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662B1 - 정전 화상 현상용 토너 정전 화상용 현상제 및 이를 사용한 화상 형성 프로세스 - Google Patents
정전 화상 현상용 토너 정전 화상용 현상제 및 이를 사용한 화상 형성 프로세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21662B1 KR100221662B1 KR1019960046955A KR19960046955A KR100221662B1 KR 100221662 B1 KR100221662 B1 KR 100221662B1 KR 1019960046955 A KR1019960046955 A KR 1019960046955A KR 19960046955 A KR19960046955 A KR 19960046955A KR 100221662 B1 KR100221662 B1 KR 1002216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er
- toner particles
- image
- particle diameter
- cumulati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19—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dimensions of the particl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03G9/09708—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8)
- 착색제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들로 된 정전 화상 현상용 토너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입자들은 3 내지 9㎛의 체적-평균 입경 및 하기식 (1) 및 (2)를 만족하는 입자크기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화상 현상용 토너:D(16v)/D50(v)1.475-0.036×D50(v) (1)D50(p)/D84(p)1.45 (2)여기서 D16(v) 및 D50(v)는 절대값으로 입경이 큰 쪽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토너 입자들의 누적 체적 입경분포 중 각각 누적 16%의 직경(㎛) 및 누적 50%의 직경(㎛)을 나타내며, D50(p) 및 D84(p)는 절대값으로 입경이 큰 쪽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토너 입자들의 누적 개수 입경분포중 각각 누적 50%의 직경(㎛) 및 누적 84%의 직경(㎛)을 나타낸다.
- 제1항에 있어서, (a) 20㎚ 이상 10㎚ 이하의 평균 입경을 갖는 외부 첨가제 및 (b) 7㎚ 이상 20㎚ 이하의 평균 입경을 갖는 외부 첨가제로 된 외부 첨가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너 입자들은 토너 입자들의 전체 표면적의 적어도 20%의 커버리지가 외부 첨가제 (a)로, 그리고 적어도 40%의 커버리지가 외부 첨가제(b)로 덮여 있으며, 외부첨가제 (a) 및 (b)의 합계 커버리지는 상기 토너 입자들의 전체 표면적을 기준으로 60% 이상 1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화상 현상용 토너.
- (A) 착색제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들을 및 (B) 캐리어로 된 정전 화상용 현상제에 있어서,상기 토너 입자들은 3 내지 9㎛의 체적-평균 입경 및 하기식 (1) 및 (2)를 만족하는 입자크기 분포를 가지며, 상기 캐리어는 수지-코팅 캐리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화상용 현상제:D(16v)/D50(v)1.475-0.036×D50(v) (1)D50(p)/D84(p)1.45 (2)여기서 D16(v) 및 D50(v)는 절대값으로 입경이 큰 쪽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토너 입자들의 누적 체적 입경분포 중 각각 누적 16%의 직경(㎛) 및 누적 50%의 직경(㎛)을 나타내며, D50(p) 및 D84(p)는 절대값으로 입경이 큰 쪽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토너 입자들의 누적 개수 입경분포중 각각 누적 50%의 직경(㎛) 및 누적 84%의 직경(㎛)을 나타낸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입자들은 (a) 20㎚ 이상 100㎚ 이하의 평균 입경을 갖는 외부 첨가제 및 (b) 7㎚ 이상 20㎚ 이하의 평균 입경을 갖는 외부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입자들은 토너 입자들의 전체 표면적의 적어도 20%의 커버리지가 외부 첨가제(a)로, 그리고 적어도 40%의 커버리지가 외부 첨가제(b)로 덮여 있으며, 외부첨가제 (a) 및 (b)의 합계 커버리지는 상기 토너 입자들의 전체 표면적을 기준으로 60% 이상 1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화상 현상용 현상제.
