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80017B1 -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0017B1
KR100480017B1 KR10-2002-0040266A KR20020040266A KR100480017B1 KR 100480017 B1 KR100480017 B1 KR 100480017B1 KR 20020040266 A KR20020040266 A KR 20020040266A KR 100480017 B1 KR100480017 B1 KR 100480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isplay device
mode
power saving
swi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6255A (ko
Inventor
김상열
유규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0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0017B1/ko
Publication of KR20040006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01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ower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가 절전모드 상태일 경우 전력 소모를 줄이고 전력사용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영상 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장치는, 컴퓨터의 USB(Universal Serial Bus)와 연결된 USB 포트와;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현재 동작모드가 정상모드인지 절전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의 ON/OFF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용 입력전원을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 변환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정상모드시 상기 상용 입력전원이 상기 전압 변환부에 인가될 수 있도록 정상모드시 ON되고 절전모드시 OFF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절전모드시 상기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상기 영상 표시기기에 구비된 히터에 인가될 수 있도록 정상모드시 OFF되고 절전모드시 ON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IN DISPLAY}
본 발명은 영상 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가전제품이나 영상표시기기는 가급적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한 노력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영상 표시기기의 전력 운영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면서 보조전원을 사용하거나, 출력전압을 다운하여 절환하는 회로를 적용하여 낮은 전력소모로 DPMS(Display Power Mode Signal)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기존의 모니터에서의 전원 절전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모니터에서의 전원 절전을 위한 회로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부(11)와, Vcc 절환부(12)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의 회로에 맞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변환부(13)와, SMPS 변환부(13)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14)와, 정류부(14)의 특정 정류기(14a,14c)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S/W 1, S/W 2)와, 정류부(14)의 출력에 따라 전압을 다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펄스폭 변조부(11)로 제공하는 전압다운 회로(1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존의 모니터에서의 전원 절전 제어 장치의 동작을 모니터에 설정된 각각의 모드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니터의 마이컴은 사용자가 모니터를 조작하는 시간에 따라 소모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정상모드, 스탠바이(대기)모드, 서스펜션 모드, DPM 오프 모드로 구분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정상모드는 사용자가 모니터를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모드로서, 모니터가 정상 모드 시에는 전압 다운회로(16)는 동작을 실행하지 않으며, 모니터의 마이컴과 히터에 정상적인 전압을 공급한다. 도 1에서는 정상 모드시 전압 다운회로(16)의 출력신호(DPMF)가 하이 레벨을 유지한다. 이때, 제1 2차 정류기(14a)의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치(15a)는 오프상태가 되어, 제1 2차 정류기(14a)의 출력신호(DPMF)는 로우 레벨이 되고, 스위치(15b)도 오프상태가 되어 2차 정류기(14c)의 출력신호(DPMS)도 로우레벨이 된다. 따라서, SMPS 변환부(13)의 출력되는 전압은 제2 2차 정류기(14b)에서 출력되는 5V가 모니터의 마이컴으로 공급되며, 제4 2차 정류기(14d)에서 출력되는 6.3V는 모니터의 히터에 각각 공급된다.
또한, 몇 초안에 화면복귀가 되어야하는 스탠바이 및 서스펜드(Standby, Suspend) 모드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출력전압을 약 80% 정도 줄여서 출력한다. 스탠바이 또는 서스펜드 모드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전압 다운회로(16)에 인가되는 신호(/DPMF)가 로우 레벨이 되어 전압 다운회로(16)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전압 다운회로(16)는 펄스폭 변조부(11)에 전압 제어신호를 인가하기 때문에 펄스폭 변조부(11)는 변조비(Duty)를 최소화하여 결국, SMPS 변환부(13)의 2차측 출력전압을 약 80%정도 다운시켜 출력한다. 이러한 모드에서는 제1 2차 정류기(14a)의 출력신호(DPMF)도 하이 레벨이 되고, 제3 2차 정류기(14c)의 출력신호(DPMS)도 하이 레벨이 되어 두 스위치(15a,15b)는 온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스위치(15a)의 출력(5V)이 모니터의 마이컴에 공급되며, 스위치(15b)의 출력(6.3V)은 모니터의 히터에 각각 공급된다.
