 下行数据包转发方法、系统及演进基站
CN100518180C (zh) 一种实现分组数据聚合协议功能的系统及方法
CN102065471B (zh) 中继通信网络中的传输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