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8003B1 -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8003B1
KR100218003B1 KR1019970014829A KR19970014829A KR100218003B1 KR 100218003 B1 KR100218003 B1 KR 100218003B1 KR 1019970014829 A KR1019970014829 A KR 1019970014829A KR 19970014829 A KR19970014829 A KR 19970014829A KR 100218003 B1 KR100218003 B1 KR 100218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mps
usb hub
mode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7638A (ko
Inventor
홍 기 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4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8003B1/ko
Priority to JP10112461A priority patent/JP2883869B2/ja
Priority to US09/063,928 priority patent/US6105143A/en
Publication of KR19980077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8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Sour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SB 허브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DPMS 모드에 따라 절전모드를 구현함에 있어 USB 허브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므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력소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AC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를 거쳐 정류된 DC 전압을 스위칭하여 정류한 뒤 디스플레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와, 절전모드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메인 SMPS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마이컴과, USB 허브로부터 전원이 입력되지 않을 때 상기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SMPS와, USB 허브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보조 SMPS의 동작을 차단하는 보조 오프제어부와, DPMS 구현에 따라 오프모드 수행을 위해 상기 메인 SMPS의 동작을 차단하는 오프제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본 발명은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DPMS 모드에 따라 절전모드를 구현함에 있어 USB 허브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므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력소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은 정보를 다루는 컴퓨터 본체(이하 컴퓨터라 칭함)와 그 정보를 처리하는 각종 주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장치는 컴퓨터와 정보교환을 위한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으로 구분된다.
컴퓨터(1)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는 다수의 키를 가진 키보드(2)와 그래픽 작성 등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마우스(3)등이 있다.
또한 출력수단으로는 컴퓨터(1)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표시화면에 화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모니터(4)가 사용된다.
이러한 각 주변장치들은 컴퓨터(1)내의 마더보드상에서 사용 가능한 슬롯 중 하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포트를 점유해야 한다. 이때 사용자는 케이스를 열고 슬롯에 사용되는 장치의 인터페이스 카드를 보드에 삽입해야 한다. 때로는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점퍼를 세팅하거나 직렬 또는 병렬과 같은 커넥터의 종류를 맞춰주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 때문에 보편적인 사용자들은 새로운 장치를 설치하기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컴퓨터의 슬롯은 한계가 있어 일단 그러한 슬롯들이 채워지면 더 많은 주변장치를 추가할 수 없게된다.
더 많고 더 사용하기 편한 주변 장치의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에스비(Universal Serial Bus : 이하 USB라 칭함)장치를 이용하는 사양이 개발되었다.
USB 허브(HUB)(10)를 중심으로 컴퓨터(1)와 각 주변장치인 모니터(4), 프린터(5),스캐너(6) 및 외장형 모뎀(7)등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USB 허브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주변장치나 관련된 카드를 연결하기 위해 그들의 컴퓨터를 열어볼 필요가 없어진다. 대신 주변 장치를 추가하는 것이 책상 램프를 끼우는 것만큼 쉬워진다.
키보드나 모니터와 같은 장치는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는 대표적인 주변장치이고 다른 주변장치들은 확장허브를 통하거나 독립된 USB 허브를 통하여 쉽게 연결된다. 이러한 확장 허브들은 추가의 연결 소켓을 제공하며 층층이 쌓인 트리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각 주변 장치들은 장치들 사이 또는 확장 허브와 수 미터까지 떨어져 있을 수 있다.
USB 허브는 모두 합쳐 127개의 다른 장치들을 하나의 컴퓨터에 연결시킬 수 있다. 5(V)볼트의 동작 전압을 전달하여 현재 사용되는 많은 주변 장치들이 큰 AC전력을 소모하는 문제점을 제거한다. 또한 12Mbit/sec의 빠른 데이터 전송율은 현재의 커넥터 기술에 해당하는 비용만으로 높은 밴드폭을 갖는 대부분의 주변장치들에 대한 광대한 처리 능력을 제공한다.
이미 시스템과 주변장치 제조업자들이 받아들이고 있는 것에 기반하여 USB는 차후 컴퓨터 시스템의 주된 특징이 될 것이다. USB 허브로 연결될 장치들의 예로는 전화 네트웍, 모뎀, 프린터 , 마이크, 마우스, 스캐너 , 디지탈 카메라등이다.
