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8824B1 - 자기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자기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824B1
KR100228824B1 KR1019930016178A KR930016178A KR100228824B1 KR 100228824 B1 KR100228824 B1 KR 100228824B1 KR 1019930016178 A KR1019930016178 A KR 1019930016178A KR 930016178 A KR930016178 A KR 930016178A KR 100228824 B1 KR100228824 B1 KR 100228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dispersion
weight
layer
magnetic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541A (ko
Inventor
레에너 아우구스트
슈나이더 노르베르트
롤러 헤르만
발츠 베르너
렌츠 베르너
코올 알베르트
Original Assignee
프리드리히 베케비츠
엠테크 마그네틱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드리히 베케비츠, 엠테크 마그네틱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리드리히 베케비츠
Publication of KR940004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82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8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addition of non-magnetic particles to th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3Silicic or refractory material containing [e.g., tungsten oxide, glass, cement, etc.]
    • Y10T428/2995Silane, siloxane or silicon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52Of asbestos
    • Y10T428/31663As siloxane, silicone or si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52Of asbestos
    • Y10T428/3166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or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Landscapes

  • Paints Or Remover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Lubricant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Of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용매중의 중합체 결합제의 용액중에서 비등방성 자기재료 및 통상적인 첨가제의 분산액을 제조하고, 분산액을 비자기성 기판에 층으로서 도포시키고, 자기장내에 비등방성 자기재료를 배향시키고, 도포된 자기층을 고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자기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며, 자기층은 미립 유기 소수성 지지안료 및 고점성 폴리실록산을 함유한다.

Description

자기기록매체
본 발명은 유기용매중의 중합체 결합제의 용액중에서 비등방성 자기재료와 통상적인 첨가제의 분산액을 제조하고, 비자기성 기판에 한층으로서 분산액을 도포시킨 후, 자가장내에 비등방성 재료를 배향시키고 자기층을 고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자기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오디오 및 비디오 기록 및 재생장치에 사용되는 자기기록매체는 다양한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계속 개선되고 있는 오디오 테이프, 비디오 테이프 및 가요성 데이터 매체의 사용을 위한 기록 및 재생성질에 대한 높은 요건 이외에, 특히 기계적 성질에 대해 지속적인 개조 및 개선이 요구된다. 자기층은 매우 가요성이어야 하고, 고탄성 및 고인장강도를 가져야 한다. 더욱더, 출력수준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마찰계수의 감소, 내마모성 및 내마멸성의 증가 및 고열 및 습도에 대한 안정성의 개선이 점점 더 필요해지고 있다. 그외에, 기록매체의 자기층은 점점 더 매끄러워져서 훨씬 더 높은 주파수를 기록해야 하기 때문에, 약 30의 약간 상승된 온도 및 높은 대기습도에서도 재생되는 동안 이러한 매끄러운 자기층이 폐색된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100까지의 고온 및 고압에서 자기층의 압축이 수행되므로, 캘린더 조작공정이 특히 위험하다. 결과적으로, 자기기록매체가 쓸모없게 되고 더러워지고, 기록 및 재생헤드 또는 테이프상에 흠집이 형성되거나 또는, 특히 고온과 함께 높은 대기습도에서 테이프가 폐색된다.
상기 결함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히 적합한 자기성 안료를 사용하는 것과는 별도로, 자기층이 기록방향으로 특히 높은 자기화를 갖고, 필요한 매끄러운 표면과 함께 또한 절대적으로 필요한 기계적 성질을 가질 정도로 자기층에 함유되는 모든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우수한 잔류유도 및 배향비와 함께 균일한 표면 거칠기와 같은 규정된 성질의 개선 및 우수한 기계적 성질의 보장은 완전히 동일한 재료에서 자기층, 사용되는 결합제 및 첨가제의 제조에 매우 의존한다. 첨가제는 주로 윤활제, 발수제 및 분산제이며, 이들은 자기기록매체의 전기음향학적, 자기적 및 기계적 성잘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매우 작은 파장의 분해를 위해 특히 우수한 테이프/헤드접촉이 필요하므로, 고품질의 자기기록매체의 경우에는 자기층의 표면 거칠기의 감소가 특히 중요하다. 이것은, 자기층에 대한 손상이 즉시 출력수준의 저하를 유도시키므로, 테이프의 마찰성질 또는 내마모성에 대해 설정된 높은 요건을 야기시킨다.
