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3463B1 -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조작 기구 - Google Patents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조작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463B1
KR100213463B1 KR1019970011616A KR19970011616A KR100213463B1 KR 100213463 B1 KR100213463 B1 KR 100213463B1 KR 1019970011616 A KR1019970011616 A KR 1019970011616A KR 19970011616 A KR19970011616 A KR 19970011616A KR 100213463 B1 KR100213463 B1 KR 100213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piston
biological tissue
tip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564A (ko
Inventor
신명철
Original Assignee
신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철 filed Critical 신명철
Priority to KR1019970011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463B1/ko
Publication of KR970025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564A/ko
Priority to PCT/KR1998/000074 priority patent/WO1998043541A1/en
Priority to US09/402,280 priority patent/US6361504B1/en
Priority to AU68553/98A priority patent/AU68553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46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61B10/027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with sample notch, e.g. on the side of inner sty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체의 내부에 존재하는 병원 세포 조직의 표본을 채취할 수 있도록 된 의료용 바늘 및 그 조작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늘의 직경을 작게하면서도 채취되는 표본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을 사용하기 위한 조작 기구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내경이 타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타원형의 내경을 갖는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 기구는 바늘이 장착되어 병진 운동 및 회전 운동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병진 운동 및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부를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욱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바늘의 병진 운동 및 회전 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 공압을 이용한 조작 기구와,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기어이의 조합을 이용한 조작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타원의 단면을 갖는 바늘을 제조하는 방법은 내경이 타원을 갖도록 인발하는 단계와, 상기 인발된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의 길이로 절단된 바늘의 선단 내측을 테이퍼지게 절삭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조작 기구
본 발명은 생물체의 내부에 존재하는 병원 세포 조직의 표본을 채취할 수 있도록 된 의료용 바늘 및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조작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초음파 검진과 병행하여 실시되는 조직검사를 위해서는 생체 조직의 일부를 채취하여야 한다.
생체 조직의 표본을 채취하기 위한 종래의 의료용 바늘은 보통 아래 설명도는 바와 같이 실버만 니들(Silverman Needle)과 코어 니들(Core Needle) 두 가지의 종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실버만 니들(Silverman Needle)이라 불리우는 종래 의료용 바늘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원의 단면을 갖는 아우터 니들(Outer Cannula,1)과, 생채 조직을 집어내기 위해 선단이 두갈래로 갈라진 스플리트 니들(Split Neele,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버만 니들을 사용하여 생체 조직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채취하고자 하는 장기 또는 종양의 위치까지 아우터 니들(1)을 삽입하고, 스플리트 니들(3)을 조직 내로 전진시킨다. 이때 상기 스플리트 니들(3)의 선단은 탄성력 및 생체 조직의 저항에 의해 소정 구간 벌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아우터 니들(1)을 전진시키면 스플리트 니들(3)은 오므라들면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 조직의 양측면을 분리시켜 집게 된다. 이때 아우터 니들(1)과 스플리트 니들(3)을 함께 1~2회 회전시키면 생체 조직이 분리되어 채취된다.
다음에, 코어 니들(Core Needle)이라 불리우는 종래 의료용 바늘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원의 단면을 갖는 외부 바늘(Outer Needle,5)과, 그 내부에 삽입되어 생채 조직을 집어내기 위한 내부 바늘(Inner Needle,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바늘(7)은 불필요한 조직 부분이 외부 바늘(5)에 유입되지 않도록 중실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선단에서 약4~5mm정도에는 소정 구간의 오목홈(7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코어 니들을 사용하여 생체 조직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내부 바늘(7)을 외부 바늘(5)에 삽입한 상태에서 채취하고자 하는 생체 조직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바늘(7)을 전진시키면 생체 조직의 일부분이 내부 바늘(7)의 오목홈(7a)에 들어오게 된다. 이때 외부 바늘(5)을 전진시키면 생체 조직이 잘라져 내부 바늘(7)의 오목홈(7a)에 유입됨으로써 생체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실버만 니들은 외부바늘의 내부에 삽입된 스플리트 니들에 의해 채취되는 구조이므로, 필요한 양의 표본을 얻기 위해서는 외부 바늘이 굵어진 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플리트 니들은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생체 조직이 단단한 부위에는 침투시키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현재 조직이 부드러운 간에만 사용하고 있다.
한편, 후술한 코어 니들은 바늘의 굵기에 따라 6∼8 종류가 생산되고 있으나, 내부 바늘의 선단에 형성된 오목홈의 길이는 두가지 타입으로 정해져 있다. 즉 선단으로부터 약 4~5mm 정도에서 시작도는 오목홈이의 길이가 17mm타입과 8mm타입으로 정해져 있다.
실제 사용자들은 조직의 채취량이 적어 8mm타입은 ㄱ의 사용하지 않고 17mm타입의 내부 바늘을 사용하고 있지만, 상기 17mm타입의 바늘도 채취량이 적기 때문에 바늘의 직경이 큰 것을 사용하거나 수 회 반복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채취하고자 하는 표본이 위험한 장기의 근처에 있는 경우에는 장기를 다치지 않게 하기 위해 조심스럽게 시술하는데, 코어 니들은 내부 바늘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홈에 표본이 채취되는 구조이므로, 시술자가 위도한 바대로 표본을 채취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늘의 선단이 오목홈에서부터 4~5mm정도 연장된 구조이므로 채취하고자 하는 표본의 위치보다 그 만큼 더 깊이 침투된 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이런 경우에는 자동기계(Auto Biopsy Gun)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없어 (Auto Biopsy Gun은 완전한 작동만 실시되므로 침투 깊이가 정해져 있다.)수작업으로 바늘을 작동시키게 되는데, 어떤 경우 20kgf 이상의 힘을 가해야 하므로 바늘의 침투 작업이 수작업으로는 쉽지 않고, 바늘이 침투되더라도 생체 조직이 용이하게 잘라지지 않으므로 실제로는 거의 사용할 수 없다.