DPM 오프 모드는 사용자가 상당히 오랜 시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 마이컴에만 전원을 공급하여 소비전력을 최소화시키는 모드이다. 즉, 스탠바이 모드 및 서스펜드 모드에서 스위치(15b)의 출력신호(DPMS)만 로우 레벨 상태가 되기 때문에 모니터의 히터로 공급되는 전압이 차단되고, 모니터의 마이컴에만 5V 전압이 공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모니터의 절전 제어 장치는 모니터가 경부하(DPMS/DPM 오프)일 때 각각의 SMPS 효율이 극도로 나빠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모니터의 절전 제어 장치는 부품수가 많고, 회로가 복잡해서 작업성이 떨어지며, 회로를 단순화하고 크기가 줄어드는 가전제품의 개발 추세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소비 전력을 절감하는 측면에서도 DPM 오프 모드시 소비전력 3W이하로 구현하기가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니터가 절전모드 상태일 경우 전력 소모를 줄이고 전력사용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PM 오프 모드시 소비전력 3W이하로 구현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니터의 전력을 정상모드와 절전모드의 상태로만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장치는, 컴퓨터의 USB(Universal Serial Bus)와 연결된 USB 포트와;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현재 동작모드가 정상모드인지 절전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의 ON/OFF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용 입력전원을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 변환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정상모드시 상기 상용 입력전원이 상기 전압 변환부에 인가될 수 있도록 정상모드시 ON되고 절전모드시 OFF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절전모드시 상기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상기 영상 표시기기에 구비된 히터에 인가될 수 있도록 정상모드시 OFF되고 절전모드시 ON되는 제2 스위치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방법은, 영상표시기기의 마이컴과 절전모드시 히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컴퓨터를 USB(Universal Serial Bus)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표시기기에 구비된 마이컴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현재 동작모드가 정상모드인지 절전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모드가 정상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영상 표시기기의 상용 입력 전원을 상기 영상 표시기기에 제공하도록 제1 스위치를 ON시키고, 제2 스위치를 OFF 시키는 단계와;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현재 동작모드가 절전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컴퓨터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영상 표시기기에 제공하도록 제1 스위치를 OFF시키고, 제2 스위치를 ON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모니터가 절전모드 상태일 경우 전력 소모를 줄이고 전력사용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절전모드시 소비전력 3W이하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에서의 전원 절전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에서의 전원 절전 제어 장치는 컴퓨터의 USB(Universal Serial Bus)와 연결된 USB 포트(150)와;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현재 동작모드가 정상모드인지 절전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의 ON/OFF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30)과;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용 입력전원을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SMPS부(120)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정상모드시 상기 상용 입력전원이 상기 전압 변환부에 인가될 수 있도록 정상모드시 ON되고 절전모드시 OFF되는 제1 스위치(110)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절전모드시 상기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상기 영상 표시기기에 구비된 히터에 인가될 수 있도록 정상모드시 OFF되고 절전모드시 ON되는 제2 스위치(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의 모드가 정상 모드와 절전모드로만 구분된다. 즉, 몇 초안에 화면복귀가 되어야하는 스탠바이 또는 서스펜드 모드, 그리고 전력을 최소화하는 오프모드가 하나의 절전 모드로 설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마이컴(130)은 현재 영상표시기기의 상태가 정상모드와 절전모드 중 어느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정상모드인 경우에는 제1 스위치(110)를 온 시키고, 제2 스위치(140)는 오프 시키며, 절전모드인 경우에는 제1 스위치(110)를 오프 시키고, 제2 스위치(140)를 온 시킨다.