지금까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들어 발수제의 첨가, 자기층에 대한 윤활제의 후속 도포, 교차결합 및 비자기성 안료의 첨가에 의한 자기층의 표면경도의 증가, 부가적으로 교차결합될 수 있는 2 내지 4개의 결합제들의 결합제 조합등과 같은 매우 많은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지금까지 종종 제안된 많은 방법은 공정공학에 대해 상당한 결점을 갖는다. 즉, 이 방법들은 상기 요건들을 단지 불충분하게 충족시킨다. 특히 높은 대기습도 및 고온에서, 극한 기후조건항서 자기기록 매체의 작동성질에 대해 특히 높은 요건이 점차적으로 설정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는 종종 자기재료의 분산동안 또는 자기층의 생성동안 혼합되는 소량의 특별한 윤활제 또는 충전제의 첨가를 수반한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스테아르산과 같은 지방산 또는 이성질화된 지방산,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제1 내지 4족의 금속과의 이것의 염, 레시틴과 같은 양쪽성 전해질, 및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실리콘 오일 또는 카아본 블랙이 있다. 특히 조합물중에서, 상기 생성물은 통상적인 온도 및 습도 조건하에 매우 우수한 작동성질을 유발시킨다. 극한 온도 및 습도 조건하에서, 이러한 테이프는, 예를들어 동력범위가 확대된 오디오 및 비디오 테이프를 위해 사용되는 바와같은 특별한 결합계의 사용으로도 높은 대기습도 및 85까지의 온도에서 작동에 대해 단지 제한된 점도로만 적합하다. 고도로 교차결합된 통상적인 저분자량 액체 또는 80미만의 융점을 갖는 고체 선형 파라핀을 조합함으로써, 상기 기술된 조건하에서 상승된 온도에서의 저장후의 테이프층의 우수한 분리, 우수한 미끄러짐 작용, 층의 고발수성, 증가된 내인소성, 사용되는 용매중의 불용성, 헤드마모의 감소 및 우수한 분산성과 같은 모든 필요한 성질을 조합시키는 자기 테이프를 생성시킬 수 없다. ZnO, SiO2, Al2O3, Fe2O3또는 FeOOH 분말과 같은 비자기성 무기 안료를 사용할 경우에도 테이프층의 비점착, 비오염, 저마모 및 물에 의한 부족한 습윤과 같은 성능 특징이 고온 및 고습도 조건하에서 또는 85에서의 저장시에 달성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고 변화하는 온도 및 대기 습도하에서도 테이프 작동에 있어서, 보다 낮은 헤드마모, 더 작은 물 흡수도, 증가된 내인소성 및 더 작은 변동과 같은 성능 특성의 개선을 나타내는, 즉 자기성질의 변성없이는 자기성질의 손상이 없는 자기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유기용매중의 중합체 결합제의 용액중에서 비등방성 자기재료 및 통상적인 첨가제의 분산액을 제조하고, 비자기성 기판에 분산액을 층으로서 도포시키고, 자기장내에 비등방성 자기재료를 배향시키고, 용매중에 불용이고, 90이상의 융점을 갖는 미립 유기 소수성 지지안료가 10,000 내지 500,000 mPa의 점도를 갖는 0.1 내지 1.5중량의 고점성 폴리실록산과 조합하여 0.1 내지 8중량의 양으로 자기층내에 존재한다면, 도포된 자기층을 고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자기기록 매체에 의해 상기의 목적이 달성됨을 발견하였다. 여기에서, 퍼센트는 각각의 경우에 자기재료의 양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 "지지안료"는 안료가 자기층에서 보강 및 스페이서 기능을 가짐을 의미하는 것이다.