정리해보면, 생체 조직 채취를 목적으로한 상기 두 가지 타입의 의료용 바늘은 외부 바늘에 내부 바늘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바늘의 굵기에 비하여 생체 조직의 채취량이 적기 때문에 원하는 양의 생체 조직 표본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수 회의 시술이 요구되거나 큰 직경의 바늘을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수 회 반복하여 생체 조직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1회 실시되었던 부분에서 외부 바늘을 뺀 후, 다시 침투시켜야 재실시가 가능하므로 여러 곳에 창상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늘의 직경이 크므로 창상이 크고 침투 시 소요되는 힘이 크게 요구된다는 시술 작업상의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실버만 니들의 경우처럼 생체 조직이 단단한 부분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으며, 코어 니들의 경우는 채취하고자 하는 표본의 상태가 액상 또는 기상일 경우에는 채취할 수 없는 등 사용되는 범위의 폭이 작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실버만 니들이나 코어 니들은 소정 깊이 이상 침투되어야 채취가능한 구조이므로, 외피나 외피에 근접한 병변을 조직 검사하기 위해서는 실버만 니들이나 코어 니들은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늘의 직경을 작게하면서도 표본의 채취량을 크게 할 수 있는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이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을 사용하기 위한 조작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종래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일 예인 실버만 니들을 나타내는 일단면도.
제2도는 실버만 니들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단면도.
제3도는 종래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다른 예인 코어 니들을 나타내는 일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선단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선단 외측이 테이퍼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에 의해 채취된 생체 조직의 표본 모양을 나타내는 일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에 의해 채취된 생체 조직의 표본 모양을 나타내는 일단면도.
제8, 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선단 내, 외측이 테이퍼진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과, 바늘에 삽입된 탐침을 나타내는 일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바늘의 선단을 절삭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일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장치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선단을 절삭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4실시예에 따른 조작기구의 분해사시도.
제13도는 제4실시예에 따른 조작기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 표본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5실시예에 의한 조작기구의 조립단면도.
제15도는 제5실시예에 따른 조작기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그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 표본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6실시예에 의한 조작기구의 조립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 표본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7실시예에 의한 조작기구의 조립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N : 바늘 S : 표본
10 : 피스톤 18 : 멈춤쇠
20 : 캡 22: 손잡이
26 : 스프링 30 : 내부케이스
32 : 가이드 슬롯 32a : 고정홈
40 : 외부케이스 46 : 가이드부재
100 : 탐침 110 : 피스톤
120 : 압축스프링 112 : 지지부
114 : 멈춤쇠 130 : 내부케이스
134 : 가이드 슬롯 140 : 외부케이스
142 : 조작틀 150 : 스파이럴 스프링
160 : 록커 162 : 일방향 홈
170 : 스트라이커 172 : 고정돌기
210 : 실린더 211 : 제1포트
213 : 제2포트 215 : 제3포트
217 : 제4포트 220 : 피스톤
222 : 플레이트 230 : 블레이드
310 : 실린더 320 : 피스톤
322 : 래크 324 : 링기어
332 : 피니언 334 : 구동기어
340 :제1모터 350 : 제2모터
410 : 틀 420 : 증실봉
430 : 커터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 바늘 없이 외부 바늘만으로도 생체 조직을 채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바늘의 직경을 종래 보다 크게 하지 않곳도 상대적으로 많은 표본을 채취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은 내경이 타원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바늘을 채취하고자 하는 생체 조직에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바늘에 의한 비틀림 하중에 의해 생체 조직의 표본이 절개되게 한다. 이는 바늘의 내경이 전원이 아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바늘의 내경을 사각형 또는 삼각형과 같이 다각형으로 형성하여도 생체 조직의 표본은 절개되어 채취할 수 있지만, 인발, 압축가공의 편의성이나, 비틀림시의 충격을 고려하거나, 채취되는 조직의 양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타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바늘의 선단 내측이 데이퍼(Bevel)진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도 제공한다. 이는 채취되는 생체 조직 표본의 양을 크게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을 제조하는 방법은 내경이 타원을 갖도록 인발하는 단계와, 상기 인발된 바늘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의 길이로 절단된 바늘의 선단 내측을 테이퍼지게 절삭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늘이 생체 조직에 용이하게 침투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바늘의 선단 내측을 테이퍼지게 절삭한 다음 바늘의 선단 외측을 테이퍼지게 절삭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늘의 내경을 타원으로 만들기 위한 인발과정 대신에 바늘의 길이 방향 외주면 양측에 소정의 압축 하중을 가하여 바늘의 외경도 타원을 갖도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바늘의 직경이 작아서 내경이 타원의 단면을 갖도록 인발하기 어려운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된 타원형의 내경을 갖는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 기구는 바늘이 장착되어 병진 운동 및 회전 운동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병진 운동 및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를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채취하고자 하는 생체 조직이 단단하여 큰 힘이 요구될 경우에는 바늘의 병진 운동을 위한 작동부와 회전 운동을 위한 작동부를 구분하여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조작 기구는 예컨대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을 이용하여 작동부를 병진 운동시키거나 회전 운동시킬 수 있으며, 공압 또는 유압 그리고,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도는 기어이의 조합으로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원의 단면을 갖는다.
여기서 타원이라는 것은 수학적 공식에 의거하여 특정식(예컨대 x2/a2+y2/b2=1)을 만족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진원에 비하여 장경과 단경으로 나뉘어질 수 있을 정도의 통속적 의미의 타원을 의미한다.