여기서, USB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로서,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컴팩, DEC, IBM, 캐나다 노텔, NEC 등 7개사가 공동으로 제안하고 있는 새로운 주변 기기 접속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규격이 다른 글쇠판, 마우스, 프린터, 모뎀, 스피커 등을 비롯한 주변 기기 등을 개인용 컴퓨터(PC)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공동화를 목적으로 한다. PC 본체에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접속기를 하나만 갖추고 있으면, 주변 기기 등을 성형 접속(star connection) 또는 방사형 형태로 최고 127대까지 연결할 수 있다. USB를 사용하면 주변 기기 등을 컴퓨터와 연결할 때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 없이 모든 주변 기기를 동일한 접속기로 접속하기 때문에 포트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간편하고, 휴대형 컴퓨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에서의 전원 절전제어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를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모니터와 컴퓨터는 각각 전원과 SMPS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먼저 컴퓨터(200)의 USB(Universal Serial Bus)(220)를 모니터(100)의 USB 포트(150)에 연결시켜야 한다. 따라서, 모니터의 마이컴은 현재 동작모드가 정상모드인지 또는 절전모드인지에 관계없이 USB 포트를 통하여 컴퓨터의 전원이 공급된다.
이어, 모니터(100)는 마이컴(130)이 모니터(100)의 현재 동작 모드가 정상모드인지 절전모드인지를 판단한다(S20). 즉, 마이컴(130)은 사용자가 컴퓨터의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모니터(100)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마이컴(130)은 현재 모드가 정상모드인 경우에는 모니터(100)의 상용전원을 모니터(100)에 제공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치(110)를 온시키고, 제2 스위치(140)는 오프시킨다. 그러나, 현재 모드가 절전모드인 경우에는 모니터(10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치(110)를 오프시키고, 컴퓨터(2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모니터(100)에 제공하기 위하여 제2 스위치(140)를 온시킨다.
따라서, 정상모드 동작 시에는 모니터(100)의 상용전원장치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공급되어 SMPS부(120)가 동작하고, 절전모드시에는 모니터의 상용전원이 차단되고 컴퓨터(200)의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실제 전력소모 및 효율이 모니터의 경부하(DPMS, DPM 오프) 모드에서 극대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모니터가 절전모드 상태일 경우 전원을 컴퓨터의 USB를 통하여 제공받기 때문에 절전모드시 모니터의 상용 전원의 소비전력이 0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절전모드시 소비전력을 줄이고 소비전력 3W이하로 구현할 수 있어서 모니터의 절전모드시 전력사용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사용함으로써 절전모드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서브전원을 따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셋째, 기존의 전원 절전회로에서 전압 다운회로를 구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회로 구성이 간단해지며,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넷째, 모니터의 전력을 정상모드와 절전모드의 상태로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의 전력 절전 제어 방법이 보다 간편해진다.
도 1은 기존의 모니터에서의 전원 절전 제어 회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에서의 전원 절전 제어 회로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모니터
110 : 제1 스위치140 : 제2 스위치
120, 210 : SMPS
130 : 마이컴
150 : USB 포트
200 : 컴퓨터
220 : USB

Claims (4)

  1. 컴퓨터의 USB(Universal Serial Bus)와 연결된 USB 포트와,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현재 동작모드가 정상모드인지 절전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의 ON/OFF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용 입력전원을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 변환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정상모드시 상기 상용 입력전원이 상기 전압 변환부에 인가될 수 있도록 정상모드시 ON되고 절전모드시 OFF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절전모드시 상기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상기 영상 표시기기에 구비된 히터에 인가될 수 있도록 정상모드시 OFF되고 절전모드시 ON되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장치.