신규의 자기기록매체를 위해 적합한 미립 유기 지지안료는, 이것이 자기성 분산액을 위해 사용되고 90보다 높은 융점(모노스코우프)을 갖는 용매중에 불용이라면, 2,0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7,0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다. 30미만, 특히 10미만의 입자직경 및 95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초미립 구형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이 특히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것은 또한, 안료가 150 내지 400bar 이상의 경도(D6F-M-IN 8에 따르는 23에서의 회플러(Hoppler) 경도)를 갖는다면 유용하다.
상기 기술된 한계조건, 즉 90이상의 융점, 사용되는 용매중에서의 불용성, 미립성질 및 2,000 내지 10,000의 분자량이 유지된다는 조건하에, 에틸렌/아크릴산 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 또는 산화된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에 근거한 공중합체 및 반응 생성물이 또한 적합하다.
규정된 유기 지자안료 이외에 자기층에 존재하는 고분자량 폴리실록산은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100,000, 특히 20,000 내지 80,000 mPa의 점도를 가지며, 그 양은 유리하게는 자기성 재료에 대해 0.15 내지 0.75중량이다. 디메틸실록산에 근거한 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다.
특히, 극한 환경조건, 예를들어 높은 대기습도 및/또는 고온하에서 점착 및 되묻음과 같은 기록매체의 불리한 성능 특성은 첨가제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니스의 가공에 공지된 바와같이, 지금까지 저분자량 또는 화학적으로 변성된 실리콘 오일이 바람직하게 사용되었다. 고분자량 폴리디메틸실록산은 매우 약간 가용성이고, 부적합하다. 이것은 피팅(pitting)되려는 강한 경향 및 이른바 해머딤플 효과를 유도한다. 따라서, 미립 유기 지지안료와 조합하여 작동 문제점이 상당히 개선되고, 저분자량 실리콘 오일 또는 변성된 실리콘 오일의 사용에 의해 공지된 작동에 있어서의 단점, 예를들어 재생의 흐트러짐 및 불안정한 재생체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 모두 더욱더 놀라운 점이다.
신규의 자기기록매체의 조성 및 제조는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자기재료는 0.1 내지 2, 특히 0.1 내지 0.9의 평균 입자크기를 갖는 미립 침상 결정 감마-산화철(III) 또는 산화철에 대해 규정된 것과 똑같은 입자구조를 갖는 침상 결정 이산화 크롬이다. 또한 적합한 재료는 중금속, 특히 코발트로 도우핑된 감마-산화철(III) 및 철, 코발트 및/또는 니켈의 미립 금속 합금이다. 미립 이산화 크롬이 특히 적합하다. 안료들의 혼합물이 또한 적합하다.
자기층을 형성시키는 결합제는 적어도 40 중량의 폴리우레탄을 함유한다. 이것을 위해, 예를들어 DE-B 11 06 959호 또는 DE-B 27 52 69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용매-함유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적합하다. 또한, 적합한 폴리우레탄은 DE-A 32 26 995호, 32 27 163 호 및 32 27 164 호에 기술되어 있다. 폴리우레탄은 단독 결합제로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다른 중합체(예:폴리비닐 포르말, 페녹시 수지 또는 PVC 공중합체)와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의 제2결합제 성분이 첨가된다. 상기 결합제의 경우에, 부가적 분산제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없애는 것이 특히 유용하다.
결합계 및 테이프 특성면에 의존하여 필요시될 수 있는 자기기록매체의 교차결합을 위해, 폴리우레탄 결합제 또는 폴리우레탄 결합제 혼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이 적합하다. 교차결합을 위해 1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3,000의 분자량을 갖는 많은 유기 디-, 트리-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분자 1개당 2대 이상의 NCO 기를 치환시킨 폴리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바람직하다.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에 근거하고, 디올 또는 트리올과의 다첨가 반응에 의해 또는 뷰렛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생성에 의해 생성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특히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디에틸렌 글리콜의 첨가 생성물이 특히 유용하다.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양은 특별한 결합계에 부합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결합제에 의존하여 물,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디옥산과 같은 고리형 에테르 및 시클로헥사논과 같은 고리형 케톤이 용매로서 사용된다. 폴리우레탄은 또한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 술폭시드 또는 에틸글리콜 아세테이트와 같은 다른 강한 극성 용매중에 가용성이다. 또한, 규정된 용매를 톨루엔 또는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화합물 및 에틸 또는 부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와 혼합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기재료와 결합제의 분산액에 자기층을 개선시키기 위한 추가의 첨가제가 사용된다. 첨가제의 예로는, 지방산, 폴리카르복실산, 모노-, 디- 또는 폴리술폰산 또는 인산, 이들의 혼합물, 주기율표의 제1족 내지 제4족의 금속과의 에스테르 또는 염, 렉시틴 및 플루오로카아본 뿐만 아니라, 카아본 블랙, 그라파이트, 석영분말, 및/또는 규산염 또는 산화철에 근거한 비자기성 분말과 같은 충전제가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전체 양은 일반적으로 자기층에 대해 10중량이하이다.
