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5576B1 - 유로 변환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축열형 교차연소 버너시스템 및 축열형 열교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로 변환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축열형 교차연소 버너시스템 및 축열형 열교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576B1
KR100215576B1 KR1019950700259A KR19950700259A KR100215576B1 KR 100215576 B1 KR100215576 B1 KR 100215576B1 KR 1019950700259 A KR1019950700259 A KR 1019950700259A KR 19950700259 A KR19950700259 A KR 19950700259A KR 100215576 B1 KR100215576 B1 KR 100215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sion
flow path
chambers
chamber
f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2691A (ko
Inventor
료이찌 다나까
Original Assignee
료이찌 다나까
닛뽄 훠네스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료이찌 다나까, 닛뽄 훠네스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료이찌 다나까
Publication of KR950702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2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57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7/00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in which a stationary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y is contacted successively by each heat-exchange medium, e.g. using granular particles
    • F28D17/04Distributing arrangements for the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16K11/05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e.g. butterfly valves
    • F16K11/052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e.g. butterfly valves the closure members being pivoted around an essentially centr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flat sealing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23L15/02Arrangements of re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9/00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in whic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y is moved successively into contact with each heat-exchange med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5/00Heat exchange
    • Y10S165/909Re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Air Supply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 계통의 유로 예를들면 온도차가 있는 2개의 가스를 흐르는 유로간에 있어서 가스가 새지 않고 단순한 구조로 고속으로 유로변환조작을 가능하게 한 유로변환장치에 관하여 유체의 흐르는 방향이 고정되어 있는 2계통의 유로에 연걸되는 2개의 고정실(2a,2b)과 유체의 흐르는 방향이 번갈아 변환되는 2 계통의 유로에 연결되는 2개의 변환실(4c,4d)와의 계 4실로 칸막이벽(5,6,7)으로 구획되어 또 각 고정실(2a,2b)에 대하여 각각 2개의 변환실(4c,4d)가 인접하도록 배치된 캐이싱(18)과 상기 칸막이 벽(7)에 천공되어서 각 고정실(2a,2b)을 2개의 변환실(4c,4d)에 각각 연통시키는 연통공(8ae,8bc,8ad,8bd)과 상기 연통공(8ac,8bc,8ad,8bd)를 개폐시켜 한쪽의 고정실(2a)을 2개의 변환실의 한쪽 (4d)와 연통시킴과 동시에 다른쪽의 고정실(2b)을 다른쪽의 변환실(4c)에 연통시키는 변환수단(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환수단(3)에 의하여 2개의 고정실(2a,2b)을 번갈아 서로다른 변환실(4c,4d)에 각각 연통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이 유로변환장치를 연소용공기의 공급 및 연소가스의 배출의 변환에 이용하여 축열형 교차연소버너 시스템을 구성하거나 혹은 이 유로변환장치를 축열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설치하여 상류측의 유로변환장치를 변경한 유체의 흐름을 축열체의 통과후에 재차 하류측의 유로변환장치에서 원위치로 되돌리고, 그 유로변환을 축열체에서 행하게하는 축열형 열교환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유로변환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축열형 교차연소버너시스템 및 축열형 열교환시스템
[기술분야]
본 발명은 2 계통의 가스유로를 변환하는데 사용되고 적절한 유로변환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축열형 열교환시스템과 축열형 교차연소버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면 예를들어 고온가스를 흘리는 유로와 저온가스를 흘리는 유로와 같은 2 계통의 유로를 변환하기 위한 유로변환장치 및 온도차가 있는 두개의 유체를 교차로 축열체에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게하는 폐열회수 시스템이나 축열식열교환기 둥의 축열형 열교환시스템과 그것을 이용한 축열형 교차연소버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근년 축열체를 이용하여 배출가스에서 상당량의 열량을 회수하여 연소용공기를 예열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들면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라디안트튜브(101)의 양단에 축열체(102)를 가지는 버너(103)를 설치하고 이들을 교차로 연소시켜서 그 연소가스를 연소시키고 있지 않는 버너측의 축열체(102)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하고 축열체(102)에 축열된 연소가스의 열을 사용하여 연소용 공기를 프레히트하는 라디안트튜브 버너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같은 축열형 교차버너 시스템에 있어서는 축열체에 대하여 고온의 배출가스가 흐르는 유로와 저온의 연소용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변환하는 유로변환장치가 필요해진다. 종래 연소시스템에 였어서 이와같은 유로변환장치로서는 전자밸브의 채용이 일반적이다. 예를들면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4개소에 전자밸브(104,105,106,107)를 마련하고 이들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에 따라 고온가스와 저온가스의 유로를 변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혀서 도면중의 부호(108,109)는 연료공급계(110)의 선택적 개폐를 행하는 전자밸브이다.
그러나 전자밸브에 의하여 구성되는 유로변환장치는 고가의 전자밸브를 다수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비코스트를 높히는 것이 된다. 특히 연소시스템으로의 열교환에 적용하는 경우 보다 고가의 고온용 전자밸브를 다수 필요로 하므로 설비코스트가 높아진다. 더구나 공기배관용 전자밸브는 비교적 대형이므로 이것을 4개나 필요로 하므로 상당한 장소를 차지하고 아울러 배관이 이중으로 되고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들면 제강소등에서 가열노가 균열노등에 적용하는 경우 수천대 단위의 전자밸브를 필요로하는 것이 된다. 더구나 공기와 배출가스와의 변환을 1분 이내의 단시간에 빈번히 행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전자밸브로는 불안이 있다.
또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사방변환밸브(207)을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수 있다. 이 사방변환밸브(207)는 4개의 포트(201),(202),(203),(204)를 가지는 밸브케이싱(205) 내에서 회동하는 변환소자(206)에 의하여 4개의포트중의 가까운것끼리 2개씩을 연통시켜 유로를 변환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사방밸브는 상당한 온도차가 있는 가스를 교차로 도입하는 것에서 열팽창에 의한 동작불량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의하여 변환밸브소자(206) 밸브본체(205)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필요로하고 밸브내에 있어서 2개의 유로가 쇼트괘스를 일으켜서 가스누출이 생길 염려가 있다. 예를들면 도시한 축열형 라디안트 튜브버너에 사용하는 경우 연소용 공기가 사방밸브(207)내에 있어서 배출가스 유로측에 끊임없이 새고 또 그 샌량이 일정치 않고 또한 불명이므로 연소의 공기비를 정확하게 콘트롤 되지 않는다는불리함이 있다. 또 이 사방밸브는 대형화가 어려우므로 대용량의 유로계에는 걸맞지 않다.
