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0765B1 - 화상 부호화 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부호화 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765B1
KR100220765B1 KR1019940011611A KR19940011611A KR100220765B1 KR 100220765 B1 KR100220765 B1 KR 100220765B1 KR 1019940011611 A KR1019940011611 A KR 1019940011611A KR 19940011611 A KR19940011611 A KR 19940011611A KR 100220765 B1 KR100220765 B1 KR 100220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ing
image information
code amount
image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7575A (ko
Inventor
스기야마겐지
Original Assignee
슈즈이 다케오
닛폰 비구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즈이 다케오, 닛폰 비구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슈즈이 다케오
Publication of KR940027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7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76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alteration of picture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5Selection of the code volume for a coding unit prior to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49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estimating the code amount by means of a model, e.g. mathematical model or statistical mod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calable video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04N19/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with arrangements for assigning different transmission priorities to video input data or to video cod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2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easuring the fullness of the transmission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특정한 종류의 화상 정보를 고속으로 또한 용이하게 읽을 수가 있도록 한다.
화상 정보를 계층화해서 부호화하는 계층 부호화에 있어서 저해상도의 화상을 우선 화상 정보로서 부호화하는 부호화기 (12)와 상기 우선 화상 정보 이외의 비우선 화상 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기 (5)와, 상기 우선 화상 정보와 상기 비우선 화상 정보의 합계의 부호량이 소정치 이내로 수습되도록 발생 부호량을 억제하는 제1 부호량 제어 수단(10)과 상기 우선 화상 정보의 부호량이 상기 합계의 부호량에 대해서 소정의 비율 이내로 수습되도록 발생 부호량을 제어하는 부호량 제어기 (16)를 구비한 화상 부호화 장치.
재생시에 고품질인 고속 써치 화상이 얻어지고 또 기록 매체와 재생 장치에 있어서 고정밀도 화상용과 저해상도 화상용을 공통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부호화 장치 및 기록 매체
제1도는 종래의 화상 부호화 장치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화상 부호화 장치에 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화상 부호화 장치에 관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화상 부호화 장지에 관한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5도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기록 형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데이타 형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12 : 부호화기 7, 14 : 부호량 제어기
15 : 부호량 설정치 16 : 부호량 제한기
63, 66 : 가변 길이 부호화기
[산업상의 이용분야]
디지탈 신호의 처리를 수반하는 기록, 전송, 표시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보다 적은 부호량으로 효율적으로 부호화하는 고능률 부호화에 관해서, 특히 축적 미디어에서 고속으로 써치되는 경우의 화상이나 화상 정보가 계층화되어서 부호화되는 경우의 저해상도의 화상 등, 재생 등에 우선적으로 재생되는 우선 화상 정보를 다른 것과 구별해서 부호화하는 화상 부호화 장치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화상 정보에 고능률 부호화가 적용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재생되는 것이 유효한 화상 정보(이하 우선 화상 정보라고도 씀 )가 있다. 이 경우, 화상 정보는 목적에 따라서 우선 화상 정보만이 복호되어 재생된다. 그래서 상기 우선 화상 정보 이외의 정보 (이하, 비우선 화상 정보로도 씀 )는 그만큼을 복호해서 재생하는 것이 무의미한 정보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NTSC 방식 등의 현행의 텔레비젼 신호 (이하, 텔레비젼을 TV라 약기함)와 HDTV 신호의 계층 부호화에 있어서는 현행 TV 신호의 정보와 함께 현행 TV 신호와 HDTV 신호와의 차분(差分) 정보도 부호화되고 상기 양편의 정보가 부호되고 가산되므로써 HDTV 신호가 재생되고, 현행 TV 신호의 정보만이 복호되면 현행 TV 신호가 재생된다.
이 경우, 현행 TV 신호의 정보가 우선 화상 정보로, 상기 차분 정보가 비우선 화상 정보로 된다.
또 축적 미디어의 재생에 있어서는, 화상을 보면서 고속 써치가 필요하게 되므로 이 화상 정보의 부호화시에 화상간 예측이 행해지는 경우는 수 프레임당 1 프레임이 프레임 내에서 독립적으로 부호화된다.
그래서 재생시에 고속 써치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그것의 독립 부호화된 화상 정보만이 재생린다. 이 경우, 독립적으로 부호화되는 프레임의 정보가 우선 화상 정보로, 화상간 예측되는 프레임의 정보가 비우선 화상 정보로 된다.
이와 같은 계층 부호화의 예로서 현행 TV 신호와 HDTV 신호와 같이 다른 해상도로 부호화되는 경우에 대해서 제1도를 기초로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화상 부호화 장치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화상 입력 단자 (1)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는 높은 해상도를 갖는 것으로, 로우패스 필터(이하, LPF라 씀)(2)와 감산기 (3)의 피감산 입력에 부여된다. 이 입력 화상 신호는, LPF(2)에서 서브 샘플러(11)의 서브 샘플에 맞추어서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모두 각각 1/2 정도로 대역 제한되어 서브 샘플러 (11)에 부여된다. 서브 샘플러 (11)에서는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모두 각각 1/2 로 화소가 샘플링되어 낮은 해상도의 화상으로 되어 부호화기 (12)와 보간기 (4)에 부여된다.
부호화기 (12)에서는 이산 코싸인 변환(이하, DCT 라 씀)이 행해지고 변환된 계수는 부호량 제어기(14)에서 부여되는 양자화 스텝폭 (싸이즈 )프로 양자화되고 가변길이 부호화되어서 압축된 화상 데이타로 되고 버퍼(13)에 부여된다. 화상 데이타는 가변길이 부호화에 의해 변동하는 그것의 부호량이 버퍼 (13)에서 균일화되고 멀티플렉서 (8)에 부여된다.