신규의 자기기록매체를 위해 대표적인 유기 지지안료의 양은, 분산공정전에 또는 종료시에 상기 성분들을 첨가함으로써 달성된다. 자기 분산액과 혼합되는 안료 페이스트가 또한 적합하다. 이것은 우수하고 균일한 분포를 유발시킨다. 마찰성질 및 작동의 개선과 같은 다른 효과 이외에 분산을 또한 향상시키는 추가의 통상적인 첨가제가 자기층을 생성시키는 데에 사용된다면, 신규의 첨가제의 첨가에 의해 유리한 특성이 유지된다. 고분자량 폴리실록산은 기판에 대한 분산액의 도포전에 즉시 혼합된다.
자기층은 공지된 방법으로 생성된다. 이를 위해, 자기재료는 분산장치, 예를 들어 관형 볼 밀 또는 교반 볼 밀내에서, 추가의 첨가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사용되는 결합제 및 충분한 용매와 분산된다. 유용한 결합제/안료비를 얻기 위하여, 이들은 고체 형태로 또는 10 내지 60농도용액 또는 20 내지 60농도 분산액의 형태로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1 내지 5일동안 수행될 수 있는 자기재료의 매우 미세한 분포가 달성될 때까지 분산을 계속시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후속 반복여과로, 완전히 균일한 자기 분산액이 얻어진다. 필요한 어떠한 교차결합제라도 피복전에 분산액에 첨가된다.
그다음, 자기 분산액은 통상적인 피복장치, 예를들어 나이프 코오터의 사용으로 비자기성 기판에 도포된다. 사용되는 비자기성 기판은, 특히 6 내지 36의 통상적인 기판일 수 있다. 여전히 액체인 피복 혼합물이 기판상에서 건조(이것은 유리하게는 50 내지 100에서 0.2 내지 5분동안 수행됨)되기 전에, 비등방성 자기성 입자들이 자기장의 작용에 의해 예정된 기록방향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자기층은 필요하다면 가압하에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에서 가열 로울러 및 연마 로울러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통상적인 기계에서 캘린더 조작되고 압축될 수 있다. 자기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이다.
자기층에 유기 지지안료와 폴리실록산을 함유하지 않은 기록매체와 비교하여, 신규의 기록매체는 습도 및 산화성 화합물에 의해 야기되는 화학적 분해에 대해 상당히 개선된 안정성을 갖는다. 이것은, 특히 자기성질에 매우 악영향을 주는 바람직하지 않은 분해, 즉 예를들어 이산화 크롬이 사용될 경우 크롬산염 및 크롬(III) 이온이 얻어지는 불균등화가 억제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는 종래의 실험과 비교하여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부 및 퍼센트는 다르게 규정하지 않는한은 중량에 근거한 것이다. 자기성질은 100kA/m의 자기장에서 진동샘플 자력계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보자력 Hc[kA/m], 잔류 자기화 Mr 및 포화 자기화 Mm[mT], 및 교차방향으로의 잔류 자기화에 대한 작동방향으로의 잔류 자기화의 비인 배향비 Rf가 측정된다. 그외에, DIN 38,414/페이지 4에 따른 용출 시험에 의해 크롬산염 생성을 측정함으로써, 그리고 규정된 용출물상의 전체 크롬 측정에 의해 자기기록매체의 안정성이 연구된다.