여기서, 타원의 모양은 장경과 단경의 비가 1보다 너무 작거나 너무 크기않게 한다. 장경과 단경의 비가 1보다 너무 크거나 작게되면 단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생체 조직 표본을 많이 채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회전 저항이 커진다.
회전 저항 및 생체 조직의 절삭 능력을 고려함과 아울러 많은 생체 조직 표본을 얻기 위한 장단경의 비는 1.6~2 : 1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와 같이 타원의 단면을 갖는 바늘을 생체 조직의 채취하고자 하는 부위에 침투시킨 상태에서 1~2회 회전시키면 생체 조직의 표본이 절개되면서 바늘 안으로 유입된다. 이 상태에서 바늘을 뽑으면 생체 조직의 표본이 채취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N)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 조직에 침투하기 용이하도록 예리한 각도(α)로 커팅되어 있다. 그리고, 생체 조직 표본이 바늘(N) 안으로 유입되는 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바늘(N)의 선단을 내측으로 테이퍼(β)되어 있다.
실험에 의하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테이퍼된 종래의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N)을 사용한 표본(5)의 모양은 단면이 사다리꼴의 모양을 하고 있다.
반면에,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테이퍼된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을 사용한 표본(S)의 모양은 단면이 역사다리꼴의 모양을 하고 있다.
설명하면, 종래의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은 생체 조직에 침투할 때 표본이 바늘의 내경 끝부분에 의해 절개되어 바늘 안으로 밀려 들어오게 됨에 따라 표본이 바늘 안으로 진입되면서 점점 밀도가 높아져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표본을 채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늘의 테이퍼각은 바늘의 외경과 내경의 차, 즉 바늘의 두께와 직경에 따라 적정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에 의하면, 내부 바늘이 없이도 표본 채취가 가능한 구조이므로 바늘의 직경을 종래의 바늘보다 작게 하고서도 많은 양의 표본을 채취할 수 있다.
또한, 바늘의 진행 방향 정면에서 표본이 채취되는 구조이므로 시술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즉, 채취하고자 하는 표본이 위험한 장기의 근처에 있더라도 시술자는 위험한 장기를 피하여 시술할 수 있다.
또한, 바늘의 침투 깊이에 따라 바늘 안으로 밀려들어오는 표본의 채취량이 달라지는 구조이므로, 채취량은 임의로 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주사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흡인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채취하고자 하는 표본이 액체 상태 또는 기상 상태에 구애됨 없이 채취 가능하다.
이에 반해 종래의 실버만 니들과 코어 니들에서는 내부 바늘만 제거할 수 없으므로 기체 상태의 표본은 물론이고, 액체 상태의 표본도 흘러내리게 되어 채취할 수 없다.
[제2실시예 : 안쪽과 바깥쪽으로모두 테이퍼진 바늘]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쪽으로 테이퍼진 바늘로 인하여 보다 많은 양의 조직을 채취할 수 있게 되고, 특히 표피조직일 경우 내, 외부바늘을 가지고 내부바늘에 의해 조직을 채취하는 종래의 코아니들이나 실버만 니들에 비하여 아주 탁월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런데, 종양 등이 살속 깊숙히 있을 때에는 여기까지 이동하기 위해서는 탐침(stylet,100)이 필요하게 된다. 이 탐침은 외부바늘에 외피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과 아울러 침투 시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는 제8도와 제9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 탐침은 내부바늘로 목표위치에 가서는 탐침을 빼고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외부바늘로만 조직샘플을 채취하게 되므로 내부바늘에 의해 조직을 샘플하는 종래의 실버만니들이나 코아니들에 비해서 환자의 창상을 작게하고도 많은 양을 채취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살 속내부로 내부바늘인 탐침(100)을 이용해서 전진할 경우 내부로 테이퍼진 바늘의 끝으로 인하여 테이퍼진 부분이 많은 저항을 받게 된다.
이러한 경우 침투시 필요없는 부분의 조직까지 손상을 줄 우려가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바늘의 외부도 테이퍼지고 내부도 테이퍼진 바늘을 개시한다.
이것은 침투시의 저항을 작게하는 것만을 고려한 종래의 바늘의 장점을 수용하면서도 실제 바늘의 내부로 들어오는 샘플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안이 된다.
여기서 외부테이퍼와 내부테이퍼의 각도는 제8도 및 제9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테이퍼를 탐침의 테이퍼와 같은 경사로하여 침투를 용이하게 하고, 내부테이퍼는 약간 완만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테이퍼의 각도가 내부테이퍼의 각도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될 탐침의 모양은 제8도 및 제9도에 예시되어 있으나, 탐침의 모양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을 지닐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3실시예 :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내부 테이퍼작업은 다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조된다.
전원의 외경을 가지며 내경은 타원을 갖도록 바늘을 일발한다.
다음에, 상기 인발된 바늘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한다. 이때, 절단 각도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리한 각도 α를 갖게 한다.
그리고,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임의의 길이로 절단된 바늘(N)을 틀(410)에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틀(410)은 바늘(N)의 외경과 대체로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선단의 내측이 테이퍼진 중공형의 부재이다.
다음, 바늘(N)의 선단 직경을 소정 구간 확대시키기 위해 상기 바늘(N)의 선단에 중실봉(420)을 끼워 압축한다. 여기서, 상기 중실봉(420)은 상기 틀(410)의 테이퍼면과 동일한 각도로 테이퍼되어 있다. 상기 공정에 의해 바늘(N)의 선단은 틀(410)과 중실봉(420)의 테이퍼각과 동일한 각도로 확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바늘(N)에서 틀(410)을 이탈시킨다.
