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31976B1 - 폐기물의 건류 소각시스템이 구비된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의 건류 소각시스템이 구비된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976B1
KR100231976B1 KR1019910015928A KR910015928A KR100231976B1 KR 100231976 B1 KR100231976 B1 KR 100231976B1 KR 1019910015928 A KR1019910015928 A KR 1019910015928A KR 910015928 A KR910015928 A KR 910015928A KR 100231976 B1 KR100231976 B1 KR 100231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heat
waste
chamber
g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368A (ko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김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filed Critical 김창수
Priority to KR1019910015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1976B1/ko
Publication of KR930006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97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인되는 공기를 예열하여 산업폐기물 또는 이에 따른 유독성가스 및 가정의습성. 액상폐기물등을 건류시킨 후, 연소토록하고 폐기물 및 연료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고온. 연소시켜 연소열은 열회수기를 가열하고, 무공해 연소와 함께 에너지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한, 폐기물 건류 소각 시스템이 구비된 연소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공히 고온으로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해 2차.3차연소 및 집진 설비를 갖추어야만 공해 없는 연소가 가능하기 때문이며, 습성인 경우 별도의 건조장치를 갖추어야만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 소규모로 높은 고열을 발생시켜 가스를 연소시킬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대형의 소각설비만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폐기물의 무공해 처리 및 효율높은 열회수를 위하여 연소실내 연소된 고열의 기체가 유도판에 의해 헤드측으로 집중. 유도하여 미연소 기체의 2차연소와 함께 상방에 위치한 코일에 접촉시켜, 가스.완전 연소토록하며 폐기물연소시 발생되는 재 및 부유입자를 집진실에서 집진, 그리고 일측에 고정된 로스돌의 잔재된 재를 재처리판에 모아 재수거함에서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폐기물 투입통로와 토출구를 가져 폐기물을 연소실내에 투입토록하고 완전연소된 기체의 열 회수에 있어, 고온의 기체가 상승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열실에 다수의 요철을 형성하여 열회수부를 구성, 배기구를 열실의 저부에 위치시켜 열 교환된 기체를 배기토록하여 열 교환효율을 높이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폐기물 건류 소각시스템이 구비된 연소장치 및 방법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생활주변에 다양하게 발생되는 폐기물의 무공해 위생처리와 처리시 발생되는 열의 효과적인 회수로 에너지절약 및 수송비절감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폐기물의 건류 소각시스템이 구비된 연소장치
본 발명은 습성 및 유독성 가스 및 악취가 발생하는 소재등을 건류소각하여 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며, 배기가스의 오염원을 최소화하도록 된 중규모 또는 소규모로 설비가 가능한 폐기물건류 소각시스템이 구비된 연소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흡인되는 공기를 예열하여 산업폐기물들을 소각처리하며 이에 따라 발생되는 유독성가스와 또는 가정의 습성, 액상폐기물등을 건류시킨 다음 연소되도록하고, 폐기물 및 연료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고온으로 연소시켜 연소열를 보일러를 가열하는데 사용하고, 가스에 의한 공해를 최소화 할수 있게 함과 동시에 에너지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폐기물건류 소각시스템이 구비된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쓰레기에 관련하여 공해문제는 상당히 심각하여 쓰레기처리에 상당한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시원한 방법 및 대책이 없이 다만 재활용과 매립과 소각등으로 분리수거 방법들이 시행되고 있다.
여기서 재활용 또는 매립, 소각등의 방법에 있어서도, 각기 폐기물을 모두 수거하여 중간 집하장 또는 종말 처리장으로 이송시켜야 하는 점과 폐기물수거와 수송에 따른 제반 문제가 대두되며, 이를 크게 대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활용중에서도 수거 및 재활용을 위한 처리비용에 대한 가치가 평가 뒤져야 하는데, 단순히 자연보호측면과 매립장부족등 때문에 재활용해야 한다면, 소각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재활용가치가 큰것만 수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매립의 경우 매립되어야 하는 것이 연소가 가능한 습성폐기물 또는 액상폐기물과 연소기 유독성기체 및 악취가 풍기는 것, 즉 산업 폐기물등도 연소가 가능하면 악취 및 가스가 발생되지 않게 연소시켜 매립되는 폐기물은 최소화하고 불연성 폐기물(탄재, 시멘트, 모래, 자갈, 흙, 유리등)만을 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처리 방법은 매립장 및 처리인건비, 수송비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소각의 경우 비용이 많이 들지만 가장 위생적이라고 한다. 그러나 현재 소각에 있어 대규모의 소각방식에 의한 대기공해 및 폐기물수거문제와 수송비용등도 많이 소모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따라서,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폐기물이 발생된다면 발생량의 최소화 내지는 가장 가까운 곳에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폐기물처리시 가정내 그리고 중, 소규모의 공장내 집단화된 건물등에서 폐기물수거가 용이한 단위로 폐기물이 발생되는 대로 즉시 처리되는 것이 좀더 바람직하다.