[실시예 1]
0.5의 평균 입자크기 및 4:1의 길이/폭 비를 갖는 100 중량부의 강자성 이산화 크롬을 33.9 중량부의 16.5농도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의 용액, 82의 비닐 포르말 단위, 12의 비닐 아세테이트 단위 및 비닐 알코올 단위로 구성된 5.6중량부의 20농도 폴리비닐 포르말의 용액, 0.5 중량부의 올레산 N-탈로우 지방-1, 3-디아민, 2 중량부의 스테아르산 아연, 0.6 중량부의 아마인유 지방산, 87중량부의 1:1 테트라히드로푸란/디옥산, 및 5,000의 분자량, 98의 융점 및 15의 평균 입자직경을 갖는 1중량부의 구형 폴리에틸렌 및 0.5 중량부의 폴리디메틸실록산(점도:60,000 mPa)과 함께 분쇄 매체로서 강 볼을 함유하는 통상적인 설계의 강 볼 밑에서 72시간동안 분산시킨다.
50.5 중량부의 16.5농도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용액, 8.33 중량부의 20농도 폴리비닐 포르말 용액, 28.8 중량부의 1:1 테트라히드로푸란/디옥산 및 0.25 중량부의 올레산/스테아르산 혼합물의 혼합물을 상기 예비 분쇄된 분산액에 첨가하고, 2시간동안 더 분산을 계속시킨다.
이와같이 해서 얻은 자기 테이프 분산액에 3몰의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1몰의 트리메틸올프로판으로 구성된 6.7 중량부의 50중량농도 트리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잘 교반시킨 후, 3의 공극크기를 갖는 여과기를 통해 여과시킨다.
7.5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나이프 코오터를 사용하여 상기 분산액으로 피복시키고, 피복물을 자기장을 통해 통과시킨 후, 80에서 건조시킨다. 자기층을 가열 로울러(70, 닙 압력 200kg/cm) 사이로 통과시켜서 압축시키고 캘린더 조작한다. 생성된 자기층은 5이다. 이 방법으로 피복된 필름을 3.81mm 너비 테이프로 자른다.
[실시예 2]
폴리에틸렌의 양을 1중량부로 부터 0.5 중량부로 감소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과정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비교실험 1]
과정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지만, 폴리에틸렌을 첨가하지 않는다.
[실시예 3]
5,500의 분자량, 101의 융점 및 6의 평균 입자직경을 갖는 1.2 중량부의 구형 폴리에틸렌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과정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비교실험 2]
폴리에틸렌을 1,000의 분자량, 88의 융점 및 60의 입자크기를 갖는 폴리에틸렌으로 교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과정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비교실험 3]
60,000mPa의 점도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대신에, 600mPa의 점도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과정은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다.
[비교실험 4]
실시예 3에 따르는 자기층에서, 폴리에틸렌 대신에 테트라히드로푸란/디옥산 중에 가용성이고 48의 융점 및 3,5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비닐 에테르를 사용한다.
[실시예 4]
60,000mPa의 점도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대신에 500,000mPa의 점도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과정은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다.
[비교실험 5]
60,000mPa의 점도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대신에 100mPa의 점도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과정은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다.
[비교실험 6]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첨가없이 실시예 4를 반복한다.
[비교실험 7]
폴리에틸렌의 첨가없이 실시예 4를 반복한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험으로 부터 생성된 테이프를 대상으로 하기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
[상승된 온도에서 저장후 점착하려는 경향]
이 시험에서는, 풀림을 수행하는 동안 층과 필름 사이의 점착으로 인한 힘을 극복하는 데에 필요한 힘을 측정한다.
이것을 위해 시험하려는 테이프를 콤팩트 카세트(타입 C 90)에 넣고, 규정된 토오크하에 감고, 85에서 8시간동안 저장한 후, 점착으로 인한 생성된 힘을 제동없이 측정한다. 각각의 경우에 사용되는 비교값은 중심 바로 근처에서 발생하는 최대 억제력(cN으로 규정)이다.
