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3750B1 -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750B1
KR100213750B1 KR1019930028246A KR930028246A KR100213750B1 KR 100213750 B1 KR100213750 B1 KR 100213750B1 KR 1019930028246 A KR1019930028246 A KR 1019930028246A KR 930028246 A KR930028246 A KR 930028246A KR 100213750 B1 KR100213750 B1 KR 100213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rubber member
auxiliary
tube
outer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278A (ko
Inventor
배현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30028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750B1/ko
Publication of KR95001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75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부시의 강성을 방향에 따라 다르게 형성하여 현가장치의 컨트롤 링크 특성에 맞추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컨트롤 아암의 파이프에 용이하게 삽입될수 있고, 내, 외측관 사이에 삽입되는 부시가 큰 압입량을 가지고 삽입되어 견고한 삽입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ㅇ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관과; 컨트롤 아암과 일체로 형성되는 외측관과; 상기 내측관과 외측관 사이에 삽입되는 가류된 고무부재와; 그리고 상기 고무부재의 외주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보조관을 포함하며, 고무부재는 상기 보조관이 배치되는 방향으로의 두께는 이것이 삽입되는 상기 외측관의 내경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되며, 상기 보조관이 배치되지 않는 방향의 두께는 외측관의 내경보다 얇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고정된 부시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측관에 삽입되기 전의 부시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측관에 삽입된 부시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횡단면도.
제 4도는 종래의 부시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외측관에 삽입전의 부시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횡단면도.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아암의 파이프에 압입되는 부시의 구조를 변형하므로서 휠의 전, 후, 횡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설명]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때 차측이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새시스프링과, 새시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하는 쇽업소오버, 그리고 자동차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느 스테이빌라이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가장치는 휠에 발생되는 구동력, 제동력, 선회시의 원심력등을 이겨낼 수 있는 방향의 견고한 연결을 위해서 다수의 링크를 차체에 연결하는데, 그의 연결수단으로서 부시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시는 차량의 회전 및 제동시에 차체로 전달되는 외력을 완충함과 동시에 각 차륜이 차체에 대하여 바른 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부시에 있어서, 그 스프링 특성은 차량의 승차감 및 나아가서는 주행 안정성능 및 조종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바, 현가장치의 설계시 휠에 가해지는 여러 조건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가장 이상적인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래의 고무부시를 살펴보면, 제4도 및 제5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 측관(51)의 외주부에 인서트(Insert)(52)와 고무부재(50)를 개재시켜 형성하되, 상기 고무부재(50)와 인서트(52)의 일측에 플랜지부(53)(54)를 형성하여 양측단(56)(57)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볼트(58)와 너트(59)로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고무부시는 휠의 상하 요동에 의한 콘트롤 아암의 회동시 고무부재(50)가 비틀림력을 받으면서, 그의 스프링 특성으로 콘트롤 아암의 상하 회동에 저항을 하게 된다.
그리고 휠에 전후력이 가해질 때에는 고무부재가 압축 또는 신장 변형을 이루면서 그의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외측관의 사이에 삽입되는 고무부재가 내측관을 중심으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어 큰 압입량으로 삽입되어 있지 못하여 견고한 삽입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견고한 압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압입량을 증대시킬 경우, 컨트롤 암의 압입관에 삽입할때 작업이 힘들며 고무가 찌그러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에 따라 부시의 강성을 다르게 형성하여 현가장치의 컨트롤 링크 특성에 맞추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부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트롤 아암의 파이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부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 외측관 사이에 삽입되는 부시가 큰 압입량을 가지고 삽입되어 견고한 삽입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부시를 제공함에 있다.
[수단]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관과; 컨트롤 아암(도시생략)과 일체로 형성되는 외측관(3)과; 상기 내측관과 외측관 사이에 삽입되는 가류된 고무부재와; 그리고 상기 고무부재의 외주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보조관을 포함하며, 고무부재는 상기 보조관이 배치되는 방향으로의 두께는 이것이 삽입되는 상기 외측관의 내경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되며, 상기 보조관이 배치되지 않는 방향의 두께는 외측관의 내경보다 얇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로서, 내측관(1)과; 컨트롤 아암(도시생략)과 일체로 형성되는 외측관(3)과; 상기 내측관(1)과 외측관(3) 사이에 삽입되는 가류된 고무부재(5)와; 상기 고무부재(5)의 외주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보조관(7, 7')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보조관(7, 7')과 고무부재(5)의 일단부에는 이것들이 내, 외측관 사이로 압입될 때 그 압입 깊이를 제어하고, 차량의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플렌치(71),(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2 보조관(7, 7')사이의 거리는 일단이 타단보다 근접하게 되도록 테이퍼부(70, 70')를 형성으로 하여 내, 외측관 사이에 삽입시 입구부에서 압입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시는 통상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차체에 형성된 브라켓(9)과 상기 내측관(1)을 관통하는 볼트(11)를 너트(13)로 조여 차체에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구조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부시의 구조가 변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화할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관(7, 7')과 고무부재(5)의 관계를 제2도와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제2도는 내측관(1)관 제1 및 제2 보조관(7, 7')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고무부재(5)가 외측관(3)에 삽입전의 횡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보조관(7, 7')은 완전한 원통형이 아닌 아크형상의 원통으로(단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또한, 고무부재(5)는 상기 보조관(7, 7')사이에 배치되는데, 그 형상에 있어서, 상기 보조관(7, 7')이 배치되는 길이 방향으로의 고무부재의 길이가 그것의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실패형상을 가지게 구성한다.
즉, 도면상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원이 이 보조관(7, 7')을 포함하는 고무부재가 삽입될 외측관(3)의 내경이라고 하면, 이 고무부재를 원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실패모양으로 길게 형성하여 일 방향에서는 상기 외측관(3)의 내경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고, 타 방향에서는 좁게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결국 도면에서 볼때 이 이 고무부재가 외측관(3)에 삽입되었을 때의 압입량이 된다.
그리고 상기 고무부재(5)와 내측관(1)의 점착은 내측관에 횡처리하는 기법을 이용한다.
따라서, 고무부재(5)가 외측관(3)에 삽입시에는 용이한 삽입을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보조관(7, 7')의 테이퍼부(70, 70')측 부터 외측관의 입구로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보조관(7, 7')측의 고무부재가 압축되면서 상대적으로 적은 고무부재를 가지는 타측지역을 상기 압축된 고무부재가 상쇄하면서 삽입되게 되는데, 제3도는 보조관(7, 7')을 포함하는 고무부재가 외측관(3)에 압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보조관(7, 7')의 내측 두께는 차이를 두고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고무량을 적절히 컨트롤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고무량이 적을 경우는 스프링 정수가 증대하며, 고무량이 많은 경우는 스프링 정수가 감소하게 되므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관의 재질은 스틸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보다 용이한 성형을 위해서 플라스틱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따른 부시의 구조는 일방향으로 보조관을 형성하고 이 보조관의 방향으로 고무부재를 두껍게 형성하여 타방향과 강성이 다르게 형성하므로서, 현가장치의 각 링크의 특성에 맞추어 강성의 방향을 적절히 배치하므로서 차량의 특성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차량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컨트롤 아암의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진동과 충격이 전달되는 차량의 상하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유연한 강성을 가지는 도면에서의 K2방향, 즉 보조관(7, 7')이 배치되지 않은 방향이 차체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감한 감성을 가지고 대응해야되는 자체의 횡방향으로는 상기 보조관(7, 7')이 형성된 방향, 즉 도면상에서의 K1방향이 차체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시구조는 상기 보조관(7, 7')에 테이퍼를 형성하므로서 컨트롤 아암의 내측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부시구조는 고무부재(5)의 형상을 일방향으로 두껍게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어, 큰 압축량을 가지고 삽입되어 견고한 삽입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결국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부시구조는 인발력을 보지하며 스프링 정수를 유지하고, 아울러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구조이다.

