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7545B1 - 전동가압식 건의 전극가압 구동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가압식 건의 전극가압 구동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545B1
KR100217545B1 KR1019960030943A KR19960030943A KR100217545B1 KR 100217545 B1 KR100217545 B1 KR 100217545B1 KR 1019960030943 A KR1019960030943 A KR 1019960030943A KR 19960030943 A KR19960030943 A KR 19960030943A KR 100217545 B1 KR100217545 B1 KR 100217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n
reducer
electrodes
pressur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964A (ko
Inventor
요시오 사토
케이지 카메타
Original Assignee
카메야 에이지
주식회사전원사제작소
윤기천
주식회사금원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메야 에이지, 주식회사전원사제작소, 윤기천, 주식회사금원사 filed Critical 카메야 에이지
Publication of KR970009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the actuating devic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4Spot welding guns, e.g. mounted on rob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X건(gun)의 변화에 대하여, 두개의 건암의 주축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가압구동부를 유니트 부품으로 모듈화하여 조합해서 대응하는 전동가압식 건의 전극가압 구동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단이 서로 마주 향하는 전극(7) 및 전극(8)을 갖는 두개의 건암(4) 및 건암(5)을 회전움직임이 자유롭게 연결한 X타입의 전동가압식 용접건(1)에 있어서, 상기 주축부(3)에 감속기(9)를 개재하여 전동모터(6)의 가압토크를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전극 사이에 전달하며, 용접에 필요한 전극가압력을 가하고, 상기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을 공통베이스(15)에 설치하여, 이 공통베이스를 상기 감속기의 본체케이스(10) 또는 출력축(11)의 어느한쪽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가압구동부의 유니트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동가압식 건의 전극가압 구동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두개의 건암(gun arm)주축부에 감속기를 조합하고, 이것을 서보모터로 회전동작하여 두 전극사이에 피용접물을 용접하기에 필요한 가압력을 주고, 용접전류를 통전해서 압접하는 X타입의 전동가압식 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구동부를 유니트화하고, 또한 건을 상향, 하향, 수평방향 등 임의의 방향성을 갖고 지지하는 경우에 건 본체를 지지하는 건 고정브라켓트의 취부위치를 건의 방향자세와 무관하게 자유롭게 위치결정 가능하게 한 전동가압식 건의 전극가압 구동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X타입 저항 스포트(spot) 용접건의 전극가압구동방식으로, 특개평3-207580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장치는 끝단부에 가압전극을 갖는 두 개의 건암이 전동모터의 출력축과 본체케이스에 연결되어 피용접물의 가압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피용접물로부터의 개방시에는 클러치가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의 일부를 이용하여 가압전극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두 개의 건암을 개방시킨다.
그러나 종래 X타입 용접건은 다음과 같은 성능상의 문제점이 있다.
1. 볼나사와 볼너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해서 건암에 전달하고, 건암은 그 힘에 의해서 요동하여 쌍방의 전극을 가압·개방시킨다. 이와같이 가압력의 전달수단이 단순하지 않기 때문에 구동효율이 낮다.
2. 볼나사의 용접불꽃(스패터)을 막아주는 커버가 완전하지 못하여 스패터(spatter)가 내부에 진입한다. 또한 그리스(grease)의 누설 대책이 어렵고, 또 볼나사 자체도 고속회전하는 것이므로 그리스가 비산해 버린다.
3. 모터 본체가 후방으로 돌출하여 로보트 본체와 간섭하므로 이것을 피하기 위해 건 고정브라켓트의 로보트 취부면이 후방으로 연장된다. 이때문에 중심위치가 로보트 관절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로보트의 허용 토크이하로 내려가지 않게 된다.
4. 전극을 크게 개방시키는 것은 주축부 후방부분의 상, 하 암이 충돌하게 되므로 개방이 불가능하다.
5. 암의 구동기구는 다른 기능부품으로부터 독립된 하나의 유니트로 정리되어 있지 않으므로 건의 각 크기 변화에 맞추어 많은 종류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하암의 구동기구내에 볼나사가 아닌 감속기를 채용하였다. 즉, 모터의 가압토크가 주축부에 조합되어진 감속기를 통하여 두개의 건암의 각 선단의 전극사이에 전달되도록 하였다. 또 두개의 건암은 각각 감속기의 출력축 또는 본체 케이스의 어느쪽에 부착할 수 있다.