또 2 계통의 유체사이에서 축열체를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시스템으로서는 종래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융그스트룀형 공기 예열기가 일반적이다. 이 융그스트룀형 공기예열기(400)는 배출가스와 같은 비교적 고온의 가스가 흐르는 닥트(402)와 연소용 공기와 같은 저온의 가스가 흐르는 닥트(403)가 케이싱(411)에 고정되어 디스크형상의 축열체(401)를 회전시킴에 따라 유로를 변경하지 않고 축열체(401)에 대한 가스의 흐름을 변환하여 배출가스에서 회수한 열을 이용하여 연소용 공기의 예열을 팽하도록 한 것이다. 이 융그스트룀형 공기 예열기(400)는 회전하는 축열체(401)의 상류측과 하류측이 칸막이벽(405),(408) 및 씰재(404)에 의하여 최소한 2개의 실(406),(407) 및 (409),(410)으로 나누어져 있다. 축열체(401)는 씰재(404)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2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한쪽 영역에서 배출가스로 데워지고, 다른쪽의 영역에서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도록 마련되어있다.
그러나 이 융그스트룀형 공기예열기의 경우, 고압(저온가스)측에서 저압(고온가스)측에 유체가 새게 된다. 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씰에는 여러가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열교환전의 고온측에 있어서는 씰 효과가오르지 않고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이때문에 많은 경우에는 25% 정도의 연소용 공기가 배출가스 유로측으로 새어 또 그 새는량도 일정하지 않으므로 예열한 공기를 그대로 연소시스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기비를 정확히 콘트롤할 수 없는 문제가 따른다. 또 대형의 축열체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축열체가 무거워지므로 회전기구의 구조가 대형화하거나 축열체의 강도에 불안이 생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2 계통의 유로 예를들변 온도차가 있는 2개의 개스를 흘리는 유로사이에 있어서 서로 가스가 새지 않고 단순한 구조로 고속으로 유로변환조작이 가능한 유로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로절환장치는 2개의 고정실에 칸막이벽으로 구획된 고정실부재와 이 고정실부재의 칸막이벽을 직교하는 칸막이 벽에 의하여 2개의 변환실로 구획된 변환실부재로 구성됨과 동시에 이를 고정실부재와 변환실부재를 흐르는 방향으로 칸막은 케이싱과 케이싱의 흐르는 방향의 칸막이 벽에 천공되어 한쪽 고정실에 대하여 2개의 변환실이, 또 다른쪽의 고정실에 대하여 2개의 변환실이 서로 겹치는 영역부분으로 연통되는 연통공과 이 연통공을 개페시켜 한쪽의 고정실을 2개의 변환실의 한쪽과 연통시킴과 동시에 다른쪽의 고정실을 타실의 변환실로 연통시키는 변환수단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변환수단은 같은 실내에 존재하는 2개의 연통공을 교차로 닫는 버터프라이 명식의 댐퍼인 것, 혹은같은 실내에 존재하는 2개의 연통공을 교차로 여는 관통공을 180。간격으로 마련한 회전원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들 유로변환장치에 의하변 고정실부재의 제1의 고정실이 변환실부재의 한쪽 변환실에 접속됨과 동시에 다른쪽의 변환실이 제2의 고정실에 접속되기 때문에 변환부수단의 하나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2 계통의 유로 예를들면 온도차가 있는 2개의 가스를 흘리는 유로간에 있어서 유로변환조작이 가스가 새지 않고 확실하고 고속으로 가능하다. 특히 버터프라이 형식의 변환수단을 짜맞춘 기구의 경우, 유로변환동작은 급기압 및 배기압을 받은 상태로 행하여지므로 마감(샷다운)이 순간적으로 행할 수 있고 변환시의 가스의 새는 것이 적다. 또 본 발명의 유로절환장치에 의하면 4개의 연통공의 개폐를 1개의 구동장치(변환수단)로 구동되므로 종래의 절환방법에 비하여 극히 콤팩트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축열형 교차연소버너시스템에 이용되는 유로변환장지에 있어서 전자밸브보다도 필씬 큼팩트하고도 싼값이고 연소용공기와 연소배출가스와의 새는 것이 어렵게한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축열형교차 연소버너 시스템은 상기한 유로변환장치의 고정실부재의 2개의 고정실의 한쪽에 연소용공기계를, 다른쪽 실에 배출가스계를 각각 접속함과 동시에 변환실부재의 2개의 변환실에 각각 축열체를 접속함과 동시에 이 축열체를 통하여 연소용 공기의 공급 및 연소가스의 배출을 행하는 교차연소형 버너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유로절환장치를 거쳐 공급하는 연소용 공기에 의하여 상기 버너를 교차로 연소시키는 한편 연소시키고 있지않는 쪽의 버너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기 유로변환장치를 거쳐 배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축열형 교차 연소버너 시스템의 경우, 변환수단을 기계적으로 변환할 수가 있으므로 연소용 공기와 배기가스의 변환사이클을 수십초 단의의 고속으로 확실하게 실현되고 전자밸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훨씬 설비코스트가 싸게 되고 장시간에 걸쳐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축열형 버너시스템에 의하변 1쌍의 축열형 버너에 대하여 2 본의 공기배관과 2 본의 배기배관을 필요로 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1 본의 공기배관과 1 본의 배기배관뿐인 극히 간결한 배관으로 족하고 더구나 유체가 새는 것을 동반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은 2개의 유로를 변환하지 않고 온도차가 있는 2개의 유체를 통과시켜서 열교환되는 축열형 열교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축열형 열교환시스템은 위에 설명한 유로변환장치를 축열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설치하고 상류측의 유로변환장치에 있어서 변경한 유체의 흐름을 축열체를 퉁과시킨 후에 다시 하류측의 유로변환장치에 있어서 제자리에 되돌리고 그 유로변경을 축열체내에서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축열형 열교환시스템의 경우, 축열체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축열체의 손상 등의 문제가 적을뿐더러 씰도 간단하여 유체의 새는 것이 적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본 발명의 유로변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유로변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3 도(a)는 X형 칸막이 벅을 가지는 유로변환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 3 도(b)는 제 3 도(c)의 III - III 선을 따르는 단변도이다.
제 4 도(a)는 Y형 칸막이벽을 가지는 유로변환창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 4 도(b)는 제4도(a)의 IV - IV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유로변환장치를 적용깐 축열식 교차연소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유로변환장치를 적용한 축열식 열교환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 7 도는 축열식 교차연소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8 도는 중래의 전자변환밸브를 짜넣은 축열식 라디안트 튜브버너의 일예를 도서한 개략도이다.
제 9 도는 종래의 사방변환밸브를 짜넣은 축열식 라디안트 튜브버너의 개략도이다.
제 10 도는 종래의 폐열회수용 열교환기인 융그스트룀형 공기예열기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으로 도시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유로절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또 이 실시예는 버터플라이식의 밸브를 변환부로서 구비한 것이다.