버퍼 (13)에서는 버퍼 충족도의 정보가 부호량 제어기 (14)에 부여된다. 부호량 제어기 (14)에서는 상기 버퍼의 충족도의 정보에 의거해, 양자화 스텝폭의 정보가 부호화기 (12)에 부여되고 부호화기 (12)에서는 발생 부호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버퍼에 많은 데이타가 머물러 있는 경우는 발생하고 있는 데이타량이 많다고 판단되어서 양자화 스텝이 세밀하지 않게 되고, 역으로 데이타가 공백에 가까운 경우는 양자화 스텝이 세분된다.
한편 보간기 (4)에서는 샘플링에 의해 없어진 화소가 보간되고 입력 화상 신호와 같은 화소수의 보간 신호로 되어 감산기(3)의 감산 입력에 부여된다. 감산기 (3)에서는 입력 화상 신호로 부터 상기 보간 신호가 감산되고 고역 성분만의 신호가 만들어져서 부호화기 (5)에 부여된다.
부호화기 (5), 버퍼(6), 부호량 제어기 (7)의 동작은 서브 샘플링된 신호를 취급하는 부호화기(12), 버퍼 (13), 부호량 제어기(14)와 기본적으로 같아서 처리의 대상이 되는 샘플링 수만이 다르다.
부호화기 (5)에서 부호화된 화상 데이타는 버퍼 (6)를 거쳐서 멀티플렉서 (8)에 부여된다. 멀티플렉서 (9)에서는 각각의 화상 데이타가 다중화되고 데이타 출력 단자(9)로부터 출력된다.
상기 바와 같은 화상 부호화 장치에서 얻버진 화상 데이타가 전송된 경우에는 이 화상 데이타에서 저해상도의 화상의 데이타만을 인출하여 재생할 수가 있게 된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화상 부호화 장치, 기록 매체, 재생 장치는 화상 정보를 계층화해서 부호화하는 계층 부호화에 있어서 저해상도의 화상이나 화상간 예측을 사용한 부호화(이하 화상간 예측 부호화라고도 씀)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부호화되는 화상(이하, 독립 부호화 화상이라고도 씀 )등의 우선 화상 정보만의 재생에 특히 대응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재생시에 고속 써치 등으로 우선 화상 정보만을 재생하려해도 불필요한 정보도 동시에 판독할 필요가 있었다.
특히 우선 화상 정보의 부호량이 정해져 있지 아니한 경우는 예를 들자면 화상이 정지 상태의 경우와 같이 우선 화상 정보의 부호량이 전체의 부호량과 동등해지는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우선 화상 정보만을 읽으려해도 모든 정보를 읽게 되어 우선 화상 정보의 고속 판독이 불가능해진다.
한편, 부선 화상 정보의 부호량의 비율이 고정화되어 있는 경우는 그 비율이 화상에 따라서는 화질적으로 반드시 적절한 것은 아니고 화질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것의 목적은 특정한 종류의 화상 정보를 고속으로 또 용이하게 읽을 수가 있도록 하기 위한 화상 부호화 장지와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일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화상 부호화 장치는 화상 정보를 부호화하는 화상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그것의 정보만으로 화상이 재생되는 우선 화상 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우선 화상 정보이외의 비우선 화상 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우선 화상 정보와 상기 비우선 화상 정보의 합계의 부호량이 소정치 이내로 수습되도록 발생부호량을 제어하는 제1 부호량 제어 수단과, 상기 우선 화상 정보의 부호량이 상기 합계의 부호량에 대해서 소정의 비율이내로 수습되도록 발생 부호량을 제어하는 제2 부호량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 화상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우선 화상 정보로서 화상간 예측을 사용한 부호화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부호화되는 화상 혹은 화상 정보를 계층화해서 부호화하는 계층 부호화에 있어서 저해상도의 화상을 상기 제1 부호화 수단으로 부호화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부호화된 화상 정보가 기록된 기록 매체로서, 그것의 정보만으로 화상이 재생되는 우선 화상 정보가 특정의 트랙에 기록되고, 상기 특정의 트랙이 주기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기록 매체에 있어서는 상기 우선 화상 정보가 화상간 예측 부호화에 있어서 독립 부호화 화상 혹은 계층 부호화에 있어서 저해상도의 화상 혹은 양자화 스텝폭이 큰 화상이다.