[시험 2]
[상승된 온도에서 저장후 재생의 흐트러짐 및 불안전 재생]
불충분한 작동성질을 갖는 콤팩트 카세트는 상승된 온도에서 저장후에 보다 큰 재생의 흐트러짐 및 불안정한 재생을 나타내려는 경향이 있다. 상승된 온도에서 저장후의 제1재생이 특히 불안정하다. IEC 386에 따르는 재생의 흐트러짐 및 불안정한 재생작동, 즉 변속의 정도를 측정한다(규정된 모듈레이션()).
[시험 3]
[용출액 값]
DIN 38,414, 페이지 4에 따라 용출액 값(㎎/ℓ)을 측정한다.
[시험 4]
[높은 온도 및 습도조건에 대한 적합성]
높은 온도 및 습도조건하에서 저장 및 시험 후, 기록/재생헤드 및 캡스턴상의 흠집에 대한 시험 테이프의 내마모성의 시험. 폐색율의 측정.
[저장조건]
저장시간 : 4주
저장조건 : 40, 93r.h.
시편 : C 60, C 90 또는 C 120의 10개의 단위체.
[시험조건]
시험장치 : 각각 MU 금속헤드 시일을 갖는 1개의 RPH를 갖는 10개의 드라이브 사용
테이프 속도 : 9.5cm/sec
시편 : 상기 설명된 조건하에서 자장된 카세트
시험시간 : 10 카세트 사이클
시험조건 : 30, 93r.h., 시험조건하에서 최소한 8시간동안 순응.
저장조건으로 부터 분리된 콤팩트 카세트를 시험장치에서 재생방식으로 작동시킨다. 사이클의 종료후에, 콤팩트 카세트를 터닝시키고 재개시킨다. 이 과정을 10회 사이클까지 반복하고, 개별적 콤팩트 카세트를 항상 똑같은 시험장치에 보유시킨다.
RPH 및 캡스턴상의 흠집을 각각의 경우에 제1 및 제10사이클 후에 따로 따로 평가한다(등급 1 내지 6; 1=마멸없음, 6=현저한 마멸)
[시험 5]
[시그날 수준의 안정성]
100 사이클동안 시험 테이프의 시그날 수준의 안정성의 시험, 및 삭제헤드(EH), RPH 및 캡스턴상의 흠집을 측정함에 의한 시험 테이프의 내마모성의 평가.
시험조건 :
시험장치 : 트리오(켄우드) 3-헤드 레코더
테이프 속도 : 4.75m/sec
기록 주파수 : 8kHz
카세트 사이클의 수 : 100
시그날 챠트 레코더 : 브륄 앤드 제어(Bruel and Kjear)의 제품, 타입 2305
시험조건 : 23, 50r.h., 시험조건하에 최소한 1시간동안 순응
각각의 사이클에서 8kHz 시그날을 특별한 바이어스 세팅에 상응하는 -7dB 기록 수준에서 기록하고, 시그날 챠트 레코더에 의해 테이프 뒤에서 다시 기록한다.
2dB 또는 6dB 보다 큰 출력수준에서 저하를 나타내지 않는 사이클의 수를 조사한다.
하기의 표에 따라 EH, RPH 및 캐브턴상의 마멸정도를 조사한다(등급 1 내지 6).
[시험 6]
[피복특성]
여기에서는, 점착 또는 오렌지 껍질 구조와 같은 결함에 대해 자기층의 표면을 검사한다.
