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4448B1 -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448B1
KR100214448B1 KR1019960066160A KR19960066160A KR100214448B1 KR 100214448 B1 KR100214448 B1 KR 100214448B1 KR 1019960066160 A KR1019960066160 A KR 1019960066160A KR 19960066160 A KR19960066160 A KR 19960066160A KR 100214448 B1 KR100214448 B1 KR 100214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children
sheet member
fixing membe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7647A (ko
Inventor
유광호
Original Assignee
유현복
에이펨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복, 에이펨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현복
Priority to KR1019960066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448B1/ko
Publication of KR1998004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A47K10/06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combined with means for drying tow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용 변기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출에 의한 시트부재 및 고정부재를 형성하고, 이를 접착제를 접착시킴으로서 제조공정이 간단할 뿐만아니라 이음부분이 없게 하여 어린이등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그 구성은 탄성을 가지는 발포성 우레탄 또는 PVC 등을 금형에 의하여 유아들이 사용하기 알맞는 크기로 중앙에 관통구멍이 뚫어진 시트부재를 형성시키는 제1공정과, 플라스틱등으로 상기 시트부재가 재치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하부에 좌변기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도록 수직벽을 가지는 고정부재를 형성하는 제2공정과, 제1공정에서 완성된 시트부재의 하면에 제2공정에서 완성된 고정부재의 지지판을 맞대어 접착제로 일체화시키는 제3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좌변기의 변기시트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성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성인용으로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좌변기를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변기시트에 어린이를 앉히고 잡아주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에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좌변기의 사용을 기피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변기시트의 후축에 경첩식으로 결합된 어린이용 변기시트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어린이용 변기시트는 플라스틱재의 얇은 판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감촉이 좋지 않아 어린이들이 사용을 꺼려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울러 단일 부재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중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되더라도 변기시트 전체를 교체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3에 도시된 것처럼 또 다른 형태의 어린이용 변기시트(10)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 변기시트(10)는 탄성을 갖는 스폰지등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금형을 이용하여 유아들이 사용하기에 알맞는 크기로 중앙에 관통구멍(21)이 뚫어진 쿠션부재(20)를 형성하는 제1공정과; 상기 쿠션부재(20)와 동일한 크기로 목재, 플라스틱 등의 중앙에 관통구멍(31)을 뚫어 지지부재(30)를 형성하는 제2공정과; 상기 쿠션부재(20)를 지지부재(30)의 상면에 재치함과 아울러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닐 등의 커버부재(41)로 감싸고 서로 맞닿는 부분을 고주파 접착하여 시트부재(40)를 형성하는 제3공정과; 좌변기(60)의 관통구멍(61)에 삽입되도록 플라스틱 등으로 수직벽(51)을 형성하고, 이 수직벽(51)에 다수의 플랜지(52)를 갖는 고정부재(50)를 형성하는 제4공정과; 시트부재(40)의 하면에 고정부재(50)를 맞대고 스크류(53)를 이용하여 고정부재(50)의 플랜지(52)를 시트부재(40)에 고정시키는 제5공정을 통해 제작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어린이용 변기시트(10)는 상기된 것처럼 여러단계의 공정을 거쳐 제작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버부재(41)의 내부에 스폰지 등의 쿠션부재(20)와 목재, 플라스틱등의 지지부재(30)를 넣고 일측을 고주파 접착하여 시트부재(40)를 제작함에 따라 사용중에 비닐로 이루어진 커버부재(41)가 쉽게 파손(터짐)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주파 접착부분도 쉽게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사출을 통해 시트부재와 고정부재를 형성하고, 이를 접착제로 결합시킴에 따라 제조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이음부분의 제거를 통해 파손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키는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탄성을 갖은 발포성 우레탄 또는 PVC 등을 금형에 주입하여 어린이들이 사용하기 알맞는 크기로 중앙에 관통구멍이 뚫어진 시트부재를 형성하는 제1공정과; 상기 시트부재가 재치되는 지지판과 좌변기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수직벽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재를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하는 제2공정과; 상기 시트부재의 하면에 고정부재의 지지판을 맞대어 접착제로 일체화시키는 제3공정을 구비하되, 상기 수직벽은 고정부재 하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어린이용 변기시트를 좌변기에 재치시킨 상태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통구멍 2 : 시트부재
3 : 지지판 5 : 고정부재
6 : 접착제 10 : 어린이용 변기시트
51 : 수직벽 60 : 좌변기
61 : 관통구멍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용 변기시트(10)는 탄성을 갖는 발포성 우레탄 또는 PVC등을 금형에 주입하여 어린이들이 사용하기 알맞는 크기로 중앙에 관통구멍(1)이 뚫어진 시트부재(2)를 형성하는 제1공정과, 상기 시트부재(2)가 재치되는 지지판(3)과 좌변기(60)의 관통구멍(61)에 삽입되는 수직벽(4)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재(5)를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하는 제2공정과, 시트부재(4)의 하면에 고정부재(5)의 지지판(4)을 맞대어 접착제(6)로 일체화시키는 제3공정을 통해 제작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용 변기시트(10)는 탄성을 갖는 발포성 우레탄 또는 PVC 등을 사출성형기에 넣어서 용융시키고, 이 용융수지를 노즐을 통해 금형내로 사출시켜 어린이들이 사용하기 알맞는 크기로 중앙에 관통구멍(1)이 뚫어진 시트부재(2)를 완성한다. 이때, 금형의 형상을 변형시키면 제품의 형상을 다양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시트부재(2)가 재치되는 지지판(3)과, 좌변기(60)의 관통구멍(61)에 삽입되는 수직벽(4)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재(5)를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한다.
상기 수직벽(5)을 고정부재(5)의 하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하여 좌변기(60)의 관통구멍(61)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작된 시트부재(4)의 하면에 고정부재(5)의 지지판(4)을 맞대고, 그 사이에 접착제(6)를 넣어 프레스 금형으로 일체화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용 변기시트(10)가 완성된다.
상기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어린이용 변기시트는 사출을 통해 시트부재 및 고정부재를 형성하고, 이를 접착제를 결합시킴에 따라 제조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이음부분이 제거되어 파손의 위험성은 최소화된다.