그리고,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틀(410)의 내경과 대체로 동일한 내경 즉, 바늘(N)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커터(430)를 상기 바늘(N)에 삽입하여 병진시킴으로써 상기 바늘(N)의 확대된 선단을 절삭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이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선단이 내측으로 테이퍼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바늘의 외경은 진원으로하고 내경만 타원의 단면을 갖도록 인발하였으나, 바늘의 직경이 작아 인발 작업이 곤란할 경우에는 바늘의 길이 방향 외주면 양측에 소정의 압축 하중을 가하여 바늘의 외경도 타원을 갖게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단, 바늘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생체 조직 안에서 회전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은 약 2mm이하의 외경을 갖는 바늘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이루어지는 타원의 장경과 단경의 비는 제1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1.6~2 : 1로 한다.
[제4실시예 :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는 타원의 단면을 갖는 바늘을 병진 운동 및 회전 운동 시킴으로써 생체 조직을 채취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써, 바늘이 장착되어 병진 운동 및 회전 운동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병진 운동 및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를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욱 포함한다.
제12도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가 탄성재인 스프링인 것이 특징인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장경부(11)와 단경부(12)를 갖는 중공형의 파이프로 구성된 피스톤(10)의 일단은 바늘(N)을 끼워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캡(20)을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10)의 타단은 손잡이(22)를 결합하도록 나사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10)의 장경부(11) 외주면 일측에는 멈춤쇠(18)가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10)의 단경부(12)는 내부케이스(30)에 삽입되는 바, 여기에는 스프링(26)을 개재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내부케이스(30)에는 상기 피스톤(10)의 멈춤쇠(18)가 통과되도록 가이드 슬롯(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슬롯(32)에는 상기 멈춤쇠(18)를 임의의 구간에서 임시 고정시킬 수있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30)의 일단에는 상기 피스톤(10) 단경부(12)의 외경과 대체로 동일한 직경의 구멍이 있는 격벽(34)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26)을 지지함과 동시에 피스톤(10)이 흔들리지 않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스프링(26)의 일단은 상기 피스톤(10)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26)의 타단은 내부케이스(30)에 고정되는 바, 이는 한 개의 스프링으로 길이 방향의 압축 탄성과 회전 방향의 비틀림 탄성을 겸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내부케이스(30)에는 공회전 가능하게 외부테이스(40)가 삽입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외부케이스(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작틀(42)이 삽입되어 핀(44)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스(40)에는 피스톤(10)에 돌출된 멈춤쇠(18)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도록 슬롯(4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46)의 부재는 상기 내부케이스(30)와 결합되어 피스톤(1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의 작동을 제1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표본 채취용 바늘(N)을 피스톤(10)의 선단에 결합하고 캡(20)으로 고정한다.
다음, 피스톤(10)을 1~2회 회전시켜 스프링(26)에 비틀림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10)을 후진시켜 스프링(26)에 압축 하중을 가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10)의 외주에 돌출된 멈춤쇠(18)는 내부케이스(30)의 가이드 슬롯(32)을 따라 이동되는 바, 상기 가이드 슬롯(32)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32a,제12도참조) 중에서 임의의 고정홈(32a)에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피스톤(10)을 임시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채취하고자 하는 생체 조직에 바늘(N)의 선단을 위치시키고 조작틀(42)을 회전시켜 멈춤쇠(18)를 가이드 슬롯(32)의 고정홈(미도시)에서 이탈시키면 압축 상태의 스프링(26)이 팽창되면서 피스톤(10)이 전진하여 생체 조직의 원하는 부위에 도달한다.
그리고, 상기 멈춤쇠(18)가 내부케이스(30)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32)의 일측 끝(32b)을 빠져나옴과 동시에 비틀린 상태의 스프링(26)이 복원되면서 피스톤(10)이 1~2회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생체 조직은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바늘(N)에 의해 절개됨으로써 생체조직의 표본을 채취할 수 있다.
제13도에 표기된 부호 40은 외부케이스이고, 부호 46은 가이드부재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에 으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바늘이 침투되는 구조이므로 생체 조직의 채취를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다.
[제5실시예 :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
생체 조직을 채취하기 위해 바늘을 침투시키는 작업은 약 20kgf 이상의 힘이 필요하다. 이러한 힘을 얻기 위해서는 스프링 상수를 크게하면 되지만, 스프링 상수가 커지면 이와 비례하여 스프링을 압축하기 위한 조작력이 크게 요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는, 상기 제4실시예의 응용으로, 작동부를 병진 운동 시키기 위한 탄성수단과 회전 운동 시키기 위한 탄성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여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 구성은 제1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다음과 같다.