본 발명의 부호화 장치는 다시 기록 매체에 기록해야 할 화상 정보를 부호화하는 장치로서, 상기 화상 정보에서 그것만으로 화상이 재생되는 제1의 화상 정보와 그것만으로는 화상이 재생되지 아니하는 제2의 화상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제1의 화상 정보를 부호화하는 제1의 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2의 화상 정보를 부호화하는 제2 의 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의 부호화 수단으로부터의 출력부호를 다중해서 출력하는 출력 수단과, 상기 다중 부호량을 상기 제1 및 제2 의 부호화 수단에서 각각 출력되는 제1 및 제2의 부호량이 서로 밸런스되는 제1의 소정량으로 되도록 제어하는 제1의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의 부호량이 상기 다중 부호량에 대해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포매트에 의한 소정의 비율 이내로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의 부호량을 제어하는 제2의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의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의 부호화 수단의 각각의 양자화폭을 제어하는 양자화폭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 3 의 부호량과, 상기 각각의 양자화폭이 부여되어서 상기 제1 의 소정량을 얻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3의 부호화 수단의 각각에 대한 제1 및 제2의 목표 부호량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의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의 목표 부호량이 부여되어서 상기 양자화폭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양자화폭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제2의 목표 부호량이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포매트에 의한 제2 의 소정량 이하의 경우는 상기 제1 및 제2의 목표 부호량에 의해 상기 양자화폭 제어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2의 목표 부호량이 상기 제2의 소정량을 넘는 경우는, 상기 제2 의 목표 부호량과 상기 다중 부호량으로부터 상기 제2 의 목표 부호량을 빼고 얻어지는 제3의 목표 부호량에 의해 상기 양자화폭 제어 수단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화상 신호화 장치는 다시 기록 매체에 기록해야 할 화상 정보를 부호화하는 장치로서, 상기 화상 정보에 포함되는 그것만으로 화상이 재생되는 제1 의 화상 정보와 그것만으로 화상이 재생되지 않는 제2 의 화상 정보를 시분할로 부호화하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화 수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및 제2 의 화상 정보에 각각 해당하는 제1 및 제2 의 부호량의 합계가 상기 제1 및 제2 의 부호량에 서로 밸런스하는 제1 의 소정량으로 되도록 제어하는 제1 의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의 부호량이 상기 합계 부호량에 대해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포매트에 의한 소정의 비율 이내로 되도록 상기 제1및 제2의 부호량을 제어하는 제2의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의 제어 수단은, 상기 부호화 수단의 양자화폭을 제어하는 양자화폭 제어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의 부호량과 상기 양자화폭이 부여되어서 상기 제1 의 소정량을 얻기 위한, 상기 부호화 수단에 대한 제1 의 목표 부호량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의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의 목표 부호량이 부여되어서 상기 양자화폭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양자화폭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제1 의 목표 부호량이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포매트에 의한 제2 의 소정량 이하의 경우는 상기 제1 의 목표 부호량에 의해 상기 양자화폭 제어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의 목표 부호량이 상기 제2의 소정량을 넘는 경우는 상기 합계 부호량으로부터 상기 제1 의 목표 부호량을 빼고 얻어지는 제2 의 목표 부호량에 의해 상기 양자화폭 제어 수단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화상 부호화 장치는 다시 화상 정보를 부호화하는 장치로서, 제1의 화상 정보를 제1 의 양자화폭에 의해 양자화하고 그래서 부호화하는 제1 의 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 의 화상 정보와 상기 양자화된 화상 정보를 역양자화해서 부여되는 제2의 화상 정보와의 차를 상기 제1의 양자화폭보다 좁은 제2 의 양자화폭에 의해 양자화하고 그래서 부호화하는 제2 의 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의 부호화 수단의 출력 부호를 다중해서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화상 부호화 장치에 관한 제1실시예에 대해서 제2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화상 부호화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하는 종래예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것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2도에 도시하는 화상 부호화 장치와 제1도에 도시하는 화상 부호화 장치와의 주된 다른점은 제2도에서는 부호량 설정기 (15), 부호량 제한기 (16)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제2도에 도시하는 화상 부호화 장치는 입력되는 고정밀 화상(예를 들자면 HDTV 신호 )으로부터 저해상도의 화상 (예를 들자면 NTSC 방식 등의 현행 TV 신호 )를 얻어 계층적으로 부호화하고 재생시에는 저해상도의 화상만으로도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제2도에 도시하는 화상 부호화 장치는, 화상 정보를 부호화하는 화상 부호화 장치로서 그것만으로 화상이 재생되는 우선 화상 정보(제1의 화상 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기 (12)와, 상기 우선 화상 정보이외의 그것만으로는 화상이 재생되지 아니하는 비우선 화상 정보 (제2의 화상 정보 )를 부호화하는 부호화기 (5)와, 상기 우선 화상 정보와 상기 비우선 화상 정보의 합계의 부호량이 소정치 이내로 수습되도록 재생 부호량을 제어하는 제1부호량 제어 수단(10)과, 상기 우선 화상 정보 부호량이 상기 합계의 부호량에 대해서 소정의 비율 이내로 수습되도록 발생 부호량을 제어하는 부호 제한기 (16)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부호량 제어 수단(10)은 버퍼 (13, 6)와, 부호량 제어기 (14, 7)와, 부호량 설정기 (15)로 구성이 되고, 상기 부호량 제한기 (16)에서 제2 부호량 제어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화상 입력 단자(1)로부터 입력된 화상은 높은 해상도를 갖는 것으로 LPF(2)와 감산기 (3)에 부여된다. 이 입력 화상 신호는 서브 샘플러(11)에서의 서브 샘플에 맞추어 LPF(2)에서 수직, 수평 모두 1/2 정도로 대역 제한되고 서브 샘플러 (11)에 부여된다. 서브 샘플러 (11)에서는 수평 모두 1/2로 화소가 샘플링되어 낮은 해상도의 화상으로 되어 부호화기 (12)와 보간기 (4)에 부여된다.
부호화기 (12)에서는 DCT 가 행해지고 변환된 계수는 부호량 제어기 (14)에서 부여되는 양자화 스텝폭 (싸이즈 )으로 양자화되고 가변 길이 부호화되어서 압축된 화상 데이타로 되고 버퍼 (13)에 부여된다. 버퍼 (13)에서 발생 부호량의 변동이 균일화된 화상 데이타는 멀티플렉서(8)에 부여된다.
또 버퍼 (13)에서 화소 블록마다의 발생 부호량이 부호량 설정기 (15)와 부호량 제어기 (14)에 부여된다.
부호량 제어기 (14)에서는 부호화기 (12)에서 발생하는 발생 부호량이 부호량 제한기(15)에서 부여되는 목표 부호량으로 되도록 양자화 스텝폭이 부호화기 (12)와 부호량 설정기 (15)에 부여된다.