이러한 USB 허브의 주된 효과는 단순성과 편리성에 있다. USB 허브는 컴퓨터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장치가 추가되거나 제거될 때 이를 감지한다. 이러한 작업은 다른 전통적인 내장 슬롯에서와 달리 전원이 켜있는 상태에서 가능하고 시스템을 재 부팅할 필요도 없다.
또한 진정한 플러그 앤 플레이(Plug-And-Play)동작을 지원한다. USB 허브는 각 주변장치가 필요로 하는 드라이버 소프트웨어와 버스의 밴드폭과 같은 자원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결정하며 사용자의 간섭없이 사용가능하도록 확보한다.
도 3에서는 이러한 USB 허브를 좀 더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USB 허브(10)는 컴퓨터(1)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및 클럭을 전달하는 업스트림포트(Up Stream Port)(11)와, 디스플레이 장치(4)및 주변장치의 상호 정보전달을 제어하는 유에스비(USB) 컨트롤 회로(12)와, 상기 유에스비(USB) 컨트롤회로(12)의 제어신호를 각 주변기기(5∼7)에 전달하는 다운 스트림포트(Down Stream Port)(13∼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USB 컨트롤 회로(12)의 동작전원(5V)를 공급하기 위하여 컴퓨터(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때 컴퓨터(1)와 USB 컨트롤 회로(12)는 상호 데이터 및 클럭을 서로 교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USB 허브(10)의 업스트림 포트(Up Stream Port)(11)에는 컴퓨터가 접속된다. 이 때의 컴퓨터(1)는 USB 허브의 사용환경이 설정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한 일이며 컴퓨터(1)에서 자동으로 USB 컨트롤 환경을 지원하게 된다.
USB 허브(10)의 다운스트림(13∼15)에 컴퓨터 주변장치(5∼7)를 접속하면 컴퓨터(1)에서 등록된 ID를 확인하여 이상이 없을 경우 자동 인스톨(Install)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의 행위없이 주변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모니터는 대표적인 컴퓨터 주변장치로서 그 구성은 도 4에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100)는 키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발생하는 CPU(110)와, 상기 CPU(1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인가 받아 영상 신호(R,G,B)로 처리하고 이를 동기시키기 위한 수평동기신호 HS 및 수직동기신호 VS를 출력하는 비디오 카드(120)를 포함한다.
모니터(200)는 상기 컴퓨터(100)내의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영상 신호(R,G,B) 및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인가 받아 후단에 상 조정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 등의 조절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10)과, 상기 마이컴(210)의 동작을 위한 화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버튼(Button)부(220)와, 상기 마이컴(210)으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를 인가 받아 라스터(Raster)를 동기시키는 수평 및 수직 출력 회로부(230)와, 상기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인가 받아 증폭하여 표시하는 비디오 회로부(240)와, 상기 마이컴(210)과 상기 수평 및 수직 출력 회로부(230)와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240)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250)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모니터(200) 내부의 각 블럭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100)의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각종 화면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마이컴(210)에서 인가 받는다.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은 마이컴(210)은 제어 버튼(Button)부(220)에서 인가되는 화면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상을 조정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마이컴(210)으로부터 출력되는 상 조정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를 인가 받은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0-1)는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인가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따라 톱니파 발생 회로의 온/오프 동작의 스위칭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직 펄스를 수직 드라이브 회로(230-2)로 인가하게 된다.
수직 펄스를 인가 받은 수직 드라이브 회로(230-2)는 일반적으로 1단의 수직 증폭형이 많이 사용되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을 가하고 에미터 단자에서 출력 전압을 꺼내는 에미터 팔로우(Emitter Follower)형을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득보다는 직선성 개선의 동작을 한다.
이러한 수직 드라이브 회로(230-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신호를 인가받은 수직 출력 회로(230-3)는 수직 편향요크(Deflection Yoke)(230-4)를 통해 흐르는 수직 동기 펄스에 부합된 톱니파 전류를 만들게 되고, 그에 따라 수직 주사 주기가 결정된다.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0-1)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발진 신호는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5)에 인가된다. 수평 발진 신호를 인가 받은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5)는 수평 출력 회로(230-6)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5)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인가 받은 수평 출력 회로(230-6)는 수평 편향요크(H-DY)(230-7)에 톱니파 전류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톱니파 전류에 의해 수평 주사 주기가 결정된다.