피스톤(110)의 병진 운동을 위해 설치되는 압축스프링(120)은 상기 피스톤(110)의 일단에 자유 상태로 삽입되어 내부케이스(130)에 수용되는 바, 피스톤(110)의 후진 동작에 따라 압축되도록 상기 피스톤(110)의 지지부(112)와 상기 내부케이스(130)의 격벽(132)에 양단이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케이스(130)에는 피스톤(110)에 돌출된 멈춤쇠(114)가 통과되도록 가이드 슬롯(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슬롯(134)에는 상기 멈춤쇠(114)를 임의 지점에 임시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130)에는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공회전 가능하게 외부케이스(140)가 끼워져 있고, 상기 외부케이스(1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일측에는 조작틀(142)이 끼워져 상기 내부케이스(140)에 핀(144)으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스(140)에는 멈춤쇠(114)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슬롯(14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피스톤(110)의 회전 운동을 위해 설치되는 장치는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파이럴 스프링(150)과,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150)이 압축된 상태로 임시 고정하기 위한 록커(160) 및 스트라이커(170)로 구성되는 바, 상기 록커(160)는 중심부에 사각형의 구멍이 있는 원반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면에는 톱니 모양으로 이루어진 4개의 일방향 홈(162)이 상기 사각형의 구멍 주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170)는 4개의 고정돌기(172)를 갖는 원통형의 바렐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172)의 끝단은 각각 상기 로커(160)의 일방향 홈(162)에 맞물리도록 톱니모양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록커(160)와 스트라이커(170)는 각각 피스톤(110)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바, 상기 스트라이커(170)의 고정돌기(172)는 제14도에서와 같이 가이드부재(180)의 슬롯(182)에 삽입되어 소정 구간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록커(160)는 스트라이커(170)의 고정돌기(172)에 맞물리도록 피스톤(110)에 삽입된 압축스프링(19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150)의 일단은 록커(160)의 외주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타단은 가이드부재(18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록커(160)의 중심부에 형성된 사각형의 구멍에 긴밀하게 삽입되도록 피스톤(110)의 소정 구간은 사각형을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피스톤(110)은 중공형의 파이프로 되어 액상 또는 기상의 생체 조직 표본을 흡인하여 채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는 제1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피스톤(110)을 소정 구간 회전시키면 상기 피스톤(110)에 스플라인 결합된 록커(160)가 회전되면서 스파이럴 스프링(150)을 압축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록커(160)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190)에 의해 상기 록커(160)의 일방향 홈(미도시)에 스트라이커(170)의 고정돌기(172)가 맞물려 임시 고정된다.
다음에, 피스톤(110)을 후진시키면 내부케이스(130)에 개재된 압축스프링(190)이 압축됨과 동시에 피스톤(110)의 지지부(112)에 돌출된 멈춤쇠(114)가 내부케이스(130)의 가이드 슬롯(134)에 통과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슬롯(134)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미도시)중 한 곳에 선택적으로 멈춤쇠(114)를 삽입하여 피스톤(110)의 병진 운동을 임시 고정한다.
다음에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바늘(N)이 선단을 채취하고자 하는 생체 조직의 표피에 고정한 상태에서 조작틀(142)을 조작하여 멈춤쇠(114)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면, 압축스프링(120)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110)은 전진하게 되고, 바늘(N)의 선단은 채취하고자 하는 생체 조직에 침투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110)의 지지부(112)는 스트라이커(170)의 기단을 타격하여 록커(160)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190)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스트라이커(170)를 소정 구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록커(160)의 일방향 홈(미도시)에 맞물린 스트라이커(170)의 고정돌기(172)가 해제되면서 스파이럴 스프링(15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150)이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110)이 회전된다.
따라서, 피스톤(110)의 선단에 결합된 바늘(N)이 회전되면서 생체 조직이 절개되어 채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에 의하면, 피스톤의 병진운동을 위한 압축스프링과 회전운동을 위한 스파이럴 스프링을 별도로 설치함에 따라 채취하고자 하는 생체 조직의 밀도가 크더라도 용이하게 침투시켜 생체 조직의 표본을 채취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는 공압을 이용하여 피스톤의 병지운동 및 회전운동을 가능케 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제1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린더(210) 내에서 가이드되는 피스톤(220)에는 상기 실린더(210)를 두 개의 방(A,B)으로 구분시키도록 플레이트(222)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두개의 방(A, B)은 피스톤(220)이 병진 운동됨에 따라 그 체적이 가변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210)에는 압축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두 개의 포트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바, 제1포트(211)는 A룸에 제2포트(213)는 B룸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210)의 제1포트(211) 및 제2포트(213)의 반대측에는 A룸 또는 B룸에 유입된 압축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제3포트(2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포트(215)는 실린더(210)의 선단 일측에 형성된 제4포트(217)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4포트(217)는 실린더(210)의 선단 내측에 설치된 물레방아 모양의 블레이드(230)에 연통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30)에는 피스톤(220)이 스플라인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23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220)이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A룸에 형성된 제1포트(211)에 압축 공기를 가하면 A룸의 공기가 팽창하면서 피스톤(220)을 전진시켜 A룸의 체적이 커진다. 이때 피스톤(220)의 선단에결합된 바늘(N)은 채취하고자 하는 생체조직에 침투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220)이 일정 구간 이동되어 제3포트(215)가 개방되면 상기 A룸에서 팽창된 공기가 토출되어 이와 연통된 제4포트(217)로 토출되면서 블레이드(230)를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230)에 스플라인 결합된 피스톤(220)이 회전하면서 생체 조직에 침투된 바늘(N)이 회전되어 생체 조직을 채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는 공압에 의해 피스톤이 병진 운동 및 회전 운동되는 구조이므로, 채취하고자 하는 생체 조직의 밀도에 따라서 공기압을 적절히 조절하여 피스톤의 진행 거리 및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7실시예 :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는 모터를 이용하여 피스톤의 병진 운동 및 회전 운동을 가능케 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제17도를참조하여 설명하는 다음과 같다.
실린더(310) 내에서 가이드되는 피스톤(320)의 외주면 일측에는 래크(3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310)의 일측에는 상기 래크(322)에 맞물리도록 제1모터(340)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피니언(33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320)의 래크(322)가 끝나는 부분의 선단 외주에는 링기어(324)가 형성되어 제2모터(350)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기어(334)와 맞물려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바늘(N)의 선단을 채취하고자 하는 생체 조직의 표피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모터(340)를 작동시키면 피스톤(320)의 래크(322)와 맞물린 피니언(332)이 회전되면서 상기 피스톤(320)을 전진 시킨다. 이때, 상기 피스톤(320)의 선단에 결합된 바늘(N)은 채취하고자 하는 생체 조직에 침투된다.