- 잠상 홀더상에 잠상을 형성하는 단계; 현상제 용기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잠상 홀더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토너 화상을 화상 지지체에 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토너 화상을 화상 지지체에 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는, 착색제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여 3 내지 9㎛의 체적-평균 입경 및 하기식 (1) 및 (2)를 만족하는 입자크기 분포를 갖는 토너 입자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D(16v)/D50(v)1.475-0.036×D50(v) (1)D50(p)/D84(p)1.45 (2)여기서 D16(v) 및 D50(v)는 절대값으로 입경이 큰 쪽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토너 입자들의 누적 체적 입경분포 중 각각 누적 16%의 직경(㎛) 및 누적 50%의 직경(㎛)을 나타내며, D50(p) 및 D84(p)는 절대값으로 입경이 큰 쪽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토너 입자들의 누적 개수 입경분포중 각각 누적 50%의 직경(㎛) 및 누적 84%의 직경(㎛)을 나타낸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는 수지-코팅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입자들의 체적 -평균 입경(D50(v))과 화상 지지체의 단색으로 착색된 영역에 고착하는 토너의 중량(TMA)간의 관계가 하기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0.116×D50(v)/2TMA0.223×D50(v)/2 (3)여기서 TMA는 1.7의 원색 밀도를 얻는 데 필요한 단위 면적당 토너량(mg/cm2)를 나타낸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입자들의 체적-평균 입경(D50(v))과 토너 입자들내의 착색제 함유량(c)간의 관계는 하기식 (4)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22/D50(v)c43/D50(v) (4)여기서, c는 착색제 함유량(wt%)을 나타낸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입자들은 하기식 (5) 및 (6)을 만족하는 용융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1×105 η(90℃)1 × 106(5)1×104 η(100℃)1 × 105(6)여기서, η(90℃) 및 η(100℃)는 각각 90℃ 및 100℃에서의 토너의 용융 점도(Pa·s)를 나타낸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입자들은 하기식 (5) 및 (6)을 만족하는 용융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1×105 η(90℃)1 × 106(5)1×104 η(100℃)1 × 105(6)여기서, η(90℃) 및 η(100℃)는 각각 90℃ 및 100℃에서의 토너의 용융 점도(Pa·s)를 나타낸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지지체는 하기식 (7)을 만족하는 표면 평활도(Sp)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Sp5×TMA-3(7)여기서, Sp는 화상 지지체의 표면 평활도를 나타내고, TMA는 1.7의 원색 밀도를 얻는 데 필요한 단위 면적당 토너량(mg/cm2)을 나타내며, 양자는 모두 절대값이다.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입자들의 체적-평균 입경(D50(v))과 화상 지지체의 단색으로 착색된 영역에 고착하는 토너의 중량(TMA)간의 관계가 하기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0.116×D50(v)/2TMA0.223×D50(v)/2 (3)여기서, TMA는 1.7의 원색 밀도를 얻는 데 필요한 단위 면적당 토너량(mg/cm2)를 나타낸다.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입자의 체적-평균 입경(D50(v))과 토너 입자들 내의 착색제 함유량(c)간의 관계는 하기식 (4)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22/D50(v)c43/D50(v) (4)여기서, c는 착색제 함유량(wt%)을 나타낸다.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입자들은 하기식 (5) 및 (6)을 만족하는 용융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1×105 η(90℃)1 × 106(5)1×104 η(100℃)1 × 105(6)여기서, η(90℃) 및 η(100℃)는 각각 90℃ 및 100℃에서의 토너의 용융 점도(Pa·s)를 나타낸다.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입자들은 하기식 (5) 및 (6)을 만족하는 용융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1×105 η(90℃)1 × 106(5)1×104 η(100℃)1 × 105(6)여기서, η(90℃) 및 η(100℃)는 각각 90℃ 및 100℃에서의 토너의 용융 점도(Pa·s)를 나타낸다.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는 수지-코팅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입자들의 체적-평균 입경(D50(v))과 토너 입자들내의 착색제 함유량(c)간의 관계는 하기식 (4)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화상 현상용 토너;22/D50(v)c43/D50(v) (4)여기서, c는 착색제 함유량(wt%)을 나타낸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입자들은 하기식 (5) 및 (6)을 만족하는 용융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화상 현상용 토너:1×105 η(90℃)1 × 106(5)1×104 η(100℃)1 × 105(6)여기서, η(90℃) 및 η(100℃)는 각각 90℃ 및 100℃에서의 토너의 용융 점도(Pa·s)를 나타낸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5-285830 | 1995-11-02 | ||
JP28583095A JP3346129B2 (ja) | 1995-06-21 | 1995-11-02 |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静電荷像用現像剤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画像形成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28880A KR970028880A (ko) | 1997-06-24 |
KR100221662B1 true KR100221662B1 (ko) | 1999-09-15 |
Family
ID=1769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46955A KR100221662B1 (ko) | 1995-11-02 | 1996-10-19 | 정전 화상 현상용 토너 정전 화상용 현상제 및 이를 사용한 화상 형성 프로세스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5804351A (ko) |
EP (1) | EP0772092B1 (ko) |
KR (1) | KR100221662B1 (ko) |
DE (1) | DE69619334T2 (ko) |
TW (1) | TW40269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864940A1 (en) * | 1997-03-14 | 1998-09-16 | Agfa-Gevaert N.V. | Heat and pressure fusing device |
JP3644208B2 (ja) * | 1997-08-21 | 2005-04-27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静電潜像現像用トナー、静電潜像現像剤および画像形成方法 |
JP3885403B2 (ja) * | 1998-04-14 | 2007-02-21 |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 一成分現像方法 |
JP3870600B2 (ja) * | 1998-04-15 | 2007-01-17 |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 静電潜像現像用非磁性トナー |
JP3049005B2 (ja) * | 1998-05-07 | 2000-06-05 | 新潟日本電気株式会社 | 非磁性一成分トナー |
JP4113304B2 (ja) * | 1999-07-06 | 2008-07-09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画像形成方法、トナー、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02082473A (ja) * | 2000-09-08 | 2002-03-22 | Fuji Xerox Co Ltd |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静電荷像現像剤、画像形成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 |