이 유로절환장치(1)는 서로 다른 2 계통의 유로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실부재(2)와 변환실부재(4) 및 그들 사이에 있어서 고정실부재(2)와 변환실부재(4)를 칸막고 개폐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절환수단(3)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실부재(2)는 예를들면 수직인 칸막이벽(5)에 의하여 한쪽의 계통의 유로와 접속되는 제1의 고정실(2a)과 다른쪽 계통의 유로와 접속되는 제2의 고정실(2b)로 구획되어있다. 또 변환실부재(4)는 고정실부재(2)의 칸막이벽(5)과 직쿄하는 수명의 칸막이벽(6)에 의하여 제1의 변환실(4c)과 제2의 변환실(4d)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고정실부재(2)와 변환실부재(4)는 칸막이벽(7)에 의하여 흐르는 방향으로 칸막혀있다. 따라서 이들 고정실부재(2)와 변환실부재는 고정실부재(2)의 제1고정실(2a)에 대하여 변환실부재(4)의 제1변환실(4c)과 제2변환실(4d)이, 또 고정실부재(2)의 변환고정실(2b)에 대하여 변환실부재(4)의 제1의 변환실(4c)와 제2의 변환실(4d)이 겹쳐지도록하여 90℃마다 구획된 田자 모양의 4실(2a,2b,4a,4b)에 실질적으로 구분하게 된다. 또 도면중 부호(18)는 케이싱이다.
여기서 고정실부재(2)의 제1 및 제2의 두개 고정실(2a,2b)와 변환실부재(4)의 제1 및 제2의 2개의 변환실(4c,4d)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절환수단(3)은 고정실부재(2)와 변환실부재(4)를 흐르는 방향으로 칸막는 칸막이벽(7)에 친공된 4개의 연통공(8ac,8bc,8ad,8bd)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버터플라이 형식의 댐퍼(9ac,9bc,9ad,9bd) 아울러 이것을 개폐 움직이는 구동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기구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들면 본 실시예의 경우, 변환샤프트(10)와 이것을 구동회전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된다. 또 변환샤프트(10)는 칸막이벽(7)과 칸막이벽(6)이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샤프트홀더(11)에 회전자재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샤프트홀더(11)에는 댐퍼(9ac,9bc,9ad,9bd)의 요동범위보다도 약간 큰 각도의 창(12)이 마련되고 이 창(12)을 관통하도록하여 각 댐퍼(9ac,9bc,9ad,9bd)가 그 내측의 변환샤프트(10)에 용접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경우 댐퍼(9bc,9bd)는 변환실부재(4)의 제1변환실(4c)가 제2변환실(4d)에 배치되어 댐퍼(9ac,9ad)는 고정실부재(2)의 제1고정실(2a)에 배치되어 있다. 댐퍼(9ac,9ad 및 9bc,9bd)는 칸막이벽(7)과 칸막이벽(6)이 고차하는 부분에 설치된 변환샤프트(10)에 2장씩 예를들어 약 150°에서 90°의 열린 각도θ로서 교차하도록 짜맞추어 고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경우 150°의 열린 각도θ로서 2조의 댐퍼(9ac,9ad 및 9bc,9bd)를 교차시킨 버터플라이 형식을 하고 있으므로 한쪽의 연통공 예를들면 (8ac,8bd)를 댐퍼(9ac,9bd)로 닫았을때에는 다른쏙의 연통공(8ad,8bc)을 닫는 댐퍼(9ad,9bc)는 칸막이벽(7)에 대하여 30°의 각도로서 경사한 상태로 배치되어 연통공(8ad,8bc)을 개방한다. 따라서 각 댐퍼(9ac,9bc,9ad,9bd)는 칸막이벽(7)의 연통공(8ac,8bc,8ad,8bd)의 흐름상류측에 배치하게 되기 때문에 항상 유체의 압력을 받아서 연통공(8ac,8bc,8ad,8bd)을 닫는다. 더구나 이 유체의 압력은 반대측의 댐퍼도 마찬가지로 받으므로 변환동작시의 카운터 웨이트로서 가능하다. 이때문에 댐퍼는 변환조작은 비교적 가버운 할으로 스므스하고 민첩하게 실시된다. 또 도시하지 않았으나 댐퍼(9ac,9bc,9ad,9bd) 혹은 연통공(8ac,8bc,8ad,8bd)의 테에는 씰 재를 고착하여 기밀성을 높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로변환장치(1)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이 조작을 흐르는 방향이 역으로 된 급기계와 배기계의 2 계통을 흐름방향이 고정된 2 계통의 유로로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도의 상태에 있어서 고정실부재(2)의 제1고정실(2a)에 비교적 저온의 유체 예를들면 연소용공기가 도입되면 이 연소용 공기는 연통공(8ad)을 통하여 변환실부재(4)의 제2변환실(4d)로 유입한다. 그리고 이 제2 변환실(4d)에 접속되어 있는 유로를 거쳐 사용개소, 예를들면 축열체, 버너등에 공급된다. 다른쪽 변관실부재(4)의 제1변환실(4c)에 도입되는 유체,예를들면 축열체를 통과하여온 연소배출가스는 연통공(8bc)을 통하여 고정실부재(2)의 고정실(2b)에 유입한다. 그리고 이 고정실(2b)에 접속되어 있는 유로 예를들면 배기 닥트 등을 거쳐 대기중에 방출된다.
이어서 변환샤프트(10)를 제1도의 상태에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댐퍼(9ad,9bc)가 연통공(8ad,8bc)를 막음과 동시에 연통공(8ac,8bd)를 연다. 그러면 고정실부재(2)의 제1고정실(2a)에 도입되는 연소용 공기는 제1의 고정실부재(2a)의 위쪽의 연통공(8ac)애서 변환실부재(4)의 제1변환실(4c)에 유입하여 이 실(4c)에 접속되어 있는 유로에 공급된다. 이때 이 유로에 설치된 축열체는 변환전에 통과하고 있는 연소배출가스의 폐열로 가열되어 있으므로 공급되는 연소용공기는 축열체의 열을 받아 예열되어서 공급된다. 다른쪽 공정실부재(2)의 재2의 고정실(2b)에는 아래쪽의 연통공(8bd)을 거치 변환실부재(4)의 제2의 변환실(4b)에서 연소배출가스가 유입된다. 이때 제2의 변환실(4d)로 통하는 또 한쪽의 연통공(8ad)은 댐퍼(9ad)에 의하여 닫혀져 있다. 연소배출가스는 제2의 변환실(4d)에 접속된유로의 축열체에 폐열을 버리고 비교적 저온의 가스로 되어 배기된다.