  2. 삭제
  3. 영상표시기기의 마이컴과 절전모드시 히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컴퓨터를 USB(Universal Serial Bus)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구비된 마이컴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현재 동작모드가 정상모드인지 절전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모드가 정상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영상 표시기기의 상용 입력 전원을 상기 영상 표시기기에 제공하도록 제1 스위치를 ON시키고, 제2 스위치를 OFF 시키는 단계와,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현재 동작모드가 절전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컴퓨터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영상 표시기기에 제공하도록 제1 스위치를 OFF시키고, 제2 스위치를 ON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방법.
  4. 삭제
KR10-2002-0040266A 2002-07-11 2002-07-11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80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266A KR100480017B1 (ko) 2002-07-11 2002-07-11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266A KR100480017B1 (ko) 2002-07-11 2002-07-11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255A KR20040006255A (ko) 2004-01-24
KR100480017B1 true KR100480017B1 (ko) 2005-03-30

Family

ID=3731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266A Expired - Fee Related KR100480017B1 (ko) 2002-07-11 2002-07-11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0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0838B2 (en) 2016-05-27 2019-07-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power delivery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397B1 (ko) * 2006-11-16 201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216253B2 (en) 2013-03-28 2019-02-26 Via Technologies, Inc. Universal serial bus hub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613546B (zh) * 2013-03-28 2018-02-01 威盛電子股份有限公司 通用序列匯流排集線器及其控制方法
KR102076324B1 (ko) * 2019-09-19 2020-02-11 주식회사 기린 입력 이미지의 변조를 통한 에너지 절감형 모니터 장치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9196A (en) * 1996-07-02 1998-08-25 Gateway 2000, Inc.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power management using a self-powered universal serial bus (USB) device
KR19980077638A (ko) * 1997-04-22 1998-11-16 윤종용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9990069472A (ko) * 1998-02-09 1999-09-06 윤종용 유에스비 보드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약회로 및 절약방법
JP2001337656A (ja) * 2000-05-29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9196A (en) * 1996-07-02 1998-08-25 Gateway 2000, Inc.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power management using a self-powered universal serial bus (USB) device
KR19980077638A (ko) * 1997-04-22 1998-11-16 윤종용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9990069472A (ko) * 1998-02-09 1999-09-06 윤종용 유에스비 보드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약회로 및 절약방법
JP2001337656A (ja) * 2000-05-29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0838B2 (en) 2016-05-27 2019-07-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power delivery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255A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5393B1 (ko) 전원공급장치
JP5208363B2 (ja) グラフィックスコントローラ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310100B1 (ko)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전원공급장치 그리고 이에 적합한 dc입력선택회로
US5742514A (en) Integrated remote asynchronous power switch
KR970000258B1 (ko) 컴퓨터의 전원공급 제어장치
US6751561B2 (en) Power sa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rtable appliance
JP2005304296A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759345B1 (ko) 딥 슬립 모드를 지원하는 절전형 모니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8211970A (ja) コンピュータ用パワー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609895B1 (ko)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KR10048001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448274B1 (ko) 대기전력 차단 및 절전을 위한 전원공급 제어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절전 시스템
CN101661728B (zh) 一种显示器、控制显示器电源的方法和计算机
KR102051949B1 (ko) Sync 신호 제어를 활용한 에너지 절감형 모니터장치의 제어방법
JP2003319572A (ja) 屋内機器電力制御システム
US6816157B2 (en) Personal computer displaying display data inputted from another personal computer
KR20000016983A (ko) 확장된 동작 전압 범위를 갖는 프로세서
KR100710259B1 (ko)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그 영상기기
KR200336107Y1 (ko) 컴퓨터를 끈 상태에서도 전원을 공급하는 다용도 전원공급장치
KR100287846B1 (ko) 모니터의 디피앰 모드 소비전력 절감장치
KR100263374B1 (ko) Usb 모니터에 있어서 절전회로
KR20020040076A (ko) 전기 기기의 전원공급장치
KR0180337B1 (ko) 가전기기 등의 절전형 스위칭 모드 전원 회로
KR100732165B1 (ko)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40107024A (ko)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3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32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