또한, 안정된 직류(DC) 전압을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이하 CRT라 칭함)(240-3)의 애노드(Anode)에 공급하기 위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ormer; 이하 FBT라 칭함)(230-9)가 사용된다.
FBT는 누설 인덕턴스와 고압 회로(230-8)의 분포 용량에 의한 고조파를 이용하여, 콜렉터 펄스가 작아도 큰 고압을 발생하여 CRT(240-4)의 애노드(Anode) 단자에 인가하게 되다.
고압을 인가 받은 애노드(Anode) 단자는 영상 신호 처리부(240)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의 휘도를 조정하게 된다. OSD부(240-1)는마이컴(21)에서 출력되는 화면 제어 신호에 따른 OSD데이터를 인가 받아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비디오 프리 앰프(240-2)는 OSD부(240-1)로부터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와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는다. 비디오 프리 앰프(240-2)는 저전압 증폭기로 낮은 영상 신호(R,G,B)를 증폭시켜 일정한 전압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가령 예를 들어, 1VPP미만의 신호를 4 ∼ 6VPP의 신호로 증폭시킨다. 이와 같이 4 ∼ 6VPP의 신호로 증폭 된 것을 비디오 출력 앰프(240-3)는 40 ∼ 60VPP의 신호로 증폭하여 각 화소에 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비디오 출력 앰프(240-3)에서 증폭된 영상 신호는 CRT(240-4)의 캐소드(Cathode)에 인가되어 화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된다.
또한, OSD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비디오 프리 앰프(240-2)에서 OSD가 선택되어 일정 레벨로 증폭된 후, 비디오 출력 앰프(240-3)에서 최종 증폭되어 CRT (240-4)의 화면에 OSD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CRT(240-4)에 표시되는 OSD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모니터(200)의 사용자에게 모니터(200)의 기능 또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모니터의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250)는, 상용 교류를 입력받는 교류(Alternative Current; 이하 AC라 칭함)입력단(250-1)을 통해 교류를 입력받는다. AC입력단(250-1)을 통해 출력되는 교류를 입력받은 디가우징 코일(250-2)은 화면의 색 순도가 지자계 또는 외부 조건에 의해 발생되는 색상의 번짐 상태를 원래의 색상으로 회복시키는 동작을 한다.
이 동작은 디가우징 코일(250-2)에 순간적으로 2-8초 동안 교류를 가하면, 모니터(200) 내에 있는 새도우 마스크(Shadow Mask)에 형성된 자계를 흩트려 색상의 번짐 상태를 회복시키게 된다.
또한, 정류기(250-3)를 통해 정류되어 출력되는 직류는 스위칭 트랜스포머(250-4)로 인가된다. 직류를 인가 받는 스위칭 트랜스포머(250-4)는 스위칭 동작을 하여 전압 출력단(250-5)을 통해 모니터(200) 내에 필요로 하는 각종 구동 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만일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V-SYNC)가 인가되지 않으면 마이컴(210)은 서스펜드 모드 신호를 전압 레귤레이터(250-5)로 인가하여 편향 전압을 차단하게 된다.
펄스 폭 변조회로(Pulse Width Modulation; 이하 PWM)부(250-6)의 구형파 펄스는 스위칭 장치의 온/오프 드라이브 동작을 시키며, 펄스 폭의 변화는 도전 시간(Conduction Time)을 증가 감소시켜 출력 전압의 안정화를 시키게 된다. 그리고, 마이컴(210)은 모니터(200)내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감지 여부에 따라 DPMS모드를 실행하여 모니터(200) 내부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하게 된다.
여기에서 DPMS(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이란 컴퓨터에서 모니터를 정상동작모드(Normal), 대기모드(Stand-By), 일시중단(Suspend)모드, 전원차단모드(Off) 중 어느 하나의 제어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하여 수평동기신호 HS와 수직동기신호 VS를 선택적으로 모니터에 인가하는 것을 말한다.
정상동작모드(Normal)라 함은 모니터의 전원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제어모드를 말한다.
대기모드(Stand-By)와, 일시중단모드(Suspend)는 비디오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비디오신호중 선택적으로 뮤팅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를 시키지 않도록 하는 제어모드를 말한다.