또 제 2 도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유로변환장치는 변환수단(3)으로서 회전 또는 90。의 범위내에서 요동하는 회전판(13)을 이용한것이다. 또 실시예에서는 고정실부재(2)와 변환실부재(4)의 배치관계를 제 1 도의 실시예의 것과는 역으로 하고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실부재(2)와 변환실부재(4)와는 서로 유로와 직교하는 칸막이벽(14,15)에 의하여 각각 흐름방향에 칸막이함과 동시에 새로이 흐름방향의 칸막이벽(5,6)으로 칸막힌 4개의 (2a,2b,4c,4d)에 배치되는 4개의 연통공(8ac,8bc,8ad,8bd)이 각각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실부재(2)의 칸막이벽(14)과 변환실부재(4)의 칸막이벽(15)과의 사이에는 회전원판(13)이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원판(13)에는 고정실부재(2) 및 변환실부재(4)에 마련된 연통공(8ac,8bc,8ad,8bd)과 일치하는 위치중 2개의 위치에 연통공(16,17)이 뚫려있다. 이 2개의 연통공(16,17)은 180。의 간격으로 뚫려있고 고정실부재(2)의 제1고정실(2a)과 제2고정실(2b)와 함께 변환실부재(4)의 제1변환실(4c)과 제2변환실(4d)의 쌍방에 동시에 연통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았으나 칸막이벽(14)과 회전판(13)과의 사이 및 회전판(13)과 칸막이벽(15)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밀봉하고 또 연통공(8ac,8bc,8ad,8bd)를 서로 칸막는 씰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접동성이 있는 씰재를 각 칸막이벽(14,15)에 각 연통공(8ac,8bc,8ad,8bd)을 서로 칸막도록 田자 모양으로 마련하거나 혹은 회전판(13)의 표리 양면에 X 형으로 마련하면 족하다. 또 도시하지 앓았으나 회전판(13)에는 그 중심에 회전구동용 샤프트를 마련하고 요동 내지 회전시키도록 설치한다. 또 회전판(13)의 외주면에 기어를 형성하고 이것과 맞물리는 피니온기어를 모터등의 액추에이터로 구동하여 회전시키거나 혹은 회전판(13)의 외주면에 롤러등을 밀어부쳐서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2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연통공(16,17)이 배치된 경우 고정실부재(2)의 제1고정실(2a)에 전공된 2개의 연통공(8ac,8ad)중 하쪽 연통공(8ac)이 회전판(13)의 연통공(16)과 연통하고 또 변환실부재(4)의 제1변환실(4c)에 마련된 연통공(8ac)과 연통한다. 다른쪽 고정실부재(2)의 제2고정실(2b)에 마련된 2개의 연통공(8bc,8bd)중 한쪽 연통공(8bd)이 회전판(13)의 연통공(17)과 겹치고 또 변환실부재(4)의 제2변환실(4d)에 마련된 아래쪽의 연통공(8bd)과 겹쳐서 변환실부재(4)의 제2변환실(4d)과 고정실부재(2)의 제2고정실(2b)을 연통시킨다. 이때 제1고정실(2a)과 제2변환실(4d)의 다른쪽 연통공(8ad) 및 제2 고정실(2b)와 제1변환실(4c)의 다른쪽 연통공(8bc)는 각각 회전판(13)으로 칸막혀서 차폐된다. 또 회전판(13)이 90。회전하면 제2도에 파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연통공(16,17)이 이동하여 제1고정실(2a)과 제2변환실(4d), 제2고정실(2b)와 제1변환실(4c)를 각각 연통시켜 흐름을 변환한다.
제3도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제1도에 도시한 유로변환장치의 칸막이벽(5,6,7)을 X형으로 개량하여 하나의 버터플라이 형식의댐퍼에 의하여 유로변환이 행하여지도록 한 것으로 X형의 칸막이벽(50)애의하여 케이싱(51)내를 4실로 칸막고 있다. 즉 케이싱(51)내를 X형의 칸막이벽(50)에 의하여 4실로 칸막고 그중의 상대향하는 2실, 예를들면 실(52a,52b)을 유체의 흐름방향이 고정되는 2 계통의 유로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의 고정실로함과 동시에 나머지 상대향하는 다른 2실, 예를들면 실(54c,54d)를 유체의 흐름방향이 번갈아 변환되는 2 계통의 유로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의 변환실로 되어있다 X형의 칸막이벽(50)의 각변에는 인접하는 2실(52a 와 54c,52a 와 54d,52b 와 54c,52b 와 54d)를 각각 연통시키는 연통공(58ac,58bc,58bd,58ad)가 각각 천공되어 4개의 실(52a,52b,54c,54d)가 서로 연통되어 있다. X형 칸막이벽(50)의 교점부분에는 칸막이벽(50)과 접촉하여 연통공(58ac,58bc,58bd,58ad)를 폐쇄하는 댐퍼(59)로 되는 변환수단(53)이 마련되어 있다. 이 변환수단(53)은 제1고정실(52a)과제2고정실(52b)내에 배치된 댐퍼(59),(59)가 동일 회전축(57)에 의하여 동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어느한쪽이 연통공(58ac) 혹은 (58ad) 또는 (58bc)를 동시에 닫음에 따라 고정실(52a,52b)와 변환실(54c,54d)와의 접속관계를 동시에 변환하는 버터플라이 형식의 댐퍼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댐퍼(59)를 지지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축(57)은 X형의 칸막이 벽(50)의 중심으로 되는 교점부근에 베어링(56)에 의하여 회전자재로 지지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X형의 칸막이벽(50)의 교점부근에는 대향하는 2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고정실(52a)과 제2고정실(52b)를 칸막는 칸막이(55)가 마련되어있다. 이 칸막이(55)는 회전축(57)과 댐퍼(59)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X형의 칸막이벽(50)에서 회전축(57)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하는 만형상의 씰재로 이루어진다. 이 회전축(57)에는 제1고정실(52a)내에 점위하는 댐퍼(59)와 제2고정실(52b)내에 점위하는 댐퍼(59)를 칸막이벽(50)과 평행으로접촉하도록 180도 간격으로 설치되어있다. 또 각 연통공(58ac,58ad,58bd,58bc)는 댐퍼(59)의 요동단에 있어서 각각 완전히 폐쇄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고정실(52a,52b) 및 제1 및 제2의 변환실(54c,54d)에는 하나썩 유로를 연결하기 의한 접속용관(60a,60b,60c,60d)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고정실(52a,52b)에는 유체의 흐르는 방향이 고정되어 있는 2 계통의 유로(닥트)가 각각 연결되어 제1 및 제2변환실(54c,54d)에는 유체의 흐름방향이 번갈아 변환되는 2 계통의 유로(닥트)가 연결된다. 또 댐퍼(59) 및 연통공(58ac,58bd,58bc)의 테에는 씰재를 고착하여 기밀성을 높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는 유로변환장치에 의한 유로변환은 다음과 같이하여 행하여진다. 이 조작을 흐름방향이 역으로 된 급기계와 배기계의 2 계통을 흐름방향이 고정된 2 계통의 유로로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들면 제1고정실(52a)에서는 배기유체 예를들면 저온의 연소용공기가 흐르는한편 제2고정실(52b)에서는 배기유채 예를들면 고온의 연소배출가스가 흐른다. 도시한 상태로는 제1고정실(52a)에 도입된 유채는 칸막이벽(50)의 관통공(58ac)을 지나서 제1변환실(54c)에 흘러들어 동실(54c)에 연결되는 도시하지 않은 닥트 등을 통하여 급기가 구해지는 개소에 공급된다. 다른쪽 제1고정실(52b)에는 제2변환실(54d)에 연결되어 있는 닥트를 통하여 배기원등에서 배기유체가 배기계의 유인팬 등으로 흡인되어 제2변환실(54d)에 도입된후 연통공(58bd)을 통하여 제2공정실(52b)을 거쳐 동실(52b)에 연결되어있는 유로, 배기계에 배출된다.