한편 보간기 (4)에서는 서브 샘플러 (11)에서 샘플링되어 없어진 화소가 보간되고 입력 화상 신호와 같은 화소수의 신호로 되고, 보간 신호로서 감산기(3)의 감산 입력에 부여된다.
감산기 (3)에서는 입력 화상 신호에서 상기 보간 신호가 감산되고 높은 주파수 성분만이 신호가 만들어지고, 부호화기(5)에 부여된다.
부호화기 (5)와 버퍼 (6)와 부호량 제어기 (7)의 동작은 서브 샘플링된 신호를 취급하는 부호화기(12)와 버퍼(13)와 부호량 제어기(14)와 기본적으로 같아 처리의 대상이 되는 샘플수만이 다르다. 버퍼 (6)에서 변동이 균일화된 화상 데이타는 멀티플렉서 (8)에 부여된다.
멀티플렉서 (8)에서는 저해상도 화상 (샘플링 주파수로 결정되는 화상의 해상도로 그것의 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의 화상 데이타와 높은 주파수 성분 (존재하는 주파수 성분 (DC 에서 샘플링 주파수의 반까지 )중의 주파수가 높은 성분 )만의 화상 데이타가 기록 포매트에 맞추어서 포매트로 다중화되고 데이타 출력 단자 (9)로부터 출력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부호량 설정기 (15), 부호량 제한기 (16)의 동작에 특징이 있다.
부호량 설정기 (15), 부호량 제한기 (16)에서는 우선 화상 정보의 부호량이 제한치를 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는 재생 화상의 품질을 우선하고 결정된 양자화 밸런스로 부호화되도록 부호량 설정기 (15)에서 출력되는, 저해상도 화상과 고주파 성분 화상의 각각에 대한 목표 부호량 TL, TH이 설정되나 우선 화상 정보의 부호량이 많아져 제한을 받는 경우는 상기 양자화 밸런스를 붕괴해서 상기 목표 부호량이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양자화 밸런스란, 높은 주파수 성분의 화상은 저해상도 화상보다 양자화 스텝폭이 세밀하지 않아도 시각적으로 문제로 되지 아니하므로 높은 주파수 성분의 화상에 대한 양자화 스텝폭을 저해상도 화상에 대한 양자화 스텝폭의 1.5 배로 하는 것과 같은 것을 나타낸다.
부호량 설정기 (15)에는 부호량 제어기 (14, 7)로부터 저해상도 화상과 높은 고주파 성분의 화상에 대한 각각의 양자화 스텝폭의 정보가 부여되고 버퍼 (13, 6)로부터 각각의 발생 부호량이 부여된다. 양자화 스텝폭과 발생 부호량의 관계는 일반적인 반비례의 관계에 있으므로 부호량 설정기 (15)에 부여된 상기 정보를 사용해서 저해상도 화상과 높은 주파수 성분의 화상의 양자화 스텝폭의 값이 적당한 밸런스로 되는 각각의 목표 부호량 TL, TH 이 프레임마다 설정된다. 이 목표 부호량 TL, TH은 부호량 제한기 (16)에 부여된다. 부호량 제한기 (16)에서는 상기 TL, TH 가 제한되고 각각 TL2, TH2 로서 출력된다.
여기에서 상기 TL이 규정치 (예를 들자면 전체 부호양의 1/2) 이하의 경우는 TL2, TH2 는 각각 TL, TH 의 값 그대로 되고 TL이 상기 규정치를 넘는 경우는 TL2는 규정치, TH2 는 전체의 부호량에서 그것의 규정치를 뺀 값으로 된다.
상기 규정치는 기록 매체의 기록 형태에 의존하고 우선 화상 정보가 기록되는 특정의 정보 트랙이 2 개에 1개의 비율인 경우라면 전체 부호량의 1/2, 3 개에 1 개의 비율이면 전체 부호량의 1/3 로 된다.
이 경우, 저해상도 화상에 대한 부호화기 (12)와 높은 주파수 성분의 신호에 대한 부호화기 (5)에서는 통상 소정의 양자화 밸런스로 부호화되나 저해상도 화상의 부호량이 제한되는 경우는 그 관계가 붕괴된다.
이와 같이 통상 양자는 화질적으로 양호한 양자화 밸런스를 보존하고 부호량의 비는 변화하고 있으나, 저해상도 화상의 부호량에는 상한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그것을 초과하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화질과 우선 화상 정보의 고속 판독이 양립된다.
한편 부호량 제어기 (14, 7)와 같은 피이드백 제어를 사용해서 발생하는 부호량을 목표 부호량에 맞추고자 하면 화상의 복잡함(말하자면 액티비티 )이 화면내에서 크게 변하는 경우에는 화질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거기에서 피이드 포워드 처리를 사용 미리 화상의 액티비티에 의해 각 처리 블록의 필요 부호량을 짐작해서 그것에 맞추어서 목표 부호량 (TH, TL)을 배분하여서 피이드백 제어를 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와 같은 피이드 포워드와 피이드백을 조합시킨 부호량의 제어는 본 발명과 동일 발명자, 동일 출원인에 의해 일본국 특허 공개 헤이세이 2-194734 호 등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화상 부호화 장치에 관한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제3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화상 부호화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제2도에 도시하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것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에 도시하는 화상 부호화 장치에서는 화상간 예측 부호화가 행해지고 수 프레임에 1 프레임의 비율로 주기적으로 독립 부호화가 행해지는 것으로서 이 독립 부호화된 화상 정보가 축적 미디어에 기록되고 재생시에는 상기 독립 부호화된 화상만이 재생되므로서 고속 써치가 가능해진다.