이 상태에서 제2모터(350)를 작동시키면 구동기어(334)가 회전되고, 이와 맞물린 링기어(324)가 회전되어 피스톤(32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피스톤(320)의 선단에 결합된 바늘(N)이 회전되면서 생체 조직을 절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는 모터의 동작에 따라 피스톤이 병진 운동 및 회전 운동되는 구조이므로, 모터를 적절히 조절하여 피스톤의 병진 거리 및 회전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4 내지 제7실시예에 걸쳐 설명된 피스톤에는 상기 피스톤에 나사결합되는 캡에 의해 바늘을 고정시켰으나, 바늘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캡)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끼워맞춤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은 내부에 삽입되는 니들 없이 타원의 단면을 갖는 외부 바늘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하기 용이하며, 제조 비용의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바늘로도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표본을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늘의 직경을 작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술 흔적인 창상을 작게할 수 있다.
그리고, 1회의 시술로 얻어지는 표본의 채취량이 적다고 생각되면, 바늘을 침투창 밖으로 제거하지 않고서도 수 회 반복하여 시술할 수 있다.
또한, 바늘의 끝부분에 표본이 채취되므로 바늘의 침투 깊이를 입의로 조절 할 수 있게되어 위험한 장기를 피하여 시술할 수 있다.
또한, 바늘의 끝부분에 표본이 채취되므로 바늘의 침투 깊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위험한 장기를 피하여 시술할 수 있다.
또, 바늘의 진행 방향 정면의 생체 조직을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 작업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채취하고자 하는 생체 조직에 액체나 기체가 포함된 경우에는 조작기구 자체가 주사기 구조이므로, 흡인함으로써 표본을 채취할 수 있으므로, 낭종인 경우에도 확인 가능하며, 천자 흡인 표본 검사 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갖는 본 발명의 바늘을 사용하면, 마취없이 사용하거나 국소 마취하에서 빈번히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병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는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간편한 구조이므로, 이동하기에 간편하고 소독하기 용이하다.
또한, 피스톤이 중공형의 주사기 모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액상 또는 기상의 표본을 흡인하여 채취할 수 있으며, 바늘을 조작기구에 결합한 상태에서도 탐침을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한 실시예와 약간의 구성을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겠으나, 이러한 변형된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이 청구범위를 보면 자명해질 것이다.

Claims (15)

  1. 작업자의 손과 같은 조작수단이 적용되는 제1선단과; 생체에 삽입되기 위하여 예리하게 커팅된 제2선단을 가지고 있으며, 단면이 타원형인 중공튜브형상으로, 상기 제2선단은 상기 타원형의 중공튜브의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는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선단은 상기 내측으로 테이펴져 있는 부분과 인접하여 형성되고 중공튜브의 외측으로 테이펴져 있는 부분을 더욱 포함하는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
  3. 작업자의 손과 같은 조작수단이 적용되는 제1선단과; 생체에 삽입되기 위하여 예리하게 커팅된 제2선단을 가지고 있는 중공튜브형상으로, 상기 제2선단은 상기 타원형의 중공튜브의 내측으로 테이퍼있는 부분과 상기 내측으로 테이펴져있는 부분과 인접하여 형성되고 중공튜브의 외측으로 테이펴져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튜브상의 단면은 타원인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
  5. 금속합금재질의 중공튜브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중공튜브를 인발하는 단계와; 상기 인발된 바늘을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중공튜브의 일측선단의 내경으로 테이퍼진 중실봉을 삽입하여 상기 일측선단의 내경을 확대하는 단계와; 상기 확대된 선단쪽의 외경을 상기 내경이 확대되지 않은 튜브의 외경과 동일하게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
  6. 제5항에 있어서, 바늘의 선단을 중실봉으로 확대하기 전에 바늘을 상기 중실봉의 테이퍼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가지는 틀에 끼우는 단계와, 중실봉으로 바늘의 선단을 확대한 후에 상기 틀을 빼내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 제조 방법.
  7. 바늘의 외경과 대체로 동일한 내경을 가지면 선단의 내측이 테이퍼진 중공형의 틀과, 상기 틀의 테이퍼면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선단이 테이퍼된 중실봉과, 상기 틀의 내경과 대체로 동일한 내경을 갖는 커터를 포함하는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내측 선단 테이퍼 절삭 기구.
  8. 재경이 진원으로 인발되고 적절한 길이로 커팅된 바늘을 외주방향에서 압축하여 타원모양의 내경을 각도록 하는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 제조방법.
  9. 바늘이 탈착가능하고 장착된 바늘에 병진 및 회전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바늘을 탈착가능하도록 하는 캡과, 상기 캡을 구비한 피스톤을 포함하는 작동부와; 상기 피스톤의 병진 운동 및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피스톤의 외주에 삽입된 가이드수단과, 상기 피스톤에 병진 및 회전탄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가이드수단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피스톤의 외주 일측에 돌출된 멈춤쇠와, 상기 멈춤쇠를 삽입하여 상기 피스톤을 임시로 고정하도록 상기 가이드수단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이 있는 슬롯을 포함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내부케이스(30)와 상기 내부케이스와 나사결합된 가이드부재(46)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의 고정홈은 내부케이스에 형성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인 생체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피스톤이 병진 운동을 구동하는 제1탄성수단과, 상기 피스톤의 회전운동을 구동하는 제2탄성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탄성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손잡이부쪽에서 상기 가이드수단인 내부 케이스내에서 병진 탄성운동을 하며, 상기 제2탄성수단은 피스톤의 외주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회전탄성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탄성수단의 충격으로 상기 제2탄성수단이 회전탄성운동을 하는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수단은 상기 피스톤에 스플라인 결합되며 일면에 다수의 일방향 홍미 형성된 록커와, 상기 피스톤의 지지부에 의해 타격되도록 상기 피스톤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고정돌기를 갖는 스트라이커와, 상기 록커의 일방향 홈에 상기 스트라이커의 고정돌기가 맞물리도록 상기 록커와 상기 스트라이커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 기구.