이 유로변환장치의 경우 변환수단(53)으로서의 2개의 댐퍼(59)가 1본의 회전축(57)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장치가 콤팩트로 되고 조작도 간편하다. 또 1개의 케이싱(50)내에 4실이 효율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스페이스의 낭비가 적다.
제4도에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유로변환장치는 제3도의 X형의 칸막이벽의 변형예로,2개의 Y형의 칸막이벽(65a,65b)을 짜맞추는 것에 의하여 캐이싱(61)내를 X형의 칸막이벽과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으로 하면서 각실간의 씰성을 높히도록 한 것이다. 즉 2개의 Y형의 칸막이벽(65a,65b)을 변환수단(63)의 회전축(67)의 축방향으로 늘어세워 서로 역방향으로 짜맞추고, 또 Y형의 칸막이벽(65a,65b)으로 구획된 3실중의 하나가다른쪽의 Y형 칸막이벽과의 사이에서 칸막이벽(66)에 의하여 칸막혀서 케이싱(61)내를 전체 4실로 칸막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Y형의칸막이벽(65a)의 위쪽의 삼각형 부분 및 Y형 칸막이벽(65b)의 아래쪽의 삼각형 부분을 칸막이벽(66)으로 각각 칸막음에 의하여 케이싱(61) 내가 4실로 구획되어 있다. 칸막이벽(66)으로 칸막히지 않은 다른 실들은 2개의 Y형 칸막이벽(65a,65b)에 걸쳐서 각각 하나씩의 실을 형성하고 있다. 그래서 4실증의 2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실(62a)과 실(62b)을 유체의 흐름방향이 고정되는 2 계통의 유로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고정실로 하고 있다. 또 나머지 2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실(64c)와 실(64d)을 유체의 흐름방향이 번갈아 변환되는 2 계통의 유로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변환실로 하고있다. 이들 4실(62a,62b,62c,62d)은 칸막이벽(65a,65b)에 천공된 연통공(68ac,68ad,68bc,68bd)에 의하여 인접하는 2실이 각각 연통되어 있다. Y형 칸막이벽(65a 및 65b)의 교점 부분에는 연통공(68ac)와 (68bd)를 번갈아 폐쇄하는 댐퍼(69)로 되는 변환수단(63)이 마련되어 있다. 변환수단(63)은 연통공(68ac,68ad,68bc,68bd)를 막는 댐퍼(69)와 이것을 지지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축(67)으로 구성된다. 회전축(67)은 Y형의 칸막이벽(65a,65b)의 교점 부근에 2개의 Y형 칸막이벽(65a,65b)을 세로방향으로칸막는 칸막이벽(66)을 관통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67)에는 Y형 칸막이벽(65a,65b)에 의하여 칸막힌 실중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및 제2고정실(62a,62b)에 배치될 1매의 댐퍼(69)가 부착되어 있다. 또 댐퍼(68) 및 연통공(68ac,68bd,68bc)의 테에는 썰재를 고착하고, 기밀성을 높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유로변환장치에 의한 유로변환은 제3도의 실시예의 것과 거의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이 유로변환장치인 경우,2개의 Y형 칸막이벽(65a,65b)와 세로 방향의 칸막이벽(66b)에 의하여 케이싱(61)내의 4실이 완전히 칸막혀 있으므로 케이싱(61)내에서의 2 유로사이에 있어서 가스가 새는 것이 제3도의 실시예의 것보다 적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유로변환장치(1)는 예를들면 다음과 같이 이용된다. 제5도에 노안에서 연소하는 버너에 적용한 축열형 교차연소 시스템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론 라디안트 튜브 내에서 연소시키는 버너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말할것도 없다.
이 연소시스템은 노몸체(21)에 최소한 1초의 축열형 버너(22,23)를 설치해서 된다. 축열형 버너(22,23)는 2 구조 및 연소방식에 특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용공기계(27)와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연소배출가스계(28)를 유로변환장치(1)를 통하여 축열체(25) 및 윈드박스(24)에 선택적으로 접속가능하고 축열체(25)를 통하여 연소용공기의 공급 및 연소배출가스의 배출을 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축열체(25)로서는 다수의 관통공이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허니컴 구조의 세라믹스 등이 사용된다. 또 윈드박스(24)의 노몸체(21)의 근처의 버너스로트 부분에는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노즐(26),(26)이 매설되어 있다. 연료노즐(26),(26)은 버너스로트를 형성하고 내화물의 내주면에서 연료를 분사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버너스로트내를 흐르는 연소용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연료가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연소배출가스계(28)와 연소용공기계(27)는 예를들어 제1도 혹은 제2도에 예시된 본 발명의 유로변환장치(1)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어느 한쪽의 버너(22,23)의 축열체(25) 및 윈드박스(24)에 접속된다. 그리고 예를들면 밀어넣는 팬(29)에 의하여 공급되는연소용 공기가 윈드박스(24)에 공급되면 동시에 예를들어 유인팬(30)에 의하여 연소가스가 연소하고 있지 않는쪽의 윈드박스(24)에서 흡인되어 대기중에 배출된다. 또 연료는 연료계통공급계(32)의 삼방밸브(33)를 통하여어느한쪽의 버너(22,23)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또 도면중 부호(34)는노내압등을 조정하고 배기수단으로 필요에 따라 마련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1쌍의 축열형 버너(22,23)를 번갈아 연소시켜 그때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연소하고 있지 않는 버너의 연소배출가스계(28)를 통하여 배기하고 축열체(25)로 연소배출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면극히 열경제성이 좋아진다. 또 연소시키고 있는 버너측에는 축열체(25)에회수된 페열을 이용하여 예열된 연소용공기를 공급한다. 이 버너의 연소싸이클은 비교적 짧은시간, 예를들면 20초 - 90초, 바람직하기는 20초 - 60초 더욱 바람직하기는 40초 정도로 변환하는 것이 열효율을 올리는데 바람직하다. 이 경우 최대의 축열효율이 얻어진다. 이 연소용 공기와 연소배출가스의 흐름의 변환은 예를들어 타이머(도시생략)를 사용하여 행하여지나, 혹은 축열체(25)를 통과한 연소가스 온도를 써모센서(도시생략)로 측정하여 이것이 소정온도에 달하였을때에 행하여진다. 이와같은 단시간의 변환은 제 1 도 - 제 4 도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유로변환장치(1)에 의하여 배출가스의 새는 것을 초래함이 없이 확실히 실현된다.