그러나 중, 소규모로 건류소각시킬 수 있는 소각시스템이 없는 것이 현재 폐기물처리의 문제점이다. 이는 종래 폐기물소각처리에 있어, 공히 고온으로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해 2차, 3차연소 및 집진 설비를 갖추어야만 공해없는 연소가 가능하기 때문이며, 습성인 경우 별도의 건조장치를 갖추어야만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 소규모로 높은 고열을 발생시켜 가스를 연소시킬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대규모의 소각설비만 가능한 것이다.
즉, 대한민국“특허 공보공고번호80-450호 쓰레기 소각시스템”의 경우 건류 소각을 위해 쓰레기 건조과정과 함께 매우 복잡한 시스템이 요구되면,“실용신안공보공고번호89-5303의 폐기물소각장치”역시 2차, 3차연소장치와 집진장치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으며, 이의“특허 공보공고번호89-1628호 소각로의 노상 및 그 소각로에서 쓰레기 연소방법”등이 공히 건류소각 및 소각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시스템으로 대규모 구조물로서 소규모로 적용될 수 없으며, 이는 가스연소시 필요한 고온의 발생을 요구하기 때문에 불가분하게 대형화로 이뤄지는 것이다.
상기 방법 및 장치에서도 부분별로 연소시키기 전에 완전 연소가 이뤄지지 않거나 연소시키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 등을 분리 또는 파쇄시키는 공정과 함께 건조장치, 재소기, 가스세정기, 침전기등이 필요하고 연소온도가 높아져도 연소하는데 적절한 연소시간이 필요하다.
완전연소에 근접하기 위하여 연소시간 및 온도등의 제어가 필요하나, 폐기물중에 유독가스 및 습성, 액상폐기물이 포함될 때, 유해가스가 배기될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다양한 폐기물의 완전한 연소시에 필요한 조건들이 구비되어야 하며, 폐기물에 균일한 산소공급이 이뤄져야 함과 동시에 연소로내 고온의 온도가 유지되어져야 한다.
완전연소에 가깝도록하기 위해 각기 정밀한 제어로 완전연소 조건을 제공하여야 하나 이러한 제약을 받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으로서, 흡인 공기의 예열과 연료공급 노즐의 예열이 이뤄지므로 연소로내 고온이 유지되면서 외부에서 투입되는 폐기물의 건류가 가능하고, 가스 배기시 가스연소부를 통과하면서 가스가 완전연소에 근접되며, 비산된 재의 집진이 자체에서 이뤄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흡인공기의 1차 및 2차, 3차 가열로 폐기물을 건조 및 건류시키고 연료공급 노즐을 예열시켜 연소실내를 고온, 유지되게 하며, 연소실내 폐기물투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폐기물연소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가스 연소부에서 연소시켜 공해없는 연소가 이뤄지도록 하며, 연소시 발생된 열로 보일러를 가열케하며 보일러의 저부구조에 의해 분진 및 재의 집진과 열회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재처리가 용이한 폐기물의 건류 소각시스템이 구비된 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2(a)도는 A-A선 단면도.
제2(b)도는 B-B선 단면도.
제2(c)도는 C-C선 단면도.
제2(d)도는 D-D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가스연소부의 일부를 절개해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로스돌의 일부를 절개해 보인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공기흐름을 보인 개략도.
제6도는 본 발명 폐기물투입을 보인 개략도.