한편, 가압개방동작은 감속기의 지지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3종류가 있다.
건 고정브라켓트에 지지되는 구조인 경우, 편측(片側)의 건암이 워크에 맞닿는 반력에 의해 또다른 하나의 건암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한다.
1) 감속기의 출력축측 또는 본체 케이스측의 어느쪽에 축받이를 끼워서 건 고정브라켓트에 지지되는 경우, 편측의 건암이 다른 방향으로 선행하여 워크에 접촉하고, 그 반력에 의해서 또다른 하나의 건암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한다. 개방시는 선행한 건암이 고정 스토퍼(stopper)에 맞닿으면 동일한 모양으로 그 반력에 의해 나머지 건암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2) 감속기의 출력축측 또는 본체 케이스측의 어느쪽이 건 고정 브라켓트에 고정되는 경우, 고정되어 있지않은 측에 취부된 건암만이 고정된 측에 측에 취부된 건암에 대하여 감속기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가압개방동작을 행한다.
3) 전동모터는 그 구동력을 상기의 감속기 입력축에 전달하는 수단과 서로 공통베이스로 유니트화 되어있다. 그래서, 전극의 가압개방동작을 행하는 감속기의 출력축 또는 본체 케이스의 어느쪽에서 건 본체를 요동시켜서 이퀄라이즈(equalize) 동작을 행하는 별도의 감속기를 통하여 건 고정 브라켓트에 지지되는 경우, 양방향의 감속기 출력축 또는 본체 케이스의 어느쪽에 각각의 건암이 취부되고, 각각의 건암은 개개로 감속기의 구동력으로 독립된 동작을 한다. 감속기의 본체케이스측의 어느곳이 별도의 감속기를 통해서 로보트로의 건 고정 브라켓트에 지지되는 경우, 별도의 감속기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측에 취부된 암과 고정된 측에 취부된 암이 각각의 구동기구에 의해 독립된 동작을 행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X타입의 로보트 용접건에 응용한 경우의 건 전체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가압구동장치의 일 구성예를 표시하는 주축부의 상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건 고정브라켓트와 감속기 사이를 직접 건 고정브라켓트에 고정한 경우의 상세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건 고정브라켓트에 대해 가압구동용 감속기와 별도의 이퀄라이즈 동작용의 감속기를 조합시킨 2축동작 경우의 상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보트 용접건 2 : 건 고정브라켓트
3 : 주축부 4 : 건암(가동암)
5 : 건암(고정암) 6 : 전동모터(가압 액츄에이터)
7,8 : 전극 9 : 감속기
10 : 본체케이스 11 : 출력축
12,13 : 벨트용 치차 14 : 치부착 벨트
15,22 : 공통 베이스 16 : 베어링축받이
17 : 입력축 18,21 : 출력축
20 : 감속기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선단이 서로 마주 향하는 전극을 갖는 두개의 건암을 회전움직임이 자유롭게 연결한 주축부에 감속기를 끼워서 전동모터의 가압토크를 전극사이에 전달하고자 한 건 가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와 그 구동력을 상기의 감속기의 입력축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공통베이스에 설치하고, 또한 이 공통베이스를 상기의 감속기 본체 케이스측 또는 출력축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해서 가압구동부의 유니트화를 가능하게 한 것으로, X타입의 복수 건의 변화에 대해서 동일 유니트부품으로 공통을 꾀하고, 초기비용과 가동비용을 비약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감속기의 본체측을 편측(片側)만 건 고정브라켓트에 직접 연결한 것에 의해 상기의 브라켓트 다른 편측에서 건암 등의 부품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립공정수가 단축된다. 더우기 상기의 브라켓트 취부위치를 건의 방향과 무관하게 셋팅가능하게 한 것으로, 건의 방향을 약 360도 방향으로 위치결정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감속기의 본체측에 베어링축받이를 끼워서 건 고정브라켓트에 지지하고, 상기의 베어링축받이를 중개축으로 건 전체의 이퀄라이즈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의 브라켓트 취부위치를 건의 방향과 무관하게 셋팅가능하게 한 것으로 건의 방향을 베어링축받이를 회전축으로 약 360도 방향으로 위치결정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건의 취부각도에 관계없이 건 고정브라켓트의 취부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장치의 실시예를 표시한 건 전체의 평면도이다. 제2도는 측면도이고,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를 하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본 발명의 가압구동장치의 이퀄라이즈기능을 부여한 하나의 구성예를 표시한 주축부의 상세 단면도이다.