또 본 실시예애서는 유로변환장치(1)와 축열형버너(22,23)가 떨어져 있으나 1쌍의 축열형버너(22,23)가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경우에는 이들의 아래 직접 설치할수가 있다. 이 경우, 배관이 극히 간단한 것이 되는 이점이있다. 여기서 제 7 도에는 연료계통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1쌍의 축열형 버너와 1대의 유로변환장치의 조합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2쌍 이상의 축열형 버너의 연소용공기와 연소배출가스의 변환을 1대의 유로변환장치에 의하여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6도에 본 설명의 유로변환장치를 이용한 열교환 시스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유체의 흐르는 계로는 기본적으로는 변경하지 않고 열교환을 행하는 부분만으로 변환하도록 한 것이다. 제1도에서 제4도에 예시되는 유로변화장치(1)는 축열체(40)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설치하여 상류측의 유로변환장치(1)의 변환실부재(4)의 제1변환실(4c) 및 제2변환실(4d)을 축열체(40)에 접속하고 또 하류측의 유로변환장치(1)의 고정실부재(2)의 제1고정실(2a)과 제2고정실(2b)을 축열체(40)에 상류측의 제1변관실(4c) 및 제2변환실(4d)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접속한다. 예를들면 상류측의 유로변환장치(1)의 고정실부재(2)에는 한쪽에 공기공급관(41)을 접속하여 다른쪽에는 배기계의 닥트(42)를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그 변환실부재(4)의 제1변환실(4c)과 제2변환실(4d)에 대응시켜서 하류측의 유로변환장치(1)의 고정실부재(2)의 제1고정실(2a) 및 제2고정실(2b)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류측의 유로변환장치(1)의 변환실부재(4)의 제1실(4c)에 축열체(40)의 열로 예열된 연소용공기를 보일러 등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관(41), 제2실(4d)에 고온의 배출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계의 닥트(42)를 각각 접속하고 있다. 이때 각 유로변환장치(1),(1)과 축열체(40)과의사이에는 주변을 밀봉하는 씰재를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열체(40)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이들의 사이의 씰은 특히 곤란한 것은 아니다.또 축열체(40)와 접하는 상류측의 유로변환장치(1)의 제1 및 제2변환실(4c,4d)과 하류측의 유로변환장치(1)의 제1 및 제2의 고정실(2a,2b)의 칸막이벽 부분에도 씰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축열형 열교환 시스템의 경우 상류측의 유로변환장치(1)에 있어서 유로를 변경함에 따라 그때까지 축열체(40)애서 통과시키고 있는 것과는 다른 영역에 유체를 통과시켜 재차 하류측의 유로변환장치(1)에 있어서 그 유로를 변경하여 원래의 유로로 되돌리는 축열체(40) 부분에서만 유로를 변환 그 이외의 개소에서는 실질적으로 유로를 변경치 않고 가스를 연속적으로 공급할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공기공급관(41)에서 공급된 공기는 유로변환장치(1) 예를들면 제1변환실(4c)측에 인도되어 축열체(40)의 왼쪽절반을 통과하여 축열체(40)에서 열을 받아 비교적 고온의 공기로 되어 하류측의 유로변환장치(1)의 고정실(2a)내에 공급된다. 그리고 동장치(1)의 제1변환실(4c)애서 공기공급관(41)에 도입되어 열뭉을 공급한다. 이 열풍은 예를들면 보일러 등의 연소용 공기로서 이용된다. 그리고 연소로 얻어진연소가스는 배기계의 닥트(42)를 통하여 하류측의 유로변환장치(1)의 제2변환실(4d)에 도입되어 동장치(1)의 제2고정실(2b)을 거쳐 축열체(40)의 오른쪽 절반을 통과하여 상류측의 유로변환장치(1)의 제2변환실(4d) 및 제2고정실(2b)을 거쳐 배기계의 닥트(42)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축열체(40)의오른쪽 절반에서 배출가스의 페열을 회수시킨다.
그리고 폐열의 회수가 포화상태에 달하였을때 혹은 소정의 변환시간에 달하였을때에 상류측 및 하류측의 유로변환층(1),(1)의 변환수단(3)을 조작하여 각 변환장치(1),(1)에 있어서 연통관계를 변환한다. 즉, 공기공급관(41)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상류측의 유로변환장치(1)의 제1고정실(2a)에서 변환실부재(4)의 제2실(4d)에 안내되어 축열체(40)의 오른쪽 절반을 통과한후 하류측의 유로변환장치(1)의 제2고정실(2b)에 도입되어서 동장치(1)의 제1변환실(4c)에 안내되어서 공기공급관(41)에서 보일러 등에 공급된다. 이때 공기는 축열체(40)의 오른쪽 절반을 먼저 축열된 배출가스의 폐열로 예열된다. 다른쪽 보일러 등에서 회수되는 연료배출가스는 하류의 유로변환장치(1)의제2변환실(4d)에도입된후동변환장치(1)의 제1고정실(2a)측에 통해져서 축열체(40)의 왼쪽 절반을 통과하여 이것을 가열한후 상류측의 유로변환장치(1)의 제1변환실(4c)에 안내된다. 그후 동 변환장치(1)의 제1변환실(4c)에 안내된다. 그후 동 변환장치(1)의 제2의 고정실(2b)측에 안내되어 배기계 닥트(42)를 통하여 대기중 등에 배출된다.
또 위에 설명한 각 실시예는 적절한 실시예의 하나이긴 하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앓는 범의에 있어서 여러가지변형 실시가능하다. 예를들면 본 설시예에서는 고정실부재(2)의 제1 및제2고정실(2a,2b) 또는 변환실부재(4)의 제1 및 제2변환실(4c,4d)의 각실에 각각 1본씩의 유로를 연결시키는 것을 전제로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특히 한정되지 안고 같은계통의 유체를 흘리는 유로이면 2본 이상의 유로를 하나의 실에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요는 1계통의 유로를 하나의 실에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요는 1계통의 유로를 하나의 실에 접속하는 것이면 유로수가 복수라 하더라도 하등 상관이 없다. 또 본 실서예에서는 2계통의 유체로서 비교적 고온의 가스와 지온의 가스를 예를들어 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특히 한정되지 않고 냉열에너지를 가지는 유체와 상온의 유체의 유로변경이나 온도차가 없어도 물성이 다른 그 유체의 유로변환에도 이용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의 흐르는 방향이 고정된 2 계통으로서의 급기계와 배기계라는 흐르는 방향이 역으로 2 계통을 예를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같은 방항으로유제가 흐르는 2 계통이어도 좋다. 축열형교차 연소버너 시스템에 있어서는 제1변환실(4c) 및 제2변환실(4d)에 축열체(25)를 직접 연결하도록 하여도 좋고 각 변환실(4c,4d)내에 축열체(25)를 수용하여도 좋다. 이들은 제2 - 4도에 거론한 각 실시예에 대하여도 같은 것을 말한다. 또 제1 - 4 실시애에 있어서 연통공(8bc,8bd,8ac,8ad,58ac,58ad,58bc,58bd,68ac,68ad,68bc,68bd)는 각각 단일의 원형공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특히 한정될 것은 아니다. 원형이외의 다른 형상, 예를들면 삼각이나 사각 등의 구멍이어도 좋고 다수의 구멍의 집단이어도 좋다. 1매의 댐퍼 혹은 원판의 일부분으로 동시에 개폐되는 구멍은 복수라 할지라도 하나의 구멍으로 인식한다.