US6605402B2 (en) * | 2001-08-21 | 2003-08-12 | Aetas Technology, Incorporated | Method of using variably sized coating particles in a mono component developing system |
JP4136681B2 (ja) * | 2002-02-15 | 2008-08-20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画像形成方法 |
US20030235683A1 (en) * | 2002-06-12 | 2003-12-25 | Fuji Photo Film Co., Ltd. | Electrophotographic image-receiving sheet,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ocess for image formation using the same |
US7452648B2 (en) * | 2004-09-30 | 2008-11-18 | Kyocera Mita Corporation | Magnetic mono-component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and image forming method |
JP3987065B2 (ja) * | 2004-10-19 | 2007-10-03 | シャープ株式会社 | 2成分現像剤および画像形成方法 |
JP4358261B2 (ja) * | 2007-06-28 | 2009-11-04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トナーおよびトナーの製造方法、2成分現像剤、現像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
CN109507136A (zh) * | 2018-10-25 | 2019-03-22 | 南京邮电大学 | 一种二硫化钼与亚甲基蓝之间吸附机理的研究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221776A (en) * | 1938-09-08 | 1940-11-19 | Chester F Carlson | Electron photography |
US2618552A (en) * | 1947-07-18 | 1952-11-18 | Battelle Development Corp | Development of electrophotographic images |
US2874063A (en) * | 1953-03-23 | 1959-02-17 | Rca Corp | Electrostatic printing |
JPH0695221B2 (ja) * | 1985-10-31 | 1994-11-24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現像剤 |
JP2692935B2 (ja) * | 1988-02-29 | 1997-12-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
US4904558A (en) * | 1988-03-08 | 1990-02-27 | Canon Kabushiki Kaisha | Magnetic, two-component developer containing fluidity improver and image forming method |
DE68916562T2 (de) * | 1988-03-10 | 1994-11-24 | Canon Kk | Bilderzeugungsverfahren. |
JP2763321B2 (ja) * | 1988-07-20 | 1998-06-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方法 |
JPH02139575A (ja) * | 1988-08-26 | 1990-05-29 | Mita Ind Co Ltd | トナー組成物 |
JPH02127417A (ja) * | 1988-11-08 | 1990-05-16 | Sumitomo Bakelite Co Ltd | エポキシ樹脂組成物 |
ATE128563T1 (de) * | 1989-04-26 | 1995-10-15 | Canon Kk | Magnetischer entwickler, bildherstellungsverfahren und bildherstellungsapparat. |
JP2625281B2 (ja) * | 1991-05-14 | 1997-07-02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正帯電性キャリア |
-
1996
- 1996-10-15 TW TW085112623A patent/TW40269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10-16 US US08/730,932 patent/US5804351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10-18 EP EP96116783A patent/EP077209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10-18 DE DE69619334T patent/DE69619334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10-19 KR KR1019960046955A patent/KR10022166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772092B1 (en) | 2002-02-20 |
DE69619334T2 (de) | 2002-07-18 |
DE69619334D1 (de) | 2002-03-28 |
KR970028880A (ko) | 1997-06-24 |
EP0772092A1 (en) | 1997-05-07 |
TW402698B (en) | 2000-08-21 |
US5804351A (en) | 1998-09-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37949A (en) | Color toner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 |
KR100221662B1 (ko) | 정전 화상 현상용 토너 정전 화상용 현상제 및 이를 사용한 화상 형성 프로세스 | |
EP1191401B1 (en) | Toner and developer for magnetic brush development system | |
JP3346129B2 (ja) |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静電荷像用現像剤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画像形成方法 | |
EP0769727B1 (en) | Toner for full-color image formation, developer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multicolor image | |
JP3407526B2 (ja) | 静電潜像現像用黒色トナー | |
US5884129A (en) | Electrostatic-image developer and image forming process | |
JP2001175022A (ja) | 静電荷潜像現像用トナー | |
JP2006011218A (ja) | 多色画像形成用トナーおよびこれを用いる多色画像形成方法 | |
JP3342272B2 (ja) | カラートナー、二成分系現像剤、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 |
US6132920A (en) |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 |
JP3997670B2 (ja) | 画像形成方法 | |
JP2733073B2 (ja) | 正帯電性乾式現像剤 | |
JP2001034010A (ja) | 二成分現像剤用トナー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 |
US6194116B1 (en) | Toner containing specific alkyl carboxylic acid with fine particles externally added | |
JP2010092004A (ja) | フルカラー用トナーセット、および画像形成方法と画像形成装置 | |
JP2967318B2 (ja) | 現像剤及び現像方法 | |
JPH1010771A (ja) | 静電潜像現像用トナーおよび静電潜像現像剤 | |
JP2859637B2 (ja) | カラー画像形成用黒色トナー | |
JPH1010772A (ja) | 静電潜像現像用トナー | |
JPH07333904A (ja) |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 |
JP4086191B2 (ja) | フルカラー用トナー | |
JPH02103559A (ja) | 正帯電性カラー現像剤 | |
JP2001005221A (ja) | シアントナー | |
JP3108847B2 (ja) | 二成分系現像剤及び画像形成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0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6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6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6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6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