[표]

Claims (2)

  1. 유기 용매중의 중합체 결합제의 용액중에서 비등방성 자기재료 및 통상적인 첨가제의 분산액을 제조하고, 비자기성 기판에 층으로서 분산액을 도포시킨 후, 자기장내에 비등방성 자기재료를 배향시키고, 도포된 자기층을 고화시킴으로써 얻어지며, 사용되는 용매에 불용성이고 90이상의 융점을 갖는 미립 유기 소수성 지지안료가 자기재료의 양을 기준으로 0.1 내지 1.5 중량의 10,000 내지 500,000 mPa의 점도를 갖는 고점성 폴리실록산과 조합하여 0.1 내지 8중량의 양으로 자기층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미립 유기 지지안료가 2,000 내지 10,000의 분자량, 30미만의 구형 입자직경 및 95이상의 융점을 갖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
KR1019930016178A 1992-08-22 1993-08-20 자기기록매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228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227870A DE4227870A1 (de) 1992-08-22 1992-08-22 Magnetische Aufzeichnungsträger
DEP4227870.8 1992-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541A KR940004541A (ko) 1994-03-15
KR100228824B1 true KR100228824B1 (ko) 1999-11-01

Family

ID=6466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178A Expired - Fee Related KR100228824B1 (ko) 1992-08-22 1993-08-20 자기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70650A (ko)
EP (1) EP0584633B1 (ko)
JP (1) JP3039902B2 (ko)
KR (1) KR100228824B1 (ko)
DE (2) DE422787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54681A (en) * 1950-01-27 1953-10-06 Minnesota Mining & Mfg Magnetic recording tape
US2871218A (en) * 1955-12-01 1959-01-27 Goodrich Co B F Simulated vulcanizates of polyurethane elastomers
DE2753694C3 (de) * 1977-12-02 1982-05-13 Basf Ag, 6700 Ludwigshafen Magnetische Aufzeichnungsträger mit Polyurethanelastomer-Bindemitteln in der Magnetschicht
JPS57164425A (en) * 1981-04-01 1982-10-09 Tdk Corp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57164426A (en) * 1981-04-01 1982-10-09 Tdk Corp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57164427A (en) * 1981-04-01 1982-10-09 Tdk Corp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5898887A (ja) * 1981-12-07 1983-06-11 Fuji Photo Film Co Ltd リ−ダ−テ−プを有する磁気テ−プ
DE3226995A1 (de) * 1982-07-20 1984-01-26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arylensulfid
EP0100017B1 (de) * 1982-07-21 1989-12-27 BASF Aktiengesellschaft Magnetische Aufzeichnungsträger
DE3227164A1 (de) * 1982-07-21 1984-01-26 Basf Ag, 6700 Ludwigshafen Magnetische aufzeichnungstraeger
JPS6194233A (ja) * 1984-10-15 1986-05-13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媒体
JPH0766520B2 (ja) * 1985-01-08 1995-07-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H0690782B2 (ja) * 1987-04-17 1994-11-1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537081B2 (ja) * 1988-10-18 1996-09-2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US5270109A (en) * 1990-01-17 1993-12-14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recording medium having a magnetic layer comprising ferromagnetic powder, a binder and a specified organosilicon lubricant compound
JPH04157616A (ja) * 1990-10-22 1992-05-29 Hitachi Maxell Ltd 磁気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84633B1 (de) 1996-10-23
JPH06176349A (ja) 1994-06-24
DE59304266D1 (de) 1996-11-28
DE4227870A1 (de) 1994-02-24
EP0584633A1 (de) 1994-03-02
KR940004541A (ko) 1994-03-15
US5470650A (en) 1995-11-28
JP3039902B2 (ja) 200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4989C (en) Inner perfluoropolyethereal lubricants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US5006406A (en) Magnetic recording media
US4568612A (en) Magnetic recording media
JPH0481252B2 (ko)
US5543226A (en) Magnetic recording media
US4472455A (en) Production of magnetic recording media
US5424132A (en) Magnetic recording media
US5176955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comprising ferromagnetic powder having a pH of at least 7 dispersed in a vinyl chloride copolymer using an aromatic phoshoric, phosphonic or sulfonic acid dispersant
KR100228824B1 (ko) 자기기록매체
US4357378A (en) Magnetic recording media
JPH056732B2 (ko)
US5523151A (en) Magnetic recording media
US4656093A (en) Magnetic recording media
US4597990A (en) Preparation of magnetic recording media
US4647513A (en) Magnetic recording media
JPH06195683A (ja) 磁気記録媒体
US4581246A (en) Production of magnetic recording media
US4668586A (en) Magnetic recording media
US5064721A (en) Magnetic recording media
US5082689A (en) Production of magnetic recording media
US4581296A (en) Magnetic recording media
JP2642220B2 (ja) 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H06176346A (ja) 磁気記録媒体
JPH0481253B2 (ko)
AU756079B2 (en) Magnetic recording support with high recording den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8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