  14. 압축 공기 공급 수단에 연결 가능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제1포트와 제2포트, 그리고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제3포트와 제4포트를 갖는 실린더와, 상기 제3포트를 통과하여 상기 제4포트로 토출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실린더 내에 설치된 블레이드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병진 운동 및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블레이드에 스플라인 결합된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를 두 개의 방으로 구분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포트와 제2포트사이에서 왕복되면서 상기 제3포트를 개폐하도록 상기 피스톤에 설치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 기구.
  15. 외주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래크, 그리고 상기 래크의 끝부분에 설치된 링기어를 갖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 및 회전 운동을 가이드하는 실린더와, 상기 래크에 맞물리도록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 수단의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피니언과, 상기 링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 수단의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의 조작 기구.
KR1019970011616A 1997-03-31 1997-03-31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조작 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0213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616A KR100213463B1 (ko) 1997-03-31 1997-03-31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조작 기구
PCT/KR1998/000074 WO1998043541A1 (en) 1997-03-31 1998-03-31 Biopsy needle, method for fabricating,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he same
US09/402,280 US6361504B1 (en) 1997-03-31 1998-03-31 Biopsy needle, method for fabricating,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he same
AU68553/98A AU6855398A (en) 1997-03-31 1998-03-31 Biopsy needle, method for fabricating,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616A KR100213463B1 (ko) 1997-03-31 1997-03-31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조작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564A KR970025564A (ko) 1997-06-24
KR100213463B1 true KR100213463B1 (ko) 1999-08-02

Family

ID=1950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61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3463B1 (ko) 1997-03-31 1997-03-31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조작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61504B1 (ko)
KR (1) KR100213463B1 (ko)
AU (1) AU6855398A (ko)
WO (1) WO19980435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6639A1 (ko) * 2014-04-10 2015-10-15 박희붕 생체 검사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2263B2 (en) * 1998-04-01 2009-08-11 Arthrocare Corporation High pressure applicator
US6402701B1 (en) * 1999-03-23 2002-06-11 Fna Concepts, Llc Biopsy needle instrument
US6783515B1 (en) 1999-09-30 2004-08-31 Arthrocare Corporation High pressure delivery system
DE10107513A1 (de) * 2001-02-09 2002-08-29 Gert Otten Hohlnadel zur Punktion organischen parenchymatösen Gewebes
US6626848B2 (en) * 2001-03-30 2003-09-30 Eric M. Neuenfeldt Method and device to reduce needle insertion force
CA2800959C (en) 2002-03-19 2015-05-05 Bard Dublin Itc Limited Vacuum biopsy device
US20040073139A1 (en) * 2002-10-11 2004-04-15 Hirsch Joshua A. Cannula for extracting and implanting material
US20050124914A1 (en) * 2003-12-04 2005-06-09 Dicarlo Paul Medical instrument
EP1711119A1 (en) * 2004-01-23 2006-10-18 Traxyz Medic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rocedures on target locations in the body
US20060064101A1 (en) * 2004-02-12 2006-03-23 Arthrocare Corporation Bone access system
US7935122B2 (en) * 2004-12-23 2011-05-03 Arthrocare Corporation Cannula having asymmetrically-shaped threads
US20060164913A1 (en) * 2005-01-21 2006-07-27 Arthrocare Corporation Multi-chamber integrated mixing and delivery system
US7517321B2 (en) 2005-01-31 2009-04-14 C. R. Bard, Inc. Quick cycle biopsy system
EP2196155B1 (en) 2005-08-10 2015-03-18 C.R.Bard, Inc. Single-insertion, multiple sample biopsy device with various transport system
US7473232B2 (en) * 2006-02-24 2009-01-0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Obtaining a tissue sample
US7670299B2 (en) * 2006-03-07 2010-03-02 Ethincon Endo-Surgery, Inc. Device for minimally invasive internal tissue removal
US7806834B2 (en) * 2006-03-07 2010-10-05 Devicor Medical Products, Inc. Device for minimally invasive internal tissue removal
US20080039883A1 (en) * 2006-08-10 2008-02-14 Nohilly Martin J Anti-coring device for a surgical morcellator
US20080039880A1 (en) * 2006-08-10 2008-02-14 Nohilly Martin J Cutting blade for morcellator
US8100928B2 (en) * 2006-08-10 2012-01-24 Ethicon, Inc. Morcellator with detachable handle
WO2008024684A2 (en) 2006-08-21 2008-02-28 C.R. Bard, Inc. Self-contained handheld biopsy needle
WO2008040812A1 (en) 2006-10-06 2008-04-10 Sonion Roskilde A/S Tissue handling system with reduced operator exposure
US8262586B2 (en) 2006-10-24 2012-09-11 C. R. Bard, Inc. Large sample low aspect ratio biopsy needle
US20080154304A1 (en) * 2006-12-21 2008-06-26 Arthrocar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tissue structure
US9226748B2 (en) * 2007-07-26 2016-01-05 Alpha Scientific Corporation Surgical suturing device, method and tools used therewith
US20100010419A1 (en) * 2008-07-14 2010-01-14 Takayuki Akahoshi Phacoemulssification Needle Tips
US20100023065A1 (en) * 2008-07-25 2010-01-28 Welch Andrea M Tissue access device with alignment guide and methods of use
US9173641B2 (en) 2009-08-12 2015-11-03 C. R. Bard, Inc. Biopsy apparatus having integrated thumbwheel mechanism for manual rotation of biopsy cannula
FR2967567B1 (fr) * 2010-11-19 2012-12-14 Jean-Charles Persat Vecteur de prelevement pour tissus en particulier adipeux
US9968337B2 (en) * 2010-12-20 2018-05-15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Coring tissue biopsy needle and method of use
KR102082832B1 (ko) 2012-06-14 2020-02-28 사노큐리스 엘티디. 소프트 조직내 채널을 생성하는 의료용 디바이스 및 조립체
AU2014226148B2 (en) * 2013-03-06 2018-02-15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Atraumatic IOL insertion cartridge opening
BR112015023708B1 (pt) * 2013-03-20 2021-10-26 Bard Peripheral Vascular, Inc. Dispositivo de biópsia
ITUB20160337A1 (it) * 2016-01-29 2017-07-29 Euromedical S R L Dispositivo per il prelievo di campioni di tessuto biologico.