제7도는 본 발명 집진과 재수거 구조를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송풍휀
3 : 급기관 4 : 1차가열부
5 : 2차가열부 6 : 3차가열부
7 : 송기구 8 : 로스돌
9 : 통기구 10 : 돌기
11 : 힌지 12 : 레바
13 : 급기통로 14 : 연소실
18 : 유도판 19 : 집진실
20 : 집진구 21 : 재처리판
22 : 손잡이 23 : 가이드
24 : 재수거함 25 : 내화물
26 : 헤드 26′: 열판체
27 : 지지대 28 : 구멍
29 : 코일 30 : 수벽
31 : 열회수부 32 : 수실
34 : 덥개 35 : 폐기물투입통로
26 : 폐기물토출구 37 : 배기통로
38 : 배기구 39 : 노즐
41 : 점화기 42 : 연료공급관
43 : 단열재 44 : 실내온도센서
45 : 급수관 46 : 배수관
47 : 공급관 48 : 펌프
49 : 밸브 50 : 제어기
51 : 열실 53 : 회수관
55 : 가열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기관(3)의 끝단에 부착된 송풍휀(2)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배기통로(37)의 1차가열부(4)에서 예열되며, 2차가열부(5) 및 3차가열부(6)에서 고온으로 가열된 공기가 송기구(7)를 통해 가열실(55)로 공급된다.
다시 가열실(55)에서 고온으로 가열된 공기의 일부는 로스돌(8)의 통기구(9)를 통해 연소실(14)내 투입된 폐기물(M)을 건류시키며, 남어지 가열된 공기는 급기통로(13)로 공급되면서 연료공급관(42)을 예열시키고, 노즐(39)이 지향된 곳으로 토출시켜 가열된 상태로 노즐(39)를 통해 토출되는 점화된 연료에 가열된 공기중의 산소에 의해 고온의 상태하에서 폐기물(M)의 건류가스와 함게 연소시키게 된다.
연소실(14)에서 연소된 고온의 열은 유도판(18)에 의해 헤드(26)측으로 유도되어 구멍(28)이 천공된 열판체(26′)를 통과 하면서 헤드(26)를 고온으로 가열하고, 폐기물(M)에서 건류된 가스를 2차연소 시키면서 다시 코일(29)에 의해 3차연소로 가스의 완전연소가 이뤄진다.
연소가 이뤄진 기체는 열실(51)에서 수실(32)의 물을 가온하게 되며, 수실(32)의 열회수부(31)는 열회수가 용이하도록 요철(凹凸)상의 넓은 면적을 가져 헤드(26)로부터 수실(32)내의 물과 토출된 기체의 열을 교환하고, 식은 기체와 포함된 재 및 분진은 수벽(30)을 타고 집진실(19)에서 집진되어 각 모서리에 설치된 집진구(20)로 낙하하게 된다.
가열된 기체의 상승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열실(51)의 공간을 충분히 유지시키되, 배기구(38)의 위치를 수실(32)저부에 위치시켜 냉각된 기체를 배기구(38)와 배기통로(3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폐기물(M)은 몸체상부의 일측에 덥개(34)를 열고 투입하면, 투입통로(35)와 토출구(36)를 통해 폐기물(M)에 직접 열을 받지 않고 연소실(14)내의 로스돌(8)상에 떨어지며, 로스돌(8)상에 다수의 돌기(10)는 폐기물(M)의 사이에 공기흐름이 자유롭게 공간을 만들어 준다.
송기구(7)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공기는 통기구(9)를 통해 폐기물(M)을 건조시킴과 함께 건류시켜며, 건조 및 건류시 발생되는 가스는 연소실(14)에서 1차연소되고, 헤드(26)에서 2차연소코일에서 3차연소가 이뤄지면서 연소실(14)내부의 열에 의해 폐기물(M)에 점화된 상태로 폐기물(M)의 자체가 연소된다.
폐기물(M)연소중 발생되는 가벼운 입자 및 물체는 송기구(7)로 부터의 공기에 의해 연소실(14)로 비산되어 유통중 연소가 이뤄지며, 연소후 무거운 재는 로스돌(8)의 통기구(9)를 통해 가열실(55)로 낙하하여 재처리판(21)에 모아지게 된다.
로스돌(8)상에 잔재해 있는 재는 로스돌(8)의 힌지(11)를 축으로 레바(12)를 작동시키면 로스돌(8)이 수직으로 위치하며, 재가 재처리판(21)에 떨어지게 된다.