Claims (5)

  1. 유체의 흐르는 방항이 고정되어 있는 2 계통의 유로에 연결되는 2개의 고정실에 칸막이 벽으로 구획된 고정실 부재와, 이 고정실부재의 상기 칸막이 벽과 직교하는 칸막이벽에 의하여 유체의 호르는 방항이 번갈아 변환하는 2 계통의 유로에 연결되는 2개의 변환실에 구획된 변환실부재를 가지고 이 고정실부재와 변환실부재를 흐르는 방항으로 칸막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흐르는 방향의 칸막이 벽에 천공되어 한쪽의 상기 고정실에 대하여 2개의 상기 변환실이 또 다른쪽의 상기 고정실에 대하여 2개의 상기 변환실이 서로 겹치는 영역부분에서 이들을 연통시키는 연통공과 이 연통공을 개폐시킴에 따라 한쪽의 고정실을 2개의 변환실의 한쪽과 연통시킴과 아울러 다른쪽의 고정실을 다른쪽의 변환실에 연통시키는 변환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로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같은 실내에 존재하는 2개의 연통공을 번갈아 닫는 버터플라이 형식의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로변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같은 실내에 존재하는 2개의 연통공을 번갈아 여는 관통공을 180°간격으로 설치한 회전원판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로변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유로변환장치의 고정실부재의 2개의 고정실의 한쪽에 연소용 공기계를 다른쪽의 실에 배출가스계를 각각 접속함과 동시에 변환실부재의 2개의 변환실에 각각 축열체를 접속함과 동시에 이 축열체를 통하여 연소용 공기의 공급 및 연소가스의 배출을 행하는 교차연소형 버너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유로변환장치를 거쳐서 공급하는 연소용 공기에 의하여 상기 버너를 번갈아 연소시키는 한편, 연소시키고 있지 않는쪽 버너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기 유로변환장치를 거쳐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축열형 교차 연소버너 시스템.
  5. 유체의 흐르는 방향이 고정되어 있는 2 계통의 유로에 연결되는 2개의 고정실과 유체의 흐르는 방향이 번갈아 변환되는 2 계통의 유로에 연결되는 2개의 변환실과의 계 4실에 칸막이 벽으로 구획되고 또 각 고정실에 대하여 각각 2개의 변환실이 인접하도록 배치된 케이싱과 상기 칸막이벽에 천공되어서 각 고정실을 2개의 변환실에 각각 연통시키는 연통공과 상기 연통공을 개폐시켜서 한쪽의 고정실을 2개의 변환실의 한쪽과 연통시킴과 동시에 다른쪽의 고정실을 다른쪽의 변환실에 연통시키는 변환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유로변환장치를 축열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상류측의 유로변환장치에 있어서 변경한 유체의 흐름을 상기 축열체를 통과시킨후 재차 하류측의 유로변환장치에 있어서 원위치에 되돌리고, 그 유로변경을 상기 축열체로 헹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축열형 열교환 시스템.
KR1019950700259A 1992-07-22 1993-07-22 유로 변환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축열형 교차연소 버너시스템 및 축열형 열교환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215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647392 1992-07-22
JP92-216473 1992-07-22
PCT/JP1993/001023 WO1994002784A1 (en) 1992-07-22 1993-07-22 Flow passage change-over apparatus, regenerative alternate combustion burner system and regenerative heat exchang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2691A KR950702691A (ko) 1995-07-29
KR100215576B1 true KR100215576B1 (ko) 1999-08-16

Family

ID=16689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025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5576B1 (ko) 1992-07-22 1993-07-22 유로 변환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축열형 교차연소 버너시스템 및 축열형 열교환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15909A (ko)
EP (1) EP0651205A4 (ko)
KR (1) KR100215576B1 (ko)
CA (1) CA2140277C (ko)
TW (1) TW227597B (ko)
WO (1) WO19940027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4324B2 (ja) * 1994-03-09 2002-02-04 日本ファーネス工業株式会社 4方向流路切替装置
JP3410591B2 (ja) 1995-10-23 2003-05-26 コスモ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炭化水素の水蒸気改質方法
JP3682105B2 (ja) * 1995-12-28 2005-08-10 日本ファーネス工業株式会社 脱臭システム
SE508957C2 (sv) * 1996-02-02 1998-11-16 Bo Broberg Regenerativ värmeåtervinningsenhet innefattande värmeackumulator som genom en svängningsrörelse uppvisar en spjällfunktion samt värmeåtervinningsaggregat med två ihopkopplade värmeåtervinningsenheter
US5983986A (en) * 1996-09-04 1999-11-16 Macintyre; Kenneth Reid Regenerative bed heat exchanger and valve therefor
TW359743B (en) * 1997-01-06 1999-06-01 Nippon Furnace Kogyo Kk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a gaseous fluid flow, method for preheating a gaseous fluid flow
GB9709275D0 (en) * 1997-05-07 1997-06-25 Hayek Zamir Fluid control valve and oscillator for producing a pressure waveform
US6257317B1 (en) * 1997-07-11 2001-07-10 Elastek Integrated heat recovery ventilator-hepa filter
US6129139A (en) * 1998-06-23 2000-10-10 Megtec Systems Inc. Consolidated poppet valve assembly
CN1093615C (zh) * 1998-11-25 2002-10-30 海尔集团公司 燃气源转换阀
FI110817B (fi) * 2000-02-01 2003-03-31 Waertsilae Tech Oy Ab Lämmöntalteenottolaitteisto ja menetelmä likaantumisen minimoimiseksi lämmöntalteenottolaitteistossa
FI114942B (fi) * 2000-04-19 2005-01-31 Mg Innovations Corp Ilmastointilaite
JP2002089835A (ja) * 2000-09-13 2002-03-27 Nkk Corp 蓄熱式燃焼バーナ用蓄熱体
US7077187B2 (en) * 2001-08-30 2006-07-18 Hydrogenics Corporation Apparatus for exchanging energy and/or mass
US20050126746A1 (en) * 2002-01-23 2005-06-16 D'souza Melanius Modular regenerative heat exchanger system
US20050112038A1 (en) * 2003-07-24 2005-05-26 Stoll Herbert M.Iii Poppet valve stabilizer
KR100620502B1 (ko) * 2005-01-10 2006-09-13 정인숙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 환기장치
JP4644517B2 (ja) * 2005-04-19 2011-03-02 伸和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4ポート自動切換えバルブ
US8029584B2 (en) * 2007-06-06 2011-10-04 Castronovo Charles A Vacuum cleaners with self-cleaning filtration, and other self-cleaning filters
JP4776642B2 (ja) * 2008-02-19 2011-09-21 三菱電機株式会社 加湿装置、および加湿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