전원차단모드(Off)라 함은 모니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모드를 말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컴퓨터에서 모니터를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모드에 대응하여 수평동기신호 HS와 수직동기신호 VS의 형태로서 동작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은 미합중국에서 1993년 1월 26일자로 발행 및 배포하고 있는 DPMS PROPOSAL에 제안되어 있다. DPMS PROPOSAL에 따르면 정상동작모드는 전원온상태로서 수평동기신호 HS와 수직동기신호 VS의 펄스 출력이 모두 나타나고, 대기모드는 대기상태로서 수직동기신호 VS의 펄스 출력만이 나타나며, 서스펜드모드는 일시중단상태로서 수평동기신호 HS의 펄스 출력만이 나타나며, 전원차단모드는 전원오프상태로서 수평동기신호 HS와 수직동기신호 VS의 펄스 출력이 모두 나타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어모드를 구별하도록 하고 있다. 제어모드는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되지 않는 시간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정상동작모드→대기모드→일시중단→전원차단모드로 전환한다.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USB 허브를 이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AC 전원을 입력받아 후단에 직류전압으로 제공하는 정류부(51)와, 상기 정류부(51)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각 회로구성소자에 제공하는 메인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52) 및 보조 SMPS(53)와, 상기 보조 SMPS(53)로부터 5V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마이컴(54)과, 상기 마이컴의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SMPS의 전원을 제어하는 오프제어부(55)와, 상기 마이컴(54)에 컴퓨터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전달하는 USB장치(10)로 구성된다.
컴퓨터(100)로부터 전달되는 DPMS 모드는 USB장치(10)의 USB포트를 통해 상기 마이컴(54)에 제공된다. 이 때 마이컴(54)은 오프모드(OFF)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메인 SMPS(52)에 OFF 제어신호를 출력시켜 메인 SMPS의 동작을 멈추도록 한다.
따라서 보조 SMPS(53) 및 마이컴(54)은 정상동작을 수행하고 있어 일정전력을 소모하게되어 완전 절전효과를 기대하기 힘들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USB장치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USB 허브로부터 모니터의 마이컴 전원을 공급받아 절전모드를 제어하므로써 모니터 소비전력을 최대한으로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USB 허브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DPMS 모드에 따라 모니터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AC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를 거쳐 정류된 DC 전압을 스위칭하여 정류한 뒤 디스플레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SMPS와, 절전모드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메인 SMPS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USB 포트로부터 전원이 입력되지 않을 때 상기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SMPS와, 상기 USB 포트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보조 SMPS의 동작을 차단하는 보조 오프제어부와, DPMS 구현에 따라 오프모드 수행을 위해 상기 메인 SMPS의 동작을 차단하는 오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하여 모니터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은 전원인가에 따라 메인 SMPS와 보조 SMPS가 정상 동작되는 과정과, USB 포트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전원 공급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USB 허브 전원이 공급될 때 보조 SMPS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과정과, DPMS 모드 구현에 따른 모드 전환중 파워오프(Power Off)모드를 적용시킬 것인가를 확인하는 과정과, 파워오프 모드를 적용시키기 위해 메인 SMPS는 오프시키고 마이컴에는 USB 포트를 통해 일정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USB 허브를 이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USB 허브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회로구성도,
도 4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USB 허브를 이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시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USB
허브를 이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하여 모니터의 전원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과정 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성도 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AC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51)와, 상기 정류부(51)의 전압을 스위칭하여 정류한 뒤 모니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SMPS(52)와, USB 라인으로부터 전원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 마이컴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SMPS(53)와, 컴퓨터로부터 USB케이블을 통하여 5V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USB 허브(10)와, 보조 SMPS(53)의 전원이 USB 허브(10) 전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D1)와, 절전모드 상태를 판별하여 SMPS 동작 여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54)과, USB허브로부터 마이컴에 제공될 5V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보조 SMPS부를 오프시키기 위한 보조 오프제어부(56)와, DPMS 모드 중 오프모드시 상기 메인 SMPS(52)의 전원을 차단하는 오프제어부(55)로 구성되어 있다. 오프 제어부 및 보조 오프제어부는 트랜지스터를 비롯한 스위칭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전원제어장치의 동작을 도 7의 흐름도를 참조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모니터 전원이 인가되면(S1 과정), 모니터 정류부(51)를 거쳐 보조 SMPS(53)회로가 동작하여 마이컴(54)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메인 SMPS(52)의 회로가 동작하여 모니터 회로 전반에 전원을 공급하므로써 모니터가 동작하게 된다.(S2 과정)
USB 허브(10)와 모니터 사이에 USB 케이블을 꽂으면 USB 허브(HUB)의 다운스트림(Down Stream) 포트(Port)로부터 모니터에 마이컴(54) 구동용 5V의 전원이 공급된다.(S3 과정)
USB 허브(10)로부터 5V 전원이 모니터내로 공급되는 순간, USB케이블을 통한 5V의 전원에 의해 보조 오프제어부(56)가 동작하여 보조 SMPS(53)의 동작을 멈추게 한다.(S4 과정) 따라서 마이컴(54)은 USB 허브(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이 때 다이오드(D1)은 보조 SMPS(53)의 전원이 USB 허브(10)의 전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정상동작을 수행하다가 일정시간 컴퓨터 사용자가 사용을 멈추거나 자리를 이탈한 경우 컴퓨터(100)는 절전모드(DPMS)를 수행한다.