제3도에 도시하는 화상 부호화 장치는 화상 정보를 부호화하는 화상 부호화 장치로서 우선 화상 정보와 비우선 화상 정보를 시분할로 부호화하는 부호화기 (5)와 상기 우선 화상 정보와 상기 비우선 화상 정보의 합계의 부호량이 소정치 이내로 수습되도록 발생 부호량을 제어하는 제1부호량 제어 수단(20)과 상기 우선 화상 정보의 부호량이 상기 합계의 부호량에 대해서 소정의 비율이내로 수습되도록 발생 부호량을 제어하는 부호량 제한기 (1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부호량 제어 수단(20)은 버퍼 (6)와 부호량 제어기 (7)와 부호량 설정기 (15) 등으로 구성이 되고, 상기 부호량 제한기(16) 등으로 제2 부호량 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제3도에 있어서 입력 화상 신호는 화상 입력 단자(1)를 통과해서 예측 감산기 (21)와 프레임 카운터 (23)에 부여된다. 예측 감산기(21)에서는 상기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스위치(22)를 거쳐서 공급되는 예측 신호가 감산되고 예측 잔차(殘差) 신호가 부호화기(5)에 부여된다.
부호화기 (5)에서는 제2도의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DCT 가 행해지고 변환된 계수는 부호량 제어기 (7)로부터 부여되는 양자화 스텝폭으로 양자화되고 가변 길이 부호화되어서 압축된 화상 데이타로 되고 버퍼 (6)와 부호화기 (26)에 부여된다.
버퍼 (6)에서는 화상 데이타의 발생 부호량의 변동이 균일하게 되고 데이타 출력 단자(9)로부터 출력된다.
복호화기 (26)에서는 부호화기 (5)의 역처리가 행해지고, 부호화단 데이타는 예측 잔차 신호로서 복호화기 (20)에서 재생되고 가산기 (25)에 부여된다. 가산기 (25)에서는 상기 예측 잔차 신호와 상기 예측 신호가 가산되고 재생 화상으로 되어 프레임 메모리 (24)에 부여된다. 프레임 메모리 (24)에서 1 프레임 지연된 신호는 스위치 (22)를 거쳐서 예측 감산기(21)의 감산 입력에 부여된다.
스위치 (22)는 프레임 카운터 (23)로부터 출력되는 독립 제어 신호에 의해 예를 들자면 5내지 15프레임마다 한번 열려 그 경우 예측 신호는 예측 감산기 (21)에는 부여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 화상 신호가 그대로 부호화기(5)에 부여되고, 그것의 프레임의 화상은 독립 화상으로서 프레임 내에서 부호화된다. 프레임 카운터(23)에서는 입력 화상 신호의 동기 신호가 검출되고 그것을 소정의 주기로 카운트하므로써 상기 독립 제어 신호가 얻어진다.
다음에 부호량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제3도에 있어서 버퍼(6)로부터 처리 대상의 화소 블록마다의 발생 부호량이 부호량에 설정기 (15)와 부호량 제어기 (7)에 부여되고 양자화폭의 정보가 부호량 제어기(7)로부터 부호화기 (5)와 부호량 설정기(15)에 부여된다.
부호량 설정기 (15)에서는 제2도의 경우와 같이, 부여된 정보로부터 목표 부호량이 설정되나 이 실시예의 경우는 우선 화상 정보가 독립 화상이고 처리는 시분할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정보는 독립 화상과 다음의 독립 화상과의 사이의 1 주기분에 예를들자면 5 내지 15 프레임분에 대해서 구해지고, 다음의 1 주기분의 독립 화상의 목표 부호량 TI 과 예측 화상의 목표 부호량 TP이 설정된다.
이 설정된 목표 부호량 TI, TP 은 부호량 제한기 (16)에 부여되고, 부호량 제한기 (16)에서 제1도의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독립 화상의 목표 부호량 TI에 제한이 주어진다.
상기 TI 가 규정치 (예를 들자면 전체 부호량의 1/2) 이하의 경우는 TI2, TP2는 각각 TI, TP의 값 그대로 되고 TI가 상기 규정치를 넘는 경우는 TI2는 규정치, TP2는 전체의 부호량으로 부터 그것의 규정치를 뺀 값으로 된다.
상기 규정치는 기록 매체의 기록 형태에 의존하고 우선 화상 정보가 기록되는 특성의 정보 트랙이 2개에 1개의 비율인 경우라면 전체 부호량의 1/2, 3 개에 1 개의 비율이면 전체 부호량의 1/3로 된다.
제3도의 스위치 (27)는 부호화 대상의 화상의 종류 즉 독립 화상인가 예측 화상인가에 맞추어 프레임 카운터 (23)의 출력에 의해 절환되고 제한된 목표 부호량 즉 TI2 혹은 TP2 가 부호량 제어기 (7)에 부여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화상 부호화 장치에 관한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제4도를 참조해서 설명을 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화상 부호화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4도에 도시하는 화상 부호화 장치에서는, 세밀하지 않게 양자화된 화상과 세밀하게 양자화된 고품질 화상이 양자화의 세밀함에 따라서 계층화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밀하지 않은 양자화의 저전송 레이트의 화상 데이타와 그것의 화상의 양자화 오차를 부호화한 오차 성분 데이타가 계층 부호화되고 재생시에는 상기 저선송 레이트의 화상 데이타만으로 부터도 화상이 얻어지고 혹은 양자가 복호화되고 가산되므로서 고품질의 화상도 얻어진다.
이와 같은 계층 처리는 양편의 데이타로부터 고품질 화상을 얻어 소재 화상으로서 사용하고, 방송 등에서 전송 레이트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 적은 부호량의 화상 데이타만을 전송하는 사용법이 가능하다.
제4도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하는 종래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것의 설명을 생략한다.