제4도는 이퀄라이즈기능이 없는 구성예를 표시한 주축부의 상세 단면도이고, 제5도는 가동암, 고정암 별도 구동타입의 구성예의 주축부 상세 단면도이다. 제1도~제3도에서 로보트측에 취부가능한 건 고정브라켓트(2)에 주축부(3)을 중심으로 건암(4) 및 건암(5)이 개폐동작하도록 취부되어 있다. 한쪽의 고정암(5)은 주축부에 조립된 감속기(9)의 본체케이스(10)에 볼트(B1)로 고착되어 있다. 다른쪽의 가동암(4)은 감속기(9)의 출력축(11)에 볼트(B2)로 고착시킨다. 각 건암의 선단에 설치된 전극(7), 전극(8)에 의해 지지된 피용접물에 대해 용접에 필요한 가압력을 가하는 것이다.
두 건암의 전극에 가압구동을 가하는 가압용 액츄에이터로서 전동모터(6)가 사용된다. 이 전동모터(6)는 공통베이스(15)에 볼트(B3)를 끼워서 취부되어 있고, 이 공통베이스(15)는 감속기(9)의 본체케이스(10)에 대하여 고정암(5)과 함께 볼트(B1)에 의해 일괄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이 공통베이스(15)의 중앙에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 감속기(9)의 입력축(17)에 취부된 밸트용 치차(12)와 전동모터(6)의 출력축(18)에 취부된 밸트용 치차(13)가 수납되고, 이러한 밸트용 치차와의 사이에는 2점쇄선으로 표시한 치부착 밸트(14)가 붙어 있다.
이 전달수단은 임의의 전동기구를 고려할 수 있다. 건 고정브라켓트(2)는 로보트암(R)의 선단에 지지된 트랜스(T)의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건 고정브라켓트(2)에는 베어링축받이(16)를 끼워서 상기의 감속기(9)의 본체케이스(10)가 회전움직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건 본체의 이퀄라이즈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건의 취부각도를 베어링축받이(16)를 회전축으로 해서 360도 방향으로 자유롭게 셋팅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셋팅의 방법으로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stopper)수단을 회전방향에 위치조정가능하게 설치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도는 건 고정브라켓트(2)와 감속기(9)의 사이에 베어링축받이(16)가 없고, 직접 건 고정브라켓트(2)에 고정한 것이다. 이 경우는 로보트측의 제어에 의해 7번째 축의 동작을 이용해서 고정암(5)의 전극(8)을 스윙동작하는 것에 의해 올려서 전극(8)을 워크에 접촉시켜 상(上) 암(4)의 전극(7)으로 가압하고 통전하여 용접한다.
제5도는 건 고정브라켓트(2)와 감속기(9)의 사이에 공통베이스(22)를 설치한 감속기(20)을 중개시킨 것이다. 이 경우는 2축동작을 이용한 것으로, 가동암(4) 및 고정암(5)을 별도로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건 전체를 요동시켜 이퀄라이즈동작이 가능하다. 즉, 감속기(20)의 출력축(21)에 건 전체를 지지시키고, 감속기(9)로는 가동암(4)의 가압동작을 행하고, 별도의 감속기(20)에 의해 고정암 측, 결국 건 전체를 요동시켜서 가압용접시의 반력에 의한 이퀄라이즈동작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장치에 의하면,
1. 주축부가 감속기이고 감속기 내부는 완전밀폐구조이므로 종래 건과 같이 주축부의 내부에 용접불꽃(스패터)이 침입하거나 윤활그리스가 유지되지 않고 양쪽 암의 전극사이에 편심이 발생하는 현상등이 거의 없게 된다.
2. 또한 볼나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구동기구부의 수명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설계수명이 실제 현물의 수명이 된다.
3. 구조상 감속기의 후방에 아무것도 돌출되지 않으므로 로보트 취부면과 건 중심간의 거리가 짧아지고 건 중량이 크게 되어도 로보트의 허용 토크내에 있도록 하는 것이 쉽다.
4. 전극사이를 크게 개방시켜도 주축부 후방부분의 상, 하 암이 부딪치지 않는다.