가이드(23)에 결합된 재처리판(21)의 손잡이(22)를 당기면 집진구(20)와 재처리판(21)상의 재는 모두 재수거함(24)에 수집되며, 재처리판(21)을 가이드(23)에 다시 결합한후 재수거함(24)의 재를 제거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 통상과 같이 기름 또는 가스등을 연소시켜 사용하는 기본적인 구비조건 즉, 버너와 연소실 보일러등을 구비하며 여기에 부수되는 제어장치들을 갖을 수 있으며, 이외 직접 물의 매체를 가지지 않고 직접 온풍식난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름 또는 가스등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로 난방하는 시스템에서 연소실(14)을 고열에 견디도록 내화물(25)로 되어 있고, 외부는 단열재(43)로 단열되며 기름 또는 가스탱크는 보편적으로 외부에 설치되고, 실내온도는 실내 온도센서(44)에 의해 순환용펌프(48)를 제어기(50)로 제어하여 동작조절되며, 버너의 동작으로 노즐(39)로 미립화된 연료가 토출되면 점화기(41)로 점화시키며, 연소실(14)에서 나오는 열은 수실(32)의 물에 열을 전도시키고 배기구(38)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수실(32)내의 물은 제어기(50)에 의해 펌프(48)를 제어 작동시키므로 방열시(미도시)로 공급관(47)을 통해 공급되며, 방열된 물은 다수 회수관(53)을 통해 펌프(48)로 순환되고, 온수사용등으로 보충수가 필요한 경우 급수관(45)을 밸브(49)를 제어하여 보충하며, 수실(32)내의 물이 충만 또는 압력에 의해 배수관(46)을 통하여 배수되도록 된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온도의 상태에 따라 연료공급제어가 용이하나, 본 발명에서는 폐기물의 소각이 이뤄지므로 온도의 상태에 따른 연료공급의 제어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축열실(미도시)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구성함에 송풍휀(2)은 필수적이나 배기통로(37)와 급격통로(13)에 휀을 부착하든지 부착하지 않든지 간에 중요한 사항이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폐기물(M)과 폐기물에 의해 발생된 가스를 무공해의 완전연소에 가깝도록 연소시키고 연소시 방출되는 열회수의 효율을 높이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흡입공기의 가열시스템에서 제1도 및 제8도에 보인바와 같이 급기관(3)의 송풍휀(2)이 부착되는 부분은 공기의 송풍이 원활하도록 나팔상으로 형성함과 급기관(3)은 고온에 견딜 수 있고, 열전도가 잘되는 내열성, 내식성금속 즉, 몰리브덴 또는 크롬강등의 금속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소의 열을 갖는 배기기체가 토출되는 배기통로(37)에 위치함으로 다소의 차이가 있겠으나, 약간의 배열중 일부회수되고, 1차가열부(4)의 거리와 공기흐름속도에 비례되며, 1차가열부(4)의 거리가 긴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약간의 예열이 이뤄진 급기관(3)에 공기는 2차가열부(5)의 위치가 열실(51)의 상부에 위치함으로 비교적 긴 공간을 이동하면서 중앙에 헤드(26)의 상부를 통과하면서 상당히 높은 온도(약 80C′-100C′)를 가지고, 연소실(14)내의 3차가열부(6)를 통과 하게 되는데, 고열상의 연소실(14)과 노즐(39)에서의 분사되는 고온(약 600C′-1000C′)의 화염이 급기관(3)을 가열함으로 공기는 약 150C′-300C′ 정도의 열을 갖는 상태에서 폐기물(M)의 연소시 발생되는 재의 비산을 막기위해 수평지향된 송기구(7)를 통해 가열실(5)로 공급되어 진다.
가열실(55)에 공급된 고온의 일부 공기는 내화물(25)에 형성된 지지턱(40)에 지지되고 로스돌(8) 전방2/3부분에 축을 형성하되, 축의 일측에 레바(12)를 고정하고, 타측의 축은 내화물(25)과 힌지(11) 결합된 로스돌(8)은 다수의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기구(9)와 돌기(10)를 일체로 구성된 로스돌(8)의 통기구(9)를 통해 연소실(14)로 공급된다.