Claims (1)

  1. 탄성을 갖는 발포성 우레탄 또는 PVC 등을 금형에 주입하여 어린이들이 사용하기 알맞는 크기로 중앙에 관통구멍이 뚫어진 시트부재를 형성하는 제1공정과; 상기 시트부재가 재치되는 지지판과 좌변기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수직벽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재를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하는 제2공정과; 상기 시트부재의 하면에 고정부재의 지지판을 맞대어 접착제로 일체화시키는 제3공정을 구비하되, 상기 수직벽은 고정부재 하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제조방법.
KR1019960066160A 1996-12-16 1996-12-16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제조방법 KR100214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160A KR100214448B1 (ko) 1996-12-16 1996-12-16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160A KR100214448B1 (ko) 1996-12-16 1996-12-16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647A KR19980047647A (ko) 1998-09-15
KR100214448B1 true KR100214448B1 (ko) 1999-08-02

Family

ID=1948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160A KR100214448B1 (ko) 1996-12-16 1996-12-16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076B1 (ko) * 2011-06-16 2013-08-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
JP6214148B2 (ja) * 2012-11-15 2017-10-18 コンビ株式会社 乳幼児用補助便座及び乳幼児用便器
JP6214147B2 (ja) * 2012-11-15 2017-10-18 コンビ株式会社 乳幼児用補助便座及び乳幼児用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647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9644A (en) Method of molding skin-covered foamed plastic article
EP1083817B1 (en) Toilet seat and lid assembly
KR100214448B1 (ko)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제조방법
JPH0857890A (ja) プラスチック厚板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方法で得られる厚板
JPS5821701Y2 (ja) シ−トクッション用モ−ルドウレタンフォ−ムの成形型
JP4717982B2 (ja)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用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7296698A (ja) 発泡性樹脂成形方法および成形用型構造
JPH0691662A (ja) 面ファスナ一体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面ファスナ 一体発泡成形品
KR950026437A (ko) 폴리우레탄 가장자리부 보호대가 일체로 성형된 가구의 판재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245769B1 (ko) 가구용 쿠션재
US6746085B1 (en) Blow molded, backfilled process and product
JP2956876B2 (ja) 真空成形品
JPH1061336A (ja) 額縁材及びその製造方法
ITVI980007A1 (it) Metodo per il costampaggio di materie plastiche pemetodo per il costampaggio di materie plastiche per la realizzazione di supporti elastici integralir la realizzazione di supporti elastici integrali, nonche' supporti ottenuti con tale me , nonche' supporti ottenuti con tale me
EP1433585A2 (en) A framed panel and its process of forming
JP2005313388A (ja) シート用パッドの製造方法
JPS59179325A (ja) 車両用合成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H06106627A (ja) 異硬度発泡クッション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172011B2 (ja) カウンター天板の製造方法
JP2002331546A (ja) シフトノブ及びシフトノブの製造方法
JPH0321937Y2 (ko)
JPH0396429A (ja) ドアライニングの形成方法
JP2666045B2 (ja) 洗面台
KR20010063564A (ko) 칸막이용 보드 및 그 제조방법
JP2680381B2 (ja) 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