5. 건의 크기 변화가 많아도 암의 구동기구는 하나의 공통유니트로 정리되어 있으므로 조립작업, 보전작업의 시간단축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6)

  1. 각각 전극(7)(8)을 갖는 두 개의 건암(4)(5)이 주축부(3)에서 회전자재로 연결되고, 상기 건암(4)(5)은 주축부(3)를 중심으로 개폐동작하여 전극사이에 용접에 필요한 가압력 내지 개방력을 가할 수 있고, 그 개폐동작을 행하기 위한 전극가압 구동원으로 전동모터(6)가 사용되고 그 전동모터(6)가 상기 건암(4)(5)의 주축부(3)에 배치한 감속기(9)를 통해서 용접에 필요한 가압토크를 상기 전극사이에 전달하도록 한 전동가압식 건의 전극가압 구동방법.
  2. 각각 전극(7)(8)을 갖는 두 개의 건암(4)(5)이 주축부(3)에서 회전자재로 연결되고 상기 건암(4)(5)의 전극사이에는 용접에 필요한 가압내지 개방동작이 전동모터(6)에 의해서 부여되는 전동가압식 건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6)는 상기 건암 주축부(3)에 배치한 감속기(9)를 통하여 가압토크를 상기 전극사이에 전달하는 건 가압구동장치에서 상기 두개의 건암(7)(8)중 어느 한쪽의 건암(4)이 상기 주축부(3)에 배치한 감속기(9)의 출력축(11)에, 또다른 한 개의 건암(5)이 상기 감속기(9)의 본체케이스(10)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가압식 건의 전극가압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9)의 출력축(11) 또는 상기 감속기(9)의 본체케이스(10)가 건 고정브라켓트(2)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가압식 건의 전극가압 구동장치.
  4. 제2항에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9)의 출력축(11) 또는 상기 감속기(9)의 본체케이스(10)가 베어링축받이(16)를 끼워서 건 고정브라켓트(2)에 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가압식 건의 전극가압 구동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9)의 출력축(11) 또는 상기 감속기(9)의 본체케이스(10)가 별도의 감속기(20)를 개재하여 건 고정브라켓트(2)에 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가압식 건의 전극가압 구동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6)와 그 모터구동력을 상기 감속기(9) 입력축(17)에 전달하는 수단과 상기 감속기(9)가 공통베이스(15)에 유니트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가압식 건의 전극가압 구동장치.
KR1019960030943A 1995-08-25 1996-07-29 전동가압식 건의 전극가압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217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40858 1995-08-25
JP7240858A JP2860890B2 (ja) 1995-08-25 1995-08-25 電動加圧式ガンの加圧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964A KR970009964A (ko) 1997-03-27
KR100217545B1 true KR100217545B1 (ko) 1999-09-01

Family

ID=1706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943A KR100217545B1 (ko) 1995-08-25 1996-07-29 전동가압식 건의 전극가압 구동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50953A (ko)
EP (1) EP0761367B1 (ko)
JP (1) JP2860890B2 (ko)
KR (1) KR100217545B1 (ko)
DE (1) DE6960726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08805T2 (de) * 1996-09-13 2002-04-11 Dengensha Mfg. Co. Ltd., Kawasaki Motorisch betätigte Widerstands-Punktschweissmaschine
DE69912944T2 (de) * 1999-07-02 2004-04-22 Obara Corp., Ayase Elektrische Schweisseinrichtung vom X-Typ
ATE328697T1 (de) 2002-02-05 2006-06-15 Swac Electronic Gmbh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 schweisszange
CA2424482C (en) * 2002-04-08 2009-12-22 Velibor Kilibarda Weld gun assembly
US20050218118A1 (en) * 2002-04-08 2005-10-06 Velibor Kilibarda Weld gun assembly
US6911616B2 (en) 2002-04-08 2005-06-28 Progressive Tool & Industries Co. Weld gun assembly
DE10249201B4 (de) * 2002-10-22 2004-11-04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ixierung der Schweißposition
JP3834817B2 (ja) * 2003-05-30 2006-10-18 株式会社東京精密 測定ヘッド
AT500931B8 (de) * 2004-10-19 2007-02-15 Fronius Int Gmbh Punktschweisszange
DE102004059068A1 (de) * 2004-12-07 2006-07-13 Bosch Rexroth Aktiengesellschaft Zangenausgleich einer Schweißzange
AT502424B1 (de) * 2005-08-23 2007-06-15 Fronius Int Gmbh Punktschweisszange
DE202006014609U1 (de) * 2006-09-22 2006-11-23 Nimak Gmbh Elektrodenarm-Anordnung sowie damit ausgestattete Schweißzange
FR2907698B1 (fr) * 2006-10-26 2009-07-03 Aro Soc Par Actions Simplifiee Gamme de pinces a enserrer des toles a batis semblables,et de preference identiques,et pince d'une telle gamme.