이때 연소실(14)내에 공급되어 있던 폐기물(M)이 액상이거나, 다수의 수분이 함유된 상태 또는 유독가스 발생량이 많은 폐기물의 경우에도 로스돌(8)의 통기구(9)와 돌기(10)에 의해 송기구(7)에서 토출된 고온의 공기흐름이 원활하여지므로 짧은 시간에 이상적으로 건조가 이뤄지고 건조시 발생된 수분은 연소에 장애를 주지 않고 연소를 더욱 활성화시킨다.
즉, 고온으로 연소되는 연소실(14)내에 수분이 기화되면서 가열되는 고온의 연소 열에 의해 수분은 활성화되어 연소되는 것이다.
수분이 증발된 다음 건류가 이뤄지는데, 연속적으로 송기구(7)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공기에 의해 탄화상태로 까지 건류가 이뤄지며, 건류시 발생되는 가스는 노즐(39)로 부터 공급받아 연소되는 연소실(14)의 가스 또는 기름연료의 화염에 의해 약 600C′-1000C′ 유지되는 연소실(14)의 1차연소가 이뤄지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가스(보편적으로 악취성 가스 및 물질은 550C′-730C′에서 열분해 탈취됨)는 모두 연소가 되어진다.
다시 가열실(55)에서 고온으로 가열된 공기중 로스돌(8)의 통기구(9)를 통해 배출되고, 남은 공기는 내화물(25)내에 형성시킨, 넓게 열린급기구(13′)를 통해 급기통로(13)로 공급되며, 급기통로(13)내에 위치한 노즐(39)를 가열하면서 노즐(39)선단에 연소실(14)로 지향된 좁아진 배출구(13′)로 고온의 공기가 토출되면서, 노즐(39)로 토출된 연료의 연소시 산소를 공급해 주므로 고온의 연소실(14) 고열로 가열된 공기공급연료의 예열등 연소에 적절한 조건에 연소가 이뤄지므로 완전한 상태의 연소에 도달하게 된다.
로스돌(8)상의 폐기물(M)은 고열로 수분이 증발된 상태에서 건류가 되지 않으면 직접적으로 화염이 미치지 않게 되어 구조적으로 폐기물(M)표면에 탄화가 되기전에는 쉽게 점화연소가 되지 않으며 불완전한(건조와 건류 및 탄화가 되지 않는 상태) 상태에서 폐기물(M)에 쉽게 불지 않으므로 자체구조상 열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대기중에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경우는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로스돌(8)상의 폐기물(M)에서 건조, 건류, 탄화, 연소되는데 발생되는 열과 노즐(39)에서 연료의 분사 연소되는 열이 연소실(14)내에서 1차연소된후 모든 열은 기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내화물(25)위에 지지된 유도판에 의해 헤드(26)측으로 급기되는 공기의 압력과 높은 온도를 갖을때 위로 상승하고자 하는 성질에 의해 배기되기 위해 이동된다.
유도판(18)은 연소실(14)내에서 발생되는 모든 열을 헤드(26)측으로 안내되기 위하여 적절한 각도 15′-70′사이에 경사면을 갖도록 원뿔상으로 유지되어 그 상부에 헤드(26)가 설착되고, 유도판(18)과 헤드(26) 및 열판제(26′) 그리고 코일(29)은 내열성금속 및 내열세라믹[코일(29)제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헤드(26) 및 코일(29)은 연소시 발생될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해 미연소된 일산화탄소 및 기타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백금계 또는 크롬 및 닉켈계통의 금속에서 열에 강한 금속으로 촉매의 작용을 유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3도에 보인 바와 같이 헤드(26)는 다수개의 구멍(28)을 갖는 파이프상으로된 수개의 열판체(26′)가 등간격으로 지지대(27)에 지지되어 유도판(18)의 상부에 고정되며, 연소실(14)에서 고온, 고열의 기체가 헤드(26)의 열판체(26′)을 통과하는데, 그 집중된 열에 의해 고온 상태로 가열되며 여기서 각기 열판체(26′)에 의해 구분되어 상승되는 기체를 다수의 천공된 구멍(27)사이에서 상호유동 촉진시켜 연소효율을 높이도록 하면서 헤드(26)의 상방에 위치한 코일(29)로 이동된다.