IL251684B (en) 2017-04-09 2019-01-31 Tel Hashomer Medical Res Infrastructure & Services Ltd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a channel in soft tissue
WO2018213611A1 (en) 2017-05-19 2018-11-22 Merit Medical Systems, Inc. Biopsy needle devices and methods of use
WO2018213580A1 (en) * 2017-05-19 2018-11-22 Merit Medical Systems, Inc. Rotating biopsy needle
EP3624698A4 (en) 2017-05-19 2021-06-09 Merit Medical Systems, Inc. SEMI-AUTOMATIC BIOPSIA NEEDLE DEVICE AND METHOD OF USE
US12295556B2 (en) 2019-09-27 2025-05-13 Merit Medical Systems, Inc. Rotation biopsy system and handle
US12150627B2 (en) 2019-12-11 2024-11-26 Merit Medical Systems, Inc. Bone biopsy device and related methods
CA3165103A1 (en) * 2019-12-17 2021-06-24 Glaukos Corporation Ocular tissue perfor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3437A (en) * 1981-03-09 1983-09-13 Shuman Ervin H Torsionally loaded treble hook with pivotable weed guard
US5177759A (en) * 1990-05-30 1993-01-05 Laser Phot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fabricating a reflector
US5271414A (en) * 1992-09-30 1993-12-2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iopsy cannula having non-cylindrical interior
US5590655A (en) * 1993-09-20 1997-01-07 Hussman; Karl L. Frameless laser guided stereotactic localization system
US5526822A (en) * 1994-03-24 1996-06-18 Biopsys Med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biopsy and collection of soft tissue
US5817033A (en) * 1994-04-11 1998-10-06 Desantis; Stephen A. Needle core biopsy device
JP3546074B2 (ja) * 1994-05-16 2004-07-21 株式会社八光 生検針
US5575780A (en) * 1995-04-28 1996-11-19 Saito; Yoshikuni Medical hollow needl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reof
US5788679A (en) * 1996-06-26 1998-08-04 Gravlee, Jr.; Joseph F. Phacoemulsification needle
US5733266A (en) * 1996-07-26 1998-03-31 Gravlee, Jr.; Joseph F. Hypodermic needle
US5976164A (en) * 1996-09-13 1999-11-02 Eclipse Surgic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yocardial revascularization and/or biopsy of the heart
US5871495A (en) * 1996-09-13 1999-02-16 Eclipse Surgic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 transmyocardial revascularization of the heart
US5810834A (en) * 1996-10-07 1998-09-22 Chiron Vision Corporation Tip formation for inserting a flexible membrane into an eye
US5830219A (en) * 1997-02-24 1998-11-03 Trex Medical Corporation Apparatus for holding and driving a surgical cutting device using stereotactic mammography guidan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6639A1 (ko) * 2014-04-10 2015-10-15 박희붕 생체 검사 장치 및 시스템
KR20150117501A (ko) * 2014-04-10 2015-10-20 주식회사 메디칼파크 생체 검사 장치 및 시스템
KR101649713B1 (ko) * 2014-04-10 2016-08-19 주식회사 메디칼파크 생체 검사 장치 및 시스템
US10792021B2 (en) 2014-04-10 2020-10-06 Hee Boong Park Biopsy device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61504B1 (en) 2002-03-26
KR970025564A (ko) 1997-06-24
WO1998043541A1 (en) 1998-10-08
AU6855398A (en) 199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3463B1 (ko)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조작 기구
US6626848B2 (en) Method and device to reduce needle insertion force
US5357974A (en) Bone marrow biopsy instrument
EP1673015B1 (en) Vacuum assisted biopsy needle set
US5492130A (en) Biopsy device and method
US4919146A (en) Biopsy device
US4177797A (en) Rotary biopsy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5183052A (en) Automatic biopsy instrument with cutting cannula
US5188118A (en) Automatic biopsy instrument with independently actuated stylet and cannula
US9301737B2 (en) Needle tip for biopsy device
JPH10513384A (ja) 自動生検及び軟らかい組織の採取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WO2009058436A1 (en) Devices, methods, and kits for a biopsy device
JPH10507952A (ja) バイオプシー針
CN104968282B (zh) 用于活组织检查的装置和方法
WO2008150742A2 (en) Biopsy device with multiple cutters
US200502564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tissue samples
MX2007010963A (es) Dispositivo para el aspirado de medula osea y biopsia de hueso.
JP2000232983A (ja) 組織採取装置
US11510661B2 (en) Full core biopsy device
CN115137401A (zh) 一种可术中二次麻醉的减痛减阻仿生微织构振动穿刺活检枪
CN115137403A (zh) 一种可术中二次麻醉穿刺活检枪
RU5079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ункционной биопсии
JP2001070307A (ja) 組織採取装置
CN114983491B (zh) 活检针、活检针组及骨髓活检装置
US20200405277A1 (en) Endoscopic ultrasound need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3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33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40210