DE102011002620A1 (de) * 2011-01-13 2012-07-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chweißverfahren
DE102011054376B4 (de) * 2011-10-11 2023-03-23 Wittenstein Se Schweißzange und Verwendung einer Schweißzange
DE102017122049A1 (de) * 2017-09-22 2019-03-28 Wittenstein Se Schweißzange
CN108637444A (zh) * 2018-06-22 2018-10-12 义乌中科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助力机械手c型伺服焊钳总成
CN111014925B (zh) * 2020-01-15 2021-10-12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x型焊钳的绝缘可旋转多连接结构
CN111702505B (zh) * 2020-07-08 2025-02-18 江苏本格自动化科技有限公司 全自动电阻焊接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8200705L (sv) * 1982-02-08 1983-08-09 Asea Ab Punktsvetstang
DE3344631A1 (de) * 1982-12-24 1984-07-05 Honda Giken Kogyo K.K., Tokio/Tokyo Schweisspistoleneinrichtung
CA1209648A (en) * 1982-12-27 1986-08-12 Morikuni Numata Gun arm apparatus for resistance welding gun
DE3524342A1 (de) * 1985-07-08 1987-01-15 Daimler Benz Ag Punktschweisszange fuer maschinellen einsatz
DE8910906U1 (de) * 1989-09-12 1991-01-31 Hans Flohe GmbH & Co, 4620 Castrop-Rauxel Schweißzange für Industrieroboter
FR2652024B1 (fr) * 1989-09-20 1992-04-24 Aro Sa Systeme de detalonnage pour pince a souder par resistance.
JP2506402Y2 (ja) * 1991-10-11 1996-08-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スポット溶接ロボット用制御装置
US5252801A (en) * 1992-06-12 1993-10-12 Progressive Tool & Industries Co. Fixed point welding gun
JP3114440B2 (ja) * 1993-07-22 2000-12-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ポット溶接装置
JP2860873B2 (ja) * 1994-02-28 1999-02-24 株式会社電元社製作所 ガン加圧駆動方法
JP2860879B2 (ja) * 1994-07-07 1999-02-24 株式会社電元社製作所 ガン加圧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57453A (ja) 1997-03-04
EP0761367A1 (en) 1997-03-12
DE69607266D1 (de) 2000-04-27
KR970009964A (ko) 1997-03-27
DE69607266T2 (de) 2000-07-13
US5750953A (en) 1998-05-12
EP0761367B1 (en) 2000-03-22
JP2860890B2 (ja) 1999-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7545B1 (ko) 전동가압식 건의 전극가압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514175B1 (ko) 전동가압식저항스포트용접기
US8237078B2 (en) Multiple welding gun system
US4780047A (en) Advanced servo manipulator
WO1990001402A1 (en) Direct-acting actuator of industrial robot
KR830005976A (ko) 산업용 로봇
US6875945B2 (en) Welding tongs
JP2000343477A (ja) ロボットの関節部構造
JP5399728B2 (ja) 抵抗溶接機用直動アクチュエータ
JPH0825057A (ja) ガン加圧駆動装置
JP3515396B2 (ja) 電動シリンダ及びこれを用いた溶接ガンユニット並びに溶接ロボット
JP2860873B2 (ja) ガン加圧駆動方法
JP3290596B2 (ja) 電動加圧式抵抗スポット溶接用xガン
JP3233619B2 (ja) 産業用ロボット
JP2004283964A (ja) 産業用ロボット
JP2721951B2 (ja) 抵抗溶接機の電極加圧ユニット
CN112474686A (zh) 一种可调节清洗夹具
JP3290609B2 (ja) 抵抗スポット溶接機
JP3963336B2 (ja) 電動x型ガン用駆動装置
KR100239587B1 (ko) 산업용 로보트의 손목부구조
JP3109652B2 (ja) イコライズ装置の取り付け方法とその装置
JP3259900B2 (ja) 電動加圧式抵抗スポット溶接機
JP4185420B2 (ja) 電動加圧式電極駆動装置
JPH0780658A (ja) チップドレッサー
JPH07214332A (ja) スポット溶接ガ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7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