화상 입력 단자(1)로부터 입력된 입력 화상 신호는 DCT(64)에서 이산코싸인 변환(DCT)의 처리가 행해지고 그 결과인 계수가 양자화기 (65)와 감산기 (3)에 부여된다. 양자화기 (65)에서는 상기 계수가 부호량 제어기(14)로 부터 부여되는 큰 양자화 스텝폭으로 양자화되고 고정 길이부호가 가변 길이 부호화기 (66)와 역양자화기 (61)에 부여된다.
가변길이 부호화기 (66)에서는 고정 길이 부호가 가변 길이 부호화되어서 저전송 레이트의 화상 데이타로 되고 버퍼(13)에 부여된다.
한편 역양자화기 (61)에서는 고정길이 부호가 대응하는 양자화 대표치로 바꾸어 놓여져 재생 계수로 되고 감산기 (3)의 감산 입력에 부여된다. 감산기 (3)에서는 DCT(64)의 출력에서 상기 재생계수가 감산되고 오차 성분 신호가 만들어져서 양자화기 (65)에 부여된다.
양자화기 (62)에서는 상기 오차 성분 신호가 부호량 제어기에서 부여되는 양자화 스텝폭으로 양자화되나 양자화의 스텝폭은 양자화기 (65)의 것보다 세밀하게 되어 있다.
양자화기 (62)의 출력은 가변길이 부호화기 (63)에 부여되고 고정길이 부호가 가변길이 부호화되어서 오차 성분 데이타로 되고 버퍼 (6)에 부여된다.
버퍼 (6)의 출력인 오차 성분 데이타와 버퍼 (13)의 출력인 저전송 레이트의 화상 데이타는 멀티플렉서 (8)에서 다중화되고 데이타 출력 단자(9)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동일 신호에 대한 양자화의 섬세함에 의한 계층화이므로 계층간의 양자화 밸런스를 취하기 위해 특별히 설치하지 아니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화상 부호화 장치에서 부호화된 부호 열 (Data Stream)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태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VTR 등에서는 기록 매체 위에 정보가 기록된 정보 트랙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정보 트랙은 수 트랙에 대해 1 트랙이 상기 저해상도의 화상이나 상기 독립 화상 등의 우선 화상 정보가 기록되는 특정 트랙으로 된다. 그 모양을 제5도에 도시한다.
제5도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기록 형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5도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상기 특정 트랙과 비특정 트랙이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제6도는 데이타 형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화상 정보의 부호량이 허용되는 최대치와 일치하는 경우는 상기 특정 트랙은 그것의 우선 화상 정보로 가득차고 우선 화상 정보 이외의 화상 정보 즉 비우선 화상 정보는 상기 특정 트럭이외의 비특정 트랙에 기록된다.
그러나 우선 화상 정보의 부호량이 최대치 보다 적은 경우는 상기 비우선 화상 정보가 비특정 트랙외에 상기 특정 트랙의 일부에도 기록된다.
기록 매체로의 기록은 상기 바와 같은 형태로 행해지기 때문에 제2도에 있어서 멀티플렉서(8)에서는 정보 트랙의 기록 형태에 맞춘 포매트로 부호 정보가 만들어진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화상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특정 종류의 화상 정보를 우선 화상 정보로서 그것의 부호량이 전체의 부호량에 대해서 일정한 비율 이하로 되도록 부호화되므로 기록 매체에서는 수 트랙마다 1 트랙의 비율로 상기 우선 화상 정보가 기록되어서 이 수 트랙 간격으로 형성되는 특정한 정보 트랙에 상기 우선 화상 정보의 모든 것이 수집된다.
우선 화상 정보의 부호량은 전체의 부호량에 대해서 일정 비율 이하이면 자유도가 있으므로 그것의 범위에서 가장 적합한 화질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우선 화상 정보가 기록된 정보 트랙의 수는 적으므로 고속 재생에서 필요한 정보가 낭비없이 읽어져 고품질인 고속 써치 화상이 얻어진다.
또 고정밀도의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서 저해상도의 화상이 손쉽게 얻어지고 기록 매체와 재생 장치에 있어서 고정밀도 화상용과 저해상도 화상용을 공통으로 할 수가 있다.

Claims (11)

  1. 화상 정보를 부호화 하는 화상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그의 정보만으로부터 화상이 재생될 수 있는 우선 화상 정보를 부호화 하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우선 화상 정보 이외의 비우선 화상 정보를 부호화 하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우선 화상 정보와 상기 비우선 화상 정보의 합계의 부호량이 제1의 소정치 이내에 수납되도록 발생 부호량을 제어하는 제1 부호량 제어 수단과, 상기 우선 화상 정보의 부호량이 가변이고 또한 상기 제1의 소정치보다 작은 제2의 소정치를 넘지 않도록 발생 부호량을 제어하는 제2 부호량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부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화상 정보로서, 화상간 예측을 사용한 부호화에 있어서 독립하여 부호화되는 화상 혹은 화상 정보를 계층화하여 부호화하는 계층 부호화에서의 저해상도의 화상을 상기 제1 부호화 수단으로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부호화 장치.