절전모드 수행중 전원차단모드(Power Off)모드를 수행해야 될 때 컴퓨터(100)로부터 USB 허브(10)를 거쳐 전원차단모드(Power OFF Mode)가 전달되면 USB 허브(10)는 다운스트림(Down Stream)포트를 통해 이를 마이컴(54)에 전달한다.(S5 과정)
전달된 절전모드(Off Mode)를 인지한 마이컴(54)은 연결되어 있는 오프제어부(55)를 통해 메인 SMPS 회로의 동작을 차단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결국 모니터 SMPS의 동작은 완전히 멈추게 된다. 하지만 마이컴(54)은 USB 허브(10)로부터 5V의 전원을 공급받아 계속 동작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USB 허브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니터의 전원을 제어하므로써, 파워 오프모드에서 모니터의 입력측에서 보는 소비전력은 거의 없게 되어 효과적인 절전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3)

  1. 디스플레이 장치의 AC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를 거쳐 정류된 DC 전압을 스위칭하여 정류한 뒤 디스플레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와,
    절전모드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메인 SMPS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마이컴과,
    USB 허브로부터 전원이 입력되지 않을 때 상기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SMPS와,
    USB 허브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보조 SMPS의 동작을 차단하는 보조 오프제어부와,
    DPMS 구현에 따라 오프모드 수행을 위해 상기 메인 SMPS의 동작을 차단하는 오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2. 전자총에서 발산되는 전자빔의 방향을 고전압을 이용하여 화면의 수평 /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부와,
    컴퓨터로부터 색상신호(R,G,B)를 전달받아 증폭하고 각각을 조합하여 여러 가지 색상으로 CRT에 나타내기 위한 비디오 회로부와,
    상기 비디오 회로부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를 상기 편향부의 조절값에 따라 CRT에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와,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 전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부와,
    외부 USB 허브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후단에 상 조정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등의 조절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전원인가에 따라 메인 SMPS와 보조 SMPS가 정상 동작되는 과정과,
    USB 포트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전원 공급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USB 허브 전원이 공급될 때 보조 SMPS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과정과,
    DPMS 모드 구현에 따른 모드 전환중 파워오프(Power Off)모드를 적용시킬 것인가를 확인하는 과정과,
    파워오프 모드를 적용시키기 위해 메인 SMPS는 오프시키고 마이컴에는 USB 포트를 통해 일정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는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9970014829A 1997-04-22 1997-04-22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218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829A KR100218003B1 (ko) 1997-04-22 1997-04-22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10112461A JP2883869B2 (ja) 1997-04-22 1998-04-22 ディスプレイ装置の電源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US09/063,928 US6105143A (en) 1997-04-22 1998-04-22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of peripheral devices of a computer system us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hu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829A KR100218003B1 (ko) 1997-04-22 1997-04-22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638A KR19980077638A (ko) 1998-11-16
KR100218003B1 true KR100218003B1 (ko) 1999-09-01

Family

ID=1950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829A KR100218003B1 (ko) 1997-04-22 1997-04-22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05143A (ko)
JP (1) JP2883869B2 (ko)
KR (1) KR1002180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1529B1 (ko) * 1998-04-11 2001-02-15 윤종용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디바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 회로
JPH11305880A (ja) * 1998-04-23 1999-11-05 Sony Corp Usb機器およびusbハブ装置
JP4704562B2 (ja) * 1998-06-17 2011-06-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装置と周辺機器とのシステム
JP2000020185A (ja) * 1998-06-30 2000-01-21 Sony Corp 表示装置
JP2000105638A (ja) 1998-09-29 2000-04-11 Nec Corp Usbデバイス及びusb接続システム
US6272644B1 (en) * 1999-01-06 2001-08-07 Matsushita Electrical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entering powersave mode of USB hub
US6211649B1 (en) 1999-03-25 2001-04-03 Sourcenext Corporation USB cable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of external apparatus by using USB cable
WO2000067103A1 (en) * 1999-04-30 2000-11-09 Daniel Kelvin Jacks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communications over usb