Claims (1)

  1. 내측관 및 외측관(3)과; 상기 내측관과 외측관 사이에 삽입되는 가류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주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1 및 제2 보조관을 포함하며, 탄성부재의 두께는 상기 보조관이 배치되는 방향으로는 상기 외측관의 내경보다 크게, 상기 보조관이 배치되지 않은 방향으로는 외측관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어있는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부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보조관(7, 7')의 내측 두께가 차이를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
KR1019930028246A 1993-12-17 1993-12-17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213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246A KR100213750B1 (ko) 1993-12-17 1993-12-17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246A KR100213750B1 (ko) 1993-12-17 1993-12-17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278A KR950017278A (ko) 1995-07-20
KR100213750B1 true KR100213750B1 (ko) 1999-08-02

Family

ID=1937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24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3750B1 (ko) 1993-12-17 1993-12-17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7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278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305B1 (ko) 주물제작된 정점의 조절이 가능한 브이형 토크 로드
KR20070103191A (ko)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의 스트럿과 너클의 결합구조
US6074016A (en) Flexible axle embodying a crosspiece and trailing arms
US6425576B1 (en) Suspension arm bushing of vehicle
US10953719B2 (en) Rear axle suspension for a vehicle
JPH0643161B2 (ja) フレ−ム式柔構造車軸懸架装置
KR100213750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
US7086802B2 (en) Knuckle to tie rod damping system
JPH06179315A (ja) 自動車の後輪懸架装置
CN205836418U (zh) 一种改善舒适度的汽车悬架与车身连接的纵臂衬套总成
JPH0129127Y2 (ko)
KR100412858B1 (ko) 현가장치의 어퍼암
JPH11325145A (ja) 防振ゴムブッシュ
US6047957A (en) Vibration damping pivot bushing
KR20210014392A (ko) 자동차용 토션빔 액슬 타입 리어 현가장치
CN113928070B (zh) 一种牵引车集成悬挂转向桥
KR100192332B1 (ko) 어퍼암 부쉬
KR100316930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장착구조
KR100521190B1 (ko) 리프 스프링이 장착된 후륜현가장치 구조
KR100507177B1 (ko)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의 설치구조
JPH0320132A (ja) 車両用懸架装置の筒状弾性ブッシュ
JPH0654934U (ja) ブッシュ
KR200185453Y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
KR0139465B1 (ko) 에어 서스펜션 차량의 레디어스 로드 고정구조
KR960005202Y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 아암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05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051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