헤드(26)의 열판체(26′)를 통과한 기체에 미연소가스가 잔재해 있다면 코일(29)이 상승 토출되는 열에 의해 고온상태로 가열되어져 기체가 코일(29)에 접촉되어 최종적으로 연소되는 확인 절차를 거쳐 토출되며, 이때 코일(29)은 헤드(26)의 열판체(26′)에 지지 고정되고 소재는 니크롬선과 같은 내열성 소재로 촉매기능을 갖는 것이 좀더 바람직하다.
연소실(14)에서 유도판(18)에 의해 모아진 기체가 헤드(26)의 좁은공간을 빠른속도로 통과하면서 폐기물(M)의 연소시 발생된 재와 입자상의 분진등과 같이 통과한 기체는 갑자기 넓어진 열실(51)의 공간에 의해 무거운 입자 및 재는 집진실(19)과 집진구(20)를 통해 완전히 연소된 고온의 기체는 헤드(26)와 코일(29)의 직 상방에 위치한 급기관(3)을 직접 가열시키고 다시 고온의 기체는 열의 상승하려는 작용에 따라 열실(51)의 열회수부(31) 상방에 모이게 되며 수실(32)의 물과 수벽(30)을 통해 열교환이 이뤄지게 된다.
제7도에 보인 바와같이 열회수부(31)는 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요철(凹凸)을 형성하여 고온의 기체와 접촉하는 수벽(30)을 넓게 하여 열교환이 용이하도록하고 열교환된 기체는 물에 의해 냉각되므로 저온의 기체로 변하면서 계속 공급되는 기체는 물에 의해 냉각되므로 저온의 기체로 변하면서 계속 공급되는 기체에 의해 밀려 수벽(30)을 타고 열실(51)의 저부로 점차 하강하면서, 폐기물(M) 연소시 발생된 재와 입자상의 분진들과 함께 집진실(19)로 낙하하여 집진구(20)를 통해 재처리판(21)상에 모아지게 열실(51)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기구(38)를 통해 배기통로(37)로 배출된다.
재의 처리시 로스돌(8)상의 재는 로스돌(8)의 일측이 지지턱(40)에 지지된 상태에서 2/3되는 전단에 축으로 힌지(11) 결합되어 있으므로 일측에 고정된 레바(12)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로스돌(8)의 지지턱(40)에 지지된 부분이 들려 올라가면서 로스돌(8)이 뒤집어져 로스돌(8)상의 재는 재처리판(21)위로 낙하하고 다시 레바(12)를 반대로 가압하면 로스돌(8)이 다시 정상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모든 재는 재처리판(21)상에 모아지게 되며 재처리판(21)과 일체로된 손잡이(22)를 당기므로 가이드(23)에 지지된 상태에서 재는 몸체(1)의 턱에 걸려 나오지 못하고 집진구(20)와 재처리판(21)상의 재는 모두 재수거함(24)에 낙하하며 다시 가이드(23)에 재처리판(21)을 몸체(1)에서 분리시켜 재를 제거하고 다시 결합하면 된다.
폐기물(M)투입시 제6도에 보인바와 같이 연소실(14)에 폐기물(M)의 투입은 몸체(1)일측에 폐기물 투입통로(35)와 폐기물 토출구(36)를 형성하며 폐기물투입통로(35)는 연소실(14)의 열이 직접 미치지 않게 하여야 하며, 폐기물 토출구(36)는 노즐(39)에서 연료를 분사시켜 연소되는 부분에 직접 영향이 미쳐지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 상부에 설치된 덥개(34)를 열면 폐기물 투입통로(35)가 개방되며 여기에 폐기물(M)을 투입하면 폐기물 토출구(36)로 폐기물(M)이 토출되면서 로스돌(8)상에 낙하되며, 다시 덥개(34)를 덮어 차폐시키므로서 연소실(51)내에 폐기물(M)투입이 이뤄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생활주변에 다양하게 발생되는 폐기물의 무공해 위생처리와 처리시 발생되는 열의 효과적인 회수로 에너지절약 및 수송비 절감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단열재로 외부가 단열된 몸체 내부에 갖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 하부에 구비하며 폐기물이 적제되는 로스돌과; 상기 연소실의 폐기물을 점화시키기 위한 제어기 및 노즐과; 상기 연소실의 재성분을 수거하기 위한 재수거함을 갖는 폐기물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의 폐기물을 건조하기 위해 상기 로스돌 하부에 갖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에 외부공기를 강제 공급하기 위한 송풍휀을 입구에 가지며, 송풍된 외부공기를 연소실 주위에 통과시켜 예열하고 가열실로 공급하기 위한 1차, 2차, 3차 가열부와; 상기 연소실의 연소가스를 한곳으로 집중 유도하기 위한 유도판과; 상기 유도판에 유도된 연소가스를 2차 연소시키기 위한 헤드 및 상기 헤드위에 설치되어 완전 연소되게 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을 통과한 연소가스와 배기구로 배기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열실과; 상기 열실의 연소가스열을 회수하기 위한 요철형태의 수벽을 가지며, 상기 수벽으로 흡수된 회수열에 의해 온수를 얻게 하는 수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건류소각시스템이 구비된 연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의 일측에는 가열실과 연통된 급기통로를 가지며, 상기 급기통로를 통해 공급되는 예열공기에 의해 연료공급관이 예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건류소각시스템이 구비된 연소장치.