US6697892B1 (en) 1999-07-08 2004-02-24 Intel Corporation Port expansion system
US6633932B1 (en) * 1999-09-14 2003-10-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universal serial bus to provide power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480965B1 (en) * 1999-10-07 2002-11-12 Intel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method for a computer system having a hub interface architecture
JP4089106B2 (ja) * 1999-10-25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投射表示装置、投射表示システム
US6684402B1 (en) * 1999-12-01 2004-01-27 Cognex Technology And Investment Corporation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for coupling multiple image acquisition devices to a digital data processor
KR100367479B1 (ko) * 2000-04-03 2003-01-10 탑헤드 주식회사 화면 이외 부분에 보조 모니터가 설치된 모니터 구동 장치
JP2001358908A (ja) * 2000-04-14 2001-12-26 Canon Inc 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622044B2 (ja) * 2000-05-29 2011-0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US6701192B1 (en) * 2000-09-13 2004-03-02 Ncr Corporation Wiring hub for a retail terminal
JP4619511B2 (ja) * 2000-09-29 2011-01-26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電源電圧供給システムを備えた半導体装置及び電源電圧供給システムを備えた半導体装置に電源電圧を供給する電源電圧供給方法
US6435904B1 (en) 2001-06-01 2002-08-20 Fellowes, Inc. Multiple peripheral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multiple peripheral devices to a host device
KR100711914B1 (ko) * 2001-09-15 2007-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에스비 전원 제어장치
US8176226B2 (en) * 2001-11-09 2012-05-08 Aten International Co., Ltd. KVMP switch allowing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switching for console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mong different computers
US6957287B2 (en) * 2001-11-09 2005-10-18 Aten International Co., Ltd. Asynchronous/synchronous KVMP switch for console and peripheral devices
US6586849B2 (en) * 2001-12-04 2003-07-01 Morton Tarr Electrical power strip for use with a computer and associated peripheral devices
US20030107566A1 (en) * 2001-12-08 2003-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USB device thereof
KR20030047663A (ko) * 2001-12-08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usb디바이스전원공급방법
US20050030680A1 (en) * 2002-01-22 2005-02-10 Eun-Su Lee Electric outlet for stanby power interruption and power saving, control method thereof, and power saving system
KR20030094853A (ko) * 2002-06-08 2003-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480017B1 (ko) * 2002-07-11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40062289A (ko) * 2003-01-02 200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JP4133459B2 (ja) * 2003-03-06 2008-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集線装置,ネットワーク対応装置,通信システム
EP1566745A1 (en) * 2004-02-19 2005-08-24 Ubs Ag Generation of database queries from database independent selection conditions
US20050234890A1 (en) * 2004-02-19 2005-10-20 Urs Enzler Generation of database queries from database independent selection conditions
CN100592242C (zh) * 2004-08-13 2010-0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usb接口的显示装置
KR100613608B1 (ko) * 2004-09-06 2006-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US7310697B2 (en) 2004-11-01 2007-12-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USB power source
US7346728B1 (en) * 2005-04-18 2008-03-1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hub capable of being self-powered for use in a USB-compliant system
US7469350B2 (en) * 2005-12-22 2008-12-23 Ncr Corporation Power control interface for a self-service apparatus
TW200731887A (en) * 2006-02-06 2007-08-16 Aopen Inc Power system capable of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power output ports on a daughter board
US8621129B2 (en) * 2010-12-09 2013-12-3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serial bus transmission power
CN102856933A (zh) * 2011-06-27 2013-01-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Usb充电电路
JP5531005B2 (ja) * 2011-12-26 2014-06-25 株式会社沖データ 電子機器
KR101629997B1 (ko) * 2012-01-30 2016-06-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위한 dc-링크 캐패시터 방전 장치
US9600055B2 (en) * 2012-12-28 2017-03-21 Intel Corporation Intelligent power management for a multi-display mode enabled electronic device