  3. 그의 정보만으로부터 화상이 재생될 수 있는 우선화상정보를 부호화하고, 상기 우선화상정보 이외의 비우선화상정보를 부호화하고, 상기 우선화상정보와 상기 비우선화상정보의 합계의 부호량이 제1의 소정치이내에 수납되도록 발생 부호량을 제어하고, 상기 우선화상정보의 부호량이 가변이고 또한 상기 제1의 소정치 보다 작은 제2의 소정치를 넘지 않도록 발생부호량을 제어하여 부호화된 화상정보가 기록되고, 주기적으로 배치된 특정 트랙에는 상기 우선화상정보와 상기 비우선화상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특정 트랙이외의 트랙에는 상기 비우선화상정보만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화상 정보는, 화상간 예측 부호화에 있어서의 독립 부호화 화상 혹은 계층 부호화에 있어서의 저해상도의 화상 혹은 양자화 스텝폭이 큰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5. 기록 매체에 기록해야 할 화상 정보를 부호화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정보에서 그것만으로 화상이 재생되는 제1의 화상 정보와, 그것만으로는 화상이 재생되지 않는 제2의 화상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제1의 화상 정보를 부호화하는 제1의 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2의 화상 정보를 부호화 하는 제2의 부호화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의 부호화 수단으로 부터의 출력 부호를 다중해서 출력하는 출력 수단과, 상기 다중 부호량을 상기 제1 및 제2의 부호화 수단으로 부터 각각 출력되는 제1 및 제2의 부호량이 서로 밸런스하는 제1의 소정량으로 되도록 제어하는 제1의 제어수단과, 상기 제1의 부호량이 상기 다중 부호량에 대해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포매트에 의한 소정 비율이내로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의 부호량을 제어하는 제2의 제어수단을 구비한 부호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의 부호화수단의 각각의 양자화폭을 제어하는 양자화폭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의 부호량과 상기 각각의 양자화폭이 부여되어 상기 제1의 소정량을 얻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의 부호화 수단의 각각에 대한 제1 및 제2 의 목표 부호량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의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의 목표 부호량이 부여되어서 상기 양자화폭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부호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폭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제2의 목표 부호량이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포매트에 의한 제2의 소정량 이하인 경우는 상기 제1 및 제2의 목표 부호량에 의해 상기 양자화폭 제어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2의 목표 부호량이 상기 제2의 소정량을 넘는 경우는 상기 제2의 목표 부호량과 상기 다중 부호량에서 상기 제2의 목표 부호량을 빼서 얻어지는 제 3의 목표 부호량에 의해 상기 양자화폭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부호화 장치.
  8. 기록 매체에 기록할 화상 정보를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정보에 포함되는 그것만으로 화상이 재생되는 제1의 화상 정보와, 그것만으로는 화상이 재생되지 않는 제2의 화상 정보를 시분할로 부호화하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화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및 제2의 화상 정보에 각각 해당하는 제1 및 제2의 부호량의 합계가 상기 제1 및 제2의 부호량이 서로 밸런스하는 제1의 소정량으로 되도록 제어하는 제1의 제어 수단과, 상기 제1의 부호량이 상기 합계 부호량에 대해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포매트에 의한 소정 비율이내로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의 부호량을 제어하는 제2의 제어 수단을 구비한 부호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제어 수단은, 상기 부호화 수단의 양자화폭을 제어하는 양자화폭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의 부호량과 상기 양자화폭이 주어져서 상기 제1의 소정량을 얻기 위한 상기 부호화 수단에 대한 제1의 목표 부호량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의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목표 부호량이 부여되어서 상기 양자화폭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부호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폭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제1의 목표 부호량이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포매트에 의한 제2의 소정량 이하인 경우는 상기 제1의 목표 부호량에 의해 상기 양자화폭 제어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1의 목표 부호량이 상기 제2의 소정량을 넘는 경우는 상기 합계 부호량에서 상기 제1의 목표 부호량을 빼고 얻어지는 제2의 목표 부호량에 의해 상기 양자화폭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부호화 장치.
  11. 화상 정보를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의 화상 정보를 제1의 양자화폭에 의해 양자화하여 그래서 부호화하는 제1의 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의 화상 정보와 상기 양자화된 화상 정보를 역양자화해서 부여되는 제2의 화상 정보와의 차를 상기 제1의 양자화폭보다 좁은 제2의 양자화폭에 의해 양자화하고 그래서 부호화하는 제2의 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의 부호화 수단의 출력 부호를 다중해서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 부호화 장치.
KR1019940011611A 1993-05-26 1994-05-25 화상 부호화 장치 및 기록 매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220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542593A JP2979900B2 (ja) 1993-05-26 1993-05-26 記録媒体
JP93-145425 1993-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575A KR940027575A (ko) 1994-12-10
KR100220765B1 true KR100220765B1 (ko) 1999-09-15

Family

ID=1538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161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20765B1 (ko) 1993-05-26 1994-05-25 화상 부호화 장치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98796A (ko)
EP (1) EP0626789B1 (ko)
JP (1) JP2979900B2 (ko)
KR (1) KR100220765B1 (ko)
DE (1) DE6942144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193B2 (ja) * 1995-03-16 2001-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信号の符号化装置及び復号装置
KR100188934B1 (ko) * 1995-08-28 1999-06-01 윤종용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및 방법
TW358296B (en) 1996-11-12 1999-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gital picture encoding method and digital picture encoding apparatus, digital picture decoding method and digital picture decoding apparatus, and data storage medium
CN1243635A (zh) * 1997-01-10 2000-02-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及数据记录媒体
JP4531871B2 (ja) * 1997-10-30 2010-08-25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画像情報処理装置及び符号装置
KR100252108B1 (ko) * 1997-12-20 2000-04-15 윤종용 Mpeg 압축부호화 및 복호화기를 채용한 디지털 기록 재생장치 및 그 방법
ATE376227T1 (de) * 1999-02-04 2007-11-15 Quvis Inc Bildspeicherung und kommunikation mit priorität auf der qualität
ITTO20030197A1 (it) * 2003-03-14 2004-09-15 Fiat Ricerche Dispositivo elettro-ottico attivo per il rilevamento di
CN101626479B (zh) * 2004-08-17 2011-04-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图像编码装置、图像解码装置
RU2402885C2 (ru) 2005-03-10 2010-10-27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Классификация контент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данных
US8879635B2 (en) 2005-09-27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device for data alignment with time domain boundary
BRPI0616615A8 (pt) 2005-09-29 2018-03-06 Thomson Res Funding Corporation método e aparelho para codificação de vídeo com taxa de transferência variável (vbr) restrita
JP2007174634A (ja) * 2005-11-28 2007-07-05 Victor Co Of Japan Ltd 階層符号化装置、階層復号化装置、階層符号化方法、階層復号方法、階層符号化プログラム及び階層復号プログラム
US9131164B2 (en) 2006-04-04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Preprocessor method and apparatus
US8253732B2 (en) * 2008-01-03 2012-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visualization client acceleration
US8606952B2 (en) * 2008-01-15 2013-1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bandwidth usage in remote visualization
CN103270757B (zh) * 2011-03-11 2015-07-22 富士胶片株式会社 图像传感装置和控制其操作的方法
US20130208809A1 (en) * 2012-02-14 2013-08-15 Microsoft Corporation Multi-layer rate control
JP5929530B2 (ja) * 2012-06-07 2016-06-08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画像データ圧縮符号化装置、画像データ圧縮符号化方法、及び、画像データ圧縮符号化プログラム
JP2014143655A (ja) * 2013-01-25 2014-08-07 Fuji Xerox Co Ltd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8903019D1 (de) * 1988-09-13 1993-01-28 Thomson Brandt Gmbh Uebertragungssystem fuer ein zeitlich und oertlich hochaufgeloestes bildsignal.