KR1019910015928A 1991-09-10 1991-09-10 폐기물의 건류 소각시스템이 구비된 연소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31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928A KR100231976B1 (ko) 1991-09-10 1991-09-10 폐기물의 건류 소각시스템이 구비된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928A KR100231976B1 (ko) 1991-09-10 1991-09-10 폐기물의 건류 소각시스템이 구비된 연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368A KR930006368A (ko) 1993-04-21
KR100231976B1 true KR100231976B1 (ko) 1999-12-01

Family

ID=1931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928A Expired - Fee Related KR100231976B1 (ko) 1991-09-10 1991-09-10 폐기물의 건류 소각시스템이 구비된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19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810B1 (ko) 2006-02-10 2007-10-10 이병연 다목적 보일러
KR101839550B1 (ko) * 2017-04-10 2018-03-16 신대원보일러 주식회사 폐가스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KR102672958B1 (ko) * 2023-10-25 2024-06-07 (주)규원테크 고체 연료 보일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7032U (ko) * 1977-06-20 1980-12-01
KR830000755Y1 (ko) * 1981-12-19 1983-05-21 이화묵 보안기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7032U (ko) * 1977-06-20 1980-12-01
KR830000755Y1 (ko) * 1981-12-19 1983-05-21 이화묵 보안기의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810B1 (ko) 2006-02-10 2007-10-10 이병연 다목적 보일러
KR101839550B1 (ko) * 2017-04-10 2018-03-16 신대원보일러 주식회사 폐가스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KR102672958B1 (ko) * 2023-10-25 2024-06-07 (주)규원테크 고체 연료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368A (ko) 199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976B1 (ko) 폐기물의 건류 소각시스템이 구비된 연소장치
EP0324775A1 (en) OVEN.
KR200371234Y1 (ko) 소각보일러의 배기가스 재 연소장치
JP3091181B2 (ja) 焼却装置
JP2000283427A (ja) 反応型ごみ焼却炉及びそれを用いたごみ焼却方法
KR100777616B1 (ko) 고탄소성 산업폐기물의 저온 열분해장치
JP2006170586A (ja) セラミックヒーター式間接熱利用排煙処理装置及びその装置を利用した焼却炉
JPH07332638A (ja) ゴミ焼却炉
KR100577492B1 (ko) 건류형 소각로
JP3006430U (ja) 無公害焼却機
KR100704176B1 (ko) 재연소 소각보일러
KR810002051B1 (ko) 분뇨 오물 소각장치
CN217899872U (zh) 一种立式生活垃圾气化焚烧装置
JP3057518U (ja) 蒸し焼式電気焼却炉
KR0165921B1 (ko) 자연통풍식 소각로
JP2005321142A (ja) 焼却炉の外装パネル取付構造
KR100477097B1 (ko) 폐기물 소각 장치
KR960000449Y1 (ko) 열풍 및 온수공급이 가능한 폐기물 소각장치
KR0176990B1 (ko) 폐기물 소각장치
KR100304423B1 (ko) 폐유연소보일러
JP2002106816A (ja) 廃棄物焼却装置
JP3069972U (ja) 焼却炉装置
KR930007576Y1 (ko) 향류형 로타리 킬른을 주체로한 쓰레기 소각장치
KR950002251Y1 (ko) 폐기물 소각장치
KR960009433Y1 (ko) 폐기물 소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9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