SE533955C2 (sv) * 2008-12-23 2011-03-15 Cellomatic Ab En ventilationsanordning
US20110061576A1 (en) * 2009-09-14 2011-03-17 Richard Greco Four-way valve
US8740612B2 (en) 2010-06-30 2014-06-03 Bryan Joseph Kraus Regenerative firing system
DE102010048308B4 (de) * 2010-10-14 2016-06-16 Ctp Chemisch Thermische Prozesstechnik Gmbh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schadstoffhaltigem Abgas
US9175872B2 (en) 2011-10-06 2015-11-03 Lennox Industries Inc. ERV global pressure demand control ventilation mode
US9404668B2 (en) 2011-10-06 2016-08-02 Lennox Industries Inc. Detecting and correcting enthalpy wheel failure modes
US9441843B2 (en) 2011-10-17 2016-09-13 Lennox Industries Inc. Transition module for an energy recovery ventilator unit
US9835353B2 (en) 2011-10-17 2017-12-05 Lennox Industries Inc. Energy recovery ventilator unit with offset and overlapping enthalpy wheels
US9395097B2 (en) 2011-10-17 2016-07-19 Lennox Industries Inc. Layout for an energy recovery ventilator system
KR101111135B1 (ko) * 2011-11-18 2012-02-20 한국기계연구원 유체 유로 변환장치
US9671122B2 (en) 2011-12-14 2017-06-06 Lennox Industries Inc. Controller employing feedback data for a multi-strike method of operating an HVAC system and monitoring components thereof and an HVAC system employing the controller
JP2013245905A (ja) 2012-05-29 2013-12-09 Hitachi Ltd ボイラ
DE102012107839B4 (de) 2012-08-24 2015-09-24 Eberspächer Exhaust Technology GmbH & Co. KG Vier-Wege-Abgasklappe
CN103932881B (zh) * 2014-05-04 2015-10-07 无锡华纳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高频脉冲压力波治疗仪
US10921017B2 (en) * 2015-07-09 2021-02-16 Trane International Inc. Systems, aparatuses, and methods of air circulations using compact economizers
US11181267B2 (en) * 2019-12-10 2021-11-23 Dustex Llc Regenerative oxidizer arrangement
US20220268457A1 (en) * 2021-02-24 2022-08-25 Broan-Nutone Llc Energy recovery wheel array
CN118347164A (zh) * 2024-05-24 2024-07-16 青岛理工大学 基于柔性换热体的隧道渗流水能量利用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8700A (en) * 1926-01-14 1928-10-23 Heine Boiler Co Regenerative air heater
GB763801A (en) * 1954-01-27 1956-12-19 Svenska Flaektfabriken Ab Improved damper device
US2946651A (en) * 1956-08-09 1960-07-26 Oxy Catalyst Inc Catalytic treatment of gas streams
SE313415B (ko) * 1964-07-08 1969-08-11 Munters Carl Georg
FR2193961B1 (ko) * 1971-11-02 1975-06-06 Alsthom Cgee
DE2318007A1 (de) * 1973-03-30 1974-10-17 Munters Ab Carl Apparat zur klimatisierung der luft in einem raum
SE379419B (ko) * 1973-05-17 1975-10-06 K R A Ostbo
JPS516375A (ja) * 1974-07-08 1976-01-19 Paironikusu Inc Taikiosenboshisochi
US4348818A (en) * 1980-07-24 1982-09-14 Brown Robert C Device for recovering the exhaust heat of a clothes dryer
US4355973A (en) * 1981-02-17 1982-10-26 Caterpillar Tractor Co. Radiant heating apparatus
US4497361A (en) * 1981-06-15 1985-02-05 Hajicek David J Regenerative heat and humidity exchanging apparatus
JPH0330683Y2 (ko) * 1985-06-14 1991-06-28
JPS62908A (ja) * 1985-06-27 1987-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焦点調節用制御装置
JPH0623605B2 (ja) * 1987-05-26 1994-03-30 日本ファーネス工業株式会社 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
GB2214625B (en) * 1987-12-24 1992-01-02 British Steel Plc Regenerative burner system
JP2698366B2 (ja) * 1988-02-26 1998-01-19 東京瓦斯株式会社 輻射管燃焼装置
JPH0254210A (ja) * 1988-08-19 1990-02-23 Canon Inc ズーム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4002784A1 (en) 1994-02-03
US5515909A (en) 1996-05-14
WO1994002784A8 (en) 1994-02-03
EP0651205A4 (en) 1997-07-30
CA2140277A1 (en) 1994-02-03
KR950702691A (ko) 1995-07-29
EP0651205A1 (en) 1995-05-03
WO1994002784A3 (fr) 1994-03-31
CA2140277C (en) 1997-04-29
TW227597B (ko) 199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5576B1 (ko) 유로 변환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축열형 교차연소 버너시스템 및 축열형 열교환 시스템
KR100221450B1 (ko) 4포트 밸브
KR100254128B1 (ko) 축열형 버너와 이것에 이용가능한 축열형 열교환 시스템
JP5119331B2 (ja) 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装置及び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に取り付け可能な蓄熱体ユニット
CN103291961A (zh) 自动换向阀
KR100214176B1 (ko) 관식가열로의 연소제어방법 및 관식가열로
JPH1194239A (ja) 交互切換蓄熱再生バーナシステム及びその燃焼制御方法
JPH09203501A (ja) 小型貫流ボイラ
KR100196029B1 (ko) 연소장치용 열교환기
KR100583819B1 (ko) 자기 축열식 단일 라디안트 튜브 버너
JP2744700B2 (ja) 流路切替装置とそれを利用した蓄熱型交互燃焼バーナシステムおよび蓄熱型熱交換システム
JP3322470B2 (ja) 蓄熱型低NOxバーナ
KR20100024224A (ko) 자기축열식 단일 라디안트 튜브 버너의 3way 절환 밸브
WO1994002784A2 (ko)
CN104100993B (zh) 一种往复式空气预热器
JP2744756B2 (ja) 蓄熱型熱交換器及びそれを利用した蓄熱型バーナシステム
JP2966819B2 (ja) 蓄熱型熱交換器及びそれを利用した蓄熱型バーナシステム
JPH112341A (ja) 流路切換装置
JP4018789B2 (ja) フラッパ式三方弁
KR100631110B1 (ko) 자기축열식 단일튜브 버너의 흡배기 절환장치
CN114413028A (zh) 一种蓄热式燃烧器用换向阀及换向阀系统
JPH0612343Y2 (ja) 交互燃焼式バーナ装置
CN112212356A (zh) 一种多通道蓄热式空气预热器
JPH0741241U (ja) 交番燃焼用四方切換弁
JPH08193793A (ja) 高温気体が流れる流路の切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1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1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