JPH0797753B2 (ja) * 1989-01-24 1995-10-1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符号化出力データ量の制御方式
JP3085465B2 (ja) * 1989-10-31 2000-09-11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画像データの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
JPH0799810B2 (ja) * 1990-03-14 1995-10-2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符号化出力データ量制御方式及びその復号装置
FR2660139B1 (fr) * 1990-03-23 1995-08-25 France Etat Procede de codage et de transmission a au moins deux niveaux de qualite d'images numeriques appartenant a une sequence d'images, et dispositifs correspondants.
JPH0486183A (ja) * 1990-07-30 1992-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H04105425A (ja) * 1990-08-24 1992-04-07 Victor Co Of Japan Ltd 符号化出力データ量制御方式
GB9022326D0 (en) * 1990-10-15 1990-11-28 British Telecomm Signal coding
EP0482888B1 (en) * 1990-10-25 1997-06-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04227185A (ja) * 1990-12-28 1992-08-17 Victor Co Of Japan Ltd 符号化出力データ量制御方式
JP2514111B2 (ja) * 1990-12-28 1996-07-1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フレ―ム間符号化出力デ―タ量制御方式及び画像符号化出力デ―タ量制御方法
US5231384A (en) * 1991-08-26 1993-07-27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splitting video signal between two channels
US5144424A (en) * 1991-10-15 1992-09-0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video data quantization control
JP3109185B2 (ja) * 1991-11-12 2000-11-13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vtr
EP0545651A3 (en) * 1991-12-02 1993-08-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er and player for video digital video signals
JP2950065B2 (ja) * 1992-10-28 1999-09-2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可変転送レート符号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26789B1 (en) 1999-11-03
EP0626789A2 (en) 1994-11-30
KR940027575A (ko) 1994-12-10
JP2979900B2 (ja) 1999-11-15
US5798796A (en) 1998-08-25
EP0626789A3 (en) 1995-05-17
DE69421449T2 (de) 2000-03-30
JPH06339115A (ja) 1994-12-06
DE69421449D1 (de) 199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765B1 (ko) 화상 부호화 장치 및 기록 매체
USRE40679E1 (en) Picture encoding method, picture encoding apparatus and picture recording medium
US20060233259A1 (en) Switching decode resolution during video decoding
US5491509A (en) Forced intra-frame coding method
JP2001211455A (ja) 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符号化装置
KR100260475B1 (ko) 화상 데이타 부호화 방법 및 장치, 화상 데이타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및 화상 기록 매체
KR100364312B1 (ko) 블록간예측부호화복호화장치및그방법
JP3532709B2 (ja) 動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装置
KR100256859B1 (ko) 동화상을 코딩/인코딩하는 장치와 방법 그리고동화상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JP3089941B2 (ja) 画像間予測符号化装置
JPH0750840A (ja) 符号記録装置
JP3200199B2 (ja) 動画像圧縮符号化方法
US6556714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6490321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encoding/decoding moving picture using second encoder/decoder to transform predictive error signal for each field
JP3449370B2 (ja) 画像データ復号化方法及び装置
KR0157467B1 (ko) 버퍼상태에 따른 동영상부호화방법 및 장치
JP3480980B2 (ja) 画像信号伝送方法及び装置、並びに画像信号復号化方法及び装置
JPH11341489A (ja) 画像復号化装置とその方法
JP3516622B2 (ja) 復号化装置及び方法
JP3481207B2 (ja) 画像信号伝送方法及び装置、並びに画像信号復号化方法及び装置
JP3496926B2 (ja) 画像データ復号化方法
JPH06276482A (ja) 画像信号符号化方法、装置、復号化方法及び装置
JPH06319124A (ja) 画像データ変換装置及びその逆変換装置
JP3506507B2 (ja) ディジタル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映像信号再生装置
JPH08340540A (ja) 画像フレームの符号化又は復号化の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80327

Effective date: 19990320

PJ1301 Trial decis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5-crt-PJ1301

Decision date: 19990320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Ground Text : 1994 11611

Appeal request date: 19980327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1998101000993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S09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S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6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