TWI613546B (zh) * 2013-03-28 2018-02-01 威盛電子股份有限公司 通用序列匯流排集線器及其控制方法
US10216253B2 (en) 2013-03-28 2019-02-26 Via Technologies, Inc. Universal serial bus hub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90321B2 (en) * 2014-06-17 2018-06-05 Cisco Technology, Inc. Selectively connecting a port of an electrical device to components in the electrical device
CN106557137A (zh) * 2015-09-25 2017-04-05 酷码科技股份有限公司 电源供应器及计算机机箱
CN106569572B (zh) * 2015-10-09 2019-11-22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主板及具有该主板的电脑控制系统
KR102532470B1 (ko) * 2015-12-11 2023-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CN107025195A (zh) * 2016-01-30 2017-08-08 鸿富锦精密电子(重庆)有限公司 电子装置供电系统
KR102511514B1 (ko) * 2016-02-03 2023-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양한 충전 방식을 이용한 고속 충전 방법 및 장치
AU2019404008B2 (en) 2018-12-18 2024-10-24 Arris Enterprises Llc Testing current draw capacity from an unknown USB supply
US20240427401A1 (en) * 2023-06-20 2024-12-26 Dell Products L.P. External display device auxiliary power mechanism during power outag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0713A (en) * 1992-01-02 1995-04-25 Smith Corona/Acer Power-management system for a computer
US5384721A (en) * 1992-04-27 1995-01-24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a power control unit
KR950005216B1 (ko) * 1993-03-31 1995-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절약장치
US5408668A (en) * 1993-07-28 1995-04-18 Tornai; Richar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ovision of power to computer peripherals
JPH08101657A (ja) * 1994-09-30 1996-04-16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おけるcrtディスプレイの消費電力制御方法
US5652893A (en) * 1994-12-13 1997-07-29 3Com Corporation Switching hub intelligent power management
US5675813A (en) * 1995-10-26 1997-10-0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in a universal serial bus
US5652895A (en) * 1995-12-26 1997-07-29 Intel Corporation Computer system having a power conservation mode and utilizing a bus arbiter device which is operable to control the power conservation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26128A (ja) 1998-12-08
US6105143A (en) 2000-08-15
KR19980077638A (ko) 1998-11-16
JP2883869B2 (ja) 199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8003B1 (ko)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9990009846A (ko) U s b 허브를 이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락킹 장치 및 방법
KR100238581B1 (ko) 택트 스위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및방법
KR100283572B1 (ko) Os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dpms 표시 방법
KR10018978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제어방법
US5938770A (en) Display apparatus for computer system
KR100247393B1 (ko) Pfc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KR100247390B1 (ko) Usb장치를이용하는디스플레이장치의dpms기능구현방법
US6049880A (en) Computer display monito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KR19980085433A (ko) 리모콘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
US6115033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a power saving method therefor
KR100327451B1 (ko) 원격제어되는컴퓨터시스템
KR19980066384U (ko)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자 스위치를 이용한 저소비 전력 회로
KR19980029958A (ko) 리모콘을 이용한 모니터 및 pc제어 회로 및 방법
KR100238579B1 (ko) Dpms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bnc/d-sub 자동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0255350B1 (ko)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모니터 제어방법
KR100247391B1 (ko) 영상신호의 패스 스로우(pass through) 기능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60532Y1 (ko) 파워 1차측의 전원공급 장치
KR100238583B1 (ko) 주변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0200453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편향요크커넥터이탈감지회로
KR100368874B1 (ko) 영상표시기기의 히터전압 공급회로
KR19990013697U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동 dpms구현 장치
KR200155998Y1 (ko) 동기신호의 판별에 의한 오버 레이지 제한 회로
KR19990008997U (ko) 음성신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제어장치
KR19990012255U (ko) 안